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 타이포그래피에 표현된 시간관과 공간관에 관한 연구

        서경자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인간이 살아 있다는 것은 물리적인 시간과 공간 속에서만 그 삶이 가능하며, 인간의 죽음은 시간과 공간을 더 이상 점유하지 않음을 뜻한다. 시간과 공간은 인간을 이해하는 기본적인 요소이며, 이것에 대한 다양한 파악과 이해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류의 예술사에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시공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고정된 것이 아니며, 이는 역사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였고,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변모하며 이것은 사회 전 영역에서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으로 형성되고 변화된 시공간에 대한 인식은 시대의 새로움이라는 가치를 위해 구시대의 인식을 넘어선 시공간을 창조할 수 있다. 동시대의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시간과 공간의 개념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사고, 행동, 표현 등 삶의 전반적인 양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조건을 제공한다. 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시간과 공간은 추상적인 연구의 대상이므로 관점에 따라 다양한 규정과 해석이 존재하므로 하나의 단위로 정의 할 수 없다. 그렇지만, 과학에서 밝혀진 시간과 공간의 패러다임 변화는 우리 삶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과학뿐만 아니라 철학, 예술, 디자인 영역에까지 영향을 끼쳤다. 변화된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식은 한 시대가 공유하는 /시공간에 대한 가치관/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듯 한 시대가 공유하는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식과 관점이 소위 시간관(觀)과 공간관(觀)이다. 시공관은 인간의 사상사(史)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가운데 인간에게 열려진 시각을 가능케 한다. 연구자가 이 논문에서 우선 밝히고자 하는 것은 이 시공간에 대한 관점의 문제와 그 인식의 문제이다. 인간의 시공간에 대한 인식이 각 시대의 우주관과 시대정신에 따라 변하여 온 바, 한시대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이해하기위해서는 그 당시 과학, 철학 그리고 예술에서 표현된 시간관과 공간관을 연계해서 살펴보아야 한다. 인류는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점점 이성적인 사고를 하게 되었으며, 변천하는 시간과 공간개념으로서 자연관과 우주관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유클리드 기하학에 근거한 절대적인 시공간 개념은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상대적인 시공간 개념으로 변화하였는데, 이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비롯된다. 그는 시공간이 절대적이고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물질과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변화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우리가 살고 있는 물리적인 시공간은 변함이 없지만, 그것에 대한 인식과 관념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화는 공간 예술이며, 문학은 시간 예술이라 할 수 있다. 19세기 후반에 이르면,, 회화적 공간은 동시적 표현을 보이기 시작한다. 곧 물체의 전후좌우에 있는 면의 동시병렬(同時竝列) 표현이나, 2개 이상의 물체의 공간동시점유(空間同時占有) 등의 표현을 통해서 복합적인 구조로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어떤 관점에서 보면, 시공간이 함께 표현된 것이다. 회화적 표현과 마찬가지로 현대 타이포그래피 공간에도 시공간이 표현되는 바, 더욱이 매체 기술의 발달은 표현의 외연의 가능성을 가져왔다. 