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료견을 활용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과잉행동에 미치는 효과

        서강오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본주의 이론에 토대를 두고 동물을 매개로 하여 대상자를 치료하는 아동중심동물매개치료 원리에 기초한 치료견을 활용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과잉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P시에 소재한 P지역아동센터 아동들 중에서 ADHD 진단을 받은 초등학생 만 11세, 12세, 13세 아동 각 1명씩 총 3명의 남아로 구성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치료견을 활용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으로 2011년 1월 10일부터 3월 28일까지 12주 동안 주 1회 50분으로 총 12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치료견 3두, 동물매개치료사 1명, 관찰자(동물매개치료사) 2명이 함께 진행하였다. ADHD 아동의 과잉행동 감소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판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의 하위척도인 공격성 척도, 코너스 교사용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평정척도(Conners' Teacher Rating Scale-28; CTRS-R)를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표적 행동에 대해 치료적 중재 현장에서 두 명의 관찰자(동물매개치료사)가 표적 행동을 관찰기록지에 기록하고, 과잉행동의 변화를 과잉행동관찰기록표와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적은 사례수의 한계로 인해 유의도를 검증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질적 분석과 함께 제시하여 한계점을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치료견을 활용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은 K-CBCL의 하위척도인 공격성 척도 사전검사에서 아동A 34점, 아동B 29점, 아동C 32점이고, 사후검사에서 아동A 21점, 아동B 15점, 아동C 17점으로 과잉행동이 감소하였으며, CTRS-R 사전검사에서 아동A 69점, 아동B 74점, 아동C 62점이고, 사후검사에서 아동A 50점, 아동B 59점, 아동C 41점으로 과잉행동이 감소한 것으로 실시 전과 후를 비교해 볼 때 과잉행동이 개선되었다. 그리고 과잉행동관찰기록표를 분석해보면 치료초기에는 행동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중재가 시작되면서 행동빈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질적분석은 사전ㆍ사후 결과 및 과잉행동관찰기록표에서 보이는 과잉행동의 변화와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치료견을 활용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과잉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본 연구 결과를 실천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하여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자원요소들을 찾아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verify the effects of animal assisted therapy program using therapy dogs for the hyperactivity of children with ADHD. Animal assisted therapy program using therapy dog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Child-Centered Animal Assisted Therapy which is based on the humanistic theory.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with 3 elementary school students : 11, 12, and 13 years old male stud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DHD by the ‘Children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in P city in Gyeonggi-do. For animal assisted therapy program using therapy dog, The study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50 minutes with a total of 12 sessions from January 10, 2011 to March 28, 2011. The study had 3 therapy dogs, 1 animal-assisted therapist and 2 observers. To verify the decrease of hyperactivity in the patients,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K-CBCL(Korea-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CTRS-R (Conners' Teacher Rating Scale-28) during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hile the program was in session, two observers recorded the specific target behaviors and created a graph and chart showing the change in hyperactivity.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it might be hard to prov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sults, researcher uesd qualitative data analysis to show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children who participate in animal assisted therapy program using therapy dog show a decrease in hyperactivity up to a significant level in turn decreasing their behavior problem accordingly. Using the Before-Aggression Scale, which is a subscale of K-CBCL,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animal assisted therapy program using therapy dog scored 34 points (child A), 29 points(child B), and 32 points(child C) and on the After-Aggression Scale test scored 17 points(child A), 15 points(child B) and 17 points(child C). Comparing the Before and After test results, it shows that children's hyperactivity decreases. Also we can recognized that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results shows the accordance from the Before and After test and the hyperactivity observation. The ADHD data shows that in the early part of the clinic hyperactivity's frequency is quite large but when the intervention is injected, it shows that their hyperactivity frequency is lowered. To make use of this result, various Animal Assisted Therapy Programs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and find out the support factor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is Animal Assisted Therapy Program.

