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웨이트 트레이닝 방법의 차이 및 Detraining이 신체 조성, 성장호르몬, Testosterone, Adiponectin, Cortisol에 미치는 영향

        손영진 부경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Background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origin of the weight training's method and to establish the effectiveness of detraining about body composition, growth hormone, testosterone, adiponectin and cortisol by varied training such as ascending set, descending set, drop set and pre-exhaustion set finding out the most appropriate way from all of the above during 12weeks and, to find out the persistency of the weight training, detraining for 4weeks period would be given, so that it would be found out which one is the most continuous way among them. so, the most effecive exercise prescription would be the presented. Objectives : The effect of difference about the way of weight training, the effectiveness of detraining about body composition, human growth hormone, testosterone and adiponectin, cortisol. Methods : The 40 subjects for the research are general male collegian from k , d, b university in B city among them, each 8 subjects are classified as control, ascending, desending, drop, pre-exhaustion group. The measurement of the research would be enacted for 3 time, before workout, after 12weeks' workout, during 4weeks detraining testing of body composition, human growth hormone, testosterone, adiponectin and cortisol. Result : In a view of cutting body % fat, pre-exhaustion set group is testified as the most effective way among others in a view of muscle mass, pre-exhausion set group is testified as the most effective way among others there is a difference even detraining during 4weeks in order of pre-exhaustion, drop, ascending, descending set group. others in a view of weight was not plain difference expressed. In a view of human growth hormone, pre-exhausion set group is testified as the most effective way among others in a view of testosterone, pre-exhausion set group shows better secreation rates than drop set, ascending set, descending set in order. The detraining during 4weeks, pre-exhausion set group shows better secreation rates than drop set. In a view of testosterone was not plain difference expressed. In a view of adiponectin, drop set group is testified as the most effective way among others. the detraining during 4weeks, descending, drop set group shows a higher level than ascending set. and ascending set shows a higher level than pre-exhaustion. In a view of cortisol was not plain difference expressed.

      • 관광호텔의 선택속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만족과 이미지의 매개효과 및 이용목적의 조절효과

        손영진 경상대학교 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호텔이미지와 이용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호텔에 적합한 선택속성과 재방문 의도 형성과정에서 상호영향 관계를 밝히고, 호텔 이용목적에 따라 그 과정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남지역 소재 1등급~3등급 호텔을 방문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방법은 자료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 개념의 타당성 평가를 위한 요인분석, 문항의 내적일지도 측정을 위해 Cronbach α 검정과 구조방정식을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CFA)과 연구 가설검증을 위한 경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설정한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각 잠재변인으로 구조경로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매개변인의 간접효과의 유의성과 관광호텔 이용목적 조절변인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부트스트레핑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한 내용은 직접경로 분석과 간접경로 분석으로서 다음과 같다. 첫째, 예약, 물리적환경/서비스, 청결성, 매력성, 편의성 등이 호텔이미지와 이용만족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이용목적별 차이가 보이는 분석이 아니므로 두 경로계수는 같다. 다만 비표준화 경로계수의 경우 두 집단의 경로계수는 같게 제약을 하였으나 표준화계수의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는 수준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둘째, 직접 경로를 보면, 물리적 환경/서비스는 호텔이미지에 대해 사업/업무 집단, 휴가/여행 집단 등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매력성도 호텔이미지에 대해 사업/업무 집단, 휴가/여행 집단 등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편의성 또한 호텔이미지에 대해 사업/업무 집단, 휴가/여행 집단 등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물리적환경이 이용만족에 대해 사업/업무 집단, 휴가/여행 집단 등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매력성은 이용만족에 대해 사업/업무 집단, 휴가/여행 집단 등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편의성 역시 이용만족에 대해 사업/업무 집단, 휴가/여행 집단 등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조절 효과를 보는 것이 목적인 호텔이미지가 이용만족에 영향을 주는 경로에 대해서 사업/업무 집단, 휴가/여행 집단 등으로 사업/업무 집단의 영향력이 약간 더 컸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리고 호텔이미지가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사업/업무 집단, 휴가/여행 집단 등으로 휴가/여행 집단의 영향력이 더 크지만, 유의한 차이의 조절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넷째, 이용만족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경로에서 사업/업무 집단, 휴가/여행 집단은 등으로 모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섯째, 간접경로의 경우에는 부트스트레핑 방법으로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고, 조절 효과는 두 계수의 차이를 따로 계산하여 제시하였다. 유의한 간접효과를 보인 경로를 보면, 물리적환경/서비스→이용만족은 휴가/여행을 이용목적으로 한 집단에서만, 물리적환경/서비스→재방문의도, 매력성→재방문의도, 편의성→재방문의도 등은 사업/업무, 휴가/여행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물리적환경/서비스→재방문의도 간접경로는 휴가/여행 이용목적의 경우는 사업/업무 이용목적 집단도 각각 유의하게 정의 간접효과를 보였고, 사업/업무 이용목적의 계수가 더 큰 특징을 보였다. 매력성→재방문의도 간접경로는 휴가/여행 이용목적의 경우는 사업/업무 이용목적 집단도 각각 유의하게 정의 간접효과를 보였고, 휴가/여행 이용목적의 계수가 더 큰 특징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편의성→재방문의도 간접경로는 휴가/여행 이용목적의 경우는 사업/업무 이용목적 집단은 각각 유의하게 정의 간접효과를 보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업/업무는 주로 인적서비스, 청결성, 편의성이 높으면 이용만족과 재방문까지 높았다. 사업/업무는 주로 출장으로 오거나 행사나 세미나로 이용하는 고객들이 많다. 