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ow-Latency and Energy-Efficient Approximate Adder exploiting Dual Sub-Adders with Error Reduction : 오류 감소 기법을 활용한 저지연 에너지 고효율 어프록시메이트 가산기

        서효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캐리 예측 로직과 오류 감소 로직을 추가한 dual sub-adder 기반의 에너지 효율적인 어프록시메이트 가산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가산기 설계는 기존의 전가산기 기반 가산기에서 정확한 가산기를 두 개의 sub-adder로 나눔으로써 지연을 줄여 에너지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다. 캐리 예측 로직과 오류 감소 로직은 정확한 가산기를 두 개로 나눔으로써 발생하는 정확도 저하를 개선하고 전체적인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65-nm CMOS 기술로 구현했을 때, 제안된 설계는 가장 짧은 지연과 가장 낮은 에너지 소모를 보인다. 구체적으로 제안된 가산기는 기존의 정확한 가산기인 RCA(Ripple Carry Adder)보다 지연과 에너지를 각각 68%, 78%까지 감소시킨다. 하드웨어 및 정확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가산기들을 분석할 때 제안된 설계는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여준다. 또한, 영상 처리 애플리케이션에 제안된 가산기를 적용함으로써 제안된 가산기가 우수한 에너지 효율을 제공하는 동시에 연산 결과의 오차가 이미지 처리 결과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한다.

      • 동화를 활용한 주제 중심 통합프로그램 실행연구

        서효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화는 오랜 역사와 함께 어린이들에게 사랑을 받아왔다. 그리고 독서교육 또한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오고 있다. 이것은 동화가 그 자체만으로도 다차원적인 교육적 가치를 지니는 데 그 이유가 있을 것이다. 동화는 다양한 삶의 모습을 경험 하게 하여 바른 가치관과 인격을 형성하도록 돕고, 흥미와 호기심을 높여 정보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이렇게 습득된 통합적인 지식은 아동의 삶과 의 연계성을 높인다. 그리고 자유로운 상상력을 펼쳐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문화적 표현과 미적 표현을 통해 예술적 체험을 가능케 하여 감성을 풍부하게 하고, 자연과 생명에 대한 소중함을 깨닫게 한다. 이러한 동화의 교육적 가치는 수업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동화를 통합수업에 활용할 경우 주제 중심의 통합수업에서 각기 다른 교과를 동시에 연결시켜주어 통합의 긴밀 성을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학생의 발달 수준이나 학습내용에 적절한 동화를 선정하여 활용하면 폭 넓은 활동을 설계할 수 있고,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흥미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하여 주제 중심의 통합프로그램을 설계․실행함으로써 주제 중심의 통합수업에서 동화는 어떤 의미를 가지며 이러한 주제 중심의 통합수 업이 교사의 수업과 학생의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를 위해 첫째, 동화를 활용한 주제 중심의 통합수업을 어떻게 설계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 동화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살펴보았다. fogarty(1991)의 교과 통합 접근방법 중 동심원형(nested)과 공유형(Shared)에 근거하여 주제 중심으로 통합 하고, 통합주제와 관련된 동화를 선정하고 활용하여 동화를 활용한 주제 중심의 통 합 프로그램을 설계·실행하여 동화가 주제 중심의 통합 프로그램에 어떻게 활용되 는지 살펴보고, 동화의 의미를 찾아보았다. 둘째, 동화를 활용한 주제 중심의 통합 수업은 교사와 학생의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교사는 통합적 안목의 형성과 수업전문성 신장이라는 관점으로, 학생은 교과간의 개념을 연결시 켜 이해하고 이를 그들의 생활(삶)과 연결시킬 수 있는지의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탐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3학년 1학기의 간학문적 통합프 로그램의 설계와 실행의 과정을 실행 연구로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질적 연 구방법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주된 연구방법으로 사 용하고자 한다. 동시에 연구의 전 과정에 걸쳐 현장일지를 통해 반성적 성찰을 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구안과정에서 연구자의 현장일지와 동료 교사 연구 연 구자와의 협의 기록, 각종 문헌 및 자료의 분석내용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는 수업교사의 현장일지, 학생들의 학습일지, 그 리고 포트폴리오, 관찰내용과 면담기록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수업 전 과정을 녹화, 분석하고 사진과 동영상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실행과정에서 드러난 현상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 는 주제 중심의 통합수업 설계의 범위를 넓혀주고, 여러 교과들의 자연스러운 통합을 가능케 하여 통합의 긴밀성을 높여주었다. 또한 주제 중심의 통합 프로 그램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의 수업 몰입도를 높여는 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주제중심의 통합 프로그램에 동화를 활용함으로써 수업에 대 한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도를 높이고, 교과와 교과 간의 개념을 연관 지어 생 각하는 통합적 안목의 형성을 도와주었다. 셋째, 주제중심의 통합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동안 교사는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시켜나갈 수 있고, 통합수업에 대한 전문성과 통합적 안목을 형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초등학교에서 통합교육과정 실행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교사연구자 들로 하여금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적용해볼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기를 기대 한다. 아울러 후속연구로 여러 학년에서 동화를 활용한 주제중심의 통합프로그 램이 개발되고, 그들의 실행을 도울 수 있는 구체적인 지원체제의 개발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아기 돼지 삼형제』 패러디 동화를 활용한 동화 창작 지도 방법 연구

