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가정 남편들의 결혼만족도에 관련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결혼배경 및 부부간의 의사소통과 부부갈등

        서정순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marriage background, couple's communication and marital conflict related to Korean male's marital satisfaction in international marriage context.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15 interracial married men in Cheongju-city and Chungbuk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α, t-test, F-test, Tukey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WIN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couple's communicatio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More specifically, the husband's positive communication and demand-avoidance communication were differed by age gap, family form, academic career of husband and wife, husband's job, monthly income, residential district, the level of living and the nationality of wife amo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husband's negative communication was differed by marital period, the number of children, family form, husband's academic career and job, monthly income, and residential district. Couple's conflict that is caused by personal traits and marital relationship was differed by age gap, marital period, the number of children, academic career of husband and wife, husband's job, monthly income, residential district, the level of living and the nationality of wife.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differed by monthly income, wife's age, age gap, marital period, academic career of husband and wife, wife'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residential district, job of husband and wife, the level of living, and the nationality of wife. Second, there was difference in husband's communicatio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marriage background; the husband's positive and demand-avoidance communication were related to the channel and cost of introduction, the amount of information, the truthfulness of information about wife, motive of marriage 1 'passed marriageability' and motive of marriage 2 'non opportunity to meet a native women'; The husband's negative communication was related to the truthfulness of information about wife, the frequency of meeting before marriage, objection to the marriage; the marital conflict related with personal trait and marital relationship was differed by the channel and cost of introduction, the length of courtship, the giver of the information, the truthfulness of information about wife, objection to the marriage, motive of marriage 1 'passed marriageability', motive of marriage 2 'non opportunity to meet a native women', motive of marriage 6 'too much cost for wedding with a native woman'; the husband's marital conflict related to personal trait, marital relationship, cohabitation and the third party was differed by the truthfulness of information about wife, and motive of marriage 1 'passed marriageability';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differed by the channel and cost of introduction, the frequency of meeting before marriage, the length of courtship, the getting of information, the truthfulness of information about wife, objection to the marriage, motive of marriage 1 'passed marriageability', motive of marriage 7 'the thinking that a foreign woman will serve her parents-in-law better than a native woman'. Third,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marriage background had influence on the couple's communication and marital conflict; wife'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husband's job and the number of children affected couple's communication and marital conflict very much; the truthfulness of information about wife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t the couple's communication and marital conflict among marriage background. Fourth,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marriage background, couple's communication and marital conflict; husband's job, marital period, the level of living and wife'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mong socio-demographic and the truthfulness of information about wife and the negative motive of marriage among marriage background, all areas of couple's communication and marital conflict except marital relationship affected on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 녹차 및 결명자추출물이 mutans streptococci의 항균작용에 미치는 영향

        서정순 조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치아우식증에 관련된 mutans streptococci 표준균주 및 임상분리 균주의 성장억제를 유도할 수 있는 천연 생약추출물을 검색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녹차추출물은 CHMC-2032를 사용하였으며, 결명자 추출물은 50% 에탄올을 이용하여 얻었다. 이들 추출물의 mutans streptococci의 표준균주 및 임상 환자에서 분리한 각각 10 균주씩의 S. mutans 및 S. sobrinus에 대한 최소성장억제농도를 액체배지 희석법으로 구하였다. 그 결과, CHMC-2032에 대한 S. mutans 및 S. sobrinus의 표준균주, S. sobrinus의 대부분 임상 분리균주에 대한 최소성장억제농도는 5 mg/㎖이었다. 하지만 결명자 추출물에 의한 S. mutans 및 S. sobrinus에 대한 세균 성장 억제 효과는 미비하였다. 본 연구 결과 치아우식증의 예방적 측면에서 결명자차보다는 녹차를 마시는 것이 유리하다고 사료되며, CHMC-2032를 이용한 구강용액양치를 할 경우 교정환자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서 치아우식증 예방 효과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Mutans strepcocci is the major causative factor in dental caries. Especially, orthodontic patient with fixed appliance are dangerous group in dental caries. Because fixed appliance attached on teeth may make a change the environment of dental plaque, the enamel decalcification or dental carious around the bracket and band was the major secondary effect in orthodontic pati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natural extract that have antimicrobial effect on mutans streptococci. We prepared ethanol extract of Gasia tora and obtained CHMC-2032 (Camellia sinensis extract) from Dr. B.-R. Lee (Department of bicochemistry,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To test the animicrobical effect of these natural extract, 2 type strains and 20 clinical isolates of mutans streptococci were used in this study.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CHMC-2032 was 5 mg/㎖ on the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 S. sobrinus KCTC 3088, and 9 clinical isolates of S. mutans. However, the antibacterial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C. tora on mutans streptococci was neglective. Therefore, our data suggest that green tea is more effective than C. tora tee in prevention of dental caries.

