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분산점 칼만 필터 기반 로봇의 실내용 위치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서수희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지능로봇에 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그 응용성이 확대되고 있다. 실내의 경우 로봇 청소기, 큐레이터 로봇 등 다양한 서비스로봇,그리고 실외의 경우 자율주행 자동차, 배송 로봇 등에 적용되고 있다. 이처럼지능로봇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다. 이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이 응용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로봇 자신이어디에 있는지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로봇의 위치가 정확히 평가되지 않는다면 로봇이 자신의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로봇의 바퀴에 장착된 엔코더 등의 정보로부터 로봇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지만, 바퀴의 불균형, 지면과의 미끄러짐 등으로 인해 오차가 크게 발생할 수있다. 따라서 로봇은 더욱 정확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다양한 센서들을 추가로 사용한다. 그러나 위치 센서 역시 여러 가지 오차 요인으로 인해 정확한 위치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엔코더에 의한 위치 정보와 센서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통계학적으로 융합하여 최적의로봇 위치를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것을 위치평가(Localization)라고 한다.위치평가 방식은 크게 실외 위치평가와 실내 위치평가로 나눌 수 있다. 실외위치평가는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기 어렵다. 또한 실외 환경은로봇이 이동 가능한 자유 공간과 장애물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아 주변 환경을이용한 위치평가가 부적합하다. 따라서, 실외 위치평가는 주로 GPS로부터 위치를 수신받아 로봇의 위치를 평가한다. 그러나 GPS는 날씨, 위성 궤도 및 시계오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또한 GPS 자체 오차가 커 정밀도가 떨어지기 때문에GPS만을 이용한 위치평가 보다 비전 센서, 자이로 센서 등 다른 센서들과의 융합을 통한 위치 오차를 보정한다. 반면 실내 위치평가는 날씨 등 주변 환경적 요인의 영향은 받지 않으며, 작업공간에 대한 환경 정보를 미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한 정밀한 위치평가가 가능하다. 실내 위치평가는 적외선, 초음파 센서 등 거리를 인식하는 센서, 물체의 형상 인식에 유리한 비전 센서 등과 같이 다양한 센서들을 사용한다.그러나 적외선 센서는 빛에 예민하며, 태양광 등으로 인해 조도가 높은 경우에는사용이 어렵다. 또한 적외선 센서는 색상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단점이 있다. 비전 센서는 이미지를 받아 거리를 계산하는데 거리정보 이외에 다른 정보수집에도 유용한 센서이다. 그러나 조도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신호를 처리하는과정이 복잡하여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빛이 없을 경우에는 사용할 수없다는 단점이 있다. 초음파 센서는 송신된 초음파가 물체까지 도달한 후 물체에 반사된 음파를다시 수신받아 그 거리를 계산하는 센서이다. 초음파 센서는 음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물체와의 거리정보 획득이 간단하고, 빠를 뿐 아니라 물체의 투명성과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어 광학적 센서가 작동하기 어려운 분야에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각도 불확실성이 크고 천과 같은 재질은 음파를 흡수해 거리정보 획득이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동로봇의 위치평가를 위한 기존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비선형 모델을 선형화해 위치평가를 하는 확장 칼만 필터(Extended Kalman Filter, EKF) 방법, 파티클 필터(Monte Carlo Localization, MCL) 방법, 그리고 분산점 칼만 필터(Unscented Kalman Filter, UKF) 방법 등이 있다. 확장 칼만 필터는 비선형 모델을 선형화하여 위치와 공분산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초기 추정오차가 큰 경우 위치가 발산하는 경향이 있으며, 비선형성이 큰 경우에는 알고리즘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파티클 필터는 많은 수의 파티클을 생성하고, 이 파티클을 상태 공간 모델을 이용하여 변환한 후 가중치에 의해 파티클들의 값을 업데이트시키는 방법이다. UKF는 추측항법(Dead-Reckoning Method)으로 이전에 평가된 위치의 오차공분산을 기반으로 분산점을 추출하고, 각 분산점을 원래의 비선형 모델을통해 변환한 뒤 가중평균으로 로봇의 위치 및 오차 공분산을 추정하는 방법으로UT(Unscented Transform) 기반의 위치평가 방법이다. UKF는 파티클 필터와비슷한 특성을 가졌지만, 파티클 필터가 계산량이 많아 처리 속도가 늦는 단점이있는 반면에, UKF는 최적의 분산점을 추출해 분산점의 개수를 줄이고, 가중치를부여하여 평균을 구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처리 속도가 비교적 빠르다. Intelligent robots are being applied in many areas of our lives, such asautonomous vehicles, delivery robots, guide robots, and service robots thathelp humans in various fields. The most essential technology necessary forthese intelligent robots to perform a given task is their precise positionevaluation, which is called localization. Localization of a robot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an indoor methodand an outdoor method. For outdoor environments, it is difficult to provideinformation on the environment in advance. Therefore, outdoor localizationrequires additional sensors that independently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ofthe robot such as GPS. In the case of indoor localization on the other hand,it is possible to provide environmental information on the work space inadvance becaus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free space where the robot canmove and the obstacle is clear. Accordingly, accurate localization is