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일 문학 작품에 나타난 애정구현의 양상과 의미 : <春香傳>, <西廂記>, <曾根崎心中>를 중심으로

        서은선 강남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에서는 한국문학 연구 방법론 모색의 일환으로 한국의 <春香傳>, 중국의 <西廂記>, 일본의 <曾根崎心中>의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 ‘애정’이라는 테마는 인간의 근원적인 욕망과 의식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한중일 비교 논의에 시사하는 의미가 크다. Ⅱ장에서는 세 작품의 창작 배경, 서사구조, 등장인물을 비교하였다. Ⅲ장에서는 남녀 주인공의 애정에 대한 인식과 태도, 사회적 금기가 애정을 강화하는 지점, 갖가지 시련에 직면한 인물들이 애정을 구축하여 성취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Ⅳ장에서는 ‘청춘 남녀의 사랑’이라는 주제 이면에 민중의식 표출, 사회비판 의지, 변화하는 의식이라는 시대정신이 내재되어 있음을 추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세 작품에 나타난 애정 구현의 양상과 의미에 대하여 규명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춘향의 애정은 이몽룡에 대한 순수한 애정을 바탕으로 신분상승이라는 욕망을 동반하는데, 기생의 딸이라는 신분은 욕망을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적극적인 태도로 연애를 주도하며 애정을 구축한 결과 사랑을 완성할 수 있었다. 철없고 호기심 많은 양반가의 자제였던 이몽룡은 사랑의 경험을 통해 민중에 대한 각성을 하며 민중의 구원자로 변모한다. <春香傳>에서 성춘향이 불가능한 사랑을 성취하며, 변학도가 철저하게 응징당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그 안에 민중 의식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둘째, 최앵앵은 내면에 장공에 대한 연모를 품고 있으면서도 겉으로는 반대의 행동을 하며 사랑에 이중적인 태도를 보인다. 이는 성춘향과 달리 봉건적 가치관에 속박되어 성장한 가정환경의 영향에서 기인한 것이다. 어머니의 보수적인 교육관은 최앵앵에게 자유연애를 더욱 갈망하게 하는 한편, 장공을 향한 애정에 특별함을 부여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장공은 변함없는 사랑의 의지로 일관하며 시련을 극복하려 하지만 계속되는 고난에 절망한다. 위기에 빠진 주인공을 돕는 것은 주변인물들이다. 원작 <鶯鶯傳>과는 달리 적극적인 조력자형 인물들이 등장하고, 장공의 남성 중심적인 태도가 바뀌며, 급기야 결말부까지 정반대로 달라지는 것은 변화하는 시대상에 따른 독자의식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셋째, <春香傳>과 <西廂記>는 애정을 성취하는 것으로 끝나지만, <曾根崎心中>는 두 연인의 죽음으로 결말을 맺는다. ‘사랑을 하다 방법이 없으면 죽으면 그 뿐’이라는 오하쓰의 의식은 작품 곳곳에 나타난다. 유녀라는 신분은 자유를 더욱 갈망하게 하며, 도쿠베와의 사랑은 답답한 현실에 탈출구로 작용한다. 도쿠베는 성실하고 인정이 많은 젊은이지만, 문제 해결 방법에 있어서는 침착함이 결여된 모습을 보인다. 죽음 이외에 더 이상 택할 것이 없는 처지에 이르자 心中를 감행하는데, 이는 근세 일본인들의 死生觀을 반영한 것이다. 또, ‘도쿠베’의 결백을 입증하고 내세에서의 삶을 기원하는 애정성취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힘없고 가녀린 두 연인의 죽음이라는 결말은 폐쇄적인 사회 구조가 양산한 맹목적인 의리 관계와 금전문제의 폐해를 고발함으로써 당대 일본 사회에 대한 비판 의식을 반영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정에 대한 인식, 갈등 해결의 양상, 시련 극복의 태도 등을 통해 한중일 사회의 애정관과 문화적 통념을 엿볼 수 있었다. 둘째, 한중일의 비교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라는 하나의 문화권 안에서 <春香傳>의 위상을 확인함으로써 한국 문학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셋째, <春香傳>과 <西廂記>, <曾根崎心中>의 비교연구가 지금까지 시도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추후 관련 연구에 의미 있는 기초 자료가 되리라 기대한다. This research thesis attempted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hree love stories in Korea, China and Japan, titled <ChoonHyangJeon>, <Seosanggi>, and <Love Suicide at Sonezaki>, as part of a bid to study about Korean literature. Here, the common theme of ‘Love’ offers a great insight to discuss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each story adopted in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sense that this theme reflects human beings’ fundamental desires and consciousness structure. Chapter II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ackground of the story introduction, narrative structure and characters of the three novels. Chapter III explores the awareness and attitude that each male and female main character has, along with the climax that each two lover shares stronger love, in the face of an obstacle, namely, social taboo to interrupt love between the two people. Also, this chapter examines how the main characters begin to develop and establish their love relationship, amid a lot of ordeals. Chapter IV identifies the theme of ‘love between young man and woman’ mirrors the public sentiment, the willingness to express social absurdity, and the changing social trend required in the specific times. Based on the