      • 명상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정순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 인간이 사회생활을 독립적으로 영위해 나가기 위해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에 탈이 없고 심리사회적으로 평안하며 정신병리가 없는 상태를 정신이 건강하다고 하며, 정신건강의 조건은 자신, 타인 그리고 사회 환경에 대한 바른 이해와 수용을 바탕으로 사회적 기능 또는 역할 수행 여부와 자신의 감정이나 정서의 처리능력에 달려 있다고 한다. 과거에는 질병의 원인을 주로 세균설, 체질설로 설명하였으나 심인설(心印設)이 크게 대두되어, 현대인의 질병이 마음에서 비롯된 심인성이라는 주장이 점차 설득력을 얻어 가고 있다. 병원에서는 신체적으로나 생리적으로 아무런 이상이 없다고 하는데 본인은 온 몸이 아프다고 호소를 하는 사람들이 많다. 마음이 몸을 치는 것을 간과한 결과이다. 이렇게 심인성 질환으로 힘들어하는 현대인들에게 명상이 무엇인지, 어떤 명상이 있는지, 어디서 하는 명상이 본인에게 맞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하기에 본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명상과 정신건강에 대하여 설명하고 명상이 현대인들의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명상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스트레스 및 우울 감소, 자아존중감 향상, 자기통제력 및 주의 집중력 강화, 불안감소를 명상종류별로 제시하였다. 첫째, 명상은 스트레스 및 우울을 감소시킨다. 명상을 통하여 중년 여성과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화병, 불안, 우울 감소와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감소로 자신감을 회복하여 사회생활을 더욱 열정적으로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또한 중학생의 부모, 장애 아동 어머니, 유방암환자, 비만 여중생 등 특수한 대상들에게 명상의 효과성이 더욱 두드러지며, 부모, 친구, 교사 및 학교, 주변 환경에 관련된 스트레스 점수가 훨씬 낮아짐을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명상은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개인과 관련된 주위 환경까지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심리적인 건강이 증진됨을 볼 수 있기에 스트레스 및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명상이 효과적이라 할 것이다. 둘째, 명상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킨다. 아동, 청소년, 여대생, 교사들이 명상을 통하여 삶에 대한 여유를 가질 수 있고 긍정적이며 심리적인 건강이 증진됨을 볼 수 있기에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명상이 효과적이라 할 것이다. 셋째, 명상은 자기통제력 및 주의집중력을 강화시킨다. 명상을 통해서 안정성이나 인내성이 좋아지고 충동성 및 공격성이 낮아지는 것은 물론 학업태도도 좋아졌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어떤 대상을 의식적으로 집중하는 명상은 인간의 정신력을 통제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명상이 자기통제력 및 주의집중력을 강화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요즈음 학교에서 집중력, 인내력, 창의력, 책임감, 포용력 등이 부족한 학생들이 많다는 지적이 자주 나온다. 또한 학생들의 문제인 통제불능, 산만함, 참을성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제도적인 뒷받침 하에 학교에서 재량시간을 확보하여 명상 지도방안을 위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넷째, 명상은 불안을 감소시킨다. 노인, 고등학생, 신경증 환자, 만성통증환자에게 명상 프로그램 실행 후 명상을 통해 이루어지는 느린 호흡과 심신의 이완조절 반응은 불안 조절에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명상은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사람들의 심리적인 감정을 다루기 위한 기술이 아니라, 사람들의 삶을 더욱 건강하게 보낼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정신건강에 다가갈 수 있는 길은 바로 우리의 마음에 있으며, 명상을 통하여 마음과 생각을 다스릴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명상의 확산 및 보급을 통해 스트레스로 인한 심인성질환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의 질병을 치유하고 건강을 증진시켜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기를 희망한다.

