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도바울에 대한 현대 철학자들의 이해 : 데리다, 바디우, 아감벤을 중심으로

        소진 감리교신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은 철학자인 데리다, 바디우, 아감벤의 사도바울의 연구를 믿음, 소망, 사랑으로 대입 시도한 연구이다. 본 논문의 전제는 한국 사회 내에 기독교의 한계성이 드러나고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음이다. 필자는 교회의 한계성과 문제점을 기독교 신학이 아닌 철학자의 생각에서 대안을 찾고자 한다. 데리다는 정의를 통하여 사랑을 이야기하고, 바디우는 사건을 통해 보편적 개별성이 가능한 믿음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아감벤은 자신의 연구를 통하여 남겨진 자들이 가진 남겨진 시간이라는 희망을 말한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교회가 사회와 조금 더 가까이 접근하는 새로운 대안적 모색이 되길 기대하며 연구하였다.

      • 초등학교 방과후 영어교육의 인식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소진 부산외국어대학교 TESOL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영어는 국제간 교류의 매개수단뿐만이 아닌 세계 공용어로서의 위치를 더욱더 확고히 하게 되어 영어교육에 관한 관심과 중요성은 더욱 더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사교육에 영어교육이 편중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영어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과후 영어수업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게 되었다. 정부와 교육청은 방과후 영어수업을 확대하기에 이르렀으나 효율성에 대한 점검이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현행 방과후 영어수업의 실태를 알아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대안을 제시함을 본 연구는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루어질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방과후 학교 운영 현황은 어떠한가? 2. 방과후 학교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 방과후 학교 영어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2) 방과후 학교 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님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3) 방과후 학교 영어교육에 대한 선생님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3. 학생, 학부모, 방과후 학교 영어강사는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 영어교육활동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한다고 보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사연구는 울산광역시 소재 A,B,C 세 학교를 중심으로 방과후 영어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생(1학년∼6학년)과 그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방과후 강사와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인터뷰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점을 찾아보았다. 설문의 결과는 백분율로 비율을 나타내어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문제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방과후 학교 운영 현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의 61.8%가 방과후 학교 수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영어교육은 학교 급 별 모두 방과후 학교 교육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현 정규 영어 교육과정의 시수가 늘어남에 따라 더욱더 영어교육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방과후 학교 영어교육수업이 늘어날 전망을 보인다. 두 번째, 방과후 학교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학생의 인식을 조사해 본 결과 초등학교의 방과후 영어수업을 참여하기 전 60%이상이 조기영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 방과후 영어수업을 받으면서도 사교육기관의 수업(49.6%)을 같이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과후 영어수업에 참여하는 이유는 학생의사보다는 학부모의 의사가 많이 반영되고 있어 학부모의 의사에 따라 방과후 영어수업의 참여도가 결정됨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리고 방과후 영어수업에서 가장 재미있는 활동으로는 게임이나 노래 등의 활동 위주의 수업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영어수업의 수준에 관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학생과 영어수업의 수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보이고 있어, 수준이 맞지 않은 채로 수업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방과후 영어 수업의 시스템이 학년별로 수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업의 수준에 문제점을 낳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학부모 인식 결과이다. 학부모는 방과후 학교 영어수업에 자녀를 참여시키는 이유가 순수하게 교육의 목적보다는 시간 채우기, 보육의 기능, 저렴한 교육비에 목적이 맞춰져 있음이 분석 결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방과후 영어수업을 그만 두는 이유로 수준 별 수업이 아니어서, 학급당 많은 학생 수, 교육시설 환경개선 필요, 다양한 영어수업 필요의 의견을 내었다. 그리고 사교육기관의 수업과 선생님들을 방과후 영어선생님에 비해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교사의 설문과 인터뷰 결과이다. 방과후 영어수업의 문제점으로 체계적이지 못한 방과후 수업시간 운영, 방과후 영어수업은 저렴한 수업료에 비례하는 수업일 것이라는 학부모와 학생의 인식, 다양한 수업을 위한 기자재 필요, 학생간의 수준 차, 방과후 영어수업과 정규 수업시간의 짧은 시차로 인한 결석·지각, 학급당 많은 학생 수, 선생님 가르침의 높·낮이의 의견을 내었다. 위의 학생, 학부모, 교사의 설문 결과를 통해 결론 및 제언을 해 본다. 첫째, 수업료를 소극적으로 좀 더 높여 기자재를 갖춘 어학실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연극, 챈트, 동화책 읽기 등)하고 수준별 반 편성을 한다면 부정적 인식이 점차 개선되어 단지 사설학원의 중간단계, 시간 채우기의 수업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내실 있는 공교육의 영어수업으로 인식이 전환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정규수업시간과 방과후 영어수업시간의 짧은 시차로 효율적인 방과후 수업의 운영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기에 방과후 학교의 운영방식을 개선해야 한다. 정기적으로 학교에서 방과후 관련 수업에 대한 회의를 열어 강사도 적극 참여하게 하여 학교의 방과후 운영에 관한 시스템을 인식하게 하여 학교 또한 방과후 영어수업이 어떻게 진행이 되며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서로 파악하여 협력한다면 더욱 나은 방과후 영어수업의 효율적인 진행과 운영이 이루어질 것이다. 