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후보자의 과거 업적과 미래 공약이 후보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선거 관심 정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서미래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선거 관심 정도에 따라 후보자의 과거 업적과 미래 공약이 후보 평가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거 관심 정도가 높을수록 후보자의 개별 과거 업적과 미래 공약을 전반적으로 평가해 후보 평가를 내릴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재보궐 선거 상황을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후보자의 과거업적과 선거공약을 제시한 후 후보 평가 그리고 미래에 대한 기대 등을 측정하였다. 선거 관심 정도에 따라 두 집단(고관여/저관여)으로 나누어 선거 정보와 후보평가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N = 127).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과는 달리 저관여 유권자의 경우도 후보자의 과거 업적을 평가함에 있어 최중요 업적 뿐 아니라 전반적 업적 중심으로 후보를 평가하였다. 둘째, 저관여 유권자의 경우 최중요 공약을 중심으로 후보자를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고관여 유권자의 경우 최중요 업적과 공약 뿐 아니라 전반적 과거업적과 전반적 미래공약을 토대로 후보를 평가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andidate information about previous achievements and campaign pledges on candidate evaluations depending on the level of election involvement.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d that highly involved voters tend to evaluate candidates based on both all previous achievements and all future promises whereas less involved voters tend to rely on information about the most important previous achievement and future promise. Online survey using a by-election situation was conducted to test hypotheses. Information about previous achievements and campaign pledges of a candidate was presented and evaluation of candidate and expectation of future were measured. Main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ss involved voters based expectation of future and evaluation of candidates on not only the most important past achievement but also all the past achievements similarly to highly involved voters. Second, less involved voters evaluated the candidate on the basis of the most important campaign pledge. Third, highly involved voters evaluated the candidate based on both all the past achievements and all campaign pledges.

      • Pressure retarded osmosis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RO membranes

        서미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the necessity of stable energy using sustainable resources increases, people are higly interested in renewable energy using osmotic pressure of seawater. Osmotic power is to produce electric power by using the chemical potential of two flows with the difference of salinity, and Pressure Retarded Osmosis is a process that produces electric energy by working the turbine by the pressure which is generated from fresh water passing through the semipermeable membrane and moving to seawater. This study was conducted a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the PRO process by using the RO membranes that is commonly used. The variety of NaCl concentration solution used as draw solution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adjusting concentration, velocity and pressure conditions. Distilled water was used as feed solution, and velocity and pressure were maintained to be fix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flux and the value of power density of RO membrane changed followed by concentration of draw solution, velocity and pressure, and the maximum power density was 0.136 W/m2. In particular, ECP could be decreased by increasing velocity, and the salt rejection rate of the RO membrane for seawater was higher than that of RO membrane for brackish water and accordingly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the PRO process of the RO membrane for seawater was higher. As a result, it can be defined known that there is a limit in applying the RO membrane to the PRO process, and it also can be defined observed that each ICP and ECP by structure function very importantly. It can be judged that the design of the membrane structure considering concentration polarization and strength will be an important factor in developing the separator for PRO from now on.

      • 제주 지역 호텔 내 음식점의 식품위생 관리실태

        서미래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hygiene control in hotels of Jeju Island, and assessed how much food hygiene awareness affects hygiene management in the field. Our survey results while food hygiene awareness was 4.28 out of 5.00 points, the food hygiene performance was 3.66 out of 5.00 points, indicating that the members of kitchen staff had a lower performance than recognition in food hygiene. Also revealed differences in the actual condition of hygiene management with respect to the cooking experience and possession of a license, where higher performance was determined for cooks with less than 6 years of cooking experience and subjects possessing a license. Variable ATP values were obtained, which were highly dependent on prevalent conditions in the kitchens: 70.9% worker's hands, 52.1% cutting boards, 60.5% knives, and 2.1% refrigerator handles were showed acceptable hygiene standards. While number of airborne bacteria detected was below the legal hygiene level in all kitchens both before and after cooking, the number of fungi was below the legal hygiene level on all but two kitchens. The survey results suggested that hygiene education could reduce the discrepancy between perception and performance on food hygiene, but it was not closely related to the microbiological test results in the kitchen. Therefore, additional hygiene training can be provided to improve the results of kitchen hygiene and hygiene, and it is expected to improve food hygiene performance of kitchen staff in Jeju Island through regular inspections.

