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모와 배우자의 성격특성, 결혼만족도 및 가족관계가 산후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서혜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that maternal and paternal personalities,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 influence on postpartum depression for marital couples within one year after giving birth by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Kenny, 1996). Participants were 197 pairs of couples within one year of childbirth whose age range from 20 to 49, and their data were analyzed based on APIM, an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below. 1. The mean score of extraversion was 2.59±80.64 for wives, 2.11±80.52 for husbands. The mean score of agreeableness was 2.89±0.46 for wives, 3.20±0.46 for husbands. The mean score of neuroticism was 2.82±0.64 for wives, 2.35±0.67 for husband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raversion, agreeableness and neuroticism between wife and husband. The mean score of conscientiousness was 2.67±0.59 for wives, 2.76±0.6 for husbands. The mean score of openness was 2.62±0.65 for wives, 2.62±0.61 for husband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between wife and husband. The mean score of marital satisfaction was 15.83±3.01 for wives 17.22±2.69 for husbands. The mean score of family relationship was 56.84±10.64 for wives, 59.93±10.52 for husbands. The mean score of postpartum depression was 12.71±6.21 for wives, 7.65±5.21 for husband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family relationship and postpartum depression between wife and husband. In addition, the results of normality assumption were met confirming the normality of the variables. 2. Wife and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ICC = .903, p < .001), family relationship (ICC = .611, p < .001), postpartum depression (ICC = .445, p < .001) were significantly interdependent each other in terms of wife and husband. 3. The results of actor and partner effect that effects on wife and husband’s personalities,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s on postpartum depression are as follows: 3-1. The higher the wives’ neuroticism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wives’ postpartum depression while showing the actor effect. Also, data showed partner effect that the higher the wives’ neuroticism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postpartum depression for husbands. Even in husbands’ cases, data indicated actor effect that the higher the husbands’ neuroticism level, the higher the husbands’ postpartum depression level. Also, data showed that the higher the husbands’ conscientiousness level, the lower the husbands’ postpartum depression level. 3-2. Actor effect on postpartum depression was not shown from neither wives nor husbands on marital satisfaction, but actor effect on postpartum depression was indicated from both wives and husbands on family relationship. However, partner effect was not shown from neither wives nor husbands on both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prevent postpartum depression, it is suggested that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couples, which can improve couples’ personalities, marital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 is necessary. 본 연구는 Cook과 Kenny(2005)의 자기 – 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을 분석방법으로 하여 출산 후 1 년 이내의 산모와 배우자를 대상으로 성격특성, 결혼만족도 및 가족관계가 산후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검증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만 20세 이상~ 만 49세 이하까지의 출산 후 1년 이내의 산모와 배우자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이다. 자료 수집 방법은 자가 보고식 설문으로 대상자에게 서면 동의를 받은 후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9년 10월 10일부터 12월 6일까지였다. 성격특성은 단축형 한국판 성격 5요인 척도(김선영 등, 2010), 결혼만족도는 한국판 결혼만족도 척도(정현숙, 2004), 가족관계는 가족관계 사정 척도(Kim, Gil, & Kim-Godwin, 2020), 산후우울은 한국판 출산 후 우울증 척도(김용구 등, 2008)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평균 비교, 상관 분석, 신뢰도 분석, 산모와 배우자의 변수 간 급내 상관을 분석하였으며, 성격특성, 결혼만족도 및 가족관계가 산후우울에 미치는 자기 - 상대방 효과는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는 총 197쌍, 394명이었다. 성격특성 중 외향성의 평균은 산모 2.59±0.64점, 배우자 2.11±0.52점, 친화성의 평균은 산모 2.89±0.46점, 배우자 3.20±0.46점, 성실성의 평균은 산모 2.67±0.59점, 배우자 2.76±0.60점, 신경증의 평균은 산모 2.82±0.64점, 배우자 2.35±0.67점, 개방성의 평균은 산모 2.62±0.65점, 배우자 2.62±0.61점이었다. 결혼만족도의 평균은 산모 15.83±3.01점, 배우자 17.22±2.69점, 가족관계의 평균은 산모 56.84±10.64점, 배우자59.93±10.52점, 산후우울의 평균은 산모 12.71±6.21점, 배우자 7.65±5.21점 이었다. 2. 산모와 배우자의 유사성은 결혼만족도 90%(ICC = .903, p < .001), 가족관계 61%(ICC = .611, p < .001), 산후우울 44%(ICC = .445, p < .001)로 산모와 배우자는 완전히 독립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의존적인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출산 후 1년 이내의 산모와 배우자의 성격특성, 결혼만족도 및 가족관계가 산후우울에 미치는 자기 – 상대방 효과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1 산모의 성격특성 중 신경증(β = .468, p < .001)은 산후우울에 자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의 성격특성 중 신경증(β = .437, p < .001)과 성실성(β = -.218, p < .001)은 산후우울에 자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모의 성격특성 중 신경증은 배우자의 산후우울에(β = .132, p < .001) 상대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배우자의 성격특성은 산모의 산후우울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2 산모와 배우자의 결혼만족도는 산후우울에 자기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족관계는 산모의 산후우울(β = -.492, p < .001)과 배우자의 산후우울(β = -.310, p < .001)에 자기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편, 결혼만족도 및 가족관계는 산모와 배우자의 산후우울에 미치는 상대방 효과는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를 통해, 출산 후 1년 이내의 산모와 배우자에게서 개인의 성격특성(신경증과 성실성), 가족관계는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대방에게는 산모의 성격특성 중 신경증만 배우자의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산후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부부 교육이나 부부 상담 시, 개인의 성격특성을 고려한 건강 방안 마련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결혼만족도가 높고 가족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산후우울 수준이 낮아 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부정적인 가족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부부 대상 산후우울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 모-자녀간 촉진적 의사소통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삶의 지향성의 매개효과

