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금피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백승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A Study on Wage Peak System : Problem and Improvement Plan Korea has entered into an aging society at exceptionally high speed caused by longer average life span and a low birth rate. Increased older workers give pressure on labor costs to Korean companies with seniority based pay system, and further became the cause of an early retirement. Wage peak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Korean companies as an alternative to early retirements. Recently, Korean companies are increasingly adopting Wage peak system to extend retirement period. Those companies that are adopting Wage peak system experienced positive effects such as greater employment stability, labor cost control, and higher morale. But so far the system has been adopted by only a few of large enterprises, and it's not diffused widely. Accordingly, this research focuses on various types of Wage peak systems adopted by various Korean firms. Through this study, I attempted to find a policy implication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the study also suggests design factors that ensure efficient Wage peak systems. In general, there are two types of Wage peak system; "aging-limit-security model" and "employment-extension model". Aging-limit-security model is to cut salaries to increase employment stability while "employment-extension model" is to reduce wages for extended retirement. Companies that are considering Wage peak systems, need to make accurate analysis of its own regarding their circumstances and potential problems in its adoption. The companies must review which type is most appropriate and have an clear idea of what must be considered for adopting the system. The effects of the Wage peak system, for the companies' point-of-view, are saving labor costs, continued employment of experienced employees with a great stock of knowledge, solving the promotional congestion through job rotation and hiring new young employees. From the employee'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for the middle-aged and elderly employees to remove job insecurity and expect to work to longer periods. it can also boost the employees' motivation to work. In a societal level, the system has positive effects to alleviate the lack of production crews and to cut social security expenses for retired population. Current issues to Korean enterprises that have adopted the Wage peak system are different perspective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attitude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employees, difficulties of placing the employees to new positions, culture conflicts with the seniority rule, and lack of government's support. To solve these problems, I suggest ①selective application by job classification, ②development of customized job for the aged, ③selective application by career and skill level, ④working hours reduction by the decreased rate of wage, ⑤incentive by performance evaluation As yet we do not recognize seriousness due to currently high youth unemployment rates. But if early retirement of elderly employees are continued, we will los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efore long. Consequently, the aging-limit-security model is hard to solve these problems. When if employment-extension model is coordinated suitably, it can be alternative way to win-win among labor, management, and government 평균수명 연장과 저 출산에 기인하여 한국은 전 세계에 유례없는 속도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사회의 고령화는 기업내부 인력의 고령화를 가져와 연 공급 체계의 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가중시켜 중․고령자 조기퇴출의 원인이 되고 있다. 임금피크제는 이러한 기업의 인건비부담 완화와 중․고령인력의 조기퇴출로 인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국내 기업에 도입되기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중․고령인력 활용 측면에서 고용연장형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거나 도입을 검토 중인 기업이 늘고 있다.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기업들이 실제로 고용안정과 인사적체 해소, 기업경쟁력 제고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보여 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일부 공기업과 금융업 등 일부 대기업에만 도입이 되어있고 제도의 확산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고령화 시대의 중․고령인력의 고용안정을 위한 대안으로서 제시되고 있는 임금피크제에 대하여 유형별로 제도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각 유형별 임금피크제 운용 시 제도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나아가 임금피크제의 바람직한 정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고령화 시대의 지속가능한 조직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임금피크제의 유형으로는 취업규칙상 정년을 보장하는 대신에 임금을 삭감하는 정년보장형 임금피크제와 정년 또는 고용기간을 연장하면서 임금을 조정하는 고용연장형 임금피크제가 있다.