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elecoxib 유도체인 PCX 계열 화합물의 약리활성

        蘇志賢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1893년 최초의 NSAIDs인 aspirin이 개발된 이래로 NSAIDs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치료 약물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관절염, 류머티즘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처방뿐만 아니라, 이들의 항염, 해열, 진통 작용으로 처방 없이도 일상적인 염증이나 발열, 두통 등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쉽게 찾는 약물이다. 그러나 aspirin, ibuprofen 등과 같은 전통적인 NSAIDs는 위장관 혹은 신장에 관련된 부작용으로 그 사용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줄여 안전하고도 효율적인 NSAIDs를 개발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가 COX-2 선택적 억제제이다. 이와 함께 약물의 용해도를 개선하거나, 대사, 요 배설 및 면역 반응에 의한 제거를 억제해 체내 반감기를 증가시키며, 체내 분포를 조절하여 약효를 연장하고 치료효과를 지속 시키는 방법으로 prodrug 개발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X-2 선택적 억제제로 개발되어 최초로 임상에 사용되고 있는 celecoxib에 prodrug 개발법을 적용하여 합성된 유도체들의 약리학적 효과를 in vivo 실험을 이용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Celecoxib의 benzenesulfonamide ring을 수식하여 합성된 PCX 계열 화합물 중 PCX-1, PCX-2, PCX-3, PCX-7, PCX-15, PCX-16은 chick embryo chorioallantoic (CAM) assay에서 혈관신생 억제 효과를 나타냈고, 이 중 PCX-2, PCX-16은 농도 의존적인 혈관신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PCX-1, PCX-2, PCX-3 및 PCX-7은 carrageenan induced rat paw edema에서 항부종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PCX-2는 약물 투여 후 20시간 이상 경과한 후에도 약효가 지속되었다. PCX-7과 PCX-15는 약물 투여 12시간 후, PCX-2는 약물 투여 24시간 후에 실시된 acetic acid 유도 mouse writhing test에서 모약물인 celecoxib보다 더 강한 진통 효과를 보였다. PCX-2, PCX-7, PCX-15 및 PCX-16은 carrageenan으로 유도된 rat air pouch 모델에서 삼출물의 부피와 백혈구의 유주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약물의 위장관 안전성에 대한 실험 결과 PCX-2, PCX-7, PCX-15, PCX-16 모두 indomethacin에 비하여 궤양 형성이 유의성 있게 낮았다. 특히, PCX-7은 control군과 유사한 정도로 현저하게 높은 위장관 안전성을 나타냈다. 이상과 같이 PCX 계열 화합물들은 혈관신생 억제 활성, 항부종, 항염증, 진통효과 측면에서 약리학적 효과를 보일 뿐만 아니라, PCX-2와 PCX-7, PCX-15는 진통 효과에 있어서 모약물인 celecoxib보다 더 지속적이고 강화된 약효를 나타내 성공적인 prodrug 개발에 한 발 더 다가 선 것으로 평가된다.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are among the most widely used of all therapeutic agents worldwide. They frequently prescribed for osteo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and are often taken without prescription for minor aches and pains. Classic NSAIDs inhibit both COX-enzymes by occupying the cyclooxygenase-active site, preventing access by arachidonic acid. Despite their good efficacies, NSAIDs a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 gastrointestinal (GI) toxicity and renal failure which appear to be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the cytoprotective function of COX-1. Thus, selective COX-2 inhibitors, or coxibs, were designed to inhibit only the production of COX-2-dependent inflammatory prostaglandins, without any effect on COX-1 and its gastroprotective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armacological efficacy of PCX series which were synthesized as prodrugs of celecoxib, a COX-2 selective inhibitor. Celecoxib, PCX-1, PCX-2, PCX-3, PCX-7, PCX-15, PCX-16 provide potent anti-angiogenic activity in chorioallantoic membrane (CAM) assay. In addition, celecoxib, PCX-2, PCX-16 showed anti-angiogenic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PCX-2 inhibited swelling in the carrageenan-induced rat paw edema test 24 hours after the drug administration. In the acetic acid-induced mouse writhing test, PCX-7 and PCX-15 were verified to provide more potent analgesic effect than celecoxib 12 hours after the drug administration, and PCX-2 showed potent analgesic effect 24 hours after the drug administration. In the carrageenan-induced rat air pouch model, PCX-2 significantly decreased exudate volume, number of leukocyte and NO level. In the ulcerogenic activity test, PCX-2, PCX-7, PCX-15, PCX-16 showed significantly less ulcer formation than indomethacin. Especially, PCX-7 showed the highest safety in the GI safety test. These novel findings provide remarkable pharmacological knowledge on its efficacies of PCX series.

