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계 및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기상정보에 따른 화재 발생 위험 예측 : Prediction of the Risk of Fire Occurrence According to the Weather Information Using Statistics and Data Mining Techniques

        송동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후적 특징에 따라 사람의 생활환경은 주기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국내 화재 또한 여름철에 화재 발생건수가 감소하고 겨울철에 화재 발생건수가 증가하는 경향으로 계절적인 영향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기상현상은 인간생활에 큰 잠재적인 영향력을 미치거나, 빠르게 일상적으로 전개되는 현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공공정보의 개방과 공유를 위한 정부 3.0 운영 패러다임에 따라 기상청과 소방방재청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상 정보에 따른 화재 발생 경향 분석 및 예측 모형을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화재 발생 빈도를 기상에 따라 범위별 시간수로 나누어 줌으로써 각각의 기상에 대한 ‘시간당 화재 발생 빈도’를 도출하는 데이터 전저리 과정을 통해, 기상과 화재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범주를 나누어 줌으로써 시간당 화재 발생 빈도라는 개념을 활용할 수 있고, 또한 해석이 용이한 장점을 활용한 것이다. 데이터를 범주화할 때 데이터를 구분한 이론적인 근거로는 외인적 구분법과 자연적 구분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기상시나리오에 따른‘인구 시간당 화재 발생 빈도’를 산출하여 이를 위험등급으로 구분하는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통해, 인공신경망과 의사결정트리를 활용한 화재 예측 모형을 만들 수 있었다. 데이터가공은 종속변수인 전체화재, 화재유형별 화재(6개 항목), 발화열원별 화재(9개 항목), 발화요인별 화재(9개 항목), 최초착화물별 화재(13개 항목) 등 총38개에 대하여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종속변수의 등급을 구분하는 방법은 quantile 분류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차별화된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통해 기상상황과 화재발생과의 연관성을 알 수 있고, 화재 발생을 예측하는 시도를 하였다는데 의미가 있었다. 화재유형, 발화열원, 발화요인, 최초착화물 등의 종속변수(화재데이터)와 독립변수(기상데이터)들과 관계를 산포도와 Jonckheere-Terpstra test로 경향을 분석한 결과, 각각의 기상 변수와 각각의 화재 변수와의 관계에 대한 경향성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성은 특정 유형의 화재에 대한 기상의 영향을 파악하여 기상 상황으로 일어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입력변수의 수에 따라 기상에 따른 예측 모형을 분석한 결과 ‘소방본부, 온도, 습도, 풍속’을 입력변수로 고려한 모형이 등급별 예측 정확도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모형의 분석방법에서는 ‘실효습도, 불쾌지수, 체감온도, 열지수’와 같은 변수가 전체 예측률은 높게 하나 등급별 예측 정확도가 낮아 활용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상변수는 상관도가 높은 변수를 제외하고 ‘소방본부, 온도, 습도, 풍속’을 변수로 하였을 때 활용성이 좋을 것을 판단된다. 예측 모형을 세부변수별로 분석하였을 때 화재유형의 주거, 비주거, 기타(쓰레기 등), 임야, 발화열원의 담뱃불·라이터, 미상, 화염·스파크 및 작동기기, 발화요인의 기계적요인, 미상 및 부주의, 최초착화물의 식품, 쓰레기 및 종이·건초·목재 등 특정변수에서만 등급별 예측 정확도가 나타났다. 이는 데이터 개수가 작은 변수에서는 등급별 예측이 잘 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고, 기상과 상관성이 낮은 변수의 경우에는 낮은 예측 정확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기상에 따른 세부변수별 예측 결과는 특정 유형의 화재를 선별적으로 추출하여 본 연구 방법을 통해 예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을 기초로 하여 향후 기상과 화재와의 연관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화재발생 지점 및 시점에서 정확하게 측정된 데이터 사용의 한계가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도 높은 모델을 위한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첫째, 보다 높은 예측 정확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기상관측 지점별로 더욱 세분화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기상 정보 뿐만 아니라 건축물 노후화, 지역 특성 등 세부적인 사회 및 지리적인 데이터를 확보하여 분석함으로써 다른 관점에서 예측 모형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위험 등급의 경계에 따라 예측 정확도가 변화할 수 있을 것이므로 화재 발생 위험 등급에 대한 정확한 경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상 상황 별 위험 등급에 따라서 화재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원인에 대한 더욱 세분화된 분석이 가능하다면, 구체적인 기상 상황별 대응 방안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eople's living condition and environment change periodically according to the climatic characteristics. In Korea, it can be seen that number of fire occurrences in summer tends to drop whereas the number of fire occurrences in winter tends to increase from the annual average. Such climatic phenomena either have a large potential impact on human life or indicate a rapidly evolving phenomenon of everyday. This study focuses on conducting the analysis of fire occurrence trend and the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the weather information, utilizing the data of the National Weather Service and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ccording to 3.0 operating paradigm of the Korean Government for opening and sharing of public information. By categorizing and using the continuous data, differently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frequency of hourly fire occurrence’ and ‘the frequency of hourly fire occurrence per population’ for drawn scenarios are calcul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weather and the fire is verified through the preprocessing procedure of data to evaluate ‘the frequency of hourly fire occurrence’ on each weather by dividing the fire occurrence frequency with each range's number of hours corresponding to the weather. Thus, by dividing the categories, a concept of the frequency of fire