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재활운동 참여 시기에 따른 슬관절의 등척성 근기능 및 고유수용성 감각기능과 기능지수의 비교

        배창환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연구의 목적은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재활운동 참여 시기에 따라 슬관절 등척성 근 기능, 고유수용성 감각기능, 기능지수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스포츠 손상이나 사고에 의해 전방십자인대 파열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고 G병원 스포츠 재활센터에서 운동치료를 하는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초기 재활운동군은 7명으로 하였고 수술 후 2주부터 재활운동을 실시하였다. 후기 재활운동군 또한 7명으로 하였고 수술후 6주부터 재활운동을 실시하였고 운동프로그램은 8주 동안 주 3회 일일 1시간 실시하였으며 최초 운동 시작 전 검사와 4주, 8주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집단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시기를 반복변인으로하여 반복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시기의 차이는 대비검증을 하였고 유의수준은 .05에서 실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재활운동 참여시기에 따른 대퇴사두근의 결과에서는 상호작용(p<.001)과 시기별(p<.000)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그룹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재활운동 참여시기에 따른 슬괵근의 결과에서는 상호작용과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시기별 근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 셋째, 재활운동 참여시기에 따른 15° 고유수용성 감각기능의 결과에서는 상호작용과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시기별 각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3). 넷째, 재활운동 참여시기에 따른 45° 고유수용성 감각기능의 결과에서는 상호작용과 그룹 및 시기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섯째, 재활운동 참여시기에 따른 기능지수의 변화에서 상호작용과 그룹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시기별(p<.000)로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때 재활운동 참여시기에 따른 슬관절 등척성 근기능과 고유수용성 감각기능 및 기능지수에서 초기 재활운동군과 후기 재활운동군의 그룹간 차이는 없었지만 시기별 근력 과 고유수용성 감각기능 및 기능지수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때 초기재활 운동군과 후기재활 운동군이 비슷한 효과라면 후기재활 운동그룹과 같이 장시간 고정기간을 두지 말고 조기재활 운동치료 함으로서 슬관절 통증 경감, 슬관절 굴곡구축방지, 이식건의 인대화 촉진, 관절 연골 예방 등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활동에 조기 복귀가 가능하리라 사료 되어 진다. 주요어 : 기능지수, 고유수용성 감각기능, 등척성 근 기능,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 대형마트의 에너지 사용량 분석 및 에너지 절감 방안에 관한 연구