셋째, 방과후 영어 선생님들과의 서로 활발한 정보 교류를 통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체 English is an international and universal language. As English education interest and importance further increases, the need for substantial education grows. The background for some students in tutoring English leads to biased testing results. The 'after-school English program', which has been suggested for reducing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is a governmental policy that aims to narrow the gap of education, that results from people’s income and area, by provid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after regular education classes. The operation of after-school English programs can be activated when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all agree on it’s implementation. This study‘s purpose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problems in after-school English programs by surveying students' perception of after-school English programs. I surveyed students first grade through sixth grade and their parents, and analyzed the causes of the problems identified through the questionnaire. I also interviewed teachers at three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Ulsan and then proposed solutions for the problems, and made plans to activate them in an after-school program. To achieve the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s : 1. What is the operational status after school? 2. What is the perception of After-school English education? 1) What is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After-school English education program? 2) What is the parent’s perception of the After-school English education program? 3) What are the After-school English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3. How can they, the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solve these problems? Thus,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in this study: To answer the first question of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program, my research found that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 in the after-school program, 61.8%. The after school English program is usually the dominating after school program at schools. Second, the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s and abilities into account and to improve the effects of their learning, smaller classes and one on one attention is a must. Unfortunately, due to limited time and the operational aspect that is influenced by the number of students, such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s in each school are faced with some barriers. Many students’ decisions are dictated by their parents, so often students enroll in after school classes not because of their own interest, but because of their parents, so their motivation is lacking. Third, there is the parents' perceptions of after-school English programs. Often times, parents see the elementary school offered classes as a stepping stone to a private institute. Sometimes they view the elementary after school programs as something to fill the time after school, inexpensive childcare or a way to kill time between the end of school and academy lessons. For my fourth question, I examined the interviews with teachers. They expressed the problems they’ve experienced with after school classes. They find frustrations in different start times for classes, insufficient material with which to teach, and any students per classes. On a regular basis, students arrive late and there are many student absences, and short times between normal classes and after-school English classes result in students leaving early in the middle of each class. As for measures to improve such problems, I suggest the following ideas. To deal with the different levels of students, it might be a good alternative to open English classes with other neighboring schools and to extend the time of classes by adopting open school systems, which will prove effective for teachers to consider students' levels and to take appropriate approaches by building diversified teaching plans. Second, the English labs could be improved with support of the government or increasing educational expenses in small ways. In addition, it would be beneficial to play various games, programs, do other activities which are practical aids for students, and an inexpensive way to expand lessons. Third, cooperative interaction between after-school teachers is necessary and can be executed through weekly meetings. if the teachers meet, they can discuss and brainstorm. Together they can develop an organized system for the after-school timetable and operations Fourth, frequent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parent is imperative. If this happens, teachers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lessons to what both the students and parents want. It can change both the parents and students opinions of after school English classes from something negative to something positive. After all, if we do not know of the problems in our classes, we can’t improve them.

