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日本語の特徵についての一考察 -特に高校の日本語の敎科書を中心に- : 日本語の特徵についての一考察 -特に高校の日本語の敎科書を中心に- : 서유진

        서유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47

        人間は言語によって物を考え、判断を下し、意味づけをしたりする。学習者が彼らにとっては外国語である日本語で何かを表現しようとするときには彼らがもっている母国語の体系やそれを取り囲む文化的な背景が日本語を学習していく過程で少なくない障害要因として働き掛けられる。このような障害要因は外国語教育の場の高校でも例外ではないので、母語の言語習慣による誤用が多く発生したりする。 日本語を学習する過程で未熟な母語の干渉によって、日本語だけがもっている日本語らしい表現を受け入れにくい問題が生じると思われる。そういった問題点を解消するには先ず、日本語を韓国語と比較対照することをふまえて、日本語の特徴らしい要素を引き出す方法も有効であろうと思う。 考察の範囲は現時各高校で採択している「高校の日本語Ⅰ」に決めて、その教科書に表れている形式を韓国語と比較対照し、韓国語の用法に対応しない日本語の特徴的要素がひそんでいる形式を中心に「助詞」系、「補助動詞」系、「親族名詞」とに区分した。その系列別に細部項目に分け、用例を調べて提示する。それを、韓国語との比較によって、どのような点で日本語の特徴として立たせられるかを目安に、形式といろいろな意味機能について分析してみた。尚、その分析の過程で、学習者が学習の上で日本語の特徴を把握して行くにつれ、注意しなければならない点をも合わせて言及した。このような両国語における表現の対照研究は、日本語と韓国語の表現上の相違について理解を深めるのに有益であると思われる。 そういった意味で本稿では、学習者が日本語を習得していく過程で、韓国語の用法にはない訳で、学習者に困難点になっているそういった表現だけを集中的に教授するのに役立つ参考資料としてもまとめたいと思う。 「高校の日本語Ⅰ」に表れている日本語の特徴を下位分類し、形式別に分析してみた。 第一、「助詞」系は、助詞「の」、助詞「が」、助詞「に」、助詞「までに」に分け、分析してみた。 ①「名詞+の+名詞」形式は、連体格助詞「の」が省略されることはな いが、韓国語では省略できる。「の」は述語の意味が含蓄さ れており、敍述の代用をするのは動詞に限られるが、韓国語ではこの ような敍述の代用の用法はない。また「が」代用の「の」形式のように 韓國語では名詞を修飾する句の中でも助詞「가(이)」が用いられる。 ② 対象を表す場合は、日本語は「が」によって表される。一方、韓国 語では対象を表す場合、「ヲ格(을,를)」が用いられる。 ③ 動詞の変化の結果を表す場合、動作の相手․乗る動作の向ける対 象を日本語では助詞「に」によって表される。一方、韓国語では、 助詞「가(이)」と「을(를)」が用いられる。 ④ 助詞「までに」形式は、瞬間的な動作、作用の行われる「時」を 表す。一方、韓國語で直訳する場合、「까지에」になるが韓國語で は、このような表現は使わない。 第二、「補助動詞」系は、【授受表現「〜てもらう」】、【願望形式の 依頼表現「〜てもらいたい」「〜ていただきたい」】形式、【疑問形 式の依頼表現「〜てもらえませんか」「〜ていただけませんか」】形式とに分け、分析してみた。 ① このような受給関係を表す「〜てもらう」系は、韓國語に対応しない し、「〜해 주다/〜해 주시다」のように訳するのが望ましい。 ② 【願望形式の依頼表現】は、話し手の願望をあらわす形態で相手 に対して、何らかの行為をすることを要求․間接的で婉曲に依頼する表 現である。一方、韓国語では「〜해 주었으면 하다/〜해 주셨 으면 하다」のような表現が使われる。 ③ 【疑問形式の依頼表現】は、話し手が相手の好意が受け取られる ようにこちらから何か懇願する形をとり、丁寧度が高い。一方、韓国語 では「〜해 주지 않겠습니까?/〜해 주시지 않으시겠습니 까?」のような表現が使われる。 第三、「親族名詞」は、社会的関係として「ヨコの人間関係」で説明でき、話し手․聞き手․話題の人が同一の集団に属しているか、いないかによって「うち:そと」の意識が生じる。それゆえに、身内に対しての呼称と他人に対しての呼称が随分違う。一方、韓国語では自分の家族に対して言う場合と他人の家族に対して言う場合は同じである。 以上、本稿では、敎科書の中に表れている文型と、韓國語との比較對照によって、對應しない日本語の特徵的要素のある形式別に類型化した。それによっていろいろな意味機能の分析を行なって来た。しかしながら、言語活動は敎室だけに限らずに、社會內のコミュニケ-ションを通しても行なわれることであり、言語外の社會的·文化的背景にも多く影響されると言えよう。 最近、国際化時代に歩調を合わせ、日本の各学校との交流が活溌になっており、日本人とメ-ルなどを通して話し合う機會が多くなった。その過程での円滑な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ために、このような日本語の特徵らしい表現をまとめて習得しておくとよかろうと思われる。 本稿では、日本語の特徴を形式と機能の分析だけに限られているが、学習者のより正しい理解と受け入れのためには、日本語らしさの釀し出す表現の硏究を日本語の敎育現場で、どのように教授法として導入し、どう対処していくのがいいかという範囲まで広めるべきであると思うが、それは今後の課題にしたい。

      • 위생교육에 따른 유아 보육시설 배식환경 개선도 평가 : 대전광역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교육을 중심으로

        서유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at 119 child care centers registered at the Daejeon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n Dong-gu and Jung-gu, Daejeon. 96.6% of these facilities mainly served food to preschoolers at the classrooms. Most of them had no cafeteria due to a lack of space or budget. It is required to manage food service in the nutritional aspect and distribution quality through sanitary food service at child care centers because there is high risk of food-poisoning caused by microorganisms and pollutants at places where hygiene is not properly controll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d food service equipment, food servers and preschoolers to evaluate level of hygiene in food distribution environment at child care centers. It studied hygiene knowledge, hygiene practices, importance of hygiene, and ways of eating food of the subjects, evaluating degrees of improvement in the food