        서효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becoming important for individuals to produce content on their own initiative. In order to produce high-quality contents, sophisticated creative ability capable of appropriately utilizing various media such as writing, painting, music, and video is required based on creative ideas. Among them, writing is the easiest and most basic way to express human expression needs among various media.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ducate the ‘creation’ that an individual can produce a content by writing. However, the creation of these literatures is not done under vacuum. A literary work is made in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other literary works. No matter how innovative the artist has made, it means that he can not be totally independent of the various works that existed before. The interrelation of one text with another is called ‘intertextuality’. There is a literary strategy that utilizes the intertextuality of literature in a sophisticated way. It is ‘parody’. A parody that reveals the world view through the difference by mixing the artist's own discourse with the original text world that already exists can be a representative strategy of the intertextuality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learners can learn parody typ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original text and parody text, and apply it to the creation of a fairy tale for elementary school senior students(5th-6th graders). Therefore, I decided to select one original with various parody works for reducing the burden of teachers and learners and for more creative instruction. As the text to be used in the study, Three Little Pigs were selected. This study is characterized by the learner comparing the original text with the parody text, examin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discovering the parody type. However, if I provide different texts for each stage and type of parody, the burden of learners will be increased. Therefore, one original text and various parody texts are needed to provide enough learner with sufficient quality parody works while reducing the burden of learning amount. Therefore, Three Little Pigs were selected as research texts. In the original text of the Three Little Pigs, I chose Three Little Pigs in the Old Story of the English story by Jacobs. In the parody text, I choose the works suitable for the conditions of Chapter Ⅱ. Then, I consider the subject and purpose of the study. After that, making selection criterias, I present suitable works. This study will devise instructional steps and methods for the fairy tale creation using Three Little Pigs parody works, and suggest the significance of the guidance. First of all, I will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parody and parody fairy tale in chapter Ⅱ, and the three elements(Character, Event, Setting) of fairy tale composition. In chapter Ⅲ, I analyze the original text and parody text, Three Little Pigs, based on the 3 elements of fairy tale composition. Then, I find the key parody elements and summarize the parody type of Three Little Pigs parody texts. In section 1, the original text was analyzed in detail from the viewpoint of Character, Event and Setting. In section 2, parody text was analyzed in detail from the viewpoint of Character, Event and Setting too. In chapter Ⅳ, I apply 3 parody types of Three Little Pigs, which are summarized in Chapter Ⅲ, one step at a time, and add a free parody fairy tale creation stage to present a total of 4 steps. In section 2, I propose a fairy tale creation a teaching - learning model using Three Little Pigs parody texts. In section 3, I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a fairy tale creation instruction using a parody fairy tale.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compare paradigm texts with original texts and parody texts, and learn parody types, and apply it to fairy tales to create parody works. 개인이 주체적으로 콘텐츠를 생산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글, 그림, 음악, 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교한 창작 능력이 요구된다. 그중에서도 글은 다양한 매체 가운데 인간의 표현 욕구를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쉽고도 기본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개인이 글로써 하나의 콘텐츠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창작’에 대한 교육은 중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문학의 창작은 진공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하나의 문학 작품은 다른 문학 작품들과 유기적인 관련성 속에서 만들어 지는데, 이러한 문학의 상호텍스트성을 세련된 방식으로 적극 활용한 문학 전략이 있다. 바로 ‘패러디’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이 원텍스트와 패러디텍스트의 비교 분석을 통해 패러디 유형을 알아보고 이를 동화 창작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교사와 학습자의 부담을 줄이고 보다 연계성 있는 창작 지도를 위해 다양한 패러디 작품을 가진 하나의 원작을 선정하기로 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될 텍스트로는 『아기 돼지 삼형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원텍스트와 패러디텍스트를 비교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패러디 유형을 발견하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매 단계, 패러디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텍스트를 자료로 제공한다면 학습자들의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학습량의 부담은 줄이면서도 양질의 패러디 작품을 충분히 학습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원텍스트와 다양한 패러디텍스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만족하는 『아기 돼지 삼형제』를 연구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아기 돼지 삼형제』의 원텍스트로는 『제이콥스가 들려주는 영국 옛이야기』에 실린 「아기 돼지 삼형제」를 선정하였다. 패러디텍스트로는 다양한 『아기 돼지 삼형제』 관련 작품들 중 Ⅱ장 3절에서 알아볼 패러디의 조건에 알맞은 작품을 선발한 뒤, 본 연구의 연구 대상과 연구 목적을 고려하여 최종 작품 선정을 위한 세부 기준을 세워 Ⅲ장에서 구체적인 연구 대상 작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아기 돼지 삼형제』 패러디 동화를 활용한 동화 창작 지도를 위한 지도 단계와 방법을 고안하고 지도상 유의점을 제안할 것이다. 우선 Ⅱ장에서는 창작과 패러디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먼저 1절에서 국어과 창작 교육 이론에 대해 알아본 후 2절에서 교육과정 속에 창작과 패러디가 어떻게 반영 되어있는지 정리하고, 3절에서는 패러디의 개념을 정리한 뒤 일반적인 동화와 패러디 동화를 비교하여 각각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텍스트인 『아기 돼지 삼형제』의 원텍스트와 패러디텍스트를 앞서 Ⅱ장에서 알아본 동화 구성의 3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각각의 핵심적인 패러디 요소를 찾고 『아기 돼지 삼형제』 패러디텍스트의 패러디 유형을 정리하였다. 1절에서는 원텍스트를 인물, 사건, 배경의 관점에서 면밀하게 분석하였으며, 2절에서는 패러디 유형을 기준으로 『아기 돼지 삼형제』 패러디텍스트를 인물과 관련된 작품 3개, 사건과 관련된 작품 2개, 배경과 관련된 작품 1개로 분류한 뒤 각각을 분석하였다. Ⅱ장과 Ⅲ장을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아기 돼지 삼형제』의 패러디 유형 3가지를 각각 한 단계마다 적용하고 여기에 자유로운 패러디 동화 창작 단계를 추가하여 총 4단계의 수업을 제시할 수 있었다. 그 후 각 단계마다 적용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고안하고 과정별로 세부적인 지도 방법과 지도상 유의점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은 원텍스트와 패러디텍스트의 비교 분석을 하고 패러디 유형을 알아 볼 수 있으며, 이를 동화 창작에 적용하여 패러디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 학위논문에 제시된 영유아인성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서효주 중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young children humanity education research, focusing on domestic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Research problems set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What are the trends of young children humanity education research based on the publication date of presented in domestic dissertations? 2)What are the trends of young children humanity education research based on research areas presented in domestic dissertations? 