occurrences per hour can be utilized, enabling the advantage of easier interpretation. When categorizing the data, external division method and natural division method wer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of dividing the data. And, by calculating ‘the hourly fire occurrence frequency per population’ according to the weather scenario, the fire prediction model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the decision tree is constructed through the data preprocessing procedure classifying the frequency. The data preparation process is performed for total 38 items of 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the entire fire, the fire type (6 items), the source of ignition (9 items), the cause of ignition (9 items) and the material first ignited (13 items). Levels of all dependent variables created in each scenario are classified into 5 levels according to the quantile classification method.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ather circumstance and the fire occurrence and attempting the prediction of fire occurrence through the differentiated data preprocessing procedure. Through the trend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s (the fire data), such as the fire type, the source of ignition, the cause of ignition and the material first ignited,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weather data), the trend on the relation between each weather variable and each fire variable is drawn. For the humidity, the trend shows that the fire occurrence is more frequent as the humidity decreases. For the temperature, various trends are drawn according to the types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nd the trend shows that the fire occurrence increases as the wind speed increases. The effective humidity and the precipitation have similar trends with the relative humidity. The discomfort index, the sensible temperature and the heat index show either to have similar trends with the temperature or no trend. The trends drawn like this are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the weather and the fire. Such results can be utiliz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weather on the fires of specific types and to prevent fires that may occur under the weather circumsta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fire prediction model by the changed number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model considering 'Region,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as input variables shows high prediction accuracy for each level. Although the model analysis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shows that variables of 'the effective humidity, the discomfort index, the sensible temperature, and the heat index' make the entire prediction rate high, the variables are determined to be hard for use since the prediction accuracy for each level is low. Hence, for the weather variables, the usability of this prediction model is determined to be high when having 'Region,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Speed' as variables excluding variables having high relation levels. As analyzing the prediction model for each detail variable, variables of Dwelling, Non-dwelling, Miscellaneous and Forests·Fields of the fire type, Cigarette·Lighter, Unknown, Flame·Sparks and Actuated equipment of the source of ignition, Mechanical factor, Unknown, Negligence of the cause of ignition and Foods, Waste and Paper·Wood·Hay of the material first ignited show the prediction accuracies of each level. The variables having less number of data show trends that predicts for each level perform inadequately. And the variables having low correlations with the weather show variables having low prediction accuracies. Such prediction result on each detailed variable according to the weather would be possible by selectively drawing fires in specific types. It is determined that continued researches on connections between the weather and the fire would be necessary based on this study. In the future studies, following additional researches are required for models with higher accuracies. First, more detailed analysis is required at each weather observation location to draw higher prediction accuracy. Second, it is determined that prediction models from other aspects can be established by securing and analyzing not only the weather information, but also the detailed social and geographic data, including the building aging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ird, since the prediction accuracy may change according to the boundary of risk level, researches on precise boundaries of the fire occurrence risk level is required. Finally, if more detailed analysis is possible on weather causes influencing the fire