      • 다문화 아동 밀집 초등학교에서 겪는 교사의 딜레마 연구

        서미래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lemmas faced by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 four dilemma frames of Windschitl (2002). I recruited teachers working at a particular elementary school in South Korea because this school had a high propor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I interviewed four teachers and collected data from March to April 2018.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proposed by Creswell (2015). In addition, data reliability, validity, and research ethics were considered during the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proces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nceptual dilemmas faced by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ise because the teachers deceive themselves that they are well train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Generally, the teachers had taught multicultural students before, and had complet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course. However, they did not know the theor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xact detail. The teachers at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s face pedagogical dilemmas. In this research, pedagogical dilemmas are classified into three areas, as follows: 1. planning a lesson, 2. teaching, and 3. evaluating a lesson after class. When they plan a lesson, they wonder if the subject and difficulty of the lesson are appropriate for the multicultural children. In addition, they resist modifying the standar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multicultural children, even though they know such modification would be helpful. During class, teachers face a dilemma because multicultural children have poor linguistic facility. Furthermore, problems emerge when forming groups including multicultural children for small group intervention. After class, teachers face dilemmas in evaluating their performance. They wonder whether the evaluation method is appropriat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orrect for multicultural children. Cultural dilemmas faced by teachers at multicultural schools include cultural conflicts within multicultural classrooms. The teachers struggle with the proper method of education for multicultural students when Korean children (i.e., the mainstream group) neglect multicultural children (i.e., the minority group). Initially, multicultural children were in the minority in proportion to Korean children. Now, however, they have grown to outnumber the Korean children in class. Thus, the teachers are confused about their identity. Furthermore, teachers are confused about how to guide multicultural children in finding their identity. Finally, the political dilemmas faced by teachers in a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 are as follows: conflict between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inner conflict among teachers due to the current national education policy, and teachers’ curiosity about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global cultural experience. Various conflicts arise due to multicultural children’s names being recorded in English in the NEIS administration system. Lastly, teachers face internal conflict over the priority between multicultural policy and the welfare of Korean low-income clas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om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dilemmas in various situations, whereas others experienced hardly any. Building off of this, our study shows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situations in which teachers experience dilemmas and the stage of development of the teacher’s identity and recognition of fringe children. The more situations in which teachers experience dilemmas, the higher the stage of mainstream teacher identity development. When teachers realize that multicultural children have a difficult time at school and understand this difficulty from a multicultural child’s perspective, they experience a dilemma. Such experiences seem to help teachers develop their identity as mainstream teachers. However, we should not overlook that teachers’ viewson education, individual personality, self-efficacy, and other factors allow them to recognize dilemmas.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for examining teachers’ sincere opinions and thoughts by investigating the difficulties and dilemmas faced by teachers at multicultural schools. In addition, this study could help education experts who will face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uture to establis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nstruction methods. In other words, this study contributes to sett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본 연구는 다문화 아동 밀집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겪는 딜레마를 Windschitl(2002)의 교사의 네 가지 딜레마 프레임 (i.e., 개념적, 교수적, 문화적, 정치적 딜레마)에 따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시에서 다문화 가정 인구가 밀집한 Y구 소재의 Z초등학교에 근무하는 4인의 교사를 인터뷰 대상자로 선정하여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3월부터 4월까지 반구조화된 개별 심층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고 수집된 인터뷰 자료와 관련 문서자료는 Creswell(2015)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자료 수집 및 분석 과정에서 자료의 신뢰성, 타당성과 연구의 윤리성을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문화 밀집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겪는 개념적 딜레마는 교사가 다수의 다문화 아동 지도 경험 및 다문화 관련 연수를 수강한 경험이 있으나 다문화 교육 이론에 대해 여전히 명확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에 있었다. 