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ethionine과 ethionine이 切花 카네이션의 壽命과 老化에 미치는 影響

        변혜진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에틸렌 생합성 기질인 메치오닌과, 메치오닌을 SAM으로 전환시키는 효소인 SAM synthetase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에치오닌이 보존용액에 첨가되어졌을 때 절화 카네이션'Virginia'의 노화생리 및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환경조절이 가능한 생육상내에서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절화 카네이션 'Virginia' 품종은 전형적인 클라이맥트릭 화기로서, 노화시 자가촉매적 에틸렌 생성과 화판의 'in-rolling'현상을 보였다. 실험은 두 단계로 시행되었는데 첫번째 실험은 methionine, ethionine, 2,4-dinitrophenol (DNP)의 농도 실험이었으며 (각각 1, 0.1, 0.01 mM), 두번째 실험은 0.1 mM 농도하에서 이들이 여러가지 에틸렌 대사물질 및 생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조구로는 증류수와 기본용액 (2% sucrose + 200 ppm 8-hydroxyquinoline sulfate; BS)을 사용하였으며, 증류수를 제외하고 모든 처리구는 기본용액에 처리물질을 첨가하였다. 첫번째 실험에서는 기본용액에 methionine의 첨가는 농도에 관계없이 에틸렌의 발생 및 절화수명을 증류수 대조구보다 2일, BS 단독 처리보다 1일 지연시킨 반면, BS에 ethionine의 첨가는 1과 0.1 mM 농도에서 BS 단독 보다 2일 연장시켰다. 한편, 1 mM DNP의 첨가는 화기의 수명은 가장 오래 연장시켰으나 줄기가 변색되고 중심부 화판부터 갈변화되는 비정상적인 노화과정을 나타냈다. 두번째 실험에서, 에틸렌 발생은 증류수 대조구에서 가장 먼저 발생되어 6일째에 피크를 보였으며, BS와 methionine은 7일째에, ethionine은 8일, DNP는 9일째에 에틸렌 peak를 보였다. 증류수 대조구의 경우 7일째에 내생적 ACC함량이 증가한 반면, 나머지 처리구는 8일째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외관적으로 완전한 위조가 일어나는 시기인 9일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EfE의 활성을 보면 증류수 대조구의 경우는 ACC 완충용액처리구가 증류수 완충용액 처리구보다 5배 정도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ethionine을 제외한 처리구들도 ACC 완충용액 처리구에서 2배 이상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methionine 처리구의 경우 증류수 완충용액 처리구와 ACC 완충용액 처리구의 EFE 활성은 각각 1.2와 1.4 nmol/g 으로서 ACC 침가구의 EFE 활성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처리구에서 putrescine은 초기부터 천천히 증가하다가 에틸렌 피크가 나오는 날을 기점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증류수 대조구는 6일째, BS 대조구와 methionine은 7일, ethionine은 8일, DNP 처리구는 9일에 가장 많은 putrescine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spermidine 함량은 보존용액 초기에는 처리구에 따라 70~95 nmol/g 정도의 함량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증류수 대조구는 6일째 다른 처리구는 7일째 동일하게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Lipoxygenase 활성은 증류수 대조구와 BS처리구의 경우 각각 6일과 7일째에 피크를 나타내 에틸렌의 피크와 일치하였으나, methionine처리구만이 7일째 피크없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Effects of application to the preservative solution of methionine and ethionine which were respectively known as a substrate in ethylene biosynthesis pathway and an inhibitor of SAM synthetase converting methionine to SAM on the postharvest physiology and vaselife of cut carnation 'Virginia' were investigated under the controlled environment. Cut carnation (Dianthus caryophyllus L.) 'Virginia' was revealed as a typical climacteric flower because of autocatalytic ethylene production and petal in-rolling as a senescence symptom. The present study was composed of two experiments, The first experiment was aim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concentration of methionine, ethionine, and 2,4-dinitrophenol (DNP) on extending vaselife and the secon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ch compound on EFE activity, ACC content, lipoxygenase activity, polyamine contents, ethylene production during senescence. Each chemical such as methionine, ethionine, and DNP was added in the basal solution containing 2% sucrose and 200 ppm 8-hydroxyquinoline sulfate. Distilled water (DW) alone was used as control. In the first experiment, methionine has been unexpectedly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in extending vaselife of cut carnation regardless of concentration. Ethylene production was also delayed about 2 days and 1 day as compared to that of DW and basal solution,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ethionine treatments at the concentrations of 1 and 0.1 mM extended vaselife 3 days as compared to that of DW. Although 1 mM DNP treatment was most effective in extending vase life (4 days longer than DW), it showed a phytotoxic effect such as discoloration and wrinkling in stem and central tip burn in flower. In the second experiment, flowers held in DW and BS solution in ethylene production showed peaks at 6 and 7 days, respectively, whereas flowers held in methionine, ethionine, DNP showed peaks at 7, 8, 9 days, respectively. Endogenous ACC content increased at 7 days in DW control and at 8 days in the other treatments. In DW treatment, EFE activity measured under buffer solution containing 0.1 mM ACC (BACC) was 5 times higher than that of buffer solution with DW only (BDW). Other treatments except methionine also showed 2 times higher in EFE activity measured under BACC than that of BDW. However, in the case of methionine treatment, EFE activity under BACC and BDW was 1.2 and 1.4 nmol/g,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methionine inhibited EFE activity in the presence of ACC. In all treatments, putrescine content steadily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at the same time that ethylene decreased after peak. The maximum levels of putrescine were at 6, 7, 7, 8, and 9 days in DW control, basal solution, methionine, ethionine, and DNP treatment, respectively. Spermidine content ranging from 70 to 95 nmol/g at the beginning days of vaselife steadily decreased and then showed peaks at 6 days in DW treatment and at 7 days in other treatments. Lipoxygenase activity coincided with ethylene production in DW, BS, ethionine, and DNP treatment but steadily increased in methionine treatment without peak until the termination of experiment.

