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족지지와 가족기능의 지각 일치수준과 정서표현성과의 관계

        서지윤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진단을 받은 환자 73명과 그 가족구성원 73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가족지지와 가족기능의 지각 일치수준을 살펴보았고, 환자와 가족구성원간의 가족지지와 가족기능 지각 일치수준과 환자의 정서표현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지지와 가족기능에 대한 환자와 가족구성원의 지각 일치수준은 둘 다 긍정적 일치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환자 평가와 가족구성원 평가가 모두 낮은 부정적 일치, 환자 평가는 낮고 가족구성원 평가는 높은 불일치, 환자 평가는 높고 가족구성원 평가는 낮은 불일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자가 지각 하고 있는 가족지지 지각 수준이 높은 경우 환자의 정서표현은 많았으나, 환자가 지각 하고 있는 가족기능 지각 수준과 환자의 정서표현성과는 상관이 없었다. 또한 가족구성원이 지각 하고 있는 가족지지와 가족기능 역시 환자의 정서표현성과는 상관이 없었다. 셋째, 환자와 가족구성원의 가족지지에 대한 지각 일치수준이 긍정적으로 일치하는 집단의 환자가 지각 일치수준이 부정적으로 일치하는 집단의 환자보다 정서표현이 많았다.

      • 에밀리 디킨슨의 경계와 그 너머 : 여성, 죽음, 신

        서지윤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에밀리 디킨슨(Emily Dickinson)은 19세기 뉴잉글랜드 청교도 사회가 요구하는 의무와 구속의 틀에 갇혀있기를 거부하고 틀과 억압을 넘어서려 한다. 디킨슨은 개인의 주체적이고 자유로운 삶을 억압하는 세상의 가치관과 틀, 죽음과 신에 대한 생각의 강요를 넘어서고자 빛, 여행, 바다, 창문 등 다양한 상징을 사용하는데, 특히 ‘경계’(Circumference)의 비유를 통해 억압적인 현실과 생각의 강요에서 벗어나 이상적으로 나아가려는 상황을 그린다. 디킨슨의 ‘경계’는 여성과 시인으로서의 자아, 종교, 삶과 죽음의 한계에 직면하고 넘어서려는 의지이며 경계 짓기와 넘기의 의미를 담고 있다. 그녀의 탐구는 이미 구축된 경계들―여성과 남성의 위계질서, 내세의 한 단계로 혹은 두렵고 도망쳐야할 죽음, 청교도적인 위계질서, 제도화되고 규범화된 신의 모습, 전통적 글쓰기―을 넘어 아직 도래하지 않은 경계 너머를 향해 나아간다. 그녀는 자신의 글쓰기를 경계 위에 두면서 지속적인 탐색과 미완성 상태의 열린 공간을 제시한다. 디킨슨은 가부장제의 현실 경계 내부에서 이미 결정된 여성성과 역할의 틀을 파열하고 단절하면서 여성의 공간과 정체성을 탐구한다. 가부장제로 포착되지 않는 여성의 공간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그녀는 ‘시’가 무한한 상상력과 다양한 해석의 공간임을 보여준다. 그녀는 남성중심 언어의 글쓰기 가치기준과 여성작가에 대한 인식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면서 남성적 언어의 테두리가 생성되기 이전을 보려 한다. 그녀의 글쓰기는 여성 특유의 언어방식을 탐색하며 알 수 없음으로 남겨지거나 우회적이고 갑작스러운 의미의 반전, 단정 지을 수도 없지만 동시에 어떤 것도 될 수 있는 창조적 가능성을 지닌 여성의 언어를 추구한다. 이는 당대의 문학 풍토의 틀을 넘어서려는 그녀만의 언어적 시도이자 자유롭고 열린 세계의 지향이다. 그녀가 마주한 여성의 글쓰기는 당대 남성중심의 전통적 글쓰기에서 벗어나 자의적으로 발전과 확장을 반복하는 지점이자 경계 위에서 지속적으로 변형하고 열린 상태의 가능성을 추구하는 공간이다. 