      •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사후반추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탈중심화의 매개된 조절효과

        소지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후반추사고와 탈중심화가 매개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대에서 40대까지의 성인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한국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 (PSPS-K), 사후반추사고 척도 (PRQ),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척도 (SIAS), 사회공포증 척도 (SPS), 탈중심화 척도를 사용하였고, 불성실한 설문지 10부를 제외한 390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 사후반추사고는 각각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탈중심화는 사후반추사고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사후반추사고가 완전 매개하였다. 셋째, 탈중심화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후반추사고, 사후반추사고와 사회불안 간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후반추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탈중심화가 매개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post-event rumination and decentering was examin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00 people aged from 20 to 49 responded self-reported survey, which included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Scale-K(PSPS-K), Post-event Rumination Questionnaire (PRQ),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Social Phobia Scale(SPS), and Decentering Scale. Because of 10 faithless responses, 390 valid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were examined among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social anxiety and post-event rumination, whereas decenter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t-event rumination. Second, post-event rumination had a complete med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Third, decentering showed moder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post-event rumination, between post-event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Fourth, decentering showed a mediated moderation effect on the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and post-event rumination on social anxiety. At the conclusion,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숙명여고보의 서울학생시위(1929~30) 참여

        소지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의 목적은 1929년 12월부터 1930년 1월까지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의 서울학생시위 참여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여 그 성격을 밝히고자 하는 데 있다. 숙명여고보는 1906년 설립 당시 황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기 때문에, 설립 초기부터 일본의 간섭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또한, 후치자와 노에와 같은 일본인 교원들의 학교 운영으로 학생들은 차별적인 현모양처 교육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숙명여고보에서는 지속적인 항일운동이 전개되었고, 결국 1930년에 이르러 서울 지역 여학교들과 연합하여 대규모 시위에 참여하기에 이른다. 그러므로 시위 참여 과정과 결과 등을 검토하며 숙명여고보의 서울학생시위 참여가 갖는 성격과 의의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서울학생시위는 1929년 10월 전라도 광주에서 일어난 광주학생운동의 영향으로 서울 시내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일어난 3.1운동 이후의 대규모 항일운동이었다. 숙명여고보 역시 1929년 12월부터 1930년까지 1월까지 전개된 1·2차 시위에 동참하였다. 이들은 일본의 차별적 식민지배로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났음을 분명히 인지하고, 이에 대한 저항의식으로 시위에 참여하였다. 1차 시위는 당시 서울에 조직되어 있던 사회주의 비밀결사단체들에 의해 전개되었으며, 숙명여고보는 3학년생 구무선에 의해 주도되어 1929년 12월 10일 만세를 부르며 학생들은 맹휴를 단행하였다. 1930년 1월에 전개된 2차 시위는 서울 시내 여학교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숙명여고보의 경우 근우회 간부 허정숙과 휘문고보 5학년생 장홍염에 의해 시위에 참여하게 되었다. 숙명여고보는 400여 명의 전교생이 2차 시위에 참여하였고, 시위를 주도한 5명의 학생이 경찰에 연행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숙명여고보의 서울학생시위 참여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숙명여고보의 서울학생시위는 두 가지의 외부 경로를 통해 전개되었다. 기숙사생의 경우 근우회, 통학생의 경우 하숙을 통해 알게 된 학생들 간의 연결로 접촉하였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시위에 참여한 서울 시내 여학교 중 숙명여고보에서 가장 먼저 ‘퇴학’ 처분이 내려졌다는 점이다. 이는 당시 숙명여고보에서 이루어지던 식민지 교육 실상의 단적인 예를 보여준다. 셋째, 숙명여고보의 서울학생시위는 설립 이래로 꾸준히 이어지던 항일운동의 지속선상에서 이루어졌다. 특히, 1927년 맹휴의 경험은 학생들이 결집할 수 있는 큰 원동력이 되었다. 이처럼 1930년 전개된 숙명여고보의 서울학생시위 참여는 당시 전국적으로 형성되었던 분위기에 일조한 휘발적 사건이 아닌 설립 이래로 지속되어 온 구성원들의 자발적 항일의식에서 빚어진 적극적 저항의 표출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specific nature based on the analyaing the process and result of Sookmyung girl’s high school’s participating in Seoul student movement from Dec. 1929 to Jan. 1930. As Sookmyung girl’s high school was connected to the Japanese imperial family from the beginning of its foundation in 1906, it was impossible to be free from the interference of Japanases government. Moreover the students belong to the school had no choice but to accept the education system to be the good wife and wise mother due to the school management by the japanese faculty like Huchizawa Noe. Nevertheless, a continuous anti-Japaneses movement had been developed in Sookmyung girl’s high school, finally in 1930 it had been participated in the large scale movement being associated with lots of the girl’s schools in Seoul. Therefore this study has tried to investigate the trait and significance of Sookmyung girl’s high school involved into Seoul student movement, based on this participating process and its result. Seoul student movement was one of the largest anti-Japaneses movement since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influenced by K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in Oct. 1929 and gathered with only students in Seoul. Also Sookmyung girl’s high school had been joined surely in the first and the second Seoul student movement unfolding from Dec. 1929 to Jan. 1930. The students of Sookmyung girl’s high school recognized that K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has been occurred because of the differential colonization by Japan, on this account they decided to join in the Movement with the resistant consciousness. The first movement has been unfolded by several socialist secret organizations in Seoul, and on Dec. 10th in 1929, the students in Sookmyung girl’s high school carried out the school strike leading by Musun Gu, the third grader. The second movement had been occurred in Jan. 1930 centering around the girl’s schools in downtown, and in the case of Sookmyung girl’s high school the students had joined in the Movement leading by Jungsuk Huh, managing staff in Geun-woo-Hui(a social group in the school) and Hongeyum Jang, the fifth grader in Whimoon High School. Five students, among the four hundreds of Sookmyung girl’s high school involved in the second movement, had been taken to the police station. But the taking note of this situation is Sookmyung girl’s high school was the first to issue an 'expulsion' order which expelled the students involved in this movement from the school. It explains directly the actual school situations run with the colonial education system managed by Japanese. The importance of Sookmyung girl’s high school’s participating on the movement, nontheless, the students had ridden out the colonial education system and expressed their own spirit of anti-Japanese throughout the constant resistance. Therefore the anti-Japanese movement of Sookmyung girl’s high school in 1930 can be prescribed not as that had been swept away by the national mood for one time but as the positive resistance expression based on the voluntary spirit of anti-Japanese maintained since it had been founded.

