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객요구 분석을 통한 실내공기 청정기기의 개선방안

        석정현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Entering the modern society, the time to live indoor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result, interest and importance for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are increasing more than ever. In Korea, a variety of products such as air purifiers, ventilation systems, oxygen generators, and kitchen hoods are being launched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as the standard of living has been improved and awareness of indoor air quality has been raised. Indoor air pollution can be found in not only air pollution but also pollutants flying from China and various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from building materials. These phenomena will not disappear easily in terms of simple environmental maintenance, and the problem of the environment is expected to become even greater than now in the advanced industrial structure. Among them, the most effective in a short period of time will be the supply of air cleaning devices for a pleasant indoor air quality environment. However, today's indoor air cleaners are exposed to problems such as misuse and excessive ozone generation in the mess of products.Therefore,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customer needs for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targeting apartment houses showing the most types of residence, we sought ways to improve indoor air purifier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demand analysis for each group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that uses or prefers air purifiers showed the need for performanc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and is interested in performance efficiency when purchasing. Second, in the group that used or preferred the ventilation system, it was effective in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but the ventilation system alone was insufficient. Third, the group who used or preferred the multi-functional air purifier preferred the oxygen generation and ventilation functions of the multi-functional air purifier, and 86.2% of respondents said they would purchase an interlocked product between the air purifier and the ventilation system. In addition, it was surveyed that there is a great need (87.75%) to develop an intelligent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ler equipped with AI functions. At this time, the essential functions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controller appeared in the order of ventilation, temperature control, and air purifier. Fourth, the group who uses or prefers the built-in air purifier uses a lot of mobile type, but the percentage that wants to install the ceiling is also quite high. In addition, the built-in ceiling type showed a high preference. This point needs to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the direction of product development for indoor air cleaners in the future.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door air purifier most needed and trusted by customers for the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which is emerging as the main concern for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modern society, is an intelligent built-in air purifier.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ample volume for residents of apartment houses nationwide to verify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scope to include air pollution levels in addition to pollutants that degrade indoor air quality. In addition,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built-in air purifiers, which are essential for efficient household environment management, multi-unit housing complex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regional environmental management, should be urgently conducted. 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실내에 거주하는 시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로 인해 쾌적한 실내 환경에 대한 관심도와 중요도는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생활수준향상과 함께 실내공기 질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어 실내공기 질 개선을 위한 공기청정기, 환기시스템, 산소발생기, 주방 후드 등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실내공기 오염은 단순한 대기오염만이 아니라 중국에서 날아오는 오염물질 및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 물질 등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단순한 환경정비 차원에서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며, 고도화되어가는 산업구조 속에서 환경에 대한 문제는 지금보다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그중에서 가장 단기간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쾌적한 실내공기 질 환경을 위한 공기청정 관련기기들의 보급일 것이다. 하지만 지금의 실내공기 청정기기들은 제품의 난립 속에 오용과 과다한 오존 발생 등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장 많은 거주 형태를 보이고 있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실내공기 질 개선을 위한 고객요구 분석을 통하여 실내공기 청정기기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모색하였다. 즉, 4개 그룹(공기청정기를 사용하거나 선호하는 그룹, 환기시스템을 사용하거나 선호하는 그룹, 다기능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거나 선호하는 그룹, 빌트인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거나 선호하는 그룹)으로 나누어 고객이 요구하는 최고의 실내공기 질 개선을 위한 실내공기 청정기기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먼저 그룹별 요구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거나 선호하는 그룹에서는 실내공기 질 개선을 목적으로 성능에 대한 필요성을 보였고, 구매 시 성능효율성에 대해 관심이 있다. 둘째, 환기시스템을 사용하거나 선호하는 그룹에서는 실내공기 질 개선에 효과적이지만 환기시스템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보았다. 셋째, 다기능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거나 선호하는 그룹에서는 다기능 공기청정기의 산소 발생과 환기 기능을 선호하였으며 공기청정기와 환기시스템의 연동형 제품이 출시되면 구매하겠다는 답변이 86.2%였다. 공기청정기와 환기시스템은 42.9%로 실내공기 질 개선의 필수기능으로 인식(42.9%)하고 있으며 AI 기능을 탑재한 지능형 통합관리조절기 개발의 필요성이 크다(87.75%)고 조사되었다. 이때 통합관리조절기의 필수기능은 환기 기능, 온도조절, 공기청정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빌트인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거나 선호하는 그룹에서는 이동식을 많이 사용(71.4%)하고 있으나 천정설치를 원하는 비율 (72.9%)도 상당히 높았다. 또한 천정형 빌트인 타입이 선호도가 85.3%로 높게 나타났다. 이런 점은 앞으로 실내공기 청정기기의 제품개발 방향 선정 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현대사회의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주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는 실내공기 질 개선을 위해 고객들이 가장 필요로 하고 신뢰하는 실내공기 청정기기는 지능형 빌트인 공기청정기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후에 지능형 빌트인 공기청정기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기존 실내공기 청정기기들의 단점이 보완되고, 장점을 극대화하여 쾌적하고 깨끗한 실내 주거공간에서 생활할 수 있는 여건마련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향후에는 전국의 공동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표본량을 확대하여 본 연구결과에 대해 검증해 볼 필요가 있으며 연구범위를 확대하여 실내공기 질을 떨어뜨리는 오염물질 외에도 대기오염도 등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아울러 효율적인 세대 환경관리, 공동주택단지 환경관리 및 광역별 환경관리 등에 필수적인 지능형 빌트인 공기청정기기의 개발연구가 시급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중한시사번역의 번역투 고찰 : 연어관계를 중심으로