엘 리시츠키에 의하면, 시공간이 함께 표현되면 움직임이 나타난다고 한다. 연구자가 현대 타이포그래피에 표현된 시공간을 이해하기 위한 전제로서 시간관과 공간관의 변천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은 시공관의 해체와 정립의 순환적 맥락에서 타이포그래피의 가능성 곧 평면의 공간에 머무르지 않는, 다차원적인 방식을 통한 확장성을 살펴보고자 함이다. 본 논문의 구성은 크게 다섯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논의를 중심으로 2장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현대 타이포그래피에 표현된 시간과 공간을 이해하는 4장,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현대 타이포그래피의 변화 유형과 발전의 형태를 논의하는 5장으로 구성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 서론의 구성은 연구의 방법과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를 위한 장이다. 서론은 현대라는 시간적 범위와 서양의 사상과 표현이라는 공간적 범위를 규정하고, 유추라는 논리적 추론의 방법을 통해 현대에 형성된 시간관과 공간관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론을 마련하였다. 2장 시간과 공간에 관한 예비 고찰에서는 시공간의 관점을 이해하기 위한 전재로 시간성과 공간성을 논의하였다. 또한, 시간과 공간은 움직임을 통해 표상되며, 경험을 통해 인지할 수 있음을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현대에 형성된 시간과 공간을 이해하기 위해, 우선, 20세기를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여 상대적^해체적^ 복합적인 시간과 공간을 논의하였다.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식은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과학의 패러다임 변화는 시공관을 이해할 수 있는 자연관과 우주관을 제공하였으며, 철학에서는 시간과 공간을 통해 시대를 이해할 수 있는 인식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렇게 변화된 인식은 인간 삶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예술과 디자인에서는 새로운 방법으로 시대를 표상하고 있다. 4장에서는 3장을 통해 분석된 시^공간의 인식을 유추를 통해 타이포그래피에 표현된 시간관과 공간관의 이해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타이포그래퍼들의 사상과 작품을 중심으로 현대 타이포그래피에 표현된 시간과 공간의 변화와 이해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4장에서 연구의 성과는 영상언어를 통해 타이포그래피에 표현된 시간의 흔적과 해체된 공간을 분석하였다는 것과 디지털이라는 특성으로 표현된 타이포그래피의 시간과 공간을 발견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이전의 다른 타이포그래피 논문들과의 차별성이며 이 논문만이 가지는 특성이다. 디지털이라는 특성으로 표현된 타이포그래피에 나타난 다차원적인 공간이 하나의 화면 안으로 들어오면서 복합적인 현상을 만들었다. 서로 인접된 공간은 하나의 공간 안에 여러 공간을 표현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디지털의 특성에서 비롯된다고 추론된다. 5장에서는 4장을 통해 이해된 현대 타이포그래피에 표현된 시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장이다. 현대 타이포그래피에 표현된 시공간은 해체와 정립이라는 순환의 특징을 보였다. 타이포그래피에 표현된 시공간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화하였다. 한 시대에 구축된 시간성과 공간성은 이전 시대의 표현과 의미를 해체하고, 다시 새로운 표현과 의미를 탄생시켰다. 연구자는 이러한 역사적 반복의 과정을 통해 타이포그래피에 표현된 시공간은 순환성과 확장성이라는 특성을 띠며 발전하였다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발전의 과정은 시대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매체의 특성에 기인한다. 그러나 이러한 표현은 역사의 누적적인 발전을 통해서 확장이 가능하다는 사실이다. 새로운 변화는 과거의 역사와 지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면서 점진적으로 발전해 나간다. 혁신적인 변화는 누적적인 발전을 통해서 가능하다.