possibleusing the provided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indoor localization, sensorsthat can measu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objects such as infrared sensors,sonar sensors, and vision sensors are used to utilize the environmentalinformation given in advance. Conventional methods for localization of robots include Extended KalmanFilter (EKF), Particle Filter (MCL), and Unscented Kalman Filter (UKF). Anextended kalman filter linearizes a nonlinear model to evaluate position andcovariance, so that a position error may diverge and the system may becomeunstable in the case of highly nonlinear systems. Particle filter is a method ofpredicting the position by generating a large number of particles andtransforming the particles using a nonlinear model. It can minimize theposition error, but it takes a long time depending on the number of particles.UKF is a method of extracting distribution(sigma) points based on errorcovariance of predicted positions using encoder, transforming each sigma pointwith a nonlinear model to estimate optimal position and covariance of therobot UKF utilizes a nonlinear system as it is and has particle filtercharacteristics. However, it is faster than MCL because it uses a minimizednumber of sigma points to predict the position. In this thesis, we propose a UKF-based indoor localization method thatevaluates the optimal position by f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encoders mounted on the robot wheel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obstacle measured by ultrasonic sensors. However, ultrasonic sensors have adisadvantage that the reliability of distance information is greatly reduced dueto specular reflection effects. In order to complement this and maximize thereliability of position evaluation, we propose a validation gate method for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measured distance information. In order to verify the usefulness of the method, actual experiments wereperformed in various environments and conditions. The experimental resultsshowed the method is considered to be stable because the position errorconverge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initial position error and the length ofthe sampling time. In conclusion, this UKF localization method is expected tobe applied in various ways to the practical position estimation of indoorrobots.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와 학습동기의 관계에서 애착의 조절효과

        서수희 아주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애착(불안, 회피)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애착(불안, 회피)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와 학습동기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습관여, 학습동기, 그리고 청소년 애착(불안, 회피)의 상관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부모의 학습관여 및 청소년 애착(불안, 회피)은 학습동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청소년 애착(불안, 회피)은 부모의 학습관여와 학습동기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1, 2, 3학년 학생 368명을 대상으로 부모학습관여 형태검사와 학습동기, 친밀한 관계경험 설문을 실시하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와 학습동기의 관계에서 애착(불안, 회피)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고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 애착(불안, 회피)과 학습동기간의 관계에서 부모학습관여 중 학습선택부여권, 적정성과추구, 학업정보제공과 학습동기는 정적상관을 보였고, 애착불안 및 애착회피와 학습동기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학습관여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으로 학습선택부여권, 적정성과추구, 학업정보제공이 높을수록 학습동기는 증가하였으며, 학업진보격려가 높을수록 학습동기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불안, 회피)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으로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높을수록 학습동기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재, 부모의 학습관여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애착(불안, 회피)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애착불안이 낮은 집단보다는 애착불안이 높은 집단이 학습선택부여권과 적정성과추구가 높을수록 학습동기가 더 향상되었고 애착회피가 높은 집단이 애착회피가 낮은 집단보다 적정성과추구와 학업정보제공이 낮을 때 학습동기가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와 학습동기 및 애착(불안, 회피)이 학습동기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와 학습동기 및 애착(불안, 회피)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부모학습관여의 방향을 제시하여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돕고 학생과 부모상담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해 상담과정에서 부모의 학습관여와 학습동기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따라 애착(불안, 회피)의 안정을 증진시키는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학령기 고기능자폐 아동과 일반아동의 이야기문법·쓰기전략 특성 비교

