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린이집의 창의성 교육 현황 및 창의성 교육에서의 교사역할

        배효정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창의성 교육 현황 및 창의성 교육에서의 교사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창의성 교육의 현황을 진단하고 반성하여 창의성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교육 방향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밝혀 창의성 교육의 활성화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린이집의 창의성 교육 현황은 어떠한가? 1-1. 어린이집에서 창의성 교육은 어느 정도 실시되고 있는가? 1-2.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창의성 교육 실시 현황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창의성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은 어떠한가? 2-1. 교사의 근무기관유형에 따라 창의성 교육에서의 교사역할에 대한 차이가 있는가? 2-2.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창의성 교육이 교사 역할에 대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어린이집으로 나누어 현재 재직 중인 정교사 196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어린이집의 창의성 교육 실시 현황에 대한 조사 질문지로 장향순(2009)의 어린이집의 창의성 교육 실태 및 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의 질문지와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사 역할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질문지로 문미옥(1999)이 개발한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 평정척도이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과 기술통계(Descriptive Analysis), 교차분석의 카이검정(χ2 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경우에는 scheffe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에 창의성 교육의 현황은 누리과정 시행 전이나 크게 달라지지 않았고 여전히 창의성 교육 현황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내의 원장과 교사의 관심도가 높은 수준이 아니며, 교사 연수 및 교육수준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창의성 교육의 실시 현황을 살펴보면 법인어린이집과 국공립 어린이집이 실시하는 횟수가 높았고, 원장과 교사의 관심도 또한 3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을 준비하는 시간에도 민간, 가정어린이집보다 높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창의성 교육에 있어서 교사 역할은 적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교사의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법인 어린이집 교사가 가장 적극적이고 국공립, 민간, 가정 어린이집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창의성 교육에서의 교사 역할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학력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교사의 역할 인식이 높았고 경력에 따라서도 5년 이상의 경력집단이 교사의 역할 인식이 가장 높았다. 자격증에 따른 교사 역할에서도 1,2급 유치원 정교사 소지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담당반 연령에 따른 교사 역할에서도 만5세 담당 교사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전공과 창의성 과목 수강여부와 창의성 관련 서적 탐독에 따른 교사역할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국, 어린이집의 창의성 교육의 현황을 정확히 인식하고 창의성 교육의 질적 향상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교사를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겠다. 그리고 누리과정 속에서 교사의 창의적인 교수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고 구체적인 교사역할에 대한 연구와 창의적인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tries to find status of creative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role of teachers in creativ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port activation of creativity education by diagnosing and reflecting current status of creative education and identifying teaching directions of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creative learning as well as importance of role of teachers. Therefore, the following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has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is the status of creative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s? 1-1. How often is creative education done in child care centers? 1-2. Depending on the types of child care center what are the differences in implementation of creative education? 2. What are the roles of teachers in creative education? 2-1. Depending on the types of organization that the teachers are working for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ir roles? 2-2.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ir roles? This research was done with 196 teach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in Gyunggi province and these child care centers were divided into public, corporate, private, and home child care centers. For the research tools research survey on implementation status of creative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 developed by Hyangsoon Jang (2009), reality of creative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 and cognition on role of teachers, and Miok Moon (1999), rating scale on roles of teachers for improving creativity of children, are used. These data went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χ2 test, and Oneway ANOVA by using SPSS WIN 18.0 program. If the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t-hoc Scheffe was carried out.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status of creative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Nuri curriculum and still, creative education requires more improvement. The interests of principals and teachers were not high and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al standards were not high enough. Second, depending on the types of child care centers public and corporate child care centers seem to have frequent creative education. Moreover, principals and teachers had 3 times more interests in education.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paring class compared to private and home child care centers. Third, teachers had positiveness in their roles and depending on the types of organization where teachers are working, teachers in corporate child care centers had the highest positivenes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der of public, private, and home child care centers. Fourth,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teacher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roles of teachers in creative education. Teachers with high educational background had higher cognition on the role of teachers. Furthermore, in terms of experiences,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s had higher cognition. Based on the certificate, kindergarten teachers with 1st and 2nd level certificate had high cognition on creative education. Also, for the age of children, teachers for over 5 years of children had higher cogni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ole of teachers depending on whether the person has majored or taken classes of creative education and read related books or not. As a conclusion, people need to accurately understand status of education and a program for systemic and continuous education of teachers to improve their quality and efficacy of creative education has to be developed. In addition, in the Nuri curriculum, creative teaching method has to be provided in details and intuitional support is required. There also has to be research on detailed role of teachers and creative teaching method.

