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토벤의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 제7번 c단조 Op.30-2> 분석연구

        백지은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은 고전주의 음악의 전통을 계승하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음악을 표현하여 낭만주의 음악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의 작품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 제7번 c단조 Op.30-2>는 피아노 중심으로 작곡된 이전의 바이올린 소나타와는 다르게 피아노와 바이올린의 역할이 비교적 균형적으로 쓰인 작품이다. 또한 이 곡은 베토벤 작품에서 ‘영웅적인 조’로 불리는 c단조이며, 베토벤의 불안정한 심리 상태가 급격한 다이나믹의 변화를 통해 전 악장에 나타난다. 베토벤의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는 모두 10곡으로 그는 ‘모방의 시기’로 불리는 초기에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 Op.12의 3곡, Op.23, Op.24, Op.30의 3곡을 작곡하였고, ‘외향화 시기’인 중기에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 Op.47, Op.96을 작곡하였다. ‘내향화 시기’인 후기에는 바이올린 소나타는 작곡하지 않았지만, 피아노 소나타, 첼로 소나타, 현악4중주곡 등 다양한 작품들을 전통적인 기법과 새로운 낭만주의 기법 등 그의 모든 양식을 조합하여 작곡하였다. 제7번 소나타인 Op.30-2는 전체 4악장으로 구성된 곡으로 제1악장은 소나타 형식, 제2악장은 3부 형식, 제3악장은 복합3부 형식으로 스케르초 악장이며 제4악장은 소나타 론도 형식이다. 이 곡은 고전 소나타의 형식을 취하지만 주제의 변형, 극적인 표현과 같은 새로운 음악적인 요소가 낭만적인 분위기를 나타낸다. 또한 모든 악장의 시작을 피아노가 주도하지만 피아노와 바이올린이 서로 모방하며 주고 받는 선율이 모든 악장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두 악기가 비교적 대등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 다문화 가정 외국인 여성을 위한 음악활동 과제집

        백지은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활동집은 결혼이주 여성의 문화이해와 그룹응집 및 사회적응을 돕기 위한 것으로, 50분씩 25회기의 그룹세션(8~10명)으로 구성하였으며, 노래의 가사를 읽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하므로 한국어 이해 및 수용에 거의 어려움이 없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 활동은 크게 한국의 주요 사건, 전래와 전통, 그리고 현대 사회와 문화를 주제로 하여 이러한 주제를 갖고 있거나 엿볼 수 있는 곡으로 선정했으며, 총 20곡을 중심으로 25개의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 한국 현대소설의 문체 연구 : 김승옥, 이청준, 서정인, 황석영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백지은 고려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문체를 문학연구의 하위 방법론으로 여기는 제한적 문체관(文體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문학작품의 문체 해석은 작품의 형식과 내용을 가르지 않고 형상적 사유로서 문학을 인식하는 문학연구의 본령임을 강조하기 위해, 기존의 문체론이 어학적 문체론과 범주 및 방법에 혼용이 있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어학적 분석의 재료로 쓰여 왔던 문체요소들이면서 문학작품의 문학성을 생성하는 주요 인자들을 포괄하여 ‘글쓰기’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의 연구 대상은 ‘글쓰기를 통한 문체’, ‘글쓰기’와 ‘문체’ 둘 다이다. 올바른 문체연구는, 개별 작품과 작가를 대상으로 하면서도 각각의 그것들이 모였을 때 하나의 문학사적인 지형도를 그릴 수 있도록 방위를 설정하고 좌표를 놓는 기준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한 작품의 문체란 워낙 개별적으로 드러나는 작품의 고유한 효과이므로 그것을 유형화라는 체계에 종속시켜 분류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따른다. 