      • IDS간 효율적인 정보공유를 위한 수평적 상호연동 기법

        소진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 목적은 최근의 네트워크 침입기술을 분석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고, 로그분석 기술의 연구를 통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성에 대한 방안을 수립함을 도움을 주고, 현재 침입탐지시스템의 구조를 계층적인 구조에서 수평적인 구조로 개선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한 내용으로는 침입탐지 시스템 개요부터 비정상행위 탐지 기법 연구 및 네트워크 침입탐지 전파 프로토타입 설계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또한, 공유할 정보 분석으로는 침입탐지 시스템 관련 연구를 기반으로 기존 문제점들을 분석하였으며, 시스템 로그 분석기술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특히, 시스템 로그분석 부분에서는 내부에 생성되는 로그파일, 사용자 보안에 관련된 로그를 중점적으로 정리하였다. 구현 단계로는 침입탐지시스템간 연동프로토콜 프로토타입을 연구, 시스템들간의 정보 공유전파 방안에 관한 프로토타입를 설계 구현하였다. 제안한 프로토타입에 대해서 시험평가 기준을 설정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와 제안된 수평적 상호연동 구조를 평가 기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기존의 침입탐지 시스템의 계층적인 구조로 인한 침입탐지 정보의 공유 부족 문제를 수평적인 네트워크 구조로 이행할 수 있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양한 네트워크 공격에 대한 분석 정보를 바탕으로 추후 효율적인 해킹기법의 분석과 대응기법의 개발에 있어 침입탐지 및 교육적인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존 침입탐지체계의 단점을 극복하여 침입탐지시스템을 운영함에 있어 보다 효과적이며, 네트워크 해킹행위가 발생할 시에 보다 능동적인 대처를 함으로써 내부 시스템 및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true that there are a lot of information outflows and is getting more various outflow channels when it becomes an information society. In the progress of information society, the whole world is connected by internet and the dependency of information system has been deepening. Therefore, intrusion incident frequency is getting higher and the main attack object of intrusion is unspecified information system rather than specified information system. A technique is needed that detects intrusions on the important system and responds with it quickly. However, it is not easy to correspond appropriately under the communication method of current intrusion detection systems. So, new intrusion corresponding technique is needed, and for that reason, this study would like to show a communication method of intrusion detection system which is to inform the whole network when attacks occur. And the damages of information assets will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through this method. When you apply this method to the network, it is possible to search file effectively using P2P and you can relocate node and sharing resources to adapt to distributed environment using this resource sharing function. Intrusion detection system network that applied this method is maintained by communicating pre-defined messages (intrusion detection pattern, rules, blocking addresses and so on) and offers expansion abilities and conveniences that P2P network has. And it is clear for network environment organized by this technique is more flexible and simple compared to current hierarchical structure. This P2P application could be used on the internet environment in any area or on the intranet environment applied to special isolated circumstance. As the result, intrusion detection systems which operate on the base of current network topology would communicate directly and security information among systems would be propagated and offered with ease regardless of topology change. It would be expected that those would improve current hierarchical IDS network environment effectively and against attacks. This paper suggests a information sharing scheme which is able to change information between Information Security Systems (ISS) with/without changing network topology of IS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ommunicate directly between adjacent ISS in current hierarchical topology network, we suggest a direct information sharing method using P2P technique based on JXTA. The advantage of this system can make direct communication among ISS without change of hierarchical network topology.

