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유진작품연구 : 빛과 색의 공존하는 소통표현

        서유진 한남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7679

        빛은 삶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며 빛이 존재하기에 인간은 삶을 존속하고 영위해 나갈 수 있다. 빛과 세월의 흐름이 있기에 인간과 자연은 성장한다고 생각한다. “미술은 시각을 통해 인간의 감정을 즐겁게 해주는 기술이다” (예술 심리학)처럼 색은 인간감정 표현의 도구로 여겨졌고 단순한 원색적인 색을 그려넣어 인간의 관점을 단순화 하기도 하지만 색조의 표현으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도 있다. “빛과 색에 의한 공존의 소통표현”의 주제로 작품을 연구하면서 사실적이고 세밀한 묘사속 유화물감을 이용한 작업에 익숙해져 있던 본인은 자연의 모방을 근본으로 삼아 대상의 관찰을 통해 재현적으로 때로는 인위적 형상을 펼요한 요소에 결부시켜 본인의 의식과 대상의 만남을 통한 관계에서 오는 이미지로서의 작업을 하며 본인 필법의 한계에 부딪쳤고 매너리즘에서 벗어나지 못함을 느꼈으며 창의적인 발상과 상상의 Image화의 구성에 부족함과 아쉬움을 느꼈다. 대학원을 거치며 오랫동안 예술적 가치를 위한 작업을 해야 한다면 어떤 작업이 되어야 할 것인가를 고민하게 되었다. 우리는 대상을 파악할 때 특정 대상이나 공간을 지각하고 경험함으로서 반응을 한다. 그러나 사람의 인지 능력의 한계와 불안전성 때문에 대상의 모든 요소를 받아들이는 것은 불가능하며 사람마다 인지하는 기준이 다르다. 같은 대상이라도 사람의 시·공간적 상황이나 정서적인 상황 등 여러 요인들에 의해 주관화 과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어떤 대상에 대해서 전체를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눈에 띄지 않을 수도 있는 한 두 개의 특성만 찾아 내에 이루어진 뜨거운 추상. 직선적으로 간단명료하게 구성된 차가운 추상으로 간단히 설명할 수 있는 추상화는 현실의 이념이나 논리 등에서 벗어나 순수하게 미적인 것만을 열망해서 시작 되었으며 인물 묘사를 배제하게 되었고, 클레멘트 그린버그 같은 이론가는 회화는 회화다워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회화이외의 요소는 전부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현대미술에서 보이는 재료의 관심과 제도권 밖으로의 움직임은 새로운 것이 아니며 형태를 찾기 보다는 작품의 전체적인 느낌을 먼저 얻고 조형적 질서를 찾는 것은 미술 본연의 자리를 향한 회귀본능이지 않을까 한다. 본인 또한 고정관념이란 틀에서 벗어나고자 지금까지의 작업과정을 토대로 본인 내면에 집중하여 색과 재료를 연구하여 형태의 단순화속 외형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상상하고 사물에 대한 연상 추상적 감정을 회화의 조형성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작품으로 거듭날 것이다. 예술 너무 방대한 바다이지만 본인의 방향성을 잡아 발전해 나가는 과정이 예술이라 생각하며 기술적인 숙련에 관한 진보의 이야기가 아닌 빛과 색의 조형언어로서 변화하는 생각과 표현 양식에 대하여 본 연구를 더 깊게 해보자 한다. 그림을 통해 피곤한 심신이 위로 받을 수 있게 되었고, 이 감성을 나누고자 본인 특유의 미적 표현능력을 발휘하여 본인뿐만 아닌 타인에게도 미적감동을 느낄 수 있는 작품세계를 만들어 나갈 것이다.

      • 日本語の特徵についての一考察 -特に高校の日本語の敎科書を中心に- : 日本語の特徵についての一考察 -特に高校の日本語の敎科書を中心に- : 서유진

        서유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47

        人間は言語によって物を考え、判断を下し、意味づけをしたりする。学習者が彼らにとっては外国語である日本語で何かを表現しようとするときには彼らがもっている母国語の体系やそれを取り囲む文化的な背景が日本語を学習していく過程で少なくない障害要因として働き掛けられる。このような障害要因は外国語教育の場の高校でも例外ではないので、母語の言語習慣による誤用が多く発生したりする。 日本語を学習する過程で未熟な母語の干渉によって、日本語だけがもっている日本語らしい表現を受け入れにくい問題が生じると思われる。そういった問題点を解消するには先ず、日本語を韓国語と比較対照することをふまえて、日本語の特徴らしい要素を引き出す方法も有効であろうと思う。 考察の範囲は現時各高校で採択している「高校の日本語Ⅰ」に決めて、その教科書に表れている形式を韓国語と比較対照し、韓国語の用法に対応しない日本語の特徴的要素がひそんでいる形式を中心に「助詞」系、「補助動詞」系、「親族名詞」とに区分した。その系列別に細部項目に分け、用例を調べて提示する。それを、韓国語との比較によって、どのような点で日本語の特徴として立たせられるかを目安に、形式といろいろな意味機能について分析してみた。尚、その分析の過程で、学習者が学習の上で日本語の特徴を把握して行くにつれ、注意しなければならない点をも合わせて言及した。このような両国語における表現の対照研究は、日本語と韓国語の表現上の相違について理解を深めるのに有益であると思われる。 そういった意味で本稿では、学習者が日本語を習得していく過程で、韓国語の用法にはない訳で、学習者に困難点になっているそういった表現だけを集中的に教授するのに役立つ参考資料としてもまとめたいと思う。 「高校の日本語Ⅰ」に表れている日本語の特徴を下位分類し、形式別に分析してみた。 第一、「助詞」系は、助詞「の」、助詞「が」、助詞「に」、助詞「までに」に分け、分析してみた。 ①「名詞+の+名詞」形式は、連体格助詞「の」が省略されることはな いが、韓国語では省略できる。「の」は述語の意味が含蓄さ れており、敍述の代用をするのは動詞に限られるが、韓国語ではこの ような敍述の代用の用法はない。また「が」代用の「の」形式のように 韓國語では名詞を修飾する句の中でも助詞「가(이)」が用いられる。 ② 対象を表す場合は、日本語は「が」によって表される。一方、韓国 語では対象を表す場合、「ヲ格(을,를)」が用いられる。 ③ 動詞の変化の結果を表す場合、動作の相手․乗る動作の向ける対 象を日本語では助詞「に」によって表される。一方、韓国語では、 助詞「가(이)」と「을(를)」が用いられる。 ④ 助詞「までに」形式は、瞬間的な動作、作用の行われる「時」を 表す。一方、韓國語で直訳する場合、「까지에」になるが韓國語で は、このような表現は使わない。 第二、「補助動詞」系は、【授受表現「〜てもらう」】、【願望形式の 依頼表現「〜てもらいたい」「〜ていただきたい」】形式、【疑問形 式の依頼表現「〜てもらえませんか」「〜ていただけませんか」】形式とに分け、分析してみた。 ① このような受給関係を表す「〜てもらう」系は、韓國語に対応しない し、「〜해 주다/〜해 주시다」のように訳するのが望ましい。 ② 【願望形式の依頼表現】は、話し手の願望をあらわす形態で相手 に対して、何らかの行為をすることを要求․間接的で婉曲に依頼する表 現である。一方、韓国語では「〜해 주었으면 하다/〜해 주셨 으면 하다」のような表現が使われる。 ③ 【疑問形式の依頼表現】は、話し手が相手の好意が受け取られる ようにこちらから何か懇願する形をとり、丁寧度が高い。一方、韓国語 では「〜해 주지 않겠습니까?/〜해 주시지 않으시겠습니 까?」のような表現が使われる。 第三、「親族名詞」は、社会的関係として「ヨコの人間関係」で説明でき、話し手․聞き手․話題の人が同一の集団に属しているか、いないかによって「うち:そと」の意識が生じる。それゆえに、身内に対しての呼称と他人に対しての呼称が随分違う。一方、韓国語では自分の家族に対して言う場合と他人の家族に対して言う場合は同じである。 以上、本稿では、敎科書の中に表れている文型と、韓國語との比較對照によって、對應しない日本語の特徵的要素のある形式別に類型化した。それによっていろいろな意味機能の分析を行なって来た。しかしながら、言語活動は敎室だけに限らずに、社會內のコミュニケ-ションを通しても行なわれることであり、言語外の社會的·文化的背景にも多く影響されると言えよう。 最近、国際化時代に歩調を合わせ、日本の各学校との交流が活溌になっており、日本人とメ-ルなどを通して話し合う機會が多くなった。その過程での円滑な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ために、このような日本語の特徵らしい表現をまとめて習得しておくとよかろうと思われる。 本稿では、日本語の特徴を形式と機能の分析だけに限られているが、学習者のより正しい理解と受け入れのためには、日本語らしさの釀し出す表現の硏究を日本語の敎育現場で、どのように教授法として導入し、どう対処していくのがいいかという範囲まで広めるべきであると思うが、それは今後の課題にしたい。

