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olya의 문제해결 단계에 따른 발문이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소유미 광주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학력은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편이나 문제해결 영역에서는 그다지 높지 않다. 이는 수학교육이 수학적 지식과 기능의 습득보다는 수학적 문제해결 능력에 관한 학습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수학교육의 목적을 수학적으로 사고하고 문제해결 능력의 향상이라고 본 Polya의 문제해결에 대한 이론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Polya는 학습자의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필요한 문제해결 4단계에 따른 발문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olya의 문제해결 4단계에 따른 발문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Polya의 문제해결 단계에 따른 발문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둘째, Polya의 문제해결 단계에 따른 발문이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이 연구 대상으로 광주광역시 소재 S초등학교의 4학년 전체학급 중에서 사전검사에서 동질집단으로 나타난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극단적인 반응을 보인 학생은 제외하였다. 실험집단은 Polya의 문제해결 단계에 따른 발문안 16개를 작성하여 1차시에 2개의 발문안으로 8차시 수업을 진행하였고, 수업 모두 4-나 단계 ‘8. 문제 푸는 방법 찾기’ 단원을 하였다. 통제집단은 같은 단원을 전통적인 설명식 수업으로 8차시를 진행하였다. 학업성취도는 사전검사지로 1학기 중간성취도 평가 문항을 사용하였고 사후검사는 검사문항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Polya의 문제해결 단계에 따른 발문 수업 8차시를 실시하여 t-검정하였다. 수학적 태도 검사는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모두 한국교육개발원(1992)의 태도검사지를 사용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업성취도 성적을 t-검정한 결과 사후검사에서 두 집단은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olya의 문제해결 단계에 따른 발문이 학업 성취도에 의미 있는 향상을 주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둘째, 수학적 태도에서 t-검정한 결과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olya의 문제해결 단계에 따른 발문이 수학적 태도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Polya의 문제해결 단계에 따른 발문이 학업성취에 도움을 주고 수학에 대한 태도 변화에도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둘째, 문제해결 단계에 따른 발문이 수학 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학생들의 사고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발문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셋째, 모든 학생들의 사고를 확장시키기 위한 개인차에 따른 발문구성이 어려웠다. 따라서 학생 수준에 따른 발문 연구가 필요하다. Even though Korean students' mathematical educational background is remarkably high in the world, the domain of problem solving is not that same with the former. That is because of the lack of learning i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ies rather than learning mathematical knowledge and functions. Based on this aspect, Polya's theory of problem solving which regarding the them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as mathematical thinking and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ies is suggestive. Polya brought up the questions about the four necessary students' problem solving stages f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dure. Accordingly,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questions about the four necessary students' problem solving stages on students' learning accomplishment and attitudes. To study these themes, set the following two subjects.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the Polya's questions about the problem solving procedure on the students' learning accomplishment?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the Polya's questions about the problem solving procedure on the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s? All classes of the forth grade students of S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In prior inspection, two groups which are represented as homogeneous group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regulated group. In this process, the students who are showing extreme responses were exempted from both of the groups. Experimental group used 16 questionnaires, in eight classes. Each class was progressed using two questionnaires. All classes are about the 'Unit 8. Seeking for the methods of problem solving', in 4-na. Same as eight classes of regulated group were progressed using traditional explanatory method about the same unit. Mid-term examination problems were used for the prior inspection, investigating problems were made for the post inspection. Learning accomplishment was drawn from these two inspections. Conducting eight questionnaires based on the Polya's questions of problem-solving procedure compared the averages and the standard deviations. In investigating mathematical attitudes, t-inspection was conducted using 'Attitudes Inspection'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1992) for both of the prior inspection and the post inspection.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irst, in learning accomplish domain, experimental group has a higher average increasing rate than regulated group, more meaningful improvement. Second, in mathematical attitude, results of t-inspection represented meaningful differences. These are the result and the proposal of this study. First, the questions of Polya's problem solving procedure are effective to improve the learning accomplishment and positive to the changing attitudes for mathematics. Second, the questions for problem solving procedure are effective in mathematical classes, there is necessity of having concerns about questions, which can draw students' contemplation. Third, it is difficult to organize the questions based on the individual differences. For expanding every students' thinking abilities, studying questions based on students' level is necessary.

