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언론을 통한 정부PR 연구 : 서울시청 홍보담당자와 출입기자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성기연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민주주의 사회에서 정부는 공중과 끊임없이 관계를 맺는다. 중앙정부부처부터 지방자치단체, 중소규모 공공기관에 이르기까지 공공섹터의 모든 기관이 이른바 정부PR을 통해 국민, 시민과 소통한다. 특히 민선시대가 정착되고 미디어환경 변화, 사회 투명성 강화가 이뤄지면서 ‘참여’에 대한 공중의 열망이 높아졌고, 정부와 국민, 시민 간 상호 작용은 더욱 활발해지는 추세다. 정부가 어떤 정책과 사업을 내 놓고, 어떤 메시지를 발신하는지를 국민, 시민들은 실시간 민감하게 캐치하고 반응한다. 이 때 정부기관의 핵심 PR수단은 언론이다. 뉴미디어 발달로 PR수단이 다변화되는 추세이지만, 아직까지 현장에선 언론을 통한 정부PR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며 메시지 발신의 출발점 역할을 하고 있다. 각 기관의 입장, 자료, 발표, 정책과 사업 모두 1차적으로 언론보도를 통해 공식화되며 아젠다셋팅을 주도한다. 즉, 언론을 통한 정부PR을 효과적이고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일은 대국민 커뮤니케이션과 직결된다. 그리고 그 중심에 홍보담당자들이 있다. 이들이 어떤 마인드와 인식으로, 어느 정도의 지식과 전문성으로 업무를 수행하는지에 따라 공중과의 관계 결과물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의 인식 수준은 그리 높지 않은 실정이다. 순환보직제에 따른 인사운영으로 대부분 미디어에 대한 교육이나 경험조차 없는 직업공무원들이 대부분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전문가로 채용된 개방직PR전문가들도 수직적 질서가 엄격한 관료사회에서 역할에 한계가 존재하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 속에서, 현장의 홍보담당자들과 출입기자들은 정부PR 전반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고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취지로 시작됐다. 이를 위해 서울시 홍보담당자와 출입기자 각 10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홍보담당자들과 기자들의 인식에는 온도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보담당자들은 자신들의 역량과 권한, 책임감과 사명감 등에 스스로 더 높은 점수를 줬고, 기자들은 이런 부분에 좀 더 냉소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기자들은 공공정보 게이트키핑 등 자신들의 정보통제와 직결되는 부분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했다. 정부PR에서 가장 비중을 두고 있는 언론관계 전략에 대해서 양 집단 모두 ‘보도자료 등 발표메시지’라고 인식하면서도, 홍보담당자들은 ‘기자와의 관계’를, 기자들은 ‘기관장과 언론의 관계’를 그 다음순위로 꼽았다. 즉, 홍보담당자들은 기자와 일상적으로 접촉하며 기자와의 관계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반면, 기자들은 홍보담당자들 스스로 인식하는 것보다 기관장 업무 비중을 크게 체감하고 있었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언론을 통한 정부PR의 효과성,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 철이 도핑된 다강체 물질인 터븀 망간 산화물(Tb(Mn,Fe)2O5)에서 물성변화에 대한 연구