distributio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hygiene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hygiene of food distribution at 119 child care centers registered in the Daejeon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twice, using ATP meter. A survey was conducted aiming at 301 preschoolers (3 to 5 years old), 119 teachers, and 324 parents at the registered child care centers. A survey was carried out for preschoolers three times, and for teachers and parents twice. Survey sheets were delivered to the subjects by the directors of each facility. Visiting education was delivered for preschoolers and teachers twice and three times at the respective facility. On the other hand, education was carried out for parents seven times through parent newsletters. The contents of survey for preschoolers consisted of a number of questions related to hygiene knowledge, hand-washing performance, ways of eating food, and general matters, and those for teachers and parents consisted of questions related to hygiene knowledge, hygiene performance, the importance of hygiene and general matters. As for teachers, questions related to the status of the food service management and awareness were additionally studi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core of hygiene knowledge of preschoolers rose regarding to all questions after repetitive education, and out of 8 questions in total, 6 ques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After the education, preschoolers washed their hands significantly more a day, and more preschoolers used soap to wash their hands. The perception of effect washing hands as to preventing from disease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education, and the rate of performance as to eight situations to wash hands increased respectively. On the contrary, the percentage of preschoolers who did not wash their hands well had significantly decreased through hygiene education. Ways of eating food by the preschooler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at all questions after the education, and the average value of all those questions increased significantly. Total average score of teachers’ hygiene knowledge was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education, and the total average value of hygiene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the teachers showed to have respecti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otal average score of hygiene knowledge of the parents rose significantly after the education,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at each average value of all the questions as to hygiene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the parents. As a result of food distribution hygiene status study based on ATP measurement, the levels of hygiene of all items out of six in total except the case of spoons and chopstick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 average ATP value in all items decreased more in figure after the education, show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importance of repetitive hygiene education to improve hygiene knowledge, hygiene performance, the importance of hygiene, and ways of eating food by the preschoolers whose food was served, teachers at child-care centers, and parents and food distribution environment at the child care centers. Therefore, if hygiene education for each target is associated and carried out steadily, it may help to improve the hygiene level of preschoolers’ food-service.