      • 사적공간의 ?경-'멜랑콜리'적 심상의 회화적 표현 : 본인작품 중심으로

        소유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paper inquires into the subject matter of melancholy, dubbed a definitive traumatic symptom of modern society.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this phenomenon is dealt with in my series <Room> in which they are examined as images of light in painting. The motif of melancholy as the keynote for my work has in fact been treated in many preceding cases and presented as part of natural penchant. Furthermore, despite negative traditional receptions by the society, the objective of its acceptance nowadays focuses more heavily on the behavioral traits in psychological, spiritual terms, with the development of sophisticated social structure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ndustrialization. The main artistic representation revolves around the subject of 'room' from which I proceed to express certain types of melancholy. The rooms are then space behind the closed doors, private place where the gloom and sadness begin. The failure of building social associations with others and of communication circumscribes a person's range of activities within a small space of self-isolation. 'Room', taken as both physical space and psychological location, is then a place of secrecy, peculiar to the rest of society, extremely precious and intimate for the person in question. It also inscribes a double meaning; a bolt hole and a refuge from others. As shown above, the melancholic sensibility is the very root of the atmosphere that I create. Therefore, I focused on the link between modern society and melancholy in seeking the heart of my own melancholic traits and in indicating how this is embodied. Also, I sought for such sensibility in looking at the function of the symbolic 'light' which repeatedly makes appearances in the work. The tools of such representation can be translated into the embodiment of the artist's unconscious realization that went incognito. The subsequent objective was then to find the root of it all: where these abstract symbols of personal symptom came from and what the concept of 'light' and 'darkness' meant. These were dealt with in relation to my trauma and social backgrounds. Furthermore, based on the Freudian interpretation on the subject, the traits were psychoanalytically treated, where it became evident to me that the act of drawing and painting could intervene as an element of remedy. The above is then backed by a concrete comparison with Edward Hopper and Eric Fischl to firstly understand their expressions of light and melancholy. This process allowed me to find out more about the nature of double plot in my own works, and the work was analysed in threefold distinction of absence of personage, darkness and window. Hence, there has been an enormous effort put into the work so as to achieve the most organized structure of analysis possible. I suspect that one could vacillate after losing his/her bearings. This writing on the other hand could redress such shortcomings as a adjusting pivot, and further progress from status quo based on this inquiry.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인 <Room>시리즈를 바탕으로 트라우마와 현대 사회의 필연적 증상으로서의 우울증, 즉 멜랑콜리와 이러한 우울함을 드러내는 회화적 요소로서의 빛의 이미지를 연구한다. 본인의 작품의 근간을 이루는 멜랑콜리는 인간의 본래적 기질로서 회화에 자주 등장한 모티프였다. 전통적으로 부정적인 의미에서 평가되었던 멜랑콜리는 현대에 와서는 사회 구조와 통신, 산업의 발달과 함께 현대인들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정신적, 심리적 문제로, 삶에 대한 현대인의 태도로 간주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본인은 이러한 멜랑콜리를 ‘방’이라는 사적 공간에 주목해서 표현하고자 했다. ‘방’은 개인의 가장 은밀한 영역, 따라서 상처와 슬픔의 주거지로 볼 수 있다.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삶의 의미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은 그러나 관계의 실패, 소통의 실패로 인해 자주 슬픔과 고통을 겪게 되고 '방'은 그런 실패로 인해 자기에게로 은둔하려는 현대인들의 고유한 장소라고 할 수 있다. ‘방’이라는 장소는 본인의 작업에서 사회로부터, 타인으로부터의 도피처이자 안식처라는 이중적 의미를 갖는다. 방은 물리적 공간이면서 심리적 장소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본인에게 있어 멜랑콜리적 감성은 작품의 분위기를 이루는 근간이 된다. 그렇기에 현대 사회와 멜랑콜리의 관계를 짚어봄으로써 본인의 멜랑콜리의 근원지를 찾고 이것이 어떻게 형상화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작품 안에 반복적으로 드러나는 ‘빛’과 같은 상징적 요소들이 멜랑콜리적 감성에 의해 어떻게 표현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작품에 표현되는 것들은 대부분 작가 본인이 의식하지 못했던 무의식적인 차원의 상징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이러한 상징의 근원지를 찾으려고 노력하였으며, 본인 작품 안에 나타나는 ‘빛’과 ‘어둠’과 같은 상징적 요소들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며 본인의 트라우마를 사회적 배경과 연관하여 언급하였다. 또한 작품의 근간이 되는 우울증, 멜랑콜리에 대하여 프로이드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정신분석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또 이러한 이론들을 연구함으로써 본인의 그리기라는 행위가 치료적 기능도 함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인은 에드워드 호퍼와 에릭 휘슬의 작품과 본인 작품의 비교분석을 통해 그들의 작품에 등장하는 빛, 멜랑콜리적 표현을 이해하였다. 이런 비교의 과정에서 본인의 화면이 이중적 구도를 취한다는 것을 새로이 발견하게 되었다. 또, 본인의 작업을 인물의 부재, 어둠, 창으로 구분하여 세분화해 연구하였다. 이렇듯 본인은 작품 안에서 드러나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려고 노력하였다. 작업을 하다보면 가끔 자신의 작업적 위치에서 방향을 잃고 방황할 때가 있다. 그것으로부터 이 논문은 본인을 잡아주는 하나의 지지대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 더 한걸음 나아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무용전공 대학원생이 인식하는 대학 무용교육과정 분석과 특성화 연구