또한 다문화 교육 대상에 외국인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이 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이 한국교사인 자신의 직무인가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한국교사로서의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고 있었다. 다문화 밀집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겪는 교수적 딜레마로는 크게 수업을 계획하는 과정,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 수업을 마친 후의 과정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교사가 수업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겪는 딜레마로는 수업 주제 또는 학습 난이도가 다문화 아동에게 적절한지에 대해 고민과 기존의 국가 교육과정을 다문화 아동에게 알맞게 재구성을 해야 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다문화 아동들을 위하여 노력하고 싶은 의지가 생기지 않는다는 고충이 있었다.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딜레마로는 다문화 아동들이 언어능력이 부진하여 수업을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과 모둠활동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 다문화 아동을 고려할 수 있는 모둠 구성방법에 대한 고민 등이 있었다. 수업을 마친 후 발생하는 딜레마로는 다문화 교육을 위한 적합한 평가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과 평가 결과가 다문화 아동의 학습 수준을 정확히 보여주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었다. 교사가 겪는 문화적 딜레마로는 한국인 아동 즉 주류 아동이 다문화 아동 즉 비주류 아동을 무시하는 상황에서 학급 전체의 아동들의 관계형성과 상호작용을 어떻게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그리고 처음에는 다문화 아동이 소수고 한국인이 다수였지만 점점 다문화 아동의 수가 증가하여 밀집학교 내에서 다수와 소수가 바뀜으로써 인해 교사가 느끼는 문화적 갈등의 딜레마가 있었다. 또한 교사로서 다문화 아동의 정체성이 어떠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조력해야하는지 혼란을 겪는 사례가 있었고, 일부 다문화 아동이 유발하는 문제행동의 원인이 문화적 특성인지 혹은 개인적 특성인지에 대한 의문 역시 딜레마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밀집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겪는 정치적 딜레마로는 학교 관리자와 교사 간 관점 차이로 인한 갈등, 현재 국가 교육 정책으로 인한 교사의 내적갈등, 일회성 문화 체험 중심의 다문화 교육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 등이 있다. 또한 나이스 행정 시스템 관련 갈등, 다문화 정책과 내국인 저소득층 복지 중 어떤 것이 우선인지에 대한 교사의 내적 갈등이 딜레마로 나타났다. 본 연구자는 위의 네 가지 딜레마 상황을 조사·분석하는 과정에서 연구 대상자 교사 중 일부는 다양한 상황 및 내용의 딜레마를 인식하고 있는 반면 일부 교사는 딜레마를 거의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교사의 딜레마 인식 정도와 주류 교사가 비주류 아동을 인식하는 정체성의 발달단계(Helms, 1990)와의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다양한 딜레마를 인식하고 표현하는 교사의 경우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반인종주의적인 주류교사로서의 정체성이 높은 단계로 발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류 교사가 비주류 다문화 아동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 인지하고, 이를 다문화 아동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형태의 교사 딜레마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는 주류 교사의 반인종주의적 정체성이 발달되어가는 매우 긍정적인 과정으로 분석된다. 물론 딜레마를 인식하는 것은 교사의 평소 교육관, 개인 성향, 자기 효능감 등의 다른 특성들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다문화 아동을 가르치면서 겪는 어려움 및 딜레마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교사들의 진솔한 목소리와 내면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앞으로 다문화 시대 많은 다문화 학생들을 학교 현장에서 맞이할 교육 전문가들이 다문화 교육정책 및 교수방법을 고안하는 것에 대한 교육 기반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여가스포츠 참여유형에 따른 참여자의 여가열의와 여가몰입 관계 연구

        서미래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aimed at recognizing differences betwee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eisure sports participants, figuring out how leisure engagement influences leisure flow in order to find out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and therefore studying for these two factors which are significant factors in determining continuous participations of leisure spor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of leisure sport activitie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528 people in total. Method of this study is survey method, based on Young-Jae Kims(2012)’s 15 questions for measuring leisure engagement and Young-Jae Kim’s(2010)’s 30 questions for measuring leisure flow.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using SPSS 20.0 ver programs to analyz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Moreover, in order to figure out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of leisure sport participants, firstly Person correlation were confirmed, t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two factors. The positive analysis of this study were all interpre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f significance level( p value) is p<0.5. The conclusion based on data analysis using above procedures is following. The results of hypothesis 1’s differences in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showed first, in differences of leisure engagement based on participants’ sex and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tion, males had higher efficacy than females for differences in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by participants’ sex, and differences in sub-factor of leisure engagement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sorption, dedication, and efficacy, except for vigor. In absorption and dedication,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in efficacy,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week participants showed higher