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 이해 능력 발달

        설은혜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에서는 부모님을 따라 중국 또는 한국에 거주하게 된 한국인/중국인 가정의 이중언어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의 한국어 및 중국어 이해 능력을 측정한 뒤 각각 한국어, 중국어 단일언어 아동과 비교하여 살펴보고, 그 결과가 감가적 이중언어와 부가적 이중언어 중 어떤 유형의 모습을 보이는지 확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 아동의 한국어와 중국어 능력은 어떠한가? 이때 이중언어 아동의 한국어 능력은 한국어 단일언어 아동과 차이가 있는가? 또한 이중언어 아동의 중국어 능력은 중국어 단일언어 아동과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 아동의 한국어와 중국어 능력은 연령,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 아동의 한국어와 중국어 능력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의 답을 찾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언어 이해 능력을 음운인식력과 어휘이해력, 문장이해력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설정한 후, 중국에 거주하는 5, 6, 7세의 이중언어 아동 30명(집단1)과 한국에 거주하는 7세 이중언어 아동 13명(집단2)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능력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학부모를 대상으로 간단한 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모두 중국(집단1) 및 한국(집단2)에서 1년 이상 거주하고 있으며 교육기관에서 한국어와 중국어 보통화를 교육받고 있다. 그리고 한국에 거주하며 중국어 교육을 받아본 적이 없는 한국어 단일언어 아동 30명(집단3)을 대상으로 한국어 능력 검사를, 중국에 거주하며 한국어 교육을 받아본 적이 없는 중국어 단일언어 아동 30명(집단4)을 대상으로 중국어 능력 검사를 시행하여 이를 이중언어 집단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이중언어 아동의 한국어와 중국어 능력은 중국 거주 이중언어 아동의 경우 한국어 능력은 한국어 단일언어 아동과 유사했으며, 중국어 능력은 중국어 단일언어 아동보다 유의하게 뒤처지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한국 거주 이중언어 아동의 경우에는 중국어 능력이 중국어 단일언어 아동과 유사했으며, 한국어 능력은 한국어 단일언어 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즉, 본 연구에서 살펴본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 아동의 경우에는 가족 언어(모어)가 사회공동체 언어(제2언어)보다 우세하며, 가족 언어의 경우 단일언어 아동과 비슷한 발달 양상을 보였다. 둘째, 중국 거주 이중언어 아동의 한국어 능력은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중국어 능력에서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5세와 7세의 경우에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중국 및 한국에 거주하는 7세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 능력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이중언어 아동(집단1, 2)의 한국어 및 중국어 능력은 모두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중국 거주 이중언어 아동의 경우 중국어 음운인식력과 한국어 문장이해력에서, 한국 거주 이중언어 아동의 경우 한국어 어휘이해력과 중국어 음운인식력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에 모어 혹은 제1언어 외의 다른 언어에 노출되는 것이 모어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감가적 이중언어의 입장을 부인하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이중언어 아동의 모어가 다른 언어의 영향을 받아 긍정적으로 발달하는 양상은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가 부가적 이중언어를 지지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잘 이루어지지 않았던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두 언어가 동등한 지위를 지니는 수평적 이중언어권의 조선족 아동으로 제한되어 있었던 연구 대상의 범위를 넓혀 중국 및 한국에 거주하는 한국인/중국인 가정의 이중언어 아동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이중언어 아동의 한 가지 언어 능력만을 살펴보았던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두 가지 언어 능력을 모두 살펴보았으며 이를 음운인식력과 어휘이해력, 문장이해력으로 세분화하여 측정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연구 대상 모집의 한계로 인해 연구 대상의 표집이 부족하고 이들의 이중언어 환경 기간이 충분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 이해 능력만을 살펴보았기 때문에 언어 표현 능력에 대해 알 수 없었고, 한국어와 중국어의 언어 체계 차이로 인해 음운인식력 측정 방식을 동일하게 맞추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This study has only targeted Korean-Chinese children, under the horizontal bilingualism category where their fluency in both languages were equal. But in most bilingual cases it is imperative that the range of research subjects used is wider, since one language usually dictates over the other showing greater dominan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research, targeting bilingual children from Korean-Chinese families, residing in China or in Korea, and to compare their tendencies in showing subtractive bilingual or additive bilingual traits, in order to understand Korean and Chinese, whe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questions for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Korean Chinese skills from the Korean-Chinese bilingual children? Does the Korean ability of the bilingual children differ from the Korean Monolingual children? Additionally, does the Chinese language ability of the bilingual children differ from the Chinese monolingual children? Second, do Korean and Chinese language abilities of the Korean-Chinese bilingual children differ in terms of age and gender factors? Third, does a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language abilities of the Korean-Chinese bilingual children exist?