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광 참여동기와 문화 적응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 관계연구 : 재한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서우가 우송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주로 관광 참여동기와 문화 적응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 적응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여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유학생들의 유학기간 문화 적응 스트레스를 개선하기 위해 대학생활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 스마트관광 기술속성이 기대일치 및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중국 사용자의 디지털 정보 활용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우가 우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독립변수인 스마트관광 기술속성을 접근성, 정보성, 상호작용성, 개인화로 구분, 스마트관광 기술속성에 대한 기대일치, 사용자의 지각된 용이성·유용성과 지속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디지털 정보 활용능력의 조절효과 유무를 파악한 결과를 통해 스마트관광의 발전을 위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 중국의 전통문화와 중국현대건축혁신의 연관 연구

        서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1839

        현대건축의 반세기동안의 급속한 발전과정에 발로된 최대의 결함은 전통과의 격리에 있는바 세계의 문화가 다원화 내지 지역화추세가 강화되면서 각국의 건축사들은 모두 현대건축관념이 기술과 지역성 및 민족문화와 결부되어야 건축물이 영구적인 생명력을 부여받게 된다는것을 인식하고 있다. 전통건축문화의 승계와 현대건축의 혁신의 문제는 현대건축과 문화적 지역성, 민족성 및 다원화사이의 연관성을 포함하며 동시에 새로운 건축기술과 새로운 건축이념이 끊임없이 발전하는 전제하에서 어떻게 건축문화의 내재적 연속성을 확보할것인가 하는 등 다방면의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전세계건축사와 건축이론연구가들의 보편적인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물론 상기문제에 대하여 많은 공동의 인식을 도출해내기는 했지만, 부동한 국가, 지역 그리고 개인사정에 따라 그 인식에는 상당한 차이점이 보여지며 건축활동에서 취하는 방식이나 수단 또한 제각각임을 볼수 있다. 때문에 해당문제에 대한 연구와 토론은 우리나라 건축학계를 놓고 볼때 이론과 실천적인 면에서 모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건축의 혁신문제는 직업건축사들이 시시각각 예의주시하고 힘써 실천해야 하는 중차대한 문제로서, 건축물의 형식뿐만 아니라 내용 그리고 정신적인것에서도 건축사들은 모든 설계안에서 새로운것의 창조에 힘을 기울여야 할바다. 이를 위하여 수천년간 인류는 끊임없는 노력을 하여왔으며 현시대에도 건축사들은 건축의 발전과 혁신을 위하여 여러측면으로 해당분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일정한 성과를 취득하였는바 이러한 연구성과들은 우리들의 과제의 토대와 전제조건으로 되고 있다. 신합리주의(Neo-rationalism), 신네이티브파, 포스트 모더니즘, 해체주의, 하이테크파, 신모더니즘,간결파, 신표현주의(Neo-Expressionism), 유기주의 등 건축이념들이 있는데, 그중 일부는 전통문화승계에서 출발하여 현대의 혁신이라는 시각에서, 일부는 하이텍의 활용과 형식적인 혁신측면에서 건축을 다루는 등 여러측면으로 건축을 연구하고 있다. “우리는 현재 문화의 세대의 격차를 경험하고 있으며 전통과 현대라는 두가지 조화되지 못한 문화의 모순속에서 살아가고 있다.”우리나라의 많은 건축사들과 건축이론가들은 한편으로는 풍부한 건축문화전통을 보유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대부분 현대건축이론과 실천에 함몰되어 자기만의 독창적인 건축이론체계를 구축하지 못하였으며 “중국특색의”건축실천의 길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목전, 국내에서 해당 과제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혹자는 소개하는데에 그치고 혹자는 건축사, 심리학,철학 등 분야에 대한 연구에 기울어져 있으며 그 연구 또한 상대적으로 단편적이어서 아직까지는 체계적이고 전면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중국의 건축학계는 반드시 전통문화와 외래문화의 교류와 비교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독창적인 이론체계를 수립하여야 한다. 이는 중국건축의 발전에 있어서 반드시 넘어야 할 단계이며 또한 세계적인 범위에서 보편적인 가치를 가지는 현실적인 사업이기도 하다