      • ICT를 활용한 초등 사회과 문제 해결 학습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정보탐색과 정보 만들기를 중심으로

        소지현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ICT를 활용한 문제 해결 학습이 아동들의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내용 중 문제 해결 학습에 적합한 제재를 선택하여 ICT를 활용한 문제 해결 학습의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구체적인 수업안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이 ICT 활용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은 전주시에 소재한 D 초등학교 4학년 실험반에 2개월간에 걸쳐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논의하였다. 그리고 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ICT를 활용한 문제 해결 학습이 설명식 수업보다 수업의 흥미도, 협동 학습, 토의 학습, 자기 주도적 학습력 신장 면에서 더 높은 성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학업 성취도 검사에서 ICT 활용 문제 해결 학습을 한 실험 집단이 설명식 수업을 받은 비교 집단보다 학업 성취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ICT를 활용한 문제 해결 학습과 설명식 수업에서 수업의 만족도, 이해도, 정보 활용 능력, 수업의 효과성, 수업 내용의 활용성 면에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ICT를 활용한 문제 해결 학습은 다양하고 풍부한 교수·학습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여 수업의 흥미를 높여주고, 협동 학습, 토의 학습 등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을 촉진시키며, 인터넷을 활용한 다양한 정보의 탐색 및 정보 만들기 즉, 정보의 재생산을 통해 학습자의 활동 영역 및 학습 내용과 방법을 확장시킴으로써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신장케하여 학업 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ICT를 활용한 문제 해결 학습에서 수업 만족도와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려면 교사의 체계화된 피드백과 학습 결과에 대한 정리 및 마무리 활동이 필요하고, 정보 활용 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장기적, 지속적으로 ICT를 활용한 문제 해결 학습을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Problem Solving Learning(PSL) based ICT affects children's the social studies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itable theme was selected out of the 4th grade textbook. And with the selected theme, I developed the teaching model, PSL based ICT. Then I designed a concrete Teaching-Learning plan. And I applied this model and instruction plan to experimental group for two months at Jeonju city, KOREA. Then the students were tested for the achievement of social studi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degree of lecture interest, co-operation learning, debat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Second, In the test for the level of learning achievement, the experimental group's level is higher than the controlled group's. Third, There isn't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degree of lecture satisfaction, understanding of content,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lecture effect and utilization of lecture cont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conclusion, I think that PSL based ICT is effective in learning achievement of social studies. I think that this model upgraded the children's interest of learning as it offers various learning materials and informations and learning activities and extended a self-directed learning as it offers many finding information and making information using internet. But in Problem Solving Learning based ICT,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give feedback students to feedback and summary of learning contents implemented to increase the degree of lecture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And it is for teacher to adopt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continuously in social studies.

      • Electrochemical Optimization of Zirconium based Protonic Conducting Electrolyte for intermediate Temperature Fuel Cell