        서수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try to check how the autism children` writing in story grammar characteristic and writing strategy different from general children. So, 9 high functioning autism children age of first grader in elementary school to second year in junior high school with over 60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and 9 general children who square the year of the school with autism children, with over 85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provide picture book with no letter 'Frog, where are you(Mayer)' to both group, calculate the writing. Also, in order to know children` language ability, took Receptive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2009, to evaluate children` intelligence quotient, KEDI-WISC: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Revised, WISC-R. Calculated writing material is evaluated as story grammar and writing strategy, see if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groups, confirmed statistic difference by t-examination. Summery of the research is in the following. First, through analytical researches of high functioning autism children group and general children group`s total number of sentence and C-unit total sc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Second, through analytical researches of story grammar category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here was meaningful statistic difference in inner reaction.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functioning autism children group and general children group children` writing strategy use overall. However, high functioning autism children had higher score than general children in inference, but showed low scores in elaboration, linking, systematization, so they used most of writing strategy in inference. Forth, compare high functioning autism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two groups` writing strategy with more details, statistically,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logical order and time order.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자폐 아동들이 쓰기에서 나타내는 이야기문법 특성과 쓰기전략이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래서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며 동작성지능이 60이상인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의 고기능자폐아동 9명과, 자폐아동과 학년을 일치시키고 동작성지능이 85이상인 일반아동 9명 두 집단에게 글자 없는 그림책 ‘Frog, Whre are you(Mayer)을 제시하여 쓰기를 산출하도록 하였다. 또한 아동의 언어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2009)를 실시하고 아동의 지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KEDI-WISC: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Revised, WISC-R) 중 동작성 지능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쓰기자료는 이야기문법과 쓰기전략으로 분석하여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고 t-검정을 이용하여 통계적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기능 자폐아동집단과 일반아동집단의 총 문장수와 C-unit총점을 분석한 결과 고기능 자폐아동집단과 일반아동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고기능 자폐아동집단과 일반아동집단을 이야기문법 범주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분석하였을 때 내적반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고기능 자폐아동집단과 일반아동집단의 쓰기전략 사용에서 전체적으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고기능자폐아동들은 추론하기에서 일반아동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정교화하기, 연결 짓기, 계열화하기에서 낮은 점수를 보여 쓰기전략의 사용이 대부분 추론하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기능 자폐아동집단과 일반아동집단의 쓰기전략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집단 간 비교를 해보았을 시 논리적 순서, 시간적 순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인구주택총조사 표본조사 개선을 위한 방법론 연구 : 조사방식 개선 중심