      •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질병 불확실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서유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경도인지장애 노인은 효과가 입증된 치료제의 부재와 언제 치매로 진행될 지 모른다는 질병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질병 불확실성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Mishel(1989)의 질병 불확실성 이론을 근간으로 경도인지장애노인의 질병 불확실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직, 간접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Mishel(1989)의 질병 불확실성 이론적 기틀과 선행연구의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가설적 경로모형을 구축하였다. 다약제 복용, 주관적 기억감퇴, 수면,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사회적 지지, 우울 정도 등을 외생변수로 질병 불확실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을 내생변수로 구성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5월 2일부터 2019년 12월 9일까지 서울시 영등포구,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처인구에 거주하고 있는 경도인지장애 노인 18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 20.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경도인지장애노인의 질병 불확실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가설적 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χ2/df=8.882, GFI=.668, SRMR=.000 RMSEA=.000, TLI= .000, CFI=.000으로 χ2/df, GFI, TLI와 CFI가 수용기준에 충족하지 못하여 가설적 모형을 수정하였다. 수정된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는 χ2/df=2.096, GFI=.997, SRMR=.012, RMSEA=.075, TLI= .861, CFI=.996로 나타나 TLI를 제외하고 모형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12개 경로 중에 유의미한 경로는 6개이다. 질병 불확실성은 주관적 기억감퇴가 심해질수록(β=.155, p=.044),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감퇴할수록(β=.145, p=.049) 높았고, 이 변수들에 의해 질병 불확실성 변인이 10.3%가 설명되었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주관적 기억감퇴가 심해질수록(β=.123, p=.029), 우울 정도가 높을수록(β=-.510, p=.002),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β=.123, p=.029) 낮게 나타났고, 이 변수들에 의해서 건강관련 삶의 질 변인이 53.0%로 설명되었다. 주관적 기억감퇴는 질병 불확실성을 매개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간접효과(β=-.025, p=.024)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질병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에서 밝혀진 것과 같이 주관적 기억감퇴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간과해서는 안되는 중요한 증상이므로 조기 발견과 조기 예방으로 질병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질병 불확실성의 유의미한 요인들을 규명했다는 것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직, 간접 효과를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GPL』공과 교육내용 분석 : 타이쎈의 근본모티브에 기초한 성경요목 분석을 중심으로

        서유진 장로회신학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교단의 4차 교육과정을 통해 소개된 『GPL』(God’s People, Light of the world) 공과의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GPL』 공과는 하나님의 사람이 세상의 빛 되어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간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공과로, 본 논문에서는 공과의 개발 역사, 이론적 배경, 커리큘럼의 내용범위와 핵심개념, 성경요목을 차례로 다루었다. 특히 공과의 성경요목이 성경 전반의 내용을 고루 담아내고 있는지 점검하고자 독일의 성서학자인 게르트 타이쎈(Gerd Theißen)의 요체화 이론과 근본모티브 이론을 소개하고, 근본모티브를 통한 성경요목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GPL』 공과는 성경전반의 주제를 모두 다루고 있는 공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신앙과 아가페 모티브에 속하는 성경요목이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후의 성경교육에서는 전체 주제가 균형 있게 교육되도록 점검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다양한 성경요목의 발굴 및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상호작용 책읽기 부모교육이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발화와 초기문해, 부모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서유진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령전기 아동은 부모와의 상호작용 책읽기 활동을 통해 책에 집중하는 법, 책에서 의미를 끌어내는 법, 책의 내용에 대해 이야기 하는 법 등 다양한 언어 기술과 지적 활동들을 배울 수 있다. 부모는 적절한 의사소통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아동의 반응을 이끌어 내고, 반응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아동의 긍정적인 언어를 촉진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아동 간 상호작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인 ITTT와 책읽기 전략(CROWD, PEER)을 바탕으로 상호작용 책읽기 부모교육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울산 지역에 거주하는 생활 연령 5-6세의 자폐범주성장애아동 10명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부모교육 실시 전 사전 평가에서는 부모와 아동이 책 2권을 함께 읽도록 하여 아동의 구어능력, 의사소통 행동, 초기문해능력과 부모의 상호작용 행동, 질문유형,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상호작용 책읽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6주 동안 총 6회기가 진행되었으며, 부모가 아동과 책읽기 활동을 하는 동안 자신의 언어적 행동을 변화시키고 아동의 언어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상호작용 책읽기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교육 내용으로는 그림책 선정 방법, 단계별 책읽기, 상호작용 책읽기 시작하기, 질문하기, 반응적 전략(PEER), 촉진적 전략(CROWD), 초기문해능력, 부모의 양육 어려움 나누기 등으로 실시하였다. 