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중대역저지 특성을 갖는 항아리형 초광대역 안테나 설계에 관한 연구

        서진웅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 development of radio technology proposes different radio communication services and causes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systems to support them. It is essential to develop applicable components to the multisystem in order to provide such radio services, and to design the antenna for it to support broadband or multiband characteristics. To meet these requirements, ultra-wideband communication is a local radio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100Mbps high speed communication at the frequency band of 3.1 GHz-10.6 GHz. As it uses such wide frequency band, it may interfere with existing communication service technologies at 3.5 GHz WiMAX (3.4-3.8 GHz) and 5 GHz WLAN (5.15-5.925 GHz) service band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sign an antenna to reject some band of ultra-wideband frequency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certain frequency band. This paper implemented an ultra-wideband antenna by using a barrel-shaped microstrip power feed patch and inserted 2 U-shape slots into the patch in order to design and fabricate an ultra-wideband antenna which rejects WiMAX 3.5 GHz and WLAN 802.11a band. The designed antenna is 10 mm(R1)×21.8mm(L3+L4+L5), which is printed on the circuitboard of 25.0mm(W1) × 39.5 mm(L1) × 1 mm(t) FR-4. A commercial program, Ansoft HFSS was used to obtain optimal values on the basis of simulated reflective loss result considering the sizes of circle and oval, distance between the patch and contact surface, cutting length of top, lengths of 2 slots, and changed length between 2 slots, and the surface current distribution was analyzed in order to check operation mode of antenna and wideband mechanism. In addition, the optimal length of slot was decid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flective loss of rejected band according to the lengths of 2 U slots. The voltage standing wave ratio was 2 or less in the 1.775-13.075 GHz band except for 3.325-3.925 GHz and 5.3125-6.025 GHz bands, and the plane E and H showed omnidirectional characteristic. And the maximum gain of approx. 5 dBi was found in 9-10 GHz. This result meets the characteristics of ultra-wideband and double band rejection, and the proposed antenna will be applicable to an ultra-wideband system. 최근 무선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무선통신 서비스가 제시되고 있으며,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시스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중 시스템에 적합한 부품의 개발이 필수적이며, 다중 시스템에 사용될 안테나 역시 광대역 혹은 다중대역 특성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초광대역 통신은 3.1 GHz∼10.6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100Mbps의 속도로 초고속 통신을 실현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이다. 그러나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만큼 3.5 GHz WiMAX 서비스 대역(3.4~3.8 GHz)과 5 GHz WLAN 서비스 대역(5.15~5.925 GHz)에서 기존 통신 서비스 기술과 간섭이 발생한다. 따라서 기존 통신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특정 주파수 대역과 서로 전파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초광대역 주파수의 일부 대역이 저지하는 특성을 갖는 안테나가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급전방식의 항아리 모양 패치를 사용하여 초광대역 안테나를 구현하였고, 두 개의 U자형 슬롯을 항아리형 패치에 삽입함으로써 WiMAX 3.5 GHz 대역과 WLAN 802.11a 대역이 저지된 초광대역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 하였다. 설계한 안테나의 패치는 10 mm(R1) × 21.8 mm(L3+L4+L5)크기로 설계되었으며, 25.0 mm(W1) × 39.5 mm(L1) × 1 mm(t) FR-4 기판 위에 인쇄되었다. 상용 프로그램인 Ansoft사의 HFSS를 사용하여 원형과 타원형의 크기, 패치와 접지면 사이의 간격, 그리고 상단 부분의 커팅 길이, 두 슬롯 각각의 길이, 두 슬롯 사이의 길이 변화에 따른 시뮬레이션 반사손실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화된 수치를 얻었으며, 표면 전류 분포를 분석하여 안테나의 동작 모드와 광대역 동작원리를 확인하였다. 또한 두 개의 U 슬롯의 길이에 따른 저지 대역 반사손실을 비교, 분석한 후 최적화된 슬롯 길이를 사용하여 제작했다. 제작된 안테나의 전압정재파비는 3.325~3.925 GHz 와 5.3125~6.025 GHz 대역을 제외한 1.775~13.075 GHz대역에서 2 이하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E-면, H-면 모두 전방향성 특성이 나타났다. 그리고 9∼10 GHz 대역에서 약 5 dBi의 최대이득이 나타났다. 이는 초광대역의 특성과 이중대역저지를 만족시키는 결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안테나는 초광대역 시스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국제인권규약의 국내적 적용에 관한 일고찰 : 양심적 병역거부를 중심으로

