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MS에서의 높은 횡 방향 운동량을 가진 전자 구별을 위한 알고리듬의 유효성 연구

        손태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LHC(Large Hadron Collider)는 세계에서 가장 큰 충돌에너지를 가진다. CMS(Compact Muon Solenoid) 검출기는 LHC의 검출기 중 하나로 힉스입자, 초 대칭입자, 새로운 현상론 탐색을 목표로 한다. 높은 횡 운동량을 가진 전자는(High Pt Electron) 그들을 찾기 위해 사용되는데 특히 초월한 표준모형의 무거운 보존입자인 W'과 Z'을 찾는데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횡 운동량을 가진 전자를 찾기 위해 선행 되어야 할 알고리즘이 CMS 소프트웨어 각 버전에 대해 유효한지 DQM(Data Quality Monitoring) 코드를 기반으로 이용하여 연구하도록 한다. LHC(Large Hadron Collider) has highest collision energy in the world. CMS(Compact Muon Solenoid) detector is one of detector in LHC, and it aims searching for Higgs particles, SUSY particles and new phenomena. HPTE(High Pt Electron) is used to look for them, especially used to look for beyond standard model particles, like and . In this thesis, when prior to study about HPTE, we try to validate HPTE algorithm according to CMS software version by using Data Quality Monitoring code of HPTE

      • KOSPI200선물과 옵션간의 일중 사전적 차익거래 수익성 및 선종결전략의 연도간 비교

        손태진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금융시장의 자율화와 개방화로 인해 주가불안정성이 높아지면서 위험관리 수단으로 1996년 5월 3일에 KOSPI 200 선물시장이 개설되었고, 1997년 7월 7일에 KOSPI 200 옵션이 도입되었다. 또한 우리 나라의 한국증권거래소는 1999년 9월 현재 파생상품 거래량 부문에서 세계 9위를 차지하였고 한국증권거래소의 KOSPI 200 옵션은 파생상품거래량 세계 4위를 차지하였다. 이는 주식관련 파생상품으로는 세계 1위를 기록한다. KOSPI 200 선물이 개설된 지 3년이 지난 지금 학계와 업계에서는 선물시장이 도입초기의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고 있는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긍정적인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반면에 개설된 지 2년이 지난 KOSPI 200옵션은 최근들 어서는 거래가 활발히 증가하고 있으나 데이터의 부족 등으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주가지수 옵션과 관련된 연구의 활성화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KOSPI 200선물과 옵션간의 차익거래전략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1) 가격괴리가 발생하는 시점에서 차익거래 포지션을 취하는 사후적 차익거래 전략의 수익성, (2) 차익거래 수행시간을 고려한 사전적 차익거래 수익성, (3) 차익거래포지션을 선물과 옵션의 만기일 이전에 종결하는 선종결전략의 비교를 통하여 우리 나라 선물과 옵션시장의 효율성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차익거래전략의 수익성의 연도간 비교를 통하여 우리 나라 선물과 옵션시장의 효율성이 개선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표본기간은 1997년 7월 7일부터 1999년 8월 30일까지로 하였으며 실증분석에 사용된 이자율은 CD금리를 사용하였고 선물과 옵션의 호가 및 체결가격은 전체표본기간 동안의 1분 단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후적 차익거래 결과는 1차 연도가 2차 연도 보다 효율성이 개선되었음을 보이고 있다. 둘째, 선물매도 차익거래이익과 선물매입 차익거래 이익의 차이는 1차 연도와 2차 연도 모두 전채표본과 각 만기월별 과대평가정도와 과소평가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선물과 옵션의 만기까지의 기간이 차익거래에 미치는 영향은 만기까지의 기간이 길수록 과대, 과소 평가의 정도가 더 커짐을 보이고 있다. 넷째, 사후적 관측치 에 대하여 사전적 차익거래를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평균은 1차 연도의 경우 1.66분이고 2차 연도의 경우 1.82 경우 1.82분으로 2차 연도가 조금 더 길게 나타나고 있다. 다섯째, 선종결전략의 경우는 사전적 차익거래 수익성보다 훨씬 큰 수익성의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수익성은 선물매도 차익거래와 선물매입 차익거래 모두 1차 연도에서 2차 연도로 갈수록 감소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후적 차익거래전략, 사전적차익거래전략, 선종결전략 모두 1차 연도 보다 2차 연도에서 차익거래 기회의 감소를 보이고 있으므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시장의 효율성이 개선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선종결전략을 성공적으로 구사할 경우 사전적 전략에 비해 현저한 수익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거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기관투자자가 전산화된 시스템을 구축하여 선종결 차익거래 전략을 수행한다면 상당한 이익추구의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 A transaction data analysis of arbitrage between KOSPI 200 futures and KOSPI 200 options : the comparison of periodic returns using ex post, ex ante, prior settlement arbitrage opportunities. Since the liberalization and the opening of the financial market, The stock market volatility has been incredibly increased. Thus, as the means of crisis management, The KOSPI 200 futures market opened on 3rd of May in 1996 and a year later KOSPI 200 options market opened on 7th of July in 1997. and as of September The Korean Security Exchange Market has been ranked as the 9th biggest derivatives exchange market. and the KOSPI 200 Option has been ranked as the 4th derivative in the field of derivative trade volume. Many academic researches have been in the active progres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KOSPI 200 futures and there have been a lot of positive results concerning the initial purpose of futures market but there have been not enough researches in the study of options market due to the lack of data, so much more studies are desired in this field. This study aimed at profound analysis of arbitrage opportunities using