매 회기 연구자는 ppt 자료와 시연을 통해 부모의 이해를 높였으며, 부모는 매 회기 시 배운 전략을 바탕으로 가정에서 아동과 함께 상호작용 책읽기 활동을 한 후, 일주일 동안 상호작용 일지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다음 회기에 부모는 상호작용 일지를 바탕으로 연구자에게 피드백을 받았다. 6회기의 부모교육이 종료된 후 사전 평가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변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상호작용 책읽기 부모교육 전/후에 따른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의사소통능력 중 구어능력(총발화수, 평균 낱말길이, 대화 개시 횟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총발화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의사소통행동 중 언어적 표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비언어적 표현에서는 웃기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아동의 기초문해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 책읽기 부모교육 전/후에 따른 자폐범주성장애아동 부모의 상호작용 전략과 관련하여 질문 유형(직접질문, 간접질문, 언급하기)은 모든 항목에서 증가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는 언급하기 항목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부모의 상호작용 유형(긍정/부정) 항목에서는 아동행동 반응하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변화를 사전·사후분석한 결과, 총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 영역을 살펴보면, 자녀영역에서 보상, 요구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부모영역에서는 유능감, 애착, 역할제한, 우울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상호작용 책읽기 부모교육 이후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구어 능력의 특성상 제한된 구어 사용이 상호작용의 질이 높아지면서 의미 있는 단어산출이 가능해짐에 따라, 총발화수의 증가를 가져왔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의사소통 행동(언어적, 비언어적)에서 웃기와 같은 긍정적인 행동의 증가가 나타났던 것은 부모가 가정에서 아동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며 반응해주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초기문해능력 변화에서는 교육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이는 상호작용 책읽기 전략으로 제시한 CROWD, PEER 전략이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이 글자에 관심을 가지게 점진적으로 유도하였으며, 음운인식의 발달을 돕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상호작용 책읽기 부모교육 이후 자폐범주성장애아동 부모는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특성상 공동주의와 모방하기, 사회적 참조 등 사회성 발달에 어려움을 보이기 때문에 모방하기, 응답하기, 자발대화 등의 언어적 표현의 증가시키기 위해 직접질문을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부모의 상호작용 유형(긍정/부정)에서 아동행동 반응하기의 증가는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상호작용 특성 중 눈맞춤의 어려움을 아동행동 반응하기로 횟수를 늘렸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부모 교육에서 익힌 다양한 기법은 아동-부모 간 긍정적인 경험을 하게 하였으며, 자녀의 요구를 관찰하고 효과적으로 반응하였기에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감소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 책읽기 부모교육이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밝히고 싶다는 연구의 의도도 있었지만, 부모-아동 상호작용에서 부모가 아동에게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정서적인 지지나 안정감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부모에게 굉장히 의의가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는 데에서 임상적 시사점이 있다. Preschool children can learn various language skills and intellectual activities, including how to concentrate on books, how to draw meanings from books and how to talk about the contents of books, through the shared book reading with their parents. Parents can draw children’s responses by using appropriate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promote their positive language by giving feedback to the respon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of parents education through shared book reading for children with ASD. The subjects included 10 children with ASD, who lived in Ulsan and ranged in chronological age from 5 to 6, and their parents. A pre-evaluation was conducted to analyze children’s verbal abilities, communicative behavior, early literacy and parents’ interactive behavior, types of questions and of parents’ parenting stress, by asking both parents and children to read two books, before the parent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the shared book reading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six sessions, once a week during six weeks, and constructed the program to allow parents to change their linguistic behavior during the book reading activity with their children, learn the shared book reading technique for promoting the children’s utterances, and applying it to the actual book reading with them. The curriculum consisted of how to select illustrated books, step-by-step book reading, how to begin shared book reading, asking questions, responsive strategy (PEER), promotion strategy (CROWD), early literacy and sharing parents’ difficulty in parenting. The researcher supported parents’ understanding by using ppt data or directly giving a demonstration at each session. Parents practiced the shared book reading activity with their children in homes, based on the strategies they learned on that day, and then, they filled the strategy diaries for a week and received feedback from the researcher at the next session. The post-evaluation similar to the pre-evaluation analyzed the same variables after six sessions of the parent education.