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글로벌 건설기업의 해외 사업영역 다각화와 경영성과의 관계 연구

        성유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55

        많은 기업들이 성장을 위해 다각화를 추진해왔으며, 건설기업도 다각화를 중요한 성장 전략으로 다뤄왔다. 하지만 다각화 성과에 관한 실증 연구의 결과들은 동일한 결론을 얻지 못하였으며, 이에 본 연구는 건설기업의 해외 사업을 대상으로 다각화와 경영성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자국시장에서 활동하는 단일 국적의 기업들을 분석해왔던 기존 연구와 달리 해외 시장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국적의 기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특징을 가진다. 해외 시장에서 활동하는 건설기업들은 자국 시장보다 변화무쌍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였으며, 다각화 전략은 기업의 핵심 전략 중 하나로 사용되어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건설기업의 해외 사업영역 다각화와 경영성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먼저 건설기업의 다각화수준과 경영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하고 다각화수준과 경영성과의 관계에 따른 기업 유형을 도출하였다. 해외 사업영역의 다각화수준은 해외 매출과 명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 상관관계는 해외 건설시장의 시기별, 기업의 규모별, 주력 상품별로 차이를 보였다. 시기별로는 2000년대 후반부터 상관관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각화를 통해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은 점차 줄고 있다고 판단된다. 기업 규모별 분석에서는 21~100위권의 중위권 기업에서 상관관계가 낮았고, 주력 상품별 분석에서는 플랜트 상품 중심 기업에서 상관관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저성장기, 21∼100위의 해외 매출 규모, 플랜트 주력 기업은 다른 기업군보다 상대적으로 다각화를 통한 매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해외 사업영역 다각화와 수익률 및 유동비율의 상관관계는 관련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수준의 약한 음(-)의 상관을 보였으며, 다각화수준이 높을수록 수익률 및 유동비율은 약화되는 방향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다각화의 성과로 예상되었던 기업 운영의 효율 추구, 위험 분산 등의 성과는 얻을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각화수준, 매출, 수익률, 유동비율 사이의 종합적인 관계는 군집분석을 통해 밝혀졌다. 군집분석 결과, 해외 사업영역 다각화와 경영성과에 대한 기업 유형은 ‘다각화 성장형’, ‘전문화 수익형’, ‘다각화 추구형’의 3가지 유형으로 제시되었다. 기업 유형에 따라 다각화와 경영성과의 관계를 종합하면, 기업의 규모 성장에는 다각화가 필수적이지만 다각화된 기업은 수익률과 유동비율이 악화될 수 있으며 다각화를 추진하는 기업은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찾을 수 있었다. 반면 다각화수준이 낮은 전문화 기업은 기업의 매출 규모는 작지만 수익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수익률이 중요해지는 시장 환경에서는 전문화한 기업이 생존에 유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플랜트 기업군에서는 매출 규모가 크면 다각화수준이 높게 나타나는 일반적인 기업 유형과 다르게, 매출 규모는 크지만 다각화수준은 낮은 특징적인 유형이 나타났다. 즉 플랜트 기업은 건축이나 토목 기업과 달리 다각화를 통한 매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전문화를 통해 성장하는 모습도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글로벌 건설기업의 사업영역 다각화 전략이 기업의 매출 성장에는 유용하지만 기업의 수익성 및 안정성 확보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또한 다각화와 경영성과의 관계가 시기별, 기업 규모별, 기업 주력 상품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바, 기업의 전략 수립이나 향후 연구에 있어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임을 제시하였다. Many companies have pursued diversification to achieve growth, including construction companies that also regard diversification as an important growth strategy; however,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ies on the performance of diversification are inconsistent. Hence, this study analyzed the diversific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of international businesses conducted by construction companies. In particular, as opposed to prior studies that analyzed companies of a single nationality conducting business in their own country, this study examined multinational companies conducting business outside their home country. Construction companies have been operating businesses in foreign markets by adopting various strategies to survive in environments that are more uncertain than those of their domestic markets, and the diversification strategy has been one of their key strategie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performance and diversification of international businesses operated by construction companies. To this end, it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diversific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of construction companies, and conducted a cluster analysis to derive corporate type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diversific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There was a clear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diversification and sales, but no clear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diversification and profit margin. The correlation between diversification and sales varied according to periods, company sizes, and main products. From the temporal perspective, the correlation has weakened since the latter part of the 2000s, implying that the possibility of companies growing through diversification is decreasing. Results of the analysis on each main item showed no clear correlation in companies with high sales of plant products, indicating that sales growth through diversification is unlikely in these companies. A comprehensive relationship between diversific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was identified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uggested three basic corporate types – ‘diversification growth’, ‘specialization growth’, and ‘low diversification performance’ – with respect to diversific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Further, as opposed to the basic corporate types where the degree of diversification increases when sales volume is high, plant companies had high sales volumes, but low degree of diversifica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sales growth through diversification is unlikely in plant companies.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companies with high levels of diversification have high sales volumes, but low profitability. In other words, diversification is essential for the sales growth of companies, but profitability cannot be expected immediately. This implies that companies that pursue diversification strategies need to be prepared for periods of low profit. In addition, sinc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sification and management by period, company size and main item, these should be considered while establishing corporate strategies or conducting further studies.