      • 다국적 기업의 조세회피 문제에 관한 가치창출 이론의 타당성 검토 : 고정사업장과 이전가격세제를 중심으로

        배효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Unlike traditional enterprises, Multi-national Enterprises(hereinafter ‘MNE’s) have made their profits from the business activities, exploiting the features of digital economy. The Value Creation Theory(hereinafter ‘VCT’) has been discussed as the guiding principle for the new international taxation regulations by the OECD on the MNEs’ tax evasion issue in the digital economy. However VCT popped up at the issue ‘abrubtly’ without profound academic verifications. The purpose of this thesis comes from the necessity for the criticl analysis to review whether VCT can be enough to function as the guiding principle for the new intenational taxation system. Initially VCT made its appearance as the ‘splendorous’ concept which can solve the MNEs’ tax evasion problem in the current digital economy. Digital economy is based on the Information Technologies(hereinafter ‘IT’) and Internet. And MNE made its profits from the digital transactions, exploiting the IT, Internet and intangibles. New business fields are sprouted out by the IT and the functions of MNE groups’ are dispersed or integrated easily and readily. The monopolistic and oligopolistic markets appear frequently with technological entry barriers. As the IT develops, digital transctions through the data mount up and the status as suppliers or demanders are hardly differentiated. MNEs with these singularities of digital economy, have evaded the taxation by the way of incapacitating Permanent Establishment(hereinafter ‘PE’) and Transfer Pricing(hereinafter ‘TP’) rules of internatinal taxation regulations. It is the essential part of VCT to examine the factors to make a company more competitive than others, classified as the Value Chain, Value Network and Value Shop models, through the value creation process analysis. OECD firstly presented it to the MNE’s tax evasion issue in 2013 with the very start of BEPS project. Until OECD’s 2018 interim report, OECD, using the ‘Value Creation’ concept pretty much alike the meaning of ‘creation of profit’, discussed and labled VCT as the promising taxational principle for setting up the new international taxation system. But since OECD’s 2019 reports with the start of BEPS project 2.0 era, OECD rarely made its comments on the ‘Value Creation’ concept or VCT itself, and kept going on the discussion about the specific measurements ‘Pillars’ following the BEPS project. This situation is the critical point of this thesis. Was VCT, discussed as the guiding principle for quite a long time and the ‘starting engine’ button of BEPS project, just evaporated? If so, why? From the beginning, does VCT bear the possibility to be such a criteria? There are two sides on VCT, the supporting and opposing. The supporters of VCT allege that value creation process analysis of MNEs can be a helpful tool to ameliorate the current issues and to recreate the international taxational system. And VCT is corresponded with the solution plans presented by BEPS project since VCT backs up the reinforcement of ‘Market Jurisdiction(Pillar 1)’ and so called, ‘Digital Tax’. This side generally accords with the European Union, a big market countries of MNEs in the digital economy. The supporters of VCT suggest the ‘value creation’ concept shall be refelcted to the as the new nexus after abolishing the original PE regulations, and also the functional analysis of TP regulations. Meanwhile, opposers of VCT criticized that VCT did not start from the object to solve the problem of tax evasion issue of MNEs in the digital economy. And because of the vagueness of the ‘value creation’ concept, VCT can readily be interpreted for the sake of one’s own advantage as a result of the political powerplays.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assess the ‘value’ in accordance with VCT for the purpose of the taxation. United States, a base country where most of the MNE’s have their headquarters tends to take this side. This polarity between these sides is the main point of this thesis for the validation anylysis on VCT. It shall be started from the review whether the ‘value creation’ concept is articulate enough to be used as the ‘normative context’ and then must be looked through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for the new rules along with the VCT to function as the substantial and effective rules to allocate tax jurisdictions. As for the clarity of the value creation concept, it cannot be possible to utilize as the term in the meaning of normative context because of its opaqueness. And