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욕창간호 지식, 욕창예방 태도 및 수행에 관한 연구

        서금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노인의 욕창은 노인에게 고통과 불편을 주고, 감염의 발생을 증가시키므로 조기에 욕창의 위험요인을 사정하고 예방하는 것은 중요한 간호업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욕창간호에 대한 지식, 욕창예방 태도 및 수행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9년 5월 29일부터 7월 26일까지였으며, 서울, 경기도 일부에 위치한 97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219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욕창 간호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Beitz, Fey와 O'Brein(1998)이 개발한 도구를 이명옥(2000)이 수정 보완한 욕창간호 지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욕창예방 태도와 수행은 Moore와 Price(2004)가 개발한 도구를 국문 번역, 역 번역 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9.2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연구 대상자의 욕창간호 지식수준은 총점 32점 만점에 평균 21.92점이었고, 정답률은 69.2%이었다. 하위영역별 욕창간호 지식수준은 욕창발생 위험요인 지식이 총점 13점 만점에 평균 9.62점(정답률 74.6%)이었고, 욕창상태 사정에 관한 지식은 총점 4점 만점에 평균 2.65점(정답률 67.8%)이었으며, 욕창치유 방법에 관한 지식은 총점 15점 만점에 평균 9.66점(정답률 65.2%)이었다. 2. 연구 대상자의 욕창예방 태도는 대상자의 96.5%가 ‘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간호사정은 욕창발생 위험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준다’가 가장 높았으며, ‘욕창치료가 욕창예방보다 우선순위이다’와 ‘욕창예방은 다른 간호업무의 차 순위이다’는 각각 92.2%, 91.8%를 차지하였다. 반면, 가장 낮은 문항은 ‘대부분의 욕창은 피할 수 있다’로 대상자의 47.0%가 응답하였다. 3. 연구 대상자의 욕창예방 수행은 예방수행과 예방수행 관련 장애요인을 포함한다. 욕창예방 수행에서 가장 높게 응답한 문항을 살펴보면 욕창발생 위험요인을 사정하는 대상으로 연구 대상자의 49.3%가 ‘일부 환자에게 실시한다’로 응답하였으며, 욕창발생 위험요인을 사정하는 시기는 83.1%가 ‘입원하고 있는 동안에 실시한다’고 하였다. 욕창예방 간호계획 기록대상은 63.9%가 ‘욕창위험이 있는 모든 환자를 실시한다’고 하였고, 욕창예방의 간호계획 점검 시기는 42.0%가 ‘아주 가끔’이라고 응답하였다. 욕창예방 간호계획 점검이유는 59.4%가 ‘환자상태가 변화되었기 때문’이었으며, 욕창예방의 간호계획 변경 시기는 65.6%가 ‘입원 중 욕창 발생 시’라고 응답하였다. 욕창예방 전략은 92.2%가 ‘수행한다’고 응답하였고, 욕창예방 전략수행 이유로는 70.3%가 ‘간호실무의 필요한 부분이므로’라고 응답하였다. 욕창예방 수행 관련 장애요인은 욕창위험 사정수행 장애요인으로 ‘환자상태변화 및 비협조’의 환자 요인이 응답 중 50.4%로 가장 높았고, 욕창예방 간호기록 장애요인으로 ‘과중한 업무’가 응답 중 38.6%를 차지하였으며, 욕창예방 간호수행 장애요인으로 ‘환자상태 변화’가 응답 중 4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욕창간호 지식은 최종학력(F=2.943, p=.034), 전문간호사 자격증 소지 유무(t=-2.273, p=.024)와 욕창관련 교육수혜자 중 교육프로그램(F=3.911, p= .01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대학원이상 졸업자, 전문간호사 자격증 소지자와 교육프로그램으로 학회나 학술대회 교육 참가자들이 욕창간호 지식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욕창지식 정답률이 69.2%로 대체로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욕창과 관련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속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하며, 아울러 욕창 예방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적극적인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물질적, 시간적, 인적 지원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urses' knowledge levels and attitudes towards pressure ulcer as well as delivery of prevention care in nursing homes. Two hundred nineteen nurses from 97 nursing homes located in the greater Seoul area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9 to July 26, 2009. The questionnaires included a knowledge assessment instrument for pressure ulcers developed by Beitz, Fey, and O'Brein (1998) and modified by Lee (2000), and a Korean version of the measure for attitudes and practices of pressure ulcer prevention, developed by Moore and Price (2004).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with Scheffe post hoc test procedures with SAS 9.2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Participants in this study showed slightly high scores of 21.92 ± 3.56 with a perfect score rate of 69.2% on the knowledge of pressure ulcers. For the knowledge domains, the average score of the knowledge about causes of pressure ulcers was 9.62 ± 1.62 with a perfect score rate of 74.6%, pressure ulcer assessment 2.65 ± 0.95 with 67.8%, and pressure ulcer prevention methods 9.66 ± 2.24 with 65.2%. 