analytic research study on the three stories, this research thesis presented the pattern and significance of love stage appearing in the three works. This is as follows. First, the love that ChoonHyang as the status of obscure Giseng or intellectual bar hostess shows to Mongryeong Lee, a noble man, implies her desire to get a higher status. To put it in another way, her status as the daughter of Giseng or intellectual bar hostess prompts the female character to cherish a strong desire for this higher status. The story of <Choon HyangJeon>portrays how ChoonHyang shows her active attitude to have her romantic affair with the noble man, and how she can complete the love relationship with him. Born as a son of an aristocrat family, LeeMongryeong has an immature and inquisitive personality, in nature, but he renders as man to have an awakening sense of ordinary average people and salvage those people, as he falls in love with a woman having an obscure status. This story reflects the public awareness through the female main character, ChoonHyang, who achieves her love impossible to get, and, an assistant male character, ByunHakdo, a bad villain, and Sato or Provincial Magistrate, who gives ChoonHyang a very severe torture and attempts to kill her, in the response of her refusal to serve him in bed, but, pays a dear price for his bad deed, at last. Second, ChoiAieangaeing, the female main character, in <Seosanggi>has a sense of love toward Janggong, the male main character, but she tries not to show her feeling, pretending that she doesn’t care for him, at all. In other words, she shows a double attitude for her viewpoints of love. Such attitude is originated from the feudalistic viewpoints- oriented family background where she was born and raised, different from the family circumstances under which ChoonHyang was grown up. The conservative view of education that her mother deeply instills her leads her to have a greater desire for free romantic affair. Such view offers her extraordinary love factor to Janggong. The male main character attempts to overcome much ordeal by showing his faithful attitude for love toward Aieangaeing. However, he yields to ceaseless sufferings and sinks into despair, in the long run. In this story, numerous people surrounding the two male and female characters are described as those who help the two main characters in crisis. Unlike <The Story of Aieangaeing>, the original title, this story of <Seosanggi> describes active assistant characters. Here, Janggong, the male main character, becomes gradually changed as a man to prefer a male-dominated tendency. Eventually, the end of this story draws the conclusions entirely different from the story covered in the beginning of story. These developments demonstrate readers’ general awareness in accordance with changing times. Lastly, <Love Suicide at Sonezaki> ends with the death of the two lovers, while, the above-mentioned two Korean and Chinese stories ends with the love that two main characters accomplish. The conscious structure that Ohath, the female character, has as to viewpoints of love is summarized in a word, as “All that someone who can never accomplish love can do is to die.” Such belief that she has is described in all parts of this story. Her status as Yunya or Prostitute facilitates her to have a greater aspiration for freedom. Her love with the Dokubei, the male main character, serves her as a catalyst to escape from her rigid reality. He is a hardworking and compassionate young person. But, he lacks his ability to solve any given problems in a calm attitude. As the two lovers lead to a conclusion that they have no choice but to die, they attempt to put their thought of suicide into practice, in the end. This evidences plainly