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Cytotox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glycoprotein isolated from Solanum nigrum L. on MCF-7 cells : SNL glycoprotein의 세포독성과 항산화 효과

        孫映玉 전남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Solanum nigrum Linne (SNL)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n herbal plant for a long time and was known to contain various compounds with biological activities. First of all, we prepared a glycoprotein (150 kDa) from SNL fruits. In this study, proliferation of MCF-7 cells was strongly inhibited by SNL glycoprotein. The inhibitory effect showed up to 20 ㎍/mL of SNL glycoprotein. However, the SNL glycoprotein acted to kill the MCF-7 cell as toxic substance when the concentration was more than 20 ㎍/mL. The reason of MCF-7 cell death figured out through apoptosis. Apoptotic cell death was verified such as DNA fragmentation, flow cytometry, and TUNEL. Thiocyanate assay, DNA nicking assay, deoxyribose degradation, DPPH assay, NBT reduction were used for measurement antioxidative activ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SNL glycoprotein has more specific inhibitory effect on hydroxyl radical compared with the activity both radicals, superoxide anion and hydroxyl radical. In conclusion, SNL glycoprotein has contradictory two characteristics, cytotoxic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This might provide a possibility for new pharmacological use of SNL glycoprotein. Solanum nigrum Linne (SNL)은 전통적으로 약용식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져 왔고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우리는 SNL 열매로부터 150 kDa의 당단백질을 분리하였다. SNL 당단백질은 유방암 세포인 MCF-7 cell의 증식 능력을 강하게 억제 시켰다. 이러한 증식억제효과는 SNL glycoprotein 20 ㎍/mL 수준에서 보여졌다. 그러나 20 ㎍/mL 이상의 농도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어 MCF-7 cell을 죽이는 작용을 하였다. SNL glycoprotein의 세포 증식억제 효과와 세포독성은 apoptosis의 기작에 의한 것으로 설명되었다. Apoptotic cell death은 DNA fragmentation의 증가, propidium iodide을 이용한 핵 염색, 그리고 TUNEL positive staining된 세포관찰을 통하여 증명되었다. 또한, SNL glycoprotein의 항산화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thiocyanate assay, DNA nicking assay, deoxyribose assay, DPPH assay, NBT assay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 SNL glycoprotein은 radical scavenging 효과가 superoxide anion (O₂^-)보다 hydroxyl radical(OH)에 보다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SNL glycoprotein은 세포독성과 항산화 효과의 두 가지의 특징이 있었다. 이것은 SNL glycoprotein이 새로운 의약품으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리더십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손영옥 용인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리더십이 조직 문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산업사회가 발전하고 세계화가 되어가면서 오늘날의 기업은 글로벌 시대에 직면해 있다. 이 글로벌 시대에서 리더의 리더십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리더들의 리더십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또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이 조직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 이를 통하여 실제 기업에서 리더들이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조직에 적합한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행동 지침을 제시하여 보고자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 유형의 변수를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여 보면 리더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 조직 내에 형성되고 있는 조직문화에 차이가 있었는데 리더가 변혁적 리더인 경우에는 혁신지향적인 문화가, 거래적 리더인 경우에는 안정지향적 문화가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리더의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가 적합관계에 있는 조직은 그렇지 않은 조직에 비하여 구성원들의 조직몰입도, 직무만족도, 이직의도에서 더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는 실증 분석과 그 동안의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고, 우리의 시장 환경을 고려하면서 리더십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은 강요된 복종이나 거래적 관계를 통해서가 아니라 종업원 스스로의 자발적 참여와 창의력을 고무하고 적절한 책임과 권한을 부여하여, 기업의 가치와 종업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리더십이 바람직하게 조직문화를 향상 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은 리더의 리더십과 높은 관련이 있으며 문화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리더의 리더십이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또한 리더가 조직이 처한 상황에 적합한 조직문화를 형성시키기 위해 어떠한 리더십을 발휘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그리고 리더의 리더십유형과 조직의 문화유형이 적합관계를 유지해야만 조직원들의 행동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 또한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주제와 관련된 연구뿐만 아니라 인적자원관리에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라고 본다. The study tested what effects leadership has on organizational culture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As industrial society has developed and the world has become globalized, companies today face the era of globalization. In today's globalized world, leadership plays an important role and it has a grea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ultur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organizational members working in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in order to find out what effects leadership has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attempt to suggest concrete and practical guidelines suitable for leaders to exercise leadership in their companies. The study divided the variables of leadership styles in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To sum up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there wer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 formed within the organizations depending on leadership styles; in case of a transformational leader,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has been formed and stability-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has been built up when a leader is transactional.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n organization in which leadership sty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are appropriate has achieved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an an organization with less appropriate relationship. By considering an empirical analysis, previous studies, and market environment,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effects of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ulture are not exercised by forced obedience or through transactional relationship but by employee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stimulating creativity and vesting employees with a certain level of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Therefore, it implies the leadership which improves the value of company as well as the quality of life of employees can improve organizational culture in a desirable way. It suggests that the leadership is highly related with forming and maintain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also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nd maintaining organizational culture. Furthermore, it gives a useful information on what style of leadership a leader should exercise in order to form appropriate organizational culture for an organization in particular situations. Lastly, it implies that only when a leadership style of is suitable for organizational culture, the conduct-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can be increa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not only the related studies but also human resource management.

      • 1890년대~1910년대 言論에 나타난 美術記事 分析 : '美術'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손영옥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글은 1890년대∼1910년대 신문에 나타난 美術 관련 기사를 분석한 것이다. 近代 미술 탄생과 관련 중요한 요소인 '미술'이라는 용어의 수용 과정을 개화기에서 일제 강점 초기 新聞을 통해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1890년대는 첫 민간 한글 신문이었던 『독립신문』을, 또 여러 매체가 경쟁적으로 창간돼 '개화기 언론의 전성기'를 이뤘던 1900년대는 『大韓每日申報』와 『皇城新聞』을, 이어 일제 강점기 초기인 1910년대는 한일강제병합에 따른 언론 통폐합으로 당시 유일 한글 신문이었던 『每日申報』를 집중 분석했다. 미술 개념의 변화에 관한 선행 연구가 1900년대 이후에 집중되었던 만큼, 이 글은 상대적 공백기인 1890년대를 『독립신문』을 통해 최초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연구 결과, 開化期 일본에서 수입된 '미술'이라는 용어와 그 개념은 불과 30여년 사이 빠르게 '語義의 사회화' 과정을 겪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술의 개념은 1890년대까지만 해도 '문명개화와 부국강병을 위한 숙련된 技術', 즉 유용성 차원에서 접근됐으나 일제 강점 초기인 1910년대가 되면 '감상을 목적으로 하는 審美的인 視覺藝術'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미가 확대되었다. 일본에서 이 같은 변화가 18세기 초반에서 19세기 후반에 걸쳐 150여 년 동안 점진적으로 일어난 변화였던 점을 감안하면, 개화기 한국에서의 미술 개념 수용 과정은 가히 압축적이다. 미술 용어의 빠른 수용 과정은 당시 한국이 列强의 角逐場으로 극히 불안한 정세에 있다가 끝내 제국주의 일본에 강점되고 마는, 특수한 시대 상황과 깊은 관련이 있다. 술이라는 용어의 등장과 그 개념의 변천 과정은 정치사회적인 변동과 당시 신문 산업의 변화 추세에 따라 1890년대, 1900년대, 1910년대 등 크게 세 시기별로 뚜렷한 특징을 보였다. 우선 1890년대는 미술이라는 용어가 어떤 개념을 갖고 언론에 처음 쓰이기 시작한 시기였다. 이 때 미술이라는 말은 일부에서 정교한 기술과 심미적인 것을 동시에 뜻하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했음을 새롭게 알 수 있었다. 기존에는 미술이 도입 초기, 실용적인 기술의 의미로만 쓰였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었다. 그러면서도 미술은 대한제국의 자주국 건설 열망에 강한 영향을 받아 문명개화와 부국강병의 수단으로 인식됐다. 개화기 일본에서 수입된 용어인 미술은, 이 단어를 생성시킨 일본의 메이지 정부 하에서 문명개화의 방편으로 이해됐던 것처럼 우리나라에서도 처음에는 계몽적 뉘앙스를 강하게 풍겼다. 미술이 개화기 국가주의에 복무했음은 해외 박람회, 군주의 초상사진 등에 관한 『독립신문』 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1900년대는 미술 개념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완전히 이뤄지지 않았지만, 정부와 민간의 주체들이 어떤 개념적 의도성을 갖고 미술이라는 단어를 쓰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전 시기와 구별된다. 특히 매체의 다양화로 대중들은 전에 없이 잦은 빈도로 미술이라는 용어에 노출됐다. 미술이라는 용어는 사진관의 사진 광고에 '美術寫眞'이라는 문구로 등장했으며, 정부가 개최한 박람회에 '미술품'이라는 분류 항목으로 나타났다. 또 미술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첫 고유명사인 '漢城美術品製作所'가 왕실기관으로 설립돼 신문에 자주 등장했다. 특히 한성미술품제작소는 미술품을 실용적 공예품과는 차원이 다른, 예술적 미감을 갖춘 감상의 대상으로 어렴풋이 인식하게 하는 경험을 제공했다. 이 시기 쓰인 미술 개념은 '기묘한 기술+우미함'을 공통의 정의로 함의하고 있었다. 다만 용도에서 실용적인 것이냐, 감상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냐의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세 번째, 1910년대가 되면 미술 개념은 '심미적인 시각 예술'을 완전히 포괄하는 것으로 쓰이기 시작한다. 1910년 8월 한일강제병합 이후 국내 신문이 통폐합되어 탄생한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는 일본에서 일찌감치 통용되던 '審美的 美術' '創意的 美術'로서의 미술개념을 국내에 주입시키는데 주도적 역할을 한다. 특히 조선 주재 일본인 指導層과 識者層 사이에서 우리 '古美術'에 대한 뜨거운 관심이 일었고, 이를 반영한 고미술 관련 기사가 『매일신보』에 빈번히 소개되었던 것도 대중들이 미술 개념을 미려함과 창조적인 활동의 결과물로 인식하도록 이끌었다. 일본 유학파들의 귀국과 함께 '서양화' '동양화'라는 용어가 본격 등장한 것도 이 때였다. 아울러 서양화가는 물론 전통서화가들도 전문가로서의 정체성을 분명히 갖기 시작했지만, 전통 서화가들은 우리 것을 지키려는 민족적 자존심 때문에 일본에서 유입된 신조어 '미술'에 강한 거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1890년대부터 새롭게 등장하기 시작한 박람회, 사진, 도화교육, 전람회, 서화유통기관, 서화 강습소 등의 미술 관련 제도(장르)는 미술이라는 용어가 사회에 확산되는 데 엄청난 기여를 했다. 이들 근대적 미술 관련 제도(장르)가 일상의 체험으로 자리 잡으면서 미술 개념은 지금처럼 유용성과 심미성을 포괄하는 것으로 점차 정착되어 갔다. 아울러 서화 강습소의 출현은 과거 儒敎 이념에 갇혀 서화 세계에서 배척됐던 여성들에게 서화 교육에 대한 접근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서화를 배우는 여성층이 부상하는 새 潮流를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I examined art-related newspaper articles between 1890s and 1910s, the Gae-Hwa period ('blooming season') of Korea which marked the beginning of the Japanese occupation. Through a modern medium such as the newspaper, I strived to gain insight into how the western concept of 'art', which developed during the same time, was ccommodated in Korea. For the 1890s, I pursued the first private Korean news-paper 'Dokrip Times.' For the 1900s, a time that saw healthy competition between different mediums, resulting in a leading times of the Gae-Hwa period media, I scanned articles in 'Dae Han Daily Post' and 'Hwang Sung Daily'. In the 1910s, during which there were heavy restrictions on the media as a result of the Japanese Occupation, I focused my analysis on the only Korean newspaper, 'Mae-Il Daily News'. This thesis is meaningful because it includes the period of 1890s through an analysis of the 'Dokrip Times', while most studies with the same subject matter focuses its lens from the 1900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became apparent that the term 'art' and its concept, originally adopted as an effect of the Japanese occupation, was quickly