        서수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의 인구주택총조사는 인구․가구․주택의 총규모 및 특성을 동시에 파악하기 위해 5년 주기로 실시되는 국가통계의 기반이 되는 가장 핵심적인 통계조사이다. UN 권고안에 따르면, 인구주택총조사는 개별성(Individual enumeration), 완전성(Universality within a defined territory), 동시성(Simultaneity), 주기성(Defined periodicity), 소지역 통계 생산 능력(Capacity to produce small area statistics)의 5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구주택총조사(센서스) 자료수집방식과 등록 자료 사용여부에 따라 완전 현장조사(전통적 센서스), 완전 등록센서스, 전통적 센서스와 통합 행정자료의 혼합 방식, 행정자료 또는 기본 등록부와 표본조사의 혼합 방식, 롤링센서스 등으로 유형을 구분하고 있다. UNECE(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유럽경제사회위원회) 회원국의 2000~2020 라운드 동향을 살펴보면, 점차적으로 전통적 센서스는 감소하고 등록 자료를 활용한 혼합조사(현장조사+등록기반) 또는 등록센서스를 실시하는 국가가 증가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15~20년에 걸친 이러한 변화는 행정자료의 품질개선이 이루어지면서 전통적 센서스가 행정자료로 대체되는 순차적인 과정을 보여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UNECE 회원국 중 미국은 1790년에 처음으로 센서스를 실시한 이래 230년만에 처음으로 2020 라운드 센서스에서 전통적 센서스 방식에서 온라인 방식으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 2010 라운드 센서스의 주요 비용 원인을 파악하여 비용 절감 효과가 가장 큰 주요 혁신과 관련된 연구와 테스트를 실시하여 2020 센서스 4대 핵심 분야(주소 조사 재설계, 자기 응답 최적화, 행정자료 및 제3자 데이터 활용, 현장 운영 재설계)를 선정했다. 특히 가장 큰 규모의 지리정보 시스템(GIS)을 운영 중인 미국 인구조사국(US Census Bureau)에서는 2020 센서스에서 3가지 혁신적인 신기술을 활용할 예정이다. 인공위성과 항공사진을 이용한 효율적인 주소 상세 조사를 위한 BARCA(Block Assessment Research, and Classification Application) 시스템, 매핑을 통한 조사응답률 향상을 도모하는 ROAM(Response Outreach Area Mapper) 시스템, 미응답자들을 조사할 현장조사원들을 위한 혁신적인 모바일 앱인 ECaSE(Enterprise Censuses and Surveys Enabling)시스템을 개발했다. 싱가포르는 아시아 최초로 2000년에 등록기반 센서스를 도입하고 2010년에 종이없는 센서스(Paperless Census)를 성공적으로 실시하였다. 2020년 센서스에서도 인터넷, CATI, CAPI(태블릿 활용) 등 3가지 조사방식을 통해 종이없는 센서스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전 두 번의 센서스와 동일하게 현장조사 방식으로 진행되는 2020 센서스 표본조사에서는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프로세스 개선을 모색하고 있다. 인터넷 자기 응답(Internet Self Enumeration) 부문에서는 모바일 대응 웹 설계와 정부 차원의 로그인 자격 증명 활용을 개선할 예정이다. 콜센터를 통한 전화조사(CATI) 및 인터넷 조사에서는 가상 비서(Virtual Assistant)를 구현하고, 대면조사(Face to face Interviews)에서는 실시간으로 최신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태블릿을 활용할 예정이다. 우리나라의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는 조사방식에 있어서 획기적인 변화가 있었다. 그동안 전통적인 현장조사로 시행되던 전수조사의 기본 항목은 행정자료 활용 가능여부에 따라 등록센서스를 도입하고, 아동 보육, 경력 단절 등 행정자료로 파악하기 어려운 항목은 20% 규모의 표본조사를 실시했다. 전수부문의 등록센서스 도입에 따라 현장조사에 대한 응답 부담 감소, 큰 폭의 예산절감(약 1,455억원 추정), 인구․가구․주택의 기본특성 항목 매년 제공 및 공표의 성과를 거두었다. 표본부문에 있어서는 최근의 정책 수요를 반영하는 항목을 주제별로 모듈화하여 제공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 조사율 달성, 1960~2010년간 연도별 1%, 2% 마이크로 데이터 제공 및 각종 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효율적 조사 및 자료 처리를 수행하였다.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최근 조사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고 신기술을 도입한 조사 전 과정을 혁신하고자 전자조사를 도입하고 종이없는 총조사(Paperless Census)를 실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서 부문별 개선방안을 설정하여 시험조사 및 시범예행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개선 방안의 내용은 인터넷 조사방법에 모바일 조사를 포함하여 실시하고, 피크타임 발생 시 서버 다운을 방지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컴퓨팅) 도입, 종이 조사표 대신 CAPI(컴퓨터 활용 면접조사)를 도입하고, 종이 조사구 요도 대신 CAPI 시스템에 지리정보기술(GIS, GPS)을 탑재하여 실시간으로 활용하고, CAPI를 도입하여 현장조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기존의 행정자료 및 가구주택기초조사를 통해 표본조사 항목에 행정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센서스를 실시하는 대부분의 국가가 10년 주기인 반면, 우리나라는 5년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실행 계획(Action Plan) 및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핵심 전략을 보다 빨리 수립하여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준비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

      •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분석

        서수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을 알아보고 교육대학원의 교육목적에 맞는 교육과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을 파악하여 4년제 대학교와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교육대학원의 설립 목적에 따라 교육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각 교육대학원의 교육목적에 맞는 전문적이고 심화·확장적인 교육과정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의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교육대학원생과 재학생, 졸업생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과 졸업생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넷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교육대학원생과 재학생, 졸업생의 요구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전국에 유아교육과가 설치되어 있는 교육대학원과 4년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고,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현황을 알아보았다. 또한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예비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학생,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졸업생, 앞으로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에 진학할 계획이 있는 예비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김향진(2008)과 조광명(2012)이 제작한 설문지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교육대학원생과 재학생, 졸업생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검증을 하였고,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운영실태에 대한 재학생과 졸업생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하였다.