      • 초,중학생의 행복 변화유형과 영향 연구

        성유경 창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성장분석을 활용하여 초·중학생의 행복 변화유형을 살펴보고 유형별로 예측변인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으로는 초·중학생 2,057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계층의 모형 결정을 위해 잠재프로파일성장분석(LPGA)을 실시한 결과, LMR과 BLRT에서 대립가설(p<0.05)과, 잠재계층 분류의 질을 나타내는 잠재계층 할당 확률 및 분류율도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최종적으로 3계층이 모형으로 채택되었다. 둘째, 잠재계층분류와 적합도 지수에 따라 3집단으로 구분되었다. 1유형은 ‘행복감소집단’, 2유형은 ‘행복유지집단’, 3유형은 ‘행복증가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그러나 행복증가집단의 경우 표본 수의 비율이 적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셋째, 행복 변화유형별 예측변인과의 집단차이를 검증한 결과, 먼저 개인요인에서는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행복감소집단에 속하였다. 그리고 휴대폰 의존도가 낮을수록 행복증가집단에 속하였다. 따라서 행복감소집단, 행복유지집단, 행복증가집단 간에 건강상태, 학교성적, 휴대폰의존도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요인은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가 높을수록 행복감소집단에 속하였다. 지역사회요인은 지역사회인식, 공동체인식이 좋을수록 행복감소집단에 속하였다. 결론적으로 두 요인 모두 행복감소집단, 행복유지집단, 행복증가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형에 대한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그 유형 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확인하였다. 행복감소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고 행복유지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통제요인에서 성별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가구소득은 낮을수록 행복감소집단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다. 개인요인에서는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행복감소집단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다. 학교요인에서는 교우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행복감소집단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다. 지역사회요인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행복감소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고 행복증가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통제요인은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행복감소집단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다. 개인요인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학교요인에서는 학습활동과 교우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행복감소집단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다. 지역사회요인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of changes on the happines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verifies the influence relation with predictor variables for each type by using latent profile growth analysis 2,057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latent profile growth analysis (LPGA) tha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odel of latent classes showed that alternative hypothesis (p<0.05) and allocation probability of latent classes and division factors that represents the quality of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are appropriate in LMR and BLRT. As a result, three classes were finally selected as models. Second, it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and goodness of fit index. Type 1 was named 'happiness reduction group', type 2 was named 'happiness maintenance group' and type 3 was named 'happiness growth group'. However, there was a limitation to us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ince the proportion of number of samples were small in 'happiness growth group'. Third, the result of verification in group difference between predictor variables for each change types of happiness showed that students belong to happiness reduction group when the health condition is better and academic performance is high in terms of individual factors. Therefore, only health condition, academic performance and dependence on mobile phone showed the difference among happiness reduction group, happiness maintenance group and happiness growth group. In terms of school factors, students belong to happiness reduction group when learning activities, school rules, friendship and relation with teachers are high. In terms of local community factors, they belong to happiness reduction group when recognition of local community and community is better. In conclusion, both factors showed differences among happiness reduction group, happiness maintenance group and happiness growth group. Fourth, we identified predictor variables affecting the types after conduct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type. We set happiness reduction group as reference group and compared it with happiness maintenance group. As a result, we could see that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and lower household income in the control factor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happiness reduction group. In terms of individual factors, bad health condition was likely to belong to happiness reduction group. In terms of school factors, bad friendship was likely to belong to happiness reducti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s in terms of local community factors. Then, we set happiness reduction group as a reference group and compared it with happiness growth group. As a result, we could see that lower household income was likely to belong to happiness reducti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s in terms of individual factors. In terms of school factors, bad learning activities and friendship were likely to belong to happiness reducti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s in terms of local community factors. We present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or for follow-up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열의와 직무탈진의 매개효과