        성기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자성과 강유전 특성을 동시에 갖는 다강체를 새로운 개념의 비활성 메모리나 스핀트로닉스 소재로 이용하기 위해선 강유전 특성의 발현 원리를 명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자기적 다강체와는 달리, 자성 이온의 교환압축이 유전 분극을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다강체 물질인 TbMn2O5에서 Fe 이온의 도핑 이후 자기 구조 변화와 유전 분극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TbMn2O5 시료의 Mn 이온을 Fe으로 부분 치환한 Tb(Mn1-xFex)2O5 단결정 시료를 성공적으로 제작하였고 온도에 따른 열용량, 유전율, 가열 전류를 측정했다. 특히TbMn1.7Fe0.3O5 단결정 시료에서 반강자성 정렬이 TN = 43 K에서 일어나는데 이는 Fe 도핑이 되지 않은 TbMn2O5의 자기정렬 온도와 거의 차이가 없다. 그러나 강유전성이 발현하는 온도는 기존의 시료와 비교했을 때 더 낮게 나타나는 것을 관측하였다. 특이하게도, TbMn2O5 에서 약 24 K 부근에서 나타나는 (저온)이맞음-엇맞음 전이가 Fe 이온이 도핑이 된 시료에서는 관측되지 않았으나, 외부 자기장이 단결정 b방향으로 가해졌을 때 (저온)이맞음-엇맞음 상전이가 다시 발현하는 현상을 관측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Fe3+가 Mn3+을 치환하면서 자기구조와 이것에 기인한 유전 분극에 중요한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In order to utilize multiferroics, in which both magnetism and ferroelectricity coexist, as a spintronic device or a nonvolatile memory application, it is desired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agnetoelectric mechanism. We investigated Fe doped TbMn2O5 to study the interplay between the magnetic structure and the emergence of the polarization. Unlike the other well known magnetic multiferroics, in TbMn2O5 the exchange-striction between magnetic ions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emerging the polarization. Single crystalline Tb(Mn1-xFex)2O5 samples have been grown successfully and specific heat, dielectric constant, and pyroelectric current vs. temperature have been measured. TbMn1.7Fe0.3O5 has the anti-ferromagnetic ordering temperature at TN = 43 K, which is similar to that of the undoped TbMn2O5. However, the ferroelectric transition occurs at lower temperature. Interestingly, the low temperature incommensurate transition (LTICM), which occurs at 24 K in an undoped sample, does not occur in TbMn1.7Fe0.3O5. When an external magnetic field is applied along the crystallographic b-axis, the hidden LTICM reemerges at the similar temperatur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Fe substitution for Mn ions alters the magnetic structure and modifies the polarization in a rather unexpected way.

      • CHILD SOLDIERS AND DISARMAMENT, DEMOBILIZATION, AND REINTEGRATION (DDR) IN THE EYES OF CULTURAL DISCOURSE: THE CASE STUDY OF SIERRA LEONE

        성기연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Child soldering is now commonly used as one of the significant examples to show a brutal violation of human rights. However, who really is a ‘child’ in this context should be questioned and an operation for child soldiers designed by the United Nations called “Disarmament, Demobilization and Reintegration (DDR)” is also needed to be re-considered to improve its effectiveness. The dominant concept of ‘child’ in the context of child soldiers only includes young people under age of 18 who participate in armed conflicts or be involved in any related acts. This thesis will tackle this discourse because of the complexity and variety of defining child in different cultures. In order to analyze the dominant definition of ‘child soldiers’ and DDR in the cultural debates, I will choose cultural relativism and universalism to compare perspectives on child soldiering and a peacekeeping operation for the issue. Two dissimilar perspectives define child differently and further evaluate DDR differently. Cultural relativism argues that childhood is a social construction. The meaning of child is negotiated between different individuals and groups, often with conflicting interests. Since childhood is relativ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DDR should be changed. On the contrary, the universalist perspective believes that childhood constitutes a coherent group or a state defined by identical needs and desires, regardless of cultural, ethnic, or racial differences”. In this light, universalists believe that the same support and protection mechanisms should be applied. I bring up a case study of Sierra Leone to show that the definition of child soldiers can be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lassification. Based on analysis of case study, the thesis shows that child and child soldier can be defined differently from the dominant discourse and what is required i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local conditions and dynamics that define and shape the experiences of child soldiers as well as their perception of these experiences.