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만족도에 대한 재학생과 졸업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하였고,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의 요구도는 재학생 , 졸업생, 예비 교육대학원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카이검증과 F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과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은 일부 교과목에서 차이를 보였지만 대부분의 교과목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교사 양성기관과 교사 재교육 기관 즉, 교육대학원의 설립 목적에 따른 교과목의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둘 째, 각 집단별로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에 진학한 동기는 ‘영·유아 지도를 위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대학원을 선택하게 된 동기에서 졸업생과 재학생은 교육대학원을 선택할 때 ‘교수의 평판이나 학교의 인지도’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예비교육대학원생들은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이나 교원자격증 취득’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후에 가장 보상받고 싶은 사항을 분석해본 결과 졸업생과 예비 교육대학원생은 ‘졸업 후 전문직으로의 진출을 가장 기대’하는 반면 재학생은 ‘졸업 후에 자기성취감이나 내적 만족감을 느끼게 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장 많이 하고 있었고,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대해서는 대체로 불만족 하고 있었으나 수업이 강의계획서에 따라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하였으며, 재학생과 졸업생은 수업의 형태가 ‘대부분 교수강의+발표수업+토론수업’이라고 한 반면 예비교육대학원생은 ‘교수강의 형태의 수업’을 원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목표 대상연령은 대부분 ‘영아와 유아를 지도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학위논문 작성은 대부분 ‘4학기에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택한 교육대학원이 ‘전임교수의 명성과 인지도 면’에서 타 교육대학원과 차별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 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운영 만족도는 졸업생과 재학생 모두 보통이거나 별로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 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본 결과 졸업생은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도가 낮은 반면 현재 교육대학원에 재학중인 재학생들은 교육과정에 대해 많은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 학기에 수강하기에 적합한 과목수로 졸업생은 2과목(80명)이 가장 적합하다고 응답 한 반면 재학생은 3과목(45명)이 가장 적합하다고 응답 하여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수업시작 시간은 18시30분이 적합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세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대학원의 학생이 대부분 현직 교원임을 감안할 때 수업 시작 시간은 18시30분이나 그 이후에 해야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졸업생과 재학생은 논문작성 과정 시 지도교수의 개별적이고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curriculums for the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an effort to suggest a more perfect curriculum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objects of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four-year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terms of curriculum, to analyze the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original goals of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ultimately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more professional, enriched and extended curriculum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object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st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 What is the awareness of 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3. What is the satisfaction level of 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s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4. What are the needs of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of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four-year universities that had the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ere located all over the country were analyzed to grasp the st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fo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graduate education students, graduat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prospective graduate education students who planned to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by modifying Kim Hyang-jin(2008)'s questionnaire and Cho Kwang-myung(2012)'s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look