2. The score of attitudes toward pressure ulcer prevention was 42.06 ± 3.95 on average out of 55, showing nurses’ positive attitudes. 3. About half of the participants(49.3%) carried out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on patients, and 83.1% conducted the assessment on a daily basis. Over half of the participants (63.9%) reported to develop a pressure ulcer prevention care plan for patients at risk. Twenty-three percent of the participants reviewed pressure ulcer prevention care plansrtvery day, while 76.7% did weekly orre ss. Fifty-npantpercent of the participants updated preventive care plansrfor patients who had pressure ulcers and 65.6% updated plans only when patients developed pressure ulcers. Almost all nurses (92.2%) never used pressure ulcer preventive care plans.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70.3%) applied preventive care plans because "such care plans were necessary part of nursing practice." 4. Barriers to providing pressure ulcer prevention were change in patients’ condition, immobility and lack of cooperation from patients (50.5%), and heavy work or more urgent care at hand(38.6%). Barriers to pressure ulcer prevention included patients’ condition changes(46.6%). 5. Nurses with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F = 2.943, p = .034), an RN license, (t = -2.273, p = .024), and those who received training programs (e.g., scientific conferences or symposium) (F = 3.911, p = .010) showed higher levels of knowledge about pressure ulcer prevention. Findings suggest that providing training programs to advance the knowledge on pressure ulcer prevention on an ongoing basis is of critical importance for nurses in nursing homes. Adequate resources and manpower are needed to develop positive attitudes toward pressure ulcer prevention and implement effective preventive care.

      • 평가인증제의 「보육시설 환경」과 「실내외 시설의 안전」에 관한 사례연구

        서금숙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 1990년대 정부의 노력으로 보육시설의 양적 확대에는 성공을 거두었으나 그와 더불어 만족할 만한 질적 향상에는 큰 의의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의 활성화는 매우 시기 적절할 뿐만 아니라 오늘날 우리사회가 해결해야 하는 큰 과제 중에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 목적은 시행되고 있는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의 「보육시설 환경」과 「실내외 시설의 안전」 지표 기준에 따른 비용을 조사해 보고, 그에 따른 구체적 사례를 제시·분석함으로써 이에 따른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럼으로 보육현장에서 평가인증제를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1인 이상 보육시설과 21인 미만 보육시설의 사례를 통하여 평가인증제 「보육시설 환경」과 실내외 시설 안전의 지표에 우수한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21인 이상 보육시설과 21인 미만 보육시설의 사례를 통하여 평가인증제 「보육시설 환경」과 「실내외 시설의 안전」의 지표에 미흡한 내용은 무엇이며 이를 보완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본 연구 대상은 영유아보육법이 시행되기 이전인 1996년부터 2004년까지 설립되어지고 2005년 평가인증제 통과 된 일반 보육시설(장애아전담 보육시설을 제외)이다. 위와 같은 시설 중에 경기도와 강원도,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21인 이상 보육시설 45개소, 21인 미만 보육시설 44개소를 우편으로 예비조사를 하였다. 이 중 21인 이상 보육시설 17개소와 21인 미만 보육시설 9개소를 회수하였다. 이러한 예비조사 내용을 토대로 영유아 1인당 지출 된 비용을 산출하여 이에 따라 구체적인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사례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첫째.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보육시설 환경」과 「실내외 시설의 안전」 지표에 합당하기 위하여 투자된 지출 비용은 보육시설 평가인증 점수와 비례하지 않았다. 둘째. 보육시설 설치당시의 내역에 따라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합당한 「보육시설 환경」과 「실내외 시설의 안전」 영역에 투자 된 비용이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셋째. 거의 모든 시설에서 3년 마다 1회 실시되는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의해 한시적, 일회성의 평가의 결과로 평가 해당년도에 집중된 지출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아래와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보육정보센터의 활성화와 보육시설 담당 공무원의 전문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표준 보육시설 설치기준」을 마련하여 신규보육시설 인가시 구체적인 지침과 규정이 마련되어져야 한다. 셋째. 