호텔예약의 정확성과 청결성을 많이 보고 행사 및 세미나 할 때 불편한 점이 없으면 다시 올 경우가 많으므로 특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휴가/여행은 호텔 선택속성 중 매력성이 높으면 호텔이미지와 재방문의도가 높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휴가랑 여행을 이용하는 고객은 주로 객실에서 편하게 쉬거나 부대시설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호텔 외부에는 등산로 및 산책로, 해수욕장 등이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볼거리가 많고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attributes of hotel selection influencing the hotel image and use satisfaction and the mutually influencing relation with the intention of revisit and how the process chang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hotel use. To achieve such a purpose, our survey was conducted in customers who visited the 1st~3rd grade hotels located in Gyeongna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or identify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ata, factor analysis for evaluating construct validity, Cronbach α test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through structural equation for measuring the internal consistency of item, and path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To test the set hypotheses, the path structure was set with each latent variable.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of mediator variabl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ourist hotel use purpose as moderating variable,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he contents summarized from this study through direct and indirect path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path that reservation, physical environment/service, cleanliness, attractiveness, and convenience have an impact on hotel image and use satisfaction is not an analysis showing difference by use purpose and so the two path coefficients are the same. But in case of non-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the path coefficient of two groups restricted equally, but standardized coeffici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non-significant level. Second, to look at the direct pathway, physical environment/serv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hotel image in business/duty group and holiday/travel group and attractiveness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hotel image in business/duty group and holiday/travel group. Convenience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hotel image in business/duty group and holiday/travel group. Physical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use satisfaction in business/duty group and holiday/travel group and attractive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use satisfaction in business/duty group and holiday/travel group. Convenience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use satisfaction in business/duty group and holiday/travel group. Third, in the path that hotel image had an impact on use satisfaction, which aimed to see the moderating effect, business/duty group had a slightly greater impact than holiday/travel group,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And in the path that hotel image had an impact on intention of revisit, holiday/travel group has a greater impact than business/duty group, but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with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in the path that use satisfaction has an impact on intention of revisit, business/duty group and holiday/travel group both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Fifth, in case of indirect pathway, significance was determined with bootstrapping method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present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efficients separately. To look at the path showing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physical environment/service→use satisfaction appeared significant in holiday/travel (as use purpose) group only and physical environment/service→intention of revisit, attractiveness→intention of revisit, and convenience→intention of revisit appeared significant in both business/duty group and holiday/travel group. Sixth, to look at the indirect path physical environment/service→intention of revisit, in case of holiday/travel (as use purpose), business/duty (as use purpose) group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ndirect effect and business/duty (as use purpose) coefficient showed greater characteristics. To look at the indirect pathway attractiveness→intention of revisit, in case of holiday/travel (as use purpose), business/duty (as use purpo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ndirect effect and holiday/travel (as use purpose) coefficient showed greater characteristics. Finally, to look at the indirect pathway convenience→intention of revisit, in case of holiday/travel (as use purpose), business/duty (as use purpo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ndirect effect. According to the study findings, in case of business/duty, if mostly human services, cleanliness, and convenience were high,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visit were also high. In case of business/duty, there were customers who came on a business trip or used an event or seminar. They paid attention to accuracy in hotel reservation and cleanliness of hotel and if they found no inconveniences from an event or a seminar, they usually came back later and so special care should be taken. In case of holiday/travel, it was drawn that if attractiveness, among attributes of hotel selection is high, hotel image and intention of revisit are high. The customers who use holiday or travel largely take a rest at a room or use incidental facilities. Moreover, as customers use mountain path, walk path, beach, etc outside hotel, the environment for them to see and experience should be created.