results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Furthermo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participants’ sex of leisure sports and frequency were only significant in vigor. Giving closer look to the vigor by participants’ sex and frequency, i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2~3 times/week participants females showed higher vigor than males, and in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males had higher vigor than females. In differences of leisure flow based on participants’ sex of leisure sports and the frequency, males were higher in only 2 sub-factors of leisure flow, which are challenge skill balance and sense of control. In differences of sub-factors of leisure flow based on the frequency, 6 sub-factors except altered sense of time, which are clear goals, loss of self-consciousness, challenge skill balance, autotelic experience, immediate feedback, and sense of control, were higher; in clear goals, challenge skill balance and immediate feedback,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in loss of self-consciousness, 1 time/week participants and 2~3 times/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and in autotelic experience and sense of control,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Moreover, interaction effects of leisure flow based on participants’s sex of leisure sports and the frequency were only significant in clear goals. Looking clear goals specifically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s’ sex and frequency, in 1 time/week participants, males showed higher clear goals than females, in 2~3 times/week participants, females showed clear goals than males, and in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males showed higher clear goals than females. Second, in differences of leisure engagement based on leisure sport participants’ types of leisure sport participation and the frequency, group sports showed higher efficacy than individual sports, and in differences of sub-factors based on the frequency,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showed higher absorption and dedication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showed higher efficacy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Moreover, in vigor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but in Scheff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1 time/week participants,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In differences of leisure flow based on participants’ types of leisure sport participations and the frequency, group sports showed higher altered sense of time and challenge skill balance than individual sports for differences of sub-factors based on types of participations, and vice versa for immediate feedbacks. In differences in sub-factors of leisure flow based on the frequency, 6 factors except altered sense of time, which are clear goals, loss of self-consciousness, challenge skill balance, autotelic experience, immediate feedback, and sense of contro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ear goals, challenge skill balance, and immediate feedbacks, 2~3 times/week participants and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in loss of self-consciousness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and 2~3 times/week participants. In autotelic experience and sense of control 4 times or more/week participants were higher than 1 time/week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s that show hypothesis 2’s leisure engagement and leisure flow have correlation, the effects of hypothesis 3’s influence of leisure sport participants’ leisure engagement on the leisure flow were studied, and result was that 4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which are absorption, efficacy, vigor, and dedication,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leisure flow. The result of figuring out influences of leisure engagement factors on sub-fators of leisure flow was, first, all 4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absorption, efficacy, vigor, dedic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clear goals, altered sense of time, and autotelic experience. Second, absorption and 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loss of self-consciousness and challenge skill balance, which are leisure flow’s sub-factors. Third, absorption, vigor, and dedication, which are the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altered sense of time, which is the sub-factor of leisure flow. Fourth, absorption, efficacy, and dedication,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immediate feedbacks, the sub-factor of leisure flow. Fifth, absorption, efficacy, and vigor, sub-factors of leisure engag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sense of control. According to these results, leisure sport participants’ leisure engagement influenced on leisure flow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most cases. Based on this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leisure engagement positively influences on leisure flow.