평가인증제를 위한 집중된 지출을 줄이기 위해서는「보육시설 환경」에 대한 지출 비용을「보육시설 재무·회계 규칙」에 포함하여 장기적인 계획과 지속적인 지출을 집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We succeeded in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childcare by the efforts of the government in the 1990s, but we hadn't achieved much significance in the qualitative improvement which is satisfactory. In this situation, the activation of childcare accreditation system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ildcare service is very well-judged and is the large assignment our society today must solve. To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osts according to the index standard of 「child-care environment」 and 「safety in-and-out of the facility」 of the childcare accreditation system that are implemented, to suggest, analyze the concrete cases following that, and to provide the basis that can manage costs efficiently. By that, we are to help approach more easily to childcare accreditation system at the child-care field. The study subjects appropriate to the needs and purpose of the study as above are as follow. First, what is the good contents to the indices of the evaluation authentication system 「childcare environment」 and 「safety of in-and-out facilities」 through the cases of the childcare of fewer than 21 children and more than 21 Second, what are the contents lacking at the evaluation authentication system indices of 「child-care environments」 and 「safety in-and-out of the facilities」 through the cases of childcare of fewer than 21 children and more than 21, and what is the way to complement these? The targets of this study are the general childcare(excluding the childcare exclusively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that have been passed of 2005 child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were established from 1996 to 2004 before the infantile nurturing law was implemented. We preliminarily surveyed 45 facilities over 21 children and 44 facilities fewer than 21 who live in Gyu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among the facilities as above by mail. We recollected 17 facilities over 21 people and 9 facilities fewer than 21 people among these. Based on these contents of the preliminary contents, we practiced concrete case study according to this while producing the costs spent per infant. The results we got through this case study was that first, the score of child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the correlation weren't proportioned to each other in the expenditure that was invested to be appropriate to the index of cchildcare accreditation system 「child-care environment」 and 「safety in-and-out of the facility」. Second, there is gap between the cost invested in 「the childcare environment」 and 「safety in-and-out of the facility」 area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childcare accredi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pecifics of the time when the childcare was established. Third, by the childcare accreditation system practiced 1 time every 3 years in almost all facilities, we could see the expenditures concentrated on the evaluation pertinent year by the results of the one-time evaluation. The suggestions according to this study results are first, we must activate the child-care information facility and reinforce the expertness of the civil servant who takes charge of the childcare. Second, we must prepare 「the standard child-are establishment standard」 and the concrete guidances and rules at the time of childcare accreditation system of new childcare must be prepared. Third, to reduce the expenditures that are concentrated on the childcare accreditation system, we must execute continuous expenditure and long-term planning including the expenditure toward 「the childcare environment」 to 「the financial, accounting rules of the childcare」.

