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주질환자의 구강보건인식 및 실천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선영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평균수명이 연장 된 인간은 의료를 통한 육체적 질환의 치료뿐만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으로 건전한 건강 상태 유지를 목표로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상태는 궁극적으로 인간의 삶의 질 만족도를 높이고 개선하는데 동일한 의미를 두고 있다고 생각한다. 구강건강에 있어서 구강질환 증가로 인한 고통과, 치료에 따른 경제적 부담 증가는 개인의 일상생활 뿐 만 아니라 삶의 질 만족에도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구강보건 인식과 실천정도가 구강건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요인인지 규명하고, 이러한 요인이 궁극적으로 인간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효과적인 구강보건교육 및 보건의료정책의 마련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남부권역에 위치하고 있는 수원시 C의대 S병원에서 2009년 3월 30일부터 2009년 5월 8일까지 구강검진을 받으러 온 일반인 60명, 치주질환으로 진단을 받고 이 질환에 따라 치과치료를 받은 자 혹은 받아야 하는 치주질환자 60명 총 1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보건인식도 및 실천도의 개념 타당도 및 신뢰도와 삶의 질 척도의 신뢰도는 모두 충분하게 나타났다. 2. 일반인과 치주질환자의 삶의 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일반적 특성과 사회 경제적 특성의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 표본특성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동질성이 입증되었다. (p>0.05) 3. 일반인과 치주질환자의 주관적 구강건강 문제점의 가장 큰 원인은 여러 가지 이유로 치료 받을 수 없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치과 치료가 늦어진 원인으로 일반인의 경우 치료를 받을 시간이 없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치주질환자의 경우에서는 치료비용이 부담스러워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구강보건에 관련된 정보를 얻는 주된 곳으로는 일반인과 치주질환자 모두 치과로 나타났다. 6. 조사대상자인 일반인과 치주질환자를 대상으로 WHOQOL BREF를 통하여 삶의 질 영역을 7가지로 나누어 비교하고, 전체적 삶의 질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삶의 의미 인생의 즐김 만족도와 경제 만족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이는 치주질환자에 비하여 일반인이 삶의 의미를 중요시하고, 인생을 즐기는데 있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치주질환자에 비하여 일반인이 경제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삶의 질 전체를 두고 비교한 경우, 일반인은 성별과 학력의 부분에서 (P<0.05), 치주질환자는 학력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7. 치주질환자의 구강보건인식도에 따른 삶의 질 차이를 비교한 결과 주거 환경 및 장소 만족도영역과 삶의 질 전체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이는 구강보건인식도가 높을수록 주거 환경 및 장소 만족도 영역과 삶의 질 전체의 영역에 있어서 만족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8. 치주질환자의 구강보건실천도를 조사하고, 실천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삶의 질 차이를 비교한 결과 세분화된 7개 영역 중 일 대인관계 일상생활 부분과 수면 통증 및 부정적 감정 감소 부분을 제외한 삶의 의미 인생을 즐기는 만족도, 주거 환경 및 장소 만족도, 정보, 활동력, 레저 기회 만족도,(p<0.05) 경제 만족도, 교통 의료 서비스 만족도 영역에 걸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질 전체의 차이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01) 이는 구강보건 실천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며 구강보건 인식도가 높은 것보다 더욱 유의하게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이 연구의 한계 내에서 구강질환과 삶의 질은 연관되어 있으며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전반적인 구강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구강질환 예방과 교육을 통한 구강보건 인식과 실천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예방 교육 자원의 마련과 진료비의 보험적용 확대 등 국가의 정책적 뒷받침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산성토양에서 작물에 피해를 유발하는 이산화질소(NO2) 가스의 발생 기작 연구

        서선영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산성토양에서 발생된 NO2 가스에 의해 작물이 피해를 입는 사례가 흔히 보고되고 있다. 미부숙 유기물 함량이 높은 산성조건의 토양에서 아질산산화균의 작용에 의해 NO2 가스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NO2 가스가 발생할 수 있는 토 양환경과 정확한 NO2 가스의 발생기작은 분명하지 않다. 산성용액에서 NO2-는 HNO2와 평형을 이루게 되는데, pH 5.5 이하에서 HNO2의 화학적 자가분해를 통해 NO2 가스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고려하면, 산성토양에서 질산화과정이나 탈질과정의 중간생성물인 NO2-가 축적될 경우 NO2 가스의 발생과 함께 작물에 대한 피해현상이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농가의 NO2 가스 피해사례는 질산태 질소비료가 시용되었거나 NO3-가 축적된 산성토양에서 발생되었다. 