삶의 경계로서의 죽음을 소재로 한 시들은 디킨슨의 죽음에 대한 독특한 인식을 보여준다. 그녀는 삶의 최전방으로서 죽음을 마주하고 확인하려한다. 디킨슨은 당대의 종교에서 주장하는 구원과 영생을 위한 과정이 아닌 삶과 맞닿아 있는 삶의 최전방으로서 죽음을 마주하고 확인하려한다. 그녀가 표현하는 죽음은 마치 일상의 경험처럼 여정이나 이동, 변화 등의 구체적인 묘사로 제시된다. 그녀에게 죽음은 삶의 연속이자 과거와 현재, 미래가 동시에 포함되면서도 모든 시간이 정지되는 순간이기에 정지와 흐름의 이중적인 움직임을 지닌다. 디킨슨은 죽음을 알 수 없는 낯선 어떤 것으로 남겨두면서 삶의 극단적인 경계에 존재하는 것으로 받아들인다. 그녀는 의식이 소멸되는 죽음의 순간을 표현하려 하지만 그 순간은 늘 불명확하게 남겨진다. 이러한 남겨둠은 그녀가 죽음을 상상력으로 왜곡하지 않으려는 의지의 반영이다. 디킨슨이 묘사하는 죽음은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벗어나 여태 경험해 본적 없고 나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절대적 타자의 개념과 연결된다. 그녀는 죽음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지만 죽음을 갑작스러운 끝맺음, 모호성, 변화무쌍한 반전이나 의식의 사라짐과 대시 등으로 표현하면서 죽음을 왜곡하지 않고 절대적 타자로서 남겨둔다. 죽음에 대한 디킨슨의 진지한 모색은 절대적 타자로서의 신에 대한 탐구로 이어진다. 그녀는 청교도 교리의 전체성이 지배하는 신앙의 틀에서 벗어나 신과 자신과의 관계를 새롭게 모색한다. 그녀가 모색하는 신앙의 경계는 탈중심적인 정체성을 지향하는 최전방이자 열린 공간이다. 디킨슨이 주목하는 신앙의 경계는 신과의 일대일 관계에서 자신만의 위치를 찾아가는 공간의 모색이고 자신의 신앙에 대해서도 끊임없이 고민하는 과정이며 신앙의 경계 너머를 향한 신념에 순간순간의 주저함이 섞여있는 시간의 조각들이다. 그녀의 주저함은 그녀가 신앙인으로서 청교도적인 자아를 여전히 지니고 있음을 의미하고 참된 신앙에 대한 갈등과 고민 가운데 신에게 다가가려는 의지를 나타낸다. 신에 대한 믿음과 이성적인 판단 사이에서 고민하던 디킨슨은 신의 존재에 대한 인식을 청교도가 부과한 틀과 경계 너머로 확장한다. 그녀에게 보이지 않는 신은 인간이 규정한 장소와 위치의 관계에서 드러나는 존재의 방식일 뿐 부재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신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것은 우리 인식의 경계 너머에 존재하는 무한자이자 절대적 타자인 신이 그의 방식으로 우리를 감싸 안고 있기 때문이다. 디킨슨에게 신은 규정할 수 없는 영역에서 끝없는 해석의 여지를 남기는 존재이다. 그녀는 초월적인 존재인 신의 흔적을 타자의 목소리와 얼굴 등에서 간접적으로 신의 존재를 확인한다. 디킨슨의 글쓰기는 가부장적인 사회와 제도, 규범화된 죽음과 신의 모습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유롭고 충만하고 폭발적인 탈경계의 가능성을 반복적으로 응시하고 숙고한다. 매순간 디킨슨은 경계 내에서 여성, 죽음, 신에 대한 의미를 고정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확인하며 경계와 탈경계 사이를 오가며 글쓰기를 한다. 그녀의 글쓰기는 경계와 경계 너머, 억압과 해방, 가시적인 것과 비가시적인 것, 인식 가능한 것과 인식 불가능한 것 사이를 오가며 끊임없이 직조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 학습지를 활용한 피드백 수업에서 물리 개념 변화와 피드백 수용도의 특성 연구