      • 코칭머신(SCATT) 활용이 공기권총 선수의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송동우 한국체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기권총 남자선수들을 대상으로 전자 시스템으로 개발된 코칭머신(SCATT)을 이용하여 정지력, 조준능력, 격발시간, 총구의 움직임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머신을 활용한 훈련이 공기권총 선수의 경기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한사격연맹에 등록되어 있는 중학교 남자 권총선수 20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각 10명씩 선정하여 14주 동안 코칭머신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코칭머신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t=2.403, p=.020)가 나타났다. 또한, 각 집단 내에서 코칭머신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전, 후의 경기력 변화를 살펴본 결과 코칭머신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548.02) 값보다 실시 후 평균(550.66) 값이 상승하였으며 유의미한 차이(t=6.276, p=.000)가 나타났다. 코칭머신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집단의 경우 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549.66) 값보다 실시 후 평균(548.84) 값이 하락하였으며 유의한 차이(t=-4.200, p=.000)가 나타났다. 경기력 수준에 따른 선수들의 집단에 대한 코칭머신 훈련 프로그램 실시 전, 후 경기력 변화에 대해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 중 상급집단의 선수들은 훈련 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558.00) 값보다 실시 후 평균(558.80) 값이 0.80점 상승하였으며, 중급집단의 선수들은 실시 전 평균(538.04) 값보다 실시 후 평균(539.64) 값이 1.6점 상승하였다. 실험집단의 실시 전, 후 경기력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17.778, p=.000)가 나타났으며 중급선수들이 상급선수들보다 점수의 상승 폭이 더 큰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비교집단에서는 상급선수들의 경우 훈련 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561.40) 값보다 실시 후 평균(560.88) 값이 0.52점 하락하였으며, 중급선수들은 훈련 프로그램 실시 전 평균(537.92) 값보다 실시 후 평균(537.72) 값이 0.2점 하락하였다. 비교집단의 실시 전, 후 경기력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20.040, p=.000)가 나타났으며 중급선수들이 상급선수들보다 점수의 하락 폭이 더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은 코칭머신 훈련프로그램이 공기권총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입증해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결과는 코칭머신 훈련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는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더욱 발전된 연구들이 진행될 것을 기대해본다. This study, for air pistol shooters, analyzed how the ability of suspension and aiming, the timing of firing and the movement of the muzzle have effects on performance using SCATT, which is developed with an electronic system.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CATT Shooter Training Systems, on the performance of air pistol shooters. For the subjects of the study, 20 boys from junior high school were selected and were evenly allocated to a treat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observed after the SCATT training was progressed to the treatment group for 14 weeks. As a consequenc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erformance chang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t=2.403, p=.022). The average performance of the treatment group, before the experiment (548.02), increased after the experiment (550.366),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t=6.276, p=.000). Also, the average performance of the control group before the experiment (549.66) decreased after the experiment (548.84),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t=-4.200, p=.000). The change of performance for different level of players in the treatment group was examined,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SCATT training systems. As a result, the average performance of advanced players before the execution (558.0) increased by 0.80 after the execution (558.80), and the average performance of intermediate players before the execution (538.04) increased by 1.60 after the execution (539.64). The change of performance in the treatment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17.778, p=.000) and the range of increase of the intermediate players tend to be larger than that of the advanced players. On the other hand, for the control group, the average performance of advanced players before the experiment (581.40) decreased by 0.52 after the execution (580.88), and the average performance of intermediate players before the execution (537.92) decreased by 0.2 after the execution (537.72). The change of performance of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20.040, p=.000) and the range of decrease of the intermediate players tend to be larger than that of the advanced players. These results support the fact that SCATT Shooter Training Systems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air pistol players. Also, the results of the study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on being the preliminary data for efficient use of the SCATT Shooter Training Systems. Furthermore, more developed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be progressed.