그래서 문체라는 사후적 효과 이전에 문체를 형성하는 제(諸)요소들과 관련하여 작가가 자기 스스로를 참여시키면서 명확하게 개별화하는 지점, 작가의 형식적 정체성이 진정으로 확립되는 그 행위를 ‘글쓰기’라고 하고 그것이 형성되는 기원과 원동력을 고려하여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작가가 어떤 글쓰기를 통해 소설을 쓰는가를 검토하여 글쓰기의 유형을 확립하고 각각의 글쓰기 유형에서 어떤 문체가 형성될 수 있는지 연결하여 보았다. 글쓰기의 유형을 텍스트 형성 과정과 결과의 차원에서 함께 살펴보기 위해 용어들을 예비적으로 점검하였다. 글쓰기라는 이 포괄적인 용어를 텍스트 형성의 과정과 결과를 함께 고려한 문체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활용하기 위해, 쓰는 행위에 해당하는 ‘언표행위’와 쓰여진 것에 해당하는 ‘언표’의 두 측면으로 강조점을 나누었다. 작가의 언표행위는 글쓰기의 대상과 방법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작가가 세계를 바라보는 태도도 달라진다. 언표행위의 대상이 현실에 존재하는 객관적 세계의 물질적 실재들인가, 인간의 의식에 존재하는 주관적 세계의 심리적 실재들인가에 따라 글쓰기를 크게 유별할 수 있다. 직접 주어져 있는 현실 세계에 대해 상상적 구상력을 발휘하는 글쓰기는 주체가 외부의 세계에 관심을 가지므로 ‘외향적’ 글쓰기라 하였고, 객관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세계에 대해 상상력을 발동시키는 글쓰기의 주체는 자신의 내면을 향하는 태도를 보이므로 ‘내향적’ 글쓰기라 하였다. 김승옥, 이청준, 서정인, 황석영 이 네 작가는 전후 한국 소설사의 머리 부분에 놓이며 최근의 문학을 설명하는 데에도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고려할 수 있는 작가들이라 판단하였다. 각 작가들의 글쓰기 지향이 어떤 것인가 짐작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간략하게 검토함으로써 그들의 글쓰기를 나누어 배치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김승옥과 이청준은 내향적 글쓰기에, 서정인과 황석영은 외향적 글쓰기에 배치하였다. 글쓰기의 대상에 따라 크게 둘로 분류된 상태에서 각 작가의 개별 텍스트를 분석하였을 때, 대상 세계를 유사한 영역으로 상정하였지만 언표의 조직과 구성이 각 작가에게서 상이한 것이 드러났다. 심리적 실재에 대해 내향적이든, 물질적 실재에 대해 외향적이든, 작가가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 사유하는 습관 등에 따라 글쓰기 태도와 방법이 달라지고 그에 따라 글쓰기 형성의 원리와 동인과 결과가 구별될 수 있었다. 또한 같은 세계를 대상으로 한 글쓰기에서도 언표 구성과 배열에 유사함이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즉 세계를 대하는 태도에 따라 글쓰기 형태에 공통점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이때 대상을 바라보는 방법은 세계 인식의 도구로서 ‘직관이나 감성’을 사용하는 태도와 ‘지성이나 논리’를 사용하는 태도로 구별하여 볼 수 있었다. 김승옥의 내향적·차이지향적 글쓰기가 형성하는 문체를 ‘감성의 해석’으로, 서정인의 외향적·차이지향적 글쓰기가 형성하는 문체를 ‘지각적 수용’으로 명명하였다. 이청준의 내향적·체계지향적 글쓰기가 형성하는 문체를 ‘지성적 주석’이라 하고, 황석영의 외향적·체계지향적 글쓰기가 형성하는 문체를 ‘인식적 개입’이라 하였다. 이와 같이 네 작가의 작품을 선별하여, 개별 작품에 관한 종합적 분석을 시행한 결과, 각 작가들이 보여주는 언표행위의 특성과 언표의 구조를 해명함으로써 네 작가는 각 유형의 전형(典型)으로 삼을 만 하다고 판단되었다. 이때 해당 작가들의 모든 작품이 각 글쓰기의 유형에 꼭 들어맞는다는 것은 아니다. 글쓰기의 각 유형은 경계 설정의 기준이 아니고 좌표의 기준점 정도의 역할을 하지만, 이 같은 글쓰기의 유형화를 통해, 글쓰기의 발생과 과정에 관여된 개인적/사회적 (무)의식이 텍스트의 욕망으로 발현하는 양상을 구분하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글쓰기와 문체의 긴밀함을 전제로, 글쓰기 유형에 따른 문체 발생과 문체 효과의 차이들을 연결짓는 작업의 토대를 제공한 것이다.