      • 한국 여성의 얼굴 주름과 처짐, 모발 및 호르몬에서의 나이와 관련된 변화

        변혜진 한서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a result of assessing the intensity of facial wrinkles (i.e., Lemperle scale scores) relative to age among the 20s to the 60s of Korean women, the study found there was some linearity between the age and the intensity of wrinkles but mostly there was no direct linearity. Determination coefficient () for linearity calculated based on the method of least squares was . It means that there was linearity merely on cheek wrinkles and nasolabial folds, and there was no general linearity in light of relations with wrinkles of other remaining eight parts. It was rather considered to be more aptly applicable to quadratic equation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ntensity of facial wrinkles relative to age among the Asian women in Korea, Japan, China and Thailand in their 20s to 60s, there was a minor difference among Asians but not so big one. However, compared with white women, the intensity of wrinkles of Korean and Asian women turned out very low, telling us that the intensity of facial and neck wrinkles much differed depending on the race. The following was result of comparing the scores of cheek sagging among Korean women, Japanese women living in Tokyo, Chinese women living in Shanghai, American caucasian living in Cincinnati or Ohio. In case of the 20s to the 30s, the scores of cheek sagging were made in the order of Cincinnati or Ohio>Bangkok>Shanghai>Tokyo>Seoul. Those of the 40s were in the order of Shanghai>Cincinnati or Ohio>Bangkok>Tokyo>Seoul. While, those of the 50s to the 60s were in the order of Shanghai>Cincinnati or Ohio>Bangkok>Seoul>Tokyo.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cheek sagging between the Asians (women in Korea, Japan, China, Thailand) and whites, and yet looking at the age groups that showed rapid change of cheek sagging, those of Korean women in Seoul and Thai women in Bangkok stood out among the 40s and the 50s, while those of Japanese women in Tokyo and Chinese women in Shanghai stood out in between the 30s and the 40s. On the other hand, cheek sagging of American caucasian in Cincinnati or Ohio changed linearly as they grew older, instead of outstanding and rapid change. Using a durometer, the study also measured skin rigidity of Korean women relative to age. In parts of forehead, cheek and chin, the rigidity increased according as women grew older from the 20s to the 30s, culminating in the 30s, whereas it decreased as they grew older from the 30s to the 70s. However, in parts of brachial, antebrachial, thenar eminence, hypothenar eminence, thigh and crutal, the rigidity decreased as they went from the 20s to the 30s showing almost no change while they moved from the 30s to the 70s, presumably because of rather poor sensitivity of the durometer in measuring the skin rigidity. The study used an ATR-FTIR spectroscopy to examine chemical properties of hair relative to age. From the ATR-FTIR spectrums, it could measure change of frequency on each peak as well as change of the intensity of the peak. Change of frequency at the peaks relative to age was deemed to arise not because of the age but because resolution of measuring spectroscopy and absorbance peaks competitively occurring from stretching or bending of each functional group caused shifts of each peak within a certain range. Yet, the study found the older women get, the lower the intensity of each peak. The skin is the most sensitive part to hormone in our body. As keratin cells, Langerhans cells, melanin cells, sebaceous glands and fibroblasts existing in the skin reduce estrogen levels affected by hormone, capillary of the skin is due to decrease. Along the way, skin aging causes the decrease of three major components of the skin - collagen, elastin and hyaluronic acid - as well as formation of