3)What are the definitions,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humanity’ presented in domestic dissertations? 4)What are the definitions,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humanity education’ presented in domestic dissertations? 5)What are the contents presented in domestic disserta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239 subjects including 212 master's theses and 27 doctoral disser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by publication date, it was found studies related to young children humanity education have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and have increased dramatically especially in the last 5 years. Second,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by research area,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concentrated in the area related to ‘activities and program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humanity education’(64 dissertations, 68.3%). Third, analysis results of the definitions on ‘humanity’ presented by researchers indicated that humanity is defined in terms of ‘humanity required of an individual’ and ‘humanity required in relationship with others.’ ‘Humanity required of an individual’ is related to ‘an individual’s humanity’, while ‘humanity required in relationship with others’ is related to ‘communal human character.’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humanity presented by researchers were mixed and differed in great variety. Fourth, it was analyzed that researchers present the definition of ‘humanity education’ in three perspectives: cultivating humanity required of an individual; cultivating humanity required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cultivating humanity required of a holistic democratic citizen.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 fostering humanity required of an individual focus on what makes humans humane, the education fostering humanity required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place emphasis on what is required of human beings of community, and the education aimed to foster holistic democratic citizens place emphasis on both aspects of individuals living communal lives while realizing their ecological nature. However,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humanity proposed by these three perspectives are commonly related to human nature, attitude, and competence. Fifth,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humanity education presented by researchers are focused on specific virtues such as consideration, respect, cooperation, sharing, order, and filial dut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based on the study results. First, human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the future. Second, there is a tendency of young children humanity education focusing on performance-oriented education for show. This tendency is likely to distort or undermine the essential value of young children humanity education. Third, humanity can be classified into humanity related to ‘individual’. Fourth, humanity education should be about cultivating the humanity required of holistic democratic citizens, that is, the ‘individual human qualities’ and the ‘communal human character’. However, between education contents of ‘individual human qualities’ and ‘communal human character’,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humanity education geared towards contents fostering specific humanity required of an individua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arner. Fifth, early childhood humanity education tend to be implemented focusing on certain virtues. This trend shows that the national policy(Ministry of Education, 2011) has been reflected on young children humanity education. Therefore,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in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depth studies about the essential pointing spots that should be aimed for in human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econd, in-depth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validity of the articles related to ‘core values and virtues’ specified in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Third, humanity education policy led by the government should carefully and sufficiently reflect the essential values that should be pursued in humanity education. 본 연구는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영유아 인성교육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석‧박사 학위논문에 제시된 영유아인성교육의 발표시기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2)석‧박사 학위논문에 제시된 영유아인성교육의 연구 분야별 연구 경향은 어떠한가? 3)석‧박사 학위논문에 제시된 ‘인성’의 정의, 개념 및 특성은 어떠한가? 4)석‧박사 학위논문에 제시된 ‘인성교육’의 정의, 개념 및 특성은 어떠한가? 5)석‧박사 학위논문에 제시된 영유아인성교육의 내용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석사학위논문 212편과 박사학위논문 27편으로 전체 239편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표시기별 연구동향은 영유아인성교육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으며, 특히 최근 5년간 급증하였다. 둘째, 연구 분야 별 연구 경향은 ‘영유아인성교육 활동 및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 분야에 집중되어 있는 경향(64편, 68.3%)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인성에 대한 정의는, ‘개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과 ‘타인과의 관계에서 요구되는 인성’으로 분석되었다. ‘개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은 ‘개인의 인간다움’과 관련된 인성이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요구되는 인성’은 ‘공동체적 인간상’과 관련된 인성이다. 그러나 연구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인성의 특성들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인성교육에 대한 정의는, 개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을 함양하는 것, 타인과의 관계를 위해 요구되는 인성을 함양하는 것, 전인적 민주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을 함양하는 것의 세 가지 관점으로 분석되었다. 개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 함양 교육은 개인으로서의 인간이 인간다워지는 것에 중점을 두고, 타인과의 관계를 위해 요구되는 인성 함양 교육은 공동체 인간으로서 갖추어야 할 교육에 중점을 두며, 전인적 민주시민을 기르고자 하는 인성교육은 개인의 생태적 본성을 실현하면서 공동체적 삶을 살아가는 두 가지 측면 모두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 가지 관점이 제시하고 있는 인성의 구체적인 특성들은 모두 인간의 성품, 태도, 역량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자들이 제시한 인성교육의 내용은 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효 등 특정된 덕목 교육에 치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했다. 첫째, 영유아인성교육은 향후에도 계속 증가할 것이다. 둘째, 영유아인성교육이 가시적인 성과위주로 흐르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영유아인성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왜곡하거나 훼손시킬 개연성이 높다. 셋째, 인성은 ‘개인의 인간다움’과 관련되는 인성과 ‘공동체적 인간상’과 관련되는 인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넷째, 인성교육은 전인적 민주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을 함양하는 것, 즉 ‘개인의 인간다움’과 ‘공동체적 인간다움’을 함양하는 것이어야 한다. 다만 인성교육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개인의 인간다움’과 ‘공동체적 인간다움’ 중에서 개인에게 요구되는 특정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영유아인성교육이 특정 덕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향은 국가정책(교육부, 2011)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제언이 제기된다. 첫째, 영유아인성교육이 본질적으로 추구해야 할 지향점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인성교육진흥법에 정의되어 있는 ‘핵심·가치․덕목’ 관련 조항의 타당성 여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국가 위주로 주도하는 인성교육 정책은 인성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본래적 가치가 신중하면서도 충분하게 반영되어야 한다.