      • 사회관계망 유형에 따른 노부모 부양자의 부양행동 및 심리적 건강

        백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취약노인이 아닌 정상노인을 부양하는 부양자가 사회관계망과 의 친밀함을 지각한 정도, 그리고 사회관계망으로부터 실제로 받는 도움정도에 따라 사회관계망 유형을 살펴보고, 유형별로 부양자 및 노인관련 사회인구학적인 특성을 알아본다. 그리고 사회관계망이 부양자의 부양행동 및 심리적 건강에 각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전국의 6개 주요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부양자와 그들이 부양하는 취약노인이 아닌 정상노인을 대상으로 한 문숙재, 최혜경, 정순희(1997)의 연구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부양자 총 594명으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for 9.0 Window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요인분석, 일원분산분석, 군집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양자와 사회관계망과의 관계에 있어 친밀함을 느끼는 정도와 실제로 도움을 받는 정도에 따라 각각 4개의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먼저 사회관계망으로부터 친밀함을 느끼는 정도에 따라 '전체적 사교형', '친구·이웃 친밀형', '고립형', '전체적 원만형'의 4개의 유형으로, 실제로 도움을 받는 정도에 따라 '친족 집중형', '도움 풍요형', '도움 고갈형', '핵가족 집중형'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부양자의 사회관계망은 유형별로 부양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밀 사회관계망의'전체적 사교형'과 도움 사회관계망의 '도움 풍요형'은 여성이거나 교육수준이 높거나, 아니면 나이가 적은 부양자가 많았으며, '도움 고갈형'은 다른 도움 사회관계망에 비해 노부모와 같이 살면서 부양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양자의 사회관계망 유형은 부양자가 노부모에게 제공하는 부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밀 사회관계망유형의 '전체적 사교형'은 '친구·이웃 친밀형', '고립형', '전체적 원만형'에 비해 정서적 부양행동과 공유활동적 부양행동을 보다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움 사회관계망유형의 '도움 풍요형'은 '도움 고갈형'에 비해 정서적 부양, 공유활동적 부양, 경제적 부양행동을, '핵가족 집중형'에 비해 정서적 부양과 공유활동적 부양행동을, '친족 집중형'에 비해 공유활동적 부양행동을 더 많이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관계망과의 친밀함과 도움이 부양자의 역할인 부양행동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부양자의 사회관계망은 부양스트레스를 제외한 심리적 건강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밀 사회관계망유형의 '전체적 사교형'의 부양자가 '고립형'과 '전체적 원만형'의 부양자에 비해 자아존중감과 복지감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움 사회관계망유형에 있어서는 '도움 풍요형'이 '도움 고갈형'에 비해서 복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으로 보아 폭넓은 사회관계망과 친밀함을 느끼고 도움을 받는 것이 부양자의 심리적 건강에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부양자가 사회관계망으로부터 실제로 도움을 받는 정도보다는 친밀함을 느끼는 지각이 부양자의 심리적 건강에 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부양자가 사회관계망으로부터 도움을 받는 것도 심리적 건강에 중요하지만 도움을 많이 받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사회관계망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사회관계망의 유형별로 부양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으며, 노부모에게 제공하는 부양행동과 부양자의 심리적 건강은 부양자의 사회관계망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친밀 사회관계망 유형 중에서 '전체적 사교형'과 도움 사회관계망 유형 중에서 '도움 풍요형'이 다른 사회관계망에 비해서 노부모에게 부양행동을 더 많이 제공한다는 점과 '전체적 사교형'과 '도움 풍요형'이 자아존중감 및 복지감에 있어 긍정적인 경향을 높이 보인 것은 부양자가 폭넓은 사회관계망과 친밀함을 높게 느끼고 도움을 많이 받는 것이 부양자의 심리적 건강 뿐 아니라 노부모에게 제공하는 부양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나타내주는 것이다. 또한 부양자의 심리적 건강이 실제 도움을 받는 정도에 따른 사회관계망 유형보다 친밀함을 느끼는 정도에 따른 사회관계망 유형에 따라 더 뚜렷한 차이를 보이므로 실제 도움을 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부양자가 사회관계망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regivers' supporting behaviors and psychological health for social network types. In particular, caregivers' elderly people were not frailed elderly person but general one. In order to achieve it, the study classified the type of social network for perceived close level score and actual received support level score and then examined the types of social network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ed how the caregiver's social network affect the supporting behaviors and psychological health(caregiving stress, self-esteem, and well-being). The study adapted secndary were collected for the project of Moon, Choi, and Jung(1997). For the objective, 594 questionnaires for caregiver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he statistic procedure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cluster analysis, Pearson x², one-way ANOVA, and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givers' types of social network are classified into each of four groups according to social network for perceived close level score and actual received support level score. The types of close social network are"Whole Social Type","Friend and Neighbor Based Type", "Isolation Type", and"Whole Harmonious Type". And social network types of actual received support are "Kin-centered Type", "Rich Support Type", "Exhausted Support Type", "Nuclear Family-centered Type". Seco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caregiv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found out according to each of social network types. A number of women or high educated or older caregiver were included the "Whole Social Type" or "Rich Support Type". And comparing to other social network types of actual received support, many of caregivers who were coliving with their elderly people were included the "Exhausted Support Type". Third, social