      • 아파트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례연구 : 마을공동체 활성화 요소를 중심으로

        서강오 목포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파트 마을공동체 만들기 과정에서 공동체 활성화 요소들이 공동체 복원을 위해 실제로 어떻게 드러나는가?’ 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아파트에서 마을공동체 복원에 영향을 주는 활성화 요소들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선행 문헌과 연구논문을 검토하여 공동체 활성화 요소들을 파악하고, 하남주공1단지아파트을 대상으로 단일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사례조사에서는 마을공동체 만들기에 참여하여 활동하고 있는 마을조직 리더들과 하남종합사회복지관 관장 및 사회복지사, 관리사무소 소장, 광산구청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면접을 진행하고 사례 현장과 활동을 관찰하였다.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여 분석한 후 결과를 도출하고, 그 결과에 상응하는 제언을 하였다. 분석결과, 마을조직이 중심이 되고 여기에 마을공동체 만들기의 추동자로서 시민단체 및 전문가 역할을 하는 복지관, 행정기관인 광산구청의 행정적, 재정적인 체계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마을공동체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산은 주로 공모사업비로 받는 보조금, 기관이나 지역단체 및 개인에게 받는 후원금과 후원물품으로 구성되는데, 모든 사업에는 예산이 수반되기 때문에 예산은 마을공동체 만들기를 활성화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사례 아파트에서 주로 활용하는 공유공간은 필로티와 정자, 주차장과 통행로, 경로식당, 건강로 등이 있는데, 이러한 아파트단지 내 공유공간은 주민간 만남과 교류의 기회를 높여 상호 관계망을 확장시키며 공동체 의식을 강화시켰다. 조례는 사례 아파트에서 행정기관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근거가 되며, 다양한 커뮤니티 프로그램은 주민참여와 주민간 만남과 소통을 촉진시키고, 교육은 주민역량을 강화시켰다. 사회적 자본은 사례 아파트에서 주민들의 취약한 사회적 관계, 반사회적 행동과 빈번한 인권침해로 인해 사회적 자본이 거의 존재하지 않은 상황에서 마을공동체 만들기를 통해서 형성되었다. 즉 사례 아파트에서는 주민참여를 통해 형성된 네트워크가 주민 상호간에 일상적이고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일정한 관계를 나타내면서 상대방에 대한 신뢰가 형성되고 호혜성을 기본속성으로 하는 호혜성 규범을 제고시켜 주민 상호간 의사소통을 활성화하고 공동체 복원을 위한 공동체 의식을 강화시키고 있었다. 이상의 결론에 따라 도출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복지의 패러다임이 서비스 제공자에서 서비스를 받는 당사자의 참여로 강조되고 있으므로 지역사회복지관도 적극적으로 주민 중심의 조직화 사업을 수행해야 하며, 복지관은 아파트 주민들의 변화가 더디고 어렵더라도 ‘어떤 계기’를 마련해주는 마중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하고, 이웃 간 관계가 소원하거나 반목하고 있는 마을에서 아파트 마을공동체 만들기는 인사가 운동차원으로 확산되도록 해야 하며, 아파트 마을공동체 만들기 교육 과정에 공동체주의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마을 리더들과 주민들에게 공동체성에 대한 철학과 가치가 주입되어야 한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아파트 마을공동체 만들기를 실천하기 위해서 공모사업의 응모 주체는 실적 위주의 단기적이고 즉흥적인 사업을 계획하기보다는 마을이 나가야 할 미래 청사진을 가지고, 마을 주민이 존엄한 존재로 변화된 모습을 지향하면서 긴 호흡으로 사업을 기획해야 하고, 선발 주체는 이런 응모 주체들이 당선될 수 있도록 선정평가의 방법과 절차를 고안해야 하며, 아파트 마을공동체 만들기가 행정과 재정에 대한 안정적인 지원을 받으려면 조례에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을 총괄하는 전담부서 지정과 사업수행에 필요한 재원에 대한 규정이 임의규정에서 강행규정으로 명문화되어야 한다. 또한 아파트 마을공동체가 지역의 사회적 자본으로서 기능하기 위해서는 마을조직의 활동들이 아파트단지를 넘어 지역사회와의 연대 활동으로 진일보해야 하며, 아파트 마을공동체 만들기는 고질적인 사회복지 인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복지관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고, 사회복지학계는 사회복지학과 실천현장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주민조직화 실천에 대한 연구 작업을 수행하고 공동체 복원을 위한 대안들을 적극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