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시 준주거지역내 주상복합아파트 단지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 -단지경계부 및 기반시설현황-

        성주희 고려대학교 공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Borderland of Mixed-use Apartment Complex by Semi-residential district of Seoul Sung, Joo-Hee Dept.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 Technolgy Advised by Prof. Lee, kyung hoon Korea's population was centralized in large cities due to industrialization in the 1970s. And especially in Seoul, the more concentrated the population is, the higher the demand for housing is. This rapid demand for housing has brought the problem of housing site shortage in Seoul. And this caused the land prices in Seoul to rise, so that the government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esperately needed policies for stopping the price going up. In response, the government expanded the housing supply by developing a new city in the outskirts of Seoul. Meanwhile, as part of resolving the housing and housing site shortag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pproved the simplified licensing process if apartments, which were only allowed in residential areas, were built in commercial area as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facilities, so called Mixed-use Apartment Complex, below a certain housing size. In the 1990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expanded what was allowed only in commercial area to semi-residential areas and focused on the quantitative supply of housing in Seoul. However, experts have been concerned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in securing infrastructure for Mixed-use Apartment Complex in commercial and semi-residential area because of the simplified licensing process which is only weighing up the business feasibility and uncomplicated approval system compared to the standard aparment in residential area. Previous studies mainly studied the problems of Mixed-use Apartment Complexes in commercial areas and presented the analysis results. So, this research attempts to identify problem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actual infrastructure condition of Mixed-use Apartment Complexes in the semi-residential area of Seoul. In order to find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facilities for Mixed-use Apartment Complex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atio of facilities’ direct contacts along the boundary of Mixed-use Apartment Complexes and the number of infrastructure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enter of it, quantified the collected data and analyzed them. First, to look for the components directly facing the boundary of the Complex, this study classified surrounding infrastructures by Complexes’ sizes which is the number of housing and completion times of the Complexes and compared them by converting the sum of the lengths into a ratio. Second,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us of infrastructure within a radius of 500 met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umber of facilities related to residents' convenience, education, and welfare set in advance before the survey. Likewise, the surveyed data were classified by Complexes’ sizes and completion times and converted into the number of facilities per Complexes for comparing th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atio of roads and residential facilities directly facing the boundary of the complex was high, but the ratio of space (park, square) was low. And the number of infrastructure seemed to meet the childcare environment, but the number of public facilitie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as relatively low, which means that a lack of necessary facilities for a continuous educational environment was expected. In addition, the result of analysis confirmed the problem of infrastructure satisfaction of the small complex through the data that the components adjacent to the boundary of the complex decreased as the smaller the complex, when comparing before and after 2003 by size. In addition, infrastructure within a radius of 500 meters is expected to have problems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residents of medium-sized complexes, as the majority of factors have decreased in medium-sized complexes. In particular, the lack of public facilities such a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hows that infrastructure due to population growth is not satisfied.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is, it seems necessary to review the standards for business approval under the current Housing Act, and when the development of residential-commercial apartments is approved, the standards for installation of auxiliary welfare facilities or infrastructure in the 「Regulations on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etc.」 seems to have to be applied. In addition, the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secure facilities that accommodate the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local education office to cope with the shortage of educationa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국문요약 우리나라는 1970년대 산업화로 대도시로 인구가 집중되었고 특히 서울의 경우 인구 집중이 가중되었고 이로 인해 주택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급격한 주택 수요로 인해 서울의 택지 부족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러다 보니 서울의 토지가격은 상승하였고 정부와 서울시는 이에 대한 정책이 절실하게 필요하였다. 