      • Tennessee williams의 a streetcar named desire연구 : Blanche의 파멸을 중심으로

        서경자 嶺南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thesis intends to examine the meaning of Blanche's downfall in A Streetcar Named Desire in relation to Tennessee Williams' social consciousness. More often than not, many critics, analyzing Blanche as an unrealistic character clinging to romantic fantasy, assert that Blanche and Stanley respectively stand for illusion and reality, or past and present, and try to find the cause of her downfall in Stanley's personality. However, this dichotomy simplifies and ignores Blanche's worldly desires and complexities. The conflict between Blanche and Stanley starts with their common worldly desires such as the desires for physical and material. Their conflict begin with the property problem over Belle Reve and becomes the struggle for power over the 'narratives' about Blanche's past. Blanche and Stanley want to establish the authenticity of their own 'narrative' through the influence on Stella and Mitch. We can call their confrontation a 'power struggle'. The 'power struggle' between Blanche and Stanley is extended to proving their respective superiority of the value criterion for life. Blanche believes that Belle Reve is the essence of all the virtues which South once had, and endows herself with the ideal image of woman according to her belief. She thinks that the belief for the ideal life is the only measure which distinguishes the human life from the brutality as witnessed in Elysian Fields. So, she denies her own worldly desires which don't fit into her ideal sense of value. However, as she cannot free herself from the desires, she undergoes the separation her 'ideal self' from 'real self'. Because of this duality, Blanche fails to be accepted to the world which emphasizes the realistic value like Elysian Fields, and finally was defeated by Stanley in their 'power struggle'. Blanche's downfall symbolizes the predicament of the modern people who lost the moral selves and the visions for life in the industrial and material society. Williams sees with regret and sympathy Blanche who has the belief for ideal life, but suffers from the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finally was defeated. This attitude of author can be related to the sense of justice against the society which produces the character like Stanley who uses violence without any guilt to achieve his purpose.