KOSPI 200 futures and KOSPI 200 options. In detail, it focused on (1) ex post arbitrage returns which is obtained right after the arbitrage opportunities are found, (2) ex ante arbitrage returns which is obtained considering time executing arbitrage strategies, (3) the returns of prior settlement strategies. And through above detailed objects, This paper tried to analyse the efficiency of KOSPI 200 futures and options market. Sample period is from 7th of July in 1997 to 30th of April in 1999 and CD(certificate of deposit) interest was used in the empirical study. And "minutes-based" data was used as the quoted price and contract price for futures and options. The test results are following. Firs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improvement of efficiency was found in the ex post arbitrage strategies.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futures sell arbitrage returns and futures buy arbitrage returns was confirmed in both total period data and each due month data. Third, it found that the longer the period toward the due date remains, the bigger the difference broadens between over evaluation and under evaluation. Forth, the average time to execute ex ante arbitrage strategy from the ex post arbitrage opportunities are 1.66 minutes(first period) and 1.82 minutes(second period). Fifth, when it comes to the prior settlement strategy, much bigger returns have been found the ex ante strategy and these returns have been decreased in the process of time. Putting all these results together,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efficiency has been improved because arbitrage opportunities have been decreased as time goes by. And institutional investors who built up computer software system and could relatively reduce trade cost can realize much more returns if they properly use prior settlement strategy.

      • 엘리트 태권도 선수의 심상전략 탐색

        손태진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엘리트 태권도선수가 사용하는 심상전략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시합이 다가오면서 심상 유형별 특성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S실업팀에 엘리트 태권도 선수 10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는 개방형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ould 등(1992)이 제안한 질적연구방법을 택하였다. 심상의 귀납적 내용분석 과정은 Paivio(1985)와 Suinn(1996)의 심상유형을 기준으로 삼았고, 심상 사례의 내용분류는 전문가 3인이 합의를 통해 최종결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엘리트 태권도 선수들은 전반적으로 Paivio(1985)와 Suinn(1996)이 제안한 심상유형을 고루 사용한다. 특히 불안조절심상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고, 동기심상, 기술심상, 심리기술심상 그리고 시합심상 순으로 사용한다. 둘째, 엘리트 태권도 선수들은 시합 2주 전에 어떤 기술과 전술을 사용할지에 대한 ‘기술심상’을 주로 사용한다. 선수들은 시합 하루 전에 불안증상을 없애거나 안정시키기 위해서 주로 ‘불안조절심상’을 사용한다. 선수들은 시합 당일 날 여전히 ‘불안조절심상’과 ‘동기심상’을 주로 사용한다. 이렇게 해서 시합이 끝나고 나면 선수들은 스스로에게 보상을 주기 위한 ‘동기심상’을 사용한다. 즉, 엘리트 태권도 선수들은 효율적인 훈련과 시합에서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자신만의 심상전략을 사용한다. 그리고 심상전략은 시합 시점에 따라 기술심상, 불안조절심상, 동기심상 등으로 다르게 적용된다. 주요어: 엘리트스포츠, 태권도, 심상, 내적심상, 외적심상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agery strategy of the elite taekwondo competitors.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10 elite taekwondo athletes, who work for S business team.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pened-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s. The data was collected based on Gould et al. (1992)’s propo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ductive content analysis of the imagery followed the imagery type of Paivio (1985) and Suinn (1996). the law data and case of imagery were separated by three specialist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elite taekwondo competitors generally used the types of imagery proposed by Paivio (1985) and Suinn (1996). especially, imagery of anxiety regulation was appeared the highest frequency among factors. and ordered imagery of motivation, imagery of skills, imagery of mental skills, and imagery of competition. Second, elite taekwondo competitors mainly used imagery of skills before two weeks for competition. They mainly used imagery of anxiety regulation the day before competition. They mainly used imagery of anxiety regulation and imagery of motivation the day of competition. They mainly used imagery of motivation after the competition. To sum it up, the elite taekwondo competitors used individual strategy of imagery for effective training and peak performance in competition. the strategy of imagery was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juncture for competition.