        석정현 부산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笔译实际上就是由一种语言翻译成另一种语言的过程。在这个过程中,翻译腔是不可避免的、是源语在转换过程中所残留的痕迹。长久以来,翻译腔都是人们凭着自己的直觉来判断的,但最近随着语料库的出现,直觉已不再是判断翻译腔的唯一手段,语料库也成为判断翻译腔的重要工具。 从学术角度来看,翻译腔是与误译是完全不同的概念。本文笔者针对时事新闻的源语和译入语中的搭配进行研究。韩国和中国都是汉字文化圈,所以中韩两国语言均受汉字的影响。由此,韩国新闻中汉字出现的频率较高。 笔者以人民网的20篇新闻及其译本为对象,针对动词和宾语搭配出现的翻译腔进行研究。首先,找出20篇新闻及译文的所有动宾结构,共有971个。然后,将译文中出现的与源语中的动词和宾语相对应的译词通过Sejong语料库(Sejong Korean Corpora)进行搜索。若Sejong语料库查询无果,则视其为翻译腔。经过这一过程,共找出94组翻译腔。在第三章的部分,笔者将产生翻译腔的原因分别从由动词引起的翻译腔、由宾语引起的翻译腔、由动词和宾语同时引起的翻译腔三个方面进行分析。最后,在第四章中,笔者分别从由韩国汉字词语言迁移引起的翻译腔、由语义成分引起的翻译腔、由转换法则(transformational rules)引起的翻译腔三个方面研究并分析了翻译腔产生的原因。希望本论文可以为翻译腔相关研究作出微薄的贡献。 关键词:中韩时事翻译、翻译腔、语料库、搭配

      •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과 식이 수준에 따른 보호자 삶의 질, 부담감 상관관계 연구