따라서 탈질작용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토양환경조건에서 작물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NO2 가스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탈질조건의 토양환경을 중심으로 NO2 가스의 발생과 딸기 잎에 나타나는 피해현상을 조사하여 산성토양조건에서 나타나는 NO2 가스 피해의 발생 원인과 기작을 구명하였다. pH를 4.0으로 조절한 1 M KNO2 용액을 250 mL 유리 배양병에 담고 air-space에 딸기 잎을 장치했을 때 실험 시작 후 1-2일 사이에 NO2 가스가 발생되었으며 딸기 잎 주변이 흑갈색으로 변하는 피해증상이 관찰되었다. pH를 5.0, 수분함량을 20%로 조절하고 500 mg N/kg의 NO3-와 glucose를 첨가한 토양 200 g을 250 mL 유리 배양병에 담고 air-space에 딸기 잎 또는 NO2 가스 흡착제를 장치하고 밀폐된 상태로 30oC에서 보관했을 때, 4일차부터 딸기 잎에 피해증상이 나타났으며 NO2 가스의 발생도 확인되었다. 수분함량을 10%로 낮추거나, NO3 -를 250mg N/kg으로 낮추거나 또는 glucose를 첨가하지 않은 토양에서는 NO2 가스 발생량이 적었으며 딸기 잎에 피해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탈질작용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진 산성토양에 기질인 NO3-가 충분히 공급될 경우 식물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수준의 NO2 가스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H 5.0, 수분함량 10% 그리고 NH4+과 NO3-가 각각 250 mg N/kg씩 함유된 토양 200 g을 250 mL 유리 배양병에 담고 air-space에 딸기 잎 또는 NO2 가스 흡착제를 장치하고 밀폐된 상태로 30oC에서 보관했을 때, 5일차까지 NO2 가스 발생량이 매우적었으며 딸기 잎에서 피해 증상도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토양에 첨가된 NH4+의 대부분은 5일 사이에 NO3-로 산화되었고 원래 토양중의 NO3-도 함께 토양에 잔류되어 있었다. 이는 질산화작용은 일어났으나 탈질작용은 일어나지 않은 것이며, 첨가된 NH4+이 NO3-로 산화되는 과정에서 NO2-가 생성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NO2 가스는 거의 발생되지 않은 것이다. 원래 토양중의 NO3-와 NH4+의 산화로 생성된 NO3-를 합쳐 총 544.4 mg N/kg의 NO3-가 존재하는 토양에 glucose를 첨가하고 수분함량을 20%로 조절한 후 30oC에서 보관하면 환원조건이 발달하면서 NO3-의 87% 정도가 소실됨과 동시에 NO2 가스가 많이 발생하고 딸기 잎에서 피해 증상도 나타났다. 질산화과정에서는 NO2 가스 피해가 발생되지 않지만 탈질과정에서는 피해가 나타나는 것이다. pH와 수분함량을 5.0 및 20%로 조절하고 500 mg N/kg의 NO3 -와 glucose를 첨가한 토양을 멸균한 후 30oC에서 보관했을 경우에는 NO2 가스 극히 미량으로 발생되었으며 딸기 잎에서 피해 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탈질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조건의 토양에서 발생되는 NO2 가스는 1차적으로 탈질미생물의 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탈질현상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도록 NaNO3와 glucose를 첨가하고 수분함량을 25%로 조절한 토양에서 pH가 5.0일 경우에는 실험 시작 후 4-5일차에 딸기 잎에서 심한 피해증상이 관찰되었으며 pH 6.5 토양에서는 피해증상이 관찰되었으나 pH 5.0 토양의 경우에 비해 그 증상이 훨씬 약하게 나타났다. 토양의 pH가 낮을수록 탈질현상을 통한 NO2 가스의 발생량이 많고 작물에 피해현상이 나타날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NO3-가 축적된 산성토양에서 발생되는 농가의 NO2 가스피해사례는 탈질작용이 활발히 일어날 때 토양에 NO2-가 축적됨으로써 HNO2의 화학적 자가분해를 통해 NO2 가스가 발생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비닐하우스와 같은 시설농업에서 퇴비를 기비로 시용하고 토양을 비닐로 피복한 상태에서 작물을 재배하면서 관주시스템을 통해 질소비료를 공급함으로써 과도하게 습한 상태의 토양에 NO3-가 축적될 경우 탈질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산성토양의 시설재배 농가에서 NO2 가스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토양중의 산소 부족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퇴비 종류와 시용량 및 관수량을 적절히 선택하고 조절해야하며 질소비료 종류와 시용량을 결정하는데도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Nitrogen dioxide (NO2) gas damages on plants are commonly occur in acid soils of vegetable farming plastic film houses. The NO2 gas is known to be produced by the action of nitrite oxidizing bacteria in acid soils amended with incompletely decomposed organic residues. However, the mechanisms and soil conditions favorable for NO2 production are still not well understood. In acid solution, the equilibrium between HNO2 and NO2- shifts towards HNO2, and NO2 might be produced by the spontaneous chemical decomposition of HNO2. Therefore NO2 gas capable of damaging plants might be produced in acid soils where NO2- is accumulated through soil microbial processes of nitrification and/or denitrification. NO2 gas production damaging crops is limited mostly to the acid soils of plastic film house vegetable farms fertigated with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NO3 -. Thus, the toxic level of NO2 gas production can be attributed to denitrification processes in soils. In this research, NO2 gas production and its damaging effect on plants were investigated in soils under the conditions favorable to high rates of denitrification, and the mechanisms involved in the NO2 gas production were discussed. Silty loam soil having a pH of 5.0 and containing 20% water was amended with 500 mg N/kg NO3 - and glucose. The soil was