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요인과 만족도 조사

        석윤복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석윤복의 교육학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석 윤 복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원아모집 실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 분석하고, 학부모들이 유치원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과 유치원 선택 후 만족도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첫째, 학부모들이 생각하는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학부모들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결정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된 설문지는 박소향(1998), 강지현(2003)이 작성한 질문지를 연구목적에 맞게 지도교수의 지도조언을 받아 연구자가 일부 수정한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 결정 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구미시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취원하고 있는 원아들의 학부모들이다. 연구대상의 표집은 임의 표집법으로 공 ․ 사립 유치원과 사립 어린이집을 선정하였고 표본의 크기는 300명이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먼저 빈도, 평균, 표준편차 등과 같은 기본적인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고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배경변인에 따라 교차분석(χ²-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의 중요도 분석 첫째, 학부모들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으로 중요한 것은 교육의 내용과 방법, 어린이의 안전 및 편리성과 관련된 시설과 환경, 교사의 자질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월소득 100만원 정도의 저소득층에게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육비도 매우 중요한 선택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에의 통원방법, 시간, 거리, 그리고 교육시간 등은 상대적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아교육기관 선택의 만족도 분석 첫째, 국공립병설유치원에서는 통원시간, 거리, 교육비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나, 유치원 생활전반에 대하여 학부모에게 제공하는 정보의 양, 학부모-교사 면담횟수와 내용, 부모교육의 내용 및 실시 정도에서는 만족도가 낮았다. 사립유치원에서는 교재와 교구의 충실성, 아동의 안전에 대한 교사의 감독과 지도, 교사의 학습 지도 능력, 현장체험학습 및 견학에서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립어린이집에서는 간식 또는 급식의 질, 아동의 안전에 대한 교사의 감독과 지도, 교사 및 원장이 학부모의 요구를 수용하는 정도에 대해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전체적으로 교재와 교구의 충실성과 시설 ․ 설비의 안전성이 매우 높았고 교육방법에서는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사립어린이집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교육비 부담액, 통원방법, 거리, 시간에 대한 만족도는 중간 정도였으나 국공립병설유치원의 경우에는 통원시간, 거리, 방법에서 만족도가 비교적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들이 생각하는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으로 중요한 것은 교육내용과 방법, 어린이의 안전 및 편리성과 관련된 시설과 환경, 교사의 자질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부모들의 유치원 선택시 유치원의 규모나 시설보다는 원아들의 안전과 교육과정을 충실하게 운영하는 유치원을 선택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에서는 편법운영을 하기보다는 전인교육을 위한 정규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의 통원방법, 시간, 거리, 그리고 교육시간 등은 상대적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 학부모들이 통원방법보다는 교육방법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치원 학부모들의 교육요구를 파악하여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에 충실한 내실 있는 교육을 해야 한다. 셋째, 국공립병설유치원에서는 통원시간, 거리, 교육비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나, 유치원 생활전반에 대하여 학부모에게 제공하는 정보의 양, 학부모-교사 면담횟수와 내용, 부모교육의 내용 및 실시 정도에서는 만족도가 낮았다. 한편 사립유치원에서는 교재와 교구의 충실성, 아동의 안전에 대한 교사의 감독과 지도, 교사의 학습 지도 능력, 현장체험학습 및 견학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반면, 통원시간, 통원거리, 간식 또는 급식의 질에서는 만족도가 낮았다. 그리고 사립어린이집에서는 교육비 부담액, 간식 또는 급식의 질, 아동의 안전에 대한 교사의 감독과 지도, 현장 체험학습, 교사 및 원장이 학부모의 요구를 수용하는 정도에 대해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이는 국공립유치원에서는 유아교육기관과의 관계가 긴밀하지 않을 것을 의미하며 앞으로 가정과 연계성을 갖고 체계적인 부모교육을 해야 한다. 그리고 사립유치원은 교육방법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간식이나 급식의 질이나 통원방법의 만족도가 낮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창 자라나는 유아들에게 영향이 높은 질 좋은 간식, 급식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사립어린이집에서는 연령이 어릴수록 또 교육시간이 길수록 교육비가 많아 어린이집 학부모들의 부담이 큰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가차원에서 영 ․ 유아 교육비 지원이 이루어져야한다. 넷째, 전체적으로 교재와 교구의 충실성과 시설 ․ 설비의 안전성이 매우 높았고 교육방법에서는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사립어린이집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교육비 부담액, 통원방법, 거리, 시간은 중간정도였으나 국공립병설유치원의 경우에는 통원시간, 거리, 방법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사립어린이집의 교육방법에서 낮게 나타났는데 앞으로 영유아들을 위한 교재 교구가 체계적으로 개발되어야하며 단순한 장난감 보다는 인성과 지능을 함께 만족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 보급이 시급하다. 한편 국공립병설유치원의 경우 차량운행을 하지 않는 곳이 많은데 앞으로는 국가차원에서 농어촌지역에 거주하는 원아들을 위한 차량이 지원되어야겠다. 다섯째. 유치원 원아모집 실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 분석하고 선택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들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교육내용과 방법, 어린이의 안전과 편리성과 관련된 시설 및 환경, 교사의 자질 등으로 나타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앞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원아확보를 위해 학부모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과정보다는 유아들의 전인교육을 위한 정규 유치원교육과정을 충실하게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Parental Selection of Kindergarten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Selection Seok, Yun Bok Major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eck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ctual state of kindergartens’ receiving pubils and to survey key factors that parents take into account in selecting a kindergarten as well as to examine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their selections. For this aim,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ents’ selection of a kindergarten were surveyed and what satisfaction they get from their sel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nalysis of significance of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s First, some key factors affecting the parents’ selection of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s are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 facilities and environment connected to the children’s safety, teachers’ quality, etc. Second, for a family whose monthly income is less than 1,000,000 won, the education tuition is also a vital factor in selecting a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 Third, it has been revealed that commutation method, commutation time/distance, education hour, etc are comparatively less influential in selecting a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 2. Analysis of satisfaction degree after the selection of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s First, in the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s, high satisfaction was revealed in commutation time/distance, and tuition, but low satisfaction in information offered to the parents concerning pupils’ overall life in the kindergarten, frequency and contents of parent-teacher conference, and contents and performance of parent training. On the contrary, in private kindergartens, high satisfaction was revealed in the quality of the texts and tools, teachers’ supervision and guidance for the children’s safety, teachers’ teaching ability, and experience/field study. On the other hand, low degree of satisfaction was revealed in the quality of snacks or meals, teachers’ supervision and guidance for the children’s safety, and the degree of accepting parents’ requests. Second, in overall consideration, very high satisfaction was revealed in the quality of texts/learning tools and safety of facilities, and high satisfaction was revealed in education method. But relatively low satisfaction was revealed in education method in the case of private kindergartens. Generally medium satisfaction was revealed in tuition, commutation method, distance/time, but comparatively high satisfaction in the same factors in the case of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