the view of life and death that Japanese people have. Also, their attitude can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view of love to intend to accomplish their love by verifying his ‘innocence’ and praying for a comfortable life in following world after their death. The end of this story that the weak and feeble two lovers choose to die discloses explicitly that the blind loyalty relationship and financial matter in connection with the Japanese closed-door social structure cause a tremendous side effects. This creates the critical awareness of the Japanese society.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thesis is insightful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the research and study on the three stories clarifies the viewpoints of love and cultural practice that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ociety has, based on the awareness of love, and conflicts-coping methods, and ordeal-overcoming attitudes. Second, this thesis identifies the status that <ChoonHyangJeon> secu

      • 증식성당뇨망막병증에 대한 은나노 입자(Silver nanoparticle)의 혈관생성 저해효과

        서은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당뇨망막병증은 성인 실명의 원인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발생기전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았다. 최근 혈관내피성장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나 분자수준에서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증식성당뇨망막병증에서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에 의한 신생혈관에 있어서 내인성 억제제로 알려져 있는 PEDF (pigment epithelium-derived factor)와 최근 생물학적 유용성이 알려진 은나노 입자의 작용기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인간망막혈관내피세포주(Human retinal endothelial cell)에 VEGF를 처리하여 세포 증식을 유도하면서 PEDF와 은나노 입자의 세포증식 저해율을 평가하기 위해 각 농도별로 24 시간 동안 처리하여 MTT assay를 시행한 결과 VEGF는 농도 의존적으로 망막혈관내피세포를 증식시켰고, PEDF와 은나노 입자는 망막혈관내피세포의 생존력을 감소시켰다. VEGF에 의해 증식된 망막혈관내피세포에 PEDF와 은나노 입자를 동시에 처리하였을 경우 VEGF 50 ng/㎖와 PEDF 10 nM를 동시에 처리한 군에서는 111% 세포 증식을 억제, VEGF 50 ng/㎖와 은나노 입자를 100 nM를 동시에 처리 시 71%의 세포증식 저해를 나타내었다. 형태학적 연구에서도 VEGF에 의해 증식된 세포에 대한 PEDF와 은나노 입자의 항신생혈관활성을 확인하였다. PEDF와 은나노 입자에 대한 VEGF에 의하여 유도된 세포증식 억제능을 caspase-3 활성도 및 DNA 절편화 방법을 통하여 측정한 결과 PEDF와 은나노 입자를 VEGF와 동시 처리한 군이 VEGF만 단독으로 처리한 군에 비해 caspase-3 활성도 및 DNA 절편화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VEGF에 의해 유도된 신생혈관생성 억제 효과를 cell migration assay와 맥관 형성의 상태를 tube formation으로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VEGF는 인간망막혈관내피세포에서 신생혈관으로 발생을 유도하였으며, PEDF와 은나노 입자는 세포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처리농도에서 인간망막혈관내피세포 이동력을 저해하고, 맥관 형성을 저해 하였다. VEGF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내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단백질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PEDF와 은나노 입자는 VEGF에 의해 유발된 Src의 인산화를 감소시키고, PI3K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AKT의 인산화를 저해하였다. 따라서 VEGF에 의해 인간망막혈관내피세포에 신생혈관을 형성하는데 있어 Src, PI3K, AKT의 신호 전달 경로를 PEDF나 은나노 입자가 저해함으로서 신생혈관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VEGF에 각각 PEDF, 은나노 입자, 항암제인 택솔을 동시에 처리한 matrigel과 대조군으로 VEGF만 처리한 matrigel을 마우스 복강에 삽입한 다음 1주 후에 다시 꺼내어 확인한 결과 VEGF만 단독 처리 한 군보다는 PEDF와 은나노 입자가 처리된 군에서 혈관형성이 현저히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동물 모델에서 스트렙토조토신을 투여하여 당뇨를 유발시킨 후, 우안에는 식염수를 좌안에는 은나노 입자 50 nM를 하루 3회 2주간 점안하여 Hematoxylin-Eosin 염색을 통한 형태학적 관찰한 결과 은나노 입자를 점안한 좌안에는 신생혈관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PEDF와 은나노 입자는 고혈당에 의해 유발되는 인간망막혈관내피세포의 증식, 이동, 맥관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이러한 효과는 VEGF에 의해 유발되는 Src, PI3K, AKT와 같은 신호전달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서 일어나는 것 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은나노 입자는 경제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 하므로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다.