      •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친화적 주거환경 개선방안 연구 : 부천시 오정구 까치울 전원마을을 대상으로

        소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Today’s society is undergoing ambivalent changes the improvement of a the standard of living and the rapid aging phenomenon as well as the increase in modern diseases involved in economic growth, whose alterations have increased the needs of well-being and the interest in health. In addition, as the conception of health has been extended from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 to holistic health,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health has come to the fore, and now, health in urban planning became one of the main goals. The core of the urban environmental planning for this health is the creation of the activity-friendly environment. As the cause to intimidate the health of modern people like obesity, chronic disease is pointed to the lack of physical activity, it is required to make the built environment that can sustain active living in daily life. The suburban housing complex is the representative area that the desire for health and well-being are reflected, currently, the approach to health-based environmental design is needed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the demand. Thu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activity affinity of suburban housing complex and to suggest the applicable way of physical space planning. For this, in this study are set up the applicable design indicators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by establishing the definition of it and accordingly, is gone through the process to establish the design strategy i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via the site evaluation, the resident depths interview, a survey. The physical environment that has to be reviewed for the activity-friendly neighborhood consists of a variety of constituents such as the land use mix, hygienic environment, safe environment, green and healthy transportation environment, walking environment, environment of exercis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The Kkachiwool Suburban Village, the site, examined by being based on those components was analyzed as a fact that a sedentary lifestyle has been induced, unlike the desire for the health of the residents. The single land use for the sake of residence has made the residents select their own cars as the main means of transportation by holding them against access to amenity, public facilities and car-centric road environment has hindered the ambulatory. Furthermore, it was pointed some problems to be vulnerable to crime owing to a detached house, the lack of various physical activities due to standardized sports facilities, the shortage of common use space for social interaction. The activity-friendly design for Kkachiwool Suburban set to create environment integrated with daily life as a vision so as to induce the residents to live by active living and the goals and strategies for improvement plan by this are in the following. The first goal is the securing of everydayness. It is to establish the close plan with daily life in order that the residents can do vigorous physical activities in everyday life. As a strategy for this, in this study found the sectoral plan of the site, for instance the improvement of walking-friendly street with attractiveness and pedestrian-oriented feature, the creation of green and healthy transportation to encourage the use of bicycle, the improvement of exercise environment that diverse and sustainable physical activities are available,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safe from crime and traffic accident, community environmental improvement via the utilization of unused land and the securing of common use space. The second purpose is the restoration of subjecthood. This is to recognize active living and the importance of the village environment for this and establish the residents as a subject by expanding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space improvement. For this, the subject consisting of public agencies, residents, private organizations is created and the plan according to the subject are established by classifying the improv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ach subject’s role as government-initiated type, participatory type, cooperative type. The third aim is the securing of sustainability. This is to furnish opportunities for physical activity sustainedly via the long-term