wrinkles along with the decrease of skin rigidity. And the study collected blood samples from each seven Korean women from their 20s to the 70s who had not gone through hormone therapy and measured the level of female sex hormone estrogen and male sex hormone testosterone. The older Korean women became from their 20s to the 70s, the less female sex hormone estrogen was found. However, in case of male sex hormone testosterone, it decreased from the 20s to the 60s and then increased in the 70s. In line with the decrease of female sex hormone estrogen as women grow older, the intensity of wrinkles may gradually increase. 한국 여성 20대에서 60대까지를 대상으로 나이에 따른 얼굴 주름의 세기, 즉 Lemperle scale의 관계를 평가한 결과는 나이와 주름의 세기 사이에 일부에서 직선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직선성을 보인다고 볼 수 없었다. 최소제곱법으로 직성성에 대한 결정계수 (determination coefficient, )를 보았을 때, 결정계수는 이었다. 뺨 주름과 팔자 주름에서만 직선성이 있다고 볼 수 있는 정도이고, 다른 나머지 9개 부위에서의 주름들에 대한 관계들을 볼 때, 직선성을 보인다고 볼 수는 없었다. 오히려 이차 방정식에 잘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20대에서 60대까지를 대상으로 나이에 따른 얼굴 주름의 세기를 동양인들 한국, 일본, 중국 및 태국 여성들을 대상으로 비교했을 때, 동양인들 사이에서는 작은 자이는 보였으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백인에 비해 한국인과 동양인 여성들의 주름의 세기는 매우 낮게 나탔다. 얼굴과 목 주름의 세기는 인종에 따라 크게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이에 따른 한국 여성들의 뺨 처짐 (cheek sagging)에 대하여 Tokyo에 거주하는 일본 여성들, Shanghai에서 거주하는 중국 여성들, Bangkok에 거주하는 태국 여성들과 Cincinnati 또는 Ohio에 거주하는 미국 백인 여성들의 뺨 처짐 점수를 비교한 결과는 20대∼30대의 경우, 뺨 처짐 점수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Cincinnati 또는 Ohio>Bangkok>Shanghai>Tokyo>Seoul 순으로 나타났으며, 40대의 경우, 뺨 처짐 점수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Shanghai>Cincinnati 또는 Ohio>Bangkok>Tokyo>Seoul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50대와 60대의 경우, 뺨 처짐 점수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Shanghai>Cincinnati 또는 Ohio>Bangkok>Seoul>Tokyo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양인들 (한국, 일본, 중국 그리고 태국)과 백인들 사이에서의 뺨 처짐은 그리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뺨 처짐이 급격히 변화하는 나이 대를 살펴보면 Seoul에 거주하는 한국 여성들과 Bangkok에 거주하는 태국 여성들의 뺨 처짐은 40s와 50s 사이에서 뺨 처짐 현상이 두드러지고, Tokyo에 거주하는 일본 여성들과 Shanghai에 거주하는 중국 여성들은 30s와 40s 사이에서 뺨 처짐 현상이 두드러지며, Cincinnati 또는 Ohio에 거주하는 미국 백인 여성들의 뺨 처짐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하게 두드러지게 급격하게 변하는 않으며 직선적으로 변화하였다. Durometer를 이용하여 나이에 따른 한국 여성들의 피부 강직성 (rigidity)을 측정하였다. Forehead, Cheek와 Chin의 경우, 20대에서 30대로 가면서 강직성이 증가하여 30대에서 강직성의 세기가 가장 세고 30대에서 70대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강직성의 세기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Brachial, Antebrachial, Thenar Eminence, Hypothenar Eminence, Thigh와 Crutal의 경우 20대에서 30대로 가면서 강직성의 세기가 감소하여 30대에서 70대로 갈수록 거의 변화가 없었는데 이것은 Durometer로 피부의 강직성을 나타내기는 감도가 좋지 않아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나이에 따른 모발의 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ATR-FTIR 분광기를 사용하였다. 즉 ATR-FTIR 스펙트럼으로부터 각각의 특성 봉우리에서의 frequency 변화와 특성 봉우리의 세기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나이에 따른 특성 봉우리에서의 frequency 변화는 나이 때문에 아니라 측정하는 ATR-FTIR 분광기의 분해능 (resolution)과 각 작용기들의 stretching 이나 bending에 의한 경쟁적으로 나타나는 흡수 봉우리 때문에 각각의 봉우리들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이동 (shift)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각각의 봉우리의 세기는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피부는 인체에서 호르몬에 가장 민감한 기관이다. 피부에 존재하는 케라틴 세포, 랑게르한스 세포, 멜라닌 세포, 피지선 및 섬유아세포는 호르몬의 영향을 받으며 에스트로겐 수치가 감소하면 피부의 모세 혈관이 감소한다. 또한 피부 노화로 인해 피부 조직의 세 가지 주성분인 콜라겐, 엘라스틴 및 히알루론산이 감소하고 주름이 형성되며 피부 강직성이 감소한다. 그러므로 hormone therapy를 하지 않은 20대에서부터 70대 한국 역성을 각각 7명씩 선정하여 혈액 시료를 채취하여 여성 호르몬인 estrogen과 남성 호르몬인 testosterone 를 측정하였다. 한국 여성은 20대에서 70대까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성 호르몬인 estrogen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남성 호르몬인 testosterone은 20대에서 60대까지는 감소하였으나 70대에서는 다시 증가함을 보였다. 나이에 들어감에 따라 여성 호르몬인 estrogen이 감소함에 따라 주름 세기는 점진적으로 커진다고 할 수 있다.