      • 은폐와 소통 : 읽혀지고 싶은 메세지

        서유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Living in the modern age, we inevitably find ourselves insituations where we have to meet other people. We constantly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a variety of people in new locations. We are influenced by people we interact with and we are easily affected by our environment. At times, we are forced to accept another person’s perception, and out attitudes are also modified to follow the acceptable norms of a certain place. Thus, our thoughts and behaviors are bounded and cannot be completely free. Due to social restrictions, it is difficult to have an honest perception of oneself and freely express one’s will. Hence, many artists face steep challenges while conveying one’s inner thoughts and exploring one’s true self. Recognizing these challenges, this paper attempts to research the process of finding one’s true ego and the form of expressing the result of it. The relationship created between the people we meet in our everyday lives is significantwhen we search for our ego. People in similarenvironments share common thoughts, thus the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becomes a good source to look into oneself. Therefore, the effort to find one’s ego can be extended to discovering and analyzing "me" while meeting other people. By establishing relationships, you become aware of how you treat other people, how you interact in unfamiliar environments, and how you express your true self. I attempt to express these processes through my work. An artwork is the projection of the artist’s inner-self. In other words, the work reflects the unconscious psychological state of the artist. The artwork discussed in this paper shows the self-recognition of one’s self,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the inner-self that one prefers to keep hidden; hence, the relative importance of one’s individual psychological state is big. The first section of the paper discusses the basic foundation when creating an artwork, i.e., the psychological human relationship. This will be explained by the psychological effects uncovered while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strangers coming out from an individual experience. Additionally, I will research how surrealists unconsciously articulate their inner-self and build defensive mechanisms for self-protection. The second section of the paper will discuss the formalities of development, which is a critical aspect to the artwork. Many artists worry over how to effectively convey the message of an artwork, and the contemplation often becomes the motivation of a piece. Figuring out the right materials, the right location for display, and the right method of expression for the artwork is a difficult task, yet an intriguing aspect of the work. Thus, the second section will portray the formalities of development in presenting the "inner-self"of an artwork. I will explain the development of my work according to various formalities, such as the process of collecting objects from surrounding environments, applying texts, and the search of diverse materials. Moreover, I will offer a comparative analysis with my work to other works that use similar forms or mediums. The last section of the paper divides an artwork into "protecting" and "connecting," and shows what one is trying to protect and the ultimate purpose of the artistic action derived from who one is trying to connect with. I attempt to reveal the hidden features of a person, not the bare presentations that can be easily observed in relationships. Although a person isolates oneself by hiding behind a film, the interior can be faintly seen. These personal characteristic is directly reflected in the artwork. While the surface of the objects and drawing in the piece is protected by a translucent film, it seems to ask the viewers to look into the film. The features of one’s true self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portrayed in the artwork display similarities. As seen, I not only discover myself in ordinary life but also during the process of my work. Thus, the unearthing of one’s self can be conducted by