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number of utterances (total number of utterances, average word length, frequency of conversation initiation) among the language skills of children with ADS, before and after parental education for reading.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inguistic expression among children’s communication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tem of smiling for the non-linguistic express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emergent literacy. Second, types of questions(direct and indirect questions and mentioning), which were related to parents’ interactive skills, increased in all items,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ntioning item between pre and post the shared book reading parent educ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to the child behavior in the item of parents’ types of interactions (positive/negative). A pre-post analysis on changes in parents’ parenting stress was conducted to show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tres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domains: compensation and needs for the child domain; competence, attachment, role limitation and depression for the parent domain.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Children with ASD and limited verbal abilities could produce meaningful words as the quality of interactions was increased after the shared book reading parent education, probably leading to a relatively larg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total number of utterances. In addition, the positive behavior such as smiling among the communicative behavior(verbal and non-verbal) was increased, probably because parents actively interacted with and responded to their children. Next, the early literac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education, suggesting that the CROWD and PEER provided as the strategies for the shared book reading gradually encouraged children with ASD to have interested in letters, resulting in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Parents might more frequently use direct questions to increase their children’ linguistic expressions such as imitation, response, spontaneous conversation, etc., as they had difficulty in the social development including joint-attention, imitation and social reference, etc.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with ASD, after the shared book reading parent education. In addition, parents’ types of interactions(positive/negative) were examined to show that the frequency of parents’ responses to the child behavior might be increased due to their difficulty in eye-contact. Finally, a variety of techniques parents learned from the parent education might help them undergo positive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children and decrease their parenting stress, as they observed and effectively responded to children’s needs. Although this study intended to elucidate that the shared book reading parent education contribute to enhancing children’s language skills, it has a clinical implication, in that it could verify that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very meaningful for parents, given that emotional support or a sense of stability is required for them to positively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 소설의 매체 변용양상 연구 : 2000년대에 영화화 된 작품을 중심으로

        서유진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It is now the era of image. One of the characteristic phenomena of the era of image is OSMU (One source multi use), the multiple distributive method based on IT network developing very fast, which is an example of media fusion. Producing consistently movies adapted from novels is one of such concrete examples. Research history in Korean Literature on novels and image description based on them can be largely divided to 3 periods as follows: The 1st generation focused on intertexturality between the novel and image description, and the 2nd generation focused on aesthetics of letter media and image media. Finally, the 3rd generation focused on intermediality. As a result of researches performed for about 15 years from the late 1990s to the present time, Korean Literature is now able to have wide and deep understanding on novels and image description based on them. However, these researches were limited in that they were locked in movie scripts and could not advance to study on image description as a combination of letters and image. Image description is substantially more affected by matters outside text, i.e., by cultural and social matters, in its process of meeting recipients, than