      • 주조용 AC4C 및 AC3A 알루미늄 합금의 부식 특성에 미치는 고온 산소, 황화수소 가스 분위기 및 황산 수용액의 영향에 대한 연구

        손영진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알루미늄 주조합금은 자동차 산업 및 일반 기계 산업등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화석 연료의 사용에 따라 환경오염에 의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알루미늄 주조 합금은 습식 및 건식의 오염된 환경에 노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산성화된 환경에서의 알루미늄 주조 합금을 사용함에 따라 이에 대한 내식성 평가가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산업 및 일반 기계 산업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 주조 합금의 일반적인 대기 및 오염된 환경 조건에서의 건식 부식 특성과 오염된 습식 환경에서의 동전위 분극 실험을 통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건식 및 습식 환경에서의 알루미늄 주조 합금 표면에서의 화학적 반응 및 부식 생성물을 SEM/EDS, XRD, XPS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건식 및 습식의 부식 환경에 따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건식환경인 773K의 O2 및 H2S/H2 가스 분위기에서는 알루미늄 주조 합금은 노출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시험편의 무게도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 O2 가스분위기에서는 O2와 반응한 Al2O3 및 Mg0등 생성된 화합물에 의한 결과로 관찰되었으며, H2S/H2 가스 분위기에서는 S2 성분이 Al 표면에 흡착되어 O2 가스 분위기보다 많은 무게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습식환경인 H2SO4 수용액에서는 알루미늄 주조 합금은 입계부식을 일으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공동주택의 시공성 향상을 위한 설계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손영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요 지 최근 건축물의 대형화, 고층화로 인해 각 생산단계의 연계성이 보다 복잡하고 어려워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설계단계에서 시공지식과 경험을 반영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프로젝트 4대 목표 중에서 가장 중요한 관심사항인 공기단축 및 비용절감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현안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로부터 활용된 기존 설계 프로세스 방식을 계속 고수하고 있으며, 제도 및 업무프로세스 역시 경직화되어 있음에 따라 시공성을 적용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시공성 개념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시공성 적용 효과를 실제로 확인하고 설계 프로세스 상에서 시공성 개념과 향상 체계를 적용할 수 있도록 시공성 적용이 가능한 설계 프로세스 대안 제시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건설 프로세스 상에서 시공성 적용 장애요인을 설문조사를 통해 규명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시공성 적용 효과를 검증한 후, 실제로 이러한 효과를 획득하기 위한 시공성 적용이 가능한 설계 프로세스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시공성 관련이론을 통하여 시공성 적용향상 체계와 시공성 수행 프로세스와 선행 연구 및 기존 국내 설계프로세스들을 고찰하고, 문헌연구를 통해서 시공성 적용 장애요인을 크게 공통요인, 발주자요인, 설계자요인, 시공자요인으로 도출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각 네 가지 요인들에 대한 세부요인들을 분류하여 계층형태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AHP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장애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할 부분들이지만, 가장 중요한 부분은 설계단계에 시공성 개념을 효과적으로 접목하고 이를 원활히 하기 위한 효율적인 협업 프로세스 구축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공성 적용은 공동주택 설계단계에 필요함에 따라 적용할 시공성 항목을 먼저 구분하고, 이를 위해 공동 주택 설계 내용에서 물리적 형태로서 구조형식, 평면형태, 주동외피 및 계단, 내부마감등과 설계에서 기인된 시공 기술형태로서 골조공사 기술력에 따른 문제점들을 사례 분석 통하여 시공성 항목의 실무적 분석과 대안을 모색했다. 그리고 기존설계 프로세스 상에서 나타나는 시공성 실행 프로그램의 부재에 따른 시공성 전문가가 설계 실시간 참여하는 새로운 프로세스와 구조설계 시공성 항목에 대한 지침제시를 하였고, 제시된 개선안을 사례에 적용 예시하고 이의 실현에 필요한 시공 요소 기술력 변화의 방향성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항목들을 적용하여 사례분석을 수행하여 시공성 효과를 검증하였다. 시공성 효과 분석은 강남 OO지구 A2 블록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먼저 대상사례의 시공성 결여부분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이를 개선할 방안을 설계 시공성 구현을 위한 설계프로세스와 실무적 구조 설계 지침을 제안하였다. 