socialized within 30 years. As late as in 1890s, the concept of art was perceived as an 'expert skill to bring about civilization, a wealthy country and a powerful army'- in other words, a pragmatic perspective. In the 1910s, the concept was expanded to include 'visual arts that aim to be aesthetically appreciated'. Considering that the same change occurred in Japan more gradually, through 150 years from the early 18th century to the late 19th century, the evolution process that took place in Korea was incredibly accelerated. The prompt expropriation of art as a concept has a lot to do with Korea's uncertain position as the arena of the struggle among the world powers, that in the end was absorbed into Imperial Japan. The appearance of the term 'art' and its transition of concept shows great distinction in the 1890s, 1900s and 1910s, reflecting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as well as changes in the newspaper industry.' First, the 1890s was a period in which the term 'art' started to be used with meaning in the media. It became apparent that during this period, art was not only an expert skill, but also an aesthetic concept. In the past, the common belief was that the term was used only to illustrate a pragmatic skill. At the same time, art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country's aspirations toward sovereignty, and was perceived as a means to civilization,wealth and military strength. Through articles in 'Dokrip Times' covering the International Expo and the monarch's portrait, it was clear that art, a concept adopted from Japan, served nationalism with an illuminating nuance. Similarly, the Japanese Meiji government also utilized the concept of art as a means to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Second, the 1900s can be differentiated from earlier times in that despite lacking a complete social agreement on the concept of art, both governmental and private subjects started using the word with a clear conceptual aim. Especially with the diversification of media, the public was exposed to an especially high frequency of the use of the word 'art'. The word appeared in an advertisement for photo studios as 'Artistic Photos', and as a category of the government-operated Expo called 'Objects of Art'. During the same period, the royal agency 'Han Sung Art Factory' was installed and gained a fair amount of press -the factory served as the first proper noun using the word 'art',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view objects of art not as pragmatic craft but as an artistic rendering that can be appreciated. The concept of art utilized during this era also included the meaning of 'exotic skill + refinement', but seemingly differed in the purpose of pragmatism and aestheticism. In the 1910s, the concept of 'art' is used to fully include 'aesthetic visual art'. In August 1910,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saw the merger and abolition of national papers, resulting in the birth of a governmental bulletin 'Mae-Il Daily News'. This paper was instrumental in introducing the Japanese concept of 'aesthetic art' and 'creative art' to Korea. The superintending leaders and pundits from Japan were passionate about 'high art' in particular, and this enthusiasm was met with frequent articles in 'MaeIl Daily News' relating to the high arts. Such coverage was also decisive in the public's understanding of art as an elegant, beautiful result of creative activity. During this time, those who had studied in Japan returned to their native country, and phraseology such as 'Oriental painting' and 'Western painting' was adopted as well. Western painters as well as traditional Korean painters both realized their identity as a specialist and professional, however traditional painters were strongly opposed to the concept of 'art' because of their ethnic pride and a will to protect what is ours. This thesis examined the acceptance of art as a concept, along with the appearance and aftereffect of Western art genres or institutions such as exhibitions, photography, art distribution channels, and educational art facilities. Above all, the advent of a 'writing and painting institute' is remarkable because it gave women - previously antagonized by the art world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strong Confucian values - an opportunity to be educated in the matters of writing and painting, resulting in a fresh tide of new female painters.