not only introspection but also through the distress coming from work. Furthermore, this process allows for one to gain deeper insight into finding one’s true self. Hence, in the last section, I analyze my work that displays the process of finding one’s self in a consecutive order, and I offer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self" I attempt to portray in my works. The process of expressing and conveying one’s thoughts is a procedure of searching and recognizing one’s ego. The search for one’s true self can be accomplished by not only introspection but also identification of a work’s key message and contemplation of finding the tools of expression. Thus, the message of the work, the formalities of development and the methods of expression can be used to investigate the genuine features of "me." 많은 예술가들이 그러하듯 본인은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바로 이해하고 표현해내기 위해 노력한다. 다양한 사람들과의 만남을 가지며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타인과의 관계는 자아를 탐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슷한 영향 아래에 생활하는 사람들은 서로 생각을 공유하고 행동하기 때문에, 누구와 만나고 지속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는가는 스스로의 모습을 살펴보기에 좋은 자료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아를 찾고자 하는 시도는 곧 타인들과의 만남 속에서 ‘나’의 모습을 발견하고 분석하는 노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인은 관계하는 삶속에서, 타인에게 대하는 태도, 낯선 환경에서 보여지는 행동, 그리고 ‘나’를 표현하는 방식을 통해 드러나는 모습들을 진정한 자아로 인식하고, 이를 작품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작품은 작가의 내적 자아의 투영이다. 다시 말하자면 작가의 무의식적인 심리상태를 고스란히 반영한다는 것이다. 본인의 작품에서는 스스로가 인식하는 자아, 타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모습들, 그리고 보여주고 싶지 않은 깊은 곳의 내적 자아가 표출되기 때문에, 본인의 개인적인 심리상태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첫 번째로 Ⅱ장에서는 작업에서 기초가 되는 인간관계 심리학을 탐구하고자 한다. 새로운 곳으로 이동하는 개인적인 경험에서 비롯된 낯선 사람들과의 관계형성에서 드러나는 자아를 심리학을 기초로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초현실주의 작가들의 작업에서 무의식적으로 드러나는 내적자아의 표현방법에 대해 탐구하고,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자기 방어적 태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Ⅲ장은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형식적인 전개를 살펴볼 것이다. 작가들에게 있어서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는 큰 고민이며, 작업을 시작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본인에게 작품을 함에 있어서 무슨 재료를 사용할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 어느 장소에 설치할 것인가는 어려운 숙제이기도 하거니와 동시에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Ⅲ장에서는 작품에서 ‘내적자아’를 표현하기 위한 형식적 전개 방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크게 작품의 형식적인 방법에 따라 주변 환경에서 사물들의 수집하는 방식, 텍스트의 사용, 그리고 다양한 재료의 탐구로 나누어 작품의 전개를 설명하고, 비슷한 매체 혹은 형식을 가지는 작품들을 탐구하면서 본인의 작품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Ⅳ에서는 본인의 작품들을 보다 심도 있게 살펴보면서 작품 속에서 본인이 무언가를 보호하고, 누군가와 관계하고자 하는 예술적 행위가 가지는 궁극적인 목표에 대해서 탐구하고자 한다. 본인은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도 본연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반투명한 막으로 가려진 모습을 드러내고자 한다. 막 속에 가려진 본인은 스스로를 차단하지만 내부의 모습을 희미하게나마 볼 수 있게 만든다. 이러한 개인적인 성향은 작품에 그대로 반영된다. 작품에서 사용된 사물들과 그림의 표면은 반투명한 막에 가려져 보호되고 있지만, 누군가에 의해 그 내부가 보여지기를 기다리고 있는 듯하다. 이러한 실제의 자아의 모습과 작품을 통해서 드러나는 개인적인 모습들은 유사성을 가진다. 이렇듯 본인은 자아의 모습을 실제 생활에서의 행동에서 뿐만 아니라, 작업을 해나가는 과정 속에서 발견한다. 그러므로 자아의 발견이란 본질적인 내적 탐구를 통해서만이 아니라, 작업을 위한 고뇌 속에서 발견되기도 하고, 이는 또한 진정한 자아를 보다 더 깊이 탐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따라서 본론의 마지막 장에서는 스스로 진정한 모습을 찾아가는 과정이자 결과이기도 한 작품들을 제작년도 순으로 개별분석하고, 작품에서 드러내고자 하는 ‘나’의 모습을 보다 깊이 고찰하고자 한다. 본인의 생각을 표현하고 전달하기 위해 작업을 하는 것은 자아를 탐구하고 인식하는 과정 중 하나이다. 내적 자아를 인식하고자 하는 노력 뿐 아니라, 작업에서 드러내고자 하는 개념을 찾아내고, 그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를 고뇌하는 과정 또한 진정한 자아를 찾고자 하는 노력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작업에서 드러내고자 하는 개념, 형식적 전개, 표현되는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결과적으로 ‘나’ 라고 일컬을 수 있는 진정한 모습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 초기성인의 대사증후군 관련요인과 생활습관