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에 따른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차이를 알아보고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가열의는 여가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하여 여가스포츠의 계속적인 참여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이 두 가지 요인에 대하여 연구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에서 여가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남, 여 총528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설문지로서 김영재(2012)의 여가열의를 측정하는 15문항, 김영재(2010)의 여가몰입을 측정하는 30문항 등을 기초로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v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여가열의 및 여가몰입의 구성요인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wo-way ANOVA(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여가스포츠 참여자들의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두 변인 사이의 관계 형성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Person 적률상관관계(correlation)를 확인한 후,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은 모두 유의도(확률수준:p value)가 p <.05인 경우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에 따른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1의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에 차이를 알아본 결과, 첫째,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의 차이에서는 주 효과 성별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 차이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 효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의 차이에서는 활력을 제외한 몰두, 효능감, 헌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몰두, 헌신에서 주1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 참여자가 더 높았으며, 효능감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2~3회참여자와 주4회이상 참여자가 더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의 상호작용 효과는 활력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상호작용 활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1회, 주2~3회 참여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활력이 더 높고 주4회이상 참여자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활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의 차이에서는 주 효과 성별에 따른 여가몰입하위요인의 차이는 도전과기술의균형, 통제감에서만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주 효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하위요인의 차이에서는 시간감각왜곡을 제외한 몰입의 하위요인 6가지 명확한목표, 자의식의상실, 도전과기술의균형, 자기목적적경험, 즉각적인피드백, 통제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명확한목표와 도전과기술의균형, 즉각적인피드백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2~3회 참여자와 주4회이상 참여자가 더 높고, 자의식의상실에서는 주1회참여자와 주2~3회 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았으며, 자기목적적경험, 통제감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의 상호작용 효과는 명확한목표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성별과 참여횟수에 따른 상호작용 명확한목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1회 참여자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명확한목표가 더 높고, 주2~3회 참여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명확한목표가 더 높으며, 주4회이상 참여자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명확한목표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참여유형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의 차이에서는 주 효과 참여유형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의 차이에서 단체종목이 개인종목보다 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주 효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열의하위요인의 차이에서 몰두, 헌신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고, 효능감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2~3회참여자와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은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활력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긴 하였지만 사후검증결과(Scheffe)에서는 주1회참여자와 주2~3회참여자, 주4회이상참여자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참여유형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의 차이에서는 주 효과 참여유형에 따른 여가몰입하위요인의 차이는 시감감각왜곡, 도전과기술의균형에서 단체종목이 개인종목 보다 높게 나타났고, 즉각적인피드백에서는 개인종목이 단체종목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 효과 참여횟수에 따른 여가몰입하위요인의 차이에서 시간감각왜곡을 제외한 6가지요인 명확한목표, 자기목적적경험, 도전과기술의균형, 자의식의상실, 즉각적인피드백, 통제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명확한목표, 도전과기술의균형, 즉각적인피드백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2~3회참여자와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았으며, 자의식의상실에서는 주1회참여자와 주2~3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 참여자가 더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자기목적적경험과 통제감에서는 주1회참여자 보다 주4회이상참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2의 여가열의와 여가몰입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난 결과에 따라, 가설3의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열의가 여가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여가열의요인이 여가몰입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가열의의 하위요인인 몰두, 효능감, 활력, 헌신 4개의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여가열의요인이 여가몰입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첫째, 여가열의하위요인 4가지(몰두, 효능감, 활력, 헌신)모두가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명확한목표, 자기목적적경험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여가열의의 하위요인 몰두, 효능감이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자의식의상실, 도전과기술의균형에서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여가열의의 하위요인 몰두, 활력, 헌신이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시간감각왜곡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여가열의의 하위요인 몰두, 효능감, 헌신이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즉각적인피드백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열의의 하위요인 몰두, 효능감, 활력이 여가몰입의 하위요인 중 통제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열의는 여가몰입에 거의 대부분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남으로써, 여가열의는 여가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렸다.