      •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관계대명사 분석: : Who, Which, What을 중심으로

        손영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n Analysis of English Relative Pronoun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Focusing on Who, Which, and What Young-ok Son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Yang-soo J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ve pronoun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identify their specific feature for these pronoun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glish relative pronouns who, which, and what were examined, and then the frequency and the usage of these relative pronouns in current middle school textbook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three middle school textbooks generally shows that which and what have a similar frequency,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as who. Furthermore, the repetition of exercises focusing on learning about which and what also is higher than those about who. However each middle school textbook has slight differences. For example, textbook A has the highest frequency and repetition of learning exercises of the three textbooks. Textbook B and C have less frequency and repetition of learning exercises than textbook A and show focused frequency in specific lessons. This can cause different learning effects for students. Second, the usage of each pronoun was classified according to its function. It is found that which and what had a wider variety of grammatical functions than who. As a result, students using these books are exposed to fewer sentence types when considering the pronouns' specific functions. Third, the three middle school textbooks examined provide students with more opportunities for reading and writing; therefore, students have more chance to read or write than speak and listen using these books. From this, we can infer that the textbook authors believe that reading and writing are more important than listening and speaking in the application of relative pronouns.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discovered that current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need to provide a more diversified range of sentences containing the relative pronouns which and what, and relative pronouns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for reading and writing. In addition, this study introduces some guidelines for English teachers to help them teach relative pronouns to students effectively. Finally,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extbooks and help students understand relative pronouns. In addition to simple informing students of the rules regarding relative pronouns,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stimulating tasks in order for students to internalize knowledge of the rules. 1. 서론 언어는 자신과 상대방의 생각과 의견을 전달하고 받아들이는 가장 좋은 수단이다. 국제공용어로서 우리가 영어를 학습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영어로 의사소통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EFL환경에서의 학습자들은 영어학습을 의사소통으로 이어지게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EFL) 환경에서의 학습자들에게 목표언어의 이해와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문법을 통한 정확한 언어사용을 바탕으로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Stockwell(1981)은 누구나 문법을 이용하여 수많은 무한이 많은 문장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하였고, 이 중 대표적 문법으로 관계대명사를 꼽았다. 관계대명사는 학습자들에게 더욱 언어를 경제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고 유창하고, 풍부한 어휘 표현력을 나타낼 수 있게 도와주며 관계대명사를 활용한 문장은 실제 일상 대화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표현을 다양하게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학습자들은 관계대명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생성할 경우 우리말 구조에는 찾을 수 없는 관계대명사의 문법이해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이유로 첫째 수식받는 선행사와 관련된 관계절의 위치가 영어에서는 관계절이 선행사를 따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관계절이 선행사 앞에 위치한다. 둘째 영어에서는 선행사에 따라 선행사 뒤에 일정한 기준과 조건을 가진 여러 종류의 관계사들이 존재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관계사가 존재하지 않고, 셋째 영어에서 관계대명사는 내포된 문장에서 동일한 명사구를 대신하여 사용하고 명사구는 생략되지만 우리나라 학습자들은 동일한 명사구를 생략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기 쉽기 때문에 관계대명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생성할 경우 오류를 범하기 쉽다(박성윤, 2017). 따라서 우리나라 학습자들이 좀 더 쉽게 관계대명사를 활용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문법을 통한 정확한 언어 사용을 바탕으로 영어의 4가지 기능(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에서 학습자들의 목표언어 형식을 충분히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아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중, 고등학교 학습자들은 영어교과서를 통하여 관계대명사를 중학교 2학년 때 처음 학습하고, 그 이후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에 이어서 관계대명사는 꾸준히 학습하게 된다. 중학교 2, 3학년에 걸쳐 주격 관계대명사 who를 시작으로 whom, whose, which, that, what 등을 교과서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관계대명사들이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나라 영어교과서는 새로운 문법 관계대명사를 학습하게 되는 첫 단계에서 학습자들에게 정확한 언어사용을 하게 하기 위해 학습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관계대명사와 관련된 문법이 의사소통을 위하여 어떠한 영역에서 얼마나 다양하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유정순(2008)은 고등학교 1학년 96명을 대상으로 관계대명사의 이해도를 설문으로 분석하였는데 이들 중 who는 교과서에 분포현황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고 오류율도 가장 낮아 관계대명사 중 이해도가 가장 높음을 나타내고, whose 와 whom은 교과서의 분포현황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 학습자들의 이해도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which, what, that은 who와 비교하여 낮은 분포현황을 보이고 있었으나 학습자들의 오류율은 비슷함을 알아냈다. 