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경선 작곡 <17현 가야금 독주를 위한 “결”>의 분석

        백선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958년 창단된 창악회 작품발표회 '국악기를 사용한 창작곡 발표'에서 초연된 서경선 작곡의 17현 가야금 독주를 위한 "결"의 분석을 통해 "결"에 나타난 현대적 기법과 국악적 요소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에 사용된 악보는 "한국 전통악기를 위한 창작음악"(한양대학교 출판부)을 사용 하였고, 음반자료는 "한국 전통악기를 위한 창작음악-창작음악시리즈 1"(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를 참고하였다.

      • Maurice Ravel의「Jeux d'eau」에 관한 연구

        백선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19세기말 후기 낭만주의(Romanticism)의 반감으로 나타난 사상적인 변화는 러시아의 민족주의(Nationalism)와 프랑스의 인상주의(Impressionism)이었다. 프랑스의 인상주의 회화(繪&#30059;)와 상징주의(Symbolism) 시(詩)에서 영향을 받은 인상주의 음악은 낭만주의로부터 벗어나 현대음악으로의 커다란 전환점을 이룬 중요한 음악사조이다. 이러한 인상주의 음악은 다양한 화성을 통하여 새로운 음색과 음향을 형성하였고, 독일음악의 골격을 이루었던 장ㆍ단조의 조성체계를 무너뜨렸다. 특히 사물, 자연현상(물, 바람, 숲) 등에서 소재를 찾아 순간적인 느낌으로 곡을 표현했기 때문에 음의 색채와 감각을 중요시 하였다. 따라서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음악양식의 문을 열어놓게 되었던 것이다.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 1875-1937)은 인상주의 음악에 있어서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라벨의 음악은 인상주의 기법에 고전적 스타일을 더하여 자신만의 독창적인 음악을 추구하였는데, 그의 많은 피아노 작품 중 초기 작품인「물의 희롱(Jeux d’eau), 1901」에서 이러한 특성이 잘 드러나 있다.「물의 희롱」에 나타난 그의 고전적 스타일은 형식에서 가장 돋보였으며, 그 형식은 3개의 주제를 가진 변형된 소나타 형식을 사용하였다. 선율은 온음 음계와 5음 음계를 사용하였고, 화성은 2도, 3음이 없는 공허 5도, 7도, 9도 화음 등을 병진행 하였으며, 불협화음을 많이 사용하여 인상주의 특징인 모호한 분위기를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상주의의 음악적 배경과 특징을 알아본 후, 라벨의 생애와 음악적 스타일을 논하였으며, 그의 음악의 여러 가지 특징이 잘 나타나 있는「물의 희롱」을 분석함으로써 라벨의 음악세계를 좀더 깊이 있게 연구하였다. Nationalism in Russia and Impressionism in France were born as a philosophical revolt to Romanticism of the late 19th century. Impressionism in music which was influenced by French arts of Impressionism and poetry of Symbolism had become an important musical trend as well as a turning point to advance to modern music deviating from Romanticism. Such Impressionism in music created new tones and sounds with a diversity of harmony and broke down the major-minor tonal system which formed the backbone of German music. In particular, as it expressed instantaneous feelings of objects and natural phenomena such as water, wind and forest into music, it emphasized the color and feeling of sound, thereby opening a door to a music styl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times. Maurice Ravel(1875-1937)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in the category of Impressionism in music. He pursued distinctive music of his own by mixing impressionistic technique with traditional styles. Among various pieces of his piano works,「Jeux d’eau, 1901」, one of his early works shows this quality well. His traditional style revealed in 「Jeux d’eau」 is the most prominent in terms of formality, which is a transformed sonata with 3 themes. It uses whole-tone scale and pentatonic scale for melody and parallel motion of empty 5th, 7th and 9th notes without 2nd note and tritone for harmony. By using dissonant notes affluently, it creates an ambiguous atmosphere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Impressionism.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Impressionism in music and then, discusses the life of Maurice Ravel and his musical style. By analyzing「Jeux d’eau」, which contains many characteristics of his music, the study looks into his world of music more deeply.

      • 가야금산조 유파별 리듬구조 : 자진모리를 중심으로

        백선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가야금산조는 판소리로부터 영향을 받아 기악곡화 된 음악으로, 선율이나 악조·리듬 등에 판소리와 공통적인 음악 요소를 내포한다. 본고에서는 이에 주목하여 판소리의 리듬 변화를 이르는 붙임새에 기초한 가야금산조 자진모리장단의 리듬구조를 분석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나타난 다양한 음악적 효과를 종합, 정리하여 리듬구조와 붙임새 사용의 상관관계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Gayageumsanjo is a kind of instrumental music made under the influence of Pansori and includes common musical elements, such as melodies, musical tones·rhythms, etc.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this study analyzes rhythm structures of Jajinmorijangdan in Gayageumsanjo based on Butimsae, rhythm change of Pansori, and examines correlation between rhythm and use of Butimsae by synthesizing and arranging various musical effects based on the analysis.