이후, 제안된 개선방안을 통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골조물량 변화와 공사기간 변화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시공성 적용 개선안에 따른 프로젝트의 시공 시뮬레이션을 통한 비용을 고려한 최적 공사기간 분석에 제시되었던 개선안에 대하여 골조물량 및 공사기간이 변화함에 따른 비용절감액을 산출하여 시공성을 고려한 개선안의 적용 효과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기존안에 비해 시공성을 고려한 개선안이 유의미한 절감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시공성 고려 결과는 놀라운 수치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성 적용 효과가 확인되었지만, 이것이 실제로 국내 건설 프로세스의 변화 없이는 사실상 프로젝트 목표인 비용, 공기, 품질 및 안전등이 고려된 최적 설계를 통한 발주자에게 서비스하는 데는 사실상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시공성 실행을 위한 국내 설계의 협업 프로세스의 제도적 여건 마련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 보디빌딩선수의 저항트레이닝과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식이섭취비율에따른 신체조성의변화

        손영진 부경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보디빌딩 운동 시 단백질과 탄수화물 함유량에 따른 근육량과 지방량의 변화 등 신체구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년∼2년 사이의 경력을 가진 17세부터 20세까지의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저항 트레이닝을 한 보디빌더 10명을 2집단(단백질군, 탄수화물군)으로 나누어 보디빌딩선수들의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섭취비율에 따른 체지방률과 근육량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체지방률은 단백질군은 운동전 19.980±5%에서 운동 후14.980±5%로 5.0%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탄수화물군은 운동전 17.080±5%에서 운동 후16.560±5%로 0.52% 감소 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근육량의 단백질군은 운동전 56.360±5kg에서 운동 후 62.240±5kg로 5.88kg 증가 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p<.01) 증가하였다. 탄수화물군은 운동전 53.800±5kg에서 운동 후 56.560±5kg로 2.76kg 증가 하였으며,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위의 연구를 통해 일반인들의 저항 트레이닝 시에 두 영양소 섭취에 대한 이해증진 및 실제 두 영양소 섭취 시 그에 따른 비율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want to know amount of muscle and fat change according to containing protein and carbohydrate in our body when we exercises bodybuilding. I classified two groups of bodybuilders with exercised regular, persistent training about 1 or 2 years and 17 to 20 years old. Each of the groups consisted of 10 bodybuilders. One group was made of protein group and the other group was make of carbohydrate group. Then, according to having protein and carbohydrate ratio, I surveyed amount of muscle and fat with bodybuilders. As a result, I obtained two conclusions. First, As body fat , protein group decreased 3.46kg from 15.200± 5.00% before exercising to 11.740± 5.00 after. Carbohydrate group decreased 0.34kg from 11.980± 5.00kg before exercising to 11.640± 5.00kg after. Nevertheless, there was no significant level statistically. Second,in amount of fat, protein group decreased 5.0% from 19.980± 5.00% before exercising to 14.980± 5.00% after. Carbohydrate group decreased 0.52% from 17.080± 5.00% before exercising to 16.560± 5.00% after. Nevertheless, there was no significant level statistically. Third, As lean body mass, protein group increased 5.88kg from 60.740± 5.00kg before exercising to 66.320± 5.00kg after. Furthermore, it showed significant level(p<.05) statistically. Also, carbohydrate group increased 0.84kg from 57.860± 5.00kg before exercising to 58.700± 5.00kg after. In this case, there was no significant level statistically. Fourth, As body water content, protein group decreased 1.98ℓ from 41.760± 5.00ℓ before exercising to 11.740± 5.00ℓ after. Also, carbohydrate group increased 0.60ℓ from 41.660± 5.00ℓ before exercising to 56.560± 5.00ℓ after. In this case, there was no significant level statistically. Fifth, in amount of muscle, protein group increased 5.88kg from 56.360± 5.00kg before exercising to 62.240± 5.00kg after. Furthermore, it showed significant level(p<.01) statistically. Also, carbohydrate group increased 2.76kg from 53.800± 5.00kg before exercising to 56.560± 5.00kg after. In this case, there was no significant level statistically. Sixth, As protein level, protein group increased 1.38kg from 14.000± 5.00kg before exercising to 62.240± 5.00kg after. Furthermore, it showed significant level(p<.01) statistically. Also, carbohydrate group increased 0.18kg from 12.140± 5.00kg before exercising to 12.320± 5.00kg after. In this case, there was no significant level statistically. In this research, I want to assist general people who wish to be a nice bodybuilder that when they are exercising resisting program, they can understand the effect of having two nutrient factors and when having two nutrient factors, they will recognize the proper ratio of two nutrient factors after reading this article. I think there must be survey consistently about the resisting training and dietary program with using the more systematic and scientific methods in the future.

      • 3차원 모델링을 이용한 재개광 양양철광의 운반시스템 설계

        孫英振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광산은 규모가 작고 지질구조와 광체의 형상이 복잡하여 개발을 위한 설계에는 더욱 정교한 3차원 기법의 기술이 필요하지만, 3차원 모델링에 대한 기술력과 경제성의 문제로 과거의 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형편이다. 즉 지금까지 대부분의 광산에서는 3차원 공간상에 존재하는 지질 구조, 광체, 갱도, 채굴적 등을 2차원 도면에 기록하여 왔으며 이를 근거로 한 개발은 많은 시간과 비용의 낭비 그리고 부정확성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재개광 하는 (구)양양철광의 수갱광체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광체와 광체 주변의 지질 구조를 3차원으로 모델링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S/W는 GEMCOM社의 GEMS로써 3차원의 매장량평가, 개발타당성 평가, 운영 관리용 프로그램이다. 2차원 지형도와 지표 지질도를 자료로 하여 지표 지형 및 지질을 3차원으로 모델링 하였으며 (구)양양철광 개발 당시 작성된 지질 단면도와 시추자료를 토대로 연구대상지역의 지질 구조 및 광체를 3차원적으로 생성하였다. 수갱광체는 충전된 채굴적, 공동, 잔광으로 구분하여 모델링하고 잔광부의 품위에 대한 시추 정보로부터 지구통계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품위별 매장량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기존 2차원 구갱도 개설 현황 자료를 이용하여 구갱도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무궤도 운반 시스템의 적용을 고려하여 신갱도의 크기와 배치를 3차원으로 설계하였다. 완성된 광체 및 운반 시스템의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지하선광장의 위치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채취한 시료의 암석 물성값들을 기초로 광체 주위에 부존하는 물성을 암종별로 입력하고 지구통계학적 기법을 통해 미조사 부분에 대한 암석물성을 추정할 수 있는 3차원 공학적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재개광 광산의 3차원 모델은 매장량 평가 및 개발계획 수립, 추가 탐사 지역의 선정이나 개발 계획의 변경 등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체계적이고도 지속적인 광산 개발 기술을 확립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웹 표준을 이용한 공공기관 웹 아카이빙 개선방안 연구