이로써 우리는 who는 교과서에서 주로 자주 빈출되어 학습자들에게 언어에 노출될 기회를 늘렸고 그의 활용에도 높은 성과를 보임을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whose 와 whom 은 매우 낮은 빈도수로 오류율이 높은 것을 볼 때 노출 기회를 늘린다면 그의 활용 역시 높은 성과를 보일 것으로 판단가능하다. 그리고 관계대명사 that은 사용 용법별 조건이 비교적 단순하고, 유연하여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선행사 앞에 the only, the very나 형용사의 최상급이 올 때, something, anything 등 선행사 앞에 부정대명사가 올 때 등 예외적인 구체적 문법사항의 숙지가 미숙하다는 점으로 오류율을 설명할 수 있다. 그렇지만, which와 what은 교과서에서의 분포 현황과 학습자의 오류율에서 명확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그 이유가 무엇인지 관계대명사를 처음 학습하게 되는 중학교 2, 3학년 단계에서 교과서 분석을 문장빈도수 이외에 단원별 학습 반복 횟수, 용법별 세분화된 문장구조의 문장수 분포, 4가지 기능별(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문장빈도수와 함께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해야 하는 필요성을 보여준다. 이에 본 논문은 2009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현 중학교 2, 3학년의 교과서 3종을 가지고 who, which, what의 문장빈도수, 단원별 학습 반복 횟수와 용법별 세분화된 문장구조의 문장수 분포도를 알아보고, 4가지 기능별(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문장수 분포를 분석하여 who, which, what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사회적 소통을 위한 비판적·성찰적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한강의 『소년이 온다』를 중심으로

        손영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삶과 분리된 관념적인 글쓰기에서 탈피하여 자신의 자리를 돌아보고, 사회 주변부에서 들려오는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이를 토대로 자신과 사회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해 가는 ‘사회적 소통을 위한 비판적·성찰적 글쓰기 활동’을 제안하고자 함이다. 현재 고등학교 수업은 지나치게 입시 위주로 치우쳐 있어 학습자들이 과중한 경쟁으로 내몰리고 있다. 때문에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공동체 의식을 가진 세계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이라는 목표를 실제 수업에서 실현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학습자가 이 수업에 참여함으로 자아를 인식하고, 타자와 자아의 올바른 관계를 정립하여, 공동체 구성원으로 상호 소통할 수 있는 핵심역량을 향상 할 수 있는 수업 설계를 하고자 하였다. 그 실천적 방법으로 한강의『소년이 온다』를 중심으로 5·18광주민주화 운동 이후 아직도 고통 속에서 아파하는 공동체의 소리를 듣고자 하였다. 이 수업을 통해 왜곡된 역사의 진실은 그 허상을 밝히지 않으면 또 다른 폭력으로 반복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정의로운 공동체로 나아가기 위해 학습자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성찰하고자 하였다. 4차시에 걸친 수업으로 학습의 바탕이 되는 배경지식, 문학 작품을 비판적으로 읽기, 토론을 통하여 자신의 관점을 점검, 다양한 장르로 문학 작품의 배경이 되는 시대적 상황을 이해, 앎을 실천하기 위한 활동으로 글쓰기 등을 다루었다. 또한 앞에서 제시한 수업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한 교과영역에서 다루기는 학문적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등학교 도덕 교과 중 생활과 윤리 ‘사회 정의와 윤리’, ‘국가와 시민 윤리’, ‘갈등 해결과 소통의 윤리’를 국어 교과영역과 통합하여 수업설계를 하였다. 아쉬움은 코로나로 인하여 실제 수업을 하지 못한 점이다. 하지만 짧은 학습자들과의 만남이었지만 그들의 글을 통하여, 교육 현장이 기회를 주기만 한다면, 우리 사회의 다양한 갈등을 통합하고 소통의 담론으로 나아가게 할 충분한 에너지를 발견하였다. 때문에 학습자들의 인지를 확장하고 실천적 삶을 살아갈 동기를 제공할 수 있는 글쓰기 교육연구가 더 많이 필요하다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critical and reflective writing activity for social communication' that breaks away from ideological writing separated from real life, looks back on one's place, listens to the voices of the field heard from the periphery of society, and reestablish relationships between oneself and society. Currently, high school classes are overly biased toward entrance exams, and learners are being driven by intense competition.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goal of “people who live together as a global citizen with a sense of community and practice caring and sharing” pursued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Starting with such problem awareness, this study is to design a class that enables learners to recognize themselves by participating in this class, the cor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and the self, and improve their core competencies for mutual communication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As a practical method, the class is to hear the voice of the community still suffering from pain after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centering on the Han Kang's 『Human Acts』. Recognizing that the truth of the distorted history will be repeated as yet another violence if the illusion is not revealed, the class is to reflect on what the learner should do to advance to a just community. The class involves through four lessons the background knowledge that is the basis of learning, critical reading of literary works, examining one's point of view through discussions,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y situation that is the background of literary works in various genres, and writing as activities to practice knowledge. There was an academic limitation in dealing with one subject area in order to achieve the previously suggested instructional objectives. As a way to supplement this, the class is designed to integrate “social justice and ethics,”, “state and citizen ethics,” and “conflict resolu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among the high school moral subjects with the Korean language subject area. The disappointment is that I couldn't have a actual class due to COVID-19. However, although it was a short meeting with learners, through their writings, I found there is enough energy to integrate the various conflicts in our society and lead them to the discourse of communication if the educational field gives them an opportunity. For this reason, the task is that there is a need for more research on writing education that can expand learners' cognition and provide motivation to live a practical life. (Keyword) critical and reflective writing, Expressionism, integration of curriculum, 5·18 Democratic Movement, social communication, Community, Debate.