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to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we decided to divide the children depending on their language comprehension abilities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as follows: the element of sound perception, vocabulary comprehension, and sentence comprehension. Then for the bilingual children, ages 5-6, a Korean and Chinese proficiency test was conducted, targeting 30 children (group 1), 13, 7-year-olds (group 2), all bilingual children residing in Korea, whereas a simple survey was applied to their parents. First, the bilingual children’s linguistic abilities in Korean and Chinese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Korean monolingual children for the ones residing in China, and their Chinese language abilities showed a significant lagging, remaining behind from the Chinese monolingual children. In contrast, for the bilingual children living in Korea, the Chinese language ability was similar to that of the Chinese monolingual children, and the Korean abilit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Korean monolingual children. To illustrate, in the case of the bilingual Korean-Chinese children from our study, revealed that in the case of the bilingual Korean-Chinese children, the native language was dominant over the community language, and the native language showed a similar development patterns to the ones seen on monolingual children. Second,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bilingual children residing in China, showed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element of age, but showed no difference whatsoever, in terms of their Chinese abilities. The difference was only for the group of 5 to 7 year-olds. Additionally, the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language ability for those residing in Korea and China, fell under the 7 year-old bilingual children, where after assessing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we concluded that there were similarities. Korean and Chinese linguistic abilities on bilingual children from groups 1 and 2, didn’t show any relevant differences based on the element of age. Third, the children in China showed a relevant correlation with the Chinese Phonetic or phonological cognition skills, Korean sentence comprehensionand bilingual children living in Korea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lements of Korean vocabulary comprehension and the Chinese phonological orphonetic cognition skills. Through the present research, we have to differ in position with the subtractive bilingual concept, of how the exposure to a secondary language, besides the native one, can negatively affect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native or first language. Bu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t support the hypothetical positive effects of a secondary language acquisition in childhood either, therefore, it’s difficult to say the present study supports bilingualism in children. This research focused on Korean-Chinese bilingualism, was  well-focused on widening the pool of study subjects, concentrated on Korean-Chinese Children living with their families either in China or Korea. It is noteworthy to mention that the bilingual children’s linguistic ability was examined in detail and they were divided into categories based on the elements of phonological cognition skill (awareness), vocabulary comprehension, and sentence comprehension skills, differing from the previous studies that limited themselves to assessing a single language. Withal, we regret that due to the limitation on the pool of study subjects, there wasn’t abundancy on the sampling and limited bilingual environment to conduct the research. Additionally, as the bilingual children’s linguistic abilities were the notion examined, the ability to express the language was not assessed, as well as the presented limitation on parallel methods to measure phonological cognition skills (awareness) for both studied languages, due to the different language system the two languages are based on. In the future, we hope that the research in this matter, bilingualism, which has seem somewhat alienated from the traditional Korean education system can actively be pursued, branching out to diverse studies with the support of continuous interest from the academic community and at the end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ilingual education.