        서혜경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어머니와 중학생 자녀의 의사소통과 진로 태도 성숙의 관계에서 삶의 지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S시에 소재한 중학교 2, 3학년 학생 396명에게 진로태도성숙 척도, 촉진적 의사소통 척도, 삶의 지향성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에 앞서 측정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관계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했으며, Sobel 검증 중 Aroian 방정식으로 매개효과의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우선, 단순상관의 유의도를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자녀의 촉진적 의사소통에 해당하는 모든 측정변수들은 삶의 지향성 중 낙관성 측정변수들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비관성 측정변수들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이루었다. 둘째, 촉진적 의사소통의 측정변수들과 진로태도성숙의 측정변수들 간 정적 상관이 모두 유의하였다. 셋째, 진로태도성숙의 측정변수들은 삶의 지향성 중 낙관성의 측정변수들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비관성의 측정변수들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이루었다. 다음, 회귀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촉진적 의사소통 중 수용과 긍정적 존중이 진로태도성숙을 예언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촉진적 의사소통 측정변수 가운데 개방이 삶의 지향성을 예언하는 유일한 변수로 밝혀졌다. 셋째, 삶의 지향성의 측정변수인 낙관성과 비관성이 진로태도성숙을 예언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모-자녀간 촉진적 의사소통, 삶의 지향성,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삶의 지향성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자녀간 촉진적 의사소통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지향성 수준은 높았다. 둘째, 삶의 지향성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태도성숙 수준이 높았다. 셋째, 모-자녀간 촉진적 의사소통이 진로태도성숙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모-자녀간 촉진적 의사소통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삶의 지향성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촉진적 의사소통, 삶의 지향성,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완전매개모형이 부분매개모형보다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와 자녀의 촉진적 의사소통이 삶에 대한 자녀의 지향성에 영향을 주고, 삶의 지향성이 다시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지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태도가 미숙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상담이나 학교심리개입을 개발·실시하고자 할 때, 모-자녀간 의사소통 방식이나 어머니의 자녀양육 방식에 관한 요소와 중학생 자녀의 삶의 지향성을 보다 낙관적으로 변화시키는 요소를 병행해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가 자녀지도와 학교상담에 던지는 시사점과 이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life orient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facilitative communication with mother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ree hundred ninety-six 8th- and 9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the Facilitative Communication Scale, and the Life Orientation-Revised Test. Simple correlations between measured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ere conduct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Sobel test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mple correlations between all of the measured variables were significant. Second, acceptance and positive respec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for career attitude maturity, but openness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for students' life orientation. Both optimism and pessimism were significant variables accounting for career attitude maturity. Third, the higher the facilitative communication with mothers, the higher the students' life orientation. The higher the students' life orientation, the higher the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However, the facilitative communication with mothers was not related to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students' life orient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facilitative communication with mothers and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significant. Fifth,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middle school students' facilitative communication with mothers influence students' life orientation, which in turn influence their career attitude maturity. Thus, school counseling practices and school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students who are immature in career attitude should include both the component enhancing the mother-child facilitative communication and the component enhancing students' life orientation(i.e., increasing students' optimistic orientation and decreasing their pessimistic orientation). Finally, the suggestions for parent consultations and student counseling in school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 후원노력과 후원지속기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노인복지기관 및 시설에 후원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서혜경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복지자원의 중요한 축으로 기능한 노인을 후원하는 시민들의 후원활동과 관련하여 이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후원행동 관련특성이 그들의 후원노력과 후원지속기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내려는데 주목적을 둔다. 노인을 후원하는 사람들이 나타내는 각기 다른 수준의 후원노력과 후원지속기간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변수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노인복지시설협회, 한국노인의 전화, 사랑채 3곳을 대상으로 하였다. 1999년 1월 기준으로 회원으로 등록된 1188 여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보냈고 2000년 11월16일까지 응답한 335명의 후원자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SA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통계방법으로는 서술적 통계방법인 빈도, 백분율과 ANOVA, 상관관계(Pearson correlation),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공분산분석(ANCOVA)의 추론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원노력의 경우, 첫째는 후원자들의 후원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후원자의 인구학 및 사회경제학적 특성으로는 교육수준, 직업이 확인되었다. 후원자들의 교육수준이 고등학교 졸업을 기점으로 초등학교 졸업으로 내려갈수록 후원노력을 많이 하며, 고졸이상일수록 후원노력을 많이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직업에 따라 후원노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비숙련직, 자영업, 관리직 순으로 가장 많이 하고 학생이 가장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는 후원행동관련 특성으로는 다른 기관후원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다른 기관에 후원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후원노력을 많이 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는 그 기관의 선호하는 프로그램에 따라 후원노력이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특별한 프로그램에 대한 후원노력의 차이보다는 후원프로그램 종류에 대한 관심정도 즉, 기본적 생계, 교육, 의료라고 선호프로그램을 지적하기 보다는 ‘잘 모르겠다’ 라고 답한 사람이 훨씬 많다는 것은 후원을 할 때 어떤 특별한 프로그램을 지적해서 후원하기 보다는 그 기관에 후원하는 것에 더 초점을 맞추는게 아닌가 하는 관측을 해 볼 수 있다. 넷째는 후원노력을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변수군은 기관특성변수들이고, 인구ㆍ사회경제학적 변수, 후원행동관련 변수 순으로 보여주고 있다. 후원자들의 후원지속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후원자의 인구학 및 사회경제학적 특성으로는 연령이 확인되었는데 후원자들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후원기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는 후원행동관련 특성으로는 부모생존여부, 후원지속동기, 후원금 전달방법, 다른 기관후원여부, 후원형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양친이 다 살아계신 경우보다 그렇지 않은 경우의 후원자일수록 후원지속기간이 더 길어지는 경향이 있음을 볼 수 있다. 