      • 윤흥길 소설 교육 연구 :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연작을 중심으로

        변혜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1970년대 윤흥길의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를 분석함으로써 연작과 시점이라는 형식적 특성이 작가가 담지하고 있는 주제적 특성과 결부하고 있는 양상을 살핀다. 나아가 기법에 따라 심층적으로 구현되는 주제를 학습자가 깊이 이해하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사회적?역사적 환경에 짓눌린 ‘개인’에게 주목하는 윤흥길의 시선은 그의 작품들 전체에서 공통적으로 찾을 수 있다. 70년대의 한국 사회는 급속한 산업 개발을 통해 소외된 개인의 문제가 화두에 오른 시기이다. 윤흥길은 이런 사회적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상대적으로 약자의 입장을 취하는 개인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기 시작한다. 특히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연작에서는 산업화 과정에서 나타난 도시빈민 문제를 통해 당시 사회의 부작용을 잘 보여준다. 70년대의 많은 작가들이 공통적으로 연작 형식으로 집필한 것은, 급변하는 사회와 인간의 관계를 단편만으로는 충분히 구현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연작은 단편 형식에서 자연스레 장편을 추구하게 되는 과정에서 대두된 소설의 한 형태이다. 따라서 연작은 시대의 특수한 환경 속에서 자연스레 자리 잡은 양식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연작은 독립된 작품들이 모여서 더 큰 서사체를 만들어 낸다. 따라서 연작은 ‘독자성’과 ‘통합성’이라는 두 가지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단편이나 장편에서는 볼 수 없는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한다. 무엇보다도 윤흥길의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연작은 서로 다른 네 개의 시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점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 인물이 ‘어떻게’ 사건을 관찰하는지를 보여주는 주제 구현의 한 방법이다. 작품마다 다르게 설정된 시점에서의 인물은 한 가지 시점에 의해 서술되는 인물에 비해 입체적인 성격을 획득하게 된다.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연작에서는 각 연작에 공통으로 등장하는 ‘권기용’이라는 한 인물을 서로 다른 네 개의 시점으로 꾸준히 조명함으로써 복합적인 면모를 지니는 현대인을 효과적으로 조명한다. 윤흥길 소설이 가진 교육적 가치는 역사적, 사회적 환경 속에서 상처 받은 인물을 통해 당시를 고발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각 인물의 진정성과 자기반성을 추구함에서 정립된다. 전쟁이나 급속한 산업화와 같이 잔혹한 상황 속에서도 개인은 자신의 삶을 온전히 살아내야 한다. 작가는 그 사실을 독자에게 일깨워 줄 뿐만 아니라 어떻게 그런 삶을 살아내야 하는가에 대해 이야기한다.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에서는 거대 권력과 상반되는 개인에 대한 작가의 예리한 시선이 작품 속에 첨예하게 드러난다. 이처럼 이 글은 각 연작들이 시점의 변화를 통해 주제를 구현하는 모습을 살핌으로써 학습자가 윤흥길이 알리고자 하는 것을 체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쓰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복합성을 지닌 개인이 사회에서 겪고 느끼는 총체적인 모습을 통해 실제 현실에서 자신의 삶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줄 아는 학습자 양성에 목적이 있으며, 그것이 국어 과목의 시점교육을 통해 더욱 깊이 이해될 수 있도록 쓰인 글이라고 할 수 있다.