      • 도시지역 빈집 활성화정책의 우선순위와 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도시저역을 중심으로

        손영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 특례법」과 이 법에 의해 위임된 조례가 입법되었다. 위임 입법된 조례가 도시지역의 빈집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는데 제도적으로 문제점이 많다는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한다. 빈집의 발생은 농어촌지역에 한정되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부산, 광주, 대전 등 광역시급 대도시지역에서 빈집 증가율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도시지역의 빈집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방향이나 추진체계는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고, 단지 도시재생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향의 빈집정책은 도시지역의 빈집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부족하다. 한국의 지방자치단체는 상위법에서 위임된 빈집관련 조례를 제정하였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는 정책을 실행하기 위한 정책방향조차 설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빈집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자치단체의 빈집정책 및 추진체계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현실적인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본 자치단체의 빈집정책과 추진체계를 분석하여 한국과 일본의 빈집정책에 대한 차이점과 유사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일본 도시지역의 사례를 통해서 관련 단체별, 관계자별 역할을 분석하여 한국에서 빈집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정책영역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제시된 정책영역에 대하여 한국 도시지역에 적합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책 우선순위를 제시한다. 일본은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인구구조의 변화, 주택에 대한 인식 및 보유 환경 등도 유사하게 진행되었다. 일본은 한국보다 먼저 저출생과 고령화, 대도시의 팽창과 구도심의 공동화, 지방도시의 소멸 등을 걱정할 정도로 인구감소와 쇠퇴로 인해 수많은 빈집이 발생하였다. 한국 도시지역의 규모와 특성을 고려하여 일본의 사례지역을 대도시와 중소도시를 구분하였으며, 조사대상으로 요코하마, 치가사키시, 세타가야구를 선정하여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본 지방정부 내에서 부서 간 연대와 더불어 지역사회와 연대하여 빈집문제를 해결한다는 일관된 방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본의 빈집정책사례를 통하여 도출된 각 정책영역에 대하여 한국 도시지역의 빈집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조사를 실시하여 정책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한국의 빈집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빈집정책에 대한 기본 정책방향인 ‘예방’, ‘해소’, ‘활용’을 토대로 「빈집대책 추진을 위한 정책 개발 연구」를 위한 정책영역을 ‘빈집화의 예방’, ‘관리부실 상태의 빈집관리’, ‘빈집활용 촉진’으로 구분하였다. 제1차 델파이조사에서는 각 정책영역에 대한 자유로운 의견을 개방형 질문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본의 빈집정책은 직·간접적인 경제지원이 활발(철거·리모델링 비용 지원 및 대출)한 것에 반해, 한국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제1차 델파이조사에서는 구체적인 경제지원 정책에 대한 언급이 적고 단지 큰 틀에서 지원이 필요하다는 언급되었다. 따라서 이를 종합할 수 있는 ‘신제도 도입’을 최종항목에 추가하였다. 정책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해 AHP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세 개의 정책영역 중에서 ‘관리부실 상태의 빈집관리’에 대한 세부정책들이 대부분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가들이 현재 방치되고 있는 빈집을 관리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생각하고 있으며, 예방과 활용에 대해서는 아직 중요도를 크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체 세부정책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빈집화 예방’ 영역의 ‘사회·문화적 인프라 구축’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관리부실 상태의 빈집관리’ 영역의 ‘빈집 실태조사’, ‘빈집활용 촉진’의 ‘빈집 통합정보시스템 제공’ 등의 순이었다. 도시지역의 빈집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세 가지 정책영역인 ‘빈집화의 예방’, ‘관리부실 상태의 빈집관리’, ‘빈집활용 촉진’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관리부실 상태의 빈집관리를 위해 빈집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소유자에 대한 빈집관리 의사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빈집 실태조사 및 그 현황을 구축하는 단계에서 지역주민과 시민단체로 구성된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현재 빈집의 재개발과 재건축을 위한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빈집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어 빈집활용을 위한 정책이 소외되고 있으므로, 빈집을 독자적으로 문제로 인식하고 제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일본과 같이 한국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그 결과 상속으로 인한 빈집의 발생이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도시지역의 주거환경은 아파트가 전체 주택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향후 도시지역에서 빈집문제는 공통주택을 중심으로 대단위로 군집하여 발생할 것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도시지역의 빈집정책의 활성화를 위해 최우선적으로 ‘빈집’에 대한 정확하고 구체적인 정의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정책의 대상이 명확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도시지역의 빈집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 가지 정책영역인 ‘빈집화의 예방’, ‘관리부실 상태의 빈집관리’, ‘빈집활용 촉진’을 도출한 점, 각 정책영역에 대하여 세부정책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한 점, 이해관계자별 세부정책의 중요도를 비교하여 집단 간 정책 우선순위의 차이점을 도출한 점, 이에 따라 향후 빈집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민관협력을 통한 정책적 함의가 빈집정책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열쇠로 작용한다는 점 등을 밝힘으로써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빈집대책 추진을 위한 정책의 실행 과정 및 결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실증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시계열 자료의 구축, 빈집에 대한 실태조사, 정확한 통계자료 구축 등이 절실히 요구된다. 주제어: 빈집, 도시지역, 정책 우선순위, 델파이조사, 계층화분석과정(AHP) This study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UNOCCUPIED HOUSE OR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and its ordinances. It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ere are many institutional problems in implementing policies to cope with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n urban areas. Metropolitan cities such as Busan, Gwangju, and Daejeon are leading the growth rate of empty houses. However, no policy direction or promotion system has been established to solve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n urban areas.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n urban areas is being used as a means to carry out urban regeneration. However, relevant policy is insufficient to solve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n urban areas.