이에 정부에서는 주택 및 택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가가 높은 서울을 대체하기 위해 서울의 외곽도시에 신도시를 개발하여 주택공급을 확대하였다. 한편 서울시에서는 주택과 택지 부족 해결의 일환으로 주거지역에서만 허용하던 공동주택의 아파트를 서울시 상업지역에도 일정 규모 이하로 주거와 상업시설을 복합용도로 건립할 경우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여 승인하였다. 1990년대 서울시는 주상복합아파트에 대해 상업시설에만 허용하였던 것을 준주거지역까지 확대하며 서울시의 주택의 양적 공급에 치중하였다. 그동안 서울시의 양적 공급을 위해 상업지역 내 건립된 주상복합아파트에 대한 일반 아파트의 사업계획승인 절차보다 훨씬 간소화하면서 사업성만 고려하여 건축허가만으로 사업계획을 승인하다 보니 이에 따른 주상복합아파트 단지의 기반시설 확보 문제가 많다는 전문가들의 우려가 많았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상업지역 내에 건립된 주상복합아파트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연구하고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준주거지역 내 주상복합아파트 단지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준주거지역 내 건립된 주상복합아파트 단지 경계부와 주변시설이 직접 접하는 비율과 단지 경계부로부터 일정거리내에 위치한 기반시설수를 조사하는 등 기반시설 실태를 파악하여 수집된 자료를 정량화하여 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첫째 단지 경계부에 직접 면한 구성요소들은 접한 길이들을 조사하여 단지규모별, 완공시기별로 분류하고 길이의 합을 비율로 환산하여 규모별, 시기별로 비교분석을 하였다. 둘째 반경 500미터이내 기반 시설 현황은 조사 전 미리 설정한 주민편의, 교육, 복지 등과 관련된 시설들의 개수를 조사하였다. 마찬가지로 조사한 데이터를 단지규모별, 완공시기별로 분류하고 단지 당 시설수를 파악하여 규모별, 시기별로 비교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단지 경계부에 직접 면해 있는 도로와 주거시설의 비율은 높지만 공간(공원, 광장)시설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고 기반시설의 수는 보육시설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여 보육환경을 충족하는 듯 보였으나 공공시설(초등학교, 중학교)의 시설수가 비교적 낮게 나타나 지속적인 교육환경에 필요한 시설의 부족이 예상되었다. 또한 규모별로 2003년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였을 때 단지 경계부에 접해있는 구성요소들이 소규모 단지일수록 감소한 양상을 보여 소규모 단지의 기반시설 충족성에 대한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반경 500미터이내의 기반시설은 중규모 단지에서 대다수의 요소들이 감소한 것으로 보아 중규모 단지 거주자들의 주거환경의 문제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공공시설인 초등학교, 중학교의 부족은 인구증가에 따른 기반시설은 충족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행 주택법상 사업승인대상에 대한 기준을 재검토 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주상복합아파트의 개발 승인 시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의 부대복리시설 설치기준이나 기반시설의 설치 기준을 적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분석결과에 따라 교육시설 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해당 지자체 교육청과의 협의를 통해 증가하는 학생 수를 수용하는 시설 확보를 위한 검토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성주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ied the mediated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in college stud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purpose, 470 college students(male 204, female 266) were asked to respond the survey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Ego-resilience scale,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and Subjective well-being Scale. This study used SPSS 17.0 program and AMOS 18.0 program for analysis of study question established. Result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confirm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The result suggested that self-oriented perfectionism had a positive correlation 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ego-resilience, achievement motivation, subjective well-being. Bu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ego-resilie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Seco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link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ego-resilience, achievement motivation. The result self-oriented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subjective well-being. Thir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supported a partial mediation effecting of ego-resilie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direct effects of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motivation not captur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Study results of the individual, while maintaining an adaptive resource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to promote feel subjective well-being will help. That is the clinical implication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성취동기가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지역,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470명(남자 204명, 여자 26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도구는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성취동기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자기지향 완벽주의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아탄력성, 성취동기, 주관적 안녕감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자기지향 완벽주의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성취동기의 매개 모형을 설정한 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17.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지향 완벽주의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아탄력성, 성취동기, 주관적 안녕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각 주요변인들에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자아탄력성, 성취동기와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주관적 안녕감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 그리고 자아탄력성과 성취동기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자아탄력성, 성취동기는 주관적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주관적 안녕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과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한 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자아탄력성과 성취동기를 거쳐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적응적 성향의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개인의 자아탄력성과 성취동기의 특성이 효과를 매개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가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대학생들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경험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완벽주의 성향의 내담자가 가진 적응적 기능의 자원을 유지하면서 긍정정서나 삶의 만족을 증가시키고, 부정정서를 감소시키기 위한 치료적 개입을 시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충남 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도