      • 우리나라의 소자본뷰티창업 전략에 관한 연구

        서경자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우리나라에서는 소득증가와 고급인력이 늘어나는 만큼 예전과는 생각과 생활패턴이 현저하게 바뀌었다.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늘어나고 이에 다른 맞벌이 부부들도 늘어났다. 이러한 여성들의 사회진출은 뷰티 산업을 더욱 가속화 시키는 원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여기에 한류열풍으로 드라마 속 연예인들의 메이크업이나 패션 등에 이목이 집중되면서 쌩얼, 동안, 윤광, 메이크업 등의 새로운 메이크업 기법이 전 세계적인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방송을 통해 대중들에게 자연스럽게 흡수되면서 미와 건강에 대한 다양한 욕구로 다가 왔다. 이러한 변화는 뷰티에 관한 관심으로 발전하였고 창업시장에도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소자본뷰티창업 전략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뷰티서비스 산업 사업체수와 종사자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특히 피부, 네일, 메이크업 사업체와 종사자수의 경우 최근 증가율을 감안할 때 지속적인 성장세가 예상 된다. 이러한 결과 뷰티에 관련된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면서 자연스럽게 하나의 산업 군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뷰티산업을 주목하는 이유가 시장규모의 급증과 고부가가치 산업이라는 이유만이 아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연구에서 자영업자를 제외하고도 2011년 한 해만 6천명이 넘는 일자리를 만들어 냈고, 2014년에는 9천명을 상회하는 일자리 창출 효과를 낼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헤어아트·피부미용·네일아트·메이크업·에스테틱 등은 젊은 층의 진입 가능성이 높아 청년실업 문제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이다. 더불어 업무의 동선이 크지 않아 장애인의 직업 재활에도 좋은 분야라는 매력이 있다. 성장가능성은 물론 일자리 창출, 소외계층 재활프로그램 제공 등 뷰티산업이 우리 경제에 많은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실업을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인 소자본 창업에 관한 내용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소자본 뷰티창업을 위한 경쟁력 전략 방안을 제시 하였다. 우리나라의 소자본 뷰티창업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 뷰티산업의 현황과 제도적 문제점을 명확히 확인하여 그에 대한 경쟁력 전략방안을 도출하여 소자본 뷰티창업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였으며, 창업전략, 뷰티산업 선정전략, 창업자금 조달 및 창업자의 특성 등 성공창업을 위한 전략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실제적으로 뷰티창업을 준비하는 예비창업자들에게 뷰티창업의 준비과정을 제시해 줌으로써 창업에 한걸음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소자본뷰티 창업에 있어서 경쟁력 있는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실패확률을 최소화하여 창업성공이라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As per capita income and well-educated, highly-skilled workforce has grown in Korea, it has dramatically changed our lives and state of mind. Women are entering the workforce at an increasing rate and consequently, there are more married couples whose wives and husbands both work than ever before. This growth of the women's role in the workforce is one of the major factors in the recent boom to the beauty industry. Alongside this trend, the growing global popularity of Korean entertainment has brought feverish interest in the fashion and makeup styles of top celebrities and main stars of popular TV dramas. Natural-look, baby face, and other makeup techniques have gained attention globally as trends at the forefront of the industry. The public have been able to take the phenomenon in stride through frequent exposure from the mass media and have translated it into a growing appetite in one's own beauty and well-being. This has fueled a rapid growth of the beauty industry and brought a wind of new businesses starting up in the industry. The thesis will focus on this current trend and the strategies to utilize it as a small-cap business starting-up in the beauty industry. As per capita income and well-educated, highly-skilled workforce has grown in our country, it has dramatically changed our lives and state of mind. Women are entering the workforce at an increasing rate and consequently, there are more married couples whose wives and husbands both work than ever before. This growth of the women's role in the workforce is one of the major factors in the recent boom to the beauty industry. Alongside this trend, the growing global popularity of Korean entertainment has brought feverish interest in the fashion and makeup styles of top celebrities and main stars of popular TV dramas. Natural-look, baby face, and other makeup techniques have gained attention globally as trends at the forefront of the industry. The public have been able to take the phenomenon in stride through frequent exposure from the mass media and have translated it into a growing appetite in one's own beauty and well-being. This has fueled a rapid growth of the beauty industry and brought a wind of new businesses starting up in the industry. The thesis will focus on this current trend and the strategies to utilize it as a small-cap business starting-up in the beauty industry. The beauty industry has gained attention not only because of its rapid growth and high value-added industry. According to data from the Bank of Korea and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the beauty industry created over 6,000 jobs in 2011 alone, not including the self-employed business owners. It is predicted 9,000 new jobs will be created by industry in 2014. Hair art, skin care, nail art, makeup, aesthetics, and many other professions of the industry are highly desired and well-suited to the younger generation just entering the workforce. It has the potential to play a vital role in alleviating the current youth unemployment crisis in the country. In addition, the physical labor of many of the professions in the industry are not strenuous and are a great fit for the disabled or under privileged. These numerous benefits from the growth of the industry to the nation’s economy can not be valued enough. The thesis aims to propose a strategy for new small-cap businesses in the beauty industry to take advantage of the industry’s current uptrend and achieve success. The focus will be on recognizing the current state of the beauty industry, identifying its institutional flaws, and using that information to produce a systematic guideline to achieving success as a small-business, as well as strategies as a startup, choosing a specific sector in the industry, raising startup capital, and qualities as an entrepreneur needed to succeed in the industry. The thesis will serve as a practical guide to entrepreneurs preparing to start up a business in the beauty industry and offer the first step in achieving that goal. In addition, strategies presented in this thesis will provide a competitive edge as a small-cap business in the industry and minimize the risk of failure as a startup.