      • 山上憶良表現硏究 : その用語を中心に

        성기연 武庫川女子大學 1998 해외박사

        RANK : 248623

        본 論文은, 憶良의 思想의 觀點에서 憶良歌의 表現을 통하여 그의 文學性을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憶良의 表現硏究에 관해서는, 高水市之助氏의 愛語, 孤語의 論을 바탕으로 하며, 그 중 본 논문에서는 愛語를 중심으로 하되, 특히 그의 문학의 근본이 되는 사상적 언어라 생각되는 「家」부터 시작하여 그 「家」의 追究에서 발전된 「世間」을 고찰했다. 그리고 憶良문학에 있어서 중심적 주체인 인간 그 자체의 감정표현을 검토하기 위하여 역설적으로 「神」이라는 愛語가 어떻게 사용되어져 있는 가를 追究하여 최후에 憶良문학의 상징적 용어인 「すべなし」라는 愛語를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이것을 各章으로 나누어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章 「家」 を詠むことは ― 「日本挽歌」 を中心に―: 憶良문학의 시작이라 불리어지는 「日本挽歌」를 통하여 憶良문학의 근본을 탐구해 본 것이다. 「日本挽歌」는 潢詩文과 한쌍으로 되어 있는 노래로서, 앞의 潢詩文에 노래의 상황과 근본이 되는 사상이 암시되어져 있다. 그러한 전제에 서서 특히 「家」라는 용어의 반복된 사용을 주목하여 憶良가 의미하는 「家」가 그의 思想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 가를 살펴본 것이다. 그것은 萬葉集의 일반적인 「家」의 사용법 ― 人的要因을 不可缺의 구성으로 하며 人的要因인 가족과 함께 진정한 안락을 얻는 場이란 뜻으로 특히 「旅」와 대립되는 용어라는 것 ―을 수용한 위에 憶良특유의 사용법을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즉, 「生」을 전제로 하는 「家」라는 언어에 유교사상을 투영시켜 가족간의 德目을 강조한 것이다. 이것은 노래이외에도 憶良가 當詩 國守라는 유교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백성을 다스리는 직위에 있으면서 旅人에게 「日本挽歌」를 지어 보냈다는 것으로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것이었다. 제2章 「世間」 を詠むことは ― 「嘉摩三部作」を中心に― : 제1章의 「家」에서 나타난 인간중심의 문학의 출발점을 모색해 본 것이다. 그것은 「世間」을 응시한 결과의 소산으로 사회적 관점에서 바라본 「世間」, 가족적 관점에서 바라본 「世間」, 자아적 관점에서 바라본 「世間」으로 점점 「世間」을 追究해가는 嘉摩三部作의 노래의 태도에서 엿볼 수 있는 것이었다. 이것은 「世間」의 원래의 해석 - 佛典語로 涅槃의 세계에 대한 용어 ― 萬葉集의 해석 ― 生과 死의 현상적인 모습 ― 과는 다른 憶良만의 특이한 해석이었다. 즉, 憶良의 「世間」은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이 있는 곳으로 이것을 되풀이하여 노래하는 것이 그의 인간중심의 문학을 이룩하게 한 것이다. 제3章 「神」を詠むことは ― 「好去好來歌」 を中心に― : 제1章, 제2章에서 인식하여 그린 인간의, 生을 살아가는 모습 중 그 주체인 인간의 존재를 憶良는 어떻게 인식하여 표현하는가 하는 과정을 검토해 본 것이다. 그것을 「好去好來歌」라는 憶良의 작품중에서 특이하게 「神」을 多用한 작품에서 살펴보았다. 「好去好來歌」에서의 憶良의 「神」의 多用이라는 것은 그 長歌의 마지막에서 주제를 노래하는 인간의 불안한 추측, 願望을 더욱 더 강조하기 위하여 「神」을 주체로 하여 多用한다는 憶良의 독특한 사용법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것은 長歌의 末尾를 제외한 대부분이 神에 의한 내용이지만 그 末尾만이 인간을 주체로 하여 노래불러 그 노래의 균형을 깨뜨린 점, 長歌를 강조하는 역할인 反歌에서 인간의 감정을 중심으로 노래한 점에 의하여 짐작된다 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反歌의 「かき掃きて」, 「紐解き放けて」역시 「神」이 주체가 되는 주술적 행위가 아니라 인간의 감정, 즉 떠나간 자를 애타게 기다리는 마음을 중시하여 부른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憶良는 그의 문학의 주체인 인간의 감정을 강조하기 위하여 當時 최대의 정신적 주지인 「神」을 충분히 사용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이것은 憶良의 인간존재의 인식에 대한 강한 의지의 발로에 의한 것이었다. 제4章 「すべなし」 を詠むことは : 이것은 憶良문학의 골격을 이루는 주제어를 검토해 본 것이다. 「死」를 계기로 하여 「生」을 의식하는 것에 의하여 시작되는 그의 문학은 「家」를 노래하여 生을 살아가는 법을 제시하고 「世間」을 노래하여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묘사했다. 그리고 「神」을 노래하고서는 그의 문학의 주체인 인간의 감정을 더욱 강조하였던 것이다. 이렇게 살아가는 인간을 중심으로 하여 특히 그것을 응시한 그의 문학의 중심어는 「すべなし」였다. 그것은 憶良의 대표적 작품으로 전반적으로 찾아 볼 수 있는 용어이며 그것도 각 작품의 주제어인 것으로 보아 짐작될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憶良의 「すべなし」는 挽歌相聞에서 주로 불리어진 「すべなし」를 雜歌에서 부른다는 창조를 이루었다. 이와 같이 노래의 표현을 통하여 자신을 나타내는 憶良는 「すべなし」에 情念을 넣어 가장 그다운 노래를 만들었던 것이다. 그 결과, 만들어진 憶良歌에서 느껴지는 분명히 밝지 못한 서정성 역시 이 「すべなし」를 노래의 주제어로 하는 것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노래를 만드는 歌人, 憶良는 「すべなし」라는 주제어를 가지고 노래를 했던 것이다. 그것은 「死」를 계기로 하여 얻게된 生에 대한 집착, 살아가는 법에 집착하게 되고 그것은 그의 사고의 바탕이었던 유교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家」의 원리에 의하여 나타나게 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世間」의 원리로 넓혀져 生을 응시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生의 응시에 대한 의욕은 주체인 인간을 더욱 강조하고 싶다는 것으로 나타나 神을 객체로 하여 인간을 주체로 표현하는 방법을 취했던 것이다. The bacteriophage λO protein localizes the initiation of replication to a unique sequence, ori λ through specific protein-DNA and protein-protein interactions. Conformational changes at ori λ introduced by O protein binding have been reported and their roles have been implicated