      • 냉장고 파쇄 공정에서의 화재 위험성 및 예방에 관한 연구

        송동우 서울산업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recycling procedure of the refrigerator, the fire frequently breaks out. In this study, to clarify the exact cause of the fire, the components and densities of the materials used in the procedure are analysed as well as the problems in the process system, and the protective measure to prevent the fire and the explosion fundamentally is proposed. First, the dangerousness of fire in the recycling procedure of the refrigerator was qualitatively analyzed. The fire cases in the recycling procedure of the refrigerator were investigated and the condition to cause the fire at the break-out positions were analyzed. Then, the gases were collected at the positions and the inflammable materials which exist really in them were analyzed. Furthermore, the ignition sources in the procedure were checked to find out the cause of fire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 CFD program was used to present the problem of facilities in the procedure and to propose the measures to prevent the fires. The fundamental method to prevent the fire and explosion is to appropriately remove the 3 elements of combustion: inflammable material, ignition source and oxygen. That is, the prevention is to fundamentally remove the hazards, and the fire cannot break out without inflammable material, ignition source and oxygen. In this research, it was found out that the inflammable materials of the crushing process were polyurethane, polyurethane dusts, and inflammable gas mixture (cyclopentane and methane were identified) and the ignition source was the mechanical sparks (friction, impact, frictional heat and hot surface of iron icicle). Meanwhile, the fire patterns were the ignition of inflammable gas mixture (mainly the cyclopentane) on the surface of polyurethane and the smoldering(surface burning) of polyurethane dusts and the flash fire of inflammable gas mixture. In this procedure, the preventive measures of fire by removing the combustible materials such as polyurethane and inflammable gases, by removing the ignition sources and by reducing the oxygen concentration to the minimum are proposed along with the protective measures to reduce the damage in the fire. 본 연구에서는 냉장고 리사이클링 공정에서 잦은 화재가 일어나는 것에 대해 정확한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공정에서 사용되어지는 물질의 성분 및 농도를 분석 및 공정 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근원적인 화재·폭발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예방대책을 제시하여 보았다. 우선 냉장고 리사이클링 공정에서의 화재위험성을 정성적으로 분색해 보았다. 냉장고 리사이클링 공정에서 화재 발생 사례를 조사하고 발생위치에서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조건을 분석한 후 그 위치에서 가스를 포집한 후 실험을 통해서 실제 존재하고 있는 가연성 물질을 분석하고, 또한 공정 중에 내포하고 있는 점화원을 찾아내어 화재가 일어날 수 있는 원인을 찾아본다. 그리고 공정 내에 화재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급․배기 시스템을 분석하였다. 화재․폭발을 예방하는 방법은 연소의 3요소인 가연물․점화원․산소를 적절하게 제거하여 화재가 근본적으로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예방은 위험의 원인인 Hazard를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방대책은 가연물, 점화원 및 산소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얻은 결과들은 파쇄공정의 가연물은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분진 및 가연성기체 혼합물(사이클로펜탄과 메탄의 존재 확인)이며 점화원은 기계적 스파크(마찰, 충격, 마찰열) 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화재 양상은 폴리우레탄의 표면의 가연성혼합가스(주로 사이클로펜탄)의 점화, 폴리우레탄 분진의 훈소 및 가연성혼합가스의 flash fire 임을 알 수 있었다. 본 공정에서는 가연물인 폴리우레탄과 가연성가스를 제거하는 방법, 점화원을 제거하는 방법 및 산소농도를 최소산소농도로 낮춰서 연소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방법 등의 예방대책과 화재 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호대책을 제시해 보았다. 