      • 개발제한구역의 주민지원사업제도 인식에 관한 연구

        손태진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s development restriction zones system (greenbelt) is based on Article 21 of the Urban Planning Act in July 1971 to suppress the indiscreet expansion of cities and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of cities through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ational management. Since most of the greenbelt is privately owned, it has severely restricted the infringement of private property rights by residents, and actions such as new/ expansion of houses, changes in use, and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land, and has suffered inconveniences in life. I did. No compensation has been made for the past 50 years, and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in case of infringement of personal property rights tor the public interest, fair compensation must be given. In 1998, Article 21 of the 「Urban Planning Act」infringed on the private property rights of the owner of the land and decided not to provide compensation regulations for cases where the land cannot be used for the conventional purpose is contrary to the constitution (December 24, 1998, 89 214), and the "Special Measures Act on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Restricted Development Zones", a law based on this, was enacted in July 1999. The legal basis for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environment system for residents in the development-restricted area, which was regulated only by the resident support program system in the development-restricted area, the purchase request system, and the preservation fee system (formerly damage fee), was established. The Resident Support Projects System in the Development Restricted Area was implemented to relieve the inconvenience of residents' life due to the designation of the Development Restricted Area and to improve the underdeveloped residential environment. Although the resident support project has been in operation for nearly 20 years since 2001, residents'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 Still not high In this study,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 resident support project system in the development restricted area can be summarized based on the overall perception analysis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such as the damage compensation psychology for the development restricted area, land acceptance and conflict according to the public service project. First, the gender of respondents living in restricted development zones was male, and by age, over 60 years old, living in Gangseo-gu, Busan over 30% of the time since 1971, and residential zones were first lifted from development-restricted zones. Over 60% of residents were surveyed. Second, the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development restricted area showed that 38.7% of the people lived in Gangseo-gu, Busan, with 38.7% of them living before the designation of the restricted development area. Housing and land are being developed as a public service project or a development plan has been announced, with more than 50% surveyed. Interesting results came out, and after compensation for housing and farmland, more than 80% of Gangseo-gu had a willingness to acquire a replacement, and it was analyzed that they had a strong desire to protect their ancestral lives. Third, in the analysis of the recognition of development restricted areas, it was analyzed that more than 80% knew about the green belt, and 42.5% of the recognition of damage caused by the designation of the development restricted area was'very so'. Was investigated. It was investigated that Gangseo-gu, Busan, as a development area, accepts the development of public service projects, but compensates for losses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of development restricted areas, and that all development restricted areas must be lifted. Fourth, only 7.6% (24 people) of "know" and "very know" in the recognition analysis of the resident support project in restricted development zones, and most of them were surveyed to have very low awareness of the resident support project system in development restricted zones. In terms of importance by type of resident support project, more than 60% of the life-benefit projects, which are mainly supported in Gangseo-gu, Busan, such as farm road pavement and drainage maintenance, were "important" and "very important".