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려는 기업은 기업이 처한 상황과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한 분석과 진단을 토대로 해당 기업에 적합한 임금피크제의 유형을 선택하고 제도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제도 도입효과는 기업 측면에서는 인건비 절감과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갖춘 인력의 연장 활용, 배치전환으로 승진적체 해소 및 신규고용 촉진으로 인력 선순환에 도움이 되고, 근로자 측면에서는 중․고령자는 고용불안을 해소하고 노후생활의 안정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일반 직원들은 승진으로 인한 동기부여로 근로의욕을 고취할 수 있었다.사회적인 측면에서는 고령화에 따른 생산인력의 부족문제를 해결하고, 정년보장 또는 고용연장에 따른 비경제활동 노령인구에 대한 사회보장비용을 완화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 국내 기업에서 도입하고 있는 임금피크제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으로는 임금피크제에 대한 노사 간 접근 차이, 중․고령자에 대한 인식전환의 어려움, 직무개발 및 전환의 어려움, 연공서열적 조직문화로 인한 갈등, 정부의 제도적 지원 부족 등이 있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①직종에 맞는 선별적용, ②고령자에 맞는 직무 및 직종개발, ③경력, 숙련도 등에 따라 선별 적용, ④임금감소와 병행된 근로시간 단축, ⑤평가를 통한 성과급 지급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아직은 우리 사회에 청년실업 문제가 겹쳐져 있어 그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고령인력의 조기은퇴와 인구감소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활동인력의 부족사태를 머지않아 맞게 될 것이다. 결국 정년보장형 임금피크제의 접근은 이러한 제반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토대를 제공하고 있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다. 고용연장형 임금피크제가 적정한 설계 위에 구상된다면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노사정 모두에게 win-win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앞으로 고령사회를 대비한 적절한 고용정책의 하나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쿠션부재에 따른 시추플랜트용 체크밸브의 성능 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백승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세계적으로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에너지 자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 중 오일/가스 플랜트산업에서는 셰일자원이 주요 대체에너지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오일/가스 플랜트산업에서 사용되는 시추용 밸브 제품의 성능 향상 및 제품 개선에 관한 요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시추용 밸브의 경우 오일/가스플랜트 산업에서 업스트림(Up stream) 단계부터 미드스트림(Mid stream) 단계까지의 과정에서 파이프라인과 제어장치 등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그 중 체크밸브는 유체가 역류하거나 일정 압력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밸브 내 디스크가 자동으로 닫히면서 유체의 역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안전밸브의 한 종류이다. 오일/가스 플랜트산업에 사용되는 밸브의 경우 일반 산업용 밸브와는 달리 주로 고압의 환경에서 사용되므로 내구성 및 기밀성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사용 환경의 특성상 유체의 흐름이 매우 빠르고 불안정하기 때문에 유체의 역류를 차단하는 체크밸브의 기능은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는 체크밸브의 경우 고압의 환경에서 빠르고 불안정한 유체의 흐름으로 인해 주요 부품인 디스크가 빈번히 파손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부품의 수명 및 교체주기가 짧아 사용자의 잦은 불만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크밸브의 주요 부품인 디스크에 쿠션부재를 부착하여 기존의 잦은 디스크 파손 등의 물리적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쿠션부재 유무에 따른 수치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체크밸브의 성능 특성을 확인하였다. 수치해석을 위해 밸브의 유동 방향 및 개폐도 변화에 따른 유동해석을 진행하여 유동특성을 관찰하였으며, 구조적 안정성 평가를 위해 구조해석을 진행하여 주요 부분에서 발생되는 응력 및 변형률 변화에 따른 구조안정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추가적으로 쿠션부재의 재질을 3가지로 변경하여 각각의 소재 물성치 변화에 따른 응력 및 변형률 변화를 관찰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쿠션부재가 구비된 경우, 쿠션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내부 압력과 속도 값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쿠션부재가 부착된 디스크 및 그 주변 부품들의 응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쿠션부재의 재질에 따라 해당 응력의 감소폭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소재 물성치가 무른 재질일수록 해당 응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체크밸브가 적용되는 시추플랜트산업에서 쿠션부재가 구비된 제품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경우 이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국악관현악 지휘도형에 관한 연구 : 민속악장단을 중심으로

        백승진 추계예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음악사적으로 볼 때 음악에 있어서 지휘는 음악의 시작에서부터 함께 했다고 볼 수 있다. 고대의 희랍에서는 합창의 지도를 통하여 사람의 손을 의미하는 chironomy 라는 용어가 생겨나게 되었으며 우리나라 또한 원시 민족의 합주활동 속에서 선창자가 있어 지휘개념의 역할을 수행하는 행위가 존재하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음악에 있어서 지휘의 형태는 합주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변모함을 알 수 있다. 궁중음악에서는 ‘집박’이 음악의 시작과 끝을 알리며 지휘자의 역할을 하였고 풍류음악이나 민속음악에서는 장구 연주자나 목피리 주자가 템포의 완급, 강약, 호흡, 박자 등을 서로 교감에 의하여 지휘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지휘는 전통음악에 한정되는 것이었으며 1939년 김기수의 ‘황화만년지곡’을 시작으로 국악관현악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음악이 나타나면서 본격적인 서양식지휘의 개념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국악관현악이 발전하면서 여러 창작곡들이 발생하고 서양 오선보에 기재되어 있는 곡들을 연주하게 되면서 그 동안의 국악지휘는 서양의 지휘법을 그대로 차용하여 사용하여 왔다. 국악관현악을 지휘함에 있어 많은 음악가와 이론가들에 의해 연구된 서양의 지휘의 개념이 차용될 수 있다. 