      • 1883년 한국 장로교회 첫 세대가 된 김성섬 일가의 신앙 의식에 대한 미시사적 연구

        서우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조선 왕조는 1870년대에 문호를 개방하고 근대화를 시작했으나, 일본을 따라가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러한 모순과 국내의 혼란으로 동학농민운동이 발발하였고, 갑오개혁으로 근대화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가운데 황해도 소래에는 서상륜 · 서경조 형제의 복음 전도로 소래 지역의 유지였던 광산 김씨 김성섬의 일가가 예수를 믿기 시작했다. 소래 교회가 세워졌고, 언더우드와 맥켄지 등의 선교사가 찾아와 사역했다. 또한 김성섬의 아내 안성은은 최초의 여자 전도부인으로서 사역했다. 광산 김씨 제 1세대의 신앙적 특징으로는 첫째, 선교사들에게 많은 영향을 받은 점, 둘째 말씀과 기도를 사모하는 영혼 구원 중심적이며 종말론적 신앙이라는 점, 셋째 소래마을 중심의 지역 공동체, 가족 공동체에서 벗어나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어지는 제 2세대의 시기는 일제가 조선을 완전히 지배해 나갔던 기간이다. 을사늑약으로 각지에서 의병운동이 일어났고, 한일병탄으로 국권이 피탈되었다. 한편 개신교는 부흥운동을 통하여 급격한 양적인 성장을 이뤄냈다. 김성섬 일가의 2세대는 김윤오, 김필순, 김순애, 김필례가 중심이라고 할 수 있겠다. 김윤오는 일찍이 여러 민족지도자들과 교분이 깊었고, 김필순과 함께 서울에서 김형제 상회를 차렸다. 또한 동지들과 함께 서우학회를 창립하여 총무 직을 수행하기도 했다. 김필순은 제중원의 에비슨을 도와 의학을 배웠고, 세브란스 병원 제 1회 졸업생 중 한명이 되었다. 안창호와 의형제를 맺은 사이였고, 105인 사건 이후 서간도를 지나 치치하얼로 이주하여 그 곳에서 이상촌을 건설하고자 했다. 김순애는 독립운동가 김규식과 결혼했고, 이후 신한청년단, 대한애국부인회, 대한적십자 등 사회단체에 참여하며 활동하였다. 김필례는 YWCA, 근우회 등을 조직했으며, 광주 수피아여고, 정신여중 등지에서 교육자로 활동했다. 광산 김씨 제 2세대의 특징을 보자면, 먼저 이들은 일찍 개신교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서양 근대 문물에 개방적일 수 있었다. 그래서 과거의 유산으로부터 많이 벗어났다. 또한 이들은 국권의 피탈을 눈 앞에서 목도하며, 개신교인으로서의 사회참여, 계몽운동, 독립운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러면서 안창호, 이동휘, 김구, 김규식 등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들과 연계를 맺었으며, 한국을 벗어나 해외 다양한 지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이들은 독립운동을 수행하되 교육과 의료, 계몽 사업에 집중했으며, 이 시기에 선교사들과의 연계가 끊어지는 것을 보게 된다. 3세대의 시기는 3 · 1 운동으로 독립운동의 열의가 정점을 찍었던 시기였다. 그러나 그 후로 일제는 문화통치라는 명목으로 더 강압적인 통치를 가했고, 이에 따라 국내의 독립운동 세력은 해외로 이주하여 새로운 길을 모색하기도 하고, 또 사회주의 사상을 받아들이기도 했다. 광산 김씨 제 3세대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김마리아를 들 수 있는데, 그녀는 동경 유학 당시 2 · 8 독립선언에 참여하고, 국내에서 3 · 1 운동에 참여하여 일경에게 모진 고문을 당했고, 이후 임시정부를 위한 독립운동 자금 모금, 애국부인회, 근화회 등에서 활동하였다. 또한 김염은 중국의 영화황제로 추앙받기도 하며, 여러 항일 영화에 출연하여 중국인들에게 크게 사랑을 받기도 했다. 그 외에도 여러 세대원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묵묵히 살아갔다. 제 3세대는 2세대와 마찬가지로 근대 교육을 받은 세대로 성장했으며, 해외 이주가 장기화되기도 했다. 그로 인해 친족의식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고, 그로 인해 항일 독립운동의 정신과 기독교적 가치관 역시 변화를 가져왔다. 광산 김씨 가계를 종합적으로 봤을 때, 이들은 개신교를 받아들임으로 급속한 근대화를 경험하였고, 또 항일 독립 운동과 민족의식을 공유하며 계승해 나아갔다. 또한 많은 여성들이 교육을 받고 사회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 2016-2020년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자료를 활용한 자해·자살 발생의 정신건강 시스템 요인 연구