network of caregiver effect on the caregiver's supporting behaviors for their elderly people. Comparing to "Friend and Neighbor Based Type", "Isolation Type" and "Whole Harmonious Type", "Whole Social Type"increased the supporting behaviors for their elderly people. And "Rich Support Type"was positively related to caregiver's supporting behaviors for their elderly people. So closeness and support of social network have importance on the caregiver's supporting behaviors. Forth, social network affect the caregiver's psychological health. Except to caregiving stress, self-esteem and well-being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social network. "Whole Social Type"was more positive than "Isolation Type" and "Whole Harmonious Type" on the self-esteem and well-being. And "Rich Support Type"was more positive than "Exhausted Support Type" on the well-being. From this result, high level of closeness and support with various social networks have importance on the caregiver's psychological health. In here, comparing social network of actual received support, close social network is showing the clear differences on the caregiver's psychological health. Therefore close relationship of maintenance is so important as well as actual receving support from social network.

      • 지적장애 학생의 화폐 기술 향상을 위한 증거기반교수 요소를 결합한 기능적 학업기술 교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백지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지적장애 학생의 화폐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증거기반교수 요소를 결합한 기능적 교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수 프로그램의 교수 내용 및 교수 방법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초등학교 5~6학년 지적장애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교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살펴보았다. 먼저 기능적 학업기술 교수 프로그램의 교수 내용의 내용은 KDB 모형을 통해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내 화폐 관련 성취기준을 재구성하여 통합 단원을 개발하였고,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FGI를 통해 중재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다음으로 교수 방법은 선행문헌 분석 및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성이 입증된 교수 전략을 적용하였으며, 현직 교사 대상 설문조사 및 FGI를 통해 중재에 활용될 증거기반교수 요소가 적절한지 의견을 수렴하고 중재 방법을 검토받았다. 이어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해 지적장애 초등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회기에 걸친 기능적 학업기술 교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다층모형을 통해 학생들의 화폐 영역 성취를 원접 평가 및 근접 평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DB 모형을 통한 통합교육과정의 개발 및 교사 대상 설문, FGI를 통해 개발한 화폐 교수 내용은 지적장애 학생의 화폐 영역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타분석 및 교사 대상 설문 ․ FGI를 통해 수립한 화폐 교수 방법은 지적장애 학생의 화폐 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접평가인 총괄평가에서 실험집단 학생은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변화량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접평가에서 실험집단 학생은 비교집단 학생에 비해 KISE-BAAT(화폐) 및 연구자 개발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높은 성취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학교 문법의 띄어쓰기 교육 방안 연구 : -보조용언 “하다”를 기준으로 한 띄어쓰기

        백지은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when we write something, spacing words is one of the confused parts. Also, everyone has the experience to hesitate whether leaving spaces or not in their writings. One of the reasons is not only misunderstanding about the basic principles of spacing words but also people depend on their short-sightedness. The right way to use spacing words followed the rules of spelling of Hangeul. However, there is only 10 items and it is impossible to solve all problems with confusing about spacing words. Sometimes even using korean dictionary cannot give enough solutions. Because the korean dictionary is not perfect yet. Also, to reduce this kind of confusing, spacings words in teaching -learning should be included in curriculum. This paper is the study on content organizing of korean language textbook in middle school. To achieve this, this paper analyze on the Integration of contents from other sub-domains in korean text books for middle school leaners, and then discuss improvements of selection content and its organizing 1th-7th curriculum aim for integration of contents from other sub-domains each subject. Especially korean spacing has need of korean grammar knowledge on related to word, parts of speech, morphemes, word-phrase and those division. Therefore, teaching-learning of korean spacing has to be organized with teaching-learning word concept. Second, on teaching-learning of word-phrase(combination word with postposition), explanation the concept of word-phrase through reading has to be corrected because those concept is not same. Third, education of spacing has to be strengthened effectively. Therefore this article analyzes systematically to find many people mostly often make an error in spacing words and prepare effectively for spacing with using “ha-da” Auxiliary verb.