        서유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ich factors affect metabolic syndrome. Specifically, the factors studied were: BMI, family history and lifestyle factors, in early adulthood who lived in Seoul, Korea in 2013.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using NHIS(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ealth medical examination data from 2013, 1 January to 31 December. The metabolic syndrome diagnoses were based on NCEP ATP-Ⅲ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Ⅲ; NCEP ATP-Ⅲ) criteria. There were a total of 5801 subjects,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metabolic syndrome group and normal group- according to their medical examination data which were based on NCEP ATP-Ⅲ criteria.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Data were present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omparing two groups, t-test, -test were used,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identify independent factor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as follows: 1. 69.4% of the subject's gender is male, 30.6% female, and the mean age was 31.39 years, 20’s were 33%, 30’s were 67%.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early adulthood was 32.8%, Male was 29.7%, and female was 3.1%. 2.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were shown; the average of waist circumference 83.3cm in male, in women 71.55cm, mean blood pressure was 117.75/73.81mmHg, the mean fasting blood glucose was 91.27mg/dL, triglyceride was 127.71mg/dL, HDL-cholesterol in men was 53.42mg/dL, 66.03mg/dL was in women and mean BMI was 23.77kg/m². With abnormal waist circumference in men was 21.5%, while the proportion of women was 2.3%. However, in the case of HDL-cholesterol, the ratio of men and women in the abnormal group was similar - male was 13.6% and female was 13.3%. Metabolic syndrome group and norm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MI, blood pressure, fasting glucose, triglycerides, waist circumference and HDL-cholesterol(p<.001). 3.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tabolic syndrome group and the normal group were BMI(t=17.209, p<.001), family history of diabetes(=11.226, p<.001), smoking period(t=6.190, p <.001), smoking frequency(t=6.923 , p<.001), alcohol consumption (t=8.254, p<.001), drinking frequency(=132.150, p<.001), but physical activ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 The risk of high risk individuals with diabet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tabolic syndrome group and normal group, the metabolic syndrome group had a higher rate of high risk diabetes(=101.377, p<.001). 5. Lifestyle factor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were BMI(OR=1.645, 95% CI, 1.599-1.692), high risk individuals with diabetes(OR=8.818, 95% CI, 4.493-17.306), drinking frequency (OR=1.151, 95% CI, 1.074-1.233), and smoking period(OR=1.037, 95% CI, 1.010-1.064). 6. Lifestyle factors related to high risk individuals with diabetes were BMI(OR=1.021, 95% CI, 1.008-1.035), family history of diabetes(OR=1.835, 95% CI, 1.045-3.225), smoking period(OR=1.125, 95% CI, 1.050-1.206), and having metabolic syndrome(OR=8.519, 95% CI, 4.876-14.885). In conclusion, BMI, smoking, and drinking were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in early adulthood. Therefore, teaching and managing lifestyle factors is necessary. Also, developing programs about lifestyle-drinking, smoking and obesity is needed. Additional studies about physical activity, smoking and drinking which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have to be done. In order to change lifestyle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improving the environment and social awareness of metabolic syndrome is recommended. 최근 서구화된 생활방식으로 인해 대사증후군이 증가하고 있다. 대사증후군의 증가는 만성질환의 증가와 관련이 있어 중요한 건강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대사증후군은 생활습관 요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그 관련성을 조사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20세에서 40세의 초기성인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NCEP ATP-Ⅲ(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Ⅲ; NCEP ATP-Ⅲ)의 진단기준에 근거하여 체질량지수와 가족력, 생활습관 요인을 분석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3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한 건강검진을 받은 대상자 5,801명을 추출하여 NCEP ATP-Ⅲ의 진단기준에 근거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χ²-test,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남성 69.4%, 여성 30.6%였으며 평균연령은 31.39세로 그 중 20대가 33%, 30대가 67%였다. 