        소지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의 전해질을 이종전해질로 제조함과 동시에 저온에서 작동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전해질로 사용 할 수 있는가에 대한 가능성을 연구하고있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구조적으로 연료극, 전해질, 공기극으로 구성이 되는데, 공기극의 산소가 산소 이온으로 변환을 하면서 전해질을 통해 확산 이동을 한다. 전해질은 두가지 종류로 나뉘게 되는데, 기존 연구에 주로 사용되는 산소 이온이 확산 이동하는 전해질은 산소 이온 전도성이 높을수록 유리하며 공기 가스 또는 연료 가스가 투과되지 않도록 높은 소결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소 이온 전해질로 널리 쓰이는 물질은YSZ (Yttria Stabilized Zirconia)로, YSZ는 높은 산소 이온 전도성을 가진 물질로서 SOFC의 전해질로 안정적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한 종류는 수소 이온 전도체 물질로 만든 전해질인데, 수소 이온 전도체 세라믹 중 전도도가 가장 높은 BZY(Barium Yttrium Zirconia) 를 사용하는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높은 수소이온 전도성을 갖고 있지만 갖을 수 있지만 다공성 구조에 밀도가 높은 전해질을 얻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말하는 이종전해질이란, 산소 이온 전도체인 (Y2O3)8 (ZrO2)92와 수소 이온 전도체인 BaZr0.8Y0.2O3 를 각각 25:75, 50:50, 75:25,100:0, 0:100의 비율로 혼합 하여 BZY의 다공성 부분을 YSZ 입자로 치밀도를 높힌 전해질을 말한다. 혼합한 파우더를 600°C, 1000°C, 1400 °C 에서 소결을 한 후 밀도가 높아짐을 SEM 으로 확인을 할 수 있었고,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BZY, YSZ만으로 이루어진 전해질 대비 이종 전해질 중 BZY 25: YSZ 75가 뛰어난 전도도를 보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전도도의 양극은 Ag paste을 균일하게 도포한 symmetric cell의 형태로 기존 공기극 연료극에 수소 연료를 주입하지 않은 공기 중의 상태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실험 조건과 흡사한 50sccm의 수소를 연료극에 주입하는 조건에서 측정되었다. 첫번째 조건은 500°C의 측정온도에서만 BZY25의 전도도가 BZY 보다 낮고, 550°C에서 650°C 에서는 BZY 25의 샘플의 전도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50sccm의 수소 환경에서는 YSZ의 전도도와 흡사한 값으로 BZY25의 전도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는 bulk 한 구조에서 진행된 것으로 박막에서 요구하는 전도도와는 차이가 있으나, 세리아계 물질을 섞으며 박막에 적용하는 추후 연구를 진행한다면 전기화학적 성능으로도 의미있는 결과가 나올 것으로 사료된다. There are two types of electrolyte; protonic conductor electrolyte and ion conductor electrolyte. The BaZr0.8Y0.2O3− (BZY) powder, a protonic conductor candidate electrolyte for intermediate temperature (500–700 °C) solid oxide fuel cells (IT-SOFCs), was mixed with (Y2O3)8 (ZrO2)92 (YSZ) powder, oxygen ion conductor candidate, by ball milling technique then be a BZY-YSZ mixed pellet by different weight ratio. The ratio of BZY to YSZ was 25:75, 50:50,and 75:25 and 100:0 and 0:100 were made for reference of raw data. The powders were sintered escalated temperature at 600,1000, for 5 hours and 1400 °C for 10 hours. The sintered pellets were shrunk. The phase composition of the resulting specimens was investigated using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Microstructural characterization was performed using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To analyze the grain,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was used to distinguish the grains. Fuel cell polarization curves on symmetric Ag/BZY-YSZ/Ag cells of different weight ratio pellets were measured at 500–650 °C.

      • 치과종사자의 환자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인식과 실천

        소지현 남서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medical area, rapid progress in the medical information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has caused computerization and networking of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nd with the rising concerns abou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e exposure or leakage of a patient's medical or personal information has become a crucial matter. Especially, considering medical information is composed of th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patient's ID number, address, and phone number and of the sensitive information like a patient's health condition report, the leakage of medical information may have an influence not only on the patient's treatment but also on an invasion of the person's private life or even cause crimes, so it needs special care for the people working at the medical institutions to deal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medical information. Accordingly, one of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thods to carry out a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y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n the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dentists and dental staff, education-related fators abou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erformance. The other purpose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which give positive effects on a patient's personal. 506 dentists or dental staff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for the survey,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etween June and July in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8.0 statistic program.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s, knowledge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and the route of awarenes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were analyezed with frequency, the gqp between awareness and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s and the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depending on the type of jobs were analyzed with t-test, one-way ANOVA,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related factor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jobs were cross analyzed, and post comparison checked with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dentists or dental staff about a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racti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below.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dentists and dental staff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is 64.1%. The knowledge about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by the general characters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ages and carrier.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carrier, and working places show meaningful difference in awareness of a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y general characters, and age,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carrier, working places, and the type of jobs show meaningful difference in performance. the type of jobs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awarenes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abou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wareness,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 awareness. the routes of awarenes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are the internet, acquaintances, print media, broadcast media, and SNS in orde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related factors show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ypes of jobs in the times of education participation and educational method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hows meaningful relations.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o recognize the higher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practical protecti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wareness is high, higher, more than five years work experience also showed that the more practice Key word: Personal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wareness and Performancec, Dentist and Dental Staff 의료분야에서 개인정보라 할 수 있는 의료정보의 급속한 발전으로 개인의료정보는 전산화와 네트워크화 되어가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환자에 관한 의료정보나 개인정보의 노출이나 유출 역시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특히나 의료정보는 환자의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를 포함한 개인정보와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는 환자의 건강상태 기록으로, 의료정보의 관리 소홀로 유출된 경우 환자의 치료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사생활 침해 또는 범죄로 발전 될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 보호와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데 있어 특별한 관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 종사자들의 개인정보보호법에 관한 지식정도와 인식과 실천,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교육 관련요인, 개인정보 보호의 지식, 인식, 실천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환자 개인정보 보호를 실천 하기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환자 개인정보 보호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 충청도 소재의 치과 종사자 506명이며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16년 6월부터 7월까지 두 달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개인정보 보호법에 관한 지식, 개인정보 보호법 인식경로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하였고,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개인정보보호법 지식 평균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도와 실천도의 차이, 직종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법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se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차이가 있는 변수는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하였다. 직종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교육관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환자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치과종사자의 지식, 인식 및 실천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정보보호법에 관한 치과 종사자의 정답률은 전체평균 64.1%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개인정보보호법에 관한 지식의 차이는 연령, 근무경력 문항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 개인정보보호 행위에 관한 인식도에서는 성별, 학력, 근무경력, 근무기관에서 차이가 있었고, 실천도 에서는 연령, 성별, 학력, 근무경력, 근무 기관, 직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종에 따른 개인정보보호법에 관한 인식의 차이에서는 개인정보처리자 인식, 개인정보보호 책임감 문항에서 직종 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개인정보보호 교육 관련요인은 교육 참여 횟수, 교육방법에서 직종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개인정보보호법 인식에서 치과의사는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치과위생사는 가장 낮은 인식도를 나타냈고, 개인정보보호 교육경험이 1번 있는 치과의사는 54.5%로 다른 직종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치과위생사의 50.2%는 교육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지식, 인식과 실천과의 상관관계는 지식과 인식이 높을수록 실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치과종사자들은 다른 종사자들에 비해 지식, 교육경험, 인식에 비해 실천도가 낮았으며 그 중 치과위생사는 전반적 부분에서 낮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지식과 인식이 높을수록 실천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치과종사자들은 접수를 포함한 모든 진료 과정에서의 개인정보보호 필요성을 인식해야 하며 개인정보보호 실천을 위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반복교육과 그에 따른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 word: 개인정보, 개인정보 보호, 치과종사자.