        소유미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이 연구는 무용을 전공한 대학원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대학 무용교육과정을 학습자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그들이 경험한 것을 재현함으로써 향후 대학 무용교육과정에 대한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첫째, 대학 무용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방법적 측면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둘째, 무용전공 대학원생이 제안하는 대학 무용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방법은 무엇인가? 이를 위한 연구과정으로는 대학 무용교육과정에 대한 문헌자료와 각 대학교 공식 홈페이지를 통한 관련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으며 무용전공 대학원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과정의 목표적 측면에 대해 대학 교육과정이 교육목표에 맞게 이뤄짐에는 다시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이 사회의 수요에 부합하는 목표를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고려와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통한 전문적인 교육과정 개발이 이뤄져야 하겠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과정의 내용이 심도 있는 내용까지 다루지 못한 부분에서 아쉬움을 드러냈다. 교육과정에 있어서 다양한 교육을 제공함과 동시에 심도 있는 내용까지 다루기에는 학과에게 주어지는 시간이 한정되어 있어 심도 있는 내용을 다루기 어렵다. 현 사회적 요구에 따라 다양한 교육으로 나아가되 학습자들이 심도 있게 접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겠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과정의 방법적 측면에서 다양한 분야를 가르칠 전문가 양성의 필요성에 대하여 토로하였다. 또한 교수방법에 따라 연구 참여자 개개인이 학습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실기 이외의 다양한 분야의 전문 인력을 육성하여 교수방법의 다양화 및 무용교육자의 질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졸업 후 진로 선정과 학생들의 사고확장 및 창의성을 위한 타 분야와의 연계수업 및 교류의 필요에 대하여 토로하였다. 무용전공 졸업생들이 진로를 개척하여 다양한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타 분야의 연계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전문 지식을 배양시키고, 진로에 관한 다양한 경험과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겠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생들을 위한 교육이 이뤄져야 하며 결론적으로 지향되어야 함을 토로하였다. 또한 좋은 교육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지도자와 학습자간의 상호보완적인 소통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살펴보았을 때 앞으로의 대학 무용교육은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지도자와 학습자는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상호보완적인 소통을 위해 노력해야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교육과정이 세분화되지 못하고 실기 이외의 과목이나 분야에서의 부족함을 살펴 볼 수 있었으며 체계적인 형태의 교육과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유사 연구에 있어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연구결과와 반성적 고찰을 통해 변화된 시대의 요구에 부합되는 적절한 교육과정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대학 무용교육, 무용교육과정

      • 시각예술의 융합문화예술교육 연구

        소유미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Knowledge, creativity, and imagination are becoming a vital growth engine for the society, culture and economy. The era of integration encompassing diverse disciplines such as humanities, society, science, arts, education, and economy requires communication between a variety of fields and disciplines. The world is becoming increasingly globalized and transforming into a society where many different cultures and values?co-exist; it requires sensibility, creativity and ability to communicate and integrate ― besides intellectual abilities ― and education to cultivate such capabilities.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has also spurred mind-blowing changes in the sphere of arts. The changes in arts have shifted the genres, production modes, and areas into integrative methods, and new online-based artistic formats have emerged by absorbing and transforming the features of existing arts influenced by digitization. It has brought about a new paradigm in cultural-artistic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following abilities is expected through integrative access across diverse fields and disciplines: communication capabilities, open thinking and creative imagin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s announced its STEAM education revitalization policy, an integration of science, technology and arts education policy (2009). It has expanded its intial focus from higher education of at least college level and a small number of gifted children to all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after 2011. However, the convergence education has remained at its superficial level, without clear definition or models for STEAM education, suitable for Korea's educational environment. Currently, the Korean Culture and Arts Education Agency, which is in charge of cultural-artistic education policy, is conducting convergence cultural and arts education, in collaboration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However, it tends to focus on school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cultural-artistic education is not being actively implemented in reality due to a lack of basic research. In addition, interconnection with various cultural infrastructure for convergence cultural-artistic education is not being actively executed. Due to insufficient amount of appropriate contents and programs, the various public offering projects with private institutions have not been effective in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cultural-artistic education policy, due to absence of its continuity. As such, this study is intended to reflect on today's' cultural-artistic education in Korea in the era of the 21st century, which is characterized as change and integration in cultural-artistic education, following the paradigm shift in the arts. Also, the research is aimed at examining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new concept, expanding the vision of current integrative education, and exploring the convergence cultural-artistic education for visual arts with new perspectives.