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과 교사의 다문화 교실 경험에 대한 연구

        설민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71

        Our country has already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and people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part of our society. Education authorities and schools keenly realized the ne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response to these social changes and are taking much interest in and effort for the ne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particular, social studies which aims at educating democratic citizens to lead democratic society are being asked to cultivate multicultural citize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difficulties students face in multicultural classrooms through frontline social studies teacher experiences and to effectively apply various teaching strategies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hip in social studies classes. To this end, various papers and prior studies related to the thesis s were reviewed. Questionnaire items suitable for the subject of study were composed and a written interviews was conducted with 7 social studies teachers in the middle schools where are located in Inche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did not have much personal information about multicultural students. Teachers did not treat multicultural students differently from general students but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 in multicultural students was relatively low if they were not in charge. Second, students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concepts and terms of social studies. In the case of multicultural students, some were inexperienced in Korean language but most of them had everyday Korean skills. Nevertheless most of them were difficult to understand concepts and terms of social stud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not only multicultural students but also general student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social studies terminolo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explanations for social studies textbooks. Third, in the case of general students, they have high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do not have much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multicultural students. It is because there are no difficulties in using Korean language as many multicultural students were born and grew up in Korea and they have some Korean emotion. However there may be a feeling of rejection from difference of personal disposition which is an attitude that can occur among general students and can not be regarded as discrimination against 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re is no problem in building peer relationship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multicultura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Fourth, social studies teachers found that there are not many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for cultivating democratic citizenship in multicultural classrooms. They are trying to prepare variou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for students in social studies classes and to support learning of student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and group activities, but due to the educational situation focused on entrance exams, they were conducting teacher-centered classes. This study confirmed inconsistencies in student-specific instruction strategies in multicultural classrooms and suggest four instruction strategies to solve them. First,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that includes multicultural elements by a professional educational community. Second, teachers should continually study teaching-method to execute in a multicultural classroom. Third, social studies classes should be embodied in students with student-centered education rather than knowledge-driven education. Fourth, educational authorities and shools will need to provide practival support for social studies teachers to cultivate their knowledge and competence in multiculturalism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 to make a generalization because it analyzed only interviews with social studies teachers in a specific area called Incheon City. Howev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 think that it is meaningful to have sought a variety of teaching strategies in order to cultivate democratic citizenship in multicultural classrooms in the future. 우리나라는 이미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사람들이 우리 사회 구성원의 일부로 자리를 잡고 있다. 교육당국과 일선 학교에서는 이러한 사회 변화에 따른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많은 관심과 노력을 보이고 있다. 특히, 민주 사회를 이끌어 갈 민주시민 양성을 목표로 하는 사회과 교과는 다문화 시민성을 함양할 것을 요청받고 있다. 이 연구는 일선의 사회과 교사 경험을 통해 다문화 교실에서 학생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무엇이 있으며 사회과 수업에서 민주 시민성 함양을 위한 다양한 수업 전략이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논문주제와 관련한 다양한 논문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연구주제에 적합한 설문 문항을 구성하고 인천시에 소재한 중학교 사회과 교사 7명을 대상으로 설문 면접을 진행하였다.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다문화 학생에 대한 개인적인 정보를 많이 갖고 있지 않았다. 교사들은 다문화 학생을 일반 학생과 다르게 대하지는 않고 있었으며, 담임이 아닐 경우 다문화 학생에 대한 관심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사회과 개념과 용어를 이해하는데 어려워했다. 다문화 학생의 경우, 일부 한국어가 미숙한 학생도 있었지만 대부분 일상적인 한국어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과 개념과 용어를 이해하기 어려워했다. 또한, 다문화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도 사회과 용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과 교재에 대한 설명의 이해도를 높일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일반 학생의 경우 다문화에 대한 수용도는 높으며 다문화 학생에 대한 편견이나 차별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다문화 학생들은 우리나라에서 출생하고 성장했기 때문에 한국어 사용에 대한 어려움은 없으며 한국적 정서를 일부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단, 개인적 성향의 차이에서 오는 거부감은 있을 수 있으나 이것은 일반 학생들 간에도 발생할 수 있는 태도로 다문화 학생에 대한 차별로 볼 수 없으며 또한, 다문화 학생과 일반 학생 간에 문화적 차이로 인한 또래관계 형성에 문제가 없었다. 넷째, 사회과 교사들은 다문화 교실에서 민주 시민성 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 전략이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사회과 수업에서 다양한 사회참여활동을 마련하고 협동학습과 모둠활동으로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입시 위주의 교육 상황으로 인해 교수중심적인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다문화 교실에서 사회과 교사는 다문화 민주 시민성 함양을 위한 수업 전략이 많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4 가지 수업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전문적 교육 공동체를 통해 다문화적 요소를 포함하는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야 한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 교실에서 실행할 수 있는 학생 지도 방법을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한다. 셋째, 사회과 수업이 지식 전달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중심의 교육으로 학생들에게 체화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당국과 학교는 사회과 교사들이 다문화에 대한 지식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다만 이 연구가 인천시라는 특정지역의 사회과 교사만을 대상으로 면접한 내용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의 결과로 향후에 다문화 교실에서 민주 시민성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의 수업 전략을 모색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