      •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커피전문점 고객의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 스타벅스 모바일앱을 중심으로

        백선혜 경성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mobile applications(apps) market for coffee Franchise are continuously growing, and applications are being used in many way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mobile application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pplied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explore external variables as app quality, and conducted research focusing on Starbucks, a leading coffee Franchise. The relationship this study tried to testify were included as follows: first, the impact of Starbucks mobile app quality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the impact of Starbucks mobile app quality on perceived ease of use; third,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n customer satisfaction; fourth, the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behavioral intention; fifth, the effects of perceived ease on perceived usefulness. As for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via online and one hundred fift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via offline among starbucks mobile app users from June to August 2018.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tatistical program SPSS 20.0 and AMOS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rvice quality only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among three app quality factors. Second, all of the quality factors of the app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Thir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Fourth, customer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t las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s well. 최근 커피전문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여러 방면으로 어플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하여 외적변수를 앱품질(시스테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로 정하였으며 커피전문점 선두 기업인 스타벅스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스타벅스 모바일앱 품질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둘째, 스타벅스 모바일앱 품질이 지각된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 셋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넷째, 고객만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다섯째, 지각된 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2018년 6월부터 8월까지 스타벅스 모바일앱 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지 100부와 오프라인 설문지 150부를 배포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20.0과 AMOS20.0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같다. 첫쨰, 앱품질 요인중 서비스품질만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앱품질 요인 모두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객만족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교육용 어휘 선정 연구