      • 행동수정 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학습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

        서경자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s of behavior modification program on the primary school student’s learning behavior .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revious researches, several problems as below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1) Would the effects of modifica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primary school children’s concentration be? 2) Would the effects of modification program on the reduction of primary school children’s class interrupting behavior be? 3) Would the effects of modification program on the reduction of pimary school children’s homework failing behavior be? In order to investigate these problems, 3 children who were charged by researcher and fallen behind on their studies in Boryung city, Chungchungnam-do, were sampled, For observation method, using child behavior observation check sheet, researcher marked each frequencies of target actions, and Total 30 behaviors were checked. For the validity of this experiment design, A-B-A-B matrix’s reversal design among behavior meditation programs was used and set baseline I, prescription I, baseline Ⅱ, prescription Ⅱ and post assessment. The results of behavior changes were graphed on this pape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behavior modification program affected on the reduction of behaviors such as lacks and maladjustments in study attitude by stimulate them to do in which they are interested when target behavior, disruptive action, is shown less than specific rate. Average frequency of disruptive action rate (4.13%) during prescription I is remarkably low compared to baseline I (7.8%). Also from the fact that the frequency of disruptive behavior during prescription I(3.38%) is remarkably low compared to prescription I (0.75%), it can be assumed that corrected behavior is reduced more faster than before, if related student is revealed in the similar environment. Second, behavior modification program effected on the reduction of behaviors such as lacks and maladjustments in study attitude by enforcing token when class interruption behavior, target action, is shown under specific rate for special class student(Klinefelter's syndrome). Average class interruption behavior rate per a day during baseline I (7.4%) was remarkable low compared to prescription I(5.0%) and frequency of distraction in study during prescription II (4.3%) was also lower than prescription I (0.7). Finally, behavior modification program effected on the reduction of reason regarding to poor progress in study and homework non-fulfillments by applying behavior correction method such as token enforcement and behavior reward time out for target action, homework non-fulfillments. Moreover student C enjoyed than others and also was full of learning will the most. Student C, who used to suffer poor performance due to homework non-fulfillment during baseline I (86.68%), remarkably got reduced into 41.65% during prescription I, token enforcement period and also during prescription II (33.33%), it was lower than prescription I (53.35%). During post assessment period, after 2 weeks later, homework non-fulfillment rated 41.65,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prescription II. This study found out that behavior modification program token reinforcement, behavior rewards and time-out method applied to 3 target students, effected into primary school student’s concentration improvement, class interruption reduction and homework non-fulfillment reduction. Also confirmed that children’s favorite and the most effective method was token enforcement, which dramatically help study intention. Behavior reward and timeout effected into reduction of distraction behavior and lacks in study attitude although has lower response than token enforcement.