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cultural-artistic education, this study will look at actual programs of integrative nature in the existing socio-cultural art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TEAM education, garnering substantial interest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ena. Also the study will suggest methods for revitalizing the convergence cultural-artistic education, based on the accumulated outcomes of the current socio-cultural arts education policy. Furthermore, the study strives to lay the academic and policy framework for overall convergence cultural-artistic education through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 dedicated to convergence cultural-artistic education that addresses the issues with current policy. Also, the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strategies for active communication among all relevant parties, such as schools, students, artists, educational experts, and cultural and welfare infrastructures, through establishment of online and offline networks and further revitalization. Establishment of networks will expand the convergence cultural-artistic education and boost its accessability. It seeks to achieve a qualitative growth of the education through expansion and revision of the existing arts instructors support projects. The method of pursuing growth for instructors and artists, as well as students, will lead to qualitative growth of convergence cultural-artistic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lay the solid groundwork for convergence cultural-artistic education through the following: a long-term vision of government's convergence cultural-artistic education; academic exchange and networking among public institutions, academia and private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excellent educational practices through establishment of an integrative system for instructors and educational programs. 지식, 창의성, 상상력이 사회·문화·경제에 있어서 중요한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인문, 사회, 과학, 예술, 교육, 경제 등의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시대의 등장은 다양한 분야와 학문 간의 소통을 필요로 한다. 세계는 점차 지구촌화되어가며 다양한 문화와 가치가 공존하는 사회로 변화하고 있으며 지적 능력만이 아닌 감수성과 창의성, 소통과 융합의 능력이 중요하며 또한 이러한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교육이 요구된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예술의 영역에도 놀라운 변화를 초래했다. 예술의 변화는 장르, 생산양식, 지역이 모두 융합적인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디지털화의 영향으로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예술 형식들이 기존의 예술의 특성들을 흡수, 변형하여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야기하였고, 다양한 분야와 학문 간의 융합적 접근을 통해 소통의 능력, 열린 사고, 창의적 상상력 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과학기술과 예술의 융합교육정책인 STEAM교육활성화정책(2009)을 공포했다. 주로 대학 이상의 고등학문과 소수의 영재들 중심에서 2011년 이후에는 전체 초.중등교육으로 대폭 확대하였다.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 교육환경에 적합한 STEAM교육에 대한 정의와 모형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채 표면적으로만 융합교육이 시도되고 있다. 현재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와 과학창의재단과 협력하여 융합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고 있지만 학교교육에 치우쳐 있고, 기초연구부족으로 실제 현장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융합문화예술교육을 위해 다양한 문화기반시설과의 연계 역시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적절한 콘텐츠나 프로그램이 부족한 상태이며 민간기관에서 참여하는 다양한 공모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연속성의 부재 또한 융합문화예술교육의 정책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예술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의 변화와 융합으로 대변되는 21세기 시대성을 통하여 현재 우리의 문화예술교육의 위치를 되짚어 보고, 새로운 개념의 융합인재교육에 대하여 고찰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융합인재교육의 비전을 확장시키고 시각예술을 중심으로 하는 융합문화예술교육에 대하여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살피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된 문화예술교육 연구내용을 기반으로 최근 국내외적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는 STEAM교육을 바탕으로 기존의 사회문화예술교육에서 융합적 성격을 지닌 프로그램 사례를 살펴보고, 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흐름을 통하여 융합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현 정책의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융합문화예술교육 전담기관 설립을 통하여 융합문화예술교육 전반에 대한 학술적, 정책적 토대를 다지고, 온·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축을 통하여 학교, 학생, 예술가, 교육전문가, 문화기반시설 및 복지시설 등 융합문화예술과 관련된 모두가 다양한 소통을 이루고 더욱 더 활성화 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네트워크의 구축은 융합문화예술교육의 확산과 함께 접근성을 높이게 될 것이다. 기존의 예술강사지원사업의 확대·개편을 통하여 융합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고자 한다. 학생만 배우고 성장하는 교육이 아닌 교사와 예술가 모두가 각자의 성장을 추구하는 방식은 융합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이끌 것이다. 정부의 융합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장기적인 비전의 구축과 함께 공공기관과 학계, 민간단체간의 학술적 교류와 네트워크 구성, 강사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통합적 시스템 구축을 통한 우수교육사례의 구체화 등을 통하여 융합문화예술교육의 튼튼한 토대를 다지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미중 전략 경쟁 시대 한일 경제안보 전략 비교 연구 : 공급망 정책을 중심으로

