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취업여성의 직장 내 차별경험이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및 성평등 의식의 조절효과

        성은주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87

        국문 요약 취업여성의 직장 내 차별경험이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및 성평등 의식의 조절효과 본 연구는 취업여성의 직장 내 차별경험이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취업여성의 직장 내 차별경험과 일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및 성평등 의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자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하고 있는 여성가족패널(Korean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KLoWF) 8차년도 자료 기준으로 취업여성 4,186명을 표본으로 추출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 23.0과 Hayes(2012)가 개발한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는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 PROCESS MACRO Model Number 1과 4, Bootstrap Analysis 등의 분석방법을 통해 검증했다. 구체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여성의 직장 내 차별경험(ß=-.050, p<.001)이 일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장 내 차별을 낮출 수 있는 다양한 제도와 지원이 필요하다. 조직에서 채용 면접 시 면접관을 여성과 남성의 비율을 일정하게 하고 여성의 소질과 능력에 맞는 업무를 분담하여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직장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의 변화들을 도출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일하는 노동자로서의 여성노동권에 대한 보장이 사회적으로 인정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해두자 한다. 둘째, 직장 내 차별경험과 일 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장 내 차별경험(ß=.029, p<.01)과 우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우울(ß=-.240, p<.001)은 일 만족도에 확률적으로 유의하여 부분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직장 내 차별경험이 높으면 우울이 심해져 일 만족도를 감소시켰다. 또, 직장 내 차별경험이 높으면 취업여성의 일 만족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취업여성의 일 만족도는 직장 내 차별과 우울의 해소를 통해 유지될 수 있는 방향으로 모색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여성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근무환경을 개선하여 여성들에게 적절한 보상과 적합한 일을 맡기며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줄 것을 제안한다. 셋째, 직장 내 차별경험과 일 만족도의 관계에서 성평등 의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장 내 차별경험과 성평등 의식의 상호작용항은 일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Effect= .089, p<.001). 즉, 직장 내 차별경험이 일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성평등 의식의 조절효과로 인해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전환되어 성평등 의식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가족 내 성평등 의식은 직장 내 차별경험이 여성의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한다. 가족 내 성평등적인 인식변화는 궁극적으로 관점의 변화와 관련되는 것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를 위해 가족복지정책에 부부교육과 신혼부부 교육의 의무화가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표본을 추출함에 있어 미래의 가임여성인 미혼여성과 기혼여성을 포함해 포괄적으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취업여성의 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차별경험을 독립변인으로 삼아 개인이 가지고 있는 내적 우울감을 매개변수로 개인의 차별인식(성평등 의식)을 조절변수로 삼아 PROCESS MACRO MODEL 분석방법을 통해 일 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는데 있다. 주제어: 직장 내 차별경험, 우울, 성평등 의식, 일 만족도 ABSTRACT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the Workplace on Work Satisfaction of Emlpoyed Women :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Sung, Eun Ju Major in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Hansei University Academic Advisor : Baik Jin A Ph.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4f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on work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nd work satisfaction of working wom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186 employed women based on data from the 8th year of the Korean Survey of Women and Families(KLoWF), which is being investigated by the Korea Women's Policy Institute. Using PROCESS MACRO developed by SPSS WIN Ver. 23.0 and Hayes (2012),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through analysis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Model Numbers 1 and 4, Bootstrap 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that can improve women's work satisfaction for the effective use of female worker are as follows. First, employed women'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ß=-0.050, p<.001) appears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work satisfaction, so various systems and support are needed to lower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It is important for an organization to create a workplace culture in which the ratio of interviewers to women and men is constant during a recruitment interview, and work is divided according to women's talents and abilities to develop their abilities. In order to derive the above changes,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at the guarantee of women's labor rights as working workers should be recognized sociall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the workplace and work satisfaction,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the workplace(ß=.029, p<.01)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depression, and depression(ß=-.240, p<.001) was probabilistic significance in work satisfaction,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is reduced work satisfaction as depression intensified when discrimination experiences in the workplace were high.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work satisfaction of employed women decreased if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was high. This fact shows that the work satisfaction of female wage workers should be sought in a direction that can be maintained through the resolution of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nd depression. To this end, it is proposed to strengthen women's professionalism and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to provide appropriate compensation to women, entrust them with appropriate work, and provide conditions for self-developme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nd work satisfac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interaction term of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nd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Effect=.089, p<.001). In other words, discrimination experiences in the workplace have a negative effect on lowering work satisfaction,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verified by reducing it through a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at increases work satisfaction. In other words,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within the family acts as a protective factor that positively changes the impact of workplace discrimination on women's work satisfaction. A change in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within the family is ultimately related to a change in perspective, and must be approach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o this end, the mandatory education of married couples and newlywed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amily welfare policy. In addition, the PROCESS MACRO MODEL analysis method was developed by using discrimination experie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s a factor influencing working women's work satisfaction, and individual's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s a moderating variable as an individual's internal depression as a parameter. A metho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was proposed. In addition employed women's work satisfaction was determined by taking discrimination experie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dividual's internal depression as a parameter, and individual's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s a moderating variable through PROCESS MACRO MODEL analysis. It suggests a way to increase satisfaction. Keywords: Workplace Discrimination, Depression,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Work Satisfaction