하지만 서양음악의 박자의 개념과는 다른 장단이라는 우리음악의 특수성은 그에 맞는 지휘와 지휘도형을 필요로 하고 있음 또한 현실이다. 장단에 있어서 기경결해(起景結解)의 선율의 기복은 장단마다 성격이 다름을 보여주며 장단의 변형장단 또한 그에 맞는 변형된 지휘도형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대표적인 민속악 장단인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엇모리, 굿거리, 세마치, 동살풀이, 칠채, 육채, 별달거리, 타령장단의 기본형과 그에 따른 몇 가지 변형된 지휘도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국악관현악 지휘도형의 기본적 개념과 이론적 체계를 확립함에 있어 작은 보탬이 되기를 기대하며 추후 보다 폭넓고 깊은 지휘도형에 관한 지속적 연구가 있기를 바란다. Historically speaking, the art of conducting began as early as music did. It can be traced as far back as ancient Greece when individuals would use their hands to conduct a chorus. This term came to be known as "Chironomy" meaning, "people's hands". In Korea, we can guess that the person who sang the first song fulfilled this role of conductor in primitive concerts. Conducting has progressed differently in Korea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e can learn that a conductor changes his role depending on the style of orchestra. In the Royal Court Music ("Jip-Pak"), the conductor simply informs the players of the beginning and ending of pieces. In refined or folk music, both the Jang-Gu (like a drum) and wooden flute players act as conductors by communicating through tempo, stress tune, breathing and so on. The Jang-Gu player plays an especially critical role by determining the character of a music composition in the speed aspect and the contents of the music in the beat aspect. These kinds of music however; were restricted within traditional music boundaries. Since Hwanghwa Mannyonjigok was played by Ki-Su Kim in 1939 , Korean traditional & orchestral music became the new national music in Korea so naturally, a western concept of conducting was needed. Several types of creative music appeared at the same time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orchestral music. Although the Korean style was quite different, the Western type of conducting was still being used because much of the music relied on Western staff notation. Korean classical music has progressed horizontally in tune, while Western music has progressed vertically in tune. In other words, it is very important for Western music to be concerned more with the speed of the heart and that of pulse. Conversely, Korean classical music centers more on lung pulse and breathing speed. Even though Western style conducting concepts can be used as a base, a distinctly unique conducting style should be developed to suit the specific needs of Korean nation music. In this study, I suggest several conducting maps related to some main folk rhythms such as Jinyang, Jungmori, Jungjungmori, Jajinmori, Whimory, Utmori, Gutguri, Semachi and so on. I also desire earnestly that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the basic concepts of conducting maps and that further studies could be performed deeply and widely.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명확성의 관계

        백승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부모의 수용-거부적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자기명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서 자기명확성 형성에 가장 기초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명확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부모의 양육태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수용-거부적 양육태도가 남·여 대학생의 자기명확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총 9개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7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권순명(1993)의 부모양육태도검사(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aire: PARQ) 척도와 총 20문항에서 요인 분석 후 12문항으로 단축된 Campbell(1996)의 자기명확성 척도를 김대익(1998)이 번안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변인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명확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명확성은 차이가 있었다. 부모의 양육태도에서는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대해서는 수용-거부 하위영역 모두 남녀 간에 차이가 있었다. 남자 대학생은 여자 대학생에 비해 아버지의 양육태도를 거부적이라고 지각하였으며, 여자 대학생은 남자 대학생에 비해 아버지의 양육태도를 수용적이라고 지각하였다. 반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해서는 수용적 양육태도에서만 남녀 간에 차이를 보였는데,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에 비해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수용적이라고 지각하였고,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태도에 대해서는 남녀 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자기명확성에 있어서도 남자 대학생이 여자 대학생에 비해 자기명확성이 높게 나타나 남녀 간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남, 여 대학생의 자기명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아버지의 거부적인 양육태도가 남자 대학생의 자기명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자 대학생의 자기명확성에는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남·여 대학생의 자기명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남·여 대학생 모두의 자기명확성에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이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자기명확성에 미치는 영향보다 더욱 크게 나타났다. 