        석정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와 보호자의 특성에 따른 보호자 삶의 질,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과 식이수준에 따른 보호자의 삶의 질과 부담감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뇌졸중 환자 중 삼킴 장애로 인하여 부산에 소재하고 있는 병원에 방문한 환자의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에 대한 취지를 설명하고 설문 참여에 동의한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보호자를 대상으로 2020년 8월 11일부터 10주간 진행하였으며, 설문지(Questionnaire)를 연구자가 직접 설명 후 배부하여 진행하였다. 결과에 대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Mann-Whitney U test와 Kruskal-Wallis testt-test, 독립표본 t-test, 분산분석, Spearman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경우 일반적 특성 중 인지장애와 언어장애가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 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뇌졸중 발병 기간, 합병증(인지장애, 언어장애)이 보호자 삶의 질 부담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보호자의 경우 일반적 특성 중 최종학력과 환자를 돌보는 시간과 환자를 돌보는 기간이 보호자 삶의 질과 부담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후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과 식이 수준에 따른 보호자 삶의 질, 부담감 상관관계 결과 모두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이는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 수준과 보호자 삶의 질, 부담감은 연관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환자의 삼킴 기능과 식이 수준이 보호자의 삶의 질과 부담감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입증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작업치료와 뇌졸중 환자, 보호자를 위한 교육에 관한 연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and burden of caregiv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and caregiver, an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burden of caregivers according to diet level and the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Among stroke patients, the purpose of the survey is explained to the guardians of patients who visited a hospital located in Busan due to swallowing disorder, and selected as the target of the guardian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10 weeks from August 11, 2020 to caregiver,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irectly explained and distribut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t-test, variance analysis, and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cognitive impairment and speech impair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and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the duration of stroke and complications (cognitive impairment, speech impair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urden of quality of life of the caregivers.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aregiver,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he time spent caring for the patient, and the period of caring for the pati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and burden of caregivers. The quality of life and burden of caregivers were all correl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This can be seen as a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swallow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quality of life of the caregivers, and the feeling of burde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e that the swallowing function and dietary level of the patient are correl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and the burden of the caregiver.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future work therapy and on education for stroke patients and caregiver.

      •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Human-AI 협업 프로세스 개선 : Text-to-Image 생성 수행을 중심으로