      • 시판전통음료의 품질에 대한 기대와 만족에 관한 연구

        서정순 慶州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f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for the Quality of marketing traditional drink Seo, Jung sun Department of Hotel Food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Gyeongj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Lee, yeon jung) Abstract This study is part of work to investigate menu quality and satisfaction of marketing tradition drink systematically with user as the central figure who use tradition drink that is marketed. first of all, Readied model that is theoretical that execute theoretical systematic test by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marketing tradition drink user's marketing tradition drink proved through virtue study examination. Second, investigate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marketing tradition drink on the basis of this. Third, It is based on findings and theoretical frame to establish research task. Fourth, established hypothesis is appropriated by analyzing result of a survey. Actual proof investigation used sample of 320 chapter among questionnaire who is collected distributing 500 pieces of questionnaire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rea except some articles that are insincere or omissive. As the order analysis result by average of anticipatory attribute, ' circulation (3.97 points)', 'freshness (3.91 points)', 'hygiene (3.90 points)', 'taste (3.89 points)', 'wrapping (3.86 points)', 'health (3.84 points)', 'safety (3.75 points)' are important. However, presented low order in importance realization relatively in 'quantity (3.35 points)' and 'color (3.26 points)'. Also, satisfaction average of marketing tradition drink is researched by things which are satisfied about 'wrapping (3.27 points)', 'taste (3.26 points)', ' temperature (3.21 points)', 'circulation (3.20 points)', and 'season (3.18 points)'. But, we notice one thing which is not satisfied relatively in 'nutrition (2.95 points) and 'price (2.92 points)'. Importance - satisfaction analysis result,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keep 'taste', 'hygiene', 'freshness', 'the expiration date' and 'wrapping condition' and so on. And considered variable is, quantity, temperature, and seasonality that need improvement, and there is variable of package courage shape and so on. Also, there were nutrition, safety, health, and ingredients to items that need to do intensive care and operation. Therefore, if menu quality is improved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 that needs to improvement, it will rightly guide convenience industrialization of party of marketed tradition drink.

      • World Englishes: Korean EFL Teachers’ Attitudes and their Perceptions of Distinctive Grammatical Features

        서정순 아주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aims to find out how English teachers perceive World Englishes and the implications in Korean ELT, addressing four research questions: 1) what attitudes do Korean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have toward World Englishes? 2) do their backgrounds affect their attitudes toward World Englishes? 3) what are their perceptions of different grammatical features of World Englishes in terms of understanding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4) how their attitudes affect their perceptions?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participants of 110 secondary English teachers in Korea: 68 in-service and 42 pre-service teachers.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1) the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have rather positive attitudes toward World Englishes, 2) the teachers’ familiarity positively affect their attitudes toward different varieties of English, 3) the teachers’ perceptions of different grammatical features of World Englishes are somewhat positive, and 4) the teachers’ attitudes toward non-Standard English seem to be somewhat concerned with their perceptions of the different grammatical features. The teachers’ positive attitudes toward and perceptions of World Englishes suggest that non-Standard English can be accepted in international communication without causing much difficulty of understanding and also NNS English teachers may no longer be considered as inferior to NS English teachers. The findings also indicate that Korean ELT professionals should give their students opportunities to become familiar with World Englishes, so that they can prepare to be a successful intercultural speaker who is well aware of the differences among the varieties and who respects the differences.