      • 미국병원에서의 한인간호사 임상실무경험

        서금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간호사의 해외이주는 세계적인 현상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재미한인간호사의 임상실무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해외로 취업 이주하는 간호사에 대한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병원에서의 한인간호사 임상실무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van Manen(1990)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미국으로 이주하여 뉴욕 주와 뉴저지 주 소재 병원에 소속되어 현재 근무 중인 미국 경력 1년 이상 한인간호사 15명을 목적적 표본추출과 눈덩이 표본추출을 통해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2년 3월부터 7월까지였으며, 면대면 면담, 전화 면담 및 이메일을 이용하여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수집하였다. 면담 자료는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하고 필사하였으며, 반성적 사고 과정을 거쳐 세분법에 따라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기존 구성원의 텃세로 마음 고생함’, ‘언어장벽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두려움으로 가득함’, ‘한국적 정서와는 다르지만 합리적이라 여김’, ‘소송이 일상화된 환경에서 긴장감을 늦추지 못함’, ‘환자 권리와 간호사 복지를 존중하는 사회제도에 안정감을 느낌’, ‘숙련된 기술과 임상경험으로 자신감을 유지함’, ‘다양한 문화적 특성에 근거한 환자중심의 간호를 실천함’, ‘더 나은 간호사로서의 자리매김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함’ 등으로 총 8개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재미한인간호사들은 미국의 임상현장에서 기대와는 다른 상반된 현실상황에서 언어문제와 문화적 차이로 인한 갈등을 극복해가며 새로운 삶에 대한 전환을 맞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한인간호사들은 임상현장에서 소송에 대한 불안으로 긴장감을 늦출 수 없었지만 숙련된 기술과 성실성을 인정받으며 한국간호사로서의 자긍심을 가지고, 환자중심 간호를 실천함으로써 전문직으로서의 간호사 직업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며 미국 병원에 적응하기 위한 자기계발을 지속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미국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사나 향후 취업 이주할 간호사에게 미국병원의 임상실무세계에 대한 공감과 이해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간호사들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과 정책 방안 및 지원 프로그램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Nurse immigration has continued to increase globally. In order to develop effective support for Korean nurses who plan to immigrate to and work in the U. S., it is critical to study the experiences of Korean immigrant nurses working in the U. S. hospit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rd and examine in depth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s of Korean immigrant nurses working in the U. S. hospitals. This study applied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y approach. Study participants were 15 Korean nurses who had more than one year of clinical experience in U. S. hospitals and were employed as a registered nurse at a hospital in the State of New York or the State of New Jersey at the time of interview. They were selected by purposeful and snowballing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012 to July 2012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phone interviews, and e-mails to the fullest extent.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with permiss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A total of eight essential themes were extracted through reflective thinking process and subdivision method. The essential themes include: ‘Experiencing exclusion from co-workers and disadvantages as newcomers’, ‘Being under stress and fear caused by language barrier’, ‘Accepting rational thinking and values of the U. S. culture’, ‘Continuously feeling tensed in a culture where lawsuits are common’, ‘Feeling stability from the U. S. welfare system that respects the patient rights and wellbeing of the nurse’, ‘Maintaining confidence as an experienced nurse with mastered skills’, ‘Practicing patient-centered and culturally sensitive nursing’, ‘Constantly thriving to become a better nurse’.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while facing a reality different from initial expectations, Korean immigrant nurses in the U. S. made a turning point in their career by overcoming frustration from language barriers and cultural differences. Although the study subjects experienced constant anxiety regarding potential medical lawsuits, they gradually became recognized for their nursing skills and diligence, and developed pride as a Korean nurse. Through practicing patient-centered care, the study participants established their identity as the professional nurse and continued self- development to settle down in the U. S. clinical set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because they not only provide Korean nurses who currently work in the U. S. an opportunity to empathize experiences of other Korean nurses in the U. S., but also help Korean nurses who plan to work in the U. S. to understand the clinical work environment in the U. S. hospitals. Finally,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e need to develop social network, policy measures and support programs that will help Korean nurses who currently work in the U. S. or plan to immigrate and work in the U. S. in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