후원지속동기가 ‘ 별다른 지원중단없을 때’ 이거나 ‘ 경제적으로 가능하다고 느낄 때 ’가 후원지속기간이 더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세째는 후원기관의 마케팅 혼합에는 후원금을 전달하는 방식이 후원지속기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매달 후원금을 지로용지로 납부하는 집단의 경우 후원지속기간이 길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후원형태가 결연노인과의 일대일 결연일 경우 후원지속기간이 더 길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넷째는 후원지속기간을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모델 변수군은 후원노력과 마찬가지로 기관특성 관련 변수들이고, 그 다음으로는 인구ㆍ사회경제학적 변수, 후원행동관련 변수 순으로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후원노력과 지속기간을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모델 변수군은 ‘ 기관특성관련 요인’ 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함의를 유추 해 낼 수 있었다. 우선 노인복지기관 및 시설의 후원자의 특성이 기존의 다른 대상별 후원자 특성 연구결과와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해 볼 수 있었다. 또한 노인복지기관 및 시설의 물적 자원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절실하게 요구되고 인식되고 있는 것이 바로 기업의 마케팅 이론을 복지 setting에 맞게 도입하여 실천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 연구에서도 후원노력과 후원지속기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군은 기관특성 변수들 즉 마케팅 믹스의 제품정책, 유통경로에 해당되는 후원프로그램, 후원형태, 후원경로 등이다. 이러한 변수들은 비영리부문 마케팅 이론에 기초해서 설명되어질 수 있는데 이 이론은 노인복지기관에서의 후원행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변형시키거나 개선시킬 수 있는 현상으로 파악되어지며 더 나아가 이론적 틀의 기반을 확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는 양융희(1996) 연구에서 후원자 관리에 필수적인 요소로 다섯 가지를 꼽고 있다. 우선 후원자의 정보를 정확하게 그리고 필요한 정보를 최대한 많이 입력하고, 후원자의 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 가장 신속하게 변경사항을 파악 기록해야하며, 효과적인 후원자 서비스를 위해서는 정보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고, 후원현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기록이 필요하며, 후원자 전체의 후원현황 정보파악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번 연구에서도 되돌아오는 30 %정도의 설문지가 위의 요인들으로 인해서 비롯된 것이라고 본다. 무엇보다도 후원자 관리와 개발에 대한 전문가 혹은 담당 직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갖춘 기관 및 시설은 거의 없었다. 그 이유로는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지만 노인복지기관 및 시설 등이 아직은 자원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심각하게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점과 한정된 자원 내에서 후원자 개발만을 위한 전담인력을 고용한다는 것도 거의 예산을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의존하고 있는 형편이기 때문에 쉽지 않다는 점이다. 우리 나라의 이런 실정과는 달리 Harrow et al (1999)는 비영리조직 즉 작은 조직이나 단체일수록 조직적인 경영마인드나 정보처리능력 보다는 이타적인 측면을 중시하고 헌신성, 투명성, 가족과 공동체 개입 등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선의에 의존하는 작은 조직들은 견고하지 못할 것이라는 불안감을 비치며 비영리조직의 후원자개발, 후원관리에도 경영혁신이 필요하다는 것도 암시하고 있다. 셋째는 후원중단이유 중에 한가지는 후원자가 후원금액을 지속적으로 내지 못했을 때 체납에 대해 안고 있는 부담 때문이다. 물론 후원액수마다 부담정도가 다르긴 하겠지만 얼마간 체납되었을 때에 기관이나 시설이 어떻게 반응하느냐는 후원지속과 중단의 중요한 갈림길이 되는 것 같다. 체납의 부담을 없애주는 것 등의 방안 등도 모색되어야 한다. 넷째는 미국의 고소득층의 경우, 자선활동에 대한 전통적 의무감과 더불어 다양한 동기 및 세금의 incentive와 함께 자신의 수입에서의 잉여부분을 배분하는 차원에서 자선활동수행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 고소득자들이 노력을 더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들을 위한 다양한 세제혜택 등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국의 경우 CFLP(Charitable Family Limited Partnership) 즉 자선가족유한동업으로 부자들이 자신들의 재산을 안전하게 자손에게 물려주고 자선면에서도 가장 효과적인 세금 절약의 기회를 줄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는 세금관련정책 결정자들이 이러한 사고를 빨리 받아들여 새로운 자선가족유한동업에 대응하는 정책 및 계획을 세워야 함을 암시하고 있다. Barrett(1997)는 모금정책차원에서 익명의 기부자에게도 세금혜택의 범위를 넓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익명의 기부자는 종교단체에, 기명의 기부자는 박물관이나 학교에 몰리기 때문에 세금공제를 익명의 기부자에게 확대하는 것은 종교적 자선행위 활성화에 큰 혜택이 있을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구체적인 자선방안이 나오고 있다. 다섯번째, 노인복지기관의 자원개발의 활성화를 위해 1999년 일본 NPO 의원연맹이 제안한 내용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본다. 내용은 공익활동으로 명확히 보이는 실적을 NPO가 1년 이상 올릴 경우 개인이 기부한 경우 일정한 한도액내(100만엔)을 소득공제 또는 기부금액의 2할 상당액의 세액공제를 요구할 수 있어야 하고, 위 NPO에 법인이 기부한 경우 일정한도액 (50만엔)내의 세액공제 또는 기부금액 2할 상당액의 세액공제를 인정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한 NPO의 수익사업에 대한 세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수익의 40%를 기부로 간주하는 것도 부동산을 NPO에 기부한 경우 지방세 감면과 양도소득세 감면도 검토대상이 된다. 여섯번째, 기관 및 시설 쪽에서는 관리의 편리함 때문에 자동이체를 선호하지만 노인쪽을 후원하는 사람들의 성향은 지로이체를 통해 매달 후원대상을 생각하면서 지로를 보내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점에서 기관위주의 편의식 발상이 오히려 후원자 증가에 역행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일곱번째 후원활동에서의 지속성과 연령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외국의 결과에서 나타난 연령의 증가는 후원활동에의 참여정도 및 범위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기보다는 참여하고 있는 경우 보다 높은 수준의 안정적 노력과 더 밀접히 관련되어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현황에 비추어 본다면 연세가 많을수록 후원활동을 많이 할 수 있으며 이는 경제적 안정성이라기 보다는 삶의 포용과 넉넉함에서 오는 것이라고 보여진다. 이 연령대의 소득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elderly welfare agency to preserve stable contribution of the sponsors not only for mobilization of elderly welfare finance but also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residents. But in fact, many sponsors in the elderly welfare agency drop out if this contribution in 3-4 years. To preserve stable contribution of the sponsors in the elderly welfare agency, we can develop new sponsors, but managing the existing sponsors is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in mobilization of the elderly welfare financ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data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sponsors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uration and effort of the charitable giving in the welfare agency for the older adult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which were administered on 335 sponsors of three elderly welfare agencies. Statistic treatment of obtained data has been conducted through ANCOVA using the SAS packag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ponsors, 'educational attainment' and 'occupation' of the sponsors were meaningful for the effort of the charitable giving and 'age' was a significant factor for the duration of the sponsorship. Those who have the more educated and more stable occupation tend to maintain the charitable giving more. Older people have a tendency to maintain the sponsorship longer. 2)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nsorship behavior, 'whether they support another welfare agencies or not' was meaningful for the effort of the charitable giving. On the other hand, 'whether their parents are alive or not', 'the continuous motivation of the sponsorship', and ' whether they support another welfare agencies or not'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duration of the sponsorship. Among the variables about the sponsorship behavior, the sponsors who contribute to the another social welfare agencies tend to maintain the sponsorship more and longer. 