      • 學校長과 學校運營委員會의 바람직한 關係

        서경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39

        초·중등학교의 자율적 학교운영체제 구축을 위하여 설치된 학교운영위원회는 다양한 교육 주체들의 참여를 요구하고 있다. 학교운영위원회 탄생 이전에는 학교경영에 관련되는 사항을 학교장이 거의 전적으로 결정할 수 있었으나 이제 의사결정에 있어서 다양한 교육 주체들과 같이 협의해야 하는 상황에서 양자의 관계정립이 중요하게 되었다.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장, 교사, 학부모 그리고 지역 인사 등 다양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교장은 학교 운영에 대한 최종적인 결정권자로서, 교사는 학생의 교육을 직접 담당하는 전문가로서, 학부모는 자녀 교육에 대한 책임이 있는 주체로서의 권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학교운영위원회 구성원들은 자신들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입장에서 갈등이 예상된다. 그 중에서 특히 학교운영위원회는 심의기관이고 학교장은 심의 결과에 대한 집행자이다. 동시에 학교장은 당연직 학교운영위원으로 교원위원들의 관리·감독자 및 인사 고과권자라는 측면과 지역인사위원의 추천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학교장의 인식 여부가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공적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써 중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성공적인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을 위한 학교장과 학교운영위원회의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학교장과 학교운영위원회 구성원들 그리고 행정기관에서 어떤 노력을 해야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볼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운영에 있어서 학교장의 지위와 역할은 무엇인가? 둘째, 학교운영위원회와 학교장은 어떤 관계에 있는가? 셋째 학교운영위원회와 학교장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의 원인은 무엇인가? 넷째, 그 갈등을 성공적인 학교운영을 위해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서 첫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학교운영위원회의 법률적 기초와 그 제도적 측면을 검토하여 현행 학교장과 학교운영위원회의 관계에 대한 법적·제도적 관계를 살펴보고 협력적인 관계를 모색하였다. 둘째, 이론적 기 초와 그 동안의 학교운영위원회 경험의 평가에 대해 이 주제와 관련된 국내 관련서적, 학술 및 학위 논문, 관련 법령, 간행물, 인터넷 자료 등을 이용하였다. 연구순서로는 학교운영위원회와 학교장의 바람직한 관계정립을 위하여 우선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의 검토를 통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학교 운영위원회 제도의 도입배경과 연혁 그리고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격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나서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학교운영 위원회의 성공적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추출해 보고, 그들 변수 중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도상 학교장의 지위와 역할이 왜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에 그렇게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학교장과 학교운영위원회의 상호 관계가 형성되는 구체적인 학교경영 측면들에 대한 검토 후 양자간 관계유형 및 이에 따른 특성들을 논의한 다음 이 연구의 목적인 갈등관계 분석을 검토한 후 협력의 기본방향을 세 가지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즉 학교운영위원회의 각 구성원이 자신의 기능에 충실할 것과 각 위원들을 하나로 통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학교장의 학교운영위원회를 통한 학교운영개선의 노력과 지도력이 그것이다. 그에 따라 양자간 바람직한 협력방안으로 의식적 측면, 제도적 측면 그리고 운영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의식적 측면에서는 학교운영위원들의 민주적인 가치관과 태도의 개선 학교장의 인식변화와 능력 개선을 들 수 있다. 둘째, 제도적 측면에서는 민주적인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 소위원회의 구성, 교육행정기관의 노력을 들 수 있다. 셋째, 운영적 측면에서는 회의 및 그 결과의 공개, 사전 협의체제의 구축 그리고 건강한 학교문화 조성을 들 수 있다. 교육환경과 학교 구성원들의 학교운영 참여에 대한 의식의 변화에 따라 교사, 학부모들의 학교운영 참여 의지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학교운영에 대한 최고 책임자로서의 권한을 가진 학교장과 학교운영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인사 사이에 학교운영에 대한 견해 차이로 생긴 갈등 문제는 더욱 중요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추후 연구과제로 두 가지를 남기고자 한다. 첫째,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격이 자문기구 혹은 심의기구 아니면 의결기구 중 어느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해서 그 간의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실태 혹은 학교구성주체들의 인식실태 등을 조사 연구해 보았으면 한다. 둘째, 학교장과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위원들 상호간 역할기대 및 갈등유형들에 대해서 조사연구가 진행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nflicts and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principal and school board and propose exemplary roles of the principal and school board members in forming desirable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issues through analyzing laws, regulations, and various documents regarding school principal and school board. First, what are status and roles of the principal in school management? Second, what is the nature of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 and school board? Third, what are the causes of possible conflicts between them? Fourth, how should the conflicts be controlled? Three fundamental directions are revealed as a result of this study: each member's devotion to his/her own function in the school board, each member's will to integrate him(her)self into the school borad, and principal's leadership and efforts to improve school on the basis of agreements of the school board. This study also suggests ways of forming desirable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 and school board members from three different aspects, that is, of perspective, institution, and management. In the aspect of perspective, it is suggested to be necessary to foster and improve school board members' democratic attitude and to acquire their own unique professionality. Principals' view on the role of school board must be changed and they must learn how to deal with possible conflicts between school board members in managing the board. In the institutional aspects, such measures should be adopted as construction of democratic school board by activating various sub-committees, efforts of organization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linkage of role of school board with those of existing school organizations. It is also pointed out to be important to build a school community. In the managerial aspects, it is suggested to be necessary to publicize the process and result of every school board meetings and to construct pre-discussing system and sound school culture.