      • 촛불운동 전후 광우병 위험 '과학논쟁'에 대한 연구

        변혜진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광우병 위험 미국산 쇠고기 반대 운동의 역사와 광우병 위험에 대한 과학논쟁이 어떻게 사회운동의 성격을 가지고 진행되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광우병과 같은 새로운 위험은 사회적으로 생산된 질병이며, 신자유주의 세계화로 인해 인류 전체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위험은 특정 지역이나 집단에 한정되지 않으며 국경을 넘어서 생산 및 재생산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2008년 한국사회의 촛불운동을 점화시킨 광우병 쇠고기 반대운동 역시 이러한 배경 속에서 등장한 운동임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전문적 과학논쟁이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사회운동으로 촛불운동으로 형성된 과정을 통해 과학과 사회의 이분법을 극복하고, 사회운동에서의 과학의 역할을 재조망 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광우병 과학논쟁 통해 과학 속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살펴보고 또한 사회경제적 배경이 어떻게 과학적 진실을 왜곡하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미국산 쇠고기 반대 운동의 역사를 촛불운동 이전부터 추적하고 시기별 과학논쟁을 정부측과 시민단체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새로운 사회위험에 대한 과학적 태도로 사전예방원칙의 역사적 배경과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둘러싼 각 진영 전문가들의 입장을 개별해 보았다. 또한 과학논쟁이 어떤 과정을 거쳐 사회운동으로 전환되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과학사회학적 관점으로 촛불운동을 해석해보았다. 주요어: 광우병, 과학사회학, 사전예방원칙, 위험사회, 한미FTA

      • AI 빅아이디어 기반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이 초등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변혜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래 사회에는 인공지능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문제해결에 적용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빅아이디어 기반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초등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인공지능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빅아이디어 기반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둘째, 인공지능 빅아이디어 기반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인공지능 빅아이디어 기반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이 인공지능 리터러시 함양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프로젝트 학습과 인공지능 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인공지능 교육 프로젝트 학습 절차 4단계를 개발하였다. 절차는 준비-계획-실행-평가로 구성되며, 단계별로 교사, 학습자의 역할을 구분하여 명시하였다. 개발한 학습 절차를 적용하여 교과 연계 인공지능 융합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교육 요소와 성취기준 선정을 위해 내용적 측면, 방법적 측면, 교수·학습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이 중 내용적 측면은 6학년 교과 교육과정과 AI4K12의 인공지능 다섯 가지 빅아이디어를 중심으로 하였다. 나선형 수행평가 모형의 개요에 따라, 총 7회차 14차시 분량의 인공지능 빅아이디어 기반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 후 10인의 교육전문가에게 학습 절차 및 프로그램 세부 계획표 초안에 대한 타당도 검사를 하였으며,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절차와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 학생 23명에게 적용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와 인공지능 리터러시 사전·사후 검사 결과로 대응 표본 T-검정을 통한 양적 분석을, 학습자 점검지·소감문·AI 자유 서술을 통한 질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인공지능 빅아이디어 기반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이 초등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인공지능 리터러시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다만, 주제의 특성상 통제 집단이 없고, 모수가 적어 일반화하기 어려우므로 후속 연구를 통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환경, 나이, 조건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후속 현장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둘째, 인공지능 융합 수업을 위한 스캐폴딩과 평가 방안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인공지능 다섯 가지 빅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전 학교급‧학년 군이 연계되는 체계적 커리큘럼 가이드라인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학교 현장의 원활한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AI·데이터 활용 환경 기반이 구축되어야 한다. 다섯째, 인공지능 교육과 각종 소프트웨어, 에듀테크 활용을 위한 교사의 역량을 신장해야 한다. In the future society,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to us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for creatively applying it to problem solving is importa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ject learning program based on AI big ideas, an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is program o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learner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how is a project learning program develope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big idea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AI big idea-based project learning programs on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ird, what is the effect of the AI big idea-based project learning program on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Firts, prior research related to project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was analyzed for program development. By combining these, I developed four stage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ject learning process. The procedure consists of preparation-planning-execution-evaluation. And the roles of teachers and learners are classified specifically at each stage.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by applying the developed procedure. Content, method, teaching & learning aspects were analyzed to select educational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content aspects focused on five big ideas of AI4K12. An artificial intelligence big idea-based project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as a total of 7 times and 14 hours. Afterwards, procedure and program were checked the validity by 10 educational experts. the final program was completed after revising and supplementing.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t was applied to 23 students of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As results of pre-test & post-test of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response sample T-test.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learner check list, review, and statement of AI. As a resul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big idea-based project learn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learners. However, there are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because of the character of the subject, there is no control group. Second,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due to the small number of people. so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it through follow-up research..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in school for students of various environments, ages, and conditions should be continu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caffolding and evaluation measur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classes.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systematic curriculum guidelines in which all school levels and grade groups are linked based on the five ideas. Fourth, an environmental foundation for utilizing AI and data should be established for smooth AI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Fifth,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eachers’ ability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various software, and edutech.

