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공사 객실승무원팀의 팀웍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집단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배현숙 전남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논문에서는 팀웍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팀웍의 선행요인으로 팀 구성원의 개인특성과 팀특성, 리더특성을 제안하였다. 개인특성 요인은 집단정체성과 친밀성, 감성지능의 세 가지 요인을 선정하였으며, 팀특성 요인은 상호의존성과 의사소통, 공동목표를 선정하였다. 리더특성 요인으로는 감성리더십, 참여적 의사결정, 조정을 선정하여 이러한 각 요인들이 팀웍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둘째, 팀웍이 팀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셋째, 팀웍이 팀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집단효능감이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은 40개 항공사 객실서비스 팀에 속한 269명으로부터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들이 모두 뒷받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팀웍의 선행요인인 개인특성, 팀특성, 리더특성이 팀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웍이 팀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웍이 팀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집단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수들 간의 관계는 개인수준과 집단수준에서 모두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구조방정식에서의 가설검증 결과, 개인수준과 집단수준에서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세부적으로 분석결과 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개인수준에서는 개인적 특성인 집단정체성이 팀웍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으며, 집단수준에서는 집단을 대상으로 발휘되는 의사소통과 감성리더십이 팀웍에 큰 영향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웍이 팀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개인수준과 집단수준에서 집단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됨으로써 팀웍과 팀성과 간의 관계에서 집단효능감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 및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수준의 전체 표본 수에 비하여 집단수준의 표본 수가 총 40개 팀으로 구성되어진 점에서 팀 단위 표본 수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 점을 보완하여 개인수준 연구와의 차이점을 찾으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최근 강화되고 있는 항공기 안전업무 및 고객만족을 실현하기 위하여 항공기 객실승무원들에게 필요한 지식, 역량 관련 요인들을 개인특성으로 추가하여 연구를 확장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본 연구의 표본 대상은 현재 팀제가 운영되고 있는 국내 대형항공사 두 곳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에 대한 일반성 및 보편성의 확보를 위해서는 연구표본의 확대와 적합한 선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법첩에 나타난 필획과 전각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배현숙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Seal engraving includes sculptures, paintings and mouldings as composite arts. And it is a independent art representing beautiful and creative art implicitly in the small limited carving surface. Seal engraving art originates letters developed by carving natural shapes on the hard rocks like unliterary Petroglyphs of primitive times. After then letters were carved on the a tortoise shell or hand bones in ancient times and on the castings in bronze age. However, after Caleitum was found in Yuan Dynasty, calligraphers carved on the rocks themselves. Such seal engraving is a carving pattern developing a change of beauty. It was not until after expressing unique of letters' beauty in the changing process of fusing simply carving and imprint with artistic action that seal engraving got diverse and artistic meanings. Despite many calligraphers and seal engravers in China art history, Changshi Wu and Baishi Qi are people who pioneer big changes in calligraphy. They have various and excellent artistry in the poem, calligraphy and seal engraving, and especially are figures admitted as the top engravers who represent creative artistry in China seal engraving field. In spite of political and social troublesome situation in the qing dynasty and the beginning of the Republic of China and difficulties demanding China change of modern culture by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they created their own artistry by training basis calligraphy law for "Making a new method from old one" and through it