incubated in glass bottle with strawberry leaf or NO2 gas absorption badge in air space of the bottle. After 4-5 days of incubation at 30oC, toxicity symptoms of dark burning was observed along the outside edge of strawberry leaf and NO2 gas production was confirmed in the air space of glass bottle. In the incubation experiments, NO2 toxicity symptoms on the strawberry leaf was not found in the soil treatments where water or NO3- content was reduced to 10% or 250 mg N/kg. Also in the soil treatment in which glucose amendment was not included, NO2 gas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NO2 toxicity symptoms on the strawberry leaf was not found. Therefore, the production of NO2 damaging plants might be occurred in acid soils where the conditions favorable to high rates of denitrification. In soil with pH of 6.5, NO2 gas was also evolved to the level causing damage on strawberry leaf when the soil conditions were favorable to high rates of denitrification. However, compared to the soil of pH 5.0, the NO2 gas production and its damage on plants were much less serious in pH 6.5 soil. Silty loam soil having a pH of 5.0 and containing 10% water was amended with 250 mg N/kg each of NH4 + and NO3-, and glucose. The soil was incubated in glass bottle with strawberry leaf or NO2 gas absorption badge in air space of the bottle. During the 5 days of incubation at 30oC, NO2 gas production measured in the air space of glass bottle was very small and any visible damage was not found in the strawberry leaf. The amended NH4+ was completely oxidized to NO3-, and the NO3- contained in the soil before incubation was not removed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O2 gas is not much evolved from NO2- produced in soil as an intermediate product during the oxidation of amended NH4+. The soil, containing 544.4 mg N/kg of NO3- after incubation, was amended with glucose and adjusted to 20% water content, and further incubated at 30oC. After 5 days of the incubation, 87% of the soil NO3- was removed and NO2 gas production was confirmed in the air space of glass bottle with a visible damage in the strawberry leaf. This result could be another evidence for the toxic level of NO2 gas production through denitrification process in acid soil. Silty loam soil, having a pH of 5.0 and 20% water, was sterilized twice at 134oC after amending with 500 mg N/kg NO3- and glucose. And the soil was incubated in glass bottle at 30oC with strawberry leaf or NO2 gas absorption badge in air space of the bottle. During the 5 days of incubation, NO2 gas production from the soil was minimal and any visible damage was not found in the strawberry leaf. Therefore, the NO2 gas production in acid soils containing NO3- must be primarily attributed to the NO2 - production through the activity of denitrifying bacteria.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research suggests that NO2 gas damaging crops in acid soils of plastic film house is able to be produced through chemical self-decomposition of HNO2 when the soil conditions are favorable for accumulation of NO2- with high rates of denitrification. In plastic film house of vegetable farming, soil beds amended with compost and basal chemical fertilizers are covered with dark plastic sheeting before planting. During the plant growing period, water and nutrients including nitrogen are mostly supplied using drip irrigation system. Therefore, in soils beneath the plastic sheeting, conditions favorable for denitrification can be created by limited air exchange between soil and its surrounding atmosphere and by overly wet condition due to the reduced water lost to evaporation. Thus, proper selection of N fertilizer and its input and maintaining higher levels of available soil oxygen by avoiding excessive irrigation can effectively reduce the NO2 emissions during vegetable growth period in acid soils of plastic film house.