      • 조선시대 가족서사 문학 연구 : 가족갈등과 인물유형을 중심으로

        서은선 강남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自古以来,以家族的历史、矛盾与和睦、悲剧等作为主要素材的作品以各种体裁为载体大量涌现。家族叙事文学描写了时代现状以及时代中人的生活,丰富了韩国文学史。自韩国文学研究初始期开始,研究者们就开始注重家族叙事文学的研究,因此出现了诸多高质量的研究成果。尽管如此,统合各种体裁的综合性家族叙事文学研究较为罕见,本文以此为切入点展开了论述。 本研究中最为瞩目的资料为文献故事与古典小说。文献故事与古典小说以多种视角聚焦于该时代的家族矛盾,以多种方式将家族矛盾具体化,从而实现文学作品与社会现实的关联,也令朝鲜时代家族叙事文学更加多样化。家族叙事文学研究着重于作品与现实的关联性,因此,本文又关注了《朝鲜王朝实录》这一历史记录。本文从历史记录入手,欲破解朝鲜时代家族叙事文学与该时代的社会现实有着怎样的联系。 在分析过《朝鲜王朝实录》、文献故事、古典小说中涉及的家族矛盾与人物类型后可知,这三种资料虽然写于同一时代,但它们以不同的视角表现了家族的矛盾。《朝鲜王朝实录》是朝廷对历史事件的官方记载,是以当权者视角来记述的记录。而成书于朝鲜后期的文献故事集,其编写者主要是上层士大夫。加之古典小说的读者主要是女性。因此这三种资料中所涉及的家族矛盾和人物类型各有不同。 本研究的意义如下。第一,本文分析了记载有朝鲜时代家族矛盾的《朝鲜王朝实录》,将这一详细资料与文学作品进行比较后,凸显了传统社会的家族观及文化视角下的价值观。第二,本文将家族矛盾置放于该时代的社会政治要件下进行解析,将研究对象从古典小说扩展到《朝鲜王朝实录》、文献故事等,为今后叙事文学研究展示了新的方向。第三,在现有文学史中,古典小说被放置于‘家庭小说’、‘家门小说’等范围内,而本文中将古典小说放在了‘家族叙事文学’这一大范围内,确立了家族叙事文学研究能够与口传文学、诗歌文学、近现代文学等相提并论的可能性。第四,《朝鲜王朝实录》中不仅记载了家族之间的暴力、杀害、诉讼等相关的矛盾事例,也记载了对这些纠纷的惩戒,以及为奖励家族和睦而发布的表彰等国家政策。通过分析这些文学作品中出现的家族问题,可以预知家族成员之间的矛盾。因此,本文对《朝鲜王朝实录》与文献故事、古典小说的关注,是一种从人文学角度下对家族问题的解析。希望本文能够对现代社会中家族问题解决方案的制定有所帮助。 Since ancient times, there have been a lot of works in various genres based on family histories, conflicts and peace, and tragedies. Family narrative literature depicts the era and human life of the era, enrichi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rom the initial period of Korean literary studies, researchers have paid attention to family narrative literature and made many achievements of high quality. Even so, little study is on family narrative literature of different genres as a whole, which is the breakthrough point of this paper. The most important materials of the research are documentary stories and old Korean Novel, which focus on family conflicts of the era in multiple perspectives, specify them in multiple ways, and thus connect literary works with social reality, as well as diversify the family narrative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studies on family narrative literature emphasize the relevance between works and reality, this paper also put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nto consideration as a historical record for a start, trying to crack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narrative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social reality of the era. After analyzing the family conflicts and character types involved in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documentary stories and old Korean Novel, we know that although the three kinds of materials were written in the same era, they still reflect family conflicts in different perspective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s the official record of historical events by the royal court as potentates. Documentary stories were writt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upper scholar-officials, while the readers of old Korean Novel were mainly females. Therefore, the family conflicts and character types in the three kinds of materials are all different.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is paper analyze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records the family conflicts in Joseon Dynasty, and compares the details with literary works, highlighting the family concept in traditional society and values in cultural perspective. Second, this paper analyzes family conflicts in the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in the era, and expands research targets from old Korean Novel to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documentary stories, providing new directions for narrative literature studies in the future. Third, old Korean Novel are classified into family novels in existing literature history, while in this paper they are put into the wide range of family narrative literature, so that the possibility can be identified for family narrative literature being comparable with oral literature, poetry and modern literature. Fourth,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records not only the conflicts between families like violence, murder and lawsuits, but also state policies including punishment for the conflicts and commendation for peace between families. Conflicts between family members can be foreseen by analyzing the family issues in these literary works. Therefore, the attention of this paper to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documentary stories and old Korean Novel is the analysis of family issues from humanity studies’ angle. Hopefully this paper can be of some help to the solutions of family issues in modern society. 