seeking their unique style as creative seal engraving art. Changshi Wu's seal engraving compiled unique Jeon Seo by studying many gold stones with ancient seal art learned comprehensively through shígǔwén and adopting the use of a brush, a change of a filial law and apodosis through Dea Jeon and So Jeon. He put the most emphasis on seal engraving, called " the first seal engraving, secondary calligraphy and the third painting", in his art. Baishi Qi learned various calligraphy such as Jeon Seo, Yeo letter and sublimated a simple but plain epigraph as seal engraving art through intensive study. He led to creativity of seal engraving art struggling of innovation with copying Sam Gong San Bee, Chun Bal Shin Cham Bee. In such way he established basis of en em by training calligraphy style continuously and fused usage of engraving style with diverse elements. Also, he studied such a brush style which is like Gee Wee Yoong Geol that opened the world of a unique carving system. He said, " when I carved something, I carved it naturally according to the power of brush stroke. In addition, I never use a knife after first writing a shape of letter on carving surface. My carving system has such power that it seemed to have the power of brush in writing". Seal engraving is composite arts which are blended with calligraphy and seal engraving. "Calligraphers need not be engravers, but engravers should be calligraphers", says it. It is the fact that to seal engraving needs a calligraphy to be a basis because famous engravers are mostly calligraphers from the Ming ang qing dynasty to modern. Seal engraving art comprehends brush style and sentence style in calligraphy, grasps basis and frame of letters definitely, revealing dignity through characteristics of line represented by drawing stroke and expresses abundant changes. In engraving it first must clarify the style of a brush stroke and then argue the style of drawing. The style of drawing can be demonstrated on the basis to be able to express the brush meaning. 전각(篆刻)은 종합예술로서 조각, 회화와 조형을 포함하고 있다. 작은 공간의 제한된 인면(印面)에 아름답고 독창적인 문자미를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2차적 독립예술이다. 전각예술의 기원은 문자가 없는 원시시대 암각화와 같이 딱딱한 바위 등에 자연의 형상을 새기는 것이 발전하면서 문자가 생겨나 고대에는 귀갑이나 수골 등에 새기고, 청동기시대에는 주물에 문자를 새겼다. 원말(元末)에 화유석(花乳石)이 발견된 후에는 서가(書家)들이 직접 돌에 각(刻)하기 시작하였다. 이런 전각예술은 미(美)의 변화가 다양하게 발전해 온 새김의 양식이다. 전각이 다양한 예술적 의미를 갖게 된 것은 새기고 찍는 단순한 행위에서 예술과 융합되어 변화하는 과정에 문자미의 독특함이 풍부하게 표현되기 시작하면서 나타나게 되었다. 중국 예술사에는 많은 서가와 전각가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오창석(吳昌碩)과 제백석(齊白石)은 서예사의 큰 변화의 시작이 되는 인물이다. 시(詩), 서화(書畵), 전각 등 여러 방면으로 뛰어난 예술성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중국의 전각에서 독창적인 예술미를 발현한 최고의 전각가로 예술성을 인정받은 인물이다. 청말ㆍ민국초기 정치ㆍ사회적으로 어지러운 중국내 상황과 서양 문화의 유입으로 중국 근대 문화의 변화가 요구되는 시대적 어려움 속에서 법고창신(法古創新)을 위한 기본 서법(書法)을 연마하여 독창적인 자체를 찾아 전각 예술로 자기만의 예술세계를 창조해 내었다. 오창석의 전각은 석고문(石鼓文)을 중심으로 고대 인장예술 지식을 광범위하게 체득하여 많은 금석(金石)을 연구하고 용필과 자법의 변화, 결구의 동세 등을 대전(大篆)과 소전(小篆)에서 채용(採用)하여 독특한 전서(篆書)를 창출하여 집대성하였다. 그는 “전각제일(篆刻第一), 서제이(書第二), 화제삼(畵第三)”이라 말하며 자신의 예술 가운데 전각을 가장 중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제백석은 전서, 예서 등 다양한 서체를 익혔고, 또한 금석문자의 고졸함을 깊이 연구하여 전각예술로 승화하였다. 삼공산비(三公山碑), 천발신참비(天發神讒碑)등을 임모하면서 창신에 주력하여 전각예술의 독창성을 이끌었다. 이렇듯 끊임없이 서법을 연마하여 전각의 기본을 세우고 전법의 운용을 다양한 요소와 융화하였다. 또한, 전법의 기위웅걸(奇偉雄傑)한 필법과 조형성, 예술미 등을 연구하여 독특한 인학의 세계를 열었다. 그는 “내가 새길 때는 글자의 필세(筆勢)에 따라 자연스럽게 새겨 나간다. 아울러 먼저 인면에다 자형을 써 놓고 칼을 대는 법이 없다. 나의 인장 새김은 비교적 힘이 들어 있어 글자를 씀에 필력이 들어 있는 것과 같다.”라고 하였다. 전각은 서예와 전각이 결합된 종합예술이다. “서예가는 전각가가 될 필요가 없지만, 전각가는 반드시 서예가여야 한다.(書法家未必是篆刻家, 而篆刻家必定是書法家)”는 말이 있다. 이는 전각창작을 위해서는 서예가 바탕이 되어야한다는 말로 명청(明淸)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이름난 전각가는 대부분 서예가이기도 하다. 전각예술은 서예의 필법, 장법(章法)을 파악하고 문자의 원류, 결구 규율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을 도필을 통하여 표현되어지는 선의 형질에 의해 풍격이 드러나고 풍부한 변화를 표현한다. 인장을 새기는데 있어 반드시 먼저 필법을 명확히 해야 하고, 그 후에 도법을 논해야 한다. 도법(刀法)은 필의(筆意)를 표현할 수 있는 기초 위에서만 발휘될 수 있는 것이다.