      • Actually의 담화표지어 용법 : 코퍼스 기반 연구를 중심으로

        소지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discusses the uses of discourse marker actually. Actually is mainly known as an adverb. It is found, however, that actually also functions as a discourse marker. Especially in natural discourse, we can find a great number of actually which is used as a discourse marker. This thesis focuses on this. Thus, the goal of this work is to examine the uses of actually as a discourse marker. The thesis consists of four chapters. And it goes as follows. Chapter 1 introduces the outline and general views of the thesis. It includes the introduction, purpose, method and necessity of the thesis. Chapter 2 introduces some basic notions of discourse markers such as their general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types. First of all, it examines actually which functions as an adverb in sentences. I also observe that there is another kind of actually which functions as a type other than as an adverb in a discourse. In addition, this chapter investigates into the positions where contexts discourse marker actually can be often used. Chapter 3 makes an analysis of the uses of actually. This chapter is the ultimate purpose of the thesis. Six different functions of actually are investigated and presented with proper datum. All the datum are from the International Corpus of English-Great Britain(ICE-GB). The first function among the three focuses on coherence other than just functional aspect. The second function is what discourse marker actually can help speakers with when adding more information to the upcoming utterances. The third is the function of repairing the prior utterances. The last function of actually as a discourse marker is what it makes the utterances with in relation to other discourse markers. Chapter 4 sums up the discussions and concludes the thesis.

      • Study on the role of Short-lived climate pollutants in East Asian climate system

        소지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Short Lived Climate Pollutants (SLCPs) such as Sulfate aerosols, Black carbon, Seasalt play a role to influence the weather and climate variability by changing radiative forcings. Therefore, it is usefu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tmospheric variability and SLCPs. Particularly, the concentration of SLCPs is significant in east Asia, which is mostly due to a rapid industrialization. It is known that both the atmospheric circulation and cloud variability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variations of SLCPs in east Asia. We use for each analysis using GEOS-Chem model and the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Terra AOD observational data. Using the global chemical transport model (GEOS-Chem) simulation for 1985-2010, we examine the inter-annual variability of and the its effect on atmospheric variability. The composite analysis reveals that the high and low concentration year of in east Asia is differently associated with the spatial pattern of atmospheric anomalies. In addition, the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in east Asia may lead the changes in the amount of high and low cloud in the downstream region of the North Pacific. And we examine the inter-annual variability of observational MODIS Terra AOD for 2000-2014 and its effect on early East Asia summer monsoon. We fin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and-Sea thermal contrast in June and aerosol loading in spring, indicative of strong concentration of aerosols transported from Eastern China. Composite analyses based on AOD show that high concentration of aerosol over Eastern China in spring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cloud fraction, enhanced dynamically reflected downward short wave radiation over the ocean, and reduced ocean surface temperature over similar area. Land-Sea thermal contrast increased during June, followed by a subsequent enhanced Early East Asian summer monsoon.

      • Phylogeography, Chloroplast Genome and Hybridization of Selected Plants in the Family Orchidaceae