      • 부모 주도 중재가 말-언어장애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백지은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모는 말-언어장애아동의 의사소통능력 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임상에서 말-언어장애아동의 치료효과를 높이고 일반화하기 위해서 부모를 활용한 중재나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다양한 부모 주도 중재가 실시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통해 2005년에서 2019년까지 15년간 말-언어장애아동에게 이루어진 부모 주도 중재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부모 주도 중재가 말-언어장애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주제어를 통해 국내외의 문헌을 검토한 후 연구의 포함과 제외기준에 따라 9개의 문헌을 선정했다. 부모 주도 중재를 통한 말-언어장애아동의 의사소통능력의 효과크기는 무선효과모델(random effect model)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질적분석 결과 첫째, 부모 주도 중재에 참여한 연구대상의 연령은 10개월~50개월로 평균월령 30개월이었다. 둘째, 부모 주도 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말장애아동 중 청각장애, 구개열 아동이 포함되었고, 언어장애아동 중 자폐스펙트럼, 언어발달장애, 언어발달지연 아동이 포함되었다. 셋째, 부모 주도 중재의 유형은 부모교육(Parent Training)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분석 결과 첫째, 부모 주도 중재는 말-언어장애아동의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부모 주도 중재는 말장애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고, 의사소통능력 중 어휘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부모 주도 중재는 언어장애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고, 의사소통능력 중 어휘, 평균발화길이, 의사소통행동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후속연구로 보다 다양한 유형의 말-언어장애아동이 참여하여 중재 효과의 일반화를 검증할 필요가 있고, 중재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해 중재의 효과가 큰 아동의 연령과 중재기간을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Parent is important in developing communication skills for children with speech-language disabilities. Parent implemented intervention has been studied to enhance and generalize the treatment effect of children with speech-language disorders. in clinical trials. The effects of parent implemente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speech-language disorders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After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published in 2005-2019, nine literature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inclusion and exclusion. The effect size of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speech-language disorders through parent implemented intervention was calculated using the random effect model.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age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arent implemented intervention was 10 to 50 months with an average age of 30 months. Second, studies on hearing-impaired, cleft palate children were included as speech-disordered children, and studies on autism spectrum, language development disorder and language-delayed children were included as language-disordered children. Third, Parent Training(PT) was used the most frequently as a type of parent implemented intervention. The meta-analysis showed that first, parent implemented interv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peech-language-disordered children. Second, the parent implemented interv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speech-disordered children, and also on the vocabulary among communication abilities. Third, the parent implemented interven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language disabilities, and also on vocabulary, mean length of utterance and communication behavior among communication abilities. Subsequent studies need to involve more diverse types of speech-language-disordered children to verify the generalization of arbitration effects, and to analyze the age and duration of arbitration for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arbitration.

      • 영석이네 학급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장애아동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백지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purpose of sharing information for the successful inclusion through observing how the children understand their friends with disabilities in a cla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irty children in the inclusive class of a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narrative method. The narrative method. includes listening to the conversation of the children,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it and structuralizing its meaning into the specified pattern.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s in this study are set up as follow. 1. How do the friends of Young-suk in the class think abou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disabilities"? 