process including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as well as formation of the space, which suggests the phasing plan composed of four phases, awareness – establishment of basis – space improvement(reformation) – maintenance and management. Also, the plan is set up in order to make the role of the residents altered proactively along with the progress of each step, considering practicability such as an investment and participation of the subject. There is a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attempts to frame a specific scheme of space plan associated with health and active living, and the notion of activity-friendly environment with a focus on western society is applied to the domestic site in this study, furthermore, it proposes the applicable design method in developing and improving of suburban housing complex that the increase in demand is anticipated by framing the site as a suburban housing complex. On the other hand, there remains a limitation and issue such that it doesn’t accommodate comprehensive approach including society-economic and public service aspects and whether the input of public goods is reasonable in aspect of the equity of welfare because the site in this study is the area to afford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se issues, this study clarifies that the site has been selected as a model for examining the applicability of active design in Korea. 오늘날의 사회는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과 급속한 고령화 현상, 현대질환의 증가라는 양면적인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삶의 질의 욕구와 건강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켰다. 이와 함께 건강의 개념이 질병의 부재에서 총체적 건강으로 확장됨에 따라 환경적 건강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이제 도시계획에서 건강은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건강을 위한 도시환경 계획의 핵심은 활동친화적 환경의 조성이다. 비만, 만성질환 등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원인이 신체활동의 부족으로 지목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활동적인 생활을 지속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의 조성이 요구되고 있다. 전원주택단지는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대표적으로 반영되는 지역으로 현재 그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 기반의 환경설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원주택단지의 활동친화성을 검토하고 적용가능한 물리적 공간계획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활동친화적 주거환경의 개념을 정립하여 주거환경 개선에 적용할 계획지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대상지 평가, 주민 심층면접,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개선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을 거쳤다. 활동친화적 주거환경을 위해 검토되어야할 물리적 환경은 복합적 토지이용, 위생환경, 안전환경, 녹색건강기반교통 환경, 보행환경, 운동환경, 주거환경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바탕으로 살펴본 대상지인 까치울 전원마을의 물리적 환경은 주민들의 건강에 대한 욕구와는 달리 비활동적인 생활을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주거위주의 단일한 토지이용은 생활편의시설, 공공시설로의 접근을 불리하게 하여 주민들이 자가용을 주요 이동수단 선택하게 했으며, 자동차 중심의 도로환경은 보행성을 저해하고 있다. 또한, 단독주택지역으로 범죄에 취약한 점과, 획일화된 운동시설로 인한 다양한 신체활동 기회 부족, 사회적 교류를 위한 공용공간 부족이 지목되었다. 까치울 전원마을을 위한 활동친화적 주거환경 개선의 비전은 주민들을 활동적인 생활양식으로 유도하는 일상과 통합한 환경의 조성이다. 그에 따른 개선계획의 목표와 전략을 다음과 같이 수립하였다. 첫 번째 목표는 일상성의 확보이다. 주민들이 평상시 생활을 통해 활발한 신체활동을 할 수 있도록 일상생활과 밀착한 계획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전략으로 보행자 중심의 매력적인 보행친화환경 개선, 자전거 이용을 장려하는 녹색건강교통 기반 조성, 다양하고 지속적인 신체활동이 가능한 운동환경 개선, 범죄와 교통사고로부터 안전한 마을환경 개선, 유휴지 활용과 공용공간 확보를 통한 커뮤니티환경 개선의 대상지 특성을 고려한 부문별 계획을 수립했다. 두 번째 목표는 주체성의 회복이다. 공간개선 과정에 주민참여를 확대하여 활동적인 생활과 이를 위한 마을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주민을 주체로 설정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 주민, 민간기관으로 구성된 주체를 설정하고, 각 주체의 역할에 따라 개선방식을 조성형, 참여형, 협력형으로 구분한 주체별 계획을 수립했다. 세 번째 목표는 지속성의 확보이다. 공간의 조성 뿐 아니라 유지관리 시스템을 포함한 장기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지속적인 신체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선전략으로 인식-기반구축-공간개선-유지관리로 이어지는 4단계의 단계별 계획을 제시했으며, 각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주민의 역할이 주도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주체의 참여, 자본의 투입 등 실행성을 고려한 계획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건강 및 활동친화성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공간계획을 시도했다는 점과, 서구사회를 중심으로 논의되는 활동친화적 환경의 개념을 국내에 적용하고 그 대상을 전원주택단지로 설정함으로서, 향후 수요중가가 예상되는 전원주택단지의 개발과 개선과정에 활용가능한 계획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반면, 연구의 범위를 물리적 환경계획에 한정함으로서 사회․경제적, 공공서비스적 측면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접근을 수용하지 못한 점과, 비교적 경제적 여유가 있는 지역인 대상지로의 공공재 투입이 복지의 형평성 측면에서 합리적인가 하는 점이 한계와 쟁점이 남는다. 이에 본 연구는, 활동친화적 디자인의 국내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시범사례로서 대상지를 선정했음을 밝힌다.