3) Of the agency related factors, 'the type of program for the elderly' was meaningful in the effort of the charitable giving. On the other hand, 'the ways of how to deliver their charitable giving' and ' whether direct relationship with recipients or not ' were significant factors in explainning to the duration of the sponsorship. The more direct relationship with recipients have, the longer duration of the charitable giving expect. 4)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socio-economic, sponsorship behavior and agency-related characteristics, 'agency-related' factors were found to be the best predictors of the effort and duration of the charitable giving in the elderly welfare agency. The findings of the study lend this investigator sever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1) From variables related to different donating behavior, fundraiser in non-profit sector can develop strategies and models of whether an individual is likely to give a particular form of charity appeal. 2) These results would be of substaintial value to charitable organization seeking to understand and eventually influence the behavior of potential sponsors.

      • 국어 어휘의미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서혜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어 어휘의미 교육의 현황을 살피고, 과제나 한계점을 분석한다. 국어 어휘의미의 교육적 가치를 논한 뒤, 인지언어학의 이론을 배경으로 국어 어휘의미 교육의 내용을 선정하고 교육 방법을 구안하여, 국어 어휘의미 교육을 설계하고 그 실제를 구현한다.

      • 고등학생들의 유리함수와 점근선의 개념에 대한 이해 실태 분석

        서혜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유리함수의 개념, 점근선의 개념, 유리함수와 점근선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조사함으로써 학생들이 유리함수와 점근선의 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유리함수 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는 어떠한가? - 유리함수의 정의를 어느 정도 진술하며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 유리함수인 예와 아닌 예를 올바르게 구별할 수 있는가? 연구 문제 2. 점근선 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는 어떠한가? - 점근선의 정의를 어느 정도 진술하며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 함수와 그 그래프를 통해 점근선의 존재를 판단하고,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는가? 연구 문제 3 : 유리함수와 점근선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어떠한가? - 유리함수와 점근선의 관계를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가? - 점근선과 함수의 극한의 개념을 연결하는 잠재적인 능력이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P여자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자연계열에 해당하는 3개 학급의 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검사 도구는 Nair(2010)의 연구와 현행 제7차 개정교육과정의 교과서를 기초하여 제작되었고, 개발한 검사 도구의 신뢰도 및 내용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현장 교사 2인과 전문가 3인의 검토를 받았고, 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수정이 필요한 문항을 최종 수정하여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의 결과 분석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검사지에 대해서 총 85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빈도수 및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유리함수의 정의에 대해서 기술할 때, 유리함수와 그 그래프를 통해 설명한 경우, 대부분의 학생들이 y=(ax+b)/(cx+d) 형태의 함수식을 제시하거나 그 그래프를 그렸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있다기보다는 수학적 개념을 학습했던 단원에서 다루었던 예나 그래프를 통해서 그 개념을 이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유리함수의 정의에 대해서 잘못 기술한 학생들 중 많은 학생들이 ‘유리수로 이루어진 함수’라고 기술하였는데, 이를 통해 학생들은 용어에 의해 개념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유리수’와 ‘유리식’의 차이에 대해서 구별하지 못하는 학생들도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렇게 학생들이 유리함수와 유리수를 관련지어 잘못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이 유리함수인 예와 아닌 예를 구별하는 문항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많은 학생들이 근호를 포함하면 유리함수가 아니라고 잘못 판단하였다. 즉, 많은 학생들이 유리함수라는 용어에서 유리식과 연결하지 못하고 유리수와 연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미지수가 분모에 있는 함수’라고 진술하거나 ‘미지수가 분자에 있는 함수’라고 진술한 경우, 전자는 학생들이 유리함수를 분수함수라고 인식하고 있고, 후자는 유리함수를 다항함수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유리함수가 다항함수와 분수함수를 통틀어 일컫는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리함수를 판단할 때 y=(ax+b)/(cx+d) 형태만 유리함수라고 인식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이 학생들은 유리함수를 학습하면서 교과서에서 다루었던 예를 통해서 유리함수의 정의를 스스로 개념화하여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많은 학생들이 유리함수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모르고, 유리함수를 ‘유리수’와 관련하여 인식하거나 다항함수와 분수함수를 모두 일컫는 것임을 알지 못하였으며, 교과서에서 많이 다루었던 유리함수와 그 그래프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점근선의 정의에 대해서도 정확한 정의를 기술하기보다는 교과서에서 보았던 그래프를 통해서 점근선의 의미를 이해하고, 학생 스스로가 개념을 형성한 경우가 있었다. 함수와 그 그래프를 통해서 점근선의 정의에 대해 기술한 학생들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학생들이 유리함수를 학습할 때 다루었던 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고, 드물게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거나 탄젠트함수의 그래프를 그려서 점근선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서 학생들은 점근선에 대한 개념을 교과서의 정의대로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통해서 개념을 기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많은 학생들이 점근선과 함수의 그래프는 ‘만나지 않는다’라는 인식을 두드러지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점근선에 대한 정의를 할 때 ‘무한히 가까워지지만 만나지는 않는 선’이라고 쓰거나 ‘만나지 않는 선’이라고 적었다. 이는 점근선과 관련하여 교과서에서 다루었던 유리함수, 지수함수, 로그함수 등의 점근선을 갖는 함수가 모두 함수의 그래프와 점근선은 만나지는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점근선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점근선의 방정식을 올바르게 찾을 수 있는 지 확인하는 문항에서 함수의 그래프가 무한히 진동하지만 y=0(x축)에 한없이 가까워지는 함수를 제시하였을 때, 많은 학생들이 점근선이 없다고 잘못 판단하였다. 그렇게 판단한 이유로 몇몇 학생들이 함수의 그래프가 한없이 가까워지는 선이 있으나 만나기 때문에 점근선이 없다고 진술함으로써, 학생들이 점근선과 함수의 그래프는 만나면 안 된다는 인식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많은 학생들이 점근선의 개념을 함수의 그래프와 만나지 않는 선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수평점근선을 찾을 때, y=(P(x))/(Q(x))에서 Q(x)=0을 만족하는 x의 값을 기계적으로 찾고 있었고, 수직점근선은 쉽게 찾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리함수와 점근선의 관계에 이해 정도를 살펴본 결과, 학생들에게 함수 y=(-2x+3)/(x-2)을 제시했을 때, 점근선을 모두 찾은 학생의 경우 y=(ax+b)/(cx+d) 의 그래프가 두 가지 개형으로 그려진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여 정답과는 다른 그래프를 그린 학생들이 있었다. 이 학생들은 유리함수의 그래프를 그릴 때, 점근선을 그래프를 그리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점근선의 방정식을 수직점근선만 찾거나 수평점근선만 찾은 학생도 있으며, 이때 수직점근선을 찾는 비율이 훨씬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수직점근선을 찾을 때, 기계적으로 함수식에서 분모가 0이 되는 x값을 찾기 때문에 수직점근선은 쉽게 찾은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교과서에서 많이 다루었던 함수 y=(ax+b)/(cx+d)에 대해서도 정의되지 않는 실숫값으로 수직점근선을 찾음을 알 수 있었고, 수평점근선을 쉽게 찾지 못하였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은 아니지만 학생들 스스로 점근선과 함수의 극한의 개념을 연결하는 잠재적인 능력을 지니고 있는 지 살펴본 결과, 29.41%의 학생들이 수평점근선과 극한 개념을 연결하여 표현하였고, 18.8%가 수직점근선과 극한 개념을 연결하였다. 