in the initiation of λ DNA replication. In our studies, we focused on detailed structural basis of the formation of the O protein-ori λ complex(O-some). This work was divided into five Chapters including a general introduction given in Chapter 1, a brief review of genetic, biochemical, and structur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the initiation of λ DNA replication. As shown in Chapter 2, we found that the O protein exists as a dimer and demonstrated that the active DNA binding species is also a dimer. Dimerization and sequence-specific DNA recognition are specifically mediated through the amino-terminal half of O(O1-162(아래첨자 1-162입력불가)). The binding affinity of O for a single copy of its 19 bp recognition sequence was 2-3 nM. We also found that the O-some is composed of 4 dimers of O and ori λ DNA, which contains four 19 bp direct repeat recognition sites, i, e., a dimer of O is bound to each repeat(iteron). Moreover, we found that only the amino-terminal DNA binding domain is required for formation of the O-some.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basis for the unique properties of O protein, we generated a number of carboxy-terminal and internal and internal deletion mutants of O. Experiments with purified mutant proteins, as shown in Chapter 3, indicated that (ⅰ) the deletion mutant retaining amino acid residues 19-110 is the smallest O protein species that can both bind to DNA and form a dimer, (ⅱ) the affinities of all mutant proteins for a single iteron are almost the same, ranging from 2 to 4 nM; (ⅲ) the portion of O that is responsible for dimerization is located between amino acid residues 19 and 85; (ⅳ) the carboxy-terminal domain (O 156-299(아래첨자 156-299입력불가)) is a monomeric species that does not recognize specific DNA sequences but instead, bind non-specifically to duplex DNA; (ⅴ) the linker joining the two structural domains is not required for O function, but its coding sequence of DNA contains several recognition sites for O protein (ori λ); and (ⅵ) a deletion! m! utant missing the amino-terminal portion of the carboxyl-terminal domain is still comparably active in the in vitro λdv replication assay. In Chapter 4, the structural basis of the O protein-DNA complex was studied in detail. Hydroxy radical footprinting was employed to obtain the high resolution structural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s between the protein and the sugar-phosphate backbone of DNA. The missing nucleoside experiment allowed us to identify energetically important base moieties that may be in contact with bound O protein. Quantitation of the extent of O-mediated DNA bending indicated that O induces a relatively sharp bend in an individual recognition sequence of 85。 ±5。 . Measurement of the O-induced topological change indicated that a region of DNA or specifically ori λis wrapped around the O protein core in a left-handed fashion with a linking number change of 0.7±0.1 turn. In Chapter 5, we present direct evidence that the O protein also has the capacity to interact with single-stranded DNA, the first such interaction discovered among prokaryotic origin-binding proteins. The implication of this dual DNA binding specificity of O for the formation of the unwound structure at the A/T-rich region of ori λ is dis cussed. The addition of the λP-DnaB comple x to the O-some produces a new nucleoprotein species with a super-shift in migration. The presence of P and DnaB reduces significantly the amount of O required for binding to single-stranded DNA.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a detailed model for sequential structural changes in ori λ as a consequence of O binding to the origin of λreplication.