        서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한국의 지역 수준의 자해·자살시도의 발생률을 살펴보고 지역별 정신건강 시스템 요인이 발생률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수집된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자료와 보건복지부의 「국가정신건강현황 보고서」를 활용하였다. 5년간 17개 시도별 자해·자살시도 발생률을 살펴보고, 패널분석을 통해 17개 시도별 인구 1인당 정신건강 예산, 인구 10만 명당 정신건강전문인력, 사례관리자 1인당 등록 정신질환자 수 변화에 따른 발생률의 차이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5년간 모든 시도에서 자해·자살시도 발생률은 증가하는 추세며 발생률 이 가장 높은 지역은 충청도와 제주도, 발생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광주, 서울이었다. 시도 단위에서 자해·자살시도 발생률의 분포는 자살률 과 유사한 경향을 가졌다. 이는 자살시도가 자살사망의 위험인자가 된다 는 선행연구의 논의를 뒷받침하여 발생률이 높은 지역을 자살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패널분석 방법으로는 고정효과 모형과 동적 패널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고정효과 모형과 동적 패널모형에서 모두 지역사회 정신건강 예산이 자해·자살시도 발생률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가졌다. 고정효과 모형에서는 사례관리자 1인당 등록 정신질환자 수가 많을수록 발생률이 높았으며 동적 패널모형에서는 인구 10만 명당 정신건강전문인력 수와 발생률이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상에서 자해 및 자살시도 문제가 큰 지역일수록 오히려 예산도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고, 이는 자살률과 자원의 관계를 분석한 선행 문헌이 지적한 바와 같이 정신건강 문제가 현저한 지역에서 더 많은 예산과 지원금을 투입하는 경향을 일부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정신건강전문인력 수는 대표적인 보건의료 자원과 서비스 접근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본 연구의 시도 단위 분석에서 해당 지표의 증가는 낮은 발생률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정신건강 전문인력 분포가 대부분 의료기관 및 전문의 인력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이는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의 효과로 해석될 수 있다. 사례관리자 1인당 등록 정신질환자 수는 관리부담의 측면에서 해석될 수 있다. 관리부담은 서비스 제공의 양과 질 모두에 영향을 미치므로 특정 지역에 불평등한 일차예방 인력 분포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시도 단위의 정신건강 시스템 요인이 자해·자살시도 발생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도 단위의 집계자료라는 점과 5년으로 제한된 관측 데이터의 한계로 인해 관심변수와 결과변수 사이의 역인과 가능성이 남아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관측 개체수를 확보하여 다양한 지역적 요인과 변수의 내생성을 통제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주요어 : 자해, 자살시도, 정신건강, 보건의료 시스템, 패널분석 학 번 : 2022-25476 서우인 Suicide is a serious public health concern. South Korea’s suicide rate reached 25.7 deaths per 100 thousand population in 2020, remaining the highest rate among OECD countries. While previous self-harm or suicide attempt is the most relevant indicator of suicide risk, few studies in Korea hav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suicidal behaviors and health system factors within a community-level scope. This study investigated a community-level incidence of suicide attempts and self-harm in Korea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incidence and community-level system factors. With nationwide data ‘Community-based Severe Trauma Surveillance’ in 2016-2020, this study made a panel data which includes sido-level mental health system indicators and the intentional suicidal behavior incidence for 5 years. Using the fixed-effect model and system GMM model methodology, this study found that mental health expenditure per capita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p<.01) and the number of mental health workers including psychiatrists, psychiatric nurses, and primary care professional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p<.05). The number of patients per case managers for preventing suicide i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p<.001). Self-harm and suicide attempt incidence rates are also unequally distributed within a country similar to suicide rates. Those differences among communities and region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ystem factors for mental health, which implies that suicidal behaviors such as self-harm and suicide attemp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community-level resources for preventing suicide.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nvestigate various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potentially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within a smaller size community level.