      • 환자의 응급실 이용에 만성질환이 미치는 영향

        성은주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ic Disease in the Utilization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Eunjoo Sung Department of Health Policy and Hospital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Supervising Professor : Ahn, Hyeong-sik, M.D., Ph.D.) Objectives : Herein, w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variables. We then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use of emergency room services according to those variables. We identified an impact of the degree of chronic disease on the frequency and amount of us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We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and the us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based on our results. Methods : We obtained data from 2008 to 2011 from the Korean Health Panel. The unit of analysis was the number of households (individuals), and the sample size was 75,356 peop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were compared by analyzing the frequency and status of use of emergency service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ronic diseases was compared in a cross-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degree of chronic disease on us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we controlled for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chronic disease-related variables and identified the probability of going to the ER by analysis of variance, and assessed medical payment through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We confirmed that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ffected the use of the ER. The frequency ER visits was higher among men, the elderly, those with medical aid, and those with a lower level of education. Also,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visited the ER because of a chronic disease: women, the elderly, those with medical aid, and those with lower levels of education and income were more likely to visit the ER owing to chronic disease. The existence of chronic disease affected use of the ER. Fifty-six point six percent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used the ER, and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were more likely to visit the ER than were patients without chronic diseases (56.6% vs. 43.4%; OR = 1.55; 95% CI, 1.19-1.46). The average number of visits to the ER amongst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was 2.64, and for those without chronic diseases it was 1.50. So,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visited the ER more frequently than those without chronic diseases.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n increase in the count of chronic disease led to more frequent visits to the ER. The average cost of visiting the ER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was 53814.396 won, whereas it was 43468.13 won for those without chronic diseases. Because of the medical payment system, which has a policy of encouraging treatment of chronic and severe diseases, the payment for visits due to chronic disease is supposed to be lower than that for visits for other causes. Line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ncreasing the count of chronic disease did not lead to more expensive medical payments (p=0.490).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who visited the ER generally went for treatment of those diseases (73.9%). The frequency of visits to the ER for trauma among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was lower than for those without chronic diseases. A repeat diagnosis at the ER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2.42 times) was higher than for those without chronic diseases (2.24 times). This indicates that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visited the ER because their conditions did not resolve, which led to an increase in medical utilization and costs. Th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affects the use of the ER. Patients who did not properly manage their chronic diseases made more frequent visits to the ER than those who managed their diseases properly (2.21 times vs. 5.51 times; OR=1.19; 95% CI, 2.02-2.19). This revealed that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will reduce unnecessary use of the ER. Conclusion : Our results show that chronic diseases contribute