        손영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공기관의 웹 기록물은 단순한 정보제공의 의미를 넘어서 사용자의 참여, 소통 및 협력이라는 양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2013년 정부3.0 시대에는 국민 개개인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기관의 웹 기록물은 보존할 가치가 높다. 하지만 웹 기록물은 기관의 생성, 기관의 통폐합, 시스템 변환 및 업그레이드 등으로 인하여 웹 서비스가 가능하지 않다면 수집·보존되기가 어렵다. 또한 웹은 다양한 환경에서 서비스되고, 정보를 표현하는 수단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도 있어 웹 기록물을 원본과 동일하게 보존하여 활용하기는 쉽지 않다. 기록관리 분야에서는 웹을 기록물의 한 유형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를 수집·보존·활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 및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기관의 웹 기록물은 기록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음에도 실질적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웹 기록물은 다양한 서버프로그램, 응용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등 여러 가지 시스템 환경에서 생성되고 보존되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스템 환경에 의존하지 않고, 어떠한 환경에서도 동일한 모습을 보이게 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태를 유지하는 웹 아카이빙이 필요하다. 웹 표준은 여러 환경에서 동일한 정보를 표현하며, 웹 페이지를 전자문서로 인식하였을 경우 포함된 내용이 뒤틀리거나 정보가 깨지지 않아 진본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저용량화, 마이그레이션 비용의 감소 등의 장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보존 가치가 높은 웹 기록물의 효율적인 보존을 위하여 기존 웹 아카이빙의 문제점을 논의하고, 웹 아카이빙 단계별 웹 표준를 적용하여 웹 아카이빙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 Taxonomic Revision of the Family Sciomyzidae from Korea (Diptera: Acalyptratae) : 한국산 들파리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파리목: 무판류)

        손영진 경북대학교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산 들파리과는 현재까지 다음과 같은 5속 11종이 기록되어 있다 [Colobaea eos Rozkošný, 1991, Pherbellia koreana Rozkošný & Kozánek, 1989, P. ditoma Steyskal, 1956, P. orientalis Rozkošný & Knutson, 1991, P. reticulata (Thomson, 1869), P. shatalkini Rozkošný, 1991, Sepedon aenescens Wiedemann, 1830, S. noteoi Steyskal, 1980, Ditaeniella grisescens (Meigen, 1830), Tetanocera chosenica Steyskal, 1951, T. elata (Fabricius, 1781)]. 본 연구를 통해 4 미기록속, 4 미기록종 [Coremacera scutellata (Matsumura, 1916), Limnia testacea Fabricius, 1781, Pherbina intermedia Verbeke, 1948, S. sphegea (Fabricius, 1775)]과 2 신종(Dichetophora yangi sp. nov., D. koreana sp. nov.), 1 신속 및 신종 (Korlimnia koreana gen. & sp. nov.)을 추가로 발견하였다. 따라서 한국산 들파리과는 총 10속 18종이 기록되며, 각 종에 대한 형태적 특징 및 분포와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또한, 들파리과의 분자생물학적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subunit (COI) 영역의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하였다. The Korean species of the family Sciomyzidae are revised. There have been only 11 species with 5 genera reported in Korean fauna including Colobaea eos Rozkošný, 1991, Ditaeniella grisescens (Meigen, 1830), Pherbellia ditoma Steyskal, 1956, P. koreana Rozkošný and Kozánek, 1989, Pherbellia orientalis Rozkošný and Knutson, 1991, P. reticulata (Thomson, 1869), P. shatalkini Rozkošný, 1991, Sepedon aenescens Wiedemann, 1830, S. noteoi Steyskal, 1980, Tetanocera chosenica Steyskal, 1951 and T. elata (Fabricius, 1781). In this paper, further 3 Palaearctic species, Coremacera scutellata (Matsumura, 1916), Limnia testacea Fabricius, 1781, and Pherbina intermedia Verbeke, 1948, and 1 Holarctic species, Sepedon sphegea (Fabricius, 1775), are newly recorded to Korean fauna. Additionally, 1 new genus with the nominate species Korlimnia koreana gen. and sp. nov., and 2 new species Dichetophora yangi sp. nov. and D. koreana sp. nov. are described herein. The identification key,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the Korean taxa were provided here. To evaluat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Korean taxa, molecular analysis using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gene was conducted.