because of the difficulty to assess or estimate the value, the new regulations with the value creation concept have no power to set the jurisdiction or to allocate jurisdictions when competing them. Likewise, under the construe ‘value’ as the sum of supply-side and demand-side value both, not only the assessment of itself but also the relative value between them for the taxation become even harder. The categorization of Value Chain, Value Network, Value shop models is not also necessary since the solutions or new regulations to those MNEs’ tax evasion issues are not deduced through those categories above. Also the ‘new rules’ using the ‘value creation’ concept as one of the regulatory prerequisites, have no merits in the respect of the applying rules. In the respect of PE rules presented by supporters of VCT, it shall be taken into account that the differentiation of the business activities and their profits, which is the prerequisite for ‘Value Creation Analysis Process’, is not feasible. Thus the ‘amelioration’ of the traditional PE concept or the new set of ‘nexus’ based on the value creation is not feasible, either. Furthermore, it is not only quite effective to take consideration additionally on the ‘value creation’ in the process of Functional Analysis but also not helpful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the Arm’s Length Principle. To sum up, VCT is nothing but a new version of old-fashioned side ― supporters of abolition of traditional PE concept of Arm’s Length Principle ― to the same old question related to PE or TP rules, considering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PE or TP regulations. And the new rules using the value creation concept as the regulatory prerequisites, is not compatible to the way of countermeasures about the issues of MNEs’ tax evasion issues in the digital economy. Above all, it is noticeable that VCT is not consistent logically with the reinforcement of the Market Jurisdiction since the ‘place of the value creation’ does not always equal to the ‘Market Jurisdiction’. However the recent discussions on the MNEs’ tax evasion issue, allocating tax jurisditions or profits to Market Jurisdictions uncontitionally, does not have any relationships with value creation or the place of value creation. Lastly, as for the case of the allocation of profits arisen from the MNEs’ monoplistic or oligopolistic activities, it is hardly to say that the place of the value creation equals to the market, which is the contrary to the OECD’s research reports. In conclusion, to sum up the above discussion, VCT, once regarded as the guiding polestar for the new international taxation system, not only does not have enough reasonable and sound grounds but also viability to function as the legal criteria to allocate tax jurisdictions. The ‘new’ concept which can be concretized through these debates is the ‘market jurisdiction’, not ‘VCT’. The way of reforming of the current PE rules to the MNEs’ tax evasion issue in the digital economy shall be the creation of new nexus concept, to which the ‘market’ has been reflected, not the ‘the place where the value creates’, as it has been market countries who have claimed the ‘unfair’ taxation to MNEs from the beginning. TP regulations shall be also improved toward the way compatible with the strenghten of Market Jurisdictions. And along the same line, the ‘Global Formulary Apportionment’ method can be one of the considerable options. It would not be within the range of possibility to make new TP rules in accordance with the global formulary apportionment at once in the near future because OECD officially has not to taken the global formulary apportionment method at odds with the Arm’s Length Principle up to recently. Nevertheless TP rules with the global formulary apportionment are considerable as the one of the solutions to the tax evasion issue of MNEs in the digital economy, considering the points that global formulary apportionment method can be improved to the degree of being used as the regulations applicable to the cases after several researches on the technical approaches or methods and that the result of MNEs’ profit allocations would be the same line with the reinforcement of Market Jurisdictions. 다국적 기업은 디지털 경제환경으로 인하여 전통적 기업과 구별되는 새로운 특징을 가지고 사업활동을 전개하며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 가치창출 이론은 디지털 경제환경 속 다국적 기업의 조세회피 문제에 관하여 OECD 주도 하에 새로운 국제조세 규칙 마련에 필요한 과세상 지도원리로서 논의되었다. 그러나 가치창출 이론은 위 문제에 관하여 OECD에 의하여 ‘갑자기’ 등장한 이론이었고 그 타당성에 대한 검토가 충분하지 않은바, 이 글은 가치창출 이론이 디지털 경제환경 속 다국적 기업의 조세회피 문제의 해결을 위한 새로운 국제조세 규칙의 토대가 될 수 있는 과세상 지도원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이론적 타당성이 있는지 검토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가치창출 이론은 디지털 경제라는 변화된 환경 속에서 다국적 기업의 조세회피 문제를 풀어낼 수 있는 새로운 찬란한 개념으로 처음 등장했다. 