      • 한국 전통의 운문 문양을 응용한 현대 누비옷 디자인 연구

        변혜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세계 각국은 자국 문화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인식 아래 사라져가는 자국 문화의 전통적인 미를 재창조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다. 전통문양은 그 시대의 조상들의 사상과 미적가치를 담고 있으나 현 미술 교육에서 전통문양의 지도는 매우 미흡한 상태이며, 소수의 연구가만이 전통문양의 명맥을 유지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문양 중 운문 문양을 활용하여 현대 누비옷 디자인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 전통 운문 문양과 누비 기법을 현대 패션 디자인에 적용했을 뿐 아니라 동물문양, 식물 문양에 비하여 운문 문양은 연구된 바가 적어 그 특징과 의미를 연구함에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론적 연구로서 선행 연구과 사진자료를 통해 전통 운문 문양의 개념과, 의미, 유형, 특징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누비 기법에 대한 기원과 기법, 특징에 대해 정리하였다. 연구의 범위로는 2010년 F/W부터 2020 F/W까지 London, Milan, Paris, New York 4대 컬렉션과 각종 패션 사이트를 통한 전통 운문 문양과 누비 기법을 키워드로 연구 범위에 한계를 두고 연구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대 패션에 나타난 운문 문양과 누비의 사례를 문양, 소재, 색채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문양 분석을 통해 복합미와 확장미, 전통미를 도출하였으며 소재 분석을 통해 율동미와 기능미가 도출되었다. 색채 분석을 통해서는 장식미가 도출되었다. 먼저 운문 문양의 조형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곡선의 운문 문양을 통해 나타나는 율동미이다. 덩굴처럼 우아한 곡선의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당초운문(唐草雲紋)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풍운문(風雲紋)과 여의운문(如意雲紋)은 중량감 있는 율동미를 나타낸다. 둘째, 한 디자인 안에 다양한 운문 문양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복합미이다. 서로 다른 운문 문양으로 복합미를 나타내기도 하며, 운문 문양과 다른 전통문양을 함께 사용하여 복합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서로 다른 문양들이 반복되거나, 안정적인 비율의 공간 분할로 복합미를 표현한다. 셋째, 운문 문양에서 다른 문양으로 변형되어지는 확장미이다. 운문 문양에서 식물문양으로 확장 되는 경우가 많으며, 동물문양, 비정형적인 곡선, 직선 등의 문양으로도 확장되어진다. 다음으로 누비의 조형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형적인 미를 나타내는 전통미이다. 누비에서 가장 큰 조형미로 직선의 드문 누비 기법을 사용할 때 가장 많이 타난다. 둘째, 의복자체가 기능을 가지고 있는 기능미이다. 가능미는 보온 기능과 실용적 기능, 자기표현 기능으로 나누어진다. 보온 기능은 두꺼운 충전재를 사용하여 기후의 변화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며 실용적 기능은 실생활에서 움직임을 편한하게 하며 자기표현 기능은 자신만의 개성을 표출하기 위해 누비 기법을 사용한다. 셋째, 디자인이 강조되고 효과적이게 나타내는 장식미이다. 장식미는 기능미와 대비되게 별다른 기능은 없지만 심미적 효과를 나타낸다. 위와같이 도출해난 운문 문양과 누비의 조형미를 현대 패션디자인에 응용하여 8벌 총 18점의 여성복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운문 문양과 누비의 조형미를 분석해 현대 패션에 실용적이고 독창적으로 응용하여 함께 디자인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하며, 운문 문양과 누비에 관련한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나아가 현대 패션 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연구 기반이 되기를 희망한다.

      •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변혜진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의 노인은 신체적·심리적·사회적·경제적 능력이 쇠퇴됨으로 인해 허탈감·소외감·고립감 등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삶의 위기에서 Miller(1983)와 Erickson(1963)은 노인이 지나온 일생에 대하여 최선을 다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음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면 현재생활에 만족하고 다가올 죽음까지도 수용하게 되어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이 향상되어 성공적인 노화로 이른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에게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삶의 다양한 면을 받아들이고 이해하면서 정서적인 안정감을 찾아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조화와 균형을 이뤄 자아가 통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S시에 위치한 S데이케어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노인8명으로 무선 표집(random sampling)하여 실험집단(n=4)과 통제집단(n=4)으로 구성하였고 실험집단에게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효과성을 검토하였다. 실시 기간은 2015년 6월13일부터 9월19일까지 주 1회 90분씩 총 14회기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는 Rosenberg (1965)가 개발하고 전병제(1974)가 번안한 자아존중감 척도와 Miller(1963)와 Erickson(1963)을 통해 설정된 개념적 기틀에 의거하고 외국의 생활만족도와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김정순(1988)이 개발한 자아통합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SPSS/WIN 통계프로그램 Version 18.0을 활용하였으며 비모수 검정 중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 후 자아존중감, 자아통합감 전체와 자아통합감의 하위영역인 현재생활에 대한 만족과 죽음에 대한 수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자아통합감의 하위영역인 지나온 일생에 대한 수용과 노령에 대한 수용에서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자아존중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자아통합감 전체와 자아통합감의 하위영역인 현재생활에 대한 만족과 죽음에 대한 수용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자아통합감의 하위영역인 지나온 일생에 대한 수용과 노령에 대한 수용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에게 자아존중감을 갖게 하며 과거 기억들을 조화와 균형을 이루게 하여 자아를 통합하고 성공적인 노화로 이르는데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Older adults in modern society tend to feel alienated, isolated, and despondent because their mental, physical, and socioeconomic abilities are in decline. Miler(1983) and Erickson(1963) insist that the older adults who reach self esteem and ego integrity feel satisfied with their lives, and have the positive and harmonious view of their past, present and even future death. In Erikson's stage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self esteem and ego integrity are essential for elderly people’s happiness and wellbeing. In addition to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Mandala for older people to find ego integrity and balanced emotional stabi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eight elderlies, were chosen randomly from S adult day care center in S city. A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implemen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n=4) and the experimental group(n=4). The experimental group members attended Mandala group art therapy to assess the effects that art therapy had on themselves. Mandala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14 times in total, from Jun, 13th to Sep 19th in 2015(one session per week, 90 minutes a session). This study used the self esteem scale and ego integrity scale as pre and post-test assessment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Byung-Jae Jeon(1974)'s adapted version of Rosenberg (1965)'s self-esteem scale was utilized. For ego integrity, it is used the measurement developed by Jung-Soon Kim(1988) was used since it fits the Korean situation based on foreign life satisfaction and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s were defined by Miller(1983) and Erickson(1963).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WIN 18.0 statistical program and non parametric Mann-Whitney U test was execu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t statistically difference.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self esteem, whole self integrity, and specifically, the level of satisfaction the current life and acceptance the death as low factors of ego integrity. But acceptance the past and the aging as low factors of ego integrity showed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ly, group art therapy using Mandal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 esteem. Secondly, group art therapy using Mandala had a positive influence on whole ego integrity value, specifically life satisfaction and acceptance of death as low factors of ego integrity. On the other hand, group art therapy using Mandala did not show any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 of the past and in the aging process. In conclusion, group art therapy using Mandala had a positive impact on elderly people’s self esteem, successful aging, and self integrity by harmonizing past and present.