        서지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피드백의 유형에 따라 물리 개념 변화와 피드백 수용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해보고 피드백 수용도와 물리 개념 변화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 과학적 태도와 피드백 수용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물리 교수 학습에 있어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피드백 적용 수업에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학생 16명을 과학적 태도를 검사하는 사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두 개의 동질 집단으로 나누었고, 학습지를 이용한 수업에서 두 집단에 각각 정오 피드백과 조언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교과서의 전기 단원에 해당하는 10차시 수업을 3주에 걸쳐 진행하였고 매 수업시간 학생들이 작성한 학습지를 수합하여 집단별로 정오 피드백 또는 조언 피드백을 적어 학생들에게 다시 나누어주었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받은 학습지를 모아 사후 학습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또한, 10차시의 수업이 모두 끝난 후 사후 개념 검사와 피드백 수용도 검사를 통해 학생들의 물리 개념 변화 정도를 측정하고 학생들이 피드백을 얼마나 잘 받아들였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드백 유형은 물리 개념변화와 피드백 수용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 개념변화와 피드백 수용도의 평균은 조언 피드백을 받은 집단이 정오 피드백을 받은 집단보다 약간 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피드백 수용도와 물리 개념변화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조언 피드백 집단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언 피드백을 받은 경우 피드백을 잘 받아들일수록 물리 개념변화가 많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과학적 태도와 피드백 수용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조언 피드백 집단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조언 피드백 집단에서 학교, 가정 상황에서의 과학적 태도가 피드백 수용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 중 개방성, 계속성, 비판성, 자발성, 호기심 등이 조언 피드백을 받은 집단에서 피드백 수용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피드백을 유용하게 받아들여 물리 개념변화가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정오 여부만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설명과 조언이 있는 조언 피드백이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의 피드백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과학적 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수업이 이루어져야함을 알 수 있었다.

      • 노래중심음악치료가 조울증 환자의 대인관계 및 사회기술 증진에 미치는 영향

        서지윤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래중심음악치료가 조울증 환자의 대인관계 및 사회기술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전문의로부터 조울증 진단을 받은 후 서울소재 병원에 입원중인 30대 남자환자를 대상으로 치료를 실시한 결과를 근거로 작성하였다. 환자에 대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2017년 9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14회기동안 진행하였으며, 음악중재활동을 통해 자신의 내적 갈등을 인식·해결하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으로 공감과 지지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자는 대인관계변화 척도와 사회생활기술 척도를 사용하여 음악치료를 실시하기 전과 후의 환자의 상태를 비교·분석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SPSS 23.0 version으로 분석하여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울증 환자의 대인관계는 노래중심음악치료 사전-사후 평가에서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p<0.05). 특히 하위영역의 경우 만족감·의사소통·신뢰감·친근감·개방성·이해성 등의 사전-사후 평가에서는 노래중심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p<0.05), 민감성에 대한 효과는 미미하였다. 둘째, 조울증 환자의 사회기술은 노래중심음악치료 사전-사후 평가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고(p<0.05), 하위영역인 언어 및 비언어 부분에서도 효과성이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또한 회기에 따른 대인관계 및 사회기술의 개체간의 효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는바(p<0.05), 노래중심음악치료는 조울증 환자의 대인관계 및 사회기술증진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song focused music therapy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skills improvement for bipolar disorder. The music therapy was conducted to a male patient in his 30s who was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 by a physician in a hospital in Seoul. The song-focused music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14 times during a period between September 2017 and December 2017 for 60 minutes per week and programed in order for the subject to recognize and resolve the inner conflicts and experience empathy and support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The author compared pre and post music therapy using the measur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and social life skil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through SPSS 23.0 version to verify significance at level p<0.05 and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wed improved results in the pre-after assessment of song-focused music therapy and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effect of song-focused music therapy were evaluat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n pre and post evaluation on the sub-areas, satisfaction, communication, reliability, familiarity, openness and understanding but insignificant in terms of sensitivity. Secondly, social skills showed improved results in the pre-after assessment of song-focused music therapy (p<0.05) and the effect of song-focused music therap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linguistical and non- linguistical contents which are sub areas (p<0.05). It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on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session and social skills in session (p<0.05). Therefore, these findings show that song-focused music therapy is an effective method of mediation for the enhancement of interpersonal and social skills of bipolar disorder.