      • Complexity of cell-cell interaction between pseudomonas sp. AS1 and acinetobacter oleivorans DR1 : metabolic commensalism, biofilm, and quorum quenching

        서효주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5

        Genome and growth analyses of Acinetobacter oleivorans DR1 have revealed that DR1 has no upper pathway for naphthalene degradation and cannot grow using naphthalene as a sole carbon source. Interestingly, we noted that non-naphthalene-degrading DR1 is capable of growing under naphthalene-amended conditions with a naphthalene-degrading Pseudomonas sp. AS1. 1H-NMR spectroscopy and gene expression analyses confirmed that salicylate appears to be a major secreted metabolic intermediate during the naphthalene degradation of AS1, which supports the growth of DR1. Interspecies biofilm formation assay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and microtiter demonstrated that AS1 biofilm formation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presence of DR1, because of the exopolysaccharide generated by DR1. Furthermore, metabolic commensal interaction of DR1 with AS1 altered the initial attachment behavior of DR1 biofilm formation. When DR1 was cultivated alone, DR1cells attached to the surface immediately under naphthalene-amended conditions, probably because of the absence of usable substrates, but this could not be observed in the mixed culture. This interspecies cell-cell interaction becomes more complex due to the fact that the quorum-sensing signal of DR1 was quenched by AS1. Collectively, complex metabolic and physiological interactions could be observed in mixed cultures of AS1 and DR1 cells, which suggest that interspecies interaction may be more complicated than we previously surmi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