      • 해방촌의 지속가능한 물리적 요소에 관한 연구

        서선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intended to seek the development measures, considering the development status of native residential district and problems with living environment in our urban area. The native residential district used to be unconditionally demolished for the purpose of standardized redevelopment. Though they are no longer considered the inferior town but have been developed to the part of urban dwelling area. But there still remain challenges to be resolved. With such background, this study was aimed at seeking the sustainable physical elements that c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refurbishment project at Haebangchon, which is considered the native residential district so as to identify the issues with regard to management of native residential district. Haebangchon was formed as the shantytown which the homeless people began building illegally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and have been developed to date with such historical background, and recently this area has become the hot issue on the back of US Army relocation and the government plan to build the public park at the site. Since the study was aimed to seek the sustainable physical elements the study designated Haebangchon as the subject for evaluation and the study was implemented focusing on potentiality of physical environment. Prior to proceeding the study, a preliminary evaluation of residential and physical environment was implemented in an attempt to present the theoretical base supporting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physical environment. The physical environment at the residential district is to provide the basic frame, which shall be thoroughly controlled and constantly maintained for economic dynamics and structuring the community. Fundamentally, refurbish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to ultimately construct the residential area for better living with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good environment for walking, a street space-centered living environment, a combination of diverse use and the form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 which shall eventually satisfy the needs of the residents.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physical environment, coupled with the survey of residents' consciousness was carried out. The study included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transition process of urban structure of the area and resident's consciousness on such environment.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Haebangchon was examined by reviewing the status before and after the town was formed and the development by public works. Such examination indicated that the urban structure has been naturally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the local refurbishment and sustained to date. Such historical urban town was not simply a physical tracks but was formed reflecting residents' living culture, causing Haebangchon to have historical and locational implication in urban structure today. Included in the status analysis, identification of possibility and problems with regard to individual elements including topographic features, land use, density, urban structure, traffic network, greens and open space that form the urban structure and functions. And sustainability of physical elements was identified by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resolving the problem. In fact, the sustainable physical elements are what modifying the problem of each element and reinforcing the potentiality and the problems were those that could be improved. The physical elements sustainable thus are summarized as the elements such as topography, urban structure in human scale, urban density, the street serving the framework of the residential area and important facilitie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oving street. The survey of residents' consciousness based on status analysis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sustainability of residence which was represented by the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intent to reside. The analysis of the status already indicated the certain level of residents' satisfaction and even the some issues dissatisfied by the residents would possibly be resolved to some extent, and the residents were found to have recognized the main street as the framework of the residential area. Lastly, about 60% of the residents answered positively to the question on whether they would reside continuously, which appeared to be different from common recognition we used to think that the residents living on such slope residential district prefer to leave. Though Haebangchon was formed as native residential district, now it's been developed as typical urban residential area, and view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resident satisfaction identified through the status analysis and resident's awarenes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t has the potentiality of being developed to the better residential district. Should living environment of Haebangchon be developed, respecting the historic and sustainable physical elements, it would possibly be developed to the historic residential site showing Korea's modern living culture as well as the attractive residential site where the people can feel the nature in the middle of the town. In the wake of such analysis aforementioned, the recommendations on management of native residential district in urban area were identified. Firstly, the potentiality and problem shall be clearly identified through the in-depth analysis of the status, breaking from the stereotyped consciousness as inferior residential district. Secondly, the current problems would possibly be resolved, while existing urban structure remain intact. Thirdly,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already incorporated into the native residential district, which, if possible, shall remain unchanged in the course of management.