to unnecessary use of the ER. That payment related to chronic diseases is high is to be expected. Also,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According to this study, proper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affects us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Overuse of ER services leads to overcrowding. Therefore, the activation of primary medical services and education will reduce the cos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legal measures should be taken to keep non-emergency patients out of the ER. Key words: Utilization of Emergency Room, Chronic disease, over-crowding, non-emergency patient, Korean Health Panel. 국문요약 환자의 응급실 이용에 만성질환이 미치는 영향 성은주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정책 및 병원관리학과 (지도교수: 안 형 식, M.D., Ph.D.) 목적 :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특징에 따른 인구집단의 특징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응급실 이용 여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만성질환의 정도(질환의 유무, 이환수, 관련 의료 이용 여부)가 응급 의료 이용의 빈도(응급실 내원횟수)와 양(서비스 이용, 총 수납금액), 결과(진단명,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만성질환관리와 응급의료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본 연구는 응급의료 이용이 포함되어 있는 2008년 상반기, 2009년, 2010년 상반기, 2011년 한국의료패널 데이터를 자료원으로 하였고, 분석단위는 가구원이며 표본크기는 총 75,356명이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으로,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특성, 만성질환 유무에 따른 특성은 교차 분석으로 비교하였다. 만성질환의 정도가 응급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관련 변수들을 통제하고 응급실 이용 횟수, 의료비를 분산분석,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응급실 이용에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남성이, 연령이 높아질수록, 의료급여 환자일수록,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응급실을 이용할 확률이 높았다. 그 중에 응급실을 내원한 만성질환자의 특성을 분석해본 결과, 여성, 고연령에, 의료급여 환자이고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낮았다. 만성질환자의 응급실 이용을 분석해본 결과, 만성질환의 유무는 응급실 이용에 영향을 미쳤다. 만성질환자 중 56.6%가 응급실을 이용하였고, 만성질환자가 만성질환이 없는 환자에 비해 응급실을 이용할 오즈비는 1.5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질환자의 응급실 내원 횟수는 평균 2.64회, 만성질환이 없는 환자의 응급실 내원횟수는 평균 1.50회였다. 선형 회귀 분석에 따라 만성질환 이환수가 1개 늘어날수록, 응급실 내원 횟수가 0.648회 증가했다. 따라서 만성질환이 응급실 이용 빈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만성질환이 없는 환자의 평균 응급실 수납비용은 53814.396원인데 비해 만성질환자의 평균 응급실 수납비용은 43468.13원으로 만성질환자의 비용이 더 낮았다. 이는 만성질환자 일수록 의료급여 비중이 높은 것과, 건강보험 중증질환 진료비 보장 정책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만성질환의 이환수에 따른 진료비의 선형회귀 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490). 만성질환자의 응급실 내원 이유는 주로 질병으로 48.7%를 차지하였으며, 사고 비율이 만성질환이 없는 환자에 비해 낮아 대부분 질병(만성질환에 기인하는)으로 응급실을 내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실을 내원하는 만성질환자의 응급실 진단명 반복은 평균 2.42회로 만성질환이 없는 환자의 2.24회 보다 높았다. 이는 해결되지 않는 증상(질병)으로 지속적인 응급실 방문을 함으로써, 의료자원 낭비 및 환자의 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반증했다. 응급실 내원한 환자는 만성질환 여부에 상관없이 수술 이외의 치료를 받는 비율(87.6%, 86.2%)이 가장 높았고, 이용 서비스 간 평균 진료비는 수술이 가장 비싼 것으로 관찰됐다(84099.97원). 응급실 진료 결과는 만성질환자의 71.4%가 입원으로 연결되고, 만성질환이 없는 환자의 46.0%가 귀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만성질환자가 응급실 진료 후 입원을 할 오즈비는 2.12배 높았다. 이는 만성질환자의 의료이용 및 의료비 상승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응급실을 내원하는 만성질환자의 만성질환 순위는 고혈압, 관절염, 당뇨 순이었고, 응급실 진단명은 감기, 장염, 사지 골절 순이었다. 만성질환이 없는 환자의 응급실 진단명 또한, 감기, 타박상, 장염 순으로 두 집단의 차이가 없어 보이나 그 비율이 각 집단에서 서로 상이하며, 만성질환자의 응급실 진단명은 대부분 가지고 있는 만성질환 코드로 밝혀졌다. 또한, 만성질환자가 ACSC로 응급실을 내원하는 비율이 60.2%이며 만성질환이 없는 환자보다 위험도가 1.2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현재 응급의료 체계의 적절성 유지가 어려운 일인지 가늠할 수 있었다. 만성질환 관련 의료이용 여부에 따라서도 응급실 이용에 차이를 보였다. 만성질환 관련 의료 이용을 하는 만성질환자가 응급실을 방문하는 횟수는 평균2.11회로 관련 의료 이용을 하지 않는 만성질환자가 응급실을 내원할 오즈비가 1.19배 더 높았고, 응급실 내원 횟수도 5.51회로 높았다. 응급실 비용과 진료 결과는 결측치와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로서 평소 만성질환 관리에 따라 불필요한 응급실 이용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응급의료의 적절성과 신속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응급의료에 적절하지 않은 환자군을 분류할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연구 결과, 가설과 상당히 일치하는 모습이 관찰되었고, 만성질환이 응급의료의 적절성과 전달체계에 부담이 되는 사실이 밝혀졌다. 만성질환의 의료비 부담이 높은 것은 이미 공공연한 사실이다. 또한, 만성질환과 응급의료의 초점은 분명히 다르다. 그 교차점을 분석하고자 한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만성질환과 그 관리 여부가 만성질환 뿐 만 아니라 응급의료에 있어서도 중요한 쟁점이 됨을 밝혔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만성질환자 관리를 위한 1차 의료 확대 및 환자 교육 강화와 더불어 응급의료체계의 적절성 유지를 위한 비응급환자의 응급의료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법적, 행정적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응급실 이용, 만성질환, 과밀화, 비응급환자, 한국의료 패널