      • 전쟁원인론과 한반도의 연계성 연구

        서정순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On the Korean Peninsula, distrust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s been accumulated for more than 60 years following the ceasefire due to the conflict of their systems, as well as their arms race. Furthermore, tensions and crisis have constantly been repeated. After North Korea's first round of the nuclear test in 2005 followed by its attack on the ROK Ship Cheonan in 2010; its artillery attack at a South Korean territory, Yeonp'yeong island; and its sixth round nuclear test in 2017, the tensions have been further escalated on the Korean Peninsula. The continuation of the deep distrust and tensions between the two sides has implied a possibility that a minor incident would lead to war. If a war breaks out, win or lose, all of our beloved family members would be perished, and the homes of our lives would become a heap of ashes. Lost in a war implies the collapse of the state. Furthermore, its people, who are the members of the state, would be divested of their inherited freedom and pursuit of happiness. Nevertheless, we, human beings, wage war. Because human beings are aware of the ravages of war, they have made efforts to prevent it as well. The main point of the efforts to prevent the war is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war. Accordingly, this study started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 war would be prevented if the cause of war had been identified, eliminated, and suppressed. Therefore, this study has defined the cause of war, as well as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various causes of war. In addition, by making an analysis of the situ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relationship, it has intended to establish deterrent option in order to prevent the potential factors leading to the war on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identify the cause of war, first of all, it is a precondition to identify the concept,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war. The concept of war had been variously defined by scholars with their perspectives. In this study, collecting the scholars' views, the writer has defined the war as a 'state of conflict, which all of the national powers, including military force, had been mobilized in order to achieve the state’s or the political group’s political objectives (or wills) against the enemy.' In accordance with the stated definition of war, the nature of war can be stated that it would fully utilize very inch of the nation’s powers into war, and that it would determine life and death for the nation, as a last resort to achieve the political goals in line with the politics. Because all necessary means, including military force, would be taken (tried) in a war, the war would accompany catastrophic human loss and physical damage. Also, it could pertain aunique characteristic, a continuation of uncertainty because everything regarding the war would be thoroughly concealed. Another characteristic of war is the fact that the war would always coexist with peace. This is because, while in a moment of war, plans for armistice and end of war would be sought. For same reason, efforts to prevent the war would be made even during the period of armistice. The period of peace could be defined as an extension of the ceasefire. In other words, the war could be defined as a halt to the time of peace. Then, why human beings wagea war even if they acknowledge that there would be a severe human loss and material damage, and that they themselves might become victims of war? In response to the question,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o answer this question. First, waging war is a part of human nature. The aggressive instinct of human beings could be disclosed outwardly only when it experienced frustration or felt a threat to their lives. Then, it might appear as an activity of war. Second, it has stemmed from the state itself. The war could be waged when the state's political system was challenged by its people; when the national interest was invaded or clashed with foreign state; and when the internal conflict of the state was occurred. Finally, it has bee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ecaus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a state of anarchy without a superior organization that has ability to control the international society, along with the sloga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the struggling group by all people and for people.' Applying the above-said cause of war to the Korean Peninsula, first of all, the lack legitimacy and inability of Kim, Jong-un's leadership and stated perspective on human nature would become atrigger to wage a war, because he has characteristics of belligerent, violent, and self-assertive. Secondly, the state, so-called North Korea, has problems in many areas, including one-party dictatorial system; policy-decision making by a small number of people without having a system of checks and balances; conflicts of national interest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North Korea's difficult economic situations; and Kim, Jong-un's political violence. And, such factors could serve as a trigger to war. Last cause of the break of war would be caus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uch as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as well as there appearance of traditionally powerful countries surrounding Korean Peninsula.