      • Ultrasonic Anemometer and Its Application : Indoor Positioning System with Multiple Sensors

        서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1823

        자율이동 로봇이란 현재 상태를 스스로 인지하여 목적을 수행하는 로봇을 말한다. 위치인식은 자율이동 로봇이 목적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위치인식 방법은 크게 상대위치 인식 방법과 절대위치 인식 방법으로 나누어 진다. 상대위치 인식 방법은 이전의 위치에 현재 변위를 누적해 나감으로써 현재 위치를 추정한다. 상대위치 인식 방법은 연산이 간단하고 측정 주기가 빠르며 짧은 시간 동안은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측정오차가 누적되어 추정 위치가 발산하게 된다. 상대위치 인식 방법으로는 관성센서를 이용한 방법과 이동로봇의 바퀴에 부착된 엔코더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관성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은 가속도 센서로 측정된 가속도를 적분하여 속도를 추정하고 추정된 속도를 다시 적분하여 위치를 추정한다. 따라서 가속도 측정오차가 속도에 누적되어 추정된 속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산하게 되고 위치는 다시 누적되어 더욱 빠르게 발산하게 된다. 엔코더를 이용한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는 오차를 가진다. 하나는 systematic 오차로 바퀴의 거리, 바퀴의 유효반지름, 바퀴축의 어긋남 등의 시스템 제원의 오차에 의해 항상 나타나는 오차이다. 다른 하나는 non-systematic 오차로 바닥의 굴곡, 바닥의 미끌림, 장애물에 의한 공회전, 가감속 시 공회전, 장애물과의 충돌 등으로 인해 예측할 수 없는 큰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런 오차는 바퀴의 회전이 이동로봇의 움직임과 차이가 나는 경우 발생한다. 절대위치 인식 방법은 매 측정이 현재 위치를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 위치 측정 주기가 느리고 계산하는 알고리즘이 복잡하며 외부에 위치 추정을 도와줄 수 있는 추가적인 장치를 필요로 한다. 실외에서는 위성 항법 장치(GNSS :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 주도적으로 사용되지만 실내에서는 주도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없다. 실내 위치인식에 사용되는 절대위치 측정 방법으로는 초음파, RFID, 적외선 센서, 카메라, 레이저 스캐너,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성센서, 초음파 풍속계 및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실내 위치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상대위치 인식 방법으로 관성센서와 초음파 풍속계를 이용한다. 초음파 풍속계는 원래 고정된 위치에서 초음파의 매질은 공기의 속도 및 방향을 측정하는 장치로 이동로봇에 설치되어 공기가 정지되어 있는 실내에서 이동로봇이 이동하면 정지해 있는 공기의 상대적인 움직임으로 이동로봇의 속도를 측정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관성센서의 추정 위치가 빠르게 발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엔코더를 주로 사용하거나 주기적으로 이동로봇이 정지한 다음 추정 속도를 0으로 초기화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엔코더를 이용한 방법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예측할 수 없는 큰 오차에 의해 시스템 성능이 나빠질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이동로봇을 정지시키는 방법은 작업의 효율을 나쁘게 할 수 있다. 관성센서를 이용한 방법과 초음파 풍속계를 이용한 방법을 결합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칼만필터를 사용한다. 절대위치 인식 방법으로는 블루투스 RSSI를 이용한다. 블루투스 RSSI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range-based 방법으로 불리는 삼각측량 방법과 range-free 방법으로 불리는 핑거프린트 방법이 있다. 핑거프린트 방법은 작업 공간의 모든 위치에서 각 비콘들로부터 RSSI 를 측정한 다음 현재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서의 각 비콘들로부터 RSSI와 비교하여 벡터 거리가 가장 짧은 위치를 현재 위치로 추정한다. 삼각측량 방법은 블루투스 비콘이 설치된 위치를 미리 아는 상태에서 블루투스 RSSI를 거리로 환산하여 삼각측량법에 의해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 블루투스 RSSI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은 위치에따른 오차 모델이 달라지므로 위의 두 가지 방법 모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RSSI를 이용한 range-based 방법을 사용하지만 삼각측량은 사용하지 않고 거리측정 자체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블루투스 거리 측정 모델은 위치에 관계없는 측정오차 모델을 가진다. 상대위치 인식 방법과 절대위치 인식방법을 결합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파티클 필터를 사용한다. 파티클 필터는 non-linear, non-Gussian 모델에 대해서도 잘 동작하는 시뮬레이션 기반의 통계필터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추정 위치가 가우시안 모델이 아니기 때문에 파티클 필터를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확인하고 실제 실험 결과와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 하였다. 실제 실험으로 보이기 힘든 추정위치가 발산하지 않는다는 것은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 저탄소 녹색청사 구현을 위한 온실가스,에너지 저감 방안 연구 : 하남시청 사례