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living expenses assistance business, the survey itself seems meaningless because the number of low-income vulnerable groups in the living expenses assistance business h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614 households in 2010 to 53 households in 2017 (payment in 2018). The reason for the reduction was that the group settlement areas of 20 or more restricted development zones were significantly lifted first, and the number of targets was reduced due to the development of public service projects such as international new cities and eco-delta city. On the other hand, the income increase project is considered important, and it is surveyed that more than 70% of the income increase project needs to be discovered, which is actually helpful to the residents, as it is one-time or show-based information on exhibition administration. More than 60% of respondents who have positive thoughts on the questionnaire whether the development-restricted area resident support project helpe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re "normally yes", but the response to the situation that is not familiar with the resident support project system in the development-restricted area is of great significance There seems to be no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hrough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lmost all residents feel a sense of damage due to the designation of a development restricted area, and the area around farmland, etc., is a development restricted area, but group settlement areas that were first lifted are not eligible for support. In addition, the matters revealed during the survey are that even residents who settled in Gangseo-gu, Busan and established their home after 1971 are also experiencing land use restrictions and inconveniences in life as a development restricted area.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it should be. Since 2001, Gangseo-gu, Busan, has been supported by resident support projects in restricted development areas, and civilian life-benefit projects such as waterway maintenance and farming road pavement are dominated. In order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of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promote customized support projects. I believe that research and investigation projects should be activated to develop new support projects and establish support pla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project to increase income that is practically helpful to the residents. The "Rural Convergence Convergence" is supported in preference to other laws for the purpose of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of income of farmers and rural residents and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by laying the foundation for high value-added agriculture,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ies, and revitalization of the rural economy. There is an urgent need to discover businesses that increase income in connection with other laws, such as the Act on Fostering and Supporting Complex Industries". By establishing a business promotion system at the village levet specialized crops such as'Daejeo Tomatoes' suitable for local conditions should be selected, branded by selecting specialized crops suitable for local conditions, and expanded to a new type of income increase business such as local food. . To eliminate the closed image of development-restricted areas by strengthening environmental and cultural projects, and to provide new shelters and leisure spaces by linking development-restricted areas and neighboring areas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residents in development-restricted areas such as Nurigil and leisure green areas. The business must be continuously promoted. Lastly, in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resident support projects in restricted development zones, only 7.6% (24 people) answered "know" and "very know", indicating that most of them have very low awareness of the resident support project system in development restricted areas. With an active policy for continuous promotion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it should develop into a "well-lived village-level project". 