      • 관찰 예능 프로그램의 초점화 연구

        서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공간에 따라 분류하고 각 분류에 따른 초점화 양상을 살펴본 뒤 이에 따른 서사적 특징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관찰 예능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한 뒤,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분류할 기준을 제시한다. 이를 기반으로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네 가지로 분류한 후 각 유형에 따른 초점화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관찰 예능 프로그램이 기반하는 텔레비전이라는 매체와 관찰이라는 형식, 일상성이라는 내용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관찰 예능 프로그램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을 관찰 즉, ‘보는 것’이라 했을 때 누가 무엇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텔레비전이라는 매체적 특성과 관찰 예능 프로그램의 서사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초점화 이론으로 이를 분석하였다.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 영상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텍스트를 제작하고 가공하는 사람의 의도나 메시지가 필연적으로 담기게 된다. 그러므로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보여지는지’ 즉, ‘어떤 관점에서 무엇을 보여주고자 하는지’에 집중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서사학의 초점화(focalization)이론을 중심으로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초점화란 소설의 화자 또는 서술자의 위치와 시각의 문제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이다. 관찰 예능 프로그램은 ‘보여주고’ ‘보는’ 텔레비전의 본질 및 이를 매개하는 카메라의 존재를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점화 이론을 기반으로 텔레비전 스크린을 통해 관찰 예능을 보는 시선의 주체와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카메라 속 시선의 대상이 되는 서사의 의미를 살펴보고 각 요소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층위의 공간을 기준으로 삼아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분류하였다. 먼저, 배경이 서사의 주요 요소로 전경화되는지 혹은 후경화되는지 확인하고 브론펜 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 이론을 적용하여 구분한다. 그리고 서사가 주로 내공간에서 진행되는지 외공간에서 진행되는지 살펴보며 관찰 예능 프로그램의 유형을 분류한다. 이를 통해 관찰 예능 프로그램이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인물 위주로 서사가 진행되는 관찰 예능 프로그램은 가족이나 가까운 친구와의 교류를 보이며 이를 통해 가족의 소중함을 강조하거나 사적 생활을 노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대상을 몰래 찍는 관찰카메라 형식과 인터뷰 등의 다큐멘터리 촬영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리고 서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대상의 직접적인 인터뷰나 스튜디오에서의 설명을 제공한다. 두 번째 유형은 비슷한 유형의 에피소드들이 동시에 진행되며 병렬적으로 교차되고, 특정한 사건을 반복하며 서사를 진행한다. 인물과 대상의 내면적 상황을 서술함으로써 다양한 대상들 간의 교류와 통합을 강조한다. 내공간 중심형 관찰 예능 프로그램은 공간 자체가 이미 서사를 내포한다. 인물들은 공간에 따라 특정 역할을 부여받고, 이 역할을 수행하면서 서사를 이끌어나간다. 이 유형의 관찰 예능 프로그램은 주로 공간 속의 등장인물들이 점차 가까워지고 가족적인 유대감을 갖는 모습을 묘사한다. 반면 외공간 중심형 관찰 예능 프로그램은 일종의 여행서사로서 공간을 이동하며 새로운 곳을 경험하는 인물들의 모습이 그려진다. 여정이 진행됨에 따라 이들은 내적 결속을 다지고 성장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기행 서사로서의 정보성은 떨어지는 반면 인물의 주관적인 감상과 이야기를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특징을 보인다.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대중들은 초점화자인 제작자들의 눈을 통해 서사 세계를 보게 된다. 이는 대중매체인 텔레비전이 지니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시청자는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시청함으로써 물리적으로 서사에 참여하기보다는 비교적 정서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그리고 관찰 예능 프로그램의 이야기 속 인물에 동감하고 동일시하며 대리체험과 대리만족의 경험을 얻는다. 본 연구는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거시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며 분류를 통해 이에 대한 분석적으로 접근하였다. 관찰 예능 프로그램을 서사학 뿐만 아니라 다양한 관점에서 분류하고자 하였으며, 일부 작품에 집중해서 연구를 진행하지 않고 관찰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접근을 하고자 했다는데 기존 연구와 차별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according to space, to investigate the focalization pattern according to each classification, and then to identify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To do this, we first discuss the observation program, and then present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observation program. Based on this, we will classify the observation programs into four categories, and then look at the patterns of focalization according to each type. The most basic attributes of an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that is, 'seeing', raises the question of who and what to watch.