      • 한국 전후시의 불안의식 연구 : 박인환·김수영·전봉건을 중심으로

        성은주 한남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the embodiment of anxious consciousness regarding to nature, place, subject in Korean modern poetry after the Korean war, in 1950’s. Thus, the nature, sterilized by war and place, as a existential meaning, and the realization aspect of the anxious consciousness which is inherent factor in poetic subject, as focusing on the works of Park In Hwan, Kim Su young, Jeon Bong Geon, who leaded 50’s modernism in Korea. For poets in postwar period, life, existence, and the nature are considered as a organically correlative system. As the destruction of nature is explained with the ruined consciousness in human emotional state, internally connected human and nature form an organic unity, and is occupying the heart of our reality. The anxious consciousness shows different aspects according to the age and circumstance, Korean postwar poetry in 1950’s is served as suitable material to grasp the poetic tendency and awareness since the experience of war is reflected as internal injury in them. 본 논문은 1950년대 한국전쟁 이후,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 주체와 관련하여 불안의식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 고찰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는다. 이에 따라 1950년대 모더니즘을 주도했던 박인환, 김수영, 전봉건의 작품을 대상으로 한국전쟁으로 인해 불모화된 자연과 실존적 의미로서의 공간, 그리고 시적 주체에 내재된 불안의식의 구현 양상을 분석했다. 전후 시인에게 삶과 실존과 자연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관적 형태로 사유된다. 자연적 생활공간의 파괴는 인간 정서의 폐허의식과 함께 설명되듯이 인간과 자연은 내적으로 연결된 유기체를 이루며, 우리의 현실 속에 크게 자리 잡고 있다. 시대와 상황에 따라 불안의식의 양상은 다르게 나타나는데, 1950년대 한국 전후시는 전쟁체험이 내면의 상처로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시적 경향과 시의식을 간파하는데 유용한 바탕이 된다.