        서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1823

        Recently, nature disaster has frequently happened to the earth by global warming. In general, a global village of 7 billion people has been experienced in huge economic loss such as drought, flooding and wildfires. Korea is also not an exception. Climate change is obvious it is affected by global warming. Currently, in order to prevent global warming effect under intergovernment communications, they have considered that GHG(Green House Gas) emissions are one of the major causes for global warming due to excessive use of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oil etc. Thus, it is given that we are more interested in GHG reductions related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s in social GHG recognitions and countermeasure methods against global warming. As of now, Korea is not annex-Ⅰcountry of the Kyoto Protocol, even though total GHG emissions rank 9th in the world. However, we would need to prepare for GHG reduction plans due to highly possibility for annex-Ⅱ country in the near future. For preparing for GHG reductions,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ave made efforts to reduce GHG emissions by formulating policy for energy savings and GHG reductions, also suggested action plans by low carbon green growth law being enforced in Korea, in addition, provided basic law of GHG reduction targets in mid-term government policy(30% mitigation potentials versus BAU(Business as usual) in 2020) based on GHG & energy target setting program. GHG & energy target setting program was in enforcement with basic law by GHG & energy target management and operation in public sector in January, 201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struction of GHG inventory as well as reduction plans in Hanam city hall contained GHG & energy target setting program. Therefore, in chapter 1, we reviewed theoretical background and status of GHG,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in Korea, and in chapter 2, constructed energy balance and GHG inventory in Hanam city hall, finally, from the results, in chapter 3, suggested GHG & energy reduction plans for the implementation of low carbon green government office building.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대규모의 자연재해가 빈발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대응에 취약한 개발도상국에서는 가뭄과 홍수, 산불 등으로 고통을 받는 등 지구촌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또한 예외일 수 없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부정할 수 없는 명백한 사실이다. 현재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전 세계가 대책을 논의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의 원인으로 화석연료(석탄, 석유 등)의 과도한 사용과 함께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로 보고 있다. 그리하여 국내외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고 사회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인식과 구체적인 대응방법이 제시되고 있는 시점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국가 총 배출량이 세계 9위이면서 감축의무 대상국에서 제외되어 있지만 향후 2차 의무 감축 대상국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대비를 위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에너지 절약,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여러 정책을 펼쳐 온실가스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제시하며, ‘국가 중기 온실가스 감축목표(2020년 배출전망(BAU) 대비 30%감축)’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구체적인 달성 방안으로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운영을 제시하였다. 목표관리제는 2011년 1월 「공공부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이 고시됨에 따라 법적 근거를 기반으로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의 관리업체에 포함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중 청정하남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하남시청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저감 방안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1장에서는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실태 및 지구온난화의 원인인 온실가스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으며, 2장에서는 하남시청의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을 하였으며, 3장에서는 저탄소 녹색청사 구현을 위한 온실가스․에너지 저감방안을 제시하였다.