        석정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반의 Text-to-Image 생성을 수행하는 서비스가 속속히 등장하고 있다. 해당 서비스의 근간이 되는 생성형 인공지능 모델의 발전은 텍스트 입력만으로 이미지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다는 새로운 접근성을 도입했다. 이는 특정 기술적 숙련도 없이도 텍스트를 입력하는 간편한 방식으로 이미지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대비되게도 Text-to-Image 모델 기반의 이미지 생성 수행은 편리성과 높은 접근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다양한 문제점을 동반한다. 이는 텍스트 기반의 이미지 생성이라는 다소 생소한 프로세스의 작업 과정의 도입으로부터 아직까지 적절한 사용자 경험 설계가 미비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 향상을 위한 Human-AI 협업 프로세스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협업 프로세스 내 개선이 필요한 항목은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정의되었다. 첫째, Text-to-Image 생성의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텍스트 프롬프트에 대한 불충분한 정보 제공. 즉, 적절한 입력값에 대한 정보 공백의 이유로 하여금 사용자의 의도를 충분히 반영한 생성이 어려워지는 것을 파악하였다. 둘째, 텍스트 프롬프트 입력값과 생성된 이미지 결과물 간의 불명확한 관계성. 인공지능 작동 원리의 불투명성으로 인하여 사용자 입력값에 대한 적용 혹은 누락에 대한 이해 미비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여러 차례의 비효율적인 수정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발견 및 정의한 문제점은 Human-AI 인터랙션(Interaction)에서 주되게 고려해야하는 인공지능의 투명성 및 설명 가능성과 연계되어 있다. 기존 이미지 제작 방식과 현저한 차이가 있는 새로운 생성 프로세스가 도입되며, 특히나 사용자가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개념 이해가 미비할 경우 인공지능과의 협업 과정에서의 주도권 상실 및 일종의 무력감을 경험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의 가치인 효율적인 이미지 생성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출시된 Text-to-Image 생성 모델 기반의 이미지 생성 서비스는 해당 관점을 고려한 사용자 경험 설계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문제 해결을 위해 Human-AI 협업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단계별 과업 수행을 고려한 사용자 경험 설계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이미지 생성 서비스 설계 시 고려할 수 있는 기본 가이드라인으로써 가치가 있다. 이를 위해 수행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Text-to-Image 생성 프로세스 내 Human-AI 인터랙션 분석 2) 협업 프로세스 세부 단계 정의 및 해당 단계별 과업 수행 정의 3) 사용자 경험 개선이 필요한 특정 단계를 정의 4) 문제 발생 여지가 있는 단계 내 사용자를 서포트할 수 있는 협업 기능 적용 방안 제안 5) 협업 기능의 적용 방안을 포괄한 전체 프로세스의 사용자 경험 설계 가이드라인 제시 본 연구의 차별점은 협업 프로세스 개선안 제안을 위해 독창적인 협업 기능을 제안하였다는 것이다. 크게 1) 스타일 패턴 라이브러리 2) 프롬프트 비주얼라이저의 두 가지 협업 기능이 제안되었으며, 해당 기능 제안을 위해 DiffusionDB 내 프롬프트 활용 패턴 분석 및 Diffusion 모델의 작동 원리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탐색 및 활용할 수 있도록 Human-AI 협업 프로세스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결과적으로 생성형 인공지능의 도입으로 인한 이미지 제작 방식의 변화, 그리고 이로부터 새롭게 고려해야 하는 작업 과정 내 인공지능의 불투명성을 일부 해소하는 방안의 Human-AI 협업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협업 프로세스는 HCI 직군 대상 설문 평가를 통해 수집된 해당 가이드라인의 적합성, 명확성 및 확장성에 대한 의견을 기반으로 보완 후 최종 제안되었다. 또한 가이드라인의 적용 방안 및 활용을 추가적으로 논의하기 위하여 한 가지 프로토타입 시안을 제작 후 실제 액티브 사용자 기반의 인뎁스(In-depth)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협업 증진 및 사용자 경험 향상 측면에서의 긍정적 기대감이 돋보였고, 이에 가이드라인의 효용성 및 긍정적 영향력을 방증하며 연구 결론을 소결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Text-to-Image 서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 측면의 문제점을 발견 및 정의하고, 인공지능 모델의 공학적인 접근의 문제 해결이 아닌 사용자 중심의 UX 접근법을 통해 협업의 생산성 및 효율을 개선하고자 한 것에 있다. 둘째, 효용성 및 실행 가능성을 고려하여 협업 기능을 제안 및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고 이 과정에서 DB 분석 수행과 유관 메커니즘 Cross-Attention의 탐색을 바탕으로 도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셋째, Human-AI 협업 프로세스 개선안 제안에서 그치지 않고 이에 대한 적용 방향성을 논의하기 위하여 프로토타입 제작 및 실제 사용자의 의견을 수집하여 종합적으로 연구 결론을 소결할 수 있었다. 특히 액티브 사용자가 내비친 기대감과 제안한 추가 적용 방안의 인사이트는 후속 연구로써 잠재력이 있다. 넷째, 다수의 이미지 생성 서비스 출시 및 각종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가 새롭게 등장하는 시대의 흐름 속에서 인간과 인공지능 간의 협업을 중심으로 프로세스 개선을 모색하고 이후의 발전 방향성을 논의한 것에 기초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결과적으로 연구 제안된 협업 경험 개선안과 프로토타입 적용 방식에 대한 대표적인 평가로는 그간 미비하였던 인간과 인공지능 간의 협업 경험 개선 측면에서 효용성이 있는 제안이라는 긍정적 평이 있었고, 또한 이를 적용한 세부 프로토타입 구현 방식에 대하여도 이후 프로세스가 구체화되어 실제 서비스에 적용 된다면 사용자 관점에서 작업 효율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긍정적 기대감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가 이미지 생성 서비스 내 협업 경험의 미흡이라는 문제의 공감으로부터 정의한 맥락에서의 문제 해결에 기여하였으며, Human-AI 협업 측면의 사용자 경험 선행적 연구로써 발판이 될 수 있기를 고대한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surge in services that generate images from tex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AI). Built on generative AI models, these services offer a novel approach to creating images solely from text inputs. This method enables the generation of images through simple text descriptions, eliminating the need for specific technical skills. However, while these Text-to-Image models offer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they also present various challenges, particularly in user experience, due to the relatively unfamiliar process of text-based image creation. This study aims to enhance User Experience(UX) in Human-AI collaboration by focusing on two key areas. Firstly, the study identifies a critical issue in Text-to-Image generation: the provision of insufficient information regarding text prompts. This lack often leads to difficulty in accurately reflecting the user’s intentions in the generated images. Secondly, the study delves into the ambiguous relationship between text prompt inputs and the images generated as a result. Due to the opac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s operational principles, it might become challenging for users to assess how their inputs are specifically applied or omitted in the image creation outcomes. This complexity may lead to numerous inefficient revisions, potentially complicating the image generation process. These challenges highlight the need for transparency and explainability in AI, essential for effective Human-AI interaction. The shift from traditional image creation methods to AI-generated processes could encourage users feeling out of control and overwhelmed, particularly when their understanding of generative AI is limited. This can impede the efficient generation of images, which is a key benefit of using generative AI. From this perspective, current Text-to-Image services often overlook user experience aspects. To address these issues, the study proposes UX design improvements at various stages of the Human-AI Co-creative process. This approach serves as a foundational guideline for future image generation service designs. The research encompasses: 1) Analysis of Human-AI interaction in the Text-to-Image generation process. 2) Identification and definition of detailed collaboration stages and tasks. 3) Focuse on specific stages where UX improvements are needed. 4) Development of methods for collaboration features to assist users at challenging stages. 5) Creating a comprehensive UX design guideline including these methods. A distinctive aspect of this study is the proposal of original collaboration features, specifically the 'Style Pattern Library' and 'Prompt Visualizer'. These features have develop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user prompt patterns in DiffusionDB and Diffusion model's operation principles, aiming to enhance Human-AI collaboration. This study proposes a Human-AI co-creative process that addresses the inherent opacity of AI in the new image creation methods introduced by generative AI. The guideline of designing Human-AI co-creative process has refined based on feedback regarding its suitability, clarity, and scalability, collected through surveys by experts in Human-Computer Interaction(HCI) field. Furthermore, in-depth interviews with active users have conducted to discuss application methods, guideline utilization, and prototype development. The study's significance lies in: First, identifying and addressing user experience issues in Text-to-Image services, focusing on improving collaboration productivity and efficiency through a user-centered UX approach. Second, proposing practical and feasible collaboration features, derived from database analysis and exploration of the Cross-Attention mechanism. Third, gathering actual user feedback and developing a prototype to guide and discuss the proper methods, instead of merely emphasizing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Human-AI collaboration. Fourth, serving as a foundational study in the evolving field of image creation services and generative AI, focusing on improving Human-AI collaboration processes. The study has been positively received, particularly for its potential to enhance Human-AI collaboration. There is optimism that detailed implementation of the prototype will improve work efficiency from the user's perspective, particulary when applied to actual service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addressing the gap in collaboration experience in image creation services and paves the way for future studies on user experience in Human-AI collaboration.