      • 腦卒中 患者家族과 看護師의 腦卒中 關聯 敎育要求度 比較

        成基然 翰林大學校 2004 국내석사

        RANK : 248623

        Apoplexy treatment needs patient's compliance and self-management for its pathogenic features that is one of the chronic disease causing disablement as well as needs an assistant who supports patient's daily life and basic nursing. In most cases, one of family members takes such position that consequently want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patient's physical states and disease. From previous study, it was repor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of recognition about desire of education from patients or their family as well as of nursing contents medical personnel providing. This research is performed to suggest basic data for efficient education as investigating needs of education of apoplexy patient's family members in comparison with nurses. Subjects were 87 nurses and 104 persons from patient's family that their patient was diagnosed as apoplexy and under treatment (hospitalization or outpatient) at department of neurology or neurosurgery in affiliated 4 general hospitals with H hospital as well as another 1 medium-sized one located Seoul and Gyeonggido during September 4 ~ October 30. Collected data is processed with SPSS, and the real number and percentage is applied at demographic features and overall characters. Standard deviation and average is used to estimate the needs of education of patient's family and nurse, t-test for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nd t-test/ANOVA is applied for the needs of education based on general features of two groups respectively. The conclusion is summarized as follows. 1) In needs of education according to features of patient's fami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s observed as monthly income at patient administration area (p<.05), and as existence of shift nurse at disease-knowledge area (p<.05). 2) In needs of education of patient's family according to features of patient, significant difference is observed at disease-knowledge area (p<.05) and paralysed part (p<.05). Existence of language disturb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disease-knowledge area and overall area (p<.05). 3) In needs of education according to nurse's features, age of nurses showed significance at patient-management area, familial/social problem management area (p<.05), schooling of nurses at patient-management area, overall area (p<.05), position (rank) of nurses at patient-management area, familial/social problem management area, overall area (p<.05), and work carrier at present hospital showed disease-knowledge area, familial/social problem management area, overall area (p<.05). And an experience of long-term hospitalization of nurse's fami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familial/social problem management area (p<.05). 4) As analyzing the difference of importance of educational needs between nurse and family member of patient, the needs of family member showed higher degree (average of nurse: 189.1±24.3 / average of family member of patient: 185.0±16.6), but it didn't has significance statistically (p=0.236). 5) Disease-knowledge area is the one that highest needs of education was observed from both nurse and family member of patient, the patient-management and familial/social problem management followed that didn'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6) The 7 heading; complications of apoplexy and prevention, prevention of apoplexy and relapse, essential treatment for emergency, recuperation, symptoms of apoplexy, treatment process, prevention of accident and maintaining stable state; from upper 10 headings showed high needs of education between nurses and family member of pat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