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l 전극을 이용한 연속식 원통형 전기분해 반응기에서 인(P) 제거 특성

        성승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수처리 공정에 있어서, 인과 질소는 BOD나 SS에 비해 제거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고, 제한된 처리 방식으로 인해 처리하기 까다롭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분변에 상당히 많은 양이 존재하는 인은 산업의 고도화와 생활방식의 변화로 인하여 이러한 종류의 폐수 발생량 증가를 야기하였다. 인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게 생물학적 처리, 물리‧화학적 처리, 토지‧식생을 통한 처리 등으로 구분된다. 이중 적당한 침전제를 이용하여 침전시킨 후 고액 분리하는 화학적 처리방법은 처리시간이 짧고 효율이 높으며 처리의 확실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많이 이용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통형 연속 반응기를 이용한 전기분해를 통해 인의 물리‧화학적 처리 방법 중 하나인 Alum을 이용한 응집 처리의 처리 효율을 개선하고 대용량 폐수 중의 인을 처리하기 위해 조건을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 보다 효율적으로 폐수 중의 인을 처리할 수 있었다.

      • 개인 변인에 따른 초등교사의 초등과학수업 실행전문성 분석

        성승민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rofessionalism revealed through the level of work and process. For this study, professional performance test was modified based on Woo’s ‘framework for progression and learning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practice’. Which included 6 elements such as ‘lesson plans’, ‘creating the learning environment’, ‘inquiry’, ‘conceptual understanding’, ‘practical application’, and ‘assessment’. Professional performance of elementary science teaching practice is divided into the level of quality of elementary teachers' science class,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about science teaching practice.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the effect of personal variables on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is study, a measuring tool was selected, and differences in professional performance depending on various personal variables, the effect of interaction among personal variables and the cause were analyzed. And then it conducted to 79 elementary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For the study, classification of multiple-choice and open-ended questions was carried out, a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re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domains of professional performance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experience of training program, deciding method of exclusive subject and deciding method of exclusive teacher. But there was almos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elective subject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undergraduate advanced courses, graduated major, exclusive science teacher career and science teaching method. For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continuous motive is needed along with training. Although scientific training is helpful in improving professional performanc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provide various scientific training programs which are more effective. Giving priority to professionalism is effective to determine exclusive subject and exclusive teacher, but it isn't easy for teachers to be in charge of desired subjects in the field for many reason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rofessional performance depending on undergraduate advanced courses and graduate majors because teachers had different cognitions about and preferences for curriculum in university of education and management method. Professionalism in science class improves, when it is provided by teachers with high professional performance of elementary science teaching practice, not by exclusive teachers. The two-way ANOVA result of the effect among personal variables depending on professional performance of elementary science teaching practice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among most personal variables. In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improve systems in the field by studying which effect they have on improvement of teachers' professional performance, and to develop various scientific training programs effective for professional performance. Moreover, teachers need to analyze actual scientific classes of other teachers that completed different undergraduate advanced courses and majored in different studies in graduate schools, and teachers' professional performance according to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cultivate teachers professional in elementary science to form environment to teach elementary science continuously and to provide high-quality classes for students. Lastly, further study needs to re-examine the effect of interaction among personal variables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al variables on professional performance through analysis of actual classes.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실행하는 일의 수준과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교사의 전문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검사 도구는 우필희의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실행전문성 개발의 발달과 학습틀’의 검사 도구를 바탕으로 수정·보완 하였다. 실행전문성 검사 부분은 수업계획, 학습 환경 조성, 탐구, 개념이해, 실생활 적용, 평가라는 6개의 하위 요소로 구성되어있다. 초등과학수업 실행전문성은 초등교사가 실행하는 과학수업의 질적 수준과 과학수업 실행을 통해 나타나는 교사의 전문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기존연구들은 개별적인 개인 변인이 수업 전문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국한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도구를 선정하고, 다양한 개인 변인에 따른 실행전문성의 차이와 개인 변인들 간 상호작용의 효과 여부와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초등교사 79명에게서 수집된 검사설문지 중에 실행전문성 검사문항은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다. 선택형·개방형 응답문항은 유목화하였고, 심층면담은 3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개인 변인에 따른 실행전문성을 분석한 결과, 교직경력, 과학연수 경험, 전담과목 결정방법, 전담교사 결정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고, 성별, 대입지원 시 선택과목, 학부심화과정, 대학원전공, 과학전담경력 유무와 과학수업 교사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연수와 함께 지속적인 동기가 필요하다. 실행전문성에 과학연수가 도움이 되지만 더 효과적인 과학연수를 다양하게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전문성을 우선해 전담과목과 전담교사를 결정하면 효과적이지만, 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 희망 교과를 전담하는 것이 쉽지 않다. 교육대학 교육과정과 운영방법 대한 인식과 선호도가 입장에 따라 달라서 학부심화과정 및 대학원전공에 따른 실행전문성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담이 과학수업을 하면 과학수업의 전문성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초등과학수업 실행전문성이 높은 교사가 과학수업을 해야 과학수업의 전문성이 높아진다. 초등과학수업 실행전문성에 개인 변인들 간의 효과를 이원분산분석 한 결과, 대부분의 개인 변인들 사이에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현장에서 실시되는 제도들이 교사의 실행전문성 신장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하여 개선하고, 실행전문성에 효과적이고 다양한 과학연수를 개발해야 한다. 심화과정과 대학원전공이 다른 교사들의 실제 과학수업을 분석하고, 교육대학 및 교육대학원에 따른 교사의 수업 실행전문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초등과학에 전문성있는 교사를 양성하여 이들이 초등과학을 지속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학생들에게 양질의 수업을 제공해야 한다. 연구 대상을 늘려서 개인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어떠한지 다시 알아보고, 실제 수업분석을 통해서 개인 변인들이 실행전문성에 영향을 주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 측정 도구 개발