        백선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휘는 언어의 가장 핵심을 이루는 요소로서 인간이 일생동안 꾸준히 익혀야 하는 영역이며 사고의 기초가 된다. 이렇게 어휘 학습은 평생을 이어가야 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학교의 정규 교육에서는 교육 과정이 7차를 이어 내려오는 동안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어휘 교육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다.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1, 2학년 읽기교과서를 대상으로 교과서의 어휘를 아동에게 친숙하고 일반적으로 유용한 17개의 의미 영역별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어휘를 구체성, 친숙도, 고유어, 보편성, 철자법의 5개 기준으로 나누어 개별 어휘들의 난이도를 -10에서 +10까지 분류하였다. 이러한 기준은 주관성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점을 지니긴 하나 초등학교 저학년 7차 교육 과정의 어휘 수록 양상을 의미영역별로 다소나마 분석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을 토대로 기본 어휘, 기초 어휘, 교육용 어휘의 개념을 알아보았다. 보다 효율적인 어휘 교육을 위해서는 보편적이고 교육적 적용성이 높은 어휘들의 목록이 있어야만 가능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기본어휘와 기초어휘의 선정은 그 가치가 높다 할 것이다. 또한 개인의 어휘 학습의 기반을 형성하고 학습의 토대를 이루는 어휘력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또한 현장에서 제대로 된 어휘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데 대해 그 원인과 실태를 분석해 보았다. 학습자의 어휘력은 양적 어휘력과 질적 어휘력으로 크게 이분된다. 학교에서의 어휘 교육은 그 양의 확장보다는 개인의 질적인 어휘력의 신장에는 기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현장의 어휘 교육은 아동의 질적 어휘력의 신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Ⅲ 장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교육하기에 적합한 의미 영역을 선정하였다. 먼저 분류 어휘집에서 공통으로 추출되는 의미 영역을 기본으로 초등학교 저학년에 부합되는 의미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연구 대상이 되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읽기 교과서의 대단원과 소단원을 나누었다. 수록된 이야기글이나 설명글의 소재와 제재를 중심으로 가르치기에 적합하고 저학년의 수준에 맞는 영역들을 알아 보았다. 이렇게 설정된 의미 영역을 중심으로 분류 기준에 의거해 초등학교 저학년의 어휘 학습에 적합한 개별 어휘들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어휘들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저학년의 어휘의 수록 양상을 살펴 보았다. 첫째, 초등학교 1,2학년의 읽기 교과서에는 다른 어휘들에 비해 동물과 식물, 해, 달, 별 등의 자연물을 나타내는 어휘가 많이 등장한다. 이는 아동들의 흥미와 친밀성을 감안한 소재 선택이 분명하지만 전체 어휘에 대한 어휘 비율이 높아서 보다 다양한 어휘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있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둘째, 사물의 동작 묘사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로 부사나 형용사대신 흉내내는 말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의인화된 어휘들이 많다는 것이다. 이것은 어릴 때부터 친근하게 접해온 자연물이나 동물을 소재로 동화형식을 많이 취함으로써 나타난 당연한 결과인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어휘 학습의 한 방법으로 의미 영역 설정을 통한 어휘 지도에 초점을 맞추고 진행했다. 아직까지도 체계화되지 않은 어휘 교육이 제자리를 찾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신뢰성 있는 선정 기준을 통한 어휘들을 중심으로 계획적인 어휘 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강조되어온 양적 어휘력의 확산에만 관심을 둘 것이 아니라 아동들의 질적 어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있어야 할 것이다. Vocabulary is the area that must learn steadily during lifetime and becomes footing of human being as the element that make nucleus of language. In spite of that Vocabulary studying must go on whole life, it has been neglected in the regular school education during 7th curriculum. This study sorted vocabularies of a text book in 7th curriculum by 17 meaning areas that is familiar to child and is useful to elementary school 1 or 2 grade. After that, those vocabularies divided into +10 to -10 in total. They are also classified as the 5 standards such as vocabulary concreteness, familiarity, dividing into idiom, universality, spelling degree of difficulty of individual vocabularies. These standards do not escape dimension of investigator's subjectivity but I think there will be some values in analyzing aspect of the vocabularies in low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of the 7th curriculum. Chapter 2 searched concept of basic vocabulary, basis vocabulary, educational vocabulary on the basis of former standards of the studies. The list of vocabulary for language education that become foundation of each subject can contribute much in vocabulary teaching. Also, will have to be realized about component of vocabulary ability and the importance that form individual's base of vocabulary studying. This research also analyzed the cause and actual conditions for vocabulary teaching on the spot properly that is not achieved. Learner's vocabulary is halved greatly by quantitative vocabulary and qualitative vocabulary. However, vocabulary education in school can contribute in individual's qualitative vocabulary than the size of the quantitative vocabulary. Conclusively, vocabulary teaching in regular school system must focus in child's enlargement of quantitative vocabulary. Chapter 3 chose suitable meaning area to teach lower grade students in school based on the meaning areas from the former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the lower grade's text book according to this common meaning category that is suitable for low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lso based on the material and learning subject of telling story and explanatory text, there were meaning category selection for the lower grade student's level. Like this, choosing suitable individual vocabularies to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vocabulary according to standard of classification laid stress on establishment of meaning area. And the study tried to find out the aspect of collecting vocabulary in lower grades' text book. Firsthand,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re are lots of vocabularies that display natural object like animals, plants, sun, moon, and star etc. this is because of taking into account intimacy with interest of children. But compared with whole amount of vocabulary, this is high percentage in terms of missing opportunity that can receive various vocabulary. Second, could know that mimicking terms occupied large amount of the vocabulary which display action representation or status of things than any other adverbs or adjectives. In this case, there will be some advantages that repeated speeches that imitate help children describe personal belongings easily and interestingly vivifying rhythm of vocabulary. Third, there are a lot of anthropomorphic vocabularies. Natural object or animals which this contacts is intimate since their childhood. This may be rightful result considering that child may accept those subjects as is easy and familiar. This study focuses on vocabulary education through meaning areas by methods of vocabulary studying to lower grades' students. Vocabulary education that is not systematized up to now has to planned systema-tically by means of specialized list of vocabularies through specific and reliable standards to find place and deliberate vocabulary learning methods. Also, there will have to be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qualitative vocabulary of children.