        성유경 호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 모형에 기반을 두어 기존의 직무요구를 도전성 및 방해성 스트레서 두 가지로 구분하고, 직무자원을 긍정심리자본이라는 개인적 차원의 심리적 자원으로 재해석 하였다. 또한 도전성 및 방해성 스트레서와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열의와 탈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직무열의와 탈진을 통해서 조직몰입과 생산성의 손실까지 예측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341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한 결과, 도전성 및 방해성 스트레서와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열의를 통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 매개하였으며, 방해성 스트레서와 긍정심리자본은 직무탈진을 통해 프리젠티즘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완전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안하였다.

      • 이강백 희곡 연구 : 희곡에서의 음악적 요소를 중심으로

        성유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studies the history and the theatrical strategy of Lee Kang-baek’s plays focusing on the musical elements in his plays. Music, as a basic element in a play, has an essential role in allegories of Lee’s plays. Also as an indirect and metaphorical device, it reveals the theme by making effects in a play. This thesis is written to prove his rational composition of utilizing music as an allegory, and to pursue his recognition of the world in the history of plays. The structure of the thesis will be as followed : Section A of each chapter is about the relationship of the allegorical music and the characters. Section B explains the relationship of music and dramatical space to make clear its hidden meaning. Section C explains the relationship of music and the theme. Six plays in which music is used as allegory ar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 「People of Jurassic Period」(1981), 「Chilsan-ri」(1989), 「Bubble」(1991), 「Yeongja and Jintaek」(1992), 「Bone and Flesh」(1996), 「Feeling, Like Paradise」(1998). Particularly, 「Yeongja and Jintaek」 is analyzed in two aspects to argue the relationship of the chorus and the theme. Chapter II studies the meaning of the chorus in 「People of Jurassic Period」 and 「Yeongja and Jintaek」. Chorus is used as a device to control individuals and serve the power. Lee Kang-baek has showed great interest in groups that become standardized, neutralized by the ruling power. They are compared to depersonalized chorus, and their song predicts that inequality and materialization of human beings will be repeated. Also under the covert of music, the cramming chorus tames people to submit the society’s ideology. Like this, Lee Kang-baek shows the hypocrisy of Korean society and the arrogance of power through attributes of chorus. Chapter III studies Lee’s chandged view of the world in 「Chilsan-ri」 and 「Yeongja and Jintaek」. Formerly he searched out the hypocrisy of society and chased the dark side of Korean history, but now in these plays he presents religious solution to overcome social conflicts and make a better society. Lee sets the ‘mother’ in 「Chilsan-ri」 and ‘Yeongja’ in 「Yeongja and Jintaek」 as a Christ-like figure, and believes that they will redeem sinful people and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So it is the role of chorus to praise Christ and His love. Songs with strong Christian color reinforce the plays’ religious character, and make it possible to interpret the plays in theological point of view. Chapter IV analyzes 「Bubble」, 「Bone and Flesh」 and 「Feeling, Like Paradise」. Music has a property of thinking in these works. Sound of xylophone in 「Bubble」 is an aural signal that suggests bubbles of raindrops. Bubble, as the title and theme of this play, has an attribute to appear and disappear without stopping. Lee focuses on the similarity of musical sound and the beings. Dead Miyeon’s piano playing in 「Bone and Flesh」 serves the medium which points out ‘Munsin’ on ‘flesh’. The most impotant is Jo Soong-in’s music in 「Feeling, Like Paradise」. He seeks music that has ‘sound in silence, silence in sound’. It shows the paradoxical truth that the world stands on both conflict and coexistence. This kind of recognition can be called ‘thinking with ears’. Like this, Music, as an dramatic additive, plays a role to make special feeling and deepen the theme in the plays. Lee Kang-baek shows his intention through the language of musical sound. Thus, understanding his music will open up new horizon in analyzing his works. 본고는 이강백 희곡에서의 음악적 요소를 탐색하여 이강백 희곡사의 흐름을 추적하고, 나아가 희곡 안에 내재되어 있는 연극적 전략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희곡의 기본 요소인 음악은 이강백 희곡에서 알레고리 기법의 핵심적 성격을 띠고 있다. 