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television an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in terms of focalization theory. In order to produce a visual arts program, the intention and message of the person making and processing the text are inevitably included in the process of editing the image. Therefore, in order to analyze the observation program, we must concentrate on what is shown, from what point of view. For this reason, this paper focuses on the focalization theory of narrative in order to examine the program of observation and entertainment. Focalization is necessary to clearly distinguish the problem of the position and the view of the narrator.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s have the nature of television -'seeing' and 'showing'- and the presence of cameras that mediate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subject of sight, the camera filming it, and the narrative which is the target of the camera on the basis of the focalizaiton theory.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s involve the nature of 'seeing' and 'watching' television and the presence of cameras that mediate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subject of sight, the camera of the screen and the narrative which is the target of the camera in the television screen on the basis of the focalization theory. In this study, we will classify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s based on various levels of space. Make sure that the background is foregrounded or not of the main elements of the narrative and apply the Bronfenbrenner ecological system theory. And we will classify the types of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by checking whether the narrative progresses mainly in the inner space or the outer spac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First of all, the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performing narrative focusing on people shows interactions with family members and close friends,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family or exposes private life through this. To do this, documentary filming techniques are actively utilized such as interview and fly-on-the-wall camera. It also provides direct interviews and explanations in the studio to help them understand narrative. In the second type, episodes of a similar type proceed simultaneously, intersecting in parallel, repeating certain events and proceeding with narrative. It emphasizes interaction and integration between the various objects by describing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person and object. For the inner space - centered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space itself already contains narrative. It depicts the characters in this space gradually getting closer and having a family bond. Informative function is reduced, but it shows a character that actively reveals the subjective impression and stories.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pace - centered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is a sort of travel narrative that depicts the characters moving through space and experiencing new places. As the journey progresses, they seem to grow and grow in inner solidarity. Peole watching the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sees the narrative world through the eyes of the creators who are the focalizers.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 feature of the television as a mass media. By watching the program, people participate in the narrative relatively emotionally rather than physically. And I get the experience of the surrogate experience and the surrogate satisfaction by agreeing and identifying with the person in the story of the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 macroscopically and will approach it analytically through classification. It classified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s not only from the narrative but also from various perspectives. I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 that it tried to make an overall approach to the observation and entertainment program without conducting research focusing on some works.