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have posed a direct threat to the Republic of Korea, as well as to the United States. Because of the reappearance of the traditionally powerful countries, the competition for hegemony among the powerful countries has started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s well as the reappearance and competition of the traditionally powerful countries in Northeast Asia will endanger the stability and raise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the end, such circumstances could become a cause of war. Stated situations will be acted as potential and possible factors for war o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if we can remove or overcome such potential factors, th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ould be protected and maintained. Kim, Jong-un's nature cannot be subjected to change. Furthermore, there is a scarce chance that North Korea would abandon its nuclear development program. In other words, regarding these two factors as constants, not as variables, it is inevitable to establish profound and comprehensive plans in order not to let use such constants. However, keeping those factors as constants would be difficult. North Korea has been persisted continually due to North Korea's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Yet, all the productive talks had been still suspended. Therefore, it is paramount to encourage North Korea to participate in dialogues to eliminate or deter the potential factors of war o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inviting North Korea into dialogues would be a major hardship under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major powerful countries' theory of ‘ineffectiveness of dialogue’ has emerged. From the viewpoi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emergence of the concept must be prevented with all means available. However, we must not either beg for peace or buy peace with money, because, if we do, South Korea would be on the path to becoming an eternal hostage to North Korea. To maintain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South Korea should unite its wisdom, resources, and powers to focus on diplomacy toward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ith profound insights. Along with such effort, we should also make efforts to develop and establish a strategy for dealing with North Korea. Key Words : Concept,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war, Cause of war, North Korean nuclear weapon and ICBM, Potential elements of war and deterrence, Kim Jong un's personality, China's challenge on the US hegemony,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Korea 한반도는 60여년 이상 정전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체제대결과 군비경쟁은 불신을 축적시켜 왔으며, 긴장과 위기가 반복되고 있다. 특히 2005년 북한은 1차 핵실험 이후 2010년 천안함 피격사건과 연평도 포격도발 사건, 2017년 6차 핵실험을 자행하면서 한반도의 긴장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깊은 불신과 긴장의 연속은 사소한 사건으로 인해 전쟁으로 비화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전쟁이 일어나면 승패를 떠나 사랑하는 가족을 모두 잃을 수 있고, 삶의 터전이 송두리째 잿더미로 변할 수 있다. 전쟁에 패하면 물론 국가는 멸망하고, 국가의 구성원인 국민은 자유와 행복을 추구할 수 없다. 이러한 사실을 알면서도 인간들은 전쟁을 일으킨다. 전쟁의 참화를 알기 때문에 인간은 전쟁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해 왔다. 전쟁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의 핵심은 전쟁원인을 규명하는 것이었으며, 전쟁원인을 규명하여 제거하거나 억제하면 전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목적도 전쟁원인과 원인들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한반도 상황과 연계성을 분석하여 전쟁 잠재요인의 억제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쟁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전쟁의 개념과 본질, 속성에 대한 규명이 전제되어야 한다. 전쟁의 개념은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국가 또는 정치집단이 나의 의지를 적에게 관철시키거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력을 포함한 국가의 총력을 동원하여 충돌한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정의에 입각할 때 전쟁의 본질은 ‘정치의 연장선상에서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최후의 수단으로서 국가의 존망을 결정짓고, 국력이 총동원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전쟁은 무력을 포함한 모든 수단이 동원되기 때문에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동반하고, 전쟁에 관한 모든 것은 철저한 비밀을 유지하기 때문에 불확실성의 연속이라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전쟁의 또 다른 속성은 전쟁은 항상 평화와 공존한다는 것이다. 