      • 인천연안 우점요각류의 조석별 분포양상과 현장섭식압 연구

        성은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인천연안에 출현하는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주요 우점 요각류들의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조석별 현장 섭식압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하였다. 조사지역은 팔미도 부근(북위 37° 21’ 46”, 동경 126° 31’ 11”)으로 2008년 9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조석에 따라 분기별 대조기와 소조기에 2회씩 정선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Acartia hongi의 현존량은 22 ∼ 8,970 inds./m3의 분포를 보였고, Paracalanus indicus는 11 ∼ 3,229 inds./m3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Calanus sinicus는 1 ∼ 538 inds./m3를 보였다. 주요 종들의 총 우점율은 5.0 ∼ 59.0%로 Noctiluca scintillans를 제외하면 27.2% ∼ 82.1%의 높은 우점율을 보였다. 고수온기에 접어들면서 Noctiluca scintillans의 반복적인 대량증식으로 인해 P. indicus의 현존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체내색소농도는 A. hongi가 0.01 ∼ 1.46 ng·pigment/inds.의 범위로 평균 0.29 ng·pigment/inds.을 보였고, P. indicus는 0.02 ∼ 1.75 ng·pigment/inds.의 범위로 평균 0.43 ng·pigment/inds.를 보였으며 C. sinicus는 0.06 ∼ 2.89 ng·pigment/inds.의 범위로 평균 0.90 ng·pigment/inds.를 보였다. 대조기에는 소형크기그룹의 동물플랑크톤(A. hongi, P. indicus)이 total chlorophyll-𝑎, 수온과 양의 상관관계(P<0.01)를 보인 반면, 대형크기(C. sinicus)는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고, 소조기에 대형크기 그룹만 부유물질과 양의 상관관계(P<0.05)를 보였다. 종별 체내색소농도는 A. hongi는 먹이농도가 높은 춘·하계는 대조기 저조시에 높았고, 추·동계는 수온이 적당한 소조기 고조시에 더 높은 체내색소농도를 보였다 (P<0.01). 이는 연안의 경우 연중 높은 먹이농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먹이농도의 영향이 수온에 의한 영향보다 작을 수 있으므로 (Dam and Peterson, 1998; Durbin and Durvin, 1992; Montagnes et al, 2001), 이에 추·동계에도 수온이 더 적당한 곳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P. indicus는 하계에 가장 높은 체내색소농도를 보였는 데 높은 먹이농도와 수온에 의한 것으로 (P<0.01), 춘·하계에 수온과 먹이농도가 높은 대조기 저조시에 높은 체내색소농도를 보였고 추·동계는 먹이농도와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P<0.05) 상대적으로 수온이 높은 소조기 고조시에 높은 농도를 보였다. 조석별 섭식율은 A. hongi가 1.04 ∼ 75.12 ng·pigment/inds./day의 범위로 평균 17.01 ng·pigment/inds./day을 보였고, P. indicus의 섭식율은 0.49 ∼ 142.35 ng·pigment/inds./day의 범위로 평균 24.87 ng·pigment/inds./day을 보였다. C. sinicus의 섭식율은 3.80 ∼ 306.60 ng·pigment/inds./day의 범위로 평균 46.20 ng·pigment/inds./day를 보여, 성체 체장에 비례하여 섭식율이 증가하였다. 개체군별 섭식압은 A. hongi가 동계 평균 0.08%에서 춘계 평균 10.18%의 범위로 평균 3.52%을 보였다. P. indicus는 동계 평균 0.03%에서 춘계 평균 2.42%로 평균 1.00%를 보였고, C. sinicus의 섭식압도 동계에 평균 0.02%에서 춘계에 평균 2.94%로 평균 1.16%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Calanus spp.와 같은 대형 요각류의 중요성은 강조되어 왔지만 본 연구지역인 인천연안은 소형크기 그룹인 서해 연안의 대표 요각류 A. hongi가 연중 우점하며, 개체수 대량 증가 현상을 보여 대형 요각류보다 높은 섭식압을 나타냈다. 연구기간 중 인천연안의 주요 우점 요각류에 의한 연간 조석별 섭식압은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평균 6.03%를 제거하였다.

      • 헤어디자이너의 전문 홈케어 제품권유가 고객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20대~50대 여성을 중심으로