가족의 역사, 갈등과 화합, 비극 등을 중심 소재로 한 작품은 고대로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장르에서 폭넓게 나타난다. 가족서사 문학은 시대의 상황과 당대인들의 삶을 적극적으로 담아내며 한국문학사의 지평을 확장하였다. 또한 가족서사 문학 연구는 한국문학 연구 초창기부터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왔으며, 양적ㆍ질적 측면에서 연구 성과가 상당히 축적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르 간의 통합적 연구가 미진함에 문제를 제기하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 연구에서 특히 주목한 자료는 문헌설화와 고소설이다. 문헌설화와 고소설에서 당대의 가족갈등을 어떠한 시각으로 포착했는지, 가족갈등이 작품을 통해 어떻게 구체화되어 나타나는지를 사회 현실과 관련지어 살핌으로써 조선시대 가족서사 문학을 조명하였다. 또 가족서사 문학 연구에서 중요한 점이 작품과 현실의 관계라는 점에서 역사적 기록물인 ��조선왕조실록��에 주목하여 조선시대 가족서사 문학이 당대 현실과 어떠한 관련을 갖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선왕조실록��, 문헌설화, 고소설에 나타난 가족갈등과 인물유형을 분석한 결과 세 자료가 동시대에 이루어진 것임에도 불구하고 가족갈등의 양상과 갈등에 대한 시각이 각각 다르게 표출됨을 확인하였다. 조정에서 공론화된 역사적 사건의 기록인 ��조선왕조실록��은 위정자의 시각에서 서술한 기록물이다. 또 조선후기에 편찬된 문헌설화집은 편찬자가 주로 상층사대부라는 점에서, 고소설은 주향유층이 여성이라는 점에서 가족갈등과 인물유형이 각각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 논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가족갈등의 구체적인 자료를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문학작품과 비교함으로써 전통 사회의 가족관과 문화적 가치관을 엿볼 수 있었다. 둘째, 가족 갈등이 당대의 사회적ㆍ정치적 여건 속에서 야기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연구 대상을 고소설 외에 ��조선왕조실록��, 문헌설화까지 확대하여 논의함으로써 향후 서사문학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기존 문학사에서 ‘가정소설’, ‘가문소설’ 등의 범주에서 다루어진 고소설을 ‘가족서사’ 문학의 범주로 확대하여 논의함으로써, 추후 가족서사 문학 연구를 구비문학, 시가문학, 근ㆍ현대문학 등과 연계하여 논의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조선왕조실록��에는 가족 간의 폭력, 살해, 송사와 같은 갈등 사례와 이에 대한 처벌뿐 아니라 정려, 표창과 같은 가족 화합을 장려하기 위한 국가의 정책과 관련한 기사도 기록되어 있다. 또한 문학작품에 나타나는 가족의 문제를 통해서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을 조망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왕조실록��과 문헌설화, 고소설에 주목하여 논의를 전개한 것은 인문학적 측면에서 가족의 문제를 살핌으로써 현 사회의 가족 문제 해결의 방안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초기 성인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이 자녀의 부모화에 미치는 영향 :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서은선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아분화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충청권 및 대전광역시 소재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6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는 성별과 부모의 결혼 상태, 출생순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기 성인기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자아분화 및 부모화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갈등과 자아분화, 자아분화와 부모화 간에는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부부갈등과 부모화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기 성인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이 자녀의 부모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분화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부모화 경험으로 인해 여러 심리적 부적응을 겪는 초기 성인기 자녀들이 더 건강한 독립된 개체로서 생활할 수 있도록 자아분화 향상을 위한 개입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of parents on parentification perceived by early adults and to verify whether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364 university students in Chungcheong Province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parental marital status, and birth order. Second, the correlations of all major variab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 that self-differentia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early adults on the parentification of early adults. It suggested interventions to improve self-differentiation so that early adults who suffer from various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due to parentification experiences could live as healthier independent individuals.