for any possible differences between the graduate students and the graduates in the way of looking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and t-test was carried out to find out abou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urriculums. Besides, x2(Chi-square) test and F-test were utilized to see if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among the graduate students, the graduates and the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in need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fo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of the four-year universities and those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everal courses, but no great disparities were found in most of their courses.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courses of the two according to their goals, namely whether to provide reeducation for existing teachers or foster new teachers. Second, the motivation of the students to enter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analyzed, and it's found that the most common motivation was to acquire new knowledge necessary for successful early childhood guidance. Their motivation to choose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y currently attended was investigated, and it's found that the graduates and the graduate students took more considerations on the reputation of professors or the awareness of schools, whereas the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placed more importance on what courses were offered or considered it more important to acquire a teacher certificate. What kind of rewards they expected to receive the most after graduating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as asked,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 graduates and the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expected to work in a more professional field, while the biggest number of the graduate students expected they would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or be contented with themselves after graduation. All the stude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 way of running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s on the whole, but they replied the curriculums were managed in a systematic manner according to the prepared syllabus. Concerning their favorite form of instruction, the graduate students and the graduates asked for a combination of professor lecture, presentation class and discussion class, whereas the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wanted to attend lectures given by professors. They thought that the educational objects of the curriculums were mostly related to what it took to teach infants and preschoolers, and they started to work on their theses mainly in the fourth term. They chose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y attended primarily because of the reputation of full-time professors and the outstanding awareness of the schools. Third, regarding satisfaction level with curriculum management, both of the graduates and the graduate students replied, "So-so," or were little satisfied. Fourth, their need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were analyzed. The graduates didn't expect much from the curriculums, whereas the graduate students were demanding. The graduates who numbered 80 considered it most advisable to take two courses per semester, while the graduate students who numbered 45 considered it most advisable to take three courses per semester. Thu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s for a time to start a class, the largest group replied it should be 18:30,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hree groups in that aspect. As graduate students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re mostly teachers, it will be advisable to start a class at or after 18:30. In regard to writing a thesis, the graduates and the graduate students wanted advisers to give individual and detailed guidance, while the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wanted that a wide variety of courses relate