the novel. Considering this, this paper will study works made in 2000s when autonomy was secured to some extent from state control and regulations. Also, to clarify differences between the novel and image description, those texts that show distinctively characteristics of letter media and image media were chosen as objects of study. Letter media of the novel enables description of abstract idea, whereas image media of image description does not allow concrete expression of abstract concepts. This is supplemented by image, sound, and editing. This paper will pay attention to these 3 functions that support image description and focus on investigating them to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the novel and image description. Chapter Ⅱ analyzed『Story of bugs』written by Lee CheongJun and the movie based on this,『Secret sunshine (밀양, 密陽)』directed by Lee ChangDong.『Story of bugs』by Lee CheongJun has the format of observing internal psychology of the wife who lost her kid and her husband's delivering it in the first person observer's viewpoint. This has duality of testified story and story of testifying. Apparently, 'I' am the observer and faithful in playing the role of mediator who speaks for wife's behavior and consciousness, and I am restricted to the viewpoint of observer. Internally, however, through subjective provision of meaning to facts, time is redistributed depending on testimony, and the analytical and commentary description clearly shows properties of letter media. By contrast, the opening of 『Secret sunshine (밀양, 密陽)』by Director Lee ChangDong shows clear and clean blue color 'sky' with vivid scene of cumulus clouds, and strong 'sunshine' of autumn, which are framed to the car-window outside on No. 20 「S#1. road (exterior/day time)」over the bridge in City of Milyang. The clear and clean blue sky was handled in the low angle viewpoint seeing the sky from below, and the sky was extended full in the frame interior, which anticipates hopeful new life in Milyang. Then, from the time of kid's abduction and going to verify the dead body, the clearness and cleanness of ‘autumn sky’ outside the window frame and strong ‘sunshine’ are reduced. Also, sky is reduced in the less Low Angle and the previous hopeful cheerfulness disappears. She goes to visit the kidnapper to forgive him in the name of god. However, before the victim, wife, forgives the kidnapper, he claims that he was already forgiven by god. Confronts with a series of images symbolized by god. A new character, Elder Kim of Grace Pharmacy that is said to grant god's grace, who strongly believes in god and tries to realize truth of god appears and decoys a visible object to come out of the window frame, and glares the sky with sunshine completely removed saying "See, you can see it." With bird's eye view over the character's head, Sinae and the sky are in the perpendicular relation to make the image of extreme confrontation. At home, glaring the ceiling with tears and laugh and repeating "See, you can see it", Sinae cuts her wrist with the knife she was using to peel an apple. After leaving hospital, the closing ends to the ground in「S#121. Sinae' home (exterior/day time). Sunlight shines thinly on soil and a blue plastic laundry detergent box dumped on the cement floor in the corner of yard, and on the weeds in the corner, and long take contemplates this. This is a clear property of image description. The open end implies that life will continue from there. Chapter Ⅲ dealt with『Shilmido 1 ? 2』written by Baik DongHo which added fiction to the primary fact of 'Shilmido Accident' to make a novel and the movie based on this, 『Shilmido』directed by Kang WooSuk.『Shilmido 1 ? 2』is composed of the Shilmido story Baik DongHo heard, when he was imprisoned in the CheongJu Correctional Facility, from Kang InChan who had been a trainee soldier of the Shilmido 684 Military Camp. On the other hand,『Shilmido』by Director Kang WooSuk eliminates exterior description and borrows only the internal description of Shilmido 1 ? 2』. But, only the historical accident was borrowed. Fictionality intervened deep and wide in the process of story development and, thus, fact was weakened. Also, background and character of the Shilmido 684 Camp trainee soldiers were cubically transformed and sound was added to this to make Leitmotiv. Sound was dubbed as Diegetic Sound occurring in the frame interior and the audio volume generated from the character activity is actually insufficient. Therefore, sound of Mickey Mousing, which physically harmonize act and background music with Non-Diegetic Sound, was dubbed and orchestra music was combined to this to show the characteristics that description always coexists with sound.