        성주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충남 아산 소재 초등학교 210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의 현황,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및 영양지식을 조사하였다. 영양교육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교사는 83.8%로 대부분 관련교과시간에 강의식 수업방식으로 교육을 실시하였고, 영양교육방식으로 비디오시청과 요리실습을 희망하였으며, 영양 교육 시 주로 VTR 영상자료와 교과서를 활용하였다. 학습 자료나 기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영양교육 자료와 기자재 부족이었다. 수업에 대한 자료는 인터넷과 교사용 지침서를 통하여 얻으며, 영양 교육 시 올바른 식습관과 편식교정에 중점을 두고 영양교육을 실시한다고 하였다. 교사들이 영양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이유는 영양관련 교과목이 정규과정에 없고 과다한 업무 때문에 영양교육을 실시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대부분 (79.5%)의 교사는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영양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학생의 적절한 성장 발육을 위해서’라고 하였다. 영양교육의 담당자로는 담임교사, 학교급식 영양사 및 영양교사, 학부모 순으로 적합하다고 답했으며, 영양교육의 독립교과목 설치에는 반대의견이 대다수 (89.5%)였다. 초등학생의 식생활에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편식이며, 영양교육에서 반드시 다루어야 할 내용과 이에 따른 기대효과는 올바른 식습관이라고 답했다. 영양교육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는 가정과 연계지도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영양지식 점수(10점 만점)는 영양소영역이 5.80점, 위생영역이 6.92점, 건강영역이 6.63점 이었다. 식습관은 어릴 때부터 형성되므로 가정과의 연계지도체계를 마련하여야 하며, 효율적인 영양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 자료와 매체 및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행동변화단계에 맞게 맞춤식 영양교육이 필요하며 전문가인 영양교사가 영양교육을 담당 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겠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nutrition education by elementary teachers in Chungnam. Majority of the teachers have done nutrition education in nutrition-related classes and favored video program relating nutrition and cooking for teaching. Textbook and video programs were mainly used as a teaching tool for nutrition education by the teachers. The reason why the teachers have not used study materials or facilities for nutrition education was because they were not provided enough. Main sources for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were from internet and teachers' guide. When the teachers taught nutrition, they focused on good eating habits and on correcting unbalanced diet. The reason for teachers' not doing nutrition education was because it was not included in the regular curriculum, and because they had too much extra work. Most teachers (79.5%) were recognizing that nutrition education was necessary for students’ proper growth and development. They considered homeroom teachers, school dieticians or nutrition teachers in order as right persons for nutrition education. And 89.5% of the teachers opposed opening nutrition education class independently. They thought that the biggest problem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etary life was unbalanced diet which was required to be taught for correction. The most effective way to teach nutrition was answered to make a system to guide students under the cooperation of their parents.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 were 5.8 out of 10.0 for the nutrients, 6.92 for food hygiene, and 6.63 for the health. Since an individual’s eating habit is cultivated from his/her childhood, the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under parents’ cooperation, and various study materials, facilities/devices, media and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In addition, a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has to be set up so that nutrition teachers can teach according to the students’ act change levels.

      • 회화에 있어 정서순화를 위한 동양사상의 여유로움에 대한 연구

        성주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고찰은 오늘날의 휴머니즘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인류가 있은 이래 등장한 휴머니즘 사상은 보다 더 나은 인류의 삶을 위하여 계속적으로 변화되었고, 그 결과 오늘날에는 경제적 합리주의라는 사고 속에서 우리는 더 나은 삶을 찾고 있다. 보다 더 '인간답게 살기'위하여, 인류는 많은 이기(利器)들을 생산해 내고 그 속에서 추구되어지는 효율성은 오늘날 우리에게 계속적인 '빠름'을 요구한다. 그 결과 현대인들은 점차적으로 느긋함과 여유를 잃게 되었고, 그것으로 인하여 현재, 현대사회에는 많은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잊혀져 가고 있는 '여유'와 넉넉한 마음을 어디서 다시 끌어낼 수 있을 것인가? 본인은 그 '여유로움의 정취'를 동양의 전통회화에서 발견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있게 한 전통회화의 근본사상인 유교, 도교, 불교로부터 '여유'이상의 맑고 깨끗한 정신세계를 배울 수 있었다. 儒, 道, 佛의 공통사상은 자신을 비우고 그 곳에 더 큰 세상을 담는 것이다. 이에 본인은 그들의 정신을 본인의 작품에 싣고자, 작업에 임하기 전(前)'마음 가다듬기'(心齋) 작업 에 들어간다. 그 마음의 상태(心齋)는 깨끗하고 고요한 허(虛)와 정(靜)의 상태로 본인은 그 안에서 고요한 정막(靜)의 소리를 들을 수 있었고, 그것에 이어 사물의 또 다른 모습과 함께 대상과 하나되어 유희를 즐길 수 있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虛·靜의 상태에서 체험한'고요함의 소리와 대상과의 만남, 속에서의 즐거운 유희를, 오브제를 이용한 화면공간에 일상의 소재들을 매개체로 하여 장식적으로 표현해 나갔다. 