      • 코로나19 팬데믹을 겪는 노인의 비대면 미술치료 체험연구

        변혜진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2019년 12월 발병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이하 코로나19)는 대인 간 접촉 및 비말로 빠르게 전파되면서, 전 세계를 감염병 팬데믹에 대한 혼란과 두려움에 빠트렸다. 이에 대해 전 세계에서는 감염 전파 확산을 막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를 실시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인해 고립과 단절된 생활 등 일상생활 유지의 어려움으로 많은 사람은 심리적 고통을 겪고 있다. 코로나19로 바뀐 비대면 생활방식이 많아지면서 디지털 세대는 빠르게 적응해 나가고 있으나, 특히 ‘디지털 소외자’로 불리는 노인은 디지털 일상생활의 어려움으로 무능감, 외로움, 불안감, 단절감 등의 정서적, 심리·사회적 고립을 어느 때 보다 더 심각하게 겪고 있다. 코로나19와 노인의 디지털 사용 문제의 이중 고충은 곧 노인의 정신건강 문제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로 사회생활이 제한된 노인에게 가정에서 시행되는 비대면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적 고립감을 경험하는 노인의 심리·사회적 불안감을 완화하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을 활용한 노인 대상 비대면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노인이 비대면 미술치료로 어떠한 체험을 하였는가?’와 ‘노인의 비대면 미술치료 체험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만 65세 이상의 남녀 8명의 노인으로 주2∼3회, 총 8회기, 회기당 동영상 시청 15분 내외를 포함하여 각 가정에서 40∼50분의 비대면 미술치료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Moustakas의 현상학적 기술의 방법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비대면 미술치료 체험은 총 6개의 대주제와 16개의 하위 주제들로 대주제는 <노인 미술치료를 만나며 낯섦이 설렘으로 이어짐>, <자유롭게 미술 표현을 하며 찾은 나의 유능감>, <비대면 노인 미술치료를 통해 자발적 능동성을 발휘함>, <비대면 노인 미술치료에서 또 다른 신뢰와 소통을 경험함>, <고립으로부터 시·공간의 제약 없이 할 수 있다는 자유로움을 만끽함>, <삶의 전환점에서 나를 돌보며 자부심을 느끼게 됨>이다. 연구 결론으로는 첫째, 비대면 미술치료는 노인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온전히 미술 표현에 몰입하게 하였으며, 심리적 안정감과 자발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왔다. 둘째, 노인의 무료했던 시간과 답답하던 자신의 공간은 비대면 미술치료를 통해 안전한 치료적 환경이 되어 예술적 창조성이 발휘되는 행복한 시·공간으로 재구성되었다. 셋째, 노인의 비대면 미술치료에서 디지털 기기의 활용은 디지털 기기 사용에 취약한 노인에게 디지털 소외감의 해소 및 세대 간의 격차를 줄이는 등의 긍정적 자신감을 불러일으켰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재난 상황에서 취약한 노인의 심리방역에 도움이 되기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노인이 스마트폰으로 동영상을 시청하며 진행하는 비대면 미술치료의 체험 현상을 파악하고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향후 노인의 비대면 미술치료의 적용 및 확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의류 내 냄새 원인물질인 아이소발레르산 탈착에 관한 연구

        변혜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의류 세탁의 주된 이유가 오구가 아닌 착용 후 냄새에 의한 습관적 세탁임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세탁이 아닌 냄새 제거를 통해 기존의 물세탁 및 건조 방식을 대체하여 의류의 물세탁 주기를 연장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관점에서 실험을 계획하였다. 그 중 인체 악취인 땀 냄새를 탈취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땀의 성분에 해당하는 암모니아, 아세트산, 아이소발레르산을 기체 상태로 직물에 입혀 냄새나는 직물 시료를 만든 후 탈취실험에 이용하였다. 탈취 메커니즘과 일상생활 속 기기 접근성을 고려하여 스팀, 열풍, 은 콜로이드 용액, 섬유탈취제, 자외선을 탈취 수단으로 선택하여 다양한 조건으로 적용하였다. 탈취 평가는 IRB 승인을 받아 후각으로 직접 원단 냄새를 맡는 관능 평가법과 GC/MS를 이용한 정량분석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흡착 실험을 통해 아이소발레르산을 대표 냄새 원인물질로, 양모직물을 대표 직물로 선정하였으며, 대표 직물을 통해 각 탈취방법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스팀은 수증기 입자의 작용에 유리하여 20 cm 거리에서 50 mL의 물양을 5 mL/min의 속도로 약하게 분사하는 조건에서 가장 좋은 탈취 효과를 보였다. 양모섬유로부터 도출한 최적 스팀 탈취 조건을 일상생활에서 많이 입는 의류 소재인 면과 폴리에스터 섬유에 적용하였을 때 각 방법과 악취 직물 간 상호작용이 친수성/소수성 섬유별로 달라 탈취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열풍은 기체분자 확산 속도 요인에 의해 80℃로 1분간 가하는 조건에서 가장 좋은 탈취 효과를 보였다. 열풍의 세기에 의한 탈취 효과의 차이는 없었으며, 시간을 조절하여 고온일 때와 비슷한 에너지를 사용하면 상대적 저온에서도 탈취 효과를 높일 수 있어 고온에 의한 직물 손상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땀 냄새는 미생물과 관련이 없어 UV, 은 용액에 의한 탈취 효과는 거의 없었고 섬유탈취제는 더 강한 향기로 악취를 완전히 덮은 효과를 보였다. 