        서진웅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권의 역사는 길다. 대륙법계 법체계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인권은 종교의 자유에서 출발하였다. 중세유럽에서 시작된 종교와 정치의 분리과정에서부터 종교개혁시대에 이르는 장기간의 종교와 국가의 대립이 결국 종교의 자유를 낳았다. 종교의 자유의 인정범위가 넓어지면서 양심의 자유를 낳았다. 종교 및 양심의 자유의 보장을 위해 부가적인 인권들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혁적 고찰은 인권의 중심개념이 종교와 양심의 자유에 있음을 방증한다. 현대에 있어서 인권은 두 차례에 걸친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UN 하에서 국제평화의 초석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더하여 UN은 세계인권선언, 국제인권규약을 창안해 내었다. 국제인권규약은 2개의 다자간 조약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그 중 하나인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은 제한당하지 아니할 인권으로 종교와 양심의 자유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에 있어서 국제인권규약은 조약으로서 정당한 지위를 누리고 있지 못하다. 국제인권규약을 국내법에 보조적인 성격으로 간주하거나 자기집행성을 부인함으로서 그 적용에 소극적인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협약은 조약의 성실한 이행을 명기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국제인권규약에 대한 부당한 대우는 국제인권규약 및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협약의 위반을 구성한다. 특히 국제인권규약에서 종교와 양심의 자유와 관련하여 주시할 만한 사례로는 양심적 병역거부가 있다. 양심적 병역거부는 인권의 본질에 해당하는 종교와 양심의 자유에 기초한 행위이다. 이러한 양심적 병역거부를 국제인권규약과 그 감독기관의 국제인권기준에 합치하지 않는 수준으로 대우하는 것은 명백한 인권침해를 구성한다. 양심적 병역거부는 인권의 핵심에 해당하는 종교와 양심의 자유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국내법적으로 최소한의 제약을 가할 수 있는 존중 받아야 할 인권이다. 국제인권법의 정신을 계승하여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국제인권기준에 합치하는 정도의 보호를 추구하는 것이 국제인권규약에 합리적으로 합치한다. The history of Human Rights is long. When examined centering on the Continental Law System, Human Rights started with freedom of religion. The long periods of conflict between religion and government which was inaugurated with the separation process of religion and politics in the European Middle Ages and reached to the Reformation Era eventually gave birth to freedom of religion. With the widening recognition of the freedom of religion, the freedom of conscience was born. To ensure freedom of religion and conscience, additional Human Rights ended up emerging. This historical examination verifies that the central concepts behind Human Rights lie on the freedom of religion and conscience. Human Rights in modern times,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Two World Wars, are considered as the foundation stone of the UN. To add, UN originated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y.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y is composed of Two Treaties. One of those tw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is stipulating freedom of religion and conscience as Human Rights without restrictions. However, International Human Rights is unable to enjoy its rightful status as a Treaty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reality in The Republic of Korea is that applications of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are very passive; considered as an auxiliary law to Domestic Law or denying its Self-Executing authorities. However, the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is clearly demanding sincere actualization of treaties. The Republic of Korea's mistreatment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is heading towards infringements of the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and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Especially,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Conscientious Objection is a case that is worthy to be focused on and related to freedom of religion and conscience. Conscientious Objection is a conduct based on freedom of religion and conscience which falls in as the essence of Human Rights. To treat Conscientious Objection as being on a level which does not suit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of its competent institutions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is clearly an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Conscientious Objection is a Human Rights that should be respected and minimally restricted by Domestic Laws; because it has based its foundation on freedom of religion and conscience which are the essence of Human Rights. To pursue the protection of the Conscientious Objection at the level which is suited for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while succeeding the spirit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grees logically with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y.