디지털 경제환경은 정보통신기술과 인터넷을 토대로 하고, 디지털 경제환경 속 다국적 기업은 이러한 정보통신기술과 인터넷 그리고 무형자산을 사업활동에 활용한 디지털 거래를 통해 매출을 일으킨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사업영역이 창출되었고, 다국적 기업의 사업기능이 분산 및 통합되었으며, 정보통신기술을 진입장벽으로 한 독과점 시장의 출현도 빈번해졌다.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데이터를 매개로 한 디지털 거래가 증가하고 공급자와 소비자의 지위는 엄격히 구별되지 않는다. 다국적 기업은 이러한 디지털 경제환경의 특징을 활용하여 현재의 고정사업장 규칙과 이전가격 규칙을 무력화시키고 조세를 회피한다. 가치창출 이론의 주요 내용은 가치사슬, 가치네트워크, 가치샵 모델로 분류되는 기업이, 다른 기업에 비하여 경쟁우위를 가지게 되는 요인을, 가치창출 분석 절차를 통하여 검토하는 것이다. OECD는 2013년 BEPS 프로젝트의 시작과 함께 디지털 경제환경 속 다국적 기업의 조세회피 문제에 관하여 이 가치창출 이론을 사용하였다. OECD는 2018년 중간보고서까지 가치창출 이론의 핵심 개념인 ‘가치창출’ 개념을 ‘소득의 발생’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하면서, 가치창출 이론을 새로운 국제조세 규칙을 위한 과세상 지도원리 격으로 논하였다. 그러다가 BEPS 프로젝트 2.0의 시작인 2019년 보고서부터 가치창출 개념 및 가치창출 이론에 관한 언급을 거의 하지 않은 채 BEPS 프로젝트의 구체적 대책인 ‘필라(Pillars)’를 논하였다. 바로 이 상황이 이 논문의 문제의식이다. 꽤 오랫동안 새로운 국제조세 규칙의 지도원리로 논의되었고 BEPS 프로젝트의 시동을 거는 개념이었던 가치창출 이론은 그냥 사라진 것인가? 사라졌다면 왜 사라진 것인가? 애초 그런 지도원리가 될 수 있는 개념이었는가? 가치창출 이론을 들고나왔던 세력들이나 논자들은 다국적 기업에 대한 가치창출 절차를 분석하는 것이 현재의 문제를 개선하고 새로운 국제조세 규칙을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되고, 가치창출 이론이 시장관할의 강화(Pillar 1) 및 이를 위한 단일세(Flat Tax) 형식의 디지털세를 뒷받침하므로 BEPS 프로젝트에서 제시된 해결안과도 방향성이 일치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입장은 대체로 다국적 기업의 소비시장이라 할 수 있는 유럽연합에서 주장된다. 이러한 입장에서는 새로운 국제조세 규칙에 가치창출 개념을 반영하여, 기존 고정사업장 개념을 대체할 새로운 연계점 설정에 가치창출 개념을 반영하는 의견과 이전가격 규칙 중 기능적 분석 과정에 가치창출 개념을 반영하는 의견을 제시한다. 반면 가치창출 이론이 법원칙으로서 기능할 수 없고 가치창출 개념에 터잡아 새로운 국제조세 규칙을 도출한다는 것 역시 불가능하다는 입장도 있다. 애초에 가치창출 이론은 디지털 경제환경 속 다국적 기업의 조세회피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논의된 것이 아니고, 가치창출 개념의 모호함으로 인하여 가치창출 이론이 법논리와 상관없이 정치적 파워게임에 이용될 수밖에 없으며, 가치창출 이론에 따라 과세 목적으로 가치를 산정하는 것 역시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논리적으로 가치창출 이론과 시장관할의 강화나 디지털세와 연관성이 없음을 지적한다. 이러한 입장은 다국적 기업의 본거지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에서 주장된다. 이 대립이 논문의 주제이다. 논의순서는 먼저 가치창출 개념이 법적 요건으로 기능할 수 있을 정도로 명확한 개념인지 살펴본 다음, 가치창출 개념을 법적 요건으로 활용한 새로운 국제조세 규칙이 다국적 기업이 회피하는 현행 국제조세 규칙의 문제를 개선하면서 새롭게 과세권을 분배할 수 있는 현실적 가능성이 있는지 살펴보는 순서로 주제를 분석하였다. 논지는 우선 가치창출 개념은 그 불명확성으로 인하여 구체화된 법적 개념으로 활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가치의 산정 및 평가 역시 곤란하고, 과세권 경합 상황에서 우열관계를 정할 수 없으므로 ‘가치창출’은 실질적으로 과세권을 분배하는 규칙 제정에 효과적인 개념이 아니다. 또한 가치에 수요 측면의 가치를 포함시키는 한, 가치에 대한 정량적 평가는 더욱 어려워지고, 공급적 측면의 가치와 수요 측면의 가치 사이에 상대적 평가 역시 문제된다. 가치창출 이론에서 설명하는 가치사슬 모델, 가치네트워크 모델, 가치샵 모델에 따른 구별 역시 그러한 구별에 따른 조세회피 사안에 대하여 유형적으로 구별되는 해결 방안이 도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 구별의 실익이 없다. 가치창출 개념에서 끌어냈다는 몇 가지 규칙 역시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용성을 가지지는 않는다. 가치창출 이론에서 설명하는 가치창출 분석 절차에 따라 기업의 활동 및 소득을 현실적으로 구별할 수 없고, 따라서 고정사업장 개념의 변경 또는 새로운 연계점 개념의 창출도 불가능하다. 기능적 분석과정의 요소로서 가치창출 개념을 쓰거나 그에 터잡은 다른 지표들을 구성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기능, 자산, 위험 이외의 가치창출 개념을 추가로 검토하는 것이 실제 과세대상 이익 분배 과정에서 유의미한 역할을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달리 기존 독립기업 원칙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도 아니라는 점에서 이러한 내용의 규칙이 가지는 효용성은 없다고 봐야 한다. 결국 가치창출 이론은 디지털 경제환경 속 다국적 기업의 조세회피 문제에 관한 ‘새로운’ 대안이 아니다. 고정사업장 규칙이나 이전가격 규칙의 연혁을 고려한다면, 실상 가치창출 이론은 고정사업장 규칙과 이전가격 규칙의 오랜 논쟁에서 한 쪽의 입장 ― 고정사업장 개념에 관한 폐지와 독립기업의 원칙에 관한 폐지 ― 을 달리 표현한 것일 뿐이다. 나아가 가치창출 개념을 법적 요건으로 한 규칙들은 최근 다국적 기업의 조세회피 문제의 해결방향과 모순된다. 먼저 가치창출의 장소와 시장의 개념은 반드시 동일하지 않으므로 가치창출 이론을 논리적으로 일관한다고 하여 그것이 시장관할의 강화의 흐름과 연결되지 않는다. 최근 고정사업장이나 이전가격 규칙의 개정과 관련한 논의의 집약이라 할 수 있는 ‘필라’ 1, 2는 가치창출이나 가치창출의 장소와 상관없이 무조건 일정 부분은 시장에 직접 과세권을 부여하는 내용의 규칙이다. 가치창출 이론은 최근 국제조세 규칙의 개정을 위한 논의의 흐름에 부합하지 않는다. 나아가 가치창출의 장소에 과세권을 부여하는 것은 소극소득에 대하여 피지배외국법인 세제가 의도한 바와 달리 피지배외국법인이 존재하는 곳에서 과세하게 되는 모순적 결과가 될 수 있다. 또한 독과점 이윤의 과세권 분배에 관하여도 가치창출의 장소가 시장이라고 보기 어려워서 가치창출 이론은 OECD의 보고서와 충돌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보면, 디지털 경제환경 속 다국적 기업의 조세회피 문제에 관하여 가치창출 이론은 과세상 지도원리라는 법원칙으로 논하기에 그 이론적 타당성이 충분하지 않을 뿐 아니라 가치창출 개념을 법적 개념으로 활용한 새로운 국제조세 규칙 역시 현실적으로 과세권이나 이익을 분배하는 기능을 할 수 없다. 작금의 논의동향을 추상화한 새로운 개념이 있다면 그것은 가치창출 이론이 아니라 시장 과세권(market jurisdiction)이다. 고정사업장 규칙의 개선은 가치창출의 장소가 아니라 ‘시장’을 반영해서 새로운 연결고리를 창설하는 방향이 되어야 한다. 애초에 디지털 경제환경 속 다국적 기업에 대하여 ‘공정한’ 과세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주장을 한 입장에 선 것이 ‘시장’국가였기 때문이다. 이전가격 규칙 역시 시장의 강화라는 방향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개선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맥락에서 공식배분법을 고려할 수 있다. OECD는 독립기업의 원칙과 상충되는 공식배분법을 채택하고 있지 않고, 당장 공식배분법에 따른 이익분배 규칙을 제정하는 것 역시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몇 가지 기술적 방법을 개선한다면 공식배분법을 적용 가능한 규칙으로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개선시킬 수 있고, 시장 과세권이라는 방향과 부합할 수 있다.