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view the issues in such a way of seeking the possibility, unlike the previous approach that has considered the native residential area as inferior residential town, highlighting the potential problems, which is considered to be quite meaningful,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e outcome of the study is expected to be substantially used, given that the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will be the 'refurbishment' that considers the regional environment and conditions.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도시 내 자생적 주거지의 개발 상황과 현 주거환경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발전방안을 찾아보고자 시작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자생적 주거지들은 주로 전면철거되어 획일적인 주거지로 재개발되어 왔다. 이제 그들은 더 이상 불량주거지가 아니며 어엿한 도시주거지로 발전했지만 여전히 문제점들을 안고 있어 주거환경정비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자생적 주거지인 해방촌의 주거환경정비에 반영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물리적 요소를 찾아 도시 내 자생적 주거지의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해방촌은 해방 직 후 무허가 판자촌으로 시작하여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는 역사성이 있고 미군기지의 공원화로 인해 이슈화되고 있다. 따라서 자생적 주거지 관리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대상지로 선정하게 되었다. 또한 지속가능한 물리적 요소를 찾는 것이 목적이므로 현재 물리적 환경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 앞서, 물리적 환경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주거환경과 물리적 환경에 대한 예비적 고찰이 선행되었다. 주거지의 물리적 환경은 주거환경의 기본 틀을 제공하며 이것이 긴밀하게 관리되고 지속적으로 뒷받침되어야 경제적 활력이나 커뮤니티의 형성 등이 가능하다. 한편, 주거환경을 정비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살기 좋은 주거지가 목표이며 걷기 좋은 환경, 가로공간 중심의 주거지, 다양한 용도의 혼합, 지역 특성의 형성과 같은 물리적 특징을 가지면서 동시에 거주민들의 환경에 대한 만족이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 속에서 물리적 환경에 대한 분석과 주민 의식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는 대상지 도시조직의 변천과정과 현황 분석 및 평가, 그리고 그러한 환경에 대한 주민의식조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해방촌의 역사적 변천과정은 도시조직의 변화를 살펴본 것으로 형성 이전의 모습, 도시조직의 형성, 공공사업에 의한 변화모습을 알아보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그 도시조직이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었고 그동안 현지개량을 통해 정돈되어 왔으며 작은 규모의 도시조직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았다. 또한 그러한 역사적인 도시조직이 단순히 물리적인 흔적이 아니라 주민들의 주거문화가 반영된 것임을 알 수 있었으며 해방촌의 현재 도시조직이 역사성과 장소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었다. 현황 분석에서는 도시의 형태와 기능을 형성하는 기본요소인 지형, 토지이용, 밀도, 도시조직, 교통체계,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등의 개별 요소들에 대한 가능성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물리적 요소의 지속가능성을 파악하였다. 결국 지속가능한 물리적 요소는 각 요소의 문제점을 수정하고 가능성을 강화한 것이며 문제점들은 앞으로 개선 가능한 것들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물리적 요소는 지형과 휴먼스케일의 도시조직, 도시적 밀도, 주거지의 골격을 이루는 복합용도의 생활가로 및 중요한 시설, 가로공간의 물리적 특성 등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현황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실시한 주민 의식 조사는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인지도, 지속적인 거주의사의 항목을 통해 주거지의 지속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민들의 주거환경만족도는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불만스럽게 여기는 점들은 현황분석에서 해결가능성을 보였던 것들이었다. 주민들은 주요가로를 골격으로 주거지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지속적인 거주의사에서는 약 60%가 살고 싶다고 답했다. 이러한 결과는 통상적인 인식, 즉 도시 내 자생적 주거지의 주민들이 주거지를 떠나고 싶어 한다는 것과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더 이상 불량주거지가 아니며 지속적으로 거주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방촌은 자생적 주거지로 시작했지만 이제는 어엿한 도시주거지로 발전하였으며 현황분석과 주민의식조사를 통한 물리적 특성과 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볼 때, 앞으로 더 나은 주거지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현황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하다고 판단한 요소들은 주민들이 인지하고 있는 물리적 요소들과도 일치하였으며 그것을 그들이 생각하는 문제점들도 해결가능한 것들이었다. 앞으로 해방촌의 역사적이고 지속가능한 물리적 요소를 존중하면서 주거환경을 정비한다면 한국 현대사의 주거문화를 보여주는 역사적인 주거지, 도심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매력적인 주거지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도시 내 자생적 주거지의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불량주거지라는 통상적인 평가를 자제하고 면밀한 현황분석을 통해 가능성과 문제점을 명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둘째, 직면한 문제점들은 기존 도시조직을 유지하면서도 해결할 수 있다. 셋째, 자생적인 도시조직은 지역특성이 반영된 것으로서, 되도록 그것을 깨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관리해 나가야 한다. 본 연구는 도시 내 자생적 주거지가 ‘불량주거지’로 여겨져 오며 문제점이 크게 부각되었던 지금까지와 달리, 가능성을 찾는 시각으로 바라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의 주거환경개선의 방향이 지역 여건을 고려한 ‘정비’라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 코스프레의 자아와 사회 사이의 갈등 표현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서선영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자아실현과 사회적 제약의 갈등을 코스프레의 사회적 현상을 바탕으로 표현한 나의 작품 연구이다. 사회가 바라는 자아와 나의 이상적 자아 사이의 정체성 갈등에 대한 지난날의 나의 기억과 경험을 바탕으로 코스프레 집단과 사회적 제약의 갈등을 작품으로 표현했다.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안에만 존재하는 캐릭터라는 환상을 현실에 현현시키는 ‘변신’놀이를 ‘코스프레’라 한다. 나의 작품 안에는 영상작품을 촬영하며 만난 코스프레가 취미인 사람들과의 경험과 그를 바탕으로 제작되어 코스프레(변신)한 자아와 현실의 자아 간의 거리감이 내제되어있다. 나의 작품은 이러한 타인의 이상의 자아를 관람하는 관객 자신의 시선은 어떠한 시선인가에 대해 스스로 체험을 통해 대타자들의 코스프레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를 간접적으로 질문을 던진다. 욕망의 자아와 현실의 자아는 한 사람의 안에 공존하고 있지만 사회로 욕망의 자아를 가져오는 순간 그들은 정상의 범위에서 벗어나고 ‘타자화’된다. 사회학자들은 그것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고 있다. 코스프레는 사회적으로 비정상집단으로 사회 에서 정의 내려지고 있다. 나의 작품에서는 정상, 비정상을 가르며 코스어들을 ‘타자화’하는 것을 지양하자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나는 작품은 거울이 주 소재로 사용되었다. 거울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는 이론가의 이론을 바탕으로 내 작품에서도 거울에 비친 그림 안의 주인공의 정체성, 그리고 거울에 비친 관람자의 응시를 이미지화한다. 