초기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32.8%로 남성 29.7%, 여성 3.1%였다. 2.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으로 허리둘레는 남자 평균 83.3cm, 여자 평균 71.55cm, 혈압은 117.75/73.81mmHg, 공복혈당의 경우 평균 91.27mg/dL, 중성지방은 127.71mg/dL, HDL-콜레스테롤은 남자 평균 53.42mg/dL, 여자 66.03mg/dL로 모두 정상범위 이내이었다. 그리고 체질량지수의 평균은 23.77kg/m²였다. 남성에서 비정상 허리둘레를 지닌 비율이 21.5%인 반면 여성은 2.3%였다. 그러나 HDL-콜레스테롤의 경우 남성과 여성의 비정상군의 비율이 13.6%, 13.3%로 비슷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유무에 따라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체질량지수와 혈압, 공복혈당과 중성지방, 허리둘레와 HDL-콜레스테롤 모두 대사증후군과 정상군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3. 대사증후군과 정상군에서 체질량지수(t=17.209, p<.001), 당뇨병 가족력(=11.226, p<.001), 흡연기간(t=6.190, p<.001), 흡연량(t=6.923, p<.001), 음주량(t=8.254, p<.001), 음주횟수(=132.150, p<.001), 격렬한 신체활동(t=-2.901, p=.004)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등도 및 가벼운 신체활동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대사증후군의 유무에 따라 당뇨병 고위험군을 분석한 결과 대사증후군인 경우 당뇨병 고위험군이 더 많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101.377, p<.001). 5. 대사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 습관요인으로는 체질량지수가 높을 때 1.645배(95% CI, 1.599-1.692), 당뇨병고위험군일 때 8.818배(95% CI, 4.493-17.306), 음주횟수가 증가할 때 1.151배(95% CI, 1.074-1.233), 흡연기간이 길 때 1.037배(95% CI, 1.010-1.064)로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받을 위험이 증가하였으나 당뇨병 가족력, 흡연량, 신체활동정도는 유의하지 않았다. 6. 당뇨병 고위험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체질량지수가 높을 때 1.021배(95% CI, 1.008-1.035), 당뇨병 가족력이 있을 때 1.835배(95% CI, 1.045-3.225), 흡연기간이 길 때 1.125배(95% CI, 1.050-1.206), 대사증후군이 있을 때 8.519배(95% CI, 4.876-14.885)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초기성인의 대사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체질량지수, 흡연, 음주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이와 관련된 생활습관 요인에 대한 교육과 관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생활습관인 음주, 흡연, 비만관리와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운동이나 흡연, 음주와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사회적으로 대사증후군의 생활습관 요인 개선이 가능하도록 환경이나 사회적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 성인초기 여성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자아정체성 확립을 중심으로

        서유진 명지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구조적 변화와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성인 초기에 수행해야할 취업, 결혼, 출산과 같은 발달상의 과업을 정상적으로 달성해 나가는데 있어서 현대 성인들은 많은 혼란과 갈등을 겪게 되며, 특히 성인초기 여성의 경우 사회 진출과 성취욕구 그리고 결혼과 출산이라는 인습적 관점에서 불안과 갈등을 겪으면서 남성보다 자아정체성의 혼란에 빠지기 쉽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성인초기 여성을 대상으로 자아정체성 확립에 중점을 두고 시행된 집단미술치료 사례로서, 다음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첫째, 발달이론에 근거한 성인초기의 발달적 특징과 과업을 살펴보고, 특히 그 시기의 여성들이 갖는 문제와 갈등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성인초기 여성에게 있어서 자아정체성 확립의 의미와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성인초기 여성들의 정서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성인초기 여성들이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는지 밝힌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에릭슨, 레빈슨 그리고 융의 발달이론에 근거한 성인초기의 발달적 특징과 과업을 살펴보고, 자아정체성과 정체성 확립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초기에 해당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이며, 참여한 내담자 중 3명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초기 자아정체성에 대한 혼란과 불안정으로 불안과 우울 등의 감정 상태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연구 대상들이 미술매체를 이용한 창작과정을 통해 긴장과 불안을 해소하고 자연스럽게 안정과 편안함을 경험하면서 부정적인 감정들이 긍정적으로 변하는 정서의 변화를 보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내담자들이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었는가에 대한 결과로는, 연구 대상 모두 주체적이고 독창적인 자기를 인식하고, 자신을 사랑하며, 자신이 바라는 자신의 모습을 분명히 자각하게 된 것을 알 수 있으며,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자기가 하나로 통합된 한 사람으로서 존재하며 지난날의 모습을 인정하고 수용하고, 미래지향적인 모습으로 살아갈 것을 다짐하고 있는 것으로서 자아정체성의 확립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성인초기 여성들이 갖고 있는 심리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집단미술치료가 효과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고, 여러 가지 책임과 자아정체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성인초기 여성들을 돕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스크립트 중재가 학령기 자폐성장애 아동의 마음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서유진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크립트 중재가 마음읽기 이해와 표현에 어려움을 가지는 학령기 자폐성장애 아동의 마음읽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학령기 자폐성장애 아동 3명을 대상으로 스크립트 중재가 마음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평가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자폐성장애 아동에게 스크립트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정서를 이해하고 표현하도록 중재를 구성하였다. 