그것은 우회적이고 비유적인 장치로서 희곡 내부에 작용하여 주제를 일깨우는 중요함 함의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알레고리와 음악의 결합을 잣대 삼아 음악마저 알레고리로 삼는 이강백의 이성적 극작 구성을 증명하는 동시에 작가의 세계인식을 희곡사의 흐름 안에서 다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이강백 작품들에 대한 알레고리적 독법은 끊임없이 지적되었으나, 희곡사의 흐름 안에서 알레고리의 성향과 변화를 읽어내려는 시도가 부족했고, 알레고리의 핵심적 요체로서 사용된 음악을 간과하여 작품 분석에 대한 연구가 미진했다. 특히 사유의 틀이 강화되어 분석이 용이하지 않은 90년대 작품들인 「물거품」, 「뼈와 살」, 「느낌, 극락(極樂)같은」은 변화된 알레고리의 특성과 희곡에서의 음악적 요소에 대한 분석이 작품 해석의 열쇠가 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집중적인 성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음악이 이강백 작품의 한 구성 요소로서 극의 전개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주시하면서 그 이면에 숨겨진 의미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각 장의 A항에서는 알레고리로 작용하는 음악과 인물의 유추관계를 살펴보고, B항에서는 음악과 극 공간의 유추관계를 분석하여 그것의 숨은 의미를 고찰해보았다. 그리고 C항에서는 음악을 주제적인 측면과 연관하여 기술하였다. 분석 대상은 알레고리로서 음악이 사용된 작품으로 「쥬라기의 사람들」(1981), 「칠산리」(1989), 「물거품」(1991), 「영자와 진택」(1992), 「뼈와 살」(1996), 「느낌, 극락(極樂)같은」(1998) 총 6편이다. 이 중 「영자와 진택」은 합창과 작품 해석의 연관성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위하여 두 가지 분석으로 구분하였다. 왜냐하면 「영자와 진택」에서 합창이 싫다며 합창이 아닌 연극을 하겠다던 등장인물들이 연극 속에서 합창을 하는 모순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강백은 극에서 이에 대해 어떠한 해명도 하고 있지 않기에, 본 연구는 합창을 통해 작품해석의 폭을 넓히고자 두 가지의 가설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쥬라기의 사람들」과 「영자와 진택」에 나타난 합창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두 희곡에서 합창은 개인을 통제하고 권력에 봉사하는 이념으로 사용된다. 이강백이 집필 초기부터 치밀하게 다루었던, 지배 권력에 의해 획일화되고 무력화되는 집단의 상황은 똑같은 노래를 부르는 몰개성적인 합창단으로 비유되고, 그들의 노래는 본질적으로 변화될 수 없는 불평등과 물화되는 인간 상황의 반복을 예감케 한다. 그리고 주입식 합창은 공동사회의 이념에 맞는 인간으로 교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음악으로 포장하는 이데올로기적 성격이 농후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이강백은 한국사회의 모순과 권력의 독주를 합창의 속성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Ⅲ장에서는 「칠산리」와 「영자와 진택」에서 달라진 이강백의 현실 인식을 짚어보았다. 그는 이전 작품에서 사회의 모순을 들추어내고 한국사의 어두운 면을 추적하는 비판적 태도에만 머물지 않고, 신학적 원리로 사회적 갈등 극복과 보다 나은 사회 변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이강백은 「칠산리」의 어미와 「영자와 진택」의 영자를 죄 있는 인간들의 죄를 대속할 수 있는 그리스도적 존재로 그리고, 그들의 대속으로 세상은 보다 아름다워질 것이라고 확신한다. 그리고 인류의 모든 죄를 대속하고 완전한 의를 이룬 예수를 찬양하고 그의 사랑을 전파하는 것은 합창단의 노래로 이루어진다. 기독교적 색채가 짙은 노래는 극의 종교적 성격을 강화하며, 두 희곡을 신학적 시각으로 해석하는 작업을 유도하고 있다. Ⅳ장에서는 이강백이 인간 욕망의 본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인식론적 전환을 맞게 된 「물거품」, 「뼈와 살」, 「느낌, 극락(極樂)같은」을 분석하였다. 세 희곡에서 음악은 사유의 성격을 지닌다. 「물거품」에서 실로폰소리는 관객으로 하여금 낙수에 의한 물거품을 연상시키기 위해 이강백이 설정한 청각적 신호이다. 이 작품의 제목이자 주제를 반영하고 있는 물거품은 끊임없이 사라졌다가 끊임없이 생겨나는 속성을 갖고 있다. 그는 음악의 소리와 존재의 속성을 연결하여 규명하고 있다. 「뼈와 살」의 죽은 미연이의 피아노 연주는 ‘살입은 몸’에 집착하는 ‘문신’을 확인하게 만들어 주는 매개체가 된다. 가장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는 것은 「느낌, 극락(極樂)같은」에 나오는 ‘조숭인’의 음악이다. 조숭인이 추구하는 “소리 속에 침묵이 있고, 침묵 속에 소리가 있는” 음악은 상극과 상생을 동시에 머금고 있는 세상의 이치와 성립 조건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귀로 사유하기’라는 인식방법은 작가의 성찰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결국 음악이라는 첨가물은 무대 위에 독특한 정서를 발휘하면서, 작품의 주제를 심층적으로 표출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강백은 관객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를 음악이라는 소리의 언어로 드러낸다. 따라서 이를 이해하고 재발견하는 것은 이강백 희곡 읽기의 새로운 측면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 지구단위계획제도를 기반으로 한 보행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성유경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보행환경은 도시의 여러 요소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보행도로는 물론, 지역의 전반적인 관리를 통하여서만 개선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특정 부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던 보행환경 연구들을 종합하여 보행환경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지역 환경을 통합적, 구체적으로 다를 수 있는 지구단위계획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지구단위계획은 지구의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계획이 가능하므로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총체적인 계획을 세우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광범위하고 일률적인 도시계획 방식으로는 이러한 보행환경에 관한 상세한 고려가 불가능하였으나 지구단위계획은 지역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보행환경 계획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지구단위계획의 관리 수법을 통하여 지역 전체의 전반적인 보행환경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는 계획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1) 부문별로 이루어져왔던 보행환경 계획요소들을 종합, 체계화하였다. (2) 지구단위계획에서의 보행환경 계획목표를 수립하였다. (3) 사례조사를 통하여 현재 수립된 지구단위계획들의 보행환경 계획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4) 지구단위계획 작성 시 기준이 될 수 있는 보행환경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에서 지구단위계획과 보행환경 계획요소의 고찰은 관련 선행 연구의 조사를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지구단위계획의 평가를 위한 사례조사는 도시계획법 개정 이후 작성된 7개 지구의 지구단위계획 도서의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지구단위계획이 보행환경을 계획하기에 적합한 계획요소들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성된 지구단위계획은 지구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획일적이라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또한 사용되는 계획요소도 다루는 방식에 있어서 구체적이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보행환경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지구단위계획의 작성 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1) 지구특성에 맞는 적절한 계획목표를 수립한다. 