코스프레인과 관람자(대타자) 사이 관계를 통해 나의 주위에도 이러한 감시하는 시선들이 있을 수 있다고 자각할 수 있게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나는 거울 이미지와 대타자의 소집단을 향한 응시를 통해 사람의 정체성과 사회 현상을 하나의 이미지로써 그 내러티브를 전달하고 관람자의 존재로 인해 그 이미지의 내용이 완성되는 예술적 작품 표현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my own works which express the conflict between self-realization and social constraints based on the social phenomenon which is termed cosplays. I explore the conflict between the cosplay group and social constraints by reflecting my memories and experiences regarding the conflict between the ideal ego which the society wish for and the ideal ego which I desire. This paper will unfold the intention of the works according to three topics which are cosplays, identity, and constraints The identity is not commonly accepted within the society, but transformed by my desire, which I imagine, will be investigated. Along with this, the play of transformation will be discussed which manifests the illusion of cosplays into the reality. The meaning of the transformation will be examined as well. I met the people who enjoy cosplays while the shooting was being conducted. This experience with them will be remembered. On the bases of these, I made my own works and through these pieces of mine, the sense of distance between the cosplayed ego and the ego in reality was discussed. In my own works, I tried to inquire what type of the sights is the sight of visitors who see this somebody else’s ideal ego. Moreover, through this experience which see somebody else’s ideal ego, it was indirectly questioned how their perceptions of somebody else’s cosplays were. Although the ideal ego and the ego in reality co-exist inside of one person, just as the ideal ego is brought to reality, they deviate from the normal range and become the other. In the modern art in the 1980s and 90s, there are works dealing with the discussions in respect of becoming others. As in the story the work appeals, this phenomenon dividing what’s normal and abnormal is necessarily disclosed in our society. Some sociologists justified it through the experiments. The cosplay which is the core topic of this study is socially defined as an abnormal group. The group divided dichotomy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religion can cause danger to the society. In addition, the nationalism based on religion and ethnic group can evokes the hazard. Hans Haacke asserted that through his works, the nationalism must be avoided. Thus, through my own works, I will show how the cosplayers deliver their messages that we must avoid making them become others by dividing what’s normal and what’s abnormal. Finally, through this paper, I discussed the fact that we need to be self-aware of the action of exclusion by judging something with the social criteria we experienced in the past. In addition, I tried to express the point that we must avoid the actions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 매체 전환 텍스트를 활용한 서사 교육 방안 연구 : 웹툰에서 영화·드라마로의 전환 사례를 중심으로

        서선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development of wireless Internet and the spread of personal PC have greatly changed the lives of modern people. Now people can enjoy literary works in the form of e-books or audiobooks anytime and anywhere, and enjoy movies and dramas on the street with a smartphon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sidering such changes, media education have been conducted from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aimed to provide in-depth media education by establishing 'Media Language' in the 2007-revised curriculum and the 'Language and Media' in the 2015-revised curriculum as elective courses. Today, media are developing at a fast pace, and at the same time, the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multi-media. This suggests the need for education using media transformation tex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s are biased towards movies based on novels, which cannot reflect the trend of digital media ag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n educational method using webtoon, a representative example of multimedia, and media transformation text based on it. Webtoon, one of the narrative genres that cover a variety of themes, is transformed into a number of media including movies, dramas, plays, and musicals. Also, due to its nature as digital media, it is possible to make a variety of expression techniques including film directing and background music, and proactive interactions between writers and readers based on real-time interactive communication. Besides, many middle school students enjoy webtoons due to the high accessibility, so it is also advantageous to draw their attentions and interest. This study analyzed the texts that were determined to have educational values among the webtoons converted into other media.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Webtoon/Movie "I Love You, Webtoon/Drama "Teenage Medley", and webtoon/Drama "Orange Marmalade" and their narrative structures such as story, plot, characters, and their media features. In terms of the narrative structures, it was explored how the events were omitted and expanded, how the characters were deleted or their personality were changed. In terms of media feature, it was identified how the media features of webtoons were reproduced in the medium of movie and drama. Then,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media transformation education in the 2015-revised curriculum, the stage of learning was constructed, and examples of the learning activities using the analysis findings were suggested. However,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media transformation texts were restricted to video media. Although webtoons are transformed into a medium such as drama or musical, they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subjects for certain reasons. Therefore, it could not embrace more multi-dimensional changes. Second, there was a problem of how to present webtoons as learning materials. When a webtoon is put on a textbook, it is hardly distinguished from the form of a scanned comic book. Accordingly, the methodology of presenting webtoons in school textbooks should be investigated. Third, it is necessary to predict a variety of variables that may occur in the actual field before the practical application, since webtoon is an unfamiliar gen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o far. Thus, in spite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mbrace webtoon as an educational direction, webtoon is not thoroughly verified in the educational field, which requires further corrections and supplements. 