      • 이커머스 상품 리뷰 챗봇의 전문성과 감정표현에 따른 사용자 경험 효과 : 도움성, 신뢰, 지속사용의도를 중심으로

        서지윤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ons and specialization in review-summarizing chatbots on the user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e-commerce utilizing generative AI. Information overload in e-commerce caused by the high volume of online reviews often makes it hard for consumers to identify helpful reviews and make better purchase decisions. Thus, in order to improve e-commerce review systems, this study proposes the application of Generative AI chatbots that generates summarized product reviews for consumers. An experimen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level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persona type (specialist vs generalist) influence perceived review helpfulness, trust and intention to use, in the case of high involvement product such as a mattress. Contrary to findings in prior literature on the effects of emotions on perceived review helpfulnes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motional factors in reviews presented by chatbot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review helpfulness, trust, and intention to use the chatbot. However, the specialization differences in chatbots had a main effect. Moreover,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emotional expression and specialization on trust and intention to use, but not on review helpfulness. This indicates that in a usage context where the role of the chatbot is to provide accurate product information and trustworthy reviews for consumers, specializa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building trust, and maintaining neutral level of emotional expressions is better than excessive expression for specialist chatbots in terms of user experience. The results also hav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online retailers and other businesses that utilize user-generated contents to engage more customers. 이 연구의 목적은 생성형 AI가 도입된 이커머스 맥락에서 방대한 양의 제품 리뷰를 요약해주는 챗봇의 감정표현과 퍼소나의 유형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커머스 리뷰의 막대한 증가로 인해 소비자들은 정보과부하로 인해 도움되는 리뷰를 발견하여 더 나은 구매 결정을 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존 온라인 리뷰 시스템의 한계를 개선하고자 생성형 AI 챗봇을 활용한 이커머스 리뷰 요약 서비스를 제안한다. 고관여 상품인 매트리스의 부정적 리뷰를 전달하는 챗봇의 감정표현 수준과 퍼소나 유형(전문가 vs 제너럴리스트)이 사용자의 지각된 리뷰 도움성, 신뢰, 지속사용의도에 어떤 차이를 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기존의 온라인 리뷰 선행연구에서는 리뷰 속 감정은 소비자의 리뷰 반응에 영향을 미쳤지만 챗봇이 리뷰 내용을 요약하는 상황에서는 감정표현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전문성 수준은 주효과가 나타났다. 신뢰와 지속사용의도에는 감정표현과 전문성 수준 간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상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신뢰할 수 있는 리뷰를 전달하는 챗봇의 역할 상, 전문성 있는 챗봇에게 더 신뢰를 느끼고, 전문성 있는 챗봇에게는 과한 감정표현보다는 신중하고 중립적인 태도가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온라인 유통업자 및 기타 도메인의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활용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에 중요한 실용적 함의를 시사한다.

      • GDAPS AGCM-MOM3 OGCM-LANL Sea Ice Model을 이요한 상세격자 접합 대순환 모델(GME/PNU CGCM)의 개발

        서지윤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high-resolution (T106) atmosphere-ocean-sea ice coupled general circulation model(CGCM). It has, recently, been pay attention to long range prediction due to global warming derived extreme events. CGCM can explain how sub climate system interact each other, such as ENSO. Therefore the way to develop CGCM is the keyword to seasonal prediction and beyond. GME PNU/CGCM is consist of a flux coupler, an atmospheric general circulation model, modified weather forecast to climate prediction including a land surface model, an oceanic general circulation model, and thermodynamic/dynamic sea ice model. The atmospheric component of the CGCM is GDAPS with T106 spectral truncation (approximately 1.125° horizontal resolution) and 21 vertical levels. The oceanic component model is based on MOM3 ,which has 29 vertical levels and horizontal resolution is same as GDAPS. The dynamic part of sea ice model is based on elastic-viscous-plastic dynamic model developed in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and thermodynamic part is similar to Semtner's 3-level thermodynamic sea ice model. The horizontal resolution of the sea ice model is exactly matched with that of the OCGM. The sea ice model considers thick ice and either thin ice or open water in a single grid cell. Flux coupler gathers state variables from the component models, computers surface fluxes at the model interfaces, and returns these fluxes to the component models, maintaining conservation of these fluxes. However, surface fluxed over sea ice should be computed in the sea ice model itself in a single grid cell, because it is feasible for the sea ice model to determine the net ice characteristics of the grid cell. GME/PNU CGCM has been improve model resolution T42 to T106 and coupling startegy , especially agrement of topography of AGCM , OGCM and sea ice model. Most of recent resolution of CGCM is T42 so that developing higher resolution CGCM is demanded. GME/PNU CGCM simulated quite similar summer climate compare with observed data. However temperature and sea surface temperature in high latitude are rather higher. It would be influenced by warm biased OGCM 100 year spinup.