      • 오브제를 통한 상상의 공간 표현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배효정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가 살아가면서 누구나 매일 반복되는 일상의 익숙함 때문에 반복되는 일상의 시간들에 대해 무관심 하다. 우리의 삶속에서 익숙한 공간과 습관적으로 반복되는 매일의 시간들에 대한 중요성은 잊혀 지기 마련이다. 늘 같은 모습과 같은 공간은 지루함의 연속이지만 조금 특별하고 분석적으로 삶을 관찰한다면 또 다른 일상 속의 새로운 의미를 발견 할 것이다. 일상은 더 이상 평범하지 않음을 깨우치고 싶었고 현대인들의 빠르고 바쁘게 생활하는 모습들을 바라보며 필요에 의해 사용되어진 익숙한 사물들이 누구나 한번쯤은 상상하고 싶은 일탈의 도구로 작품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의 관찰 속 사물이 갖는 보편적인 의미 외 익숙한 일상에서의 새로운 상상이 갖는 사물의 특성을 파악하고 일상에 대한 의미와 무의식적인 일상을 예술로 재해석 하였다. 현대미술에 사용되는 오브제의 의미를 파악하고 본인의 작품에서 나타난 일상의 오브제에 대한 주관적인 해석과 이미지 표현, 그리고 조형의식을 바탕으로 일상의 오브제와 작품공간의 상징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작품들을 상상 속 현실공간과 상상 속 비현실공간을 분류하여 작품에서 표현 되어진 재료의 선택과 작품과정을 설명하였다. 상상 속 현실공간 작품 표현방법은 루이스 캐럴의 동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를 인용하여 일상과 상상의 연관성을 오브제를 통해 쉽게 표현 되었으며, 상상 속 현실 공간의 표현 작품 <Turn the page> 개인전 작품을 중심으로 전시장 공간 전체를 하나의 작품으로 표현되어 일상의 편안함을 낯설고 익숙하지 않은 모호한 상상의 공간으로 오브제로 표현하였다. 상상을 통한 내면세계를 작품으로 표출함으로써 무의식의 소통도 유년시절의 경험에 의해 오브제를 표현하는 바탕이 되었다. 주관적인 감정을 이입한 일상의 편안한 오브제들로 경험하고 싶은 나만의 상상 속 시간과 공간들을 선택된 오브제의 재현과 재창조함으로써 대중과 소통하고자 한다. 앞으로 작품을 전개하는 과정에 있어 본인의 경험과 사물에 대한 특별한 시각으로 조형작품을 좀 더 발전시켜 나가고자 한다. In life, we are all indifferent to the repeated time of everyday life because of our own accustomed daily routines. The importance of accustomed space in our life and of the regularly repeated time of everyday life is forgotten. Although the same appearance and space all the time are the continuation of tedium, if we observe our life a little special and analytically, we could find a new meaning in another everyday life. I attempt to realize that everyday life is not common any longer and to express that accustomed objects used by needs are the tool of deviance which everybody would like to imagine at one time or another, looking at modern people’ speedy and busy life. This study investigated universal meanings that objects have in the observation of daily life and the attributes of objects which new imagination has in accustomed daily routines, and reinterpreted the meaning of daily life and unconscious one from art. Moreover, this study found the meaning of objects used in modern art and described the object of daily life and symbolism in the space of works, based on the subjectification, the expression of image, and formative consciousness of daily objects appeared in my own works. This study also explained the selection of materials and the process of works expressed in the works, classifying the works into realistic space and unreal space in my imagination. The works of realistic space in my imagination easily expressed connection between daily life and imagination through objects, and the method of expression was to quote Lewis Carrol’s story of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Moreover, I expressed the whole exhibition hall as a work, based on <Turn the page> that expressed realistic space in my imagination, and daily comfort through the object of strange, unfamiliar, and ambiguous imaginary space. By expressing my inner world through imagination in the works, unconscious communication provides a background for expressing objects in the experience of my childhood. By using daily comfortable objects that I put my subjective feeling into, and by reproducing and recreating the objects that are selected to express my own time and space in my imagination which I look forward to experience, I attempt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Moreover, I will further develop formative works with a special perspective on my own experience and object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works.

      • 직업과 주제중심 통합교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지역사회적응기술에 미치는 효과

        배효정 영남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ndicated the positive effect of instruction using mathematic literate on basing living and social independence areas in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therefore,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is instruction suing mathematic literate could be applied to special education on the purpose of improving community adaption skill of the mentally retared.