        소유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일본과 한국의 경제안보에 관한 정책을 비교하고 양국 정책의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트럼프 행정부 이후 미중 전략 경쟁은 심화·장기화 되었고, 코로나 팬데믹,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이어서 발발함에 따라 경제안보를 뒤흔드는 일이 잇따라 일어나 글로벌 공급망은 위기에 빠졌다. 나아가 최근 첨단 기술의 발전 등 복합적인 이유로 인해 경제안보가 주목받게 되었다. 각국은 이러한 경제안보 위기에 대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일본과 한국도 마찬가지로 경제안보 정책을 내세우고 있다. 경제안보란 모호한 개념으로 하나의 공통된 정의가 정해져 있지 않다. 그 개념을 사용하는 입장에 따라 의미도 달라지지만 일본에서는 대체로 ‘국익을 경제적 수단으로 확보한다’, 한국에서는 ‘경제성장 수단’, ‘경제와 안보의 융합’이라는 인식을 갖고 사용되고 있다. 일본은 이른바 ‘경제안전보장추진법’을 통해 자국의 경제안보를 지키는 큰 틀을 제시했다. 반면 한국도 공급망 3법을 현재 준비 중이고 한국은 분야별로 경제안보와 관련된 사안에 대응해 나갈 태세다. 보다 상세한 정책 내용으로는 리쇼어링이나 프렌드쇼어링에 의한 공급망 재편 움직임을 볼 수 있었다. 일본 대표적 정책으로써 거액의 보조금을 사용한 리쇼어링, 프렌드쇼어링 장려를 추진하고, 한국은 이미 실시하고 있던 국내 복귀에 관한 정책의 규제를 완화함으로써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한국보다 광의의 리쇼어링 개념을 사용하기 때문에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그럼에도 일본과 한국에서는 리쇼어링 수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화웨이 규제와 관련해서도 일본에서는 정부가 미국과 동조하는 형태로 해당 제품의 사용 금지를 발표하거나 기업도 정부와 조율하여 화웨이 제품 사용을 자제하는 등의 대응을 취했다. 반면 한국 정부는 사용 여부에 관해 직접적인 언급을 회피하며 기업 대응에 관해서도 화웨이 제품 사용을 계속하고 있는 등의 차이가 있었다. 더욱이 미국이 주도하는 IPEF 나 CHIP4 에 관한 양국의 대응에서도 일본은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미국에 협력적인 태도를 취해왔다. 반면 일본보다 중국에 상대적으로 의존도가 높은 한국에서는 중국을 의식해 보다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양국 모두 경제안보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공급망 재편 등은 기업의 경제활동 영역이며 정부 단독으로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그래서 기업 입장도 잘 살펴봐야 정책이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기업 입장에서도 이득이 있는 정책을 시행해야만 정책이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한일 양국 모두 중국에 대한 리스크는 분명히 존재하지만 지리적 관점에서 교역량이 많아지는 것은 필연적이다. 따라서 공급망 재편을 실시하고, 리스크 회피를 위한 행동은 최소화하는 데 주의가 필요하다. 나아가 한국과 일본이 비슷한 입장에서 중국과의 공급망 재편을 협력적으로 실시하고 양국에서 주도권을 취해감으로써 보다 의미 있는 협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economic security strategies of Japan and South Korea, exploring the impact of their respective policies.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 the U.S.-China rivalry escalated, and amid this tension, the Russia-Ukraine conflict and COVID-19 pandemic have further destabilized economic security and global supply chains. Additionally, the rise of cutting-edge technologies has thrust economic security into the limelight. In response to these crises, nations have developed various policies, with Japan and South Korea actively promoting their approaches to economic security. The concept of economic security is complex and lacks a universal definition. In Japan, it's often understood as “securing national interests through economic means”, while in South Korea, it's associated with “economic growth” and the “integration of economy and security”. Japan has legislated the ‘Economic Security Promotion Act’ to safeguard its economic interests. Conversely, South Korea is formulating the Supply Chain 3 Act to address economic security by sector. Both countries are focusing on supply chain restructuring via reshoring and friendshoring. Japan incentivizes reshoring and friendshoring with substantial subsidies, whereas South Korea aims to streamline supply chain reorganization by easing existing domestic return policies. Japan's reshoring approach is broader than South Korea's, making direct comparisons challenging. However, the difference in reshoring numbers between the two is notable. Regarding Huawei, Japan aligned with the U.S. ban, with companies following the government's lead. South Korea's government has refrained from commenting on the ban, allowing companies to continue using Huawei products. In engaging with the U.S.-led IPEF and CHIP4 initiatives, Japan has been relatively cooperative early on, while South Korea has exhibited caution, given its greater economic reliance on China. While both nations are actively pursuing economic security, supply chain reconfiguration is ultimately a corporate decision and cannot be solely dictated by government policies. For policies to succeed, they must align with business interests. Despite the risks associated with China for both countries, geographical proximity suggests that trade volumes with China will likely grow. Supply chains should be restructured by identifying critical exclusions to minimize risk-averse behavior. Additionally, as Japan and South Korea share similar positions, they could benefit from joint discussions and cooperative implementation of supply chain reorganization, leading initiatives in both nations.