      • 대학박물관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관람객 조사를 통하여

        서은선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지도의 역할은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연상시켜 친숙도와 호감도를 쌓아가게 한다. 그러한 행동은 그 대상뿐만 아니라 그 대상과 관련된 부산물까지 연관되어 향후 긍정적인 평가나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이러한 인지도의 역할로 인하여 여러 분야에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특히, 기업들의 경우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우리고 있으며 최근에는 문화예술 활동을 통한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대학 또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현재 진행하는 광고활동 외에도 기업과 같이 문화예술 활동을 통한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대학박물관을 이용하여 문화적 요구가 큰 현재 사회구성원에게 인지도를 이끌어 대학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문화예술지원활동과 기업의 이미지 제고나 인지도 상승 등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사례를 통해 대학 경쟁력강화를 위한 대학박물관의 필요성을 도출해 보고, 선행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하여 찾은 대학박물관 인지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대학에 소속되지 않은 일반관람객의 경우 대학박물관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대학박물관에 관한인지가 아직 덜 이루어져있는 상태로 해석되어진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박물관’이라는 곳은 문화적이고 교육적인 장소라는 생각이 정착되어 있기 때문에 대학박물관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한다면 쉽게 인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대학박물관의 활발한 홍보활동, 지역사회를 위한 배려, 장기적인 전시 및 프로그램 진행과 함께 대학 부속기관으로서 대학 특성을 고려한 운영 등으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요약한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연구에서는 대학박물관의 필요성과 역할 등을 바탕으로 대학의 경쟁력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학박물관의 활성화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단순한 대학박물관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치열한 경쟁 속에 자리 잡고 있는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 사서의 직무만족요인과 직무성과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서은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서관은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하나의 서비스 조직체이다. 이와 같은 서비스 중심의 조직에서는 서비스 접점에서 이용자와 접촉하는 각각의 사서가 도서관의 대표자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사서가 제공하는 서비스 수준은 이용자의 만족수준, 충성도, 도서관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즉, 영리를 추구하는 일반적인 기업조직과 달리 도서관은 사서라는 인적자원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만족과 충성도라는 성과를 획득 한다. 이와 같이 도서관의 성과가 내부 인적자원에서 기인되는 바가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인적자원의 긍정적 직무만족은 도서관 경영 차원에서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그 동안 문헌정보학 분야에서는 사서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하지만 이 연구들은 여러 관종(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학교도서관, 정부투자기관인 공사와 공단의 도서실 등) 중에 하나의 도서관 관종의 사서에만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었으며, 관종간의 사서 직무만족도를 비교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에 집중되어 있으며, 직무만족이 사서 및 도서관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찾기 어려워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관종을 구분하여 사서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직무만족과 관련이 있는 요소를 파악하고, 각 요소가 어떻게 직무성과와 관련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 연구로 도서관별 특성을 고려하고 다양한 경력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실제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지각하는 직무만족요인과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연구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Herzberg의 이론과 심층면담결과를 종합하여, 직무만족도 요인을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으로, 직무성과를 맥락수행요인과 과업수행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문문항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는 도서관의 설립주체, 운영형태 등을 고려하여 관종을 교육청직속도서관, 지자체직영도서관, 지자체위탁도서관, 대학도서관인 네 가지 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관종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 기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의 직무만족도 요인과 직무성과도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도 요인은 6개의 동기요인과 6개의 위생요인이, 직무성과도 요인은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각 요인은 동기요인이 자아실현, 직무자체, 책임감, 승진이며, 위생요인은 상사, 작업조건, 보수, 동료, 조직수준, 안정성, 직무성과도 요인이 맥락수행성과, 과업수행성과이다. 둘째, 관종에 따른 사서의 직무만족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동기요인의 자아실현, 직무자체, 승진요인과 위생요인의 상사, 보수, 작업조건, 안정성요인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사서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요인점수를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사, 보수, 조직수준은 각각 다른 모든 요인들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찾아보기 힘들었으며, 자아실현과 작업조건 간, 직무자체와 동료 간, 승진과 안정성 간, 동료와 작업조건 간, 동료와 안정성 간 그리고 작업조건과 안정성 간, 작업조건과 과업수행성과 간에서도 유의한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 외에 다른 요인들 간에는 강도의 차이를 나타내며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으며, 동기요인은 위생요인보다 직무성과요인과 더 강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사서의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동기요인인 자아실현, 직무자체, 책임감, 승진은 모두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위생요인은 동료, 작업조건, 안정성이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이를 통해 사서의 직무만족도 요인에 대한 관종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설립주체, 운영형태에 따라 형성되는 근무조건, 근무환경 등이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서의 직무만족도 요인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요인별로 그 영향의 정도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사서의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요인에 주안점을 두어 인력자원관리를 할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가 관종별로 업무환경을 개선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사서의 적절한 직무만족을 통한 양질의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으로 개선되기를 기대한다. A library is a service organization aiming at provid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such a service-based organization, librarians who are in touch with service users take a leading role. Also, the quality of services librarians provide is an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satisfaction and loyalty of users and the quality of libraries. That is, libraries seek to satisfy users and draw user loyalty by providing services through human resources, which is librarians, contrary to general for-profit organizations. Considering that library performance is largely dependent on internal human resources, high job satisfaction of human resources are significantly important in library management. Previous research on librarians' job satisfaction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cused mainly on librarians in one type of libraries among many, such as public, college, and school libraries, and it is hard to find out research to compare job satisfaction of librarians between types of libraries. In addition, the main focus of most existing research has been on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there is few research on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job performance of librarians. In this vein, in-depth survey on the latter is necessary.