스팀과 열풍 각각에 의해 1등급 미만으로 악취를 줄이는 조건이 없어 스팀과 열풍을 조합하였고 실험을 통해 도출한 최적 조합 조건에서는 모든 섬유에서 악취를 1등급 미만으로 효과적으로 줄였다. 최적 조합 조건으로 처리된 직물의 GC/MS 분석을 통해 얻은 아이소발레르산의 함량으로 제거율을 계산하여 감각적인 측면 뿐 아니라 실제로 제거가 됨을 확인하였으며, 야외 방치하는 경우 1등급 이하 도달에 7시간이 걸린 것에 비추어봤을 때 본 연구의 탈취법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도출한 방법으로 탈취 처리를 한 전도성 직물에 대해 기존 세탁을 거친 전도성 직물을 비교하였을 때 두 조건 모두 0등급을 만들지만 탈취된 시료에서는 외관 및 전도 성능의 저하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세탁이 꼭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최적 조건을 이용한 탈취방법은 세탁 주기를 늘리며 기존 세탁과 비교하여 물과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의류와 같이 물세탁 과정의 이화학적 요인에 의해 기능성이 저하되는 고기능성 텍스타일 제품에 대한 하나의 관리 방법이 되어 제품의 기대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main reason for washing clothes after wearing are odors, rather than pollutan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washing cycle of clothes by replacing the existing washing and drying methods by odor removal methods. The experiment was designed from the perspective of determining a way to achieve it. The odor of sweat, which is a human odor, was selected as a deodorization target, and ammonia, acetic acid, and isovaleric acid reagents, which are components of sweat, were coated on the fabric in a gaseous state to produce smelly fabric samples and then used for the deodorization experiment. Considering the deodorization mechanism and accessibility of devices in daily life, steam, hot air, silver colloidal solution, textile deodorant, and UV light were selected as deodorizing means and applied under various conditions. A sensory evaluation method of directly smelling fabric using the sense of smell and quantitative analysis using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ere used to evaluate deodorization. Isovaleric acid was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reagent and wool fabric as the representative fabric using the adsorption experiment, and the effect of each deodorization method was analyzed using the representative fabric. Withi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set by us, steam showed the best deodorizing effect under the condition that 50 mL of water was sprayed at a speed of 5 mL/min from a distance of 20 cm. The hot air showed the best deodorization effect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hot air was blown at 80 ℃ for 1 min. The derived optimal deodorization conditions were applied to cotton, wool, and polyester fabrics, which are the frequently used clothing materials in daily life. The interaction between each method and each fiber was different; therefore, the deodorization effect was different. Under the optimal combination of steam and hot air, odor was effectively reduced in all types of fibe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lmost no deterioration in appearance and conductivity occurred in the deodorized conductive fabric compared to the washed conductive fabric. The deodorization method using the optimal condi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is an alternative to reducing water and energy consump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washing, and it is expected to extend the life expectancy of high-performance textile products, such as smart clothes, whose functionality is deteriorated by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in the wash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