      •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포함한 인성동화 프로그램이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자기결정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소진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포함한 인성동화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자기결정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4개의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배치한 후, 실험집단에 한하여 인성동화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15주 동안 총 30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참여가 학생의 자기결정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두 집단의 SDS, SDTPS, 행복감 검사의 사전-사후 차이점수에 대해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포함한 인성동화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을 향상시켰다. 둘째,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포함한 인성동화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장애학생의 행복감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포함한 인성동화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자기결정과 행복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sonality Fairy Tale programs that Embed Self-determination Components on Self-determination and Happiness of Elementary Students placed in Resource Rooms. For the research, 30 students in Elementary Students placed in Resource Rooms in Cheongju City of Chungcheongbukdo district: 15 students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other 15 were in the control group. This program was operated total of 30 times for 15 weeks on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To assess the effects of program participation on students, the pre-post test scores(SDS, SDTPS, Happiness)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ity fairy tale programs that embed self-determination components improved students’ self-determin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personality fairy tale programs that embed self-determination components improved Happiness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rsonality fairy tale programs that embed self-determination components positively influenced Self-determination and Happines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조선후기 왕의 권위와 권력의 관계 : 황극개념의 해석을 중심으로

        소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1823

        본 논문은 17, 18세기 조선에서 황극(皇極)개념이 사용되는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조선후기 왕권의 의미를 설명하고자 한다. 기존의 왕권연구들은 조선후기에 왕권이 주목되는 현상과 황극개념이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했으나, 황극과 왕권의 관계에는 큰 관심이 없었다. 황극 개념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의 경우 황극을 성리학적 통치론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함으로써 왕권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지 못한다. 본 논문은 황극개념을 성리학적 통치론과 연관시켜 설명한 뒤, 조선후기라는 맥락 속에서 이 개념이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었는지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본 논문이 분석하고자 하는 황극개념은 조선후기 파벌간의 대립을 종식하고자 하는 사대부들의 주목을 받았다. 17세기 이후 당쟁이 격화됨에 따라 파벌들로부터 독립해 공정하게 판단하고 당쟁을 조정할 수 있는 존재로 왕이 부상하게 되었다. 성리학은 왕은 인간적 한계를 가진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에 치통(治統)을 가진 왕과 도통(道統)을 가진 사대부들이 함께 통치에 참여하는 것을 이상적인 정치라고 보았다. 사대부들이 당쟁으로 인해 공정한 판단의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는 상황이 판단자이자 조정자로서의 왕을 주목하게 만들었지만, 일시적으로 강화된 왕권을 안정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왕의 공정성을 담보해줄 수 있는 이론적 근거가 필요했다. 그 이론과 관계되어 있는 개념이 황극이다. 황극은 조선시대에 “왕의 표준”으로 이해되었다. 