      •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백선혜 서울불교대학원 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급응집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게슈탈트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급응집력이 향상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A시 소재의 B초등학교 6학년 학급 중 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과 사전검사 결과가 유사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여 학급응집력의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총 10회 게슈탈트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 1회, 각 회기별 2시간 동안 처치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처치 후 연구문제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급응집력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SPSS ver 11.0을 사용하여 t-검정의 통계기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게슈탈트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급응집력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또한, 학급응집력의 하위 변인인 학급분위기, 아동간 상호신뢰, 학급사기, 학급일체감, 아동간 의사소통 향상에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학급응집력 향상을 위한 게슈탈트 집단상담을 적용한 사례를 찾아보기가 어려운 실정에서, 게슈탈트 집단상담을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급응집력 향상에 적용하여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프로그램을 담임교사나 같은 학교의 교사가 아닌 다른 연구자가 실시하여 그 효과를 더욱 객관적으로 증명하였으며, 집단상담의 대상을 문제를 가진 소수의 아동에서 학급 전체로 확대하여 인성교육과 학급운영의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데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estalt group counseling on hig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lass cohesion. This study set a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Gestalt group counseling would have more effective class cohesion than control group. One class was chosen as a experiment group among sixth grade classes in B elementary school in A city in Gyeonggido and another class whose result of the pre-test was similar to experiment group was chosen as a control group. Both groups were then taken a pre-test of class cohesion. The experiment group received 10 sessions' Gestalt group counseling, 1 per a week, 2hours per a session, whil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 After dealing with the experiment, the post-test of class cohesion was operated to identify the effect on the research questions. The quantitative analysis aiming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with T-Test using SPSS ver 11.0. The result of this study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Gestalt group counseling program would make positive change on class cohesion of hig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it was verified that the program has significant effect on class climate, mutual confidence, class unity, and communication, the sub-factors of class cohesion. With the situation of being hard to find cases using Gestal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class cohesion, this study showed that Gestalt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for improving class cohesion. Also,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not by an homeroom teacher or a teacher who belongs to the school but by an outside researcher, which verified the effects of program more objectively. This could be a meaningful study in that it expanded the subjects of group counseling from a few students who have some problem into total class students so can be a reference materials for humanity education and class handlin.