      • 복장의 여성다움에 관한 연구

        배현숙 경성대학교 대학원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role of men and women, and the attitude toward occupations are changing and the sence of values is being deversified, clothes are also being deversified today. A study has been made to investigate wate kind of clothes is felt feminine by young men and women, and how young men and women evaluate femineity as well as the tendency of their preference or the type. In the study, pictures of fifty types of clothes have been shown to 181men and 361 women university in Busan area. The fllowing result were obtained. 1. The femineity of each sample and the degree of preference to each sample have been evaluated. The men and women university which has been felt to be of adult women and city sence and casualness and activity are evaluated high and preferred very much. Pants style is evaluated low as femineity. There is a variety of preference for the clothes which are evaluated lower as femineity by men university. 2. Answers on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nature which might affect their preference have also been gained. The femineity of clothings is recognized that one's nature than on one'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s also affected by the fashion. 3. On the basis of the 7-point grading scale used by 181 men and 361 women university to determine the femineity of 50 sample of clothings in I of this study, a factor analys is has been made in terms of clothing samples. The following five criteria to evaluated.: 1). Factors related to body consciousness, 2). Factors related to pants, 3). Factors related to romanticness. 4). Factors related to loveliness, and 5). Factors related to polished. 4. Critetion to evaluate of the feminety recognized on one's nature.

      • 공동체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 공동체와 도서관의 파트너십을 중심으로

        배현숙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지역을 기반하고 있는 소규모 공동체 아카이브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영국에서 제시한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파트너십으로 재 정의하여 도입을 모색하자는 것이다. 우선 파트너십 도입에 있어 공동체는 지역을 거점으로 하고 있는 공동체 또는 지역 활동을 하는 공동체로 제한하였고, 공동체의 파트너십 관계를 형성할 도서관 또한 지역 기반 유형인 공공도서관, 작은도서관, 대학도서관, 학교도서관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기록학내에 비교적 처음 시도되는 파트너십에 대한 기본개념과 요건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공동체 구성원들의 아카이브 인식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공동체 구성원과의 인터뷰와 공동체 아카이브 사례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공동체 내부의 인식과 문제점을 살피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현재 우리나라 공동체들은 아카이브 인식이 빈약하고, 기록의 생산과 유지 보관 및 활용 단계에 이르기까지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공동체 아카이브를 활성화하기 위해 공동체 내부에서 원인분석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질적연구방법론과 문헌연구를 통해 공동체의 어려움을 파악한 결과, 첫째, 빈약한 아카이브 인식, 둘째, 공동체가 활발하고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약한 거점 기반, 셋째, 독자적 아카이빙을 위한 전문적, 기술적 한계, 넷째, 공동체가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예산 뒷받침의 미약, 다섯째, 정체성과 자율성 침해를 우려해 관과의 협력에는 부정적 견해, 여섯째, 기록생산자도 아카이브 접근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점 등을 발견하였다. 공동체 아카이브 활성화를 위해 공동체의 파트너로 주류 기억 기관인 도서관을 제안하였다. 그 이유는 첫째, 도서관은 기록학내에 도입할 공동체와의 파트너십 요건에 잘 부합하였고, 둘째, 도서관에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역할이 부여되어 있고, 셋째, 도서관은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공동체와 동질의 특성을 가진 생활밀착형 기관이며, 넷째, 공동체들에게 도서관은 그들의 파트너로 거부감이 없고, 친밀감을 갖고 있으며, 다섯째, 특히나 작은도서관의 경우 공동체와 마찬가지로 풀뿌리 민주주의 특징을 갖고 있어 서로에 대한 거부감이 적고, 여섯째, 최근 도서관 분야에서는 공동체 활성화를 주요 정책과제로 설정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도서관에서도 지역의 공동체 기록을 도서관의 1차 자료로 비중 있게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공동체에게 아카이브가 저조한 우리나라 현실에서 도서관과의 파트너십은 공동체 아카이브를 활성화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이다. 사회적 기능이 요구되는 두 기관, 즉 공동체 및 도서관이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공동체 아카이브가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This research aims to adopt and to redefine the new framework proposed by U.K. as partnership in order to revitalize locally-based small community archives. First, in adopting partnership, communities are limited to locally-based communities or locally active communities, and partnership relations with communities are evaluated at libraries or locally-based types such as Public library, Small library, University library and School library. In addition, basic concepts and requirements for partnership, which is relatively only recently applied in the field of archival science, are explored. This research mainly analyzes interviews with community members and archival cas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rchival recognition of community members and problems.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specifically and realistically evaluating the recognition and problems within communities. Currently, Korean communities lack archival recognition and face numerous difficulties in reaching the stage of production, maintenance and utilization of records. It is concluded that a causal analysis within communities is particularly urgent to vitalize community archiv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iculty of communiti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literature review, the first finding is weak archival recognition. The second finding is weak foundation for base where communities can actively and continuously act. The third finding is professional and technical limitations in independent archiving. Fourth, weak financial support for stable and continuous action by communities. The fifth finding is negative view on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in consideration of violation of identify and autonomy. The sixth is difficulty in accessing archive, even for the record producer. In order to vitalize community archive, library as a primary memory institution is proposed as a community partner. The first reason is that library is very consistent with the requirement for partnership with community that will be adopted in archival science. The second is that libraries are endowed with the role of supporting local citizens. The third is that libraries are livelihood-connected institutions with the same characteristic as communities based on areas. The fourth is that librari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familiar to communities with no resistance as a partner. The fifth is that small libraries in particular have the same characteristic of grassroots democracy as communities with no resistance. The sixth is that current libraries target the vitalization of communities as a major policy goal. Lastly, libraries consider the records of local communities as the primary type of data. In the presence of low archival rate or communities in Korea, partnership with libraries represents the most realistic and detailed strategy for vitalizing community archive. Community archive can be vitalized by constructing a partnership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requiring a social function, communities and libraries.