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factors in job satisfaction of librarians, which affect their job performance, while comparing the factors between the types of libraries. In the qualitative analysis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librarians in different types of libraries as a pilot study, factors comprizing job satisfaction and affecting job performance and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have been explored, and the doability of this study has been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pilot and Herzberg's two-factor theory together,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n various types of libraries. The questionnaire was comprised with two groups, such as job satisfaction factors, which were divided into motivation factors and hygiene factors, and job performance factors, which are divided into contextual performance factors and task performance factors. The types of libraries considered in this study was public libraries under offices of education, the libraries directly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the libraries commissioned by local governments and colledge librari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librarians in the types of libraries.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actor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mong ot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ix motivation factors and six hygiene factors were produced in job satisfaction factors and two job performance factors as a result of a seri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otivation factors are self-realization, work itself, responsibility and advancement. Hygiene factors are supervision, working conditions, salary, interpersonal relation, organizational policy and administration, and job security. Job performance factors are contextual performance and task performance.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ypes of libraries in self-realization, work itself and advancement of motivation factors and in supervision, salary, working conditions and job security of hygiene factors after one-way analysis of variance. Lastly, the factors of supervision, salary and organizational policy and administration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ther factors.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lf-realization and working conditions, between work itself and interpersonal relation, between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between advancement and job security,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 and working conditions,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 and job security, between working conditions and job security, and between working conditions and task performance. However, other factors wer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each other in degrees. Especially, motivation factors showed stronger correlation with job performance factors than hygiene factors. The results from sever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to identify the factors to job performance, motivation factors, such as self-realization, work itself, responsibility and advancement, were all significant factors to job performance. Hygiene factors, however,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to job performance, except for interpersonal relation, working conditions and job security. Based on these results, job satisfaction factors in librarians vary by the types of libraries. It is because working conditions and working environment are formed differently in terms of the founder and means of library management. As it turned out that job satisfaction factors are proved to be effective on job performance, library managers will have to make an effort to put emphasis on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improve job performance of librarians.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s of each type of library and raise librarians' job satisfaction so that libraries can improve their providing services to be high quality services to users.

      • 온라인 강의에서 자막이 학습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시선 추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서은선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Captions, which started in early silent movies, are being used at various locations and in changed display methods with the development of video technology. As video viewing in a fixed place is replaced by video viewing in motion, video content producers are trying to produce various additional content to catch viewers' attention, and among them video captions are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In our society, which has used letters made up of sounds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it is no longer possible to talk in cultural discourse without mentioning the video. As a new video element, the change of captions has a special meaning, and the researchers’ topic was what we focus on while watching the video. Since videos and online lectures have the same image format in a large range, it was determined that learning tools that help students with attention and comprehension in online lectures can be verified if the viewer's attention is verified in the video.