자동 불활성가스 공급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파쇄기 호퍼 내 가연성가스를 배기를 시키면서 불활성가스를 주입하는 방법 화재ㆍ폭발 위험분위기가 다양한 형태로 일어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파쇄공정은 작은 국소 환기설비에 적용되는 공기를 분사하고 배기구로 강제흡입시스템을 갖춘 화재분위기의 조성을 가연한계 농도이하로 낮추기 위한 강제 환기 또는 배기설비 설치 적절한 가연성가스 농도 측정 장치에 의한 가연성가스 농도 측정 파쇄공정의 점화원인 기계적 스파크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mist 형태의 수분을 계속적으로 주입 파쇄공정을 1차 파쇄기 하부와 2차 파쇄기 상부가 바로 연결되는 밀폐식 공정(일체형)을 개방식(분리형) 파쇄 공정으로 채택 요망 1차 파쇄기의 파쇄날 사이가 벌어져 있어 이 틈새로 제품의 잔해물이 파쇄날에 늘러 붙어 철 고드름이 형성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 철 고드름은 hot surface를 형성해서 점화원이 될 수 있다 파쇄기 내부 배기구의 주기적인 관리와 작업환경의 개선으로 배기 능력의 저하를 막음으로써 환기 능력을 높임 방호대책으로는 화재발생에 대비하여 자동 살수시설을 설치하는 방법과 화재의 감지를 위한 열감지기 및 선감지기를 설치

      • 1860-90년대 및 1980년대 중국 개혁정책 비교

        송동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860-90년대 및 1980년대 중국의 개혁정책을 배경, 중심사상, 전개과정, 문제점으로 나누어 비교한다. 1860-90년대 개혁운동은 오랫동안 자신들을 "中華"라고 부르며 높은 민족적, 문화적 자존심과 朝貢制度를 통한 타국과의 대등한 외교관계를 인정하지 않던 중국이 19세기 말 서구 열강들과의 접촉과정에서 자신들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서구의 과학기술, 자본, 사상을 도입하여 近代化, 西歐化를 이룩하고자한 것이었다. 그 思想的 기반은 중국의 것을 體로 삼고 서양의 것을 用한다는 中體西用이었고, 中體西用의 기치아래 정치, 경제, 사회·문화부분에 걸쳐서 다양한 개혁정책을 실시하였다. 정치부분에서는 總理各國事務衙門을 설치하고 改革을 위해 地方官들의 역할을 강화시켰으며, 경제부분에서는 民需企業을 설립하고, 사회·문화부분에서는 서양을 본딴 近代的 敎育機關인 同文館을 세우고 서구 문물물 배우기 위해 海外考察團을 파견하였다. 그러나 이 運動은 여러 어려움에 부딪혔는데 정치적 어려움으로는 守舊派들의 批判과 官僚들의 不正腐敗가 있었고, 경제적 어려움은 民需企業의 經營惡化, 民需企業의 買辦性, 不合理한 貢賦制度, 사회·문화적 어려움에는 世界觀의 變化로 인한 葛藤과 도시·농촌간의 불균형적 발달로 말미암은 政治的 支配力 弱化와 遊民의 발생이 있었다. 이상의 어려움들은 淸朝가 중국의 정치체제와 이데올로기는 그냥 놔두고 서양의 과학기술과 자본, 문물을 수입하고자 한 모순의 필연적 결과였다, 결국 1860-90년대 개혁운동은 淸·日戰爭에서 淸이 패배하고 서구 열강의 반식민지상태로 전락함으로서 실패하게 되었다는 것이 이 운동에 대한 많은 학자들의 評價이다. 한편 1980년대의 개혁운동은 모택동 사후 집권한 鄧小平이 中國特色的 社會主義를 주장하고, 中國의 共産黨一黨獨裁體制와 社會主義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西歐의 資本主義와 科學技術을 받아들여 資本主義化, 國際化를 이루고자 한 운동이다. 모택동 執權下에서 추진된 大躍進運動과 文化大革命은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일으켰다. 그 후 1978년 집권한 등소평은 공산당 제 11期 3中 全會이후 改革·開放政策을 내걸고, 일단 사회주의혁명이 완수된 이후에는 더 이상 階級革命이 필요치 않으며, 이제는 경제적 발달을 이룩하는 것이 바로 사회의 발달이라고 주장했다. 그 결과 정치, 경제, 사회·문화방면에서 다양한 개혁정책들이 추진되었다. 정치부분에서는 하급 기관들의 자율권을 인정하는 機構改革이 이루어지고 유능한 관료들을 등용하기 위한 黨幹部人事制度改革이 이루어졌다. 경제부분에서는 농촌부분, 도시부분에 걸쳐 平均主義에서 벗어나 노동의 분량에 따라 소득을 분배하고 각 기업과 단체, 개인의 책임 하에 생산활동을 맡기는 다양한 개혁이 추진되었다. 그리고 서구의 자본과 기술을 받아들이기 위해 對外改放政策이 추진되어 5개의 經濟特區와 沿海開放都市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共産黨一黨獨裁體制와 社會主義 이데올로기를 유지하면서 서구의 자본주의와 기술을 배우고자 할 때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되었다. 정치적으로는 守舊派들의 비판이 있었고, 黨幹部들의 不正腐敗가 문제가 되었다. 경제적으로는 國營企業들의 赤子와 購買力의 상승으로 말미암은 通貨膨脹과 가격제도 개선 후 발생한 物價上昇, 그리고 자본주의식 방법의 도입으로 말미암은 所得分配의 不均衡이 문제점으로 등장하였다. 사회·문화적 문제점으로는 西歐 資本主義와 기술의 유입과 함께 서구 政治思想의 중요 개념인 人權, 自由, 民主主義 개념도 유입된 결과 民主化運動이 발생하였고, 경제개혁의 결과 생겨난 실업자문제와 이들로 인한 사회적 불안이 존재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의 두 개혁운동의 정치, 경제, 사회·문화부분을 배경, 중심사상, 전개과정, 문제점등으로 나누어 비교하고 있다. This dissertation compares the Reform Movement of China in the 1980's with the one in the 1860-1890's. The Reform Movement by Prince Gong(恭親王) and Self-strengthen Party(洋務派) in the 1860-1890's was an attempt of China, who didn't approve equal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other nations due to her high minded nationalistic and cultural self-esteem to achieve moderniza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by the introduction of western technologies, capitals and ideas, acknowledging her weakness in the course of confrontation with western imperialistic powers. The key idea of this Reform Movement was zhongxue wei ti xixue wei yong(中學爲體西學爲用). Under this slogan China executed various reformations in politic, economic and cultural fields. In politic fields Tsungli Yamen(總理衙門) was established and brought up the power of local officials were brought up for the purpose of reformation. In economic fields