      • 국가관할권이원지역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규율 : UN해양법협약 원칙의 확장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서진웅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Use and Guiding Principle of Marine Living Resources of Areas Beyond National Jurisdiction (ABNJ) focused on the Law of the Sea. The concept of the ABNJ is not internationally agreed yet. Nevertheless, there is no objection that the ABNJ covers the High Seas and the Area under the normative system of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UNCLOS) on the whole of international law; however, there are various understanding of scholars and states to the concept of the ABNJ and the guiding principle as multi-layered spectrum. These differences in stances regarding the ABNJ are basically due to the fact that the UNCLOS divides areas beyond the limits of national jurisdiction into two categories: the High Seas and the Area; and it stipulates duality of the scope and guiding principle of each part. There are confrontations between the position placing an emphasis on the regime based on the principle of freedom of the High Seas and the stance based on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The heterogeneity between the two guiding principles is at the extremes of the gap. The confrontations to the ABNJ has began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Area regime under the UNCLOS. And the demand for the extension of the principle of Common Heritage of Mankind, which is accepted as a guiding principle of the Area regime, to the whole ABNJ is at the core of this issue. Not so clear, however, is the concept of the principle of Common Heritage of Mankind.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is accepted as a concept that includes benefit sharing in the Area regime, however, as a concept that included free access regime when discussed in FAO about plant genetic resources. The concept of common heritage of mankind is proposed as an antithesis to the traditional law principle; Even the concept is ambiguous and its legal contents are not stipulated except the use of mineral resources and the benefit sharing derived from mineral resources. At the same time, under the rules of the UNCLOS, the Area is part of the High Seas as a geographical concept, and the Area regime acts as a special regime for mineral resources in the Area; on the other hand, it is reasonable that the High Seas regime should be understood as a general regime in the areas beyond the limits of national jurisdiction of the UNCLOS. Accordingly, the guiding principle of the ABNJ covering the entire areas beyond the limits of national jurisdiction should be the principle of freedom of the High Seas. In other words, current UNCLOS does not have a vacuum about the ABNJ, but there is only a regulatory limitation that does not stip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 Seas regime and the Area regime. The institutional framework for the use of marine living resources would be comparable to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f the UNCLOS and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CBD) and Nagoy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ir Utilization to the CBD; however, the CBD and the Nagoya Protocol are not fundamentally equal in the legal nature to those applicable institutional framework for ABNJ. The framework of the CBD and the Nagoya Protocol are fundamentally based on territorial sovereignty and regulates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 sharing in accordance with mutually agreed terms between the providing state and the using state; whereas, there are inherent differences of the ABNJ in the way that jurisdiction is not authorized in a particular country. For this reason, the institutional system of the CBD and the Nagoya Protocol can be a reference when framework of the ABNJ is regulated; however, it should not be acceptable the specific legal basis or mandatory basis contained in the CBD and the Nagoya Protocol. As a result, the institutional basis of the rules regarding the use of marine living resources should be set as a model of the UNCLOS. So, it should include the direct regulating provisions to marine living resources including marine genetic resources, and clearly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 Seas regime and the Area