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부모역할수행 :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 배우자의 부모역할지지,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배효정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아버지의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 배우자의 부모역할지지, 심리적 안녕 감이 아버지의 부모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 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원가족 모와의 애착은 아버지의 부모역할수행의 하위요인인 양 육참여활동과 양육책임감에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원가족 부와의 애착은 양 육책임감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가 지각한 배우자의 부모역할지지는 아버지의 부모역할수행의 하위 요인인 양육참여활동과 양육책임감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자아수용, 환경지배력, 긍정적 대 인관계,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은 아버지의 부모역할수행의 하위요인인 양육참여활 동과 양육책임감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의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 배우자의 부모역할지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이 아버지의 부모역할수행의 하위요인인 양육참여활동과 양육책임감에 미 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양육참여활동과 양육책임감 모두에서 배우자의 부모역할지지가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 인 중에는 환경지배력과 삶의 목적 요인이 부모역할수행의 양육참여활동요인에 유 의한 영향력을 보였으며, 양육책임감 요인에서는 삶의 목적, 환경지배력 및 개인적 성장 요인이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부모역할수행에 있어 서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 배우자의 부모역할지지, 심리적 안녕감이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배우자의 부모역할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버지를 양육의 일차적인 책임이 있는 존재로 보고 부모역할수행 에 있어서 배우자의 협력적 조력이 중요함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로써 이후의 자녀를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구성될 때 아버지의 부모역할수행의 중요 성과 더불어 이를 위한 배우자의 조력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외국계 펀드에 대한 원천지국 과세

        배효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론스타펀드에 관한 판결은 국내에서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1990년대 이후부터 이어진 외국계 투자 펀드의 국내 투자는, 위 론스타펀드에 대한 법적 판단이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며 여론의 큰 주목을 받았다. 투자 펀드는 집합투자기구의 하나로 투자자가 자산을 투자하여 발생한 수익을 지급받기 위한 매개가 되는 자산의 집합체이다. 투자펀드는 법적 형태에 따라 회사형, 신탁형, 조합형 펀드로 분류할 수 있고, 펀드의 설립지·투자지역·투자자 등에 따라 국내펀드와 국제펀드로 분류할 수 있다. 이하의 글에서는 국외 투자자들이 국외에서 설립하여 국내에서 투자 활동을 펼치는 펀드를 ‘외국계 투자 펀드’로 지칭하고 그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투자 펀드의 과세방식에 대하여는 Entity taxation, Pay through taxation, Pass through taxation로 분류할 수 있고, 국내법 상 회사형 펀드의 경우 Entity taxation, 조합형·신탁형 펀드의 경우 Pass through taxation의 과세 방식을 취하고 있다. 외국계 투자 펀드 역시 ‘인(人)’으로서 거주자(resident) 및 수익적 소유자(beneficial owner)에 해당한다면 조세조약이 적용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외국계 투자 펀드와 단체 분류(Entity Classification)의 문제로서 국내에서 론스타 펀드Ⅲ이 법인으로 법인세를 부담하는지 아니면 투자자들이 소득세를 부담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대법원 판례를 검토하였다. 외국계 투자 펀드의 거주자 판단과 관련하여서는 거주자의 개념을 살펴본 후 신탁형·회사형·조합형 펀드의 경우를 나누어 검토하였다. 외국계 투자 펀드의 수익적 소유자 판단과 관련하여서는 그 개념 및 연혁을 살피고 최근 대법원 판결을 검토하였다. 다만, 위 대법 원 판결은 전통적으로 OECD 모델조세조약에서 읽혀지는 수익적 소유 자의 개념에 맞지 않는 측면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외국계 투자 펀드에 대한 원천지국 과세와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외국 계 투자 펀드가 투자 활동을 통하여 이자·배당·양도 소득 등을 창출 함을 지적한 후, 특수한 문제로서 고정사업장 문제를 다루었다.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고정사업장의 의미를 검토한 후, 외국계 투자 펀드의 고정사업장에서는 주로 대리인에 의한 고정사업장 인정 여부가 쟁점이 됨을 설명하고 OECD 모델조세조약에서 마련하고 있는 대리인에 의한 고정사업장 규정이 외국계 투자 펀드의 어떠한 상황을 포착하고자 하는지 검토하여, 대리인과 펀드의 각 활동에 따라 대리인의 종속성, 계약체결대리인에 해당하는지 여부, 대리인의 활동이 예비적·보조적인지 여부를 검토하여 외국계 투자 펀드의 대리인에 고정사업장의 지위를 인정하기는 어렵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유아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아동기 역경 경험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과 양육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

        배효정 차의과학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유아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그들의 아동기 역경 경험이 자녀를 양육하는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양육스트레스의 이중매개 경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며 만 3세에서 만 5세 유아를 양육하는 부모 54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셨고, 아동기 역경 경험, 양육태도, 정서조절곤란,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질문지에 대한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1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하였고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아동기 역경 경험의 비율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 한 번이라도 아동기 역경을 경험한 부모는 전체의 83.0%로 나타났고, 전혀 없었던 비율은 17.0%로 나타났다. 또 전체의 40.1%가 네 개 이상의 아동기 역경의 중복경험이 있었다. 아동기 역경 경험 중 아동기 가족구성원들의 폭력피해 목격 경험 비율이 63.3%로 가장 높았으며, 정서적 학대 경험(62.0%)과 신체적 학대 경험(49.8%)이 높은 편이었다. 