전쟁 중에도 정전과 종전 방안을 모색하게 되고, 정전 시에는 전쟁을 예방하는 노력을 하기 때문이다. 평화시기는 정전의 연장에 지나지 않으며, 전쟁은 평화시기의 정지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인간은 왜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가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자기가 죽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전쟁을 하게 되는 것인가? 이에 대한 해답은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인간 본성에서 기인하는 문제로 인간의 공격적인 본능이 좌절을 겪거나 위협을 느낄 때 이 본능이 외부로 표출되며, 이것이 전쟁이라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국가 자체에서 비롯되는 원인으로 국가의 정치체제나 상대국과 국가이익이 충돌하거나 침해를 받았을 때, 또는 국가 내부의 문제 등으로 전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제사회의 특성에서 비롯되는 원인으로 국제사회는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이라는 자연상태와 같이 국제사회를 통제할 수 있는 상위기구가 없는 무정부상태이기 때문이다. 전쟁의 원인을 한반도에 적용해 보면 첫째, 인간 본성적인 측면에서 김정은의 호전적이고, 폭력적이며, 독선적인 성격, 정당성과 능력을 인정받지 못한 리더십 등이 좌절을 겪을 때 전쟁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점이다. 둘째, 북한이라는 국가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으로 북한의 일당독재 체제와 견제와 균형 기능이 없는 소수에 의한 정책결정체제, 남북한 간 국가이익의 충돌, 북한의 경제난과 김정은의 폭력정치에서 기인하는 주민 불만 가중 등이 전쟁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국제사회의 특성에서 기인하는 원인으로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따른 문제와 한반도 주변의 전통적 강자들의 복귀에 따른 문제이다. 북한의 핵무기는 대한민국을 비롯한 미국 등에 직접적인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전통적 강자들의 복귀에 따라 패권경쟁과 함께 세력전이 시도를 예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의 핵무기와 동북아 전통적 강자들의 패권 경쟁은 한반도의 안정을 저해하고 긴장을 고조시키며, 종국에는 전쟁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요인들을 제거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면 한반도의 평화는 지속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김정은의 본성을 변화시킬 수 없고,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즉 이 두 가지 상황을 변수가 아닌 상수로 보고 상수가 작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쉽지는 않을 것이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로 인해 국제사회의 제재와 압력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남북한 대화는 물론 북미, 북중 간에도 생산적인 대화가 단절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반도에서 전쟁 잠재요인을 제거하거나 억제하기 위하여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는 것이 급선무일 것이다. 주요 강대국에서 대화무용론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쉽지 않은 길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입장에서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라도 전쟁은 막아야 한다. 그렇다고 구걸하는 평화는 안되며, 돈을 주고 사는 평화는 더욱 안된다. 이것은 영원한 인질의 길이기 때문이다.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대미·대중 외교와 대 북한 전략에서 혜안을 가지고 지혜를 결집시켜야 할 것이다. 핵심 용어 : 전쟁의 개념·본질·속성, 전쟁원인, 북한의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전쟁 잠재요인 및 억제, 김정은의 성격, 미중의 패권경쟁, 한미관계

      • 전통주 제조법에 따라 제조한 머루(Vitis coignetiae) 약주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서정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통주법에 따라 제조한 머루(Vitis coignetiae)약주의 품질 특성을 밝히기 위해 멥쌀, 찹쌀, 조, 보리의 4종류의 전분질 원료로 머루 약주를 제조하였다. 품질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멥쌀로 빚은 머루 약주가 가장 우수하였으므로 멥쌀을 전분 원료로 하고 머루 첨가량을 달리한 머루 약주의 품질 특성과 생리기능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곡물을 달리하여 제조한 머루(Vitis cognetiae) 약주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기간에 따른 환원당과 총당은 발효 2일째까지 급격히 감소하다가 발효 3일째에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담금 5일째까지 다시 급격히 감소하였는데 그 이후부터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발효기간에 따른 pH의 변화는 2일째 감소한 후, 3일째 약간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발효기간에 따른 총산은 pH와는 달리 2일째에 증가하다가 3일째에는 감소한 후, 이후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발효기간에 따른 알코올 함량변화는 2일째에는 찹쌀첨가구 멥쌀과 조첨가구, 보리첨가구의 순서로 증가한 후, 3일째에 약간 감소하였다. 이후 5일째에는 찹쌀, 멥쌀, 보리, 조첨가구의 순으로 나나났으며, 이후 20일까지 찹쌀첨가구의 알코올 함량은 계속해서 증가하였으나 그 밖의 첨가구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발효기간에 따른 α-, β-amylase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α-amylase의 활성도는 담금일에 시료간 차이없이 2일째에는 감소하였으며 3일째에는 다소 증가하였다. 그러나 담금 5일째에는 감소하였고, 20일째에는 찹쌀, 멥쌀, 보리, 조첨가구의 순으로 발효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β-amylase의 활성도는 담금 2일째에 급격히 감소한 후 3일째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5일째까지 다시 급격히 감소한 후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 이후 이와 같이 α-, β-amylase 모두 담금일의 활성도가 가장 높았고, 이후 감소하다가 3일째에 증가한 후 5일때부터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환원당과 총당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담금 3일째의 높은 효소활성도로 인해 3일째의 환원당 및 총당량도 전 발효기간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효기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는 L값(Lightness)의 경우 담금일에는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 없이 발효기간 중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이후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담금 20일째 멥쌀과 찹쌀첨가구는 보리와 조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a값(redness)도 담금일에 가장 높았는데, 멥쌀과 찹쌀첨가구가 보리와 조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담금 2일째에 a값(redness)은 감소하였으나 3일째에는 증가한 후, 이후 20일째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b값(yellowness)은 담금일에 값이 가장 낮았으나, 이후 증가하여 담금 3일째에는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담금 5일째 다소 감소하다가 20일째까지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한편 20일째 멥쌀과 찹쌀첨가구의 색도는 보리와 조첨가구보다 황색도가 적색도보다 강한 경향이었다. 