이는 점근선에 관한 공식적인 정의는 함수의 극한으로 설명되는데, 이 내용을 교육과정에서 지도하도록 명시하지 않았더라도 학생이 점근선의 개념과 함수의 극한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다면 점근선의 개념을 함수의 극한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고 있다면 교육과정 내의 학습내용이 아니더라도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개념들을 스스로가 형성할 수 있는 잠재적인 능력이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students on the concepts of rational function and asymptote, by investigating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students(11th grade) on the concept of the rational function and asymptote, an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rational function and asymptote. For this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d been established. 1. What are student conception of rational functions? 2. What are student conception of asymptotes? 3 What are student conception of relation between the rational function and asymptote? In order to address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108 students of P girls' high school in Seoul were chosen for this research . Inspection tools have been developed by the basis of Nair's research(2010) and current textbooks (7th revised education system) which have been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is research. Developed inspection tools were reviewed by math teachers and professionals for enhancing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preliminary inspections were made to correct inappropriate questions for the research. For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questions of the study, inspection data on 85 students out of 108 high school students were finally selected for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according to the questions of the study, thereby calculat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From the study,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when rational functions and their graphs are used in describing the definition of the rational function, most students presented functional form of y=(ax+b)/(cx+d), or drew its graph. It can be inferred that the students understood the mathematical concepts through examples or graphs on which they studied in the class rather than formal concept definition. Some students wrongly described the definition of the rational function, many of these students describing the rational function as ‘the function composed of rational numbers’, which means that many students associated the term 'rational function' with rational numbers rather than rational expression. Many students regarded the expression including root square expression as not a rational function in the question of selecting rational functions and other functions, which confirmed the fact that students tend to confuse rational functions with rational numbers. Also, some students didn't recognize that rational functions include polynomial functions and fractional functions. Also, in determining rational functions, some students recognized only the function in the form of y=(ax+b)/(cx+d) as rational functions, which implies that the students had their own recognition and definition of the rational function based on the examples in the textbook containing these types of rational functions. Second, further inspections were made on the students who described the definition of asymptote through the function and its graph. Most students explained the definition by presenting the examples they studied while learning the rational function, and a few students explained the asymptote by drawing the graphs of exponential functions or tangent function. This showed that students have not accepted the concept of the asymptote as in the definition in the textbook, but memorized the concept through examples. Especially, many students recognized the asymptote as lines that do not cross the graph of the function. This may results from the fact that the rational function, exponential function and logarithmic function, which have been covered in the textbook in connection with the asymptote, show that the functions have the property that the graph of its function and asymptote do not meet. Especially when finding the horizontal asymptote, students were mechanically looking for the x value satisfying Q(x)=0 in y=(P(x))/(Q(x)), and had a difficulty in finding the vertical asymptote. Third, in order to investigate student conception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rational function and asymptote, the function y=(-2x+3)/(x-2) is presented to the students. Some students found all asymptotes, but some of them drew wrong graphs since they didn't know that the graph of the function y=(ax+b)/(cx+d) is drawn in two kinds of shapes. It can be seen that these students used the asymptote as a means of drawing the graph of the rational function. Meanwhile, some students found the vertical asymptote only or and others the horizontal asymptote only, with the number of students who found the vertical asymptote was much larger. The reason seems that students, when looking for the vertical asymptote, mechanically solved the equation of the function to find the x value that makes the denominator zero, which made it much easier to find the vertical asymptote. Also, this research has been made on potential ability of the students to associate asymptotes with the concept of limits, although not covered in formal education system. The result showed that 29.41% of the students expressed the concept associating horizontal asymptotes with the concept of limits, and 18.8% of the students associating vertical asymptotes with the concept of limits. This result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students can interpret the concept of asymptotes as limits if the students have a good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of the asymptotes and limits, although the formal definition of asymptotes, which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limits, is not officially supposed to be taught in the class.