중재는 한 회기당 40분간 총 24회기를 실시하였고, 중재 프로그램은 총 6개의 주제로 스크립트를 구성하였다. 6개의 스크립트를 하나의 주기로 하여 두 번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1주기는 스크립트 상황을 훈련하며 스크립트 속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정서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2주기는 스크립트 속 상황에서 일어나는 정서에 대해 표정 짓기, 말풍선 완성하기, 활동 작성판을 완성하는 것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아동 모두 사전 평가와 비교하여 사후 평가에서 마음읽기 이해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연구대상 아동 모두 사전 평가와 비교하여 사후 평가에서 마음읽기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스크립트 중재가 학령기 자폐성장애 아동의 마음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 『GPL』공과 교육내용 분석 : 타이쎈의 근본모티브에 기초한 성경요목 분석을 중심으로

        서유진 장로회신학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교단의 4차 교육과정을 통해 소개된 『GPL』(God’s People, Light of the world) 공과의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GPL』 공과는 하나님의 사람이 세상의 빛 되어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간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공과로, 본 논문에서는 공과의 개발 역사, 이론적 배경, 커리큘럼의 내용범위와 핵심개념, 성경요목을 차례로 다루었다. 특히 공과의 성경요목이 성경 전반의 내용을 고루 담아내고 있는지 점검하고자 독일의 성서학자인 게르트 타이쎈(Gerd Theißen)의 요체화 이론과 근본모티브 이론을 소개하고, 근본모티브를 통한 성경요목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GPL』 공과는 성경전반의 주제를 모두 다루고 있는 공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신앙과 아가페 모티브에 속하는 성경요목이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후의 성경교육에서는 전체 주제가 균형 있게 교육되도록 점검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다양한 성경요목의 발굴 및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질병 불확실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서유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경도인지장애 노인은 효과가 입증된 치료제의 부재와 언제 치매로 진행될 지 모른다는 질병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질병 불확실성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Mishel(1989)의 질병 불확실성 이론을 근간으로 경도인지장애노인의 질병 불확실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직, 간접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Mishel(1989)의 질병 불확실성 이론적 기틀과 선행연구의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가설적 경로모형을 구축하였다. 다약제 복용, 주관적 기억감퇴, 수면,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사회적 지지, 우울 정도 등을 외생변수로 질병 불확실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을 내생변수로 구성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5월 2일부터 2019년 12월 9일까지 서울시 영등포구,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처인구에 거주하고 있는 경도인지장애 노인 18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 20.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경도인지장애노인의 질병 불확실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가설적 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χ2/df=8.882, GFI=.668, SRMR=.000 RMSEA=.000, TLI= .000, CFI=.000으로 χ2/df, GFI, TLI와 CFI가 수용기준에 충족하지 못하여 가설적 모형을 수정하였다. 수정된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는 χ2/df=2.096, GFI=.997, SRMR=.012, RMSEA=.075, TLI= .861, CFI=.996로 나타나 TLI를 제외하고 모형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12개 경로 중에 유의미한 경로는 6개이다. 질병 불확실성은 주관적 기억감퇴가 심해질수록(β=.155, p=.044),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감퇴할수록(β=.145, p=.049) 높았고, 이 변수들에 의해 질병 불확실성 변인이 10.3%가 설명되었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주관적 기억감퇴가 심해질수록(β=.123, p=.029), 우울 정도가 높을수록(β=-.510, p=.002),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β=.123, p=.029) 낮게 나타났고, 이 변수들에 의해서 건강관련 삶의 질 변인이 53.0%로 설명되었다. 주관적 기억감퇴는 질병 불확실성을 매개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간접효과(β=-.025, p=.024)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질병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에서 밝혀진 것과 같이 주관적 기억감퇴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간과해서는 안되는 중요한 증상이므로 조기 발견과 조기 예방으로 질병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질병 불확실성의 유의미한 요인들을 규명했다는 것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직, 간접 효과를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