2. How do the friends of Young suk in the class understand Young-suk? 3. Is there any difference of the perspective on Young-suk between the children of Young-suk's class and the children of next class? The finding of the study include as follows; 1. The classmates of Young-suk perceived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 are much inconvenient things' and 'They are different from us' within the scope which are not deviated from the level of understanding Young-suk. 2. At first, it looked like the friends were recognizing Young-suk negatively as the feature of the child with disabilities in the attitude toward Young-suk. At the same time, it seemed like that they were opening their mind by finding the natural features of Young-suk ( The child who is good at singing songs, whose behavior is cute and has the different way of expression from the friends of his age.) as time went by. However, the separation to ' special class' was decided since there were growing number of children suffering from Young-suk's problem behaviors which became serious. The emergency situation where no firm belief on inclusion was possible was faced. Even though this situation was created, there could not be 'separation' for the better inclusion and the solution had to be secured within the inclusion. Young-suk was able to continue the connection of relationship through this process and this is simply a matter of 'determination'. 3. There was the difference of the perspective on Young-suk between the children in Young-suk's class and the children of next class. The children in Young-suk's class were having the relatively positive perception on Young-suk, and even in the case of the negative recognition, they were focusing on the behavior without including the value of 'hate'. On the other hand, the children of next class were not only seeing Young-suk with the learned image of the handicapped or abstractly, but also having the negative values such as 'No concept. Inexperience of the world. No embarrassment.' in the case of the negative perception. It is natural that there is any internal conflict of the class where the children with the various characteristics gathered. It may be no wonder that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have alert and disregard if the object is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ve the overly different appearance. There is the important fact which can not be neglected before we have the premature judgement on inclusion class while we have the expectation of the ideal inclusion class. The inclusion class has its own value allowing non-handicapped children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handicapped children and providing the opportunity that they can be familiarized with handicapped children little by little. And this concrete experience will be a valuable background for the children, the future member of new community, to see the handicapped as another members of the community. We can confirm natural proces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to accept children with disability without any artificial mechanism. This can be helpful to the operation of inclusion class by consulting which point children have difficulty in accepting handicapped children or how the perception on handicapped children has changed. And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teacher in charge plays an important role even though it is not shown directly the impact of it on the children's recognition of the handicapped. 이 연구는 학급의 친구들이 장애 아동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과정을 통해 통합교육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의 한 통합학급, 일반아동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연구자가 다시 이야기하는 과정을 통해 의미를 재구성하고 특정한 방식으로 구조화시키는 내러티브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영석이 학급 친구들은 장애와 장애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2. 영석이 학급 친구들은 영석이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을까? 3. 영석이네 반 아이들과 영석이네 옆반 아이들이 영석이를 보는 관점에 차이가 있을까?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발견하였다. 1. 영석이네 학급 친구들은 영석이를 이해하는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장애나 장애인에 대해 ‘불편한 것이 많다’, ‘우리와는 다르다’ 인식하고 있었다. 2. 영석이에 대한 태도에서 처음에는 영석이를 장애아동의 모습으로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영석이 본연의 모습(노래를 잘 부르는 아이, 행동이 귀엽고 표현방법이 또래들과는 다른 아이 등)을 발견하고 마음을 열어가는 듯 하였다. 그러나, 영석이의 문제 행동이 심해지면서 피해를 입는 아이들이 늘어남에 따라 결국 희망반에서의 분리가 결정되고, 통합에 대한 확신을 할 수 없게 되는 위기 상황도 맞게 된다. 하지만 더 나은 통합을 위한 ‘분리’란 있을 수 없으며, 통합된 그 안에서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 과정에서 아이들과 영석이는 관계의 끈을 이어갈 수 있으며, 이것은 단지 ‘결단’의 문제이다. 3. 영석이네 반 아이들과 옆반 아이들이 영석이를 보는 관점에는 차이가 있었다. 영석이네 반 아이들은 비교적 영석이의 구체적인 행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부정적으로 인식을 한 경우에도 ‘싫다’는 가치를 포함하지는 않고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옆반 아이들은 학습되진 장애인의 이미지나 또는 추상적으로 영석이를 인식할 뿐 아니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에도 ‘무개념이다, 세상 물정 모른다, 민망함이 없다’ 등의 부정적인 가치를 포함하고 있었다. 다양한 특성을 가진 아동들이 모인 학급에서의 내부 갈등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특히 그 대상이 자신들의 모습과는 너무도 다른 장애 아동이라면 일반 아동들이 가지는 경계와 외면은 어쩌면 당연한 것일지도 모른다. 통합학급에서의 이상적인 모습을 기대하며 통합학급에 대해 섣부른 판단을 내리기 전에, 간과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사실이 있다. 통합학급은 일반 아동이 장애 아동의 존재를 인식하고 그들에게 조금씩 익숙해지는 기회의 장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의 이런 구체적인 경험들은 새로운 사회의 구성원이 될 아이들에게 장애인을 공동체의 또 다른 구성원으로 인식하게 하는 소중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일반아동들이 장애아동을 받아들이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인위적인 장치없이 그대로의 자연스러운 장면으로 확인해볼 수 있다. 어떤 점에서 아이들이 장애아동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하는지, 또는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이 변하게 되는 계기들을 참고하여 통합학급을 운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아이들의 장애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고 직접적으로 표현하지는 않았지만, 담임교사의 교육철학도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