      • PBL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서혜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PBL based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to improve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o investigate the program effectiveness. To achieve this purpose PBL based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systematic counseling program developing model. At first, subjects were selected the upp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at they could express their own opinion and communicate with others. And after target population analysis, need analysis was conducted at 50 fourth graders in the B elementary school in Seoul. In addition, as a result of task analysis through pre-existing PBL and self-directed learning studies, program's character, domain, goal were se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at set learning objectives, select appropriate learning strategies, and evaluate learning outcomes by problem solving process. At the step of program plan, program design criteria was set and selected an appraisal question and assessment tool for investigating effects of the program. The assessment tool wer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Lee Jae-kyoung, 2000). And then, motivation strategies of videos using, recorded letters using, quiz using and program schedule were planned. Also, to maintain what they learned self-examination journals on each field were planned. At the step of program development, program contents and guides were set. Then the core of program, PBL problem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ask analysis and pre-existing studies and validity test was done. Also test plans and test tools were made and an online-education system was designed. The whole program was adjusted through preliminary operation and organized 14 sessions each requiring 40 minutes for homeroom classes and other relevant subject classes. At the step of implementation, 150 fourth grade students in B elementary school were measured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cale. Then, 25 were placed in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other 26 children were placed in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4 sessions of the PBL based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during 2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n't. In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I-STATistics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opinion documents for each term, opinion documents of children after the program, and counselor's observation were used. Since control group's quality were same to the experimental group as the result of independent t-test, independent t-test were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post-inspection, too.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the PBL based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turned out to make significant chang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its sub-factor, controlling learning motivation, controlling cognition and controlling learning behavior(p < 0.001, p < 0.01, p < 0.05). As these results, it's proved that the PBL based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problem solving process.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meaningful that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to be proper to children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 Also this research was important that it applies the self-directed learning theory, often considered as a way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o self-directed learning. The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 need to consider how to maintain improv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o guide those children who have low motives, lack understanding, and gave difficulty in using the online education system and eventually help them to become active participant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중학년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PBL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위의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체제적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PBL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을 자기주도학습 능력 발달이 본격적으로 시작 되어가고,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언어 수준을 갖춘 초등학교 중학년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중학년에 대한 대상 분석을 실시한 후 서울 B초등학교 4학년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한 요구조사와 자기주도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PBL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관련 과제 분석을 실시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성격과 영역, 목표를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비구조화되고 실제적인 문제 해결하는 자기주도적인 학습 과정을 통해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적합한 학습 전략을 선택․실행하며 학습을 위한 행동을 통제하는 자기주도학습 전략을 스스로 구성함으로써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것이다. 설계 단계에서는 자기주도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PBL기반 자기주도학습의 설계 준거를 설정하고, 프로그램 평가지와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한 사전, 사후검사 도구를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한 사전, 사후검사로는 양명희(2000)가 개발한 ‘고등학생용 자기조절 측정도구’를 초등학생에 맞게 수정․보완한 이재경(2000)의 ‘초등학생용 자기 주도적 학습력 검사지’를 연구자가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각 영역의 첫 차시인 문제제시 단계에서 활용할 동영상, 편지 제시, 퀴즈 등 동기 유발 전략을 수립하고, 하위 활동의 논리적 계열성과 집단의 역동, 아동의 학습 발달 수준 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진행 순서를 구성하였다. 활동을 통해 배우고 느낀 것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매 영역이 끝날 때 마다 성찰저널을 작성하는 활동을 배치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및 지침서를 구성하였다. 요구분석 결과와 선행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하위 영역별로 제시할 문제를 개발하고, 개발된 문제는 문제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동료교사와 검토하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평가계획 및 평가도구를 제작하고 온라인 학습공간을 설계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은 사전에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수정 보완한 후 재량활동 시간과 관련 교과시간에 실행될 수 있도록 매 회기 40분 단위의 총 14회기로 구성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 4학년 6개 학급 학생 150여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 능력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연구자의 학급을 실험 집단으로, 나머지 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2주 동안 14회기의 PBL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실험이 끝난 후 자기주도학습 능력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평가 단계에서는 검사 도구를 이용한 성취도 평가와 연구자의 관찰과 소감문을 통한 반응 평가가 이루어졌다. 먼저 집단 간 자기주도학습 능력 사전 검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자기주도학습 능력 사전검사 결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하위요인으로 설정한 동기조절, 인지조절, 행동조절에서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점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은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자기주도학습 능력 사후검사에 대한 집단 간의 차이검증에도 독립표본 t검증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사후검사 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요인인 동기조절, 인지조절, 행동조절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01, p < 0.01, p < 0.05).