지구단위계획이 다루는 모든 계획요소를 보행과 관련하여 무분별하게 사용하기 보다는 지구특성에 맞는 계획목표로 구체적인 계획의 방향을 제시하고 목표를 실현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 (2) 다루고자 하는 계획요소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계획요소의 언급만으로는 보행환경 계획이 마련되어졌다고 할 수 없으며, 계획요소를 실제 반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을 기술하도록 한다. (3) 각 계획요소를 중요도로 구분하고 실행순서를 작성한다. 각 계획요소의 중요도와 실현되기까지의 비용, 시간소요를 고려하여 지구단위계획의 운용지침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보행환경 개선의 방안으로서 지구단위계획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지구단위계획은 시행 된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립된 계획의 실현을 검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작성된 계획의 내용 자체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실현된 계획방안의 검증과 재정비에 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comprehensive ways to improve pedestrian environment by reviewing and analyzing previous researches. Since various factors come into play and affect pedestrian environment, it can be improved only through comprehensive management of districts. To conduct the research, the District Unit Planning of DUP was applied since it specifically deals with various issues affecting the district environment. The DUP is effective to establish comprehensive plans for overall enhanc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to set up concrete plans that fit into unique conditions and special characteristics of each district. To establish comprehensive plans for the enhanc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by applying the DUP, the study follows several methods as below. First, systemize and integrate factors that affect the Pedestrian Environment Planning to make up for previous researches that have overlooked comprehensive pictures and focused only on certain aspects of pedestrian environment. Second, establish objective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Planning in accordance with the District Unit Planning. Third, conduct a case study to analyze the Pedestrian Environment Planning and identify problems. Forth, establish guidelines to improve pedestrian environment to provide a basis for the District Unit Planning. The study researched previous studies to find factors that affect the District Unit Planning and the Pedestrian Environment Planning. A case study to assess the DUP was conducted by studying books and literatures about the District Unit Planning for 7 Districts. They were written after the revision of the Urban Planning Code. After studying previous DUPs, several problems were revealed. First, many of them have taken one-size-fits-all and uniformed standards, failing to meet different conditions of each district. Second, planning factors were broad and not specific. To compensate problems mentioned above, the study suggests several points to establish effective District Unit Planning. First, establish appropriate plans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s unique conditions of each district. Instead of recklessly applying all factors of DUP, establish concrete goals and set priorities accordingly. Make specific district unit plans to accomplish the goals. Second, make detailed descriptions on various factors which will be considered in planning. Avoid lining up factors. Concrete methods and specific criteria must be set up to implement the plan. Third, set priorities among various planning factors and decide which plan will be implemented first. While doing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UP guideline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s the importance of each planning factors, cost and time to materialize each of them. In addition, related local laws should be considered to add diversity to the DUP In conclusion, the study has focused on reviewing various applications of District Unit Planning and analyzing planning factors as a way to improve pedestrian environment. In fact, it usually takes 10 years for urban planning to be implemented after being established. The District Unit Planning has been implemented for only a few years.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verify every planning factor of the DUP. It may be desirable if future analysis on the verification of planning guidelines is made.