      • 明治日本における朝鮮表象 : 知識人の朝鮮観を中心に

        도코로 유미 忠南大學校 2012 국내박사

        RANK : 247327

        본 논문은 명치시대의 조선에 관한 표현 및 형성된 시대적 배경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둔다. 다루는 연구범위는 명치유신 후부터 한일합방 사이에 편성된 조선에 관련된 기술들이다. 눈문 본론부분은 3부로 구성된다. 먼저 제1부에서는 당시 총합잡지 중 조선에 관한 기사를 최대한 많이 개제한 잡지 “태양”의 조선관련기술을 다룬다. 총합잡지 “태양”은 그 때까지 있었던 기성의 차별적인 조선관을 집대성하고 대대적으로 전파한 초대형 미디어인 점에서 잡지에 실린 지식인의 조선관 연구에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 본다. 또한 조선에 관한 지식이 유입된 과정을 고찰하는데 절대로 묵과할 수 없는 중대한 요지가 있다. 첫 번째로는 막부말기부터 명치 초기에 걸쳐 정부나 관공서가 조선에 관한 지식을 절실히 필요로 했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는 조선에 관한 저작은 영어나 난어(蘭語) 등에 능한 지식인들로 인해 편제됨으로써 그들의 식견이 고스란히 반영되게 되었다는 점이다. 최대의 문제는 원래 1875년 강화도조약 체결 당시 일본은 조선에 관한 지식이 미미한 수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어찌 명치시대 문명론자들이 조선을 “아시아주 (洲) 중의 한 야만국”이라 간주하게 되었는지 그 이유이다. 제2부는 계몽주의자나 미디어에 의해 서양에서 유입된 언설이 “문명개화”란 개념을 거쳐서 조선에 관한 마이너스 이미지를 어떻게 만들어 갔는지 검토한다는 목적으로 당시를 대표하는 언론인 후쿠자와 유키치와 세계적 베스트셀러 “무사도(武士道)”의 저자인 식민지론자 니토베 이나조 (新渡戸稲造)의 조선관에 대해 언급했다. 니토베 이나조 “고사국 조선 (枯死国朝鮮)”과 같은 문제작이라 불리는 작품을 여기서 취급하는 데는 큰 이유가 있다. 예를 들면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된 “무사도”의 저자인 니토베의 “고사국 조선”에 대해 공감을 느끼는 사람은 전혀 없을 것이다. 그토록 황당무계하고 일그러진 조선 표상이 당시 제일가는 지식인이자 식민 정책론자라 불린 니토베의 두뇌로 어떻게 구성해내었는가는 단순히 “고위층 사람이 만들어낸 언설”내지 “시류의 흐름”탓만으로 돌리기에는 결코 묵과할 수 없는 중대한 문제이다. 먼저 그 점을 명백케 하기 위해서 제2장에서는 니토베의 식민정책이론과 그 이론의 기반이 되는 영국과 프란스의 식민정책이론을 접하고 “니토베 이나조 전집”에서 언급되는 정책론 뿐이 아니라 그곳에 나타난 특유한 표현방법에 대한 분석을 제일단계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밟아 “고사국 조선”에서의 문제적인 표현을 새로 고찰하였다. 마이너스적인 이미지란 ‘표상’은 그것에 의해 표현되는 지역에 속한 주민에게 심리적인 고통을 느끼게 한다. 조선의 마이너스적인 이미지도 마찬가지다. 이 장에서는 그것이 어떻게 구성되어 가는지 바꿔 말하면 니토베가 반복하는 표현에서 어떤 레토릭을 찾아볼 수 있었고 그 레토릭에 쉽게 걸려들고 마는 당시 일반인들의 인식구조의 맹점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어서 제 3부에서는 제1장에서 나쯔메 소세키 “만한 도꼬로도꼬로 (満韓ところどころ)”와 “만한 기행일기(満韓紀行日記)”를 다룬다. 이것들은 소세키가 당시 만철(満鉄)회사 총재 나까무라 요시꼬토 (中村是公)의 초청을 받아 만주 현지에서의 견문을 기재한 것이기도 하다. 특히 “만한기행 일기”는 “만한 도꼬로도꼬로”의 불확실한 부분을 채워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그 의의와 가치가 크다. 아울러 이들 작품에서는 소세키의 중국관이나 조선관을 옆볼 수 있고 당시 일본인 지식인의 이문화체험(異文化体験)이나 중국・조선관이 어떤 것이었는지를 살펴보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만한 도꼬로도꼬로”에 있어서는 차별적인 표현도 적지 않으나 그것을 해석하는데 있어서는 만철회사를 둘러싼 정부와 육군, 외무성의 대립관계 등 만철회사를 중심으로 복잡한 사정이 복층적 (複層的)으로 엉켜 있었을 가능성이 높아 그와 같은 소세키 쪽의 사정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월래 소세키가 “만한 도꼬로도꼬로” 집필한 진정한 이유를 밝히기 위해서는 먼저 나까무라가 소세키를 만주에 부른 핵심적인 이유를 확실히 알아야 한다. 소세키가 만한여행에 출발한 동기는 소세키 쪽엔 거의 없었고 그것이 소세키를 부른 나까무라 쪽에 명백히 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취지에서 만철회사 총재인 나까무라의 입장과 그를 중심삼은 만철회사 자체에 대한 파악, 만철을 둘러싼 내외정세를 중심으로 검토했다. “만한 도꼬로도꼬로”에 관한 의문점은 “만한 도꼬로도꼬로”와 “만한기행 일기”를 비교 대조하고서야 비로소 알아차릴 수 있는데 의문은 소세키가 스스로 자신의 견해나 생각들을 숨긴 것 처럼 보이는 표현이 자주 나타나 있는 것에서 비롯된다. 이와 같은 도회(韜晦)를 소세키가 작품중에서 의도적으로 했다면 반드시 이유가 있어야 하며 어떤 상황에서 소세키의 만한행이 진행되었는지 소세키 쪽의 사정을 가급적 접근하도록 힘썼다. 다음 제3부 제2장에서는 명치시대 최고의 문호이기도 한 소세키 소설의 조선에 관련된 표현에 대해 고찰했다. 그 소설들에는 조선이 나오기는 하나 이것은 일본인 등장인물로 하여금 조선에 관한 사물에 언급케 하는 간접적인 묘사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제아무리 간접적인 묘사라도 소세키문학은 “소설의 식민지”라 할 만큼 ‘식민지주의적인 상상력을 매개로 한 당시 국민국가적인 감성과 공명하는 것’을 어떻게든 인정할 수 밖에 없다. 이 장에서는 이상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 소세키의 조선묘사 배경을 이루는 시대상과 그 문제점을 당시의 미디어 기사를 통해서 부각시키는데 하나의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이 시기는 제도적・사회적 등 여러 면에 있어서 일본역사상 미증유한 대개혁이 행해진 시기이기도 하다. 여기서는 이런 시대상이 소세키의 조선관에 어떤 영양을 미치며 아울러 소세키의 제국주의적 식민지주의에 대한 친화성이 어떤 것이었는지를 고찰했다. 텍스트가 편성될 때까지의 프로세스를 검증하기만 하면 조선에 마이너스・이미지를 가져온 당사자나 그 시대의 책임이 면책될 수 있다는 생각은 절대로 허용될 수 없는 일이다. 즉 여기서의 가장 큰 문제는 텍스트 배후의 역사나 문화가 생성된 과정에 대한 핵심적인 해명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것이 애매모호한 채 그대로 방치되는 것과 다를 바 없다는 것을 한번 더 확인하고 싶다. 물론 그런 점이 충분히 고찰된 텍스트도 있으나 그것은 일부에 불과한 것이고 문제의 텍스트는 거의 문제가 무엇인지 또한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아직도 불명료하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며 이로써 비롯된 인근 아시아지역 사람들의 불쾌감에 일본인의 심정적인 무지한 상태가 향후에도 오래 계속 되어서는 결코 안되는 일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behind the expressions related to Korea used during the Meiji period (1868-1912), as well as how they were formed. The area of research that this paper will discuss involves the Japanese accounts of Korea compiled between the Meiji Restoration (1868) and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1910). This paper is structur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part will discuss the accounts concerning Korea published in the Taiyo (Sun), which was the magazine that covered Korean issues the most among the general magazines of the time. The Taiyo magazine has a special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was a giant magazine that propagated information in such a way