        성승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과 관련하여, 지금까지는 교육의 수요자인 학생의 입장을 고려하기보다 교사의 입장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수요자인 학생의 초등 과학수업에 대한 기대도와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에 대한 학생의 생각도 함께 반영한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대한 학생의 기대도와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에 대한 학생의 생각을 살펴보기 위해 각각 설문을 투입한 후 학생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인 교사의 과학수업 및 전문성에 대한 학생의 요구, 교사 전문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 측정 도구 초안이 개발되었고, 개발된 초안은 초등과학교육 전문가 4명의 1, 2차에 걸친 검토를 통해 최종적으로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 측정 도구가 개발되었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측정 도구를 초등교사에게 투입하여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대한 학생의 기대도와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에 대한 학생의 생각을 살펴본 결과, 학생들은 ‘교육환경 및 분위기’ 하위범주에서 교사의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재미있고, 명석하고, 친절하며 다양한 내용과 방법, 실험 등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교사, 학생을 잘 이해해주는 교사를 과학수업 전문성이 있는 교사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대한 학생의 기대도,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에 대한 학생의 생각,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교사 전문성 척도를 반영하여 개발된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 측정 도구’는 5개 하위범주(전문성 계발 노력 4문항, 교육내용 8문항, 교육방법 6문항, 교육환경 및 분위기 8문항, 평가 8문항)로 이루어진 총 3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측정 도구는 내용타당성지수(CVI), 신뢰도가 통계적으로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교사 자신이 생각하는 과학수업 전문성 실태를 살펴본 결과, 다른 하위범주들 보다 ‘전문성 계발 노력’에 보완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내용’ 하위범주에서는 융합적 관점에서 여러 교과와 단원을 구성하는지에 대해 교사 스스로 자신의 전문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의 참여와 흥미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에 대해 교사 자신이 생각하는 전문성은 높지만 그중 학습내용에 적절한 과학수업모형을 활용하는지에 대한 전문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환경 및 분위기’ 하위범주에서는 안전사고 예방 노력과 과학실 규칙 준수에 대해 교사 자신이 생각하는 전문성은 높았지만 상대적으로 교육환경 조성 노력에 대한 전문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 하위범주는 교사 자신이 생각하는 전문성 차이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 측정 도구’는 학교급에 따른 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 비교 연구,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 등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recedent studies on teachers' professionalism in science teaching have put their emphases on the teachers' perspectives with rare regards on students’, the actual demanders of the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puts its attempts to develop teachers' professionalism scale o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which reflects the demanders' perspective, by including the students' expectation o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and their opinions on their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ism. In pursuance of measuring the elementary students' expectation levels on their science teachers’ teaching and opinions on their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ism, surveys have been conducted on each topic, and the students' demands on their science teaching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have been analyzed. The first draft model of teachers' professionalism scale o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such—the students' demand on their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with that of precedential studies on teachers' professionalism—in general. The final teachers' professionalism scale have been developed after the first and second scrutinized examinations on the draft scale, which had been conducted by four experts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This finally-developed scale has insert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lementary teachers' professionalism on science education has been analyzed accordingly. The result has found that students expect teachers' concerns and efforts i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tmosphere’, based on the survey. Additionally, the results have shown that students consider teachers with fun, intelligent, and kind personalities, with knowledges in various contents, methods, and experiments, and with good grasp on students are the teachers with ‘high professionalism’ in science education.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Scale o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is consisted of 34 questions under 5 categories—professionalism development efforts, educational contents, instructional metho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tmosphere, and assessment—and has been developed to focus on the reflection of students' expectation levels o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students' opinions on elementary teachers' professionalism in science education,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measurement. This scale is appeared to have statistically high CVI(Content Validity Index) and Credi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ssessment on teachers' self-recogni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which had used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Scale o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method, the ‘professionalism development efforts’ has revealed to be the category to be more supplemented, compared to other categories. Within the ‘educational content’ category, teachers were shown to consider themselves as less-professionalized in composing and organizing various subject matter units in an integrated perspective. Furthermore, it has been resulted that teachers consider themselves as highly professionalized in ‘teaching method’, which can improve the participation and interest of students, but that as less professionalized in applying appropriate models of instruction in their science teachings. With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tmosphere’ category, teachers were shown to consider themselves as highly professionalized in safety accident prevention efforts and the compliance of science room regulatory, but as comparatively less professionalized in educational environment-building effort. The self-recognized professionalism differences have shown to be small in the ‘assessment’ category.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Scale o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ighly applicable as a useful method in further relative studies, such as comparative studies of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in different school levels, implication method developing studies to increase elementary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heir science teaching, and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