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carefully examine what viewers focus on when watching videos and the effect of using captions on comprehension in online lectures. First, recognition of letters that are the source of captions,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and online education were reviewed in the preceding literature, and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m. The purpose of the preliminary study was to find and confirm what the viewers were paying attention to in the video, and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experiment confirmed the gaze focused on the captions. By extending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experiment,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nd two types of experiments were measur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captions on students' learning comprehension in online lectures. In Research Question Experiment 1, in order to test the field of concentration of students' eyes when watching online lectures, they were divided into groups A and B, and eye track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videos with and without captions under the same conditions. Group A used the most traditional video viewing method, a lecture video with only video and narration, and group B was provided with video, narration, and captions to measure students' concentration on and comprehension of the lecture video. Research Question Experiment 2 conducted a survey as well to measure comprehension to prove the proposed research question. The wearable gaze tracker used for verification in this study can measure the natural gaze of the subject in real time in the actual environment with a first-person view, enabling more accurate data extraction than the fixed type. Eye tracking research has been understood as the most objective way to understand and measure human needs among various forms of expressing human emotions. Eye tracking, which is an experimental method for Research Question Experiment 1, was an experiment with the viewer's unconscious consciousness, and in the Research Question Experiment 2, a survey was also conducted to verify the results and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e experiment by complementary analysis of scientific verification and theoretical verification. Video measurement was analyzed by heat map of eye tracking and analysis items of scan path, and analysis using Mann-Whitney U Test was used for the survey. The use of several analysis programs was intended to reduce errors in the analysis of results, as factors for learning comprehension were an important item in online classes. As a result of two types of experiments, the group who watched the online lecture using captions showed high scores in the evaluation item of comprehension, verifying that captions act as a factor to help learning comprehension in online lectures. This proves that captions have the ability to be stored in our brains in the form of reviews along with listening to sounds in online lectures which has a strong tendency toward self-directed learning. Commercial videos have limitations in the use of captions because they pass quickly, but lecture videos allow eyes to stay for a long time in each frame, which makes using captions less burdensome. And even for the convenie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ptions must be considered in lecture videos. Since the evaluation of the role of captions in video has been studied as an additional content role so far, verifying that the role of captions is changed to a video element can be evaluated as expanding the scope of new research. 초기 무성영화에서 시작된 자막은 영상 기술 발전으로 다양한 위치와 표시 방법이 변형되어 사용되고 있다. 고정된 장소에서의 영상 시청이 움직이는 영상 시청으로 바뀌면서 영상 콘텐츠 제작자들은 시청자 시선을 잡기 위한 다양한 부가 콘텐츠 연출을 시도하고 있으며, 그 중 영상 자막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소리와 음으로 이루어진 문자를 의사소통 매체로 삼은 우리사회는 문화 담론에서 이제 영상을 빼놓고 이야기 할 수 없다. 새로운 영상 요소로써 자막 변화는 각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가 영상을 보면서 무엇에 집중하는지가 연구자의 화두(話頭)였다. 영상과 온라인 강의는 큰 범위에서 동일한 이미지 형식을 지니고 있어 영상에서 시청자 주목도가 검증된다면, 온라인 강의에서 학생 주목도와 이해력을 돕는 학습도구를 검증 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상 시청 시 시청자들은 무엇에 집중하는지와 온라인 강의 시 자막 사용이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주의 깊게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선행 문헌에서 자막의 근원인 문자에 대한 인식과 미디어 환경 변화, 온라인 교육에 대하여 고찰하고, 그를 기반으로 사전 연구를 시행하였다. 사전 연구 목적은 영상에서 시청자가 주목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아 확인하는 것으로 사전 실험 결과에서는 자막에 집중하는 시선을 확인하였다. 사전 실험 결과를 확장시켜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2종을 실험을 측정하여 온라인 강의에서 학생들이 자막의 유무에 따라 학습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문제 실험 1에서 온라인 강의 시청 시 학생의 시선 집중 분야를 실험하기 위하여 A그룹, B그룹으로 나누어 동일한 조건에서 자막 있는 영상과 자막 없는 영상을 시선 추적 실험하였다. A그룹은 가장 전통적인 영상 시청 방법인 영상과 내레이션만 있는 강의 영상을 사용하였고, B그룹은 영상, 내레이션, 자막을 함께 제공하여 강의 영상에 대한 학생의 집중과 이해력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문제 실험 2에서는 제시된 연구 문제를 증명하기 위한 이해도 측정 설문 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을 위해 사용한 착용 형 시선 추적기는 1인칭 시점으로 실제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피험자의 자연스러운 시선을 측정할 수 있어 고정 형에 비해 더 정확한 데이터 추출이 가능하다. 시선 추적 연구는 인간의 감정을 나타내는 여러 형태 중에 가장 객관적으로 인간의 욕구를 이해하고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해되어 왔다. 연구 문제 실험 1에 대한 실험 방법인 시선 추적은 시청자의 무의식(無意識)적 의식의 실험이었으며, 연구 문제 실험 2에서는 그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함께 진행하여, 과학적 검증과 이론적 검증의 상호보완적 분석으로 실험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영상 측정은 시선추적의 Heat Map과 Scan path의 분석 항목으로 분석하였으며, 설문은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한 분석을 사용하였다. 여러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한 것은 학습 이해력에 대한 요인은 온라인 수업에서 중요한 항목이 되는 만큼 결과 분석의 오류를 줄이고자 하였다. 2종의 실험 결과, 자막을 사용한 온라인 강의를 시청한 그룹이 이해도 평가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어 온라인 강의에서 자막이 학습이해도를 돕는 요소로 작용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자기 주도적 학습 성향이 강한 온라인 강의에서 자막이 소리 청취와 더불어 복습 형태로 우리의 뇌에 저장되는 능력을 지니고 있음을 입증해 주는 것이다. 상업적인 영상은 빠르게 지나가기에 자막 사용 한계가 있으나, 강의 영상은 시선이 프레임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 자막 사용 부담이 적다. 그리고 장애 학생의 학습 편의를 위해서라도 자막은 필수적으로 강의 영상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그동안 영상에서 자막 역할에 대한 평가는 부가 콘텐츠 역할로 연구되고 있기에 자막의 역할이 영상 요소로 바뀌게 됨을 검증하는 것은 새로운 연구 범위를 확장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