non-military industries (民需企業) were founded, and in social-cultural fields Tong Wen Guan(同文館) which were followed after western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established. Also a group of foreign inspection tour(海外考察團) were established to learn western civilization. But this Movement confronted several difficulties. The politic difficulties lied in the criticism of conservatives and the accumulation of wealth by illicit means of bureaucrats. The economic difficulties lied in the management worsening and the compradorness of non-military enterprises, and in the unreasonable tax system. The social-cultural difficulties lied in the trouble due to the change in the view of the world, the weakening of governing power, and the occurrence of idlers. The above mentioned difficulties were inevitable results of the inconsistency of trying to introduce western technologies, capitals and civilization without the reformation of political system and ideology of China. The Reform Movement in the 1860-1890's is evaluated by many scholars to end in failure after the defeat of China in the Sino-Japanese War and after China became a semi-colony of western powers. The Reform Movement in the 1980's was a movement led by Deng Xiao-ping, who became in seizure of power after the death of Mao and emphasized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he movement was an attempt to introduce western capitalism and technology while maintaining the dictatorship of the communist party and socialism. The Rapid Progress Movement and Cultural Revolution which were carried out under the reign of Mao resulted in many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cultural problems. Deng Xiao-ping who came into power in 1978 advocated the reform and opendoor policy. In contrast to Mao, Deng Xiao-ping claimed that there is no more need for Class Struggle after the Socialistic Revolution has been accomplished, and that the achievement of economic development is the development of society. As a result various reform policies were carried out in the fields of policy, economy, sociality and culture. In politic fields, organization reform which acknowledged self-governing of lower-level organizations, and the CCP leader employment structure reform which aimed for the appointment of able bureaucrats were executed. In economic fields, various policies on the division of incomes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labour, and the entrustment of production activity to personal responsibility were carried out. Also oversea open-door policies were carried out, and 5 special economic zones and open coast cities were established to adopt western capitals and technology. But many problems aroused when trying to learn western capitalism and technology while maintaining the dictatorship of the communist party and socialism. The politic problems were the criticism of conservatives and the accumulation of wealth by illicit means of party officials. The rising of prices after the improvement of the price structure and the currency inflation due to the rising of purchasing power and deficits of national enterprises became a new issue. Furthermore the problem of ill-balanced division of incomes due to the introduction of capitalistic system occurred. Social-cultural problems were democratization movements and unemployment problems which occurred as a result of economic reform, and which also gave arise to social unrest. Democratization movements occurr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s of private right, freedom, and democracy which are the key concepts of western politic ideas and which were introduced together with western capitalism and technology.