무선 인터넷의 발달과 개인 PC의 보급은 현대인들의 삶을 크게 바꿔 놓았다. 언제 어디서든 전자책이나 오디오북의 형태로 문학 작품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으며, 스마트폰 하나로 길거리에서 영화나 드라마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국어 교육에서는 이와 같은 매체의 발전을 염두에 두고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매체 교육을 실시하였다. 특히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매체 언어’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언어와 매체’라는 선택 과목을 개설하는 등 깊이 있는 매체 교육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매체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동시에 다중매체성을 띤다. 이는 국어 교육에서 매체 전환 텍스트를 활용한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에 치우쳐 있으며, 디지털 매체 시대라는 흐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중매체성의 대표적 사례인 웹툰과 이를 원작으로 하는 매체 전환 텍스트를 활용한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웹툰은 다양한 주제를 아우르는 서사 장르의 하나로서 영화, 드라마, 연극, 뮤지컬 등 수많은 매체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매체이기 때문에 실시간 상호소통성을 기반으로 한 작가와 독자의 원활한 교류나 영화적 연출 및 배경음악 같은 다양한 표현 기법이 가능하다. 그리고 높은 접근성으로 많은 중등 학습자가 웹툰을 즐기고 있기 때문에 흥미를 이끌어내기에도 유리하다. 본고에서는 타 매체로 전환이 이루어진 웹툰 중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것들을 텍스트로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웹툰과 영화 <그대를 사랑합니다>, 웹툰과 드라마 <사춘기 메들리>, 웹툰과 드라마 <오렌지 마말레이드>로 선정하였으며, 스토리와 플롯, 인물 등의 서사구조와 매체적 특성을 연구 방법으로 삼아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서사구조에서는 사건이 생략 및 확대되는 양상과 인물이 삭제되거나 성격 변화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매체적 측면에서는 웹툰의 매체적 특성이 영화·드라마라는 매체에서 어떻게 재현되는지 그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매체 전환 텍스트를 활용한 교육과 관련된 성취기준을 근거로 하여 학습의 단계를 구성하고, 분석 결과를 활용한 학습 활동의 예시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본고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갖는다. 첫째, 매체 전환 텍스트가 영상 매체에 한정되었다. 웹툰이 연극이나 뮤지컬과 같은 매체로도 전환되고 있음에도 여건상 연구 대상에서 제외되어 보다 다양한 변화 양상을 파악하지 못하였다. 둘째, 학습 자료로서 웹툰을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의 문제가 있다. 웹툰이 교과서에 실리는 순간 스캔만화와 다를 바가 없는 형태로 제시된다. 때문에 웹툰을 제재로 다룬다고 할 때 제시 방법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실제 적용 전이어서 현장에서 발생할 여러 변수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아직까지 웹툰은 국어 교육 내에서 생소한 매체이다. 때문에 교육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현장에서 검증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여러 변수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차후 수정·보완이 필요하다.

      • 한국 부부들의 성이야기

        서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thesis is trying to understand marital sexual life fully, finding out the meaning and essence of experiences that married people imply upon. To research this, I use ' Hermeneutic Phenomenology ' among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rying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meaning of human situations as it is in sociocultural context. My first concern is what the meaning of marital sexual life experienced by married couple is. In this research, I interviewed 23people which divided into 10groups. Because the theme of this thesis is private and confident, it is not easy to induct people into answering vividly. So I use group interviews that I can get more various ideas and informations. The marital sexual life of Korean revealed in this research can be divided into 3parts. First, a myth over the marital sexual life. This myth can be expressed through flaws such as normalcy ideology related to frequency of sex, 'Byeon, Kang Soi' syndrome and red lingerie ideology. The fact that married couples are learning sexual life through movies, internet, rumours and counsel of seniors, not through official way is making the more myths and prejudices, distorting information about sex. Second, marital sexual life is hiding by itself as a part of daily life. The interviewees do not consider sex as the most significant thing in their marriage, even though they think it as an important issue. On the contrary, sex is a part of life, a role which has to be accomplished, and an essential element needed to construct family. Even worse, sex is less important than other stuffs. There is no couples who argued on priority of various roles. Sexual role has already been "the next thing" under the condition of an implied contract. Of course, the standard of defining roles can be various as a couple. Third, Korean marital sexual life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making intimate relationship. It is true that significance of marital intimacy is increasing and sexual life is a key factor of sharing intimacy, but it is also true that in sharing intimacy, the importance of direct intercourse is reducing and been replacing by other sexual behavior. Furthermore, the behavior sharing intimacy between couples is increasing, and the meaning of these behaviors has been enlarged. People conclude that how they define role is important issue. In other words, expectation for role about sexual life could influence the meaning of sex of each couples, the performance of sex,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and the quality of life at last. In conclusion, the marital sexual life of Korean is under the condition of daily lifes, surrounded by myth and secret. At the same time, other kinds of intimate behavior replacing direct intercourse can widen a sphere of sexual life. Ultimately, how couple define sexual life and compromise role expectation of each other would affect the various ways of marital sexual life. 