      • 원어민 교사와의 팀티칭 영어 수업에서 한국어 활용 사례 연구

        백선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say the use of the native language is helpful in an English class. However, when Korean English teachers explained some contents in Korean in NES-NNES team teaching, students didn't concentrate on native teachers' directions and explanations but rather relied on the translations of the Korean English teachers. Therefore, although students have many chances to expose to English from native teachers, their listening abilities were not improved muc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the most effective methods of native language use in NES-NNES team teaching. This study focused on a case of NES-NNES team teaching of a middle school in Kun-po city. It grasped when and how the Korean English teacher use Korean, analyzed the Korean teacher's problems with using Korean in the team teaching class and found out students' requires of how Korean should be used. The guidelines and directions on the role of the Korean teacher and the native teacher in the team teaching are not particularly suggested, hence translation has become the focal role for Korean teachers. From this study, I want to suggest the specific roles for the Korean teachers. In the following examples, we can notice when and how Korean is used during class. First, the Korean English teacher, Shin Su-ji translated the native teacher, Kevin's speech into Korean to make it understandable for the students. Second, she added her personal explanations on top of Kevin's. Third, she used Korean to help students individually during class. Last, she used Korean to control and manage the students. The problems of her Korean using in an English class are as follows. First, she explained unnecessarily in Korean when students had already understood. Second, her explanation hindered students' task performance. Third, she encouraged students to use Korean naturally in class. If she often uses Korean during class, students will follow her example. Fourth, she interrupted the class flow by giving explanation in every situation rather than translating by specific principles. Fifth, she gave the wrong information in Korean to the students. Sixth, students lost concentration on Kevin's words and rather relied on her explanation. Students prefer different explanations according to specific situations. As the result of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students preferred Korean explanation on game directions, meaning of words, solving exercises and grammar. On the other hand, students preferred Kevin's explanation about visual materials like video clips or pictures, main expressions and phrases. Students want different degrees of Korean explanations according to their levels and they also want their teachers to explain according to their immediate reactions. In short, the limited usage of mother tongue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in class. The Korean teachers should translate only when it is necessary. Therefor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English speaking and listening better as they don't depend too much on Korean or use Korean often in class. Finally I want to suggest the role of the Korean teachers in team teaching as follows. First Korean teachers don't have to explain in Korean when students fully understand. Second, they should not prevent students' cognitive thought processes and instead should give some time for thinking. Third, they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use English naturally in class. Fourth, they should only explain in Korean to students' requests. Fifth, they should adjust the Korean explanation to students' levels. Sixth, they should decide if an explanation is necessary by students' immediate reactions. At last, they should provide information about western culture, custom, and the comparison them with Korean. If the Korean English teachers have only limited knowledge about them, they should converse with the native teachers and explain the exact informations to the students; or they should allow the native teachers to explain to the students directly; or letting the students guess of the meaning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native teachers. In conclusion, if Korean English teachers use Korean effectively,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the class will be increased through the explanation by the Korean teachers of the difficult parts of the native speakers speech. 영어 수업에서 모국어를 잘 활용하면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는 많지만, 실제로 원어민 교사와의 팀티칭 영어 수업에서 한국인 교사가 한국어로 설명을 해주면, 학생들은 원어민 교사의 지시나 설명에 잘 집중하지 않았고, 한국인 교사의 통역에 의존하여 수업 활동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영어 노출 빈도가 높아졌지만, 학생들의 영어 듣기 실력은 많이 향상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군포시 소재 A중학교 팀티칭 영어 수업의 사례를 심도있게 들여다 봄으로써, 한국인 교사의 한국어 사용 시점 및 방식을 파악하고, 한국어 사용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학생들이 원하는 교사의 언어 사용 방식에 대해 알아보아, 효과적인 한국어 활용 방법을 찾고자 한다. 또, 팀티칭 영어 수업에서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의 역할에 대한 지침이나 방향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아, 한국인 교사는 원어민 교사의 말을 통역해주는 역할에 그치고 있어, 한국인 교사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인 영어 교사, 신수지 교사의 한국어 활용 시점과 방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 교사 Kevin의 말을 학생들이 이해하도록 통역을 했다. 둘째, 추가적인 교수를 위해 Kevin이 설명하지 않은 것이지만, 덧붙여 설명해 주었다. 셋째, 학생들에게 개별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하였다. 넷째, 학생들을 통제, 관리하는데 사용하였다. 이러한 신수지 교사의 한국어 사용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불필요하게 한국어로 다시 설명하였다. 둘째, 신수지 교사의 설명이 학생들의 과제 수행을 방해하였다. 셋째, 수업시간에 한국어를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넷째, 신수지 교사는 원칙없이, 거의 모든 Kevin의 설명에 일관적으로 한국어 설명을 해주었다. 다섯째, Kevin이 영어로 정확하게 설명하거나, 학생들이 직접 Kevin과 의사소통하여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을 신수지 교사가 한국어로 잘못된 설명을 하여 학생들에게 잘못된 지식을 전달하였다. 여섯째, 학생들이 Kevin의 말에 잘 집중하지 않았다. 실제 수업에서 학생들이 바라는 교사의 언어 사용 방식은 다음과 같다. 설문 조사와 심층 인터뷰 결과, 게임방법, 단어의 의미, 연습 문제 푸는 방법, 문법에 대한 것은 한국어 설명을 선호했고, 동영상, 사진과 같은 시각자료와 주요 표현, 어구에 대한 것은 Kevin의 설명을 선호했다. 또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서도 원하는 바가 달랐고, 학생들의 반응에 따른 교사의 설명을 원했다. 팀티칭 영어 수업에서 효과적인 한국어 활용을 위해서는 한국어를 꼭 필요한 경우만 최소한으로 사용해야 한다. 그렇게 해야,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도 높아지면서, 학생들이 한국어에 많이 의존하거나, 수업에서 한국어를 자주 사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팀티칭 영어 수업에서 한국인 교사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한국어로 다시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둘째, 한국어 설명이나 힌트로 학생들의 인지 사고 과정을 방해하지 말고,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할 틈을 주도록 한다. 셋째, 수업에서 자연스러운 영어 사용 환경이 조성되도록 한다. 넷째,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한국어 설명을 한다. 다섯째,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다른 한국어 설명을 한다. 여섯째, 학생들의 반응에 따른 한국어 설명을 한다. 일곱째, 한국인 교사가 정확히 알지 못하는 서양문화나, 관습, 한국에 없는 것들에 대한 설명은 원어민 교사와의 대화를 통해 정확한 정보를 학생들에게 전달하거나, 원어민 교사가 직접 설명하거나, 학생들이 원어민 교사와 의사소통을 통해 직접 의미를 파악하도록 한다. 한국인 교사가 한국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한다면, 학생들은 원어민 교사의 설명에서 이해하기 힘든 부분을 한국어 설명으로 보완하여 수업에서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청소년 자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백선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청소년의 자해행동에 대해 현상학적 접근을 사용하여 “청소년들은 자해에서 어떤 경험을 하고 있으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통해 자해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참여자는 중․고․대학교에 걸친 연령의 여 4명, 남 1명으로 자해를 경험한지 9개월에서 7년이 된 각기 다른 성향을 가진 5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3회 이상의 개별적인 심층면담이 이루어졌고 자료 수집 및 분석, 그리고 글쓰기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이런 과정을 거쳐 363개의 의미단위를 파악하고 공통된 의미를 모아 18개의 하위주제를 추출하였으며 5개의 상위주제로 의미 범주화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화된 몸’, ‘기댈 데가 없는 나’, ‘자해 중독’, ‘몸으로 확인하는 마음의 상처’, ‘나쁜 친구’의 다섯 가지 상위주제가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