        소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15

        난과(Orchidaceae)는 현화식물 중 가장 많은 식물 종을 포함한 과 중 하나로 난과의 종들은 다양한 분야의 식물학자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대상이 되지 않았던 난과 식물 3종(아기쌍잎난초 Neottia japonica, 한라새둥지란 Neottia kiusiana, 섬털사철란 Goodyera × maximo-velutina)을 대상으로 계통지리학, 엽록체 유전체 분석 그리고 잡종의 기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 1장에서는 동아시아의 한국,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하는 아기쌍잎난초의 계통지리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지역에 분포하는 아기쌍잎난초 사이의 유전적 구조를 이루는 요인을 분석하고 계통지리학적 역사를 추론하기 위해 총 16개의 집단에서 145개의 아기쌍잎난초 재료를 채집하였다. 유전적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해 3개의 엽록체 DNA 구간을 선별하여(ycf3 intron2, ndhA-ndhH, ndhA intron)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이를 이용해 유전적 다양성 지수(Hd, π, HT), 계통학적 관계, 분자분기시기 등의 결과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아기쌍잎난초는 높은 유전적다양성 값을 나타냈으며 각 나라별로 고유한 반수체형(haplotype)을 가지며 지역간의 유전적 반입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자분산분석(AMOVA)에서는 아기쌍잎난초 집단의 높은 유전적 다양성이 지역적 분리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기시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기쌍잎난초는 마이오센(Miocene) 시기에 분기된 종으로 추정되고, 일본에 분포하는 아기쌍잎난초 집단이 가장 먼저 분리되었고 그 뒤로 대만과 한국 집단이 분기된 것으로 보인다. 이 중 가장 최근에 발견된 한국의 제주도 집단은 최근에 파생된 집단으로 예상되었으나, 분포 역사가 오래되었다는 증거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아기쌍잎난초는 제주도에 오랫동안 존재하였으나 단순히 사람들에게 발견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아기쌍잎난초는 씨앗분산을 통한 집단의 이주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이 분포하는 지역 사이에 존재하는 동중국해(ECS, East-China-Sea)가 이 종의 강력한 지리적 장벽으로 작용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제 2장에서는 한라새둥지란의 엽록체 유전체를 분석하였고, 현재까지 분석된 새둥지란속 식물들과 엽록체 유전체 특성을 비교하였다. 한라새둥지란은 난과에 속하는 근균종속영양식물(fully mycoheterotroph)로 잎과 엽록소가 없다.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제주도 자생지에서 채집된 개체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한라새둥지란의 엽록체 유전체는 총 길이는 86,952 bp로 결정되었고, LSC와 SSC 구간에서 큰 폭의 유전체 감소를 보였다. 한라새둥지란 유전체는 애기무엽란(N. acuminata)과 N. nidus-avis와 크기가 유사하며 이들은 새둥지란 속에서 가장 작은 유전체를 가지는 종들이다. 새둥지란의 엽록체 유전체 내에서는 광합성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유전자 뿐만 아니라 세포유지유전자(housekeeping gene)에서도 큰 유실이 발생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라새둥지란이 이미 오래된 단계의 근균기생식물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근균기생식물의 유전체 크기는 진화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점점 축소되는 방향성을 보인다는 기존 결과들을 지지한다. 제 3장에서는 섬털사철란의 형태적, 분자적 분석을 통해 잡종의 기원식물을 밝혀냈다. 섬털사철란은 형태적으로 섬사철란(Goodyera maximowicziana)과 털사철란(G. velutina)의 중간 형질을 보였기 때문에 이 두 종을 잠재적인 부모종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섬사철란과 털사철란, 섬털사철란은 같은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종(sympatric) 이다. 형태적 형질 관찰과 함께 핵 DNA의 ITS 구간과 엽록체 DNA의 세 구간(psbA-trnH, trnS-trnG, trnL intron)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형태적으로 섬털사철란의 잎의 수, 포의 색은 섬사철란과 털사철란의 중간적인 특징을 보였다. 반면, 잎의 색과 잎맥은 섬사철란의 것과 유사하고, 꽃대와 씨방의 색과 털은 털사철란의 것과 유사하다. 염기서열 비교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핵과 엽록체 DNA 구간은 섬털사철란의 기원을 밝히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렬된 핵 DNA 염기서열 3개의 좌위(112, 512, 652)에서 뉴클레오타이드 다형성이 나타났으며, 클로닝을 통해 확인한 결과 섬사철란과 털사철란이 부모종이라는 사실을 지지하였다. 엽록체 DNA 분석결과 섬털사철란의 모계는 섬사철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사철란속에서 식물의 잎의 형태가 엽록체 유전자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The family Orchidaceae is one of the largest angiosperm families, containing an extensive diversity that has attracted plant researchers in various fields. A number of studies of orchids have been conducted to date, but more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vast and elaborate evolutionary mechanisms occurring in Orchidaceae. This study deals with orchid species whose phylogeography, cp genomes and hybridization have never before been examined. Chapter 1 addresses the phylogeography of Neottia japonica as distributed in East Asia: Korea, Japan, Taiwan and China. To uncover the historic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current genetic structure of N. japonica in these regions, a total of 145 samples from 16 populations were collected. Three noncoding chloroplast regions were selected (ycf3 intron2, ndhA-ndhH, ndhA intron) for amplifying and analyzing. As a result, a total of 29 haplotypes were identified from four countries and a high level of genetic diversity (Hd, π, HT) was observed. The haplotypes were not shared between countries, and AMOVA results showed genetic variation influenced by geographic delimitation. The result of molecular dating indicated that N. japonica has undergone speciation during the Miocene and that the Japanese populations diverged first, followed by the Taiwanese and Korean populations. The Korean populations were founded most recently and were expected to have experienced recent population expansion. However, N. japonica has existed in this region for a long time. Additionally, N. japonica was found to be incapable of migrating through seed dispersion, and the East-China-Sea (ECS) has served as a strong barrier for this species. Chapter 2 presents the chloroplast genome of Neottia kiusiana and compares it with other cp genomes in Neottia. Neottia kiusiana is achloropyllous, leafless and fully mycoheterotrophic plant distributed in Korea and Japan. The plant sample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Jeju Island in Korea. The plastome of N. kiusiana was determined to be 86,952 in total length, with a high level of genome reduction observed in the LSC and SSC regions. The size of the cp genome was similar to N. acuminata and N. nidus-avis, the latter of which appears to be the smallest cp genome in Neottia. In N. kiusiana, not only photosynthesis-related genes but also housekeeping genes were significantly degraded. These patterns in the cp genome support the conclusion that N. kiusiana is in an advanced or late stage of mycoheterotrophy evolution. Chapter 3 elucidates the hybrid origin of Goodyera × maximo–velutina, which was newly reported from Jeju Island in Korea, based on morphology and molecular data. The new hybrid shows morphological characters intermediate between G. maximowicziana and G. velutina; thus these two taxa are determined to be the putative parents. Also, these species are sympatric. To investigate the hybrid origin of G.× maximo–velutina, the ITS of nuclear DNA and three noncoding regions (psbA-trnH, trnS-trnG, trnL intron) of chloroplast DNA were analyzed. The number of leaves and the bract color were intermediate between the two putative parents. On the other hand, leaf color and leaf veins were similar to G. maximowicziana, and the color and puberulent characteristics of the pedicel and ovary were similar to G. velutina. The DNA regions used in this study were suitable for demonstrating the hybrid origin of G.× maximo–velutina. The three polymorphic nucleotide sites (112, 512, 652) detected from nrDNA data support the conclusions about the two putative parents of G.× maximo–velutina. The cpDNA data showed G. maximowicziana is the maternal species of the new hybrid. This result also supports the correlation between cpDNA and leaf morphology in Goodyera.