      • 주변의 사물과 골목의 향연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미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주된 것, 평준화된 것들 주변에 위치한 가장자리는 주류를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존재이다. 본인은 낮은 곳에 눈높이를 맞추어보면서 그 곳에 위치한 작고 소소한 것들의 가치가 주된 것의 가치와는 또 다른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그림과 액자의 지칭에서 시작된 ‘에르곤’(Ergon)과 ‘파레르곤’ (Parergon) 이론을 참고하여 밝히고자 한다. 더 나아가 작은 목소리를 내는 것들에 귀 기울여보고 주류와 비주류 사이를 서로의 가치와 다양성에 대한 인정으로 동등하게 봄으로써 경계 자체를 무의미하게 보고자 한다. 유년 시절부터 본인의 삶에 영향을 준 골목과 주변의 언저리 공간들은 도심 속 가장자리와 같으며 지나간 시절의 향수와 어우러져 하나의 놀이 공간과 같이 인식되었다. 본인은 이러한 골목을 외부에 존재하는 ‘방’과 같은 공간으로 보고 한국의 공동생활의 장으로 쉼과 문화공간인 전통마당의 개념과 연관지어 해석하고자 한다. 건축 공간으로서 주택과 그에 의해 형성된 골목은 정확히 나누어지지 않아 혼재되고 미로처럼 보이지만 암묵적인 약속들이 숨어있어 나름의 규칙이 있고 유기적이다. 구석구석 숨겨진 공간, 자투리 공간 속에는 틀에 맞게 짜여진 고층 아파트와는 달리 그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다. 서로 얽혀 있어 구불구불한 골목 공간 사이에는 그 틈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는 작은 사물들이 존재한다. 그 공간에 거주하는 사람들 소유인 이러한 사물들은 우연한 만남을 통해 사물들 주변의 사건들과 연관되어 본인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이는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게 하는 가벼운 상상으로 발전하게 되고 그 안에서 조형성과 유희성을 찾아나가게 한다. 본인은 이러한 골목 공간과 사물들을 각각 하나의 이미지로 읽고 있으며 이를 조형언어로 표현해보고자 하였다. 골목 사이사이 놓여있는 이미지들은 버려진 것들을 모으는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넝마주이’와 같은 자세로 관찰되고 주워 담아지게 되며 본인의 캔버스 공간 안에 수집되어 새로운 조형언어로 펼쳐지게 된다. 내놓아진 화분과 식물들을 모아놓기도 하고 주택가의 주소로 불리는 다양한 문들을 캔버스 안에서 제약 없이 자유롭게 담게 된다. 또한 수집한 이미지들로 혼재된 공간을 만들어 경계와 공간에 대한 해석을 폭넓게 담으려 하며 그 안에 본인의 소소한 상상력을 표현하려 한다. 사소하고 미미한 것들, 주변의 것들은 언제나 작은 비중으로 보여지지만 중요하지 않다고는 할 수 없는 그들만의 가녀린 숨결이 있다. 본인은 그들을 모아 가장자리에 있는 것들의 향연을 만들어 보고자 한다. 이러한 것들의 유희적인 모임이 많은 현대인들이 느끼고 있는 마음의 공허함을 채워 주고 중심과는 또 다른 가치가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길 바란다. This paper aims to adjust its view to a lower level and reflect my attempt to bestow significant values to small and miniscule things. The marginal things that are located near the primary or standardized are prerequisites for creating the mainstream. Furthermore, this paper will show the beneficial capabilities of minor objects (other than major ones) by referencing the theory of ‘Ergon’ and ‘Parergon’ which both are start from the designation of a painting and its surrounding frame. In addition, by heeding onto entities that make small voices, my goal is to equalize both values of the majority and the minority, embrace diversity of different entities and semantically nullify the invisible boundary which segregates and distinguishes the two groups. A certain alley and its surrounding edges of space which have influenced my life since childhood are the same as the marginal areas in a city. They are perceived as a playing space harmonized with nostalgia. I intend to treat this alley as an outer room and correlate the notion of traditional yard which is a cultural space for relaxation in terms of Korean community life. The dwellings that are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and back-alleys may seem to be in disorder and resemble a maze, but these places have their own implicit rules and systematic attributes. Unlike the fixedly constructed high story apartments, it is possible to discover individualistic identities of people who are having different lives in small, hidden places. Our curiosity on small things happening around the narrow crevices in those spaces develops into small imaginations diverted from the reality and thus enables the discovery of its plasticity and pleasure. I view each of the alley spaces as an image and attempt to express those images in artistic language. The concept of ‘Lumpensammler’ (rag-picker) mentioned by Walter Benjamin refers to collecting discarded objects and is one of my inspirations for my artworks. This concept is applied to my viewpoint while examining miniscule things originated from an alley. After the examination process, those objects are depicted on my canvas in a new form of artistic language. Without any restriction, the canvas can also embody flowerpots, plants and even various gates that mark individual dwellings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By using these collected images, I conclusively aim to create a combined space and include a wide range of interpretation on spaces and boundaries. My final objective is to express my trifling imagination within that space. Insignificant, trivial and perimetric things might be regarded less important than major ones but they have their own subtle vitality. I attempt to establish a collective set of those small things and create a festive atmosphere around them. It is expected for this type of gathering to fulfill its role of relieving modern people’s emotional emptiness and accomplish its other significant purposes which differ from those of the majo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