      • 부정적 취업기대가 생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효과

        성유경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부정적 취업기대, 생활스트레스, 역기능적 신념의 관계를 확인하고 부정적 취업기대가 생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구/경북, 부산/경남 소재의 11곳의 4년제 대학, 3곳의 전문대학 남녀대학생 550명을 대상으로 대학생 진로탐색 장애 척도, 스트레스 반응척도, 역기능적 신념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거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누락된 문항이 포함된 16부를 제외한 534명의 자료를 토대로 최종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정적 취업기대가 생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통해 분석하고, Sobel(1982)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생의 부정적 취업기대와 생활스트레스, 역기능적 신념의 관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부정적 취업기대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높은 생활스트레스(긴장, 공격성, 신체화, 분노, 우울, 피로, 좌절)를 나타냈다. 셋째, 대학생의 부정적 취업기대와 생활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부정적 취업기대(대인관계 어려움, 자기명확성 부족, 경제적 어려움, 흥미부족)를 가지며, 생활스트레스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역기능적 신념 개선이 구직 관련 생활스트레스를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임을 시사하였다. 주요어 : 부정적 취업기대, 역기능적 신념, 생활스트레스, 대학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negative employment expectation, life stress and dysfunctional beliefs,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beliefs in influence of negative employment expectation on life stress. For this purpose, 534 university students from 11 university and 3 junior college in Daegu/Kyungbuk province and Busan/KyungNam province were participated in survey and conducted Korean Career Barrier Inventory(KCBI), Stress Response Scale and Dyfunctional Attitude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9.0 Program. To ve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Pearson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conducted. Also simp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beliefs in influence of negative employment expectation on life stress. Baron and Kenny(1986)’s mediating effect test protocol and sobel test were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employment expectation, life stress and dysfunctional beliefs. Second, It showed high life stress (tension, aggression, somatization, anger, depression, fatigue, frustration) than the lowest group that Negative employment expectations high populations. Thir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about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beliefs, dysfunctional beliefs showed partial mediation in influence of negative employment expectation on life stress. Fourth, female students have higher employment expectations (Interpersonal difficulties, lack of self-clarity, economic difficulties, lack of interests) than male students, life stress level was high. Consequently, Dysfunctional Beliefs improvement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improving job-related stress life. Keyword: negative employment expectation, dysfunctional beliefs, life stress, university students