우리나라의 개발제한구역제도(greenbelt)는 1971년 7월 구 「도시계획법」 제21 조를 근거로 도시의 무분별한 팽창을 억제하고 환경보호와 합리적인 관리를 통하여 도시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지만 우리나라의 그린벨트(greenbelt)는 대부분 사유지이다 보니 거주민들의 사유재산권 침해와 주택 신ㆍ증축, 용도변경, 토지의 형질변경 등의 행위를 엄격히 제한하므로 생활 불편을 겪어 왔으며, 이러한 과도한 이용규제 제한으로 많은 민원을 제기하였다. 지난 50여 년 동안 어떠한 보상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헌법에도 공익을 위해 개인 재산권을 침해할 시에는 정당한 보상을 해 주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1998년 구 「도시계획법」 제21 조가 토지소유자의 사유재산권을 침해하고 토지를 종래의 목적대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해서 보상규정을 두지 않는 것은 헌법에 위배 된다는 헌법불일치 결정(1998.12.24., 89헌마214)으로 1999년 7월 개발제한구역제도의 제도개선방안을 구체화하고, 2000년 1월 28일에 이를 근거로 한 법령인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이 제정이 되었으며,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제도, 매수청구제도 및 보전부담금제도(구 훼손 부담금) 등으로 규제만 하였던 개발제한구역 내 거주민 생활환경 제도개선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게 되었다. 개발제한구역의 주민지원사업제도는 개발제한구역 지정으로 인한 주민 생활 불편을 해소하고 낙후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행되었으며, 주민지원사업이 2001년부터 20년 가까이 시행되어 왔으나 주민 인식도 및 만족도는 여전히 높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제한구역에 대한 피해 보상심리, 공익사업에 따른 토지 수용과 갈등 등 설문조사를 통한 전반적인 인식분석을 바탕으로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제도 인식에 관한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제한구역 거주자 응답자 성별은 남자가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60대 이상, 부산 강서구 거주시기는 1971년 이전 부터가 30%가 넘었으며, 거주지역은 개발제한구역에서 우선 해제된 집단취락지역 거주자가 60%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개발제한구역 거주환경에 대한 인식분석에서는 부산 강서구에 거주하게 된 계기를 '조상 대대로' 38.7% 로 다수가 개발제한구역 지정 전부터 거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및 토지가 공익사업으로 '개발 중이거나 개발계획이 발표된 상태'가 50%로 이상으로 조사되었는데 공익사업으로 토지수용에 대한 의식을 조사한 내용은 '찬성'이 50% 이상으로 토지수용을 받아들이고 있다는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으며, 주택 및 농지 보상 후 강서구에 대체취득 의향은 '그렇다' 가 80% 이상으로 조상 대대로 살아 온 삶의 터전을 지키고 싶은 마음이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개발제한구역 인식분석에서는 80% 이상이 그린벨트에 대하여 알고 있다는 분석이었고, 개발제한구역 지정으로 인한 피해 인식은 '매우 그렇다'가 42.5%로 개발제한구역 지정으로 피해를 많이 보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부산 강서구가 개발지역으로 공익사업에 의한 개발은 수용하되 개발제한구역 지정에 따른 손실보상이 되어야 하며 개발제한구역은 모두 해제가 되어야 한다고 조사되었다. 넷째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 인식분석에서는 '안다' '매우 안다' 7.6%(24명)에 불과하며, 대부분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제도에 대한 인식도가 매우 낮게 조사되었다. 주민지원사업 유형별 중요도에서는 농로포장, 배수로 정비 등 주로 부산 강서구에서 지원되고 있는 생활편익사업이 '중요' '매우 중요' 가 60% 이상으로 나타났다. 생활비보조사업 만족도에서는 생활비보조사업 저소득 취약계층 대상자가 2010년 614세대에서 2017년 53세대(2018년 지급)로 대폭 축소되었기 때문에 조사 자체가 의미가 별로 없어 보인다. 축소된 이유는 개발제한구역 20 호 이상 집단취락지역이 대폭 우선 해제되었고 국제신도시, 에코델타시티 등 공익사업으로 인한 개발로 대상자가 줄었기 때문이다. 반면에 소득증대사업은 중요하게 생각하며, 일회성이나 보여주기 식 전시행정보다 실질적으로 거주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소득증대사업 발굴이 70%이상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이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었는지 설문에 긍정적 생각을 가지고 있는 응답자가 '보통 그렇다' 60% 이상이지만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제도 자체를 잘 모르는 상황의 응답은 큰 의미가 없어 보인다. 실증분석 결과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는데 개발제한구역 지정으로 주민들 거의 모두가 피해의식을 느끼고 있으며, 농지 등 주변은 개발제한구역인데 우선 해제된 집단취락지역은 지원 대상이 되지 않고 있다. 또한, 설문조사를 하면서 나타난 사항은 1971년 이후에 부산 강서구에 정착하여 삶의 터전을 잡은 거주민들도 개발제한구역으로 토지이용규제와 생활불편을 겪고 있는 것은 마찬가지인데 차등 지원을 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부산 강서구는 2001년부터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이 지원되었으며, 수로정비, 농로 포장과 같은 민원적인 생활편익사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주민들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요자 맞춤형 지원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새로운 지원사업 개발과 지원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조사 사업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주민들에게 실질적으로 생활에 도움이 되는 소득증대사업을 발굴해야 한다. 농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농업·농촌의 발전, 농촌경제 활성화를 도모하여 농업인과 농촌주민의 소득증대 및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다른 법률에 우선하여 지원되는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등 타법과 연계한 소득증대사업 발굴이 절실히 요구된다. 마을 단위의 사업 추진체계 구축으로 지역 여건에 맞는 '대저 토마토' 같은 특화작물을 선정하여 각 마을 단위로 지역 여건에 맞는 특화작물 선정으로 브랜드화 하고, 로컬 푸드 같은 새로운 유형의 소득증대사업으로 확대해야 한다. 환경·문화사업을 강화하여 개발제한구역의 폐쇄적 이미지를 불식시키고 누리길, 여가녹지 등 개발제한구역 내 주민생활여건 개선사업을 개발제한구역과 인근 지역을 연계하여 새로운 쉼터와 여가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 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안다' '매우 안다' 응답자는 불과 7.6%(24명) 로 대부분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제도에 대한 인식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속적인 홍보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으로 '잘 사는 마을 단위의 사업' 으로 발전해야 할 것이다.