      • 국내?외 아동학대 연구동향의 비교분석

        서우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1823

        아동학대는 아동복지를 실천하는데 가장 장애가 되는 분야이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아동학대 연구동향 분석이 아동복지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보고, 지금까지 아동학대 선행연구 논문들의 내용분석법을 적용하여 동향파악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들의 문제점과 보완책을 제시함으로써 우리 나라의 아동학대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되는 후속 연구들의 방향제시와 연구방법의 선택에 도움을 주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① 국내의 아동학대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② 국외의 아동학대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③ 국내와 국외의 아동학대 연구동향의 비교는 어떠한가? 를 연구문제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의 한 방법인 내용분석법을 적용하여 기술하였고, 분석대상 연구 논문은 국내·외 연구 논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975년부터 1993년까지 발표된 아동학대 관련 문헌목록집을 가지고 '한국에서의 아동학대 연구경향'이라는 선행연구가 있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분석대상 연구 논문의 연구기간은 1994년부터 2000년까지로 정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분석은 아동학대의 ① 개념·정의 및 유형 ② 연구방법 ③ 발달 ④ 원인 ⑤ 실태 ⑥ 대책 등 모두 6개 분석항목을 선정하여 연구동향을 비교분석 하였다. 본문의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학대의 개념·정의 및 유형의 연구동향은 국내·외 연구 모두 최근까지 학자들마다 개념·정의 및 유형에 대한 서로 다른 의견으로 논란을 계속하여 왔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지금까지 개념·정의에 대한 연구의 방향은' 외국 문헌의 고찰을 통한 정의의 개념화⇒ 외국의 척도를 이용한 한국부모의 인식 파악을 통한 개념화⇒ 한국의 일반인의 인식 파악을 통한 개념화⇒ 한국의 전문가의 견해 파악을 통한 개념화⇒ 광의·협의의 개념화⇒ 법적 정의의 개념화' 순으로 이어지고 있다. 국외의 경우는 아동학대 연구에 대한 오랜 기간의 역사와 방대한 연구업적에도 불구하고 아동학대의 정의를 내리는 것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학자들 간의 공통된 견해가 없는 실정이다. 이는 외국의 학자들은 확고한 학문적인 이해의 토대 위에서만 정의가 발전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서 연구자의 주관적인 시도는 인정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아동학대의 연구방법의 연구 동향을 보면 국내의 아동학대에 대한 원인과 실태의 연구방법은 거의 대부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양적 연구인데 반해 대책의 연구방법은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 연구나 사례분석, 또는 이를 바탕으로 한 도구 제작 등 질적인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외 연구는 어느 한 유형에 의해서만 연구가 고안되지 않고 연구설계나 방법상의 특징을 강조한 새로운 유형의 연구방법들이 발전되고 세분화되어 소개되고 있다. 셋째, 아동학대가 발달상에 미치는 연구 동향을 보면 국내의 제 1기(1975∼1988), 2기(1989∼1993)까지의 연구들은 주로 신체적 학대를 다룬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1994년부터 2000년 사이의 발달과 관계된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신체적 학대뿐만 아니라 제 1, 2기에는 다루지 않던 언어적 학대, 성적 학대, 방임 등 아동학대 전반적인 유형에서 발달상의 미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외의 연구는 태아부터, 신생아기의 아동학대를 예측하는 연구에서부터 연령별로 발달 단계에 미치는 종단적 차원의 연구까지 전(全)생애 발달적인 측면에서 아동학대를 다루고 있다. 넷째, 아동학대 원인의 연구동향은 국내·외 모두 발생원인에 대한 이론적 접근 외에 관련 제 변인의 파악, 단일원인에 심화된 고찰 등 세 부분으로 구분하여 탐색하였다. 이 가운데 국내의 이론적 접근을 보면 아직도 외국이론을 단순히 소개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아동학대 실태의 연구동향을 보면 제 1기(1975∼1988)와 제2기(1989∼1993)까지는 전국적인 규모의 실태 파악이 어려웠지만, 1994년 이후부터는 사회복지시설, 특정지역의 실태 파악에서부터 전국적 규모의 실태 파악까지 제 1, 2기에 비해 비교적 광범위하고 포 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외는 아동학대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다민족적, 다문화적 차원의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섯째, 아동학대 대책의 연구동향을 보면, 아동학대에 대한 세계적인 동향은 예방이 최선의 치료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국내의 연구는 예방을 강조하면서도 제 1, 2기에 이어 지금까지 아동학대의 예방은 치료대책과 함께 동시에 취급되어 왔으며, 원인이나 실태에 비해 발표된 연구수도 극히 한정적이다. 한편, 국외는 아동학대 방지를 위한 예방 프로그램이 해마다 보완되어 비교적 활성화되어 소개되고 있고, 치료대책 역시 사회적 후원과 정책을 고려한 수준 높은 의료적 치료대책을 제시함으로써 아동보호서비스(Child protective services-CPS)의 대안적 반응들이 최근의 이슈로 등장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본 연구의 동향분석을 통해 향후 연구 가능한 아동학대 주제에 대한 전망을 가늠해보고, 연구방법에 있어서도 기존의 일관된 연구방법과는 달리 통합적 접근 방식의 새로운 연구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통찰력을 제공하였다는 점은 본 연구의 의의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Since child abuse is the primary factor to hinder the proper execution of Child Welfare Systems,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on child abuse is deemed imperative.