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enacted ordinances related to empty houses delegated by higher law. However, local governments have not set the policy direction for implementing the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analyze the empty house problem and the policies and promotion system of empty hous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d to draw up implications and to suggest policy measure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policy and promotion system of empty houses in Japanese municipalities were analyzed. This study therefore set ou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empty house policies in Korea and Japan. Second, through the case of urban areas in Japan, the role of each group and related parties was analyzed to derive a policy area to promote the empty house policy in Korea. Third, based on this, to present the policy plan suitable for Korea's urban area, the priority of policies was proposed by surveying a group of experts. Japan is geographically close to Korea, and changes in demographic structure, housing perceptions, and environment have proceeded in a similar way. In Japan, empty houses came about due to a decrease in population resulting from low fertility and aging, expansion of large cities, common urbanization, and the disappearance of local cities. The case of Japan suggests a coherent direction to solve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n solidarity with the local community as well as solidarity between departments within the local governme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erive empty house policy priorities through an expert survey on the policy areas derived from the case of empty house policy in Japan, and present it as an alternative. Based on the basic policy directions of ‘preventing’, ‘dissolving’, and ‘utilizing’ the basic policy of Japan's empty home policy, the first Delphi survey on development of policies for the promotion of empty house measures was subdivid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pen questions were asked about three policy areas: prevention of empty house occurrence, management of poorly managed empty houses, and promotion of empty house utilization. While Japan's vacancy policy is active in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support (demolition / remodeling cost support / loan schemes), the first open Delphi survey did not mention this. Unlike in Japan, there are few references to specific support policies (cost support / loans), and it seems that only the need for support is needed in a large framework. Therefore, we derive a ‘new system also introduces’ general it can be the final entries on the basis of these responses. AHP analysis results showed the policy on ‘management of poorly managed empty houses’ was high priority. Priorities were clearly distinguished in policy areas and detailed policies among expert groups on prevention, use, and management. It is the first priority for experts to manage the empty houses that are currently being neglected, and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and utilization does not seem to be recognized ye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n urban areas is still in its infancy. This result is a very important part in recognizing the problem of empty houses, and it is necessary to first clarify the definition of an empty house. The ne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an empty house is clearly shown in the importance of inter-professional group policy areas. AHP analysis results additionally showed that the overall priority was the first for social and cultural infrastructure construction for prevention of empty house clustering by policy area, the second priority was survey on the status of poorly managed empty houses, and the third priority was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promoting the utilization of empty houses.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s that the areas of prevention of empty house occurrence, management of poorly managed empty houses, and promotion of utilization are all important.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or prevention of vacancy, management of vacancy in poor management, and promotion of empty house utilization. First, it is important to confirm the management intention of the active owner through fact-finding for the management of poorly managed empty houses. Second,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council of local residents and civic groups at the stage of surveying the current status of empty houses. Third, as a simple system for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of vacant houses, the policy to utilize vacant houses should be set aside. South Korea is also expected to enter an aging society like Japan. As a result, it is predicted that empty houses resulting from inheritance will occur. In the urban environment, apartments occupy more than 60% of all homes, so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n urban areas is likely to be caused by large groups of multiple-unit dwelling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empty house' as a task that must be solved as the top priority for the activation of empty house policy in urban areas. The definition of the 'empty house' may clarify the subject of the policy. This study derived policy areas such as prevention of empty house occurrence, management of poorly managed empty houses, and promotion of empty house utilization. to solve the problem of empty houses in urban areas. Furthermore, the priority of detailed policies in the policy area was derived, and policy priority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derived through between-group comparisons in detailed policy areas.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research by revealing that the policy implications through public-private cooperation act as an important key in activating the empty house policy in the promotion future empty house policy. For future research, detailed policies on the policies derived through this study should be selected. In order to carry out empirical research and case studies on these policies, it is crucial for a comprehensive survey of empty houses to be carried out, accurate statistics to be established, and time series data to be constructed.