넷째, 부와 모의 양육태도가 남·여 대학생의 자기명확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는, 남자 대학생의 자기명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로는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나타났고, 여자 대학생의 자기명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로는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태도, 아버지의 수용적 양육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주 양육자가 아버지인 경우 보다는 어머니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버지의 양육태도보다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자기명확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아직 연구가 부족한 자기명확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명확성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자기명확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명확성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the effects of parents acceptance-rejection rearing attitude on 'Self- Concept Clar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78 university students in 9 universities located in the city of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e tools for this study were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aire: PARQ' (Soon-myung Keon, 1993), ‘Self-Concept Clarity: SCC’ (Dae-ik Kim, 1998) adapted from Campbell's one(Campbell, 1996). The researcher analyzed the samples by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a sex difference in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elf-Concept Clarity'. The father's rearing attitude had a sex difference in acceptance-rejection one. The university men perceived the father's rearing attitude were rejective, and the university women discerned the father's rearing attitude were acceptant when comparing with cases of opposite sex.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rearing attitude had a sex difference in only acceptance rearing attitude. The university women perceived the mother's rearing attitude were acceptant compare with cases of men. They did not show any sex difference i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father's one. The result of 'Self-Concept Clarity' also had a sex difference in men and women students. The university men showed more higher 'Self-Concept Clarity' than the university women. Second, the father's rejective rearing attitude made a negative effect on 'Self- Concept Clarity' of the university men; however, It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university women's one. Third, the mother's rejective rearing attitude made a negative effect both 'Self- Concept Clarity' of the university men and women. Those influences were more powerful than mother's one. Forth, the influence of parents rearing attitude to the university students's 'Self- Concept Clarity', the mother's rejective rearing attitude is the most powerful effect to the university men's 'Self- Concept Clarity'. Furthermore, the parents rearing attitude which affected to the university women is founded the mother's rejective rearing attitude, the father's acceptant rearing attitude in sequence. The result is considered that mother's rearing attitude have more influence on 'Self- Concept Clarity' that father's one. Because there were main rearer is mother that a lot of cases rather than father.

      • Numerical Methods in Eigenvalue Problem : 고유값에 대한 수치해석적 방법

        백승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고유값(eigenvalue) 문제는 행렬 이론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많은 응용문제에서는 대부분 행렬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특성다항식(characteristic polynomial)을 사용하여 고유값(eigenvalue)와 고유벡터(eigenvector)를 계산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리하여 이 논문에서는 고유값의 근사치를 찾을 수 있는 몇 가지 수치해석적 방법들과 각 방법의 수렴속도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또한 고유값이 위치한 범위를 찾는 방법들과 행렬을 간단한 형태로 변형시키는 과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The eigenvalue problem is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topic in the theory of matrices. In many practical applications, most matrices are of large size, so it is difficult to compute eigenvalues or eigenvectors from characteristic polynomials. In this thesis we study some of the numerical methods for finding approximate eigenvalues and discuss their convergence rates. We also consider some methods for bounding eigenvalues and procedures for the reduction of matrices to simple forms.