      • 중국의 한반도 군사개입 유형 및 원인 분석

        송동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world powers have exercised military intervention in weaker countries for various reasons. Military intervention is a forced intervention by military forces with the intent to control one or more countries' sovereignty for their own interests and purposes. China was no exception, so it intervened militarily in the Korean peninsula to achieve its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interests. This thesis patternizes the history of China 's military interventions in Korean peninsula as “maintaining scope of influence,” “responding to military threat,” and "seeking of economic interests." The military intervention is used to maintain the scope of influence when China faces a possibility of an unfriendly force gaining political power in the face of internal political fluctu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formerly part of the tributary system represented in Sinocentrism. Typical cases in this category are “Military uprising of the year 1882(壬午軍亂)”and “Gapsin Coup of 1884(甲申政變).” Military intervention in response to a military threat is when China faces actual territorial threat in addition to reduced scope of influence due to internal political change or hostile occupation in Korea. This is a type of preemptive military intervention that solves the problem. Typical examples studied are “Japan’s Invasion of 1592-1598(壬辰倭亂)”and “Korean War of 1950-1953(韓國戰爭).” Seeking of economic interests is a kind of military intervention that aims to solve the economic difficultie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conquering the central district(中原) by non-Han Chinese nomadic or hunting nation originating from the Great Wall north, and taking the necessary economic interests out of the military intervention on the Korean peninsula. Major cases examined are “Mongolia’s Invasion(1231-1259)”and “Manchu’s invasion of 1627(丁卯胡亂).” The level of analysis used were "international environment", "domestic situation", "intentions and choices of leaders", and the factor influenced Chinese military intervention. In individual case studies,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all patterns. "Intentions and choices of leaders" were more influential than "domestic situation" in “maintaining scope of influence”and “responding to military threat.” However, In the "seeking of economic interests" the two factors are analyzed to have similar level of influence.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re was consistency in the case of China's military intervention in the Korean Peninsula, which never allows the emergence of an unfavorable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f necessary, China has influenced the regime in Korean Peninsula through military intervention. From that point of view, China will not want a situation where the regime in the north of the peninsula is suddenly collapsed, resulting in unification with the Republic of Korea and United States taking the leading role. The purpose of China's participation in the UN sanctions resolution resulted by North Korea's nuclear test and missile launch tests is not in the collapse of the North Korean regime, but rather the prevention of security in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강대국들은 다양한 동기 가운데 약소국들에게 군사적으로 개입해왔다. 군사개입은 “타국의 국가 내부의 문제에 대해 국력 비교에서 우월한 위치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국가가 자국의 이익과 목적을 위해 대상국가의 정치 권위 체제를 통제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군사력으로 강제 개입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중국도 예외는 아니라서 자국의 정치, 경제, 군사 이익을 달성하고자 위해 한반도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중국의 대한반도 군사 개입사례들을 “세력권 유지형”, “군사위협 대응형”, “경제적 이익 추구형”으로 재유형화하고 그 원인을 분석한다. 세력권 유지형 군사개입은 중국이 기존에 자신의 세력권 즉 조공체제로 대표되는 중화질서 체제속에 속해있던 한반도에 내부적 정치 변동으로 중국에 비우호적인 정권이 출현할 가능성이 높아질 때 선제적으로 군사개입해 이를 차단한다는 유형이다. 대표적 사례로 임오군란, 갑신정변을 다룬다. 군사위협 대응형 군사개입은 중국이 자신의 세력권을 간주하고 있던 지역이 내부 정치 변동 혹은 적대적 국가에 의한 점령등으로 성격이 변질될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중국의 영토에까지 군사적으로 위협이 될 것이 확실시 되는 상황에서 군사적으로 선제개입하여 이 문제를 해결한다는 유형이다. 대표적 사례로 임진왜란과 한국전쟁을 다룬다. 경제적 이익 추구형 군사개입은 만리장성 이북에서 발원한 비한족 유목 혹은 수렵 민족 국가가 중원을 정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한반도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필요한 경제적 이익을 수탈해간다는 유형이다. 대표적 사례로는 몽골의 군사개입과 정묘호란을 다룬다. 분석수준으로는 “국제환경”“국내상황, ”지도자의 의도와 선택“을 사용하고, 상기 유형 별로 어떤 분석 수준이 중국의 군사개입에 보다 큰 영향력을 끼친 요인이었는가를 살펴 본다. 개별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보면 ”국제환경“이 모든 유형에서 공통적으로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요소였다. 그리고“세력권 유지형”과 “군사위협대응형”에서는 “국내상황”보다도 “지도자의 의도와 선택”이 더 큰 영향력을 발휘했으나, “경제적 이익 추구형”에서는 양자가 비슷한 수준의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중국의 대한반도 군사 개입 사례에 일관되게 흐르는 원리 하나를 발견할 수 있는데, 그것은 중국이 자국에 비우호적인 정권이 한반도에 출현하는 것을 결코 좌시하지 않았으며, 필요시 군사개입을 통해 한반도 정권에 영향력을 행사해왔다는 것이다. 그런점에서 볼 때 중국은 현재 한반도 북쪽에 위치해있는 정권이 갑작스럽게 붕괴되어 한국과 미국 주도로 통일 되는 상황을 원치 않을 것이다. 중국이 북한의 핵실험, 미사일 발사 실험으로 UN에서 결의된 제재방안에 동참하는 근본목적도 북한 정권을 붕괴시키고자 함이 아니라, 북한의 대책없는 행동으로 말미암은 한반도 안보 불안 상황을 예방하고, 현 상태가 유지되길 원하는 중국의 뜻에 북한이 따라주길 원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