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중경(重慶) 파남(巴南)지역의 예속(禮俗)음악문화에 대한 연구 : 접룡(接龍)취타악을 중심으로

        서곽릉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Ba’nan District of Chongqing, located in the southwest of China, is a major intermingling zone of multi-ethnic cultures in China. Owing to its unique geographical and humanistic conditions, Ba’nan has preserved many outstanding cultural traditions, among which ritual music is a prominent representative.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origins of the Ba’nan folk rites and customs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 with music, defining "rites", "customs" and "ritual music" accordingly after an in-depth study of these basic concepts, and putting forward a series of fresh thinking and new perspectives such as "art music", "non-art music", "mainstream social music" and "non-mainstream social music". Adopting the methodology of ethnomusicology, it makes a classification and textual research on the ritual activities in Ba’nan area and the music attached to them. The author tries to compare Chinese ritual music with Korean counterparts in terms of cultural essence, arguing that both cultures are influenced by Confucianism, especially the concept of ancestor worship. However their ritual ceremonies are presented in different ways. In folk rituals, Chinese folk rituals and music are combined, music being an the indispensable part, while in Korea, music is not used much in ritual activities, and the Korean ritual and music is mainly used in large, public sacrificial ceremonies. Meanwhile, the dissertation also presents a systematic field survey and sociological statistics of Ba’nan folk theatrical troupes. In respect of its different field environments, the dissertation categorizes Ba’nan ritual music, which boasts diverse forms. The introduction of this dissertation outlines the rationale and significance of the chosen topic, and points out the scope of research and the originality of the dissertation wr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ethnomusicology, the author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cultural phenomenon of wind and percussion music in Ba’nan area of Chongqing, China. In addition, as an overseas student in Korea, Korean music culture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author. From this perspective, as an "other" in the culture, there are often many cultural comparisons and reflections on the correlation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foreign culture" and the "mother culture". Among the rituals and customs of the East Asian countries, Chinese folk rituals and customs are relatively more prominent in folk nature. In the second chapter, the humanistic context and folk customs are the focus of this part. Before unfolding them in details, the author attempts to make a new logical division of the category of "Chinese music" by deeply interpreting the basic cultural concepts of "rite" and "custom" in Chinese culture tentatively. In the third chapter, the author adopts a musical anthropology approach to the object of field investigation -- theatrical troupe. In the field work, the author found that, within the Jielong theatrical troupes for wind and percussion music, there was a set of strict remuneration distribution system, which integrated multiple distribution mechanisms including the labor time, labor technology, means of production, organizational status. In the fourth chapter, the author puts forward the phenomenon of "field culture" in ritual music for the first time. According to the author, we have reason to believe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of folk music here, Ba’nan region enjoys a very flexible and relatively diversified cultural context, and