본인은 이러한 발상의 전개와 표현과정으로부터 모든 것을 잊고 마음의 잡념을 떨어버리는 '나를 잊는' 무아(無我)의 상태를 체험 할 수 있었으며, 위와 같은 본인의 작업과정은 우선적으로 '나'를 가다듬는 과정이기도 하다. 작가에게 있어 작품의 창작은 또다른 세계의 창조이다. 그리고 그것은 독립된 유기체로서 인간의 영혼을 발전시키고 심화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지고있는 것이기에, 예술가는 어떠한 창작에 앞서 스스로를 다스리고 교육하여야한다. 칸딘스키(W. Kandinsky)는 그의 저서 「점, 선, 면」 에서 자립적·정신적으로 호흡할 수 있는 예술작품의 창조를 위하여 자신의 영혼을 발전시키고 심화시켜나갈 때에 비로소 새로운 영역을 자신의 그림으로 창조해 낼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즉 예술가는 자신의 정신적 고양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나가며 자신을 다스리고 비워나갈 때 그 속에서 진정한 자아와 진리를 찾을 수 있는 것이며, 그 안에서 체험할 수 있는 여유로움과 넉넉함은 작품 제작에 있어 새로운 세계의 창조를 위한 기저(基底)가 되어진다. 그리고 그 여유로움을 바탕으로 한 맑고 깊은 작가의 정신세계는 작가가 표현해내는 이미지를 통하여 관람자들에게 전달되어지며 그것은 또다시 관람자들에게 있어 그들의 영혼을 환기시킬 수 있는 밑거름이 되는 것이다. This thesis has its foundation on contemporary humanism. Humanism has constantly changed for the betterment of human life, and as a result has borne more flourishing lives for the people within today's economic rationalism. In order to live a more 'human-like’ life, the human race has produced many beneficial developments, and the efficiency pursued within these developments commands continuous 'rapidity'. Therefore, people living in the contemporary world are losing patience and generosity, and hence society is facing many social problems concerning this matter. Then from where can we retrieve the leisurely mind and generosity which are being forgotten in our minds? I found the sense of leisurely mind in the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s. Moreover, I was able to learn something more than mere generosity or the leisurely mind; I have discovered pure mentality from the basic concepts of the traditional paintings, namely,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The main idea of these three concepts is to free and empty oneself from greed and prepare oneself to load the mind with a grander world. Thus, in order to transfer the mentality of the traditional painters into my paintings, I go through a ‘mind control’ procedure before launching any of my works. The peaceful and quiet state of mind at this time enables me to hear the sound of silence which eventually allows me to view the objects from different aspects. Moreover, the discovery of jolliness found in experiencing the sound of silence along with that of encountering the objects are expressed in my works with objects using ornamental expressions of the daily life. Through this procedure of extending and expressing my ideas, I was able to experience the state of ‘emptying myself’ enabling myself to free the mind from all trivial matters. The -work procedure mentioned above is in fact a process to first discipline myself. As Kandinsky asserts, an artist should constantly make efforts to cultivate the mind and one can find true ego and virtue through the emptying and controlling of one’s mind. Moreover, the peace of mind experienced during this process will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new world of creativeness. The artist's world of pure and sincere mentality expressed with patience and peace of mind will be transferred to the viewers through the images the artists creates and will also function as the basis to awakening the viewers' spirits.

      • 도서지역 중·고등학생들의 건강행태

        성주희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Health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in Island Regio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total 414 people(middle school 285, men 160, women 125 and high school 129, men 71, women 58) located in Gyeoungsang-Bukdo Ulleung-do from 1th to 30th of November 200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χ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Rate of smoking which the high school was higher men(43.7%) than women(3.4%). In logistic regression, the significant factors for smoking were women(p<0.01), high student(p<0.01), low school score(p<0.01), unsatisfactorily school life(p<0.05), smoking of parents(p<0.01), attending duration of school in Ulleung-do(p<0.01), mental effect by island life(p<0.05), it did. Rate of drink which the middle school was higher women(16.0%) than men(13.8%) but high school was higher men(8.5%) than women(3.4%). In logistic regression, the significant factors for drinking were live together parents(p<0.05), drinking effect by island life(p<0.05), it did. The student who exercises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was higher women than men(p<0.01). The student who 7-8 hour sleeps the middle school was higher men(46.9%) than women(39.2%), but high school was higher women(32.8%) than men(22.5%). The student who eats 3 meals in one day the middle school was higher men than women(p<0.05), but high school was higher women(24.1%) than men(16.9%). The student who intakes eating between meals the middle school and the high school was higher women than men(p<0.01). With obesity degree weight the middle school was higher women(12.8%) than men(9.4%), but high school was higher men than women(p<0.05). In conclusion, the healthy relation problem point which the region area students must be study by various point. In addition, the health policy for region area students, through various ways such as education, consulting, and program, should be employ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