      • Keiretsu in Japan and their impact on international trade with the U.S

        설은혜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8639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미 무역관계는 눈덩이처럼 불어가는 미국측 무역적자와 더불어 거대한 일본 기업들의 해외 시장 선전이라는 불편한 현상까지 더해 악화일로를 걷게 되었다. 또한 일본은 주요 산업 분야에서 미국의 강력한 경쟁자로서 이미 시장을 선점하고 있던 미국 기업들의 해외시장 점유율뿐 아니라 내수시장까지 공격적으로 잠식해가고 있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훨씬 폐쇄적인 일본 국내시장에서 영업이 부진하던 미국측은 일본이 자유로운 무역의 흐름을 방해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난함과 함께 시장 개방 조치에 대한 강력한 압력을 행사하였다. 미일무역 갈등의 원인을 분석하기에 앞서 일본의 산업구조와 정치경제의 복잡성을 대변하는 민간분야의 주요 요소로 케이레츠를 살펴보아야 한다. 수평적으로 연계되거나 수직적인 연계관계로 강하게 유대되어 있는 기업들의 집단을 가리키는 케이레츠는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경제발전 과정에서 일본 특유의 정치경제 시스템하에서 각종 특혜와 정책상의 지원을 등에 업고 엄청난 성장을 이루었다. 보호주의적인 산업정책과 정부의 각종 세제 혜택 덕분에 케이레츠는 국내에서 외국 기업과의 험난한 경쟁을 거치지 않고도 외형적 성장을 금새 이룰 수 있었고 내수 시장에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할 수 있었다. 세계적인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만큼 성장한 뒤로는 해외시장으로 진출해 뛰어난 품질과 마케팅력으로 시장 확보에 성공했다. 케이레츠는 또한 일본의 수출을 장려하고 일본으로의 수입을 억제하는 영향력을 발휘해왔음이 많은 연구자료에서 밝혀진 바 있다. 특히 생산을 위주로 네트워크되어 있는 수직적 케이레츠의 경우 일본의 무역구조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생산과 유통망을 쥐고 있는 케이레츠들이 주로 제조산업 위주로 발달해왔기 때문에, 그들의 공격적인 해외 경영과 더불어 폐쇄적인 기업간 거래관행이 미국과 일본 양국의 불균형적 무역구조를 형성하는 데 크게 영향을 미쳤음을 예측할 수 있다. 일본 정부가 보호주의적인 정책을 상당부분 철폐한 뒤에도, 일본 중소제조기업과 대기업간의 오랜 유대관계를 위주로 하는 계약관행과 함께 역시 신용과 유대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복잡한 유통단계 때문에 미국 기업들이 동일 제품을 일본으로 수출하는데 불리한 점이 많았다. Entering the 1980s, economic tension between the U.S. and Japan has been growing due to the growing trade deficit on the U.S. side and the powerful Japanese economic penetration mainly by the big conglomerates. At the same time, Japan, as a major foreign competitor in major industrial sectors, has been blamed and asked to guarantee the freer access to its domestic market. Above all, Keiretsu, a group of firms networked bo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should be appointed as a main part of private sector that constitutes the complexity of Japanese industrial structure and political economy. Keiretsu has grown up under Japanese political economic system and become quite competitive in the world market, thanks to the protective industrial policy and its unique system of efficiency. At the same time, they have affected quite strongly to Japan's trade structure with the U.S. with encouraging exports and restraining imports. Especially, it is fair to say that vertical keiretsu has more direct effect on Japan's trade performance. Sinc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keiretsu developed mainly in manufactured goods industry, their aggressive business to the U.S. market and tight and close relationship among themselves seem to have an adversarial effect on the asymmetric trade structure between two countries. Even after government protection policy was abolished, subcontracting supplier system and intimate multi-layered distribution system behind huge groups itself can be exclusive and disadvantageous to U.S. firm. Although Japan has been blamed as being exclusive, closed market, the structural changes of trade index shows Japanese market and industry are being transformed little by little into openness as well as globalization. In addition, Japanese firms strongly networked and exclusively cooperating under the name of keiretsu have faced environmental changes that leads them to diversify business partners and decentralize corporate system. Therefore, the fact that traditional keiretsu system is becoming weakened or flexible means not only rationalization of business fo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ur also positive impact on improvement of serious trade conflicts between two countries.