      • The Effects of Brand Crisis Type and Attribution Type on Apology : The Moderating Role of Service Agent

        소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과 챗봇에 의해 가치 관련 위기와 성과 관련 위기가 발생했을 때 온라인 서비스 상황에서 사과의 진정성과 수용성을 내·외부 귀인을 이용하여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상황적 위기 커뮤니케이션 이론(SCCT)과 기대 위반 이론(EVT)을 활용하여 인간과 챗봇 간의 지각된 마음의 차이를 기반으로 위기 유형과 귀인 유형 간의 서로 다른 상호 작용을 탐색한다. 브랜드 위기는 소비자에게 기대된 혜택을 전달하는 능력을 훼손하는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브랜드 자산에 중대한 위협이 된다(Ahluwalia et al., 2000). 이러한 위기는 일반적으로 1) 성과 관련 위기와 2) 가치 관련 위기로 구분할 수 있다 (Dutta & Pullig, 2011). 브랜드 위기는 즉각적인 고객 불만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고객 관계에 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sarenko & Tojib, 2015). 브랜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는 사과를 하는 것이다. Coombs(2007)가 제안한 SCCT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에 따르면 위기 이후 커뮤니케이션에서 사과와 함께 제시되는 위기의 귀인은 평판의 무결성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귀인 이론에 따르면, 내부 귀인은 특정 행동이나 결과의 원인을 개인 자신에게 귀속시키는 것을 의미하지만, 외부 귀인은 이러한 원인을 환경에 귀속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Heider, 1958). 기존 연구에서 브랜드 위기 유형과 귀인 유형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에이전트 유형이 이러한 관계를 조절하는 방법을 탐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서비스 에이전트의 기대에 따라 상호 작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서비스 에이전트는 고객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의 구매 트랜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Chakrabarty et al., 2014). 전통적으로 서비스 에이전트는 주로 인간이었다. 그러나 AI 기술의 발전으로 챗봇과 같은 텍스트 기반 대화형 에이전트가 이러한 역할을 대신하기 시작했다(Letheren et al., 202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대 위반 이론(EVT)을 바탕으로 다양한 귀인 유형의 효과를 고려하여 인간과 챗봇의 반응을 성과 관련 위기와 가치 관련 위기에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에이전트의 기대와 일치하게 위기를 귀인하는 것이 부정적 반응을 줄일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인간 에이전트에 노출될 때 가치 관련 위기의 내적 귀인가 진정성과 수용성을 높일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인간 에이전트에 노출될 때 성과 관련 위기의 외적 귀인이 진정성과 수용성을 높일 것으로 보았다. 반면, 챗봇 에이전트에 노출될 때 성과 관련 위기의 내적 귀인은 진정성과 수용성을 높일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챗봇 에이전트에 노출될 때 가치 관련 위기의 외적 귀인은 진정성과 수용성을 높일 것으로 보았다. 이는 인간과 챗봇에 대한 서로 다른 기대에 기반한 것이다. 사람들은 다른 인간에게 행동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도덕적 가치를 유지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yala, 2010). 이에 반해, 사람들은 챗봇으로부터 주로 역량을 기대하는데, 이는 인간에 대한 기대와는 다른 기대 이다 (Maninger & Shank, 2022). 이러한 차이는 근본적으로 인간과 챗봇을 판단할 때 나오는 마음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된다 (Gray et al, 2007). 이 가설들은 2(브랜드 위기 유형: 가치 관련/성과 관련) x 2(속성 유형: 내/외부) x 2(서비스 에이전트: 인간/챗봇) 피험자 간 실험설계로 검증되었다. 결과는 서비스 에이전트 유형, 브랜드 위기 유형, 귀인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진정성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챗봇 조건에서 브랜드 위기 유형과 귀인 유형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성과 관련 위기에서 챗봇이 내적 귀인을 할 때 진정성이 더 높은 것으로 인식되었다. 반면, 단순 주효과 분석에서는 인간 조건에서 브랜드 위기 유형과 귀인 유형의 상호작용이 진정성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서비스 에이전트 유형, 브랜드 위기 유형, 귀인 유형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반면, 단순 주효과 분석에서는 인간 조건이나 챗봇 조건에서 브랜드 위기 유형과 귀인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브랜드 위기 상황에서 서비스 에이전트 유형의 영향력과 귀인과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EVT(Expectancy Violation Theory)를 최초로 실험적으로 적용한 것이다. 연구 결과 챗봇 서비스 에이전트가 성과와 관련된 오류를 인정하고 이를 내부적으로 귀인할 때 진정성에 대한 인식이 향상된다는 것을 밝혔다. 이 발견은 해당 분야에서 새로운 발견을 나타낸다. 또한, 본 연구는 인간과 챗봇 모두에게 사과의 진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발견은 위기 상황에서 고객의 상호 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무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sincerity and acceptability of apologies made by humans and chatbots in online service situations after committing performance-related and value-related crises, using internal and external attributions. This study utilizes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SCCT) and Expectancy Violation Theory (EVT) to emphasize the differences in expectations regarding the perceived mind between humans and chatbots, which can lead to different interactions between crisis types and attribution types. Brand crises, unforeseen occurrences that undermine a brand's perceived capacity to offer desired advantages, pose a significant threat to brand equity (Ahluwalia et al., 2000). These crises can be categorized into performance-related crises and value-related crises (Dutta & Pullig, 2011). Brand crises not only result in immediate customer dissatisfaction, but also have long-term negative impacts on customer relationships (Tsarenko & Tojib, 2015).