plus, the activities of its theatrical troupes are directly influenced by such cultural factors. In the theory of field cul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objective objects is of great importance. Thinking in terms of the field concept is actually thinking in respect of relations. In the few presently-existed theatrical troupes, field culture has independently developed the micro-cultural ecology. The fifth chapter focuses on the social function and disciplinary significance of Jielong ritual music in Ba’nan. Through further research on Ba’nan ritual music, the author reveals that ritual music in this area has enormous cultural anthropological value, which is mainly reflected in two aspects: maintaining its national identity and understanding its national identity. Chapter Six sorts out the present situation of Ba’nan ritual music and the difficulties faced with wind and percussion music in Jielong Town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n puts forward some pioneering suggestions. The author holds the belief that Chinese folk music would not have such a strong vitality and preservation, if there were no traditional Confucian concepts of respecting ancestors or no ideological capacity of Buddhism and Taoism, or these believers had not been preaching among the folks, or the peasants hadn’t got any strong desire to change their social status. 중경(重慶)시 파남(巴南)구는 중국 남서 지역에 위치하며 다민족문화의 주요 교합지대다. 파남의 독특한 지리와 인문적 조건 덕분에 지금까지 파남지역에 많은 훌륭한 전통문화를 유지하고 있으며, 예속(禮俗)음악은 바로 여러 전통문화 중에서 두드러지는 대표이다. 본 문은 파남 민간 여러 예속의 연원, 음악과 예속의 관계를 고증하였다. 그리고 ‘예’, ‘속’, ‘예속 음악’ 등의 기본 개념을 깊이 연구하여, 이에 상응하는 정의를 내리고, ‘예술 음악’, ‘비예술 음악’, ‘주류 사회음악’, ‘비주류 사회음악’ 등 일련의 새로운 사유와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민족음악학의 방법론을 응용하여 중경 파남의 예속 활동 및 이에 부수되는 음악에 대한 분류식 연구와 탐원식 고증을 하였다. 본 문은 중국 예속음악과 한국 예속음악을 문화적 본질에서 비교했는데, 두 나라의 문화는 유가 사상의 영향을 받아 숭조경종(崇祖敬宗)의 관념이 특히 깊으나, 예속 의식의 표현 방식은 각각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중국의 민간 예속행사에서는 예와 악이 결합되어 음악이 필수적이지만, 한국의 민간 예속행사에서는 악을 많이 사용하지 않으며, 예악은 주로 대형·공중형 제전의식에 사용된다. 본 문에서는 파남 예속음악의 반사(班社)에 대한 체계적인 답사조사와 사회학적 통계를 살펴보기도 하였다. 파남 예속음악의 형식이 다양한데 본 문에서는 파남 예속음악의 장역(場域)별 환경에 따라 그 음악을 분류적으로 연구하였다. 본문의 서론 부분에서는 주제 선정의 근거와 가치를 폭넓게 서술하였고 논문의 연구 범위 및 논문의 독창성을 지적하였다. 중국 중경 파남 지역의 취타악 문화 현상을 민족음악학의 학문적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또 한국 음악문화는 한국 유학생으로서의 필자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런 의미에서 문화 속의 ’타자‘로서 ‘이(异)문화’와 ‘모체문화’의 연관성과 이동(异同)표현에 대해 많은 문화적 비교와 사고가 종종 생긴다.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예속문화에서 중국 민간 예속은 상대적으로 그 민간성을 더욱 두드러지게 드러낸다. 제2장에서는 인문배경 및 향토민속을 중점적으로 다루었고 그것들을 깊이 있게 드러내기 전에 필자는 중화문화 중의 ‘예’와 ‘속’의 기본 문화개념에 대해 실험적으로 깊이 해독하였다. 또한 ‘중국음악’의 카테고리에 대해 완전히 새로운 논리적인 분류를 시도하였다. 제3장에서는 들판조사 대상인 반사에 대해 음악인류학적 방법으로 해독하였다. 필자가 들에서 일하는 과정에서 접룡취타악 반사 내부에 엄밀한 사례금 분배 제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이러한 분배제도는 노동시간, 노동기술, 생산자료, 조직의 지위 등 여러 가지 분배 메커니즘에 따라 통합적으로 만들어졌다. 제4장에서 필자는 의식음악에 존재하는 ‘장역문화’ 현상을 처음으로 제시하였고 파남 지역의 예속음악의 발전상을 보면, 파남은 매우 유연하고 상대적으로 다원화된 문화 문맥을 가지고 있으며, 반사의 활동이 이러한 문화적 요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본다. 장역문화 이론에서 각종 객관적인 대상 간의 관계가 매우 중요시된다. 장역의 개념에 따라 생각하는 것은 실제로 관계의 관점에서 생각하는 것이다. 현재 남아 있는 몇 개의 예속반사에서 장소 문화는 각자 독립적으로 미시적인 문화 생태를 구축하였다. 제5장에서는 파남접룡예속음악의 사회적 기능과 학문적 의의를 중점적으로 탐구하였는데 파남예속음악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파남예속음악이 중대한 문화 인류학적 의의를 지닌다는 것을 밝혀냈는데 이러한 의미는 민족성의 유지와 민족성의 인식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나타난다. 제6장에서는 파남 예속음악의 현황과 무형문화유산인 접룡취타악이 안고 있는 어려움을 정리하고 획기적인 건의를 제기하였다. 전통적인 유가 학설에서의 숭조관념, 불도 정신의 사상용량, 민간에서의 신앙인의 전교(傳教),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바꾸기를 갈망하는 농민층의 강한 열망이 없었다면 중국의 민간 예속음악이 이렇게 생명력을 갖는 것이 불가능하고 보존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믿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