      •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손영옥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공보육이 활성화되고 영유아 보육의 질이 강조되고 있는 보육의 현장에서 교사 역할과 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교사의 역할과 보육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 만족과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을 높여 영유아 보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의 차이는 어떠한가? 2.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3.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4.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총 310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권정해와 김판희(2014)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Jorde-Bloom (1989)의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측정도구(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ECJSS)를 송유진(1993)이 번안하고 장미정(2011)이 재구성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Scheffe 사후검증을 하였다. 또한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의 차이를 살펴보면 근무유형, 결혼 여부, 자녀 여부에 의해 원장의 감성리더십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연령과 경력 기간에 따른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차이를 살펴보면 동료와의 관계, 원장과의 관계, 직무자체, 보수·승진에 따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 요소 중 동료와의 관계, 원장과의 관계, 직무자체는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 하위요인들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보수·승진은 낮은 수준의 부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동료와의 관계, 원장과의 관계, 직무자체는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사회적 인식능력과 관계 관리능력은 동료와의 관계, 원장과의 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인식능력은 직무자체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을 높이는데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밑거름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한국 근대 미술시장 형성사 연구

        손영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개항기에서 일제 식민지 시기에 이르는 약 70년 동안 한국에서 근대적 성격의 미술시장이 어떻게 생성·발전해 왔는지를 시장의 세 주체인 수요자, 생산자(공급자), 중개자 간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박사학위 논문으로는 한국 근대미술시장사를 다루는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어느 한 시기를 풍미한 특정 작가군 혹은 장르의 출현과 그것의 퇴조는 그들의 작품이 거래됐던 미술시장 환경을 함께 고찰해야 제대로 이해가 가능하다. 어떤 작가도 경제사회적 맥락에서 벗어나 독자적으로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미술품이 중개자의 매개를 거쳐 수요자에게 유통되는 미술시장에 대한 연구는 미술사를 이해하는 도구가 될 뿐 아니라 그 자체로도 독자적인 학문 영역이다. 본 논문은 시장의 세 주체인 수요자, 생산자, 중개자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매 시기별로 새롭게 대두한 미술 수요자(수집가)에 대응해 생산자(화가)와 중개자(화상)가 어떤 제도적 창안과 혁신을 하며 시장을 발전시켜 왔는지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당대의 미술시장을 고미술품 시장과 동시대미술 시장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에서 1차 시장(화랑)과 2차 시장(경매)의 제도적 진전 여부를 추적한다. 또 새로운 수요자의 등장이 중개자, 생산자 간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 특정 미술 장르의 부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도 주요하게 살펴본다. 고미술품 시장에서는 개항기 서양인 수요에 부응해 처음 거래되기 시작한 고려자기가 을사조약 이후 일제 식민지 지배를 거치며 최고가의 예술품으로 자리 잡는 과정을 주요하게 다루었다. 또한 조선시대 백자, 조선시대 서화 등 미술품 장르 간 상품 가치의 위계구조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도 추적한다. 이 과정에서 일본인 통치층, 이왕가박물관 등 수요자가 끼친 영향, 고려자기 시장을 선점한 일본인 골동상의 시장 장악, 한국인 수집가 및 중개상의 뒤늦은 등장과 한계 등을 고찰한다. 동시대 미술시장에서는 ‘수출화’ ‘기명절지화’ 등 특정 장르의 부침과 유행의 배경을 시장 주체 간의 영향 관계를 통해 살피는 한편, 개항 초기 지전(紙廛), 서화포(書畵鋪) 같은 화랑의 맹아 형태가 출현하여 1930년대 본격적인 화랑인 백화점 갤러리가 들어서기까지의 유통 제도의 발전 과정을 추적한다. 미술시장 환경에 접근했던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회고록에 의존했던 것과 달리, 본 논문은 당시 산출된 통계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미술시장을 보다 실체에 가깝게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일제 시기 미술시장의 최대 사건은 무덤 속 기물에 불과했던 고려청자가 최고의 예술품으로, 구한말까지 가장 애호되던 조선시대 고서화가 가장 가격이 싼 하위 장르로 저평가된 아이러니에 있을 것이다. 이는 지금까지 일제의 제국주의적 기획 의도의 결과로만 설명되어 왔다. 하지만 그런 미술정치의 관철은 근대미술시장의 형성과 더불어 시장의 수급 논리와 가격 메커니즘이 강력하게 작동하지 않았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란 점을 본 논문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근대 미술시장, 고려자기, 미술 수요자, 화랑, 수출화, 경성미술구락부 학 번: 2011-3037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