멥쌀, 찹쌀, 보리, 조의 곡물을 달리하여 제조한 머루약주의 색, 향, 맛, 종합적 기호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색의 선호도는 멥쌀, 조, 찹쌀, 보리첨가구의 순으로, 향의 선호도는 멥쌀, 찹쌀, 조, 보리첨가구의 순으로, 맛의 선호도는 멥쌀, 조, 보리, 찹쌀첨가구의 순으로 선호되었다. 종합적 선호도는 색, 향, 맛에서 가장 선호된 것은 멥쌀이었으며, 색과 맛에서는 멥쌀, 조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멥쌀과 찹쌀첨가구는 황색도가 높았고 보리와 조첨가구는 적색도가 높았다. 따라서 환원당, 총당, pH, 산도, 색도 등을 고려해 보면 멥쌀첨가구는 단맛과 신맛은 강하지 않고 알코올 함량도 높지 않아 맛이 부드러워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머루첨가량이 머루약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기간에 따른 환원당의 변화는 2일째 다소 감소하다 3일째 급격히 증가, 5일째 급격하게 감소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대조구는 0일째가 가장 낮았으나 머루 첨가구와 마찬가지로 3일째 급속히 증가하다 5일째 큰 폭으로 감소한 후, 나머지 발효기간 중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첨가구보다 항상 가장 높은 환원당 함량을 유지하였다. 발효기간에 따른 총당의 변화는 3일째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로는 완만한 감소경향을 보여주었으며 대조구는 0일째 가장 낮았으나 3일째 급격히 증가하여 5일째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발효기간 중 총산 함량의 변화는 발효 5일째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여 발효 10일, 20일에는 40%까지 산도가 증가하였다. 총 anthocyanin 함량과 color intensity는 2일째까지 거의 변화가 없다가 3일째 급격하게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조구는 발효기간의 경과에 따른 antocyanin 함량 및 color intensity의 변화가 없었다. 머루약주의 발효기간에 따른 총 polyphenol 함량의 변화는 3일째를 지나면서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조구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알코올 함량의 변화는 담금일에는 알코올이 생성되지 않았으나, 담금 5일째까지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10일째까지 상승하다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대조구는 3일째 급속히 증가하여 발효 기간동안 항상 높았고 10일째는 알콜함량이 20%까지 도달하였다. β-amylase 활성은 전반적으로 머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대조구의 경우 β-amylase 활성이 0일에는 가장 낮았으나 3일째부터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후, 전 발효 기간 동안 가장 높았다. 관능검사의 결과에 있어서 자색도는 400 g 첨가구, 300 g 첨가구, 200 g 첨가구, 100 g 첨가구, 대조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포도향은 200 g 첨가구, 400 g 첨가구, 300 g 첨가구, 100 g 첨가구, 대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과일향은 400 g 첨가구, 200 g 첨가구, 300 g 첨가구, 100 g 첨가구, 대조구의 순이었다. 신맛은 400 g 첨가구, 200 g 첨가구, 300 g 첨가구, 100 g 첨가구, 대조구의 순이었으며, 떫은맛은 300 g 첨가구, 400 g 첨가구, 100 g 첨가구, 200 g 첨가구, 대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호도 검사의 결과, 색에 대한 기호도는 200 g 첨가구, 300 g 첨가구, 400 g 첨가구, 100 g 첨가구, 대조구의 순으로 높았고, 맛의 기호도는 200 g 첨가구, 400 g 첨가구, 300 g 첨가구, 100 g 첨가구, 대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향의 기호도는 200 g 첨가구, 300 g 첨가구, 100 g 첨가구, 대조구의 순으로 높았다. 종합적인 기호도는 200 g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3. 머루 첨가량이 다른 머루 약주의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종 시료의 휘발성 향기 성분으로는 3-methyl butanol(isoamyl alcohol)과 phenyl ethyl alcohol 등 alcohol류 5종, ethyl acetate 등 ester류 9종, benzene acetic acid 등 acid류 7종, 3-methyl pentane 등 hydrocarbon류 5종, dihydroxy-5-pentyl-2(3)-furanone 등 ketonen 2종, 2, 3-dihydroxyben-zofuran 등 기타 화합물 7종으로 총 35종의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향기 성분의 양은 100 g 첨가구의 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lcohol 성분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100 g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Ester양은 200 g, 300 g, 400 g, 100 g 첨가구, 대조구의 순으로 나왔으며, 전반적으로 머루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다. Acid는 머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4. 머루 첨가량이 머루 약주의 생리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머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성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발효기간에 따라 3~5일에서는 활성이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측정 결과, 머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억제효과도 증가하였으며, 발효기간에 따라 그 활성이 서서히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 3.0에서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비교한 결과, 머루 약주는 모두 90% 이상의 매우 높은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작용은 모든 시료에서 80% 이상의 매우 높은 tyrosinase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머루 및 머루주는 미백화장품 등의 소재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소판 응집 저해활성 측정 결과는 머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혈소판 응집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멥쌀에 머루를 첨가하여 발효시키면 resveratrol과 anthocy- anin 등 생리활성이 우수한 polyphenol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머루 약주를 생산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황산화 활성, tyrosinase 저해작용, 아질산염 소거작용 등의 생리활성시험에서 첨가량을 달리한 처리구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대조구에 비하여는 한결같이 매우 높은 기능성을 나타내었다. 관능시험 결과, 200 g 첨가구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으므로 덧술용 멥쌀 400 g당 머루 200 g을 첨가하여 기능성 머루 약주를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