『Shilmido』by Director Kang WooSuk adjusts background of characters and transforms Warrant Officer Choi JunHyun to a cubical character, and adds the Leitmotiv sound to this, to create descriptive aesthetics which shows a series of patterns that the absolute power of state controls and regulates individuals taking their lives as securities. The trainee soldier Kang InChan is set up as a death-row convict whose father is considered to have gone to North Korea, and is told that his life will be secured if he performs the operation in North Korea, and Warrant Officer Choi JunHyun is offered a deal based on lives that if he does not execute the order to kill the trainee soldiers, the whole Shilmido 684 Camp including all the regular soldiers will be removed. Also, regular soldiers including Sergeant Park are driven to the circumstance that if they do not kill the trainee solders who got through all joys and difficulties together, the regular solders themselves will be killed. Hence, nastiness and violence of the absolute power of state is dramatically strengthened and the tragic destiny of trainee solders and regular soldiers who are sacrificed helplessly is accentuated. Chapter Ⅳ dealt with『Old Garden』written by Hwang SukYoung and the movie nased on this,『Old Garden』directed by Im SangSoo.『Old Garden』by Hwang SukYoung has the format of reminiscence literature, and uses cross description that lists what HyunWoo and YunHi experience, respectively, in different spaces at the sane time, through mediation of the letter YunHi sent in the 1990s. This is visualized through cross-cutting in the『Old Garden』by Director Im SangSoo. HyunWoo who is staying in the 1980 experiences through YunHi's record in 1990s the pro-democracy movement and labor movement in the mid 1980s to 1990s in Korea, and also unification of East and West Germany and decline of the socialist nations bloc. Escaping from the description by subjective viewpoint of a general reminiscence novel that the character who was once involved in movement misses the past, to examine the past and obtain contemplative perspective of society, the character of Han YunHi was set up to play the role of observer of pro-democracy movement and labor movement in Korea and in overseas expand the space of studying in Berlin to choose the structure of consistent conversation. That is, while HyunWoo and YunHi were in the same time, the relation between the person who was locked inside the world and the person who was open to outside the world was in the structure of conversation and they enter into the step of mutual communication. Description is more dominantly and actively expressed in the viewpoint of YunHi who observed changes of era by herself outside the world than in the viewpoint of HyunWoo who felt fixed time inside the world. In the end, the personal life of HyunWoo in 1980s and the history observed in the viewpoint of YunHi in 1990s merges diachronically on the continuous line, to become the ground for advancing to 2000s. Hence, this forms the description that their diversities coexist, and the period that looks like a discontinuous description is tied to a continuous history of past-present-future. It emphasizes that life of YunHi's father in the 1970s, HyunWoo's life in the 1980s, and YunHi's life in the 1990s are all in contact with the present life of Ungyul, and this is the share Ungyul will carry forward in the future. “Revolution is short but life is long” and “You always existed as a trace to me, but as I think now you were the whole of my life". This is not a “simple confession of love", but an attitude for history. This research has a meaning in that it is a research which pays attention to intermediality based on media specificity of the novel and image description. Based on this research, the author will continue to study the whole of our novels and image description based on them. 바야흐로 영상의 시대이다. 영상 시대의 특징적인 현상 가운데 하나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다중유통방식인 OSMU(One source multi use)는 이런 미디어 융합 현상의 한 예이다. 소설을 각색한 영화가 계속하여 제작되는 것은 그 구체적 예의 하나이다. 소설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영상서사에 대한 국문학계의 연구사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세대는 소설과 영상서사의 상호텍스트성(Intertexturality)에 초점을 맞추었고, 2세대는 문자매체와 영상매체의 미학성에 초점을 맞추었고, 3세대는 상호매체성(Intermediality)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1990년대 이래 지금에 이르기까지 약 20년에 걸쳐 이루어져 온 연구의 결과 이제 국문학계는 소설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영상서사에 대한 넓고 깊은 이해를 갖출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영화 시나리오에 갇혀 문자와 영상의 결합으로서의 영상서사에 대한 연구에까지는 나아가지는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고 있다. 