      • 개발제한구역 내 공익사업 시행에 따른 이축권 사용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손태진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개발우리나라의 개발제한구역제도는 1971년 7월 구「도시계획법」제21조를 근거로 도시의 무분별한 팽창을 막고, 환경보호와 합리적인 관리를 통하여 도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는 목적이지만, 개발제한구역 대부분이 사유지이다 보니 거주민들의 사유재산권 침해와 주택의 신축, 증축, 용도변경, 토지의 형질변경 등의 행위를 엄격히 제한하므로 거주민들이 생활 불편을 겪어 왔으며, 이러한 과도한 이용규제 제한으로 많은 불만과 민원을 제기하였다. 우리나라 헌법 제23조 제3항 “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사용 또는 제한 및 그에 대한 보상은 법률로써 하되,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여야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으나, 지난 50년 동안 이런 공용제한에 따른 어떠한 보상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개발제한구역 지정에 따라 주택의 신축 및 증축 등의 행위를 엄격히 제한하였지만, 공익사업 시행으로 주택의 철거, 재해로 인하여 더 이상 거주할 수 없는 경우 또는 토지소유자와 건물 소유자가 달라서 토지소유자의 동의가 없어 증축 및 개축을 할 수 없는 경우 등 특수한 경우에만 개발제한구역 내로 이축(移築)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2020년 2월 21일「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이하 「개발제한구역법」이라 한다) 시행령 개정으로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고 시행하는 공익사업도 사업인정 고시일로부터 거주하고 있지 않아「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하 「토지보상법」이라 한다)에 따른 이주대책에서 제외되고, 「개발제한구역법」에 따른 이축 자격도 부여받지 못하던 기존주택 소유자도 주택, 근린생활시설의 이축 자격(이축권)을 부여받게 되었다. 「개발제한구역법」에 따라 부여되는 이축권은 사용에 따른 많은 제약이 존재한다. 이축권이 “종전의 생활 상태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면서 동시에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여 주기 위한 생활권 보장의 일환으로 국가의 적극적이고 정책적인 배려”라면 이축권 사용에 따른 전매(명의변경)나 용도변경 등이 폭넓게 허용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제한구역 지정에 따른 거주민들의 피해 보상심리와 공익사업 시행에 따른 토지수용과 보상에 따른 갈등, 개발제한구역 내 공익사업 시행에 따른 이축권 사용의 문제점과 개선사항 등 설문조사 자료를 가지고 실증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생략) The purpose of Korea's development restriction zone system is to prevent indiscriminate expansion of cities based on Article 21 of the former 「Urban Planning Act」 in July 1971, and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of cities through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asonable management. development restriction zone As most of the land is privately owned, residents have experienced inconveniences in their daily lives due to strict restrictions on infringement of private property rights, new construction, expansion, change of use of houses, and changes in the shape of the land. Many complaints and civil complaints have been raised due to these excessive use restrictions. Article 23, Paragraph 3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tates, “Expropriation, use, or restriction of property rights for public needs and compensation therefor shall be made by law, but fair compensation must be paid.” Over the past 50 years, according to public restrictions, on No compensation is provided accordingly. Although new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houses were strictly restricted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of the development restriction zones, but when the housing is demolished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works projects, when it is no longer possible to live due to a disaster, or when the land owner and the building owner are different, Only in special cases, such as cases where expansion or renovation cannot be made without the consent of the landowner, It allowed them to be relocated buildings within the development restriction zones. And On February 21, 2020, due to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Act on Special Measures for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Development Restriction Zo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evelopment Restriction Zones Act」), Public works Projects that lift and implement development restriction zones do not reside since the date of the project recognition announcement, who were excluded from relocation measures under the 「Act on Acquisition and Compensation for Land, Etc. for Public Works,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Land Compensation Act」), and were not even granted qualifications for relocate Building under the 「Development Restriction Zone Act」, Existing homeowners, were also granted the right to relocate Buildings and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use of the right to relocating Buildings granted under the 「Development Restriction Zones Act」. If the right of relocating Buildings is "active and policy consideration of the state as part of a livelihood guarantee to guarantee a humane life while restoring the previous living conditions to their original state," resell (name change) or change of use should be widely allowed. In this study, the residents' damage compensation psychology following the designation of development restriction zones, land expropriation and compensation due to implementation of public projects, and survey data such as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the use of relocating Buildings rights following implementation of public projects in development restriction zone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이하 생략)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