      • HPLC를 이용한 구지뽕나무 가지 지표성분의 동시분석법 개발

        서지윤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구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부인들의 붕증, 혈결 및 요통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었다. 구지뽕나무 가지를 ethanol 로 추출하여, 용매의 극성에 따라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water 로 분획하여, 이 중 주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butanol 분획에 대하여 성분분리를 실시하였다. 각종 역상 컬럼을 이용한 column chromatography 를 통해 총 3 개의 화합물을 얻어 물리화학적 성상과 문헌조사, 각종 기기분석(1H-NMR, 13C-NMR, Mass, HSQC, HMBC)을 통하여 구조 동정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Compound Ⅰ은 dihydroquercetin 7-O-β-D-glucopyranoside, Compound Ⅱ 는 dihydrokaempferol 7-O-β-D-glucopyranoside, compound III 는 quercetin 3-O-α-L-rhamnopyranosyl(1→6)-β-D-glucopyranoside 으로 확인 동정 하였다. HPLC-DAD를 이용하여 Coumpound Ⅰ- III 의 순도 실험 및 ICH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분석법 검증을 실시하여 분석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HPLC 분석을 위하여 AKZO NOBEL Kromasil 100-5 C18 (250 × 4.6mm) column을 사용하였고 이동상으로는 water와 acetonitrile을 사용하여 기울기용리 방식으로 분석하였으며 파장은 210 nm에서 측정하였다. HPLC-UV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구지뽕나무 가지 20 점에 대한 함량평가를 실시한 결과 전체 시료에서 dihydroquercetin 7-O-β-D-glucopyranoside 가 2.34 ± 1.83 μg/mg, dihydrokaempferol 7-O-β-D-glucopyranoside 1.11 ± 1.02 μg/mg, quercetin 3-O-α-L-rhamnopyranosyl(1→6)-β-D-glucopyranoside 1.23 ± 1.23 μg/mg 으로 나타났다. HPLC-UV 함량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다변량분석(PCA)을 통하여 성분별 유사성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구지뽕나무 가지의 패턴은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구지뽕나무 가지의 성분분리 및, 분리된 성분을 이용한 다성분 함량 모니터링은 구지뽕나무 가지의 산지별 품질관리를 위한 과학적인 근거와 유통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큰 의의를 가질 것으로 사료된다. Cudrania tricuspidata(carr.)Bur. (Moraceae) is a small thorny tree native to East Asia and distributed mainly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This plant has been used for anti-inflammatory, anti-hepatotoxic, anti-hypertensive and anti-diabetic activities. 3 components, dehydroquercetin 7-O-β-D-glucopyranoside, dihydrokaempferol 7-O-β-D-glucopyranoside and quercetin 3-O-α-L-rhamnopyranosyl(1→6)-β-D-glucopyranoside was isol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stem. Analysis method of Cudrania tricuspidata stem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ultraviolet detector(HPLC-UV) was developed. The optimal chromatograhpic conditions were obtained on reversed phase C18 column and the mobile phase was composed of water and acetonitrile using a gradient elution. Detection wavelength was set 210nm. All calibration curves showed good linear regression (r2>0.999) within test ranges. The developed method provided satisfactory precision and accuracy with overall intra-day and inter-day. According to these experimental method, we have analyzed content of dihydroquercetin 7-O-β-D-glucopyranoside, dihydrokaempferol 7-O-β-D-glucopyranoside and rutin about 20 samples. As a result, contained quantity of dihydroquercetin 7-O-β-D-glucopyranoside was measured 2.34 ± 1.83 μg/mg, dihydrokaempferol 7-O-β-D-glucopyranoside was measured 1.11 ± 1.02 μg/mg, quercetin 3-O-α-L-rhamnopyranosyl(1→6)-β-D-glucopyranoside was measured 1.23 ± 1.23 μg/mg. Using isolated compounds for measuring their contents is the meaning of suggesting distinctive components among Cudrania tricuspidata. This study contributes to supply of the standardization and quality control of herbal medic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