둘째, 부모의 아동기 역경 경험, 양육태도, 정서조절곤란, 양육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그 결과, 모든 변인이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부모의 아동기 역경 경험이 권위·통제 - 민주·자율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양육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동기 역경을 많이 경험한 부모가 권위·통제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서조절곤란 및 양육스트레스의 단독매개효과와 완전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부모의 아동기 역경 경험이 거부·적대 - 애정·수용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양육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서조절곤란의 단독매개효과는 확인하였으나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정서조절곤란 및 양육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모의 아동기 역경경험이 그들의 권위·통제 양육태도와 거부·적대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고 그 경로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양육스트레스의 역할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아동기 역경을 많이 경험한 부모가 권위·통제 양육태도를 보이는 것은 아동기 역경 경험이 그들의 정서조절의 어렵게 하고 양육스트레스를 높임으로써 권위·통제 양육태도를 보이게 됨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아동기 역경을 많이 경험한 부모가 거부·적대 양육태도를 보이는 것은 그 경로에서 그들의 정서조절에 어려움만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기 역경 경험이 있는 부모의 역기능적 양육태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정서조절곤란이 우선 해결되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이며,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에게 냉담하고 거부적인 양육태도 보다 자녀의 자율성을 통제하고 과잉보호하는 양육태도를 통해 양육의 세대간 전이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dual mediating pathways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parenting stress in the effect of their childhood adversity experiences on their child-rearing attitudes targeting parents raising infant children.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548 parents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do and are raising children aged 3 to 5 years. Response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1 statistical program, and dual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program.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childhood adversity experienced by parents raising infant children was investigated, and as a result, 83.0% of parents experienced childhood adversity at least once, and the rate of none at all was 17.0%. In addition, 40.1% of the total had four or more childhood adversity experiences. Among childhood adversity experiences, childhood family members had the highest rate of witnessing violence at 63.3%, and experiences of emotional abuse (62.0%) and physical abuse (49.8%) were on the high side.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experiences of childhood adversity, parenting attitude,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d parenting stress was examined,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ll variable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Thir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parenting stress was examined in the path in which parents' experiences of adversity in childhood affect authority/control-democratic/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ents who experienced a lot of adversity in childhood had a single mediating effect and a complete du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parenting stress in the path that influenced parenting attitudes of authority and control. Fourth,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parenting stress was examined in the path in which parents' experiences of adversity in childhood affect rejection/hostility-affection/acceptance parenting attitude. As a result,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was confirmed, but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parenting stress were not confirm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arents' experiences of adversity in childhood affect their authority/control parenting attitude and rejection/hostile parenting attitude, and the role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parenting stress in the path was confirmed.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parents who experienced a lot of childhood adversity show an authority/control parenting attitude suggests that childhood adversity experiences make it difficult for them to regulate their emotions and increase parenting stress, resulting in an authoritative/control parenting attitude. However, the reason why parents who experienced a lot of adversity in childhood show rejection and hostile parenting attitude is that only difficulties in their emotional regulation affect the path. These results show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dysfunctional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who have experienced childhood adversity, their emotional dysregulation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hat needs to be addressed first. It suggests that the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rgenerational transfer of parenting.