      • 肢體障碍人을 위한 公共圖書館의 建築計劃的 硏究 : 大邱光域市를 中心으로

        서경자 啓明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1839

        공공도서관은 장애인을 고려한 베리어 프리 디자인을 추구해야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본적인 규정만으로는 장애인의 이동과 접근은 가능하나 실제적인 이용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지체장애인의 이용요구와 수요구조를 파악하여 그 이용에 있어 물리적인 장벽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애와 이용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장애인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위도서관의 공간계획과 시설 간의 네트워크를 계획하였다. 연구의 방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방법과 내용, 선행연구에 대해 기술하였고, 2장은 일반적 고찰로써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변화, 장애인특성과 장애인서비스, 장애인관련 법규 및 지침, 장애인서비스의 협력네트워크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3장은 편의시설의 기준과 고려사항 및 세부시설의 설치실태를 조사·분석하였고 4장은 이용실태 및 요구에 대한 장으로 심층면담과 설문을 통한 조사·분석을 하였다. 5장은 3장과 4장의 실태 및 이용요구를 종합하여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공간모형 및 시설 간 네크워크를 제시함으로써 지체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건축계획적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편의시설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안전성과 지각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및 매개공간에서 보차구분, 장애물 제거, 지붕설치, 주차구역 내 별도의 통행로 확보, 휠체어비치 등 안전성과 지각성확보를 위한 시설의 정비 및 확충이 필요하다. 내부공간에서 통로와 계단 등의 이동시설 또한 안전성과 지각성을 높이는 형태를 염두에 두고 계획 설치되어야 하며, 장애인용 승강기의 경우 내부확인용 유리창설치와 출입문 되열림장치, 개방시간 연장 및 감지식 개폐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며 승강기의 지각성확보를 위한 시각적· 청각적 설비가 보충되어야 한다. 장애인화장실은 설치위치와 표시가 명확히 되어 있어야 한다. 또 비상시에 대처가능토록 해야 하며 지속적인 유지관리와 보안을 시스템을 마련하여야 한다. 열람시설은 장애인실과 장애인열람석이 있는 공간 모두가 서가의 접근이 가능한 구조이거나 자료습득을 위한 지원서비스가 갖추어져야 한다. 2) 심층면담을 통한 요구에서 장애인전문도서관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이를 위한 정책과 제도적 뒷받침 및 전담인력배치와 지식정보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였다. 특히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의 활성화과 복합적 공간의 확충뿐 아니라 장애정도에 따른 맞춤형서비스와 지역 및 타 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총체적인 장애인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지체장애인의 이용요구를 분석한 결과, 다양한 도서정보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종합자료실, 특수자료실 등의 서고에서 도서자료에 접근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연령대가 높은 장애인과 예비장애인인 노인에 대한 이용의 특수성을 고려하고 또 장시간 체류에 따른 편의지원공간 및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장애인실의 경우 서고가 별도 설치되거나 지원인력이 배치되어 정보접근 및 도서대출과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케 하며 상시관리자나 도움벨설치 및 이동지원봉사자가 필요하다. 공간에 있어서는 문화적인 서비스의 제공뿐 아니라 기존 공공도서관에는 없는 치료 및 상담시설의 확충이 요구된다. 4) 공간구성의 계획은 규모와 기능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A-편의개선형(소규모 공공도서관)은 기존도서관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이동과 접근을 확보하는 편의시설과 장애인서비스를 위한 인적 지원이 수반되어야 한다. 공간구성의 체계는 열람 및 서고공간, 전자정보공간과 편의관리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B-도서관별 특성화형(시립이나 구립규모 공공도서관)은 기존도서관의 기능을 보완하는 형태로 복합문화공간과 특성화· 다양화된 자료와 문화행사가 이루어진다. 공간구성의 체계는 열람 및 서고공간, 전자정보공간, 편의관리공간, 복합문화공간으로 되어있다. 셋째, C-장애인전문도서관형(지역거점도서관)은 모든 장애의 이용자에게 대응이 가능한 총체적 서비스가 제공되는 공간구성으로 치료 및 상담공간이 추가된다. 공간구성의 체계는 열람 및 서고공간, 전자정보공간, 편의관리공간, 복합문화공간, 치료⋅상담공간으로 이루어진다. 5) 시설 간 네트워크는 A형에서는 경증인 장애인이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A형을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보다 전문적인 지식정보와 서비스를 받고자 할 때에는 특화된 B형 도서관을 이용하도록 하며, 지역에 거점도서관으로 C형인 장애인전문도서관을 설치하여 어떤 장애에도 대응토록 한다. 이 세 가지 유형이 장애의 정도나 요구에 따라 A<B<C 의 위계를 가지고 연결되어 장애인서비스를 확대시킬 때, 지체장애인에게 있어 복합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이용이 가능한 공공도서관으로 계획되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