      • 미용실 교육훈련의 내용과 체계에 관한 고찰

        손영진 용인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경쟁력 강화가 큰 이슈로 대두되면서 미용분야에서는 경영상의 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용실에서는 교육을 통해서 소비자의 변화하는 욕구와 요구를 수용하여 앞서 나가고 또한 역동적으로 대처해 나갈 필요가 있는 것이다. 미용실 교육의 필요성은 미용교육기관의 불충분한 교육에서 비롯된다. 미용실의 현장에서 필요한 교육을 위해서는 미용실에서 체계화된 시스템에 의해 커리큘럼을 짤 필요가 있다. 즉 미용실에서 교육의 필요성은 고객이 원하는 “美,에 대한 지속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연속적인 교육이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실에서의 교육 즉,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시스템 모형을 찾고자 하는 데에 있다. 체계적인 교육 훈련 커리큘럼 모형의 첫 단계로서 현재 미용실 내 교육훈련의 문제점을 발견해 보고자 미용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질적 자료(Qualitative Data)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조사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 연령, 학력, 전공, 미용 자격 취득 등 10개 문항으로 구성 하였고, 교육훈련에 관한 인식정도를 1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교육훈련 운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교육 담당자. 교육 프로그램 입안, 교육 장소 등 11개 문항으로 구성하여 제반실태 및 문제점을 찾고자 하였다. 설문지 통계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은 경영자와 업소 중심에 의한 교육훈련, 교육 훈련의 내용과 계획의 체계성이 부족, 교육훈련 담당 조직의 미비로 인한 전문성 결여, 부적절한 교육방법과 미흡한 교육내용, 기초교육기관(미용고등기술학교, 전문대학, 대학교)의 교육내용과 미용기업 실무의 연계성 부족이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미용실 규모와 조건에 맞는 커리큘럼 개발 모델 설계방법에 대하여 논하였다. 이를 활용하면 미용실 교육훈련의 내용과 체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인교육을 최선의 목표로 하는 학교교육에 비해 미용실의 교육은 명확하고 초점이 있는 교육목표를 대상으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교수설계의 효과성을 더욱 기할 수 있는 분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 학교교육의 커리큘럼이 미용실 업무와 연계를 제대로 유지하고 못하고 있음으로 인해, 졸업생이 미용실에 입사하고 나서야 비로소 이론과 실제의 갭을 발견하고 그것을 채우기 위한 노력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의 낭비를 막기 위해서는 이론 연구 뿐 아니라 그 이론을 적용하여 실제 활용이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학교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러므로 학교교육 커리큘럼이 학교교육에 관한 연구에 치우친 나머지 많은 학생들의 요구를 인식하지 못한 채 지나쳐서는 안 되겠다. Currently enhancement of competitive power became a great issue so it is focused on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which can increase the performance of business. In the beauty sal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customer's needs and desire dynamically. The necessity of training in beauty salon is originated from insufficient training of beauty training agency. Namely, the necessity of training in beauty salon is required to satisfy the continuous needs of customer regarding 'beauty'; practical training which is needed in the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I intended to find out the systematic training system model for obtaining practical knowledge. In the first step, I did a survey with staffs in beauty salons to figure out the problem of training in beauty salons and collected qualitative data. The contents of survey consisted of 10 questions regarding sex, age, education level, specialty, beauty license certificate, etc. There were also 16 questions asking about the consciousness on training and to find out the present status of training operation, I added11 questions regarding training manager, program and training place to find out problems. According to the survey, several problems turned out, such as, training conducted by manager or salon, lack of training contents, plan's systematic characteristic, lack of expertise and training management organization, inappropriate training procedure, insufficient training contents and lack of connection between actual work and training contents from training organizations (beauty technology school, college school, university). In this study, to solve these problems, I discussed about the designing method of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With this, I am sure that we can establish contents and system of beauty salon's training more systematically. Also, despite the school education which is targeting education for a whole man, the training of beauty salon has a clear training goal so it can contribute to the efficiency of systematic curriculum designing. Nevertheless, current school curriculum is not connected to the beauty salon's actual work so students find out the actual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al knowledge and try to fill it up. To prevent these kinds of wastes, it is essential to develop practical education program by applying the theory and studying theory. Therefore, school curriculum should reflect a lot of students' needs on their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