      • 강릉농악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서수희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악은 우리가 지켜야할 자존심이다. 빠르게 변해가는 시대의 흐름 속에서도 우리 음악은 우리가 지켜나가야 할 문화적 자산이다. 본 연구는 중요 무형문화재 11-4호로지정이 된 강릉농악을 보존 전승함에 있어 귀중한 문화유산임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다양한 문화와 화려하게 변모해가는 현대음악에 밀려 전승이 끈길 위기에 처해있음으로 토속음악의 소중함과 두레음악이 우리에게 전해주는 교육적 효과를 풍물놀이로서 함께 느끼고 체험함으로 국악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었다. 첫째로 강릉농악은 외가락 위주에 빠른 템포로 반복되는 가락으로서 관객과 하나의 장을 만들기가 쉽고 장단이 크게 어렵지 않아 아이들이 쉽게 익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강릉농악은 농사풀이 과정을 춤으로 표현하여 농사짓는 과정을 재현하여 보임으로 지금은 찾아보기 힘든 두레의 교육적인 효과를 일깨워 줄 수 있다.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강릉농악의 역사는 이어져왔고 강릉농악 어린이 농악 경연대회가 이십년을 가까이 치러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쉽게도 참가하는 학교의 수가 점점 줄어드는 안타까운 실정이므로 아이들이 풍물놀이를 재미있게 놀이로서 습득하여 흥미를 유발하게 만드는데 목적이 두었다. 둘째로 지금까지 이어온 구전심수의 교육방법과 새로운 방식의 악보와 구음을 접목시켜 입소리 따라하기, 손으로 장단치기, 구음하며 악기쳐보기, 장단에 맞춰 노랫말 만들기, 오금질하기, 장단에 맞춰 걸어보기, 뛰어보기, 등 교육방법을 놀이화하여 지도함으로서 아이들이 잘하기를 기대하기보다 흥미를 유발하여 다시하고 싶은 풍물놀이가 되도록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너무 길어서 지루해하는 전 과정에서 풍물놀이로 간단하게 재구성하여 시대적 배경에 맞추어 진 풀이를 각색하였다. 강릉농악의 가장 특징적인 농사풀이를 전혀 배제 할 수 없으므로 몆 개의 과정만을 담고 진 풀이를 정리 하였다.화려하게 무대화된 사물놀이가 세계 속에 우뚝 서게 된 것도 뒤의 배경에는 풍물이 적지 않게 기여하고 있음이다. 향토성 짙은 토속적 두레농악은 현대를 살아가는 이들에게는 더불어 사는 세상이라는 교육적 효과를 확실하게 심어주는 디딤돌 역할을 하게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지역풍물이 지역민들에게 사랑받고 관계자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어 학생들에게도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남겨지길 기대한다. Korean music is our pride that must be upheld. Korean music is a cultural asset we must look after in the quickly changing stream of times. Designated as No. 11-4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Gangneung Farmer’s Music is an important cultural asset that must be preserved and passed down, but its transmission is endangered by losing out to the diversified culture of the world and gorgeously changing modern music. In this vein, this study called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Korean music by making study subjects feel and experience the value of folk songs and the educational effects of dure music, via pungmul plays. First, Gangneung Farmer’s Music, which mainly consisted of single repeated garak of quick tempo, is easily accepted by audience, thus creating an amusing festivity scene with them, and has easy jangdans, thus having the advantage point of being able to be learned by children easily. In addition, expressing the course of farming puri with dance, it reproduces the course of farming and therefore, has dure’s educational effects that are scarce for the present. Even under Japanese oppression, the history of Gangneung Farmer’s Music did not discontinue and children’s Gangneung Farmer’s Music contest has been held for nearly 20 years. However, the number of participating schools has decreased gradually and regrettably. In this vein, this study aimed to make children learn pungmul play as a joyful play and take interest in it. Second, by grafting its conventional method of education, namely oral and memory-oriented transmission, onto new musical scores and oral sounds, and by teaching it through such educational methods as copying oral sounds, beating jangdans with hands, playing musical instruments while making oral sounds, making lyrics according to jangdans, bending knees, walking to jangdans and leaping, this study tried to make children take interest in it and want to try it, rather than expecting they perform it well. In addition, the whole proceeding of jin puri was lengthy and tedious, it was reorganized as a simple pungmul play and adapted to the time setting of today. Since it was impossible to rule out the most unique farming puri of Gangneung Farmer’s Music, a few parts were included and jin puri was adjusted. Gorgeously theatricalized samulnori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quartet) considerably owes its distinction to pungmul in its background. The folksy dure farmer’s music of rich local color plays the role of a stepping stone in clearly implanting such educational effects that we must live together. The investigator hopes this study is an opportunity for regional pungmuls to be loved by local residents, interested by concerned people, and handed down to students as a valuable cultural ass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