      • 실화영화의 표현 스타일에 관한 연구

        성유경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들을 일컫는 실화영화는 아직 장르영화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이제 관객의 기호에 관여할 만큼 익숙한 장르가 되었다. 이에 비해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거의 진행되어있지 못한 실정이다. 우리는 어떤 영화들을 실화영화라 말할 수 있으며, 실화영화의 어떠한 장점들이 관객을 극장으로 불러들이는 것인지, 그리고 그러한 장점들이 어떤 방식으로 관객들에게 전달되는지에 대해 아직 명쾌한 결론을 내리고 있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실화영화의 표현 스타일들이 실화라는 장점을 관객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전달하고 있는가에 대해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우선 우리는 실화영화의 분석에 앞서 어떤 영화들이 실화영화라는 범주 안에 포함될 수 있는지 그 기준점이 될 수 있는 조건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화영화는 장르라기보다는 정보 전달의 성격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그 조건을 텍스트가 아닌 영화의 구성요소에서 찾아 실제 사건과 실존 인물이라는 두 가지 조건을 도출해냈다. 두 번째로 우리는 조건에 속하는 영화들을 몇 가지 유형별로 나누어보고, 그 기준에 부합되는 영화들을 선정하여 실화영화들에서 자주 쓰이고 있는 표현 스타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우리는 실화영화의 표현 스타일들이 가지는 장점과 그 효과들을 분석, 접근하여 실화영화에 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 결과, 실화영화는 여타 영화들보다 관객을 영화에 더 빠져들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화라는 촉매제가 영화의 여러 표현 스타일들을 통해 관객들의 리얼리티를 굳건하게 만들어 관객으로 하여금 새로운 리얼리티의 세계를 구축하고, 영화 속의 현실과 실제의 현실을 착각하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실화영화의 장점이 있기에 실화라는 정보가 관객에게 강조되고, 실화를 소재로 한 영화들이 계속하여 제작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우리는 실화영화의 다양한 표현 스타일들을 분석해본 결과 실화영화는 실제 사건에 바탕을 두고 만들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것은 관객들에게 실제 인물이 느꼈을 감정들에 좀 더 객관적으로, 좀 더 사실적으로 접근하게 만든다. 그것은 실화라는 정보가 관객들을 영화에 좀 더 친숙하고 가깝게 느껴지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 다루지 못한 실화영화의 다른 유형들에 대해서도 관심이 이어져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본 논문이 그 연구에 있어 작은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A film based on a true story is not yet recognized as a genre film while it has became a sort of accustomed the film genre following the audience taste. By contrast, the research of a film based on a true story has not been conducting in our actual circumstance to reach obvious conclusion in terms of how to define a true story film, what elements attract the audience to the cinema and how to be conveyed these elements to them. This research begins from the necessary of recognizing the expression of the true story toward the audience in what way and how. First of all, we research the conditions of the true story film that what kind of films can be categorized into it. It is better to say the true story film is a specific method of information delivery rather than a genre. So, its condition should be found in the construction of the film to draw the essentials of the film as real accidence and real person. Secondly, we nominated some films which are corresponded with the condition and analyze what kinds of expression styles are frequently used in the film that the approach of positive influence of the expression style in the film may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film which is based on a true story. In consequence, we catched that the true story film have more empathy than other films because the element ‘real’ is playing as catalyst to make the audience to believe what the film present through its various expression styles. They establishes another real world and collapse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 and the film world. Therefore, these merits stimulate producing the true story film continuously and non-fictional information or realistic description is emphasized by the audience. We confirm that the film based on a true story can guide the audience to approach the film more efficiently by assimilating with the characters in the film and its content based on real directly make them to be friendly and closer to realized events on the screen. Lastly, we hope the research which deals with the film based on a true story can be followed up with that we could not handle it and this research will be of some help in accomplishing study.

      • 정부조달제도와 발전방향에 관한 고찰 : 국방조달제도를 중심으로

        성유경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defense procurement system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Recently, the procurement environments such as openness, globalization and knowledge information have undergone sudden change and people's demand for the transparency of the procurement environments and fair competition has been on the increase; in the meantime, the digitalization for the administrative affairs regarding procurement has been constantly needed. In order to deal actively with the change of such procurement environments, the rules and regulations concerning the government procurement and system should be revised. In order to develop the defense procurement system that the military will reform systematically, we have to introduce a long-term continuous contract system for repaired parts in order to support the military itself in a timely fashion with appropriate quantity and synthesize and design the catalogue, standard and configuration management duties and reform the collection, evaluation and survey method of the price information for importing foreign weapons. In addition, we should synthesize the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system for localization of parts and introduce the government subsidy system for procurement rotation; in doing so, we should revise the fault of a single year budget accounting and strengthen the management before and after the offset trade. More than anything else, we have to rearrange the organization and system regarding the acquirement, organization regarding the procurement and system in order to execute the defense budget in a fair, transparent and effective fash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