        성은주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헤어살롱을 이용하는 20대∼50대 여성 고객에게 사후관리를 위한 헤어디자이너의 전문 홈케어 제품 권유가 고객 만족도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헤어살롱 운영자들에게 매출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헤어살롱을 이용하는 전국에 거주하는 20대∼50대 여성 30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여성들의 헤어디자이너의 전문 홈케어 제품권유로 인한 전문성 만족도에는 헤어디자이너 전문 홈케어 제품권유의 인식 중 효능만족 기대(β=.217, p<.001)와 전문성 기대(β=.566, p<.001)가 높을수록 헤어디자이너의 전문 홈케어 제품권유로 인한 전문성 만족도가 높았다. 헤어살롱 전문 홈케어 제품의 구매행동 의도는 헤어디자이너 전문 홈케어 제품권유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이는 여성이 전문 홈케어 제품권유에 대해 낮은 인식을 보이는 여성보다 헤어살롱 전문 홈케어 제품의 구매행동 의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t=15.85, p<.001). 헤어살롱 재방문 의도는 헤어디자이너 전문 홈케어 제품권유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이는 여성이 전문 홈케어 제품권유에 대해 낮은 인식을 보이는 여성보다 헤어살롱 재방문 의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t=5.62, p<.001). 이를 종합해보면 헤어디자이너의 전문 홈케어 제품 권유에 의한 전문 홈케어 제품의 인식 중 효능기대, 전문성 기대가 고객 만족도, 구매행동 의도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의 구매행동 의도가 재방문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헤어디자이너의 전문 홈케어 제품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헤어디자이너의 전문성이 고취되고 전문 홈케어 제품의 효능이 향상되면 고객들의 전문 홈케어 제품에 대한 구매행동 의도가 높아지고 그로인해 헤어살롱 재방문 빈도가 올라가게 되어 헤어살롱의 매출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ecommendations from hair stylists for professional home care products geared toward post-car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s of female hair salon users in their 20s through 50s in an effort to suggest ways of increasing sales to hair salon operators. As for the method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on 305 women who were hair salon users and who were in their 20s through 50s across the natio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satisfaction with professionalism related to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hair stylists for home care products, higher expectations for effect satisfaction(β=.217, p<.001) and expectations for professionalism satisfaction(β=.566, p<.001) that were awareness of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hair stylists for home care products led to higher professionalism satisfaction related to the recommendations for home care products. Concerning purchase behaviors and intentions for the professional home care products sold by the hair salons, the women who were more concerned about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hair stylists for home care products had stronger intentions to buy the professional home care products sold by the hair salons than the women who were less concerned(t=15.85, p<.001). Regarding revisit intentions for the hair salons, the women who were more concerned about the product recommendations had stronger revisit intentions than the women who were less concerned(t=5.62, p<.001). Whe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were synthesized, it's found that among awareness factors for the home care product recommendations from the hair stylists, effect expectations and professionalism expectations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behavior/intention factors, and that the purchase behaviors and intentions of the custom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revisit intentions. Accordingly, professional education for hair stylists on home care products is absolutely necessary, and if the professionalism of hair stylists and the effects of home care products are both improved, customers will have a stronger intention to show purchase behaviors, and then their hair salon revisit frequency will be on the rise, which is expected, in turn, to increase the sales of hair salons.