      • 시험불안 및 기대수준이 과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배현숙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s to observe influence to task performance which acts an important function in mordern society through analysis concerning test anxiety and level of aspiration, and to examine these relations by measuring test anxiety, level of aspiration and task performance, so that the educational effect is presented and data will be presented for guidance of task performance at the site of shcools. In order to accomplish such objects of study, the research problems established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 in the level of anxiety, level of aspiratin and performed marks by sex?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 in the level of anxiety, level of aspiration and performed marks by grade? Third, is there any differene in task performance marks by the level of anxiety? Forth, is there any difference in task performance marks by the level of anticipation? In order to verify above problems, H primary school located within the city of Pusan, and 141 male pupils and 113 female pupils, 254 pupils in total, of the 6th grade were established as the sample objects, and examinations of test anxiety, level of aspiration and task performance were erected. In order to solve the first research problem, level of anxiety, level of aspiration, and verification of performed marks were executed by sex. In order to solve the second research problem, analysis of the level of anxiety, level of aspiration,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changed volume by grade were executed. In order to solve the third research problem, analysis of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changed volum of task performamce marks were executed by the level of anxiety. In order to solve the fourth research problem, analysis of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changed volume by the level of aspiration were execut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it was processed by computer by spss pc + program. Through the results of above research, the conclusion could be obtained as follows: First, difference was not shown in the level of aspiration and performance marks by sex, bu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level of anxiety by sex.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anxiety and level of aspiration by grad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formance mark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task performance marks by the level of anxiety.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ask performance marks by the level of aspiration. Therefore, it is summarized that the level of aspiration does not influence on task performance, but since pupils having much anxiety for examination has had influence to task performance, it is considered that decreasing excessive test anxiety by parents or teachers will be helpful to obtain better task performance.

      •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성격의 조절효과 검증

        배현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A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서비스 종사원들이 수행하는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데 있어 성격특성 5요인이 어떻게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이와 더불어 서비스 제공자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서비스 제공자의 태도와 행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제공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국내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201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연구 결과 감정노동의 표면행위에 의한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 있어서 성격특성(Big5)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가설 검증 이외의 추가적인 결과물들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성격특성 5요인의 모든 변수는 심층행위와 정(+)의 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히 친화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심층행위는 직무만족과 정(+)의 관계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면행위는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고, 직무만족과는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편상관 분석을 통하여 스트레스를 통제한 후의 표면행위는 직무만족과 무관함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감정노동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 있어 성격특성(Big5)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격특성 5요인과 유의한 영향관계에 있는 심층행위를 더욱 촉진함으로서 감정노동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를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음을 나타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