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자기주도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PBL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적합한 학습 전략을 선택․실행하며 학습을 위한 행동을 통제하는 자기주도학습 능력 신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가능성을 고려한 PBL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점, 자기주도학습 능력 발달이 두드러지기 시작하고 상급학교 진학하면서 학업으로 인한 심리적 불안이 심해진다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초등학교 중학년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 인지적 영역의 학업 성취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연구되어 오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에 PBL을 접목하여 학생 중심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한 데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앞으로 프로그램을 통해 향상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유지와 지속적인 실천을 위한 후속 연구와 학습 의욕이 낮거나 이해력이 부족한 아동, 온라인 학습 공간을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아동도 능동적인 참여자로 이끌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Nano-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MOS Integrable Enzymeless Glucose Micro-Sensors : Nano-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MOS Integrable Enzymeless Glucose Micro-Sensors

        서혜경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Diabetes is a disease in which the pancreatic hormone insulin is no longer produced in sufficient quantity or activity to control sugar metabolism. It is essential for some diabetics to monitor and control glucose levels hourly or daily. Typically, most of the diabetics suffer pain due to use of a hypodermic needle and excessive expanses, since most of commercialized glucose sensors are disposable, which they are just useful once. Since they are analyzed by using electrochemical analysis method and use enzymes, living creatures, they are limited to use in in-vivo and continuously monitoring glucose levels. Recently, non-disposable glucose sensors have been announced by using optical and microwave analysis methods. However, there are no commercial products available due to an extremely low sensitivity and a high cost. To overcome these drawbacks, mesoporous platinum (Pt) film is investigated by using nano-fabrication technology for developing enzymeless and electrochemical analysis based glucose micro-sensors with high sensitivity and low cost. The mesoporous platinum (Pt) film is also combined with micro-pillar platinum electrode in order to increase output response current of the electrochemical glucose sensor by enlarging reactivated sensing area. These nano-pore arrayed platinum electrodes areutilized for fabricating the enzymeless glucose micro-sensors are fabricated on silicon substrate, which can be fully integrated with CMOS read-out circuitry. The fabricated enzymeless glucose micro-sensors are characterized and analyzed in various chemical solutions to check their usability in in-vivo and continuously monitoring systems.

      •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일반고 학생의 과목 선택기준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서혜경 전남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른 일반고 학생들의 과목 선택기준 및 실제 행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시의 일반고 2학년 4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초점집단면담, 전문가 검토 등을 거쳐 22개의 과목 선택기준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7개의 ‘과목 선택기준 요인’으로 조사 문항을 구조화하였다. 학생의 과목 선택기준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은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와 수정된(Revised) IPA(R-IPA) 분석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학생 성별, 학교소재 지역 등 학생 및 학교 특성 배경변인에 따른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는 R-IPA로 분석하였으며 과목 선택 및 수업 등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빈도분석, R-IPA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생의 과목 선택기준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가 가장 높은 기준은 ‘희망 직업과 관련 있는 과목’과 ‘진학 희망 학과와 관련된 과목’이었으며, 중요도와 수행도가 가장 낮은 기준은 ‘친한 친구가 선택하는 과목’이었다. 그리고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가 가장 높은 기준은 ‘진학을 희망하는 학과와 관련있는 과목’이었으며, 차이가 가장 낮은 기준은 ‘학교에서 지정한 이수단위를 맞추기 위한 과목’이었다. 둘째, 과목 선택기준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의 IPA 분석에서는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아 지속적인 ‘현상유지’가 되어야 하는 기준에는 ‘내가 좋아하는 과목’과 ‘내가 잘하는 과목’ 등이 도출되었고,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낮아 ‘점진개선’되어야 할 기준으로는 ‘친구, 부모, 교사가 추천하는 과목’과 ‘우리 학교 내에서만 개설된 과목’ 등이 분포되었다. 그리고 ‘선택한 학생 수가 많은 과목’과 ‘학습 내용이 쉽고 공부 부담이 적은 과목’은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높아 ‘초과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IPA를 수정한 R-IPA 분석에서는 IPA보다 속성들이 4개의 사분면에 좀 더 넓게 분포되었으며 ‘수능에서 등급이 잘 나올 수 있는 과목’은 Ⅳ사분면(초과달성)에 포함되어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높았다. 셋째, 배경변인별 과목 선택기준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학생 성별’은 의존성과 내신타당성의 중요도, 수능타당성의 중요도와 수행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업성취도’는 자율성과 수능타당성의 수행도, 다양성과 획일성의 중요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배경변인별 과목 선택기준의 R-IPA분석은 대부분의 변인에서 과목 선택기준의 자율성과 다양성, 수능타당성과 내신타당성은 ‘현상유지’영역과 ‘초과달성’영역에 분포하여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되고, 의존성, 호감성, 획일성은 ‘중점관심’영역과 ‘점진개선’영역에 분포하여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과목 선택 경험에 대한 인식 분석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자신이 희망하는 과목을 선택할 수 있었지만 아직 진로 방향이 명확하지 않은 학생들에게는 과목 선택이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적합한 과목을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지원 요구에 대한 분석은 의미있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과목 선택 기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적합한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본래 취지에 맞게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데 조그마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2015개정교육과정, 과목선택기준, 중요도, 수행도, IPA분석, R-IPA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students' perception of subject selection and actual behavior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survey of 434 high school seniors in G city and analyzed by apply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n this study, 22 subject selection criteria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ocus group interview, and expert review, and the survey items were structured with 7 'subject selection criteria