that the course of discriminatory views toward Korea present until then was carried on. There are two key points that cannot be overlooked when examining how knowledge concerning Korea came into Japan. Firstly, there were political circumstances between the closing days of the Tokugawa shogunate and the early Meiji era in which the government and government offices sought knowledge on Korea. Secondly, because documents on Korea were produced with intellectuals excelling in English or Dutch serving as intermediaries, knowledge on Korea came to directly reflect the views of the Dutch and English scholars. To begin with, Japan’s perception of Korea in 1875, when the Kokato Treaty was concluded, was that “Japan shall not refer to Korea as a truly independent country.” However, the biggest question here is that despite the fact that knowledge concerning Korea was not abundant in this period, why did those that advocated for civilization during the Meiji period, such as Yukichi Fukuzawa, deem Korea to be “a savage country within Asia”? Therefore, in order to examine how statements by Yukichi, among other luminaries, and discourses from the west brought in through the media, such as magazines, created a negative image of Korea through the concept of ”Westernization” and with what purpose,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will be concerned with the accounts on Korea made by Yukichi, who was an intellectual that represented that era as well as a critic, and by Inazo Nitobe, who is known for his book, Bushido: The Soul of Japan. As it happens, there is a major reason why controversial pieces such as Koshikoku Chousen (Withering Country, Korea) by Inazo Nitobe need to be discussed here. This is because people from the Japanese side have yet to develop an emotional understanding as to why Koreans and Chinese people feel pain, bitterness and discomfort when they read such works even now. I believe that we, as Japanese people, not only need to take a step further to understand what the fundamentally problematic area is – and not just with this work –but we also need to clarify where the responsibility truly lies. Regarding the Koshikoku Chousen, written by Nitobe, who also wrote the international bestseller Bushido: The Soul of Japan, surely there is no one who can wholeheartedly agree with its content, which can be described as preposterous. The issue as to why such an expression of Korea, which can only be characterized as distorted, was created by Nitobe – who was an eminent colonization policy expert and was supposed to be one of the greatest intellectuals at the time – is something that cannot be simply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y were the statements from the top” or that he was “swayed by the trend of the times”. Therefore, in order to first clarify this point, the second chapter will firstly analyze the discussion of political measures and expression methods used in the Nitobe Inazo Zenshu (The Complete Inazo Nitobe Collection) (Kyobunkwan, 1970) as well as patching together Nitobe’s colonization policy theories with the British and French colonization policy theories which formed the basis of Nitobe’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e chapter will proceed to analyze and examine anew the problematic expressions used in Koshikoku Chosen. It goes without saying those expressions which create a negative image cause immense psychological pain to people who belong to the country or the region that such expressions describe–the holds true for the negative portrayal of Korea. In this chapter, in order to find how such expressions are formulated, rhetorics that are present in the expressions that Nitobe repeatedly used are brought to light. This chapter also places an emphasis on understanding what the cognitive structure of the general public at the time was like—a public prone to succumbing to such rhetoric. Through further related research, the thorough clarification of the formation of expressions concerning Korea and their process of acceptance are certainly thought to be necessary for the prospect of a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n the future. In the first chapter of the following third section, Soseki Natsume’s Man-Kan, Tokoro-dokoro (Here and There in Manchuria and Korea) and Man-kan Kiko Nikki (Diaries of Travels in Manchuria and Korea) are discussed. These two works recorded the period in which Soseki travelled to Manchuria and Korea after being invited by Yoshikoto Nakamura. Research on Man-kan Kiko Nikki especially has immeasurable significance and value, considering that it also supplements the understanding of Man-Kan Tokoro-dokoro. Furthermore, from these works one can catch a glimpse of Soseki’s views on China and Korea, making these works a valuable record for examining the cross-cultural experiences and the views on China and Korea of Japanese intellectuals at the time. As for Man-Kan Tokoro-dokoro, there are quite a number of discriminatory problematic expressions within it.