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s to respond to a brand crisis is through issuing an apology. According to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SCCT) by Coombs (2007), the attribution of the crisis along with the apolog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afeguarding the integrity of the reputation in post-crisis communic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attribution theory, when examining apologies, internal attribution implies attributing the cause of specific behaviors or outcomes to individuals themselves, whereas external attribution suggests attributing these causes to the environment (Heider, 1958). Given the inconsistent findings regarding the interaction between brand crisis type and attribution type in previous research,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type of service agent moderates this relationship, drawing upon Expectancy Violation Theory (EVT). Specificall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the interaction varies vdepending on the expectations of the service agent. Service agents are pivotal in resolving customer issues and understanding users' purchasing trends (Chakrabarty et al., 2014). Traditionally, service agents were primarily humans. However, with the advancement of AI technology, conversational agents that interact through text, such as chatbots, have begun to replace humans in this role (Letheren et al., 2020). Therefore, by drawing upon Expectancy Violation Theory (EVT), the hypotheses in this study compare the responses of users when humans and chatbots commit performance-related and value-related crises, considering the effects of different attribution types.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at attributing the crisis congruent with the expectation of the agent can reduce adverse reactions. First, the hypothesis states that when exposed to a human agent, internal attribution in a value-related crisis will enhance sincerity and acceptability. Also, when exposed to a human agent, external attribution in a performance-related crisis will heighten sincerity and acceptability. On the other hand, when exposed to a chatbot agent, internal attribution in a performance-related crisis will elevate sincerity and acceptability. In addition, when exposed to a chatbot agent, external attribution in a value-related crisis will raise sincerity and acceptability. This is based on different expectations towards humans and chatbots. People are known to expect humans to maintain moral values, using them as criteria to judge actions as right or wrong (Ayala, 2010). In contrast, people mainly expect competence from chatbots, a different set of expectations than those they have for humans (Maninger & Shank, 2022). These differences fundamentally arise from distinct perceptions of the mind (Gray et al., 2007).The hypotheses were tested in a 2 (brand crisis type: value-related/performance-related) x 2 (attribution type: internal/external) x 2 (service agent: human/chatbot) between-subjects experimental desig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action among service agent type, brand crisis type, and attribution type was significant on sincerity. Specifically, in the chatbot condition, the interaction between vibrand crisis type and attribution type was significant. When chatbots made internal attributions in performance-related crises, sincerity was perceived to be higher. However, the results of the simple main effect analysis showed that in the human condition, the interaction between brand crisis type and attribution type was not significant in terms of sincerity. Similarly, with regard to acceptability, the interaction among service agent type, brand crisis type, and attribution type was significant. However, the simple main effect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brand crisis type and attribution type was not significant in either the human condition or the chatbot condition. This study marks the first experimental application of Expectancy Violation Theory (EVT) exploring the influence of service agent type in the context of brand crises and their relationship to attribution. The research revealed that when a chatbot service agent acknowledges a performance-related error and attributes it internally, there is an enhancement in the perception of sincerity. This finding represents a novel discovery in the field. Moreover, this study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as it provides an effective response strategy for improving the sincerity of apologies for both humans and chatbots. These findings can be directly applied in practice to enhance customer interactions during cri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