      • 한국어 교육에서 어미 -으러, -으려, -으려고의 교육 방안

        설은혜 동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examined the subject restriction, predicate restriction, meaning and character of linking endings and closing endings of ?-eureo?, ?-euryeo? and ?-euryeogo? as the ending use ability is of importance in teaching grammar in Korean language. Linking ending is necessary to be taught to learners in Korean, and each function is taught separately when an ending has both linking ending and closing ending. Despite the difference of linking endings of ?-eureo?, ?-euryeo? and ?-euryeogo? and closing endings of ?-eureo?, ?-euryeo? and ?-euryeogo?, actually it was taught by only in linking ending. Thus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differences between linking endings and closing endings for its subject restriction, predicate restriction, meaning and character. In chapter 1, it reviewed previous studies of linking endings of ?-eureo?, ?-euryeo? and ?-euryeogo? to figure out necessity and objective of the study. In chapter 2, it examined basic meaning and differences by subject restriction, predicate restriction, meaning and character of linking ending of ?-eureo?, ?-euryeo? and ?-euryeogo?. It confirmed that linking ending ?-eureo? has been under synthetic restriction according to meaning of subject, and linking endings of ?-euryeo? and ?-euryeogo? did not. It is because ?-euryeogo? sentences may have expectation and anticipation in addition to [Intention] and [ojbective] different to ?-eureo? sentences. The linking sentence ?-eureo? has many restriction of predicate between prior paragraph and post paragraph, while linking endings of ?-euryeo? and ?-euryeogo? proved no restriction. Linking endings of ?-eureo? have [Intention]․[Objective], and chapter 2 proved that linking endings of ?-euryeo? and ?-euryeogo? includes [expectation] in addition to [intention]․[objective]. Chapter 3 examined the differences of closing endings of ?-eureo?, ?-euryeo? and ?-euryeogo? and linking endings of them in terms of the subject restriction, predicate restriction, meaning and character. The closing ending of ?-eureo? is restrictive in that the prior paragraph and post paragraph has same subject, and the quality of subject is [+animate], and it proved that closing ending of ?-euryeo? and ?-euryeogo? has no restriction. Thanks to the difference to linking endings, while linking endings of ?-eureo?, ?-euryeo? and ?-euryeogo? are impossible to combine to prior word ending, linking ending of ?-euryeogo? i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combine with prior words such as ?-att-/-eott-?. In case of closing endings of ?-eureo?, ?-euryeo? and ?-euryeogo?, it was confirmed to link to ?-yo? in general respective word. Closing endings of ?-eureo? and ?-euryeogo? has also [expectation], and closing ending of ?-euryeogo? is used as doubt and cross-question of the given situation. In chapter 4, it examined the linking endings of ?-eureo?, ?-euryeo? and ?-euryeogo? in the textbook and endings of ?-eureo?, ?-euryeo? and ?-euryeogo? in the dictionary. While linking endings of ?-eureo?, ?-euryeo? and ?-euryeogo? have refereed in every elementary textbook, there is no textbook that deal with closing endings of ?-eureo?, ?-euryeo? and ?-euryeogo?. Accordingly, it examined how linking endings of ?-eureo?, ?-euryeo? and ?-euryeogo? are taught and suggested instruction method. This study is of importance as it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closing endings of ?-eureo?, ?-euryeo? and ?-euryeogo?, which have not been dealt in many grammar books or textbooks, and linking endings of ?-eureo?, ?-euryeo? and ?-euryeogo?, and suggested the teaching method to apply for the Korean education. This study also found that more specified discussion on bird, fish, insect, wood, microcosm and cells when any list is suggested by the classification of nomrs with the subject restriction of ?-eureo?, ?-euryeo? and ?-euryeogo?.