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multi-tiered circumstances exist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s of the expressed content that cannot be grasped by a single perspective. In order to clarify the motives for writing Man-Kan Tokoro-dokoro (Here and There in Manchuria and Korea), one first needs to understand the primary reason why Yoshikoto invited Soseki to Manchuria. This is because it was not Soseki himself who had much of a motive to travel to Manchuria and Korea, but Yoshikoto who had a strong motive for inviting Soseki. With such an objective, this chapter will focus on grasping the position of Yoshikoto as the president of the South Manchurian Railway as well as the South Manchurian Railway itself, in which he played a central role, along with an examination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state of affairs concerning the Railway. Furthermore, there are other peculiar points in Man-Kan Tokoro-dokoro. These peculiar points are points that the readers will notice when they compare Man-Kan Tokoro-dokoro and Man-kan Kiko Nikki; which arise from the fact that, in actuality, expressions that could only be thought of as concealing content that Soseki heard, observed, or thought of, could be seen throughout Man-Kan Tokoro-dokoro. If such concealments were made intentionally by Soseki within his works, there must be a reason behind them. Therefore, the situation on Soseki’s side – the circumstances in which Soseki went to Manchuria and Korea – should be clarified. In chapter two of the third section that follows, the expressions related to Korea that appear in novels by Soseki, the greatest writer of the Meiji period, are examined. For example, although Korea is mentioned in his works Mon (The Gate), Sorekara, (And Then), and Higan Sugi Made (Until After the Spring Equinox), Korea is described in the indirect form of Japanese characters discussing things related to Korea while still being in Japan. Nevertheless, even with such indirect descriptions, research and examination of expressions concerning Korea within the novels of the eminent writer Soseki provide important clues when conducting an overview of the image of Korea among literary scholars of the time. In Soseki’s literature, one has to recognize “the colony of the novel” as described by Oshino, which is “something within personal sensibility thought to be unrelated to the actual politics that resonates with the nation state-esque sensibility of the time, with colonialist imagination serving as a medium”. One objective of this chapter is, using the media articles of the time, to highlight the social climate behind Soseki’s depiction of Korea that shows the above characteristics and said climate’s problems. Furthermore, this period overlaps with the period in which a major revolution –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policy and society – unprecedented in Japanese history, took place. This chapter also examines how such social climates, conversely, affected Soseki’s perception of Korea and considers how strong his affinity toward imperialism and colonialism was. The above is the overview of this paper’s composition. While Japanese literature during the Meiji Period was a recipient of expressions on Korea, it was also a transmitting body. On top of it all, there is a reason behind the necessity of conducting further research including the previous work above. Investigat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text is composed by no means exempts both of the parties concerned and the era in which the negative portrayal of Korea took place from responsibility. I would like to affirm once again that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history and the culture behind the text were generated should not remain unclarified and left in an ambiguous state, which is the biggest issue here. That being said, there are probably Korean texts which have sufficiently examined such points. However, these points are not everything. It must be said that it is still unclear as to what exactly is problematic about controversial texts (or many of them), and the emotional ignorance of the Japanese people as to why people of Asian countries neighbouring Japan feel upset by such texts should not continue to last into the future for l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