소설보다 영상서사는 수용자와 만나는 과정이 텍스트 외적인 즉, 문화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들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국가적 통제와 규제에서 벗어나 상당한 수준에서의 자율성을 확보했던 2000년대의 작품을 그 대상으로 한다. 또한 소설과 영상서사의 변별점을 규명하기 위해 문자매체와 영상매체의 특성이 두드러진 텍스트들을 대상으로 삼았다. 소설의 문자매체는 추상적 관념의 진술이 가능한 데 반해, 영상서사의 영상매체는 추상적 관념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어렵다. 이를 보완하는 것이 이미지(Image), 사운드(Sound), 편집(Editing) 등이다. 본고에서는 영상서사를 뒷받침하는 이들 세 가지의 기능에 주목하여 집중적으로 살핌으로써 소설과 영상서사의 관계를 해명하고자 한다. 제Ⅱ장에서는 이청준의 소설『벌레 이야기』와 이를 바탕으로 한 이창동 감독의 『밀양(密陽, Secret sunshine)』을 분석하였다. 이청준의『벌레 이야기』는 아이를 잃은 아내의 내면심리를 관찰하고, 1인칭 관찰자시점인 남편에 의해 전달하는 증언이라는 형식을 띈다. 이는 증언되는 이야기와 증언하고 있는 이야기로 이중적 특성을 지닌다. 표면적으로 관찰자인 나는 아내의 행동과 의식을 대변해주는 중개자 역할에 충실하며, 목격자의 역할에 제한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내면적으로 사실에 대한 주관적 의미부여를 통해 증언에 따라 시간이 재편되고, 분석적이며 논평적인 서사로 문자매체의 특성이 뚜렷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이창동 감독의『밀양(密陽, Secret sunshine)』의 오프닝은 밀양시 다리건너 20번 「S#1.도로(외부/낮)」위에서 차장 밖으로 프레임화된 청명한 푸른색상과 뭉게구름이 뚜렷이 보이는‘하늘’과 가을의 강렬한‘햇볕’이 있다. 청명하고 푸른 색상의 하늘을 아래에서 위를 바라보는 시선의 로우앵글(low angle)로 처리하여 프레임에 내부에 하늘을 확장하여 밀양에서의 희망적인 새로운 삶을 기대한다. 이윽고 아이가 유괴되고 사체를 확인하러 가는 시점부터는 차창 밖의‘가을하늘’의 청명함과 강렬한 ‘햇볕’의 강도가 약화되어 있다. 또한 하늘을 덜 로우 앵글(Low Angle)로 하늘을 축소시켜 이전에 희망적인 명쾌함이 소멸되고 있다. 유괴범을 하느님의 이름으로 용서하고자 면회를 간다. 그러나 피해자인 아내가 용서하기 전에 유괴범은 이미 하느님께 모든 죄를 용서받았다 한다. 이에 신애는 하느님으로 상징되는 여러 가지 이미지들과 대립한다. 하느님의 은혜를 베푼다는 은혜약국의 하나님의 실체를 굳게 믿고 그 진리를 실현하려고 노력하는 김 장로라는 새로운 인물을 설정하여 가시적인 대상을 유혹하여 굳이 차창 밖으로 나와 햇볕이 완전 거세된 하늘에 대고 ‘봐 보여’ 하며 노려본다. 인물의 머리위에서 버즈 아이 뷰(Bird's eye view)로 신애와 하늘이 수직적 관계가 되면서 극단적 대립을 이미지화 한다. 신애의 집에서 눈물과 웃음을 머금고 천장을 노려보며‘봐 보여’를 반복하면서 사과를 깎던 과도로 손목을 긋는다. 병원에서 퇴원 후 클로징은「S#121. 신애의 집(외부/낮)」의 지상으로의 땅으로 종결되고 있다. 마당 한쪽 시멘트바닥은 흙과 파란 플라스틱 빨래판 세제 통이 뒹굴고 있고 한켠에 잡초가 있는 그곳을 햇볕이 가느다랗게 비추고 롱 테이크(Long take)로 응시하는 영상서사의 미학의 뚜렷한 특성을 보인다. 열린 결말로 삶이 여기에서 지속될 것이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제Ⅲ장에서는 일차적인‘실미도 사건’이라는 팩트(Fact)에 픽션(Fiction)을 가미하여 소설화한 백동호의 『실미도1 ? 2』와 이를 바탕으로 한 강우석 감독의 『실미도』를 다루었다. 『실미도1 ? 2』는 백동호가 청주교도소에 수감당시 실미도 684부대의 훈련병 출신 강인찬에게 실미도 이야기를 전해들은 내용으로 구성된다. 반면, 강우석 감독의 『실미도』에서는 외부서사는 삭제되고 『실미도1 ? 2』의 내부서사만이 차용된다. 그런데 역사적 사건만 차용했을 뿐이다. 이야기의 전개과정에는 허구성이 넓고 깊게 개입함으로써 팩트(Fact)가 약화되고 있다. 또한 실미도 684부대 훈련병들의 출신성분과 인물들을 입체적으로 변형시키고 이 위에 사운드를 겹쳐 라이트모티브(Leitmoriv)화한다. 사운드를 입히는 방법은 프레임 내부에서 발생되는 디제시스적 사운드(Diegetic Sound)인 인물의 행동에서 발생되는 음량은 실제로는 미비하다. 그런 연유로 물리적으로 非디제시스적인 사운드(Non-Diegetic Sound)로 행동과 배경음악을 일치시키는 미키마우징(Mickey Mousing)의 사운드를 입히고, 또 그 위에 오케스트라 곡을 결합시켜 서사전개 내내 사운드와 공존하는 특성을 보인다. 강우석 감독의 『실미도』는 인물의 출신성분을 조정하고 최준현 준위를 입체적 인물로 변용하고 그 위에 라이트모티브(Leitmotiv)의 사운드가 더해져 생성된 서사적 미학은 국가라는 절대 권력은 목숨을 담보로 개인들을 규제하고 통제하는 일련의 규칙성을 보인다. 훈련병 강인찬이라는 인물을 월북한 것으로 추정되는 아버지로 인해 연좌제에 사형수로 설정하고 북파작전명령을 수행하면 목숨만은 보장한다고 했으며, 최재현 준위에게는 훈련병을 사살하는 명령을 이행하지 않으면, 기간병 모두를 포함해 실미도 684부대 전체를 제거하겠다고 목숨을 담보로 거래를 한다. 또한 박 중사를 포함한 기간병들은 동고동락한 훈련병들을 사살하지 않으면 기간병이 사살 당하게 되는 상황으로 몰아감으로써 국가라는 절대 권력의 비열함과 폭력성은 극적으로 더욱 강화되고 그 속에서 무력하게 희생되는 훈련병들과 기간병들의 비극적 운명이 뚜렷이 부각된다. 제Ⅳ장에서는 황석영의『오래된 정원』과 이를 바탕으로 한 임상수 감독의 『오래된 정원』을 다루었다. 황석영의『오래된 정원』은 후일담 형식으로 윤희의 1990년대에서 보내온 편지라는 매개를 통해 현우와 윤희가 같은 시간대에 공간을 달리하며 각자의 체험을 나열하는 교차서술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임상수 감독의 『오래된 정원』에서는 교차편집(Cross-cutting)을 통해 영상화된다. 1980년에 머무르고 있던 현우는 윤희의 1990년의 기록을 통해 국내의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의 민주화운동과 노동운동과 그리고 동서독의 통일과 사회주의권의 몰락을 체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후일담소설이 운동에 투신했던 인물이 과거를 동경하는 형태의 주관적 시점에 의한 서술에서 벗어나, 과거에 대한 반성과 사회에 대한 관조적 시선을 얻기 위해 한윤희라는 인물을 설정하고 국내와 민주운동과 노동운동의 목격자 역할을 하게 하고, 국외에서는 베를린 유학이라는 공간을 확장시켜 지속적인 대화의 구조를 선택한 것이다. 즉, 현우와 윤희가 동일한 시간대이지만 세상 안에 갇혀있는 자와 세상 밖의 열려있는 자의 관계는 대화를 매개로 상호 소통의 단계로 나아가게 된다. 서술의 주도권이 정지된 시간을 체감하는 세상 안 현우의 시선보다는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을 직접 목격하는 윤희의 시선에 의해 더 적극적으로 표출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1980년대의 현우의 개인적 삶과 1990년대 윤희의 시선으로 목격된 역사가 연속선상에서 통시적으로 꿰어지게 된다. 이로써 그들의 다성성이 공존하는 서사를 이루어내며, 불연속적 서사일 것만 같은 시간은 과거-현재-미래라는 연속적 역사 속으로 묶이게 되는 것이다. 윤희 아버지의 1970년대의 삶과 1980년대의 현우의 삶을 1990년대의 윤희의 삶을 모두 현재의 은결이의 삶과 맞닿아 있음을 역설하고 앞으로는 은결이이 끌어안고 갈 몫이 되는 것이다. 그 시대를 아무리 “혁명은 짧지만 인생은 길다”라며 “당신은 언제나 내게 흔적으로 존재했지만, 지금 생각해보니 내 삶의 전부였다.”라고 말한다. 이것은 “단순한 사랑 고백이 아니라, 역사에 대한 하나의 태도가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소설과 영상서사의 매체적 특수성을 바탕으로 상호매체성(Intermediality)에 주목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 소설과 이를 바탕으로 한 영상서사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계속해 나가고자 한다.