황극은 우주의 본체로서의 태극(太極), 대중(大中)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다가 송대에 이르러 왕과 연관되는 개념으로 이해되었는데, 이를 “왕의 표준”이라고 적극적으로 해석한 사람은 남송대 성리학자인 주희이다. 주희는 황극을 왕의 표준이라고 규정함으로써 정치개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들었다. 문제는 황극으로 왕의 판단과 왕이 만든 제도가 공정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가이다. 홍범구주의 주석자들은 황극의 조건으로 심법(心法)을 제안함으로써 아포리아를 해결하고자 한다. 주석자들 중 도덕으로 황극을 설명하려는 입장은 심법을 경(敬), 즉 신중한 태도라고 규정한다. 한편 상수학(象數學)으로 황극을 설명하려는 학자들은 판단의 대상이 되는 존재와 사건들을 정확히 인식하기 위해 상황에 따른 판단과 결정을 강조한다. 황극을 도덕적으로 설명하려는 입장이나 상수학적으로 설명하려는 입장은 모두 공통적으로 왕의 권위를 이론적으로 강화시키고 권력의 자의적 사용을 제어하고자 한다. 이들은 권력을 권위로부터 구분한 뒤 다시 권위에 귀속시키려는 경향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왕의 권위가 그 의미에서 강조됨에 따라 황극은 왕들에 의해 적극적인 정치수사로 사용된다. 왕들이 황극개념을 정치적으로 이용하자 사대부들은 황극을 대중이나 중(中) 개념으로 재규정함으로써 황극과 왕권의 이론적 연속성을 단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황극이 정치수사로 사용되는 방식을 보면, 주석자들이 왕의 권위를 강화하고 권력을 제한하려는 이론적 시도들은 마치 실패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을 다른 관점에서 보면, 황극개념을 통해 왕의 권위를 강화하고 권력을 제한하려는 이론적 시도들은 어느 정도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18세기 조선의 두드러진 특징은 관료제가 발달하고 개혁적인 제도들이 시행되었다는 것이다. 기존의 관습과 다른 제도가 확산되고 작동할 수 있으려면 관료제가 발달해야 하며, 동시에 강한 국가의 힘이 필요하다. 왕의 강한 권위는 이러한 개혁들을 추진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한편 관료들은 제도의 변칙적 적용이나 제도적 규정을 넘어서는 판단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 왕과 충돌할 수밖에 없다. 정조가 왕의 절대적 권위를 강조하며 제도를 넘어선 권력인 권도를 사용하고자 하는 것은, 그가 관료제에 의해 그 권력을 제한당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황극의 이론적 설명과 정치수사로서의 사용되는 방식을 살펴보면 조선후기에 적어도 왕권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이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나는 왕권을 제도에 종속적인 것으로 규정하려는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왕권을 제도로부터 자유로운 권력으로 인식하는 입장이다. 전자가 왕을 제도의 토대이면서 동시에 제도에 종속되는 존재로 인식한다면, 후자는 사대부나 관료들을 정치의 조언자나 통치의 파트너가 아닌 왕의 가신으로 격하시킴으로 왕의 결정에 복종하는 존재로 규정한다. 왕권에 대한 이러한 입장차는 당대인들이 황극개념을 통해 왕권을 권력과 권위로 구분했다는 사실의 반영이다.

      • 스트레쳐블 센서를 이용한 소프트 매니퓰레이터의 형상추정

        소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23

        최소침습수술(Minimally Invasive Surgery, MIS)는 환자의 복부에 작은 구멍을 내고 그 안에 수술 도구를 집어 넣어 수술을 시행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개복수술에 비하여 수술에 필요한 절개 부위가 작기 때문에 환자의 고통이나 공포심, 감염 위험이 적고 환자의 회복속도도 역시 단축된다. 최근 들어 최소침습수술에 로봇을 이용함으로써 의사의 수술 피로도를 줄여 더욱 정교하고 정확한 수술이 가능케 되었다. MIS의 발전된 형태인 자연 개구부를 통한 내시경수술(Natural Orifices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NOTES)은 본래 존재하는 입, 항문 등을 통해 수술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수술 후 회복 경과가 MIS보다도 좋다. 하지만 구불구불한 내장 기관을 거쳐 수술도구가 체내로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널리 적용되기엔 어려움이 있다. 이 때문에 NOTES에서는 신체와 안전하게 반응하고 잘 휘어질 수 있는 유연 매니퓰레이터(Continuum Manipulator)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연 매니퓰레이터를 정확하게 컨트롤 하기 위한 형상추정을 목표로 한다. 그 중에서도 환자와 안전한 상호작용을 위한 소프트한 재질의 유연 매니퓰레이터의 형상추정을 목표로 하였다. 형상추정을 위한 센서로 실리콘과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로 이루어진 스트레쳐블 센서(Stretchable Sensor)를 개발하였다. 신체에 거부 반응이 없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이 센서는 간편한 제작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작 비용이 적고 일회용성이 보장되어 수술로봇에 적합하다. 또한 특유의 신축성으로 큰 곡률에 대해서도 매니퓰레이터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곡률 측정이 가능하고 피부형 센서로 매니퓰레이터 외벽에 부착되어 공간 효율성이 좋다. 개발된 스트레쳐블 센서를 이용하여 소프트한 유연 매니퓰레이터 형태인 실리콘 튜브의 형상추정을 진행하였다. 세 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한 부분의 곡률 측정이 가능하였고, 다시 세 부분의 곡률 측정을 한 후 보간법을 이용함으로써 전체 형상을 추정하였다. 형상추정 결과 평균 13 mm의 끝 점 위치 오차를 가지고 형상추정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