      • 韓國 地籍行政體系의 發展的 確立方案에 관한 硏究

        昔正炫 全州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8623

        It has been about 80 years, since the real estate registing system, such as cadaster and land registration was introduced into Korea from Japan. But its announceable function is insufficient as a comprehensive informational data in real estate. In other words, the land registration book and the cadaster have different goals and effects as well as have been controlled by different institu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Justice and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Furthermore many incomplete registrations have occured because the land registration and cadaster have many problems in themselves. But in reality, the more this society is developed in its industrial structure and administrative technique, the more the speedy and simple information control system is required. As a short-term approach solving these problems, the inherent problems of this system should be improved. As a long-term approach, land registration book and cadastre should be compounded synthetically. The re-survey process to the tatal land should be precedeed to accomplish this task. The measures to synthetically controll the regishing system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officeholders administering the land registration should inspect the relevent document substantially, and though the device the public-announcing power to the existing registrations should be given. Second, the cadastre should be preserved in the form of tapes of disks to promote safety. This can be accomplished by computerizing the registering affairs. Third, a cadaster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e three dimensional cadaster form the two dimensional one. Fourth, the multi-purpose registering system should be developed to rationalize land use in synthetical and scientific manner through controlling all the informations on the land comprehensively. In conclusion, the administration for synthesized registering system should be controlled by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in the viewpoints that cadaster and land registration book belong to general administrative affai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