      • 선박의 편의취득과 취득세에 관한 연구

        서유진 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Vessel flags of convenience have been regarded as a common practices throughout the world. In the case of Korea, Flag of convenience has been practiced as a method to secure ship funds and to increase quantity of vessels. As a result, Korea could become world's 5th largest in maritime country. Advantages on flag of conveniences are tax savings, savings on labor costs, evasion of regulation and securing vessel funds. However, there are also some drawbacks on flag of convenience; insecurity of vessels and sailors, and rescuing issues during maritime accidents and easiness as tax haven. Leading countries, in many cases, do not levy a tax on flag of convenient; nevertheless, Korean Supreme Court recently ruled that beneficial owner of the ships needs to pay acquisition taxes under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because transfer tax was already imposed as acquisition tax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main purpose of court charging an acquisition tax under the regulation on substance over form doctrine towards a ship sailing under a flag of convenience is to give liability on the beneficial owner of the ship in order to prevent any marine related incident·accident and also to block possibility of tax haven by paper companies. Also, it presented a good example of how government could impose an acquisition tax by applying regulation of substance over form which it was a common practices in problems in taxation of the flags of convenience. This expandability of acquisition tax will strengthen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Another important point is that the Supreme Court of Korea stated the very obscure definition of substantial whether the word substantial means as economical substance or not. Accordingly, First, Korean government should levy a acquisition tax under local law with substantially to prevent tax avoidance. At second, We should seek the fairness of taxation throughout economically substantial methods according to the Framework Act on Local Taxes Article 17. At last, The law should continue to levy acquisition tax under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with very economically substantial methods, overcoming the disregard of legal entity. In Korea most of import and export supply are transported by ship, and it makes shipping industry very important and profitable. However, To achieve fairness of taxation and tax justice under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and to establish tax system, Korean government should impose acquisition tax to the beneficial owner of the ship with the relevant interpretation of substantial, economically substantial. 선박의 편의치적은 전 세계적인 관행으로 여겨져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편의치적 하는 방법으로 선박자금을 확보하여 선박보유량을 늘려왔고 그 결과 세계 5위의 해운 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편의치적은 세금절감, 인건비 절약, 각종 규제회피 및 선박자금 확보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선박·선원의 안전문제, 해난사고 시 구조 문제, 조세회피의 용이함이라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편의치적선에 대하여 세계 주요 편의치적국들은 과세하지 않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그동안 유통세로서 과세하여오던 취득세에 대해 최근 대법원에서는 실질과세원칙을 들어 선박의 실소유자에게 취득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판결(대법원 2011.04.14. 선고 2008두10591)이 나왔다. 법원이 편의치적선에 대해 실질과세원칙을 적용하여 취득세를 과세하는 태도는 편의치적선으로 인한 해양 관련 사건·사고에서 실소유자에게 책임을 지우고 페이퍼컴퍼니를 이용하여 조세회피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그리고 그동안 관행이었기에 조세회피 문제에서 다소 자유로웠던 편의치적의 과세문제에 대해 실질과세원칙을 들어 취득세를 부과하였다는 것은 다른 취득세 사례에서도 실질과세원칙의 적용이 확대되어 나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본다. 그러나 대법원은 취득세를 실질과세에 따라 부과한다고는 하였으나 그 “실질”이 경제적인 실질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이고 명확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 따라서 첫째, 지방세법상 취득세를 “실질”에 입각하여 부과함으로써 조세회피의 가능성을 차단하고 둘째, 지방세기본법 제17조 실질과세에서 “실질”을 “경제적 실질”로 보아 조세정의와 조세 공평성을 구현해야 하며 셋째, 법인격 부인의 조세법 적용에 있어서 주관적 남용의사에 대한 판단이 어렵고 아직은 법인격 부인의 조세법 적용에 대한 논란이 많기 때문에 경제적 실질의 입장에서 실질과세원칙에 의해 취득세를 과세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판단된다. 우리나라는 전체 수출입 물량의 대부분을 해운으로 운송하는 만큼 해운업이 우리나라의 중요한 산업임은 틀림없다. 그러나 실질과세원칙이 추구하고 있는 조세정의와 조세 공평의 이념을 달성하고 올바른 조세체계 확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실질”의 해석에 관한 틀을 “경제적 실질”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선박의 실소유자에게 과세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옳다고 본다.

      • 측두하악관절염 환자에서의 하악 과두 표면 변화에 따른 하악골의 위치 변화

        서유진 부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dylar head surface changes and mandibular position in patients with TMJ osteoarthritis. 36 OA adult patients included 20 patients(8 men, 12 women, aged 22.0±11.5 years) exhibiting unilateral OA and 16 patients(1 man, 15 women, aged 25.7±6.4 years) exhibiting bilateral OA. 72 condyles were reconstructed and superimposed first visit(T0) and 1 year after TO(T1) to compare the changes of condylar head surfaces. To evaluate mandibular position, 35 points measurements of mandible and maxillomandibular teeth were obtained in T0 and T1 CBCT images. And the variation between two points corresponding were investigated. Therefor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Condylar head surface changes were significant in affected side condyle of patients exhibiting unilateral and bilateral OA(P<0.05). And the points showed prominent variation were on mandibular symphysis.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mandibular symphysis shifted to the affected side and downward in the unilateral OA, and roatated towards posterior and downward in the bilateral OA(P<0.05).

      • 스크립트 중재가 학령기 자폐성장애 아동의 마음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서유진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크립트 중재가 마음읽기 이해와 표현에 어려움을 가지는 학령기 자폐성장애 아동의 마음읽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학령기 자폐성장애 아동 3명을 대상으로 스크립트 중재가 마음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평가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자폐성장애 아동에게 스크립트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정서를 이해하고 표현하도록 중재를 구성하였다. 중재는 한 회기당 40분간 총 24회기를 실시하였고, 중재 프로그램은 총 6개의 주제로 스크립트를 구성하였다. 6개의 스크립트를 하나의 주기로 하여 두 번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1주기는 스크립트 상황을 훈련하며 스크립트 속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정서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2주기는 스크립트 속 상황에서 일어나는 정서에 대해 표정 짓기, 말풍선 완성하기, 활동 작성판을 완성하는 것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아동 모두 사전 평가와 비교하여 사후 평가에서 마음읽기 이해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연구대상 아동 모두 사전 평가와 비교하여 사후 평가에서 마음읽기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스크립트 중재가 학령기 자폐성장애 아동의 마음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