      • 다양한 식단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과 건강 co-benefits 추정연구

        설은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정책은 대기 중 농도를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인간 건강에도 잠재적으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를 공동편익(Co-benefits)이라 한다. IPCC 5차 보고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공동편익의 범주 중 하나인 “다양한 건강결과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저탄소 건강 식이요법”은 육류식품 섭취 감소로 인해 이산화탄소 및 메탄 배출을 저감할 뿐만 아니라, 식물성 식품 섭취 증가로 인해 심장질환 및 대장암 발생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 한다. 식품섭취를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및 건강영향평가는 영국, 프랑스 등 유럽과 호주, 미국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현재까지 진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탄소발자국 자료가 있는 음식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식단 시나리오를 구성해보고, Baseline식단과의 비교를 통한 환경영향 평가와 건강 Co-benefits을 살펴보았다. 농업기술실용화 재단에서 제공받은 음식의 탄소발자국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기 남자 30-49세를 대상으로 하루 식단 시나리오 여섯 개를 구성하였다. 기준이 되는 식단(Baseline)은 한국영양학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권장식단 예시를 참고로 하였다. 식단 시나리오의 환경영향은 식단을 구성하는 각 음식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합(gCO2e)으로 나타난다. 식단 시나리오의 건강 Co-benefits은 Baseline 시나리오에 대비하여 식단 별로 하루 식품군 섭취량 변화에 따른 질병들의 상대위험도(Relative Risk)를 구하였다. 선택된 식이섭취 노출과 건강결과는 채소류 섭취량, 과일류 섭취량, 육류 섭취량의 변화가 관상동맥 심장질환, 뇌졸중, 제2형 당뇨병, 여러 가지 암 (구강암, 식도암, 위암, 대장암)에 미치는 관계이다. 식단시나리오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결과, 하루 식사 섭취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대부분 생산단계에서 발생하고(78%), 수송단계가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작다(2%). 구성된 식단 중에서 육류가 전혀 포함되지 않는 채식위주의 식단(식단E, No Meat)에서 Baseline식단에 비해 10% 감소한, 가장 적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나타내었다. 육류 섭취량이 많은 식단(식단F, High Meat)에서 가장 많은 온실가스 배출량은 Baseline 식단에 비해 3.5배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육류의 생산단계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다른 식품군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식단 시나리오의 건강영향 평가 결과, 적은 육류섭취(식단A, Low Meat)과 많은 채소섭취(식단B, High Vegetables)에서는 Baseline식단에 대비하여 질병마다 상대위험도가 1보다 높아지는 경우와 낮아지는 경우가 혼재하였다. 하지만, 많은 채소섭취와 육류섭취(식단C, High Vegetables, Low Meat)과 육류섭취가 전혀 없는 식단(식단E, No meat)에서는 Baseline에 대비하여 질병위험도가 모두 낮아진 반면, 적은 채소섭취와 많은 육류섭취(식단D, Low Vegetables, High Meat)과 많은 육류섭취식단(식단F, High Meat)에서는 모든 질병의 위험도가 모두 증가하였다. 구성된 하루 식단 시나리오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평균은 Baseline식단의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2배가량 높으며, Baseline식단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한다. 영양학적인 면을 고려하여 한국영양학회에서 제시한 권장 식단인 Baseline식단이 환경영향 측면에서도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Baseline식단과의 비교를 통한 환경 영향평가와 건강 Co-benefits을 살펴보았다. 온실가스 배출량과 건강영향 사이에는 대체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식단이 적은 식단보다는 질병의 상대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육류 섭취량이 전혀 없는 식단보다는, 조금의 육류섭취와 많은 채소류 섭취가 질병의 상대위험도는 낮아지고, 영양학적인 면에서도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영양학적인 면을 고려하면서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environmentally sustainable) 식단을 권장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도 저탄소 식이요법의 Co-benefits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고, 본 연구는 앞으로의 연구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