factor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perception of students' subject selection criteria were compared with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nd the Revised IPA (R-IPA) analysis. In addition,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students and school characteristics such as student gender, school location, etc. were analyzed by R-IP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he standard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subject selection criteria of the students were 'subjects related to the desired career' and 'subjects related to the college of hope.' Was a subject chosen by a close friend. The criterion with the highest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as 'subjects related to the department wishing to enter,' and the criterion with the lowest difference was 'subject to meet the completion unit designated by the school.' Second, in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subject selection criteria, both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re high, and the criteria that should be maintained continuously are 'my favorite subjects' and 'subjects that I'm good at'. All of them were low and the criteria for 'gradual improvement' were divided into 'subjects recommended by friends, parents, and teachers' and 'subject only in our school'. In addition, 'subjects with a large number of students' and 'subjects that are easy to learn and have a low study burden' were more overperforming than their importance. In the modified IPA R-IPA analysis, the attributes were distributed more broadly in four quadrants than the IPA, and 'subjects that can be well graded in the SAT' were included in the IV quadrant (super-achievement). It was analyzed.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ubject selection criteria by background variables. In particular, 'gender gen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dependence and internal validity,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AT validity. 'Academic achieve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autonomy and SAT validity, and the importance of diversity and uniformity. Fourth, R-IPA analysis of subject selection criteria by background variables showed that autonomy, diversity, SAT validity and internal resistance validity of subject selection criteria were distributed in 'maintaining' and 'excessive' areas. Dependency, affinity, and uniformity are interpreted as low performance because they are distributed in 'center of interest' and 'progress improvement' areas. Fifth,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he recognition analysis of the subject selection experience showed that most students could select their desired subject, but the subject selection was difficult for the students whose career direction was not clear. Therefore, the analysis of support needs to help students select course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ir careers and aptitud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hould be considered meaningfully. This study examined the recognition of subject selection criteria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expected to be a small help in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which allows students to select course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ir career and aptitude. Key words: 2015 National Curriculum, subject selection criteria, importance, performance, IPA analysis, R-IPA analysis

      • 20대 여성의 뷰티 동영상 관심도가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 구매의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혜경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사회가 스마트미디어 시대에 진입하면서 동영상 서비스 이용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다양한 소셜 미디어 서비스 플랫폼이 등장하였다. 1인 미디어들이 생산하는 뷰티 동영상은 소비자가 시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든지 이용 가능한 소셜 미디어 시스템으로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으로 그 영향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소비와 유행의 첨단 계층인 20대 여성들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외모관리 정보 습득 등을 위하여 뷰티 동영상을 시청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최근 미용 산업에서 다수의 기업이 소셜 미디어 시스템을 활용한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화장품 마케팅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 시스템의 뷰티 채널과 콘텐츠는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도구이자 제품 정보제공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화장품 시장의 주요 고객층인 20대 여성의 뷰티 동영상 관심도 중 어떤 요인이 화장품 구매의도와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뷰티 동영상 관심도의 요인을 분류하고, 조사대상자의 뷰티 동영상 관심도가 화장품 구매의도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뷰티 동영상 관심도의 요인이 화장품 구매행동과의 관계에서 화장품 구매의도를 매개 변인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뷰티 동영상, 화장품 구매행동, 화장품 구매의도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성 검정을 통해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였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2020년 8월에 실시한 본 조사는 총 350부를 수집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거한 후 최종 323부를 최종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의 실증적 분석과 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일원변량분석, 던컨 검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20대 여성의 뷰티 동영상 관심도가 화장품 구매의도 및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나이가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화장품구매 주기가 짧고 비용이 많을수록 뷰티 동영상 관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0대 여성의 뷰티 동영상 관심도가 화장품 구매행동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20대 초반의 여성들은 화장을 통해 매너를 드러내고 가치를 표현하며, 일반적으로 유명 브랜드보다 저가 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품 구매행동의 하위요인별 브랜드 추구성, 가격 고려성, 구매 지속성, 기분 전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뷰티 동영상 및 화장품 구매의도에 관한 관심, 뷰티 동영상 및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관심, 화장품 구매의도와 화장품 구매행동을 긍정적으로 생각할수록 화장품 구매의도 및 구매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0대 여성의 뷰티 동영상 관심도와 화장품 구매행동의 관계에서 화장품 구매의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화장품 구매의도는 뷰티 동영상 관심도의 하위요인별 브랜드 추구성, 가격 고려성, 구매 지속성, 기분 전환성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품 구매의도는 뷰티 동영상 관심도의 하위요인별 흥미성과 가격 고려성 간의 관계, 화장품 감상과 구매 지속성의 관계, 뷰티 동영상 관심도의 유용성, 상호작용성, 편리성과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대 여성의 뷰티 동영상 관심도에 따라 화장품을 구매, 경험해 보고자 하는 소비자의 구매행동, 구매의도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뷰티 관련 기업에서 1인 미디어를 통한 K-Beauty 세분 시장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