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data in order to enrich current scholarship, and suggest viable research methods for succeeding studies. This research will explore a variety of problems and will present complementary measures to prevent and remedy the situation of ongoing child abuse in South Korea. A content analysis method is applied to analyze the theses of existing Child Abuse studies, in order to facilitate the better understanding of common approaches to the issue. The subjects of inquiry: 1. The status of S. Korean research trends on child abuse. 2. The Status of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child abuse. 3.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ies on child abuse. The research is explicated by a content analysis form that engages with a critical analysis of documents regarding child abuse. The subject of analysis is categorized by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into an examination of scholarly theses. The research will focus on the period stretching between 1994 and 2000, as a similar line of academic inquiry titled "The Research Trends of Child Abuse in Korea" utilized a catalogue of documents involving the critical analysis of child abuse as published from 1975 through 1993. The six points of analysis utilized to dissect the material for this study are: 1. Concept, Definition and Pattern 2. Research Method 3. Development 4. Cause 5. Actual State 6. Countermeasures The summarized contents of the text are as follows: 1.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the concept, definition and pattern of child abuse fall under vociferous criticism due to the dissenting opinions of many social theory experts. We are yet to have a common view to clarify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child abuse. 2. When evaluating the research methods used in child abuse studies, Korean studies on the cause and actual state of child abuse have been primarily quantitative and consist mostly of structured surveys. Alternately, the research methods exploring reactive countermeasures have tended to be qualitative in nature. Countermeasures are drawn by researching preceding studies and case analyses, or by producing new options from such material. International studies are not usually based around the exploration of a specific pattern of child abuse. Instead they tend to introduce new types of improved and itemized research methods which place emphasis on the character of variable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3. In evaluating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developments from 1994 to 2000, studies on verbal and sexual abuse, noninterference and other overall types of activity all had a relative effect. These factors were not explored in phases one and two of previous studies, as such documents were usually strictly limited to examining physical abuse. International studies are often carried out on a divisional level, from handling the possible abuse of fetuses and new born infants, to dealing with the concrete abuse of various age groups during their development stages. 4.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the causes of child abuse take three different approaches: the theoretical approach to developmental causes, the consideration of various contingent factors, and the execution of deep investigations into unitary causes. Of the three, the Korean theoretical approach is still limited to merely introducing international theories. 5. In evaluating the research trends of the actual state of child abuse for the first phase (1975-1988) and the second phase (1989-1993), one may see that it was difficult to gauge the level of real nationwide abuse during these periods. But since 1994, social service facilities for various regions (and in general terms for the whole nation) have been investigated with a relatively widened scope and greater coverage. As for movements abroad, multi-national and multi-cultural research into the actual state of child abuse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6. In evaluating the research trends of countermeasures for child abuse, the amount of publicized research is very limited in comparison to that of data regarding causes or actual states. Internationally, countermeasure programs being actively introduced as well as receiving solid annual supp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