      • 6 시그마 DMAIC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백승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Six Sigma management started by Motorola in the USA is attracting the attention of many companies since it was introduced into Korea. Many companies are reported to have gained great effects by introducing Six Sigma management, however, there are still companies that have failed to achieve any noticeable performance and have given up on the system in the middle stage. One of the difficulties companies experience in Six Sigma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y is the lack of a solution that enables them to utilize the definition and techniques of projects. This thesis aims to demonstrate a case of developing a web-based application program that enables companies to utilize the necessary tools for the DMAIC process which is one of the Six Sigma problem-solving techniques.

      • 사회복지사의 사회적보상에 관한 연구

        백승진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사업의 현장 일선에서 수급권자에게 대인서비스(human service)를 제공하는 활동가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사업의 질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보상은 비중 있게 다루어져야할 부분이다. 어떠한 직종이든 급여체계, 근로의 강도, 사회적 위상 등의 사회적 보상들이 적절한 수준에서 이루어질 때 해당 종사자의 근무의욕도 유발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사회적보상이 적절한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가의 여부를 유사 전문직종과의 비교조사를 통하여 보다 명료히 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복지 유관기관 및 단체에서 조사 발표한 제반자료들과 연구문헌들에 근거하여 접근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복지시설에서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과, 사회복지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 사회복지사와 같이 대인서비스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유사 전문직종인 공무원, 교사, 간호사등과 심층면접을 통하여 접근하였다. 비교조사의 항목으로는 급여체계와 노동의 강도를 비롯한 근무환경, 사회적 위상 등으로 구분하여 접근하였으며, 객관성의 확보를 위해 가능한 범위 내에서 계량화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우리나라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보상 실태를 여타의 유사전문직종과 비교하면 급여체계, 근로환경, 사회적 위상 등의 모든 면에서 비교의 의미조차 없는 "열악함" 그 자체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는 사회복지분야, 민간, 그리고 정부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중요한 인자인 사회복지사들의 복지권 향상을 위해서 사회복지분야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조직화, 전문성의 강화 등이, 민간 차원에서는 사회복지사를 종래의 '자비, 헌신, 박애' 등의 이념과 아울러 '전문직업인'으로의 인식전환이 요구된다. 또한 정부에서는 사회복지사의 급여체계를 최소환 공무원수준으로 상향조정하고, 사회복지분야간 급여체계의 호환성 등을 기하기 위하여 예산을 증액하여야한다. 더불어 사회적 위상을 담보하기 위한 '유사명칭 사용금지', '보수교육의 제도화', '사회복지시설장의 자격을 사회복지사로 국한', '시설장 임기제' 등의 개혁적 조치가 요구된다. Social workers can be defined as professional activists who provide clients with human services on the spot of social welfare business. Hence, social workers should be regarded as the main factor that decides the quality of social work busines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ompensation for social workers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Without adequate social remunerations such as wag level, working hours and social recognition, the employee's will to work can not be enhanced. So the study attempts to clarify that the rewards for social workers are achieved well by making a comparative study of the similar jobs. To attain the above goal, this study handles not only the problems and data issued by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but only depth interviews with the social workers who seue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common people whop are interested in social welfare, government officials who work in the field of human servics, school teachers and nurses. Items of the comparative survey in this study are wage level, working conditions containing working hours, social recognition and the survey adopts the measured data in order to secure objectivity as much as possible. This study reveals the above items are far inferior itself to other similar jobs. The alternatives to improve these problems can be made in social welfare sector, civilian sector and, government sector. In conclusion, to advance the right to social workers who are the essential factors for social welfare system, In social wetfare sector, systematization of social workers in terms of professionalism. In civilian sector, social workers should be treated as professional workers who should be pai properly as well as people who serve their community in the name of compassion, devotion and charity. Government she increase the budget of this sector to raise the wage level of social workers as high as that of public officers and to decrease the wage differences in the social workers. At the same time, to secure the social recognition reformative actions are required such as "prohibition of similar titles" , "Institutionalization of supplemental education", " No heads of Institution without qualification of social worker" and "term of institution hea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