본 연구는 한국의 기혼남녀가 부부관계내 성생활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힘으로써 부부 성생활에 대한 보다 풍부한 이해를 가지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 중에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인간현상의 본질적인 모습과 의미들을 사회문화적 맥락속에서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자 하였고, ‘한국의 기혼남녀들이 경험하는 부부관계내 성생활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연구질문을 가지고 연구에 임하였다. 본 연구가 심층 인터뷰 방식을 채택해서 인터뷰에 성공한 기혼남녀는 총 23명으로 10개의 그룹으로 구성된다. 연구의 주제가 사적이고 은밀한 영역인 부부의 성생활에 관련된 것이라 연구자와의 라포(rapport)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참여자로부터 생생한 경험을 이끌어내는데 어려움이 있어 개인인터뷰에 비해 다양한 아이디어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그룹인터뷰 방식을 취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한국 부부들의 성생활은 크게 3부분으로 이야기될 수 있다. 첫째, 한국 부부들의 성생활을 둘러싸고 있는 신화이다. 이 신화는 성생활의 빈도와 관련되는 우리 사회의 정상이데올로기, 변강쇠 신드롬과 빨간 란제리 이데올로기와 같은 한국의 남성과 여성에게 씌워진 왜곡되어진 성각본으로 나타난다. 부부 성생활에 대한 성교과서가 공식적인 채널을 통하지 않은채 영화나 인터넷, 풍문, 인생 선배의 조언들을 통해 성에 대한 정보들은 자꾸 왜곡되어져만 가기에 더욱 많은 신화와 편견이 만들어진다. 둘째, 신화와 은밀한 비밀의 장막에 둘러싸여 있는 부부들의 성생활은 일상생활의 한 부분으로 자연스럽게 묻혀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참가자들은 성이 결혼의 중요한 한 부분을 이루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결혼 생활 즉, 부부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일상생활을 살아가는데 있어 한 부분이고, 부부가 수행해야 할 하나의 역할이며, 가족이라는 공동체를 만드는데 필요한 요소일 뿐이다. 오히려 한국의 부부들에게 있어 부부의 성생활은 수행해야할 다양한 역할들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역할들이 공존하는 가운데 어떠한 역할을 우선시해야하는 문제로 부부간 갈등을 보이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이미 사회문화적인 기준의 영향으로 암묵적인 합의하에 부부간 성적 역할은 다른 역할들에 비해 중요성이 크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물론 이러한 역할규정의 기준은 부부마다 다르다. 셋째, 한국 부부의 성생활은 애정공동체의 모습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부부간의 친밀성의 중요성은 부각되고 있고 성생활이 부부간의 친밀감을 교류하는 하나의 행위로 간주되지만, 친밀감을 공유하는 행위에서 직접적 성교의 중요성은 감소되고 다른 성행동들로 대체되고 있다. 또한 부부간 친밀감을 공유하는 행위들이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모든 행위양식들은 부부간의 성생활의 범위로 포함되어 성생활의 의미가 확대되고 있다. 그들은 부부간 성적 역할을 어떻게 규정하느냐가 중요한 문제라고 스스로의 결론에 이른다. 즉, 어떠한 성생활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대한 부부간의 역할 기대가 규정되는 것에 따라 부부마다 성에 대한 의미도 성생활의 수행정도도 달라질 것이며 나아가 부부관계 만족도,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한국 부부의 성생활은 은밀한 사적 영역이라는 명시적, 암묵적 규정에 의해 신화와 비밀에 둘러싸인채 일상생활속에서 다양한 역할들에 묻혀버리지만, 직접적인 성교에 대체된 다른 친밀한 행동들로 부부간 성생활의 범위가 확대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결국 부부가 어떻게 부부간의 성생활을 규정하고 서로간의 역할 기대를 합의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부부 성생활의 모습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 대학교 sign system에 관한 연구 : 성균관대학교 옥외사인을 중심으로

        서선영 成均館大學校 디자인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study, I intend to lay out a scheme of design that can represent the more scientific and effective Sign system by investigating how the current exterior Sign system in University was actually designed and instituted for the readability of night-time users and vehicle users, as well as understanding its problems. The literature study, scene examination and questionnaire research of Civilization & Society campus in Sungkyunkwan University were excuted as an investigation object. Likewise, the literature study and scene examination of six Universities in Seoul were excuted as an example of other Universities. Above all, by the literature study I investigated the function, characteristics and stylistic analysis etc. of University Campus for a theoretical articles, and examined the conception, purpose and function etc. of Sign system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sign. I provided the photographs after analyzing the physical elements stylistically as the design and instituted position etc. of the orientational, directional, & designating Signs among the elements of the existing exterior Sign system in University. For this, from February to April in 2004 I executed the scene examination of six Universities that were selected for its comparative object. I tried to understand the institution and design of the existing Sign system by an interview with Exterior Sign Materials Management-Team, and staffs in charge of Sign design in Sungkyunkwan University as the investigation object in this study. Also, I investigated the used situation of the exterior Sign system by the response that the users of Civilization & Society campus in Sungkyunkwan University presented. For the questionnaire research, I classified the questions about the existing instituted Sign into 23 items, and then I inquired into the viewpoint of the students, staffs of campus, graduate students and general persons who use the campus in Sungkyunkwan University. To simplify the suggested scheme of Sign system that can be easily seen to nignt-time users and vehicle use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n the literature study, scene examination and questionnair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f you consider night-time users, the sign must be instituted with a light for the readability of night-time. Sencond, the sign must be instituted on the place within 10°, that is the most natural recognition angle, when the distant is 100M in vehicles. Third, the sign must be intentionally designed if you consider the functionality together with the modeling characteristic of Sign system, and also it must preserve uniformity. For this, the simple design that does not give any confusion for information must be chosen, and the identity color of University must be used. Fourth, the excessive abuse of information to forward information brings about the deterioration of communication effects. Consequently, in this study I intended to show a scheme on that the sign can give an actual assistance to users by means of complementing the functionality to the modeling characteristic which is compatible with the original identities of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