      • 한국의 힙합 레이블에 관한 연구

        성은주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thesis, you will explore underground hip hop labels that are actively engaged in Korea's hip hop music and the process how Crew culture-dominating hip hop scene has developed into labels with the flow of industrialization. Until years ago from now, 2016, The genre of Hip hop music had not so much intrigued public's attention. Moreover, No one imagined in those days that the music with the strong inclination of Underground would be possibly ranked in music charts. However, Since the craze of M.net program ' Show me the money', Hip hop music is topping on music charts and hip hop labels are playing a significant role for the achievement. The first characteristic of hip hop labels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kinds of labels is that musicians themselves establish the labels and become their own CEO acting both as musicians and owners. And the second feature is that producers, vocalists, video directors and art directors as well as rappers belong together in the same labels. The third and the last property is 'The labels' compilation albums'. You will observe the previous moves of the musicians who have established the labels and are taking both roles as CEOs and musicians at the same time. And from the major labels of 1st generation to the four selected labels who are currently working the most actively(‘VMC', 'Just Music’, ‘Illionaire Records’, ‘Highlight Records’), This thesis examines their moves and through analyzing their compilation albums, you will see the features of labels in hip hop scenes. Currently Hip-hop music is the most attention-receiving trend in K-pop music world and there has been a great development in the hip hop scene as well. 'The Crews' are becoming 'Labels' and under the powerhouse entertainment agencies, The agency-affiliated Hip hop labels are emerging. My wish is that this thesis will make a small contribution to the permanency of hip hop labels with their current status not disappearing and the hip hop sence more flourished. 본 논문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언더그라운드 힙합 레이블을 연구하며 크루 문화가 활성화되고 있던 힙합 씬의 흐름이 점점 산업화의 바람을 타고 레이블로 발전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2016년을 기준으로 몇 년 전만 해도 힙합 음악이라는 장르가 대중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지 못 했다. 더군다나 언더그라운드의 성향이 짙은 음악들이 음원차트에 오를 수 있을지는 당시 그 누구도 예측할 수 없었다. 하지만 현재 M.net '쇼 미 더 머니‘ 열풍 이후 음원차트 상위권은 힙합 음악들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그 위치에 올라가기까지 그들이 속한 힙합 레이블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다른 음악 장르의 레이블과 차별화되는 힙합 레이블의 특징 중 첫째는 뮤지션이 직접 레이블을 설립하고 대표가 되어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해낸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레이블 안에 래퍼뿐만이 아닌 프로듀서와 보컬 또는 뮤직비디오 촬영감독, 아트 디렉터 등이 소속되어 있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레이블의 컴필레이션 앨범이다. 레이블을 설립하여 대표 및 뮤지션의 역할을 하는 래퍼들이 이전에 거쳐 온 행보와 1세대 주요 레이블부터 현재 제일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VMC', '저스트 뮤직’, ‘일리네어 레코즈’, ‘하이라이트 레코즈’ 이렇게 네 개의 레이블을 선정하여 멤버들의 행보 그리고 그들의 컴필레이션 앨범 등을 분석하며 힙합 씬에서의 레이블 특성을 알아본다. 현재 우리나라 대중음악계에서는 힙합 음악이 가장 주목받는 트렌드이며 씬에도 매우 많은 발전이 있었다. 크루가 레이블화 되어가고 있으며 대형 기 획사에서는 산하 힙합 레이블들이 생겨나고 있다. 지금 이러한 위상을 잃어버리지 않고 어떻게 힙합 씬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며, 힙합 레이블들이 쉽게 사라지는 일이 없도록 이 논문이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바란다.

      • 북한 국어 교과서 분석 연구 : 고등 중학교 국어 1,2,3을 중심으로

        성은주 淑明女子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unification by realizing the real differences in Korean between two Koreas (South and North). So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composition) and contents (theme) of high-middle school (elementary 5.6 and middle school 1 in South Korea) Korean text books of North Korea and compared them with South Korean text books. This study tried to reveal the real differences of Two Korean by (1) analyzing the structure of North Korean text books and comparing them with South Korean text books (2) analyzing and comparing the words of two Koreas. The summary of structure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is like followings. The first chapter covers a view on the language and reality of North Korea education. North Korea considers the language as a weapon to build communism society: in other words, it stands in the view that language is a tool. So Korean is a core among every subject in North Korea to bring up students as factors of communism revolution. The second chapter compares and analyzes the structure (composition) of two Korean text books. North Korean text books contain many literary works (63%) and novels more than poetry. Also the system of a unit developes with wall units withaut a main unit. The third chapter compares and analyzes the contents (theme). North Korean text books contain something about the idol worship of Mr.kim's family. Therefore we know they use Koren text books to idolize Mr.Kim. The forth chapter analyzes their original words in the text books. They produce more words by derivation and compounding than Sonth. Also there are more echoic words and imitating words than Sonth and many words having different meaning from Sonth and new words which Sonth doesn't have. The fifth chapter analyzes Chinese letter language in North Korean. It does'not have the rule of "first sound" (du eum) and a letter 'ㅅ'(sa-i-ㅅ). Also it has new words and different words like original words. The sixth chapter analyzes borrowed words. They use spelling from Russian and a fortis very much and try to avoid Japanese spelling and have different sound from South. The seventh chapter covers the social linguistic reality of words. First of all, standard language accepts many dialects and they use many slangs when they say about America and South and try to replace names of children, regions and species with original language. In proverbs, they change and limit the meaning of proverbs according to their intention Now we know that language difference of two Koreas is enlarging very much in the level of words. To solve this problem, North Korea must desert the view of language that the Korean language is a weapon to build communism society. Also South Korea must limit the use of borrowed words from other languages and activate research institutions to do language policy of the government. We need dialogue and cultural exchanges with North Korea. We can solve every linguistic problem; mutual research, exchanges of language institutions, meetings of linguists and making dictionary together etc, through only this cultural exchanges and dialog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