      • 조선시대 여인의 머리 형태를 모티브로 한 기능경기대회 업스타일 과제 개발

        배효정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우리나라의 미용 기술은 세계가 인정하는 수준으로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현재는 세계의 미용기술을 선도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되었다. 출전이래로 거의 매 회마다 국제기능올림픽대회에서 입상은 이를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하는 미용 트렌드(trend)는 아직도 외국인들의 아이디어와 작품들이 방향성을 결정하고 있다. 국내에서 진행되는 지방기능경기대회와 전국기능경기대회의 업스타일(up style) 과제작품은 창작 작품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국제기능올림픽대회에서는 ‘새로운 트렌드(new trend)를 반영하는...’이라는 과제의 요구사항과 함께 전체적으로 창작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어 대회에 참석한 선수들은 새로운 트렌드를 지닌 창작 작품에 대해 매우 힘들어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전년도의 국제기능올림픽경기대회 발표 작품이 2~4년 동안 국내기능경기대회에서 모방되거나 반복되고 있어 미용발전에 큰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은 기능경기대회 선수를 교육하는 지도자나 출전하는 선수들에게 많은 시련을 겪게 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미용 트렌드 개발과 창작 작품의 아이디어 발굴에 한계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기능경기대회의 새로운 업스타일 트렌드 작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선시대 여인의 머리 형태를 바탕으로 이를 현대적 기법으로 완성하여 기능경기대회의 업스타일 창작 작품에 대한 과제 개발과 국제기능올림픽대회의 업스타일 과제 창작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헤어 업스타일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여 조선시대 여인들의 머리 모양에 대해 8가지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8가지 머리모양을 현대적 업스타일 기법과 구성요소를 추출하기 위하여 미용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의 결과로 형태적 강조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다섯 가지 머리 형태는 G․P-고계, N․P-쪽머리, T․P/N․P-어유미, B․P-새앙머리, F․P–코머리이며, 이 다섯 가지를 기능경기대회 업스타일 과제로 창작 개발하기 위한 머리 형태로 선정하였다. 이와 같이 1차 조사로 선정된 5가지 머리 형태를 각각 3작품씩 총15작품을 새롭게 창작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15작품을 기능경기대회의 업스타일 출제과제로서의 적합성과 각각 3작품 중 1작품선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미용전문가 274명을 대상으로 2차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고계, 새앙머리, 쪽머리, 어유미, 코머리를 각각 3작품씩 총 15작품 창작 개발한 작품 모두 기능경기대회 업스타일 출제과제로써 적합하다는 조사결과가 나타났으며, 각각의 3작품 중 문헌과 가장 일치한 1작품을 선정하라는 답변에는 고계는 작품1, 새앙머리 작품1, 쪽머리 작품2, 어유미 작품1, 코머리 작품2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각 1작품의 머리 형태에 적용된 기법을 분석하였더니 고계는 백콤, 웨이브, 꼬기, 매듭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새앙머리는 고리기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쪽머리는 C커브, 롤, 웨이브, 고리, 가닥나누기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어유미는 고리, 가닥나누기, 롤 기법이 적용되었으며, 코머리는 고리, 땋기, 꼬기 기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고전머리 형태를 이용한 현대적 업스타일 표현이 뉴-트렌드(new trend) 개발에 모티브(motive)가 될 수 있으며, 기능경기대회 업스타일 출제과제와 국제기능올림픽대회의 창작품으로 출품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국내기능경기대회 선수에게 창작 작품개발에 대한 기법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것을 잘 활용하여 창작품을 만들면 국제기능올림픽대회에 출전하는 선수에게도 다양한 기법을 응용하여 새로운 창작품의 개발에 대한 아이디어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