regime;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succeed progressively to the UNCLOS, without prejudice to the provisions of the UNCLOS. The ABNJ regime should be regulated under the normative system of the UNCLOS, but to guarantee its effectiveness, a new system should be drafted in such a way that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can participate. Compromise between developing countries and developed countries is indispensable for this. Therefore, this dissertation proposes the following as a result. Firstly, ABNJ regime should be based on the principle of freedom of the High Seas in accordance with the UNCLOS. Secondly, developing countries should not hamper the free access to limited conservative level of marine genetic resources. Thirdly, developed countries should ensure a certain level of benefit sharing that can contribute to access and capacity-building of marine genetic resources as a consideration of the needs of developing countries. The success or failure in introducing new ABNJ regime depends on whether the new regime is being adopted in a way that is open to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both countries can participate or not. It should be noted that they could fall into 'league of their own' and it could be fragmented the order of the Law of the sea again, if it is adopted in an favorable manner for either developed or developing countries. 본고는 국가관할권이원지역의 해양생물자원의 이용과 규율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본고의 대상인 국가관할권이원지역은 그 의미에 관하여 국제적으로 합의된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국제법 전체 영역 중 UN해양법협약의 규범적 체제 하에서는 공해와 심해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음에는 이론이 없다. 그러나 국가관할권이원지역의 개념 내지 규율원칙에 대한 학자들의 이해와 각국의 입장은 다층적 스펙트럼으로 존재한다. 국가관할권이원지역에 관한 입장의 차이는 기본적으로 UN해양법협약이 국가관할권 한계 밖의 지역을 공해와 심해저로 양분하여 각 지역의 물적 범위와 적용원칙을 이원적으로 규정한 점에서 기인한다. 공해자유원칙에 입각한 레짐을 강조하는 입장과 인류공동유산원칙에 입각한 레짐을 강조하는 입장 간의 대립이 존재하며, 두 적용원칙 간의 이질성은 그 간격을 극복할 수 없을 만큼 양극단에 있다. 국가관할권이원지역에 대한 입장차이는 심해저레짐의 도입 이후 시작되었으며, 심해저레짐의 규율원칙으로 받아들여지는 인류공동유산원칙의 국가관할권 한계 밖 전체 지역으로의 확장 요구가 이 문제의 핵심이다. 그러나 인류공동유산원칙이 무엇인가에 관하여서도 모호성이 남아있다. 인류공동유산은 심해저레짐에서는 이익공유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여지지만, FAO에서 식물유전자원에 관하여 논의될 당시에는 자유접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하였다. 인류공동유산개념은 전통적인 법원칙에 대한 안티테제로 제안된 개념으로서, 그 개념조차 모호한 상태에 있으며, 그 법적 내용도 광물자원의 이용과 이를 통한 이익의 배분을 제외하고는 규정되어 있지 못하다. 이와 함께, UN해양법협약의 규율체계 하에서 심해저는 지리적 개념으로서 공해의 일부이며, 심해저레짐은 심해저지역의 광물자원에 대한 특별레짐으로서 작용하고 있다. 반면에 UN해양법협약의 국가관할권 한계 밖 지역에 있어서 공해레짐이 일반레짐으로 이해되어야 함이 타당하다. 이에 따라서 국가관할권 한계 밖의 전체 지역을 포괄하는 국가관할권이원지역 레짐의 규율원칙은 공해자유원칙이어야 한다. 즉 현행 UN해양법협약 상 국가관할권이원지역에 관한 공백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다만, 명문의 규정으로 심해저레짐과 공해레짐 간의 관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이 규정상의 한계일 뿐이다. 해양생물자원의 이용에 관한 규율의 제도적 체계는 이와 유사한 물적 범위를 규율하고 있는 UN해양법협약의 제도적 체계와 생물다양성협약 및 동 협약의 의정서인 유전자원 이용에 관한 나고야의정서 상의 제도적 체계가 비교검토 가능한 현행 레짐에 해당한다. 그러나 생물다양성협약과 나고야의정서는 본질적으로 국가관할권이원지역에 적용 가능한 체제와 그 기초가 동등하지 않다. 생물다양성협약의 체제는 기본적으로 영토주의에 기초하고 있으며, 유전자원에의 접근 및 이의 이익공유를 유전자원의 제공국과 이용국 양국 간의 상호 합의된 조건에 따르도록 규율하는 체제이다. 반면에 국가관할권이원지역은 특정국가에 관할권이 인정되지 않는 본질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이로 인하여 국가관할권이원지역의 제도적 체계 규정 시 생물다양성협약의 체제는 참고대상이 될 수는 있으나, 이 체제에 포함된 특유의 법적 기초 내지 권리․의무적 기초는 그대로 수용될 수는 없다. 결과적으로 해양생물자원의 이용에 관한 규율의 제도적 기초는 UN해양법협약을 모범으로 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UN해양법협약 상의 규율원칙을 계승하되, 명시적인 규정이 불충분한 해양유전자원을 포함하는 해양생물자원의 직접적 규율규정을 포함하여야 하며, 공해레짐과 심해저레짐 간의 관계를 명확히 규정하여야 하며, UN해양법협약의 제 규정들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UN해양법협약을 발전적으로 계승하여야 한다. 국가관할권이원지역의 규율체제는 UN해양법협약의 규범적 체제 하에서 규정화 되어야 하지만,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모두 참여 가능한 방식으로 새로운 체제가 초안되어야 그 실효성이 담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서는 개발도상국가들과 선진국들의 타협이 필수불가결하다. 따라서 본고는 결과적으로 다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국가관할권이원지역은 UN해양법협약의 체제에 따라서 공해자유원칙에 입각하여야 한다. 둘째, 개발도상국가들은 해양유전자원에 대한 보전 가능한 수준으로 제한된 자유로운 접근을 저해하지 않아야 한다. 셋째, 선진국들은 개발도상국가들의 필요에 대한 배려의 측면으로서, 개발도상국의 해양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사용능력을 배양에 기여할 수 있는 일정수준의 이익공유의 보장을 포함하여야 한다. 새로운 국가관할권이원지역체제의 도입의 성패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모두 참여가능한 방식으로 새로운 체제가 도입되느냐에 달려 있다. 선진국이나 개발도상국 중 어느 일방 집단에 유리한 방식으로 도입되는 경우에는 일방만의 ‘그들만의 리그’로 전락할 수 있으며, 또다시 해양법 전반의 질서를 파편화할 뿐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