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혈소판융해물의 제조와 미생물 증식 및 인간유래세표 증식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백세연 아주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혈소판(Platelet)이 성장인자들을 방출 한다는 것이 알려진 이후로 상처치유와 재생 치료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의료 분야에서 혈소판풍부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을 이용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중 활성화된 PRP는 항균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고, 혈소판을 활성화시킨 혈소판융해물(platelet lysates, PL)은 세포 배양 시 배지에 첨가하는 fetal bovine serum (FBS)의 대체 물질로서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냉해동 시킨 액상의 활성화된 PRP에서 얻어진 PL이 미생물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항균 효과 여부를 관찰하고, 인간유래세포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여 세포 배양에 적합한 최적의 PL제조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PL의 항균효과 조사를 위하여 건강한 자원자 20명으로부터 얻어진 혈액에서 PRP를 분리하였다. 이를 냉해동(freezing-thawing, FT)후 트롬빈으로 활성화하고 헤파린으로 처리하여 PL를 제조한 후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와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에 대한 항균효과를 디스크확산법과 직접 집적법 등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은 이중맹검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세포 배양 시에 FBS를 대체할 수 있는 최적의 PL 제조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PRP의 냉해동 횟수, 혈소판 수와 배양 시 PL 농도의 조건 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농축혈소판(platelet concentrates, PC)으로부터 혈소판 수를 1 × 109/mL과 2 × 109/mL으로 맞춘 PRP를 만들고 이의 냉해동 횟수는 1-3회까지 조건을 달리하면서 PL을 제조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세포주는 인간유래세포인 HaCaT 세포주를 사용하였고, PL의 농도는 5%와 10%로 구분하고 계대배양 횟수도 1-3회까지 조절하면서 변화 여부를 관찰하였다. 세포수 산정은 cell counting kit-8 (CCK-8, Dojindo Laboratories, Kumamoto,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PL로부터 유래된 성장인자는 luminexTM 200 system (Millipore Corporation, Austin, TX,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트롬빈으로 활성화하고 헤파린으로 처리한 PL의 S. aureus와 P. aeruginosa에 대한 항균효과는 디스크확산법과 직접 집적법의 방법에서 억제대 지름이 각각 0 mm로 측정되어, 제조된 PL의 항균효과는 없었다. 세포 배양용으로 제조된 PL은 5% PL군이 10% PL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세포수 증식이 많았는데, 특히 1 × 109/mL PL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5% PL군은 2회 냉해동시, 계대배양 횟수는 3회일 때 HaCaT 세포가 가장 많이 증식되었다. 제조한 PL의 성장인자 농도 측정 시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P<0.001),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B/BB (PDGF-AB/BB) (P<0.001), PDGF-AA(P=0.01), epidermal growth factor (EGF) (P<0.001)는 2 × 109/mL PL군이 1 × 109/mL PL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오직VEGF 와 PDGF-AA만이 이들의 농도와 세포 수 증식과의 연관성을 보이는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조한 PL은 S. aureus와 P. aeruginosa에 대한 항균효과는 없었다.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자가 세포 배양용으로 제조한 PL은 HaCaT 세포주 배양 시 FBS 를 대체할 수 있었으며, 2회 냉해동한 5% 1 × 109/mL PL군이 가장 효율이 우수하였다. 추가 연구를 통해 다양한 세포에서의 대체 가능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Synthesis of Self-Healing Liquid-Crystalline Thermoplastic Polyurethane

        백세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는 고강도, 우수한 내구성 및 탁월한 마모 저항력과 같은 뛰어난 물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흠집이나 균열과 같은 손상에 대한 문제의 해결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자가치유가 가능한 폴리우레탄은 물리적 손상에 있어서 자율적으로 회복되기 때문에, 고성능 고분자 수지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자가치유 기능 소재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황화 복분해 및 우레탄 결합 부분에서의 수소 결합에 의해 자가치유가 가능한 액정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합성하였다. 액정상을 나타낼 수 있는 메소게닉 다이올을 설계하고, 이황화물 단량체 및 메소게닉 다이올의 비율을 조절하였다. 복분해 반응은 이 이황화물의 재결합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연합-해리 상호작용은 우레탄 결합에서의 수소 결합의 재결합을 가능하게 했다. 이러한 이중 치유 메커니즘은 자가치유 능력과 인장강도를 상호작용적으로 향상시켰다. 또한, 메소겐 유닛의 도입을 통해 폴리우레탄이 액정 특성을 나타내게 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종류의 폴리우레탄이 자가치유 기능을 가짐을 확인하였고, 특히 이소소르비드 기반의 메소게닉 다이올로 합성한 폴리우레탄의 경우 최대 99.95%의 치유효율을 가짐을 입증하였다. 또한, 모든 샘플이 50℃ 이상의 온도에서 액정상을 나타냄을 편광광학현미경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기능을 갖춘 폴리우레탄은 액정 특성과 자가치유 기능이 필수적인 고분자 소재에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elastomers find broad applications in products. However, addressing damages such as scratches and cracks remains a challenge. With a rising demand for high-performance, environmentally friendly polymer resins, the development of self-repairing materials is crucial for practical and scientific significance. Self-healing TPU autonomously recovers from physical damage. The self-healing liquid-crystalline thermoplastic polyurethanes (SH-LCPUs) were synthesized with disulfide and hydrogen bonds influencing the trade-off between self-healing efficiency and mechanical properties. To enhance both, reversible dynamic chemical bonds and physical crosslinking agents (disulfide groups and hydrogen bonds mediated by urethane linkages) were utilized. Metathesis reactions facilitated the recombination of disulfide bonds, and association–dissociation interactions enabled the recombination of hydrogen bonds. This dual healing mechanism synergistically improved self-healing ability and tensile strength. The material, designed with desired properties through dynamic covalent bonds and supramolecular interactions, requires initial physical contact for self-healing. A test involving contact with cracks or cut surfaces, along with a temperature increase, demonstrated effective self-healing. Mesogen units were introduced for liquid crystal characteristics alongside self-healing functionality, using synthesized mesogenic diols in TPU synthe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amples exhibited a liquid-crystal phase above 50°C and represented an iridescent image. Through hydrogen bonding and disulfide metathesis, scratches of the TPU sample were repaired after 4 hours between 80°C and 120°C. The cutting self-healing assessment confirmed that effective healing occurs as the healing temperature increases. The SH-LCPU with such capabilities can find applications in polymer materials requiring liquid-crystalline behavior and self-healing function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