        배창환 서울산업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A마트와 B마트의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하여, 마트의 설비현황을 조사하고, 계측장비를 이용하여 조명설비, 냉.난방 설비의 사용량을 분석하였다. 사용량 분석을 통하여 마트의 조명, 냉.난방 설비 등의 시설개선을 한 후에 기존의 에너지 사용량과 시설개선 후의 에너지 사용량을 계측장비를 이용하여 하루 동안의 소비전력을 측정하여 소비전력 패턴을 분석하였다. 측정된 소비전력을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동특성 해석코드인 TRNSYS (Transient System Simula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간 에너지사용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A마트는 간접등, 다운라이트, 메탈등, 절전램프 총 4가지의 램프교체 공사와 냉동기의 교체 공사 후 기존의 에너지 사용량과 시설개선 후의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해 본 결과 기존의 램프 에너지 사용량은 4,167,042 kWh이고, 시설개선 후의 에너지 사용량은 3,647,825 kWh로 절감되는 전력은 519,217 kWh이며, 112 TOE 절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냉동기의 경우는 기존의 경우는 가스 157,219 N㎥과 전력 21,127 kWh를 사용하고, 시설개선 후에는 전력 221,148 kWh를 사용하여 시설개선 후에 123 TOE가 절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마트의 기존의 TOE는 1,066이고, 시설개선 후의 TOE는 832로 234의 TOE가 절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마트의 기존의 TCO2는 2,214이고, 시설개선 후의 TCO2는 1,721로 493의 TCO2가 절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B마트는 간접등, 다운라이트, 할로겐, 유도등, 절전램프 총 5가지의 램프교체 공사와 냉동기의 교체 공사 후 기존의 에너지 사용량과 시설개선 후의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해 본 결과 기존의 램프 에너지 사용량은 2,093,703 kWh이고, 시설개선 후의 에너지 사용량은 1,813,838 kWh로 절감되는 전력은 279,865 kWh이며, 60 TOE 절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냉동기의 경우는 기존의 경우는 가스 127,204 N㎥과 전력 14,151 kWh를 사용하고, 시설개선 후에는 전력 161,488 kWh를 사용하여 시설개선 후에 102 TOE가 절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마트의 기존의 TOE는 587이고, 시설개선 후의 TOE는 425로 162의 TOE가 절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마트의 기존의 TCO2는 1,221이고, 시설개선 후의 TCO2는 879로 342의 TCO2가 절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B마트의 시설개선 전.후의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해 본 결과 에너지 절약 시설개선 후에 A, B마트의 TOE 및 TCO2는 각각 22%와 28% 절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위의 연구를 토대로 본문에 소개된 에너지 절감 방안을 활용하고 추가적으로 Passive 에너지 절감 디자인과 신재생 에너지 시설들을 설계 반영하여 수행한다면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에너지 절감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ses the energy consumptions of lightings, cooling and heating systems and other facility systems using measuring equipments for energy saving of "A"mart and "B"mart. Through the analysis of energy saving, the energy consumptions of lightings, cooling and heating systems from before and after retrofit project is measured with appropriate measuring equipment on a single day and the pattern of energy usage is analyzed. By utilizing Transient System Simulation (TRNSYS) program, annual energy saving from retrofit project is estim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1) At "A"mart, retrofitting on lighting sources included down light, metal lamp, indirect light and power saving lamp. The energy consumptions for lightings is 4,167,042 kWh and 3,647,825 kWh before and after retrofit respectively. There is a reduction of 519,217 kWh which translates into 112 TOE savings through this project. In the case of chiller, gas and energy consumptions before retrofit is 157,219 Nm3 and 21,127 kWh respectively. After retrofit, the energy usage is brought down to 221,148 kWh, resulting in 123 TOE of savings. TOE of “A”mart before and after retrofit is 1,066 and 832 respectively, causing 235 TOE savings. TCO2 of "A" mart before and after retrofit is 2,214 and 1,721 respectively, causing 493 TCO2 savings. 2) At "B"mart, retrofitting on lighting sources included indirect light, down light, halogen, guidance lamp and power saving lamp. The energy consumptions for lightings is 2,093,703 kWh and 1,813,838 kWh before and after retrofit respectively. There is a reduction of 279,865 kWh which translates into 60 TOE savings through this project. In the case of chiller, gas and energy consumptions before retrofit is 127,204 Nm3 and 14,151 kWh respectively. After retrofit, the energy usage is brought down to 161,488 kWh, resulting in 102 TOE of savings. TOE of “B”mart before and after retrofit is 587 and 425 respectively, causing 162 TOE savings. TCO2 of "B" mart before and after retrofit is 1,221 and 879 respectively, causing 342 TCO2 savings. By measuring energy consumptions of the before and after retrofit project, the reduction rate of TOE and TCO2 is 22% at "A"mart and 28% at "B"mart. For the next task, if we utilize energy saving methods introduced in this study and accomplish passive energy saving designs and renewable energy facilities, more efficient energy saving is possible.

      • 10% Cr 마르텐사이트계 내열 주강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석출물 형성원소의 영향

        裵昌煥 昌原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years, the studies of heat resisting steel for fossil power plant are mostly focused on increase there high temperature creep rupture strength, accompanied with the effort for increasingthermal efficiency and reducing eco-emissions. Thematerial of large castings for fossil power plant such as turbine casings and valve chests are changed conventional 1.25CrMoV steel for 10CrMoVNbN steel with increasing main stem condition. In this study, effects of carbon and carbide former(carbide forming element such as Cr, V, Nb) on elevated temperature strength of 10%Cr martensitic heat resisting cast steel have been investigated. As results, carbon and carbide formers are not effect significantly on tensile properties at room and elevated temperature but softening resistance duringtempering, relatively. And also, high level of carbon steels show superior impact toughnesswith fine lath structure. The replacing a part of carbon by nitrogen increases creep rupture strength for high stress and short-term creep period due to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ffect of nitrogen and precipitation hardening by fine Cr2N precipitator. But, these effects are decrease in low stress and long-term creep period by depletion of solute nitrogen in matrix and coarsening of Cr2N precipitator. On the other hand, the steels including high carbon and carbide former show relatively lower creep strength during short-term creep period, but precipitation of fine MX(NbC) carbide sustained creep strength to long-term creep period.

      • 기술창업기업 성과 영향요인 연구 : 기업가적 지향성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배창환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determinant factors of technological start-ups’ performance. technological start-ups are increasingly considered as an important source of economic growth in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The Government has promoted successful start-ups by designing and implementing various policy instruments. However, most technological start-ups tend to face financial, technological, and organization obstacles, in particular, in early stage of growth. Many studies suggest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start-up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deepening our understanding on determinant factors of technology start-ups in Korea. This paper measures impact of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novation capabilities, and region innovation system support on firm performance. We collect data from survey on technological start-ups in incubators including universities, Techno-parks, public institutes and associations. We have 200 respondents out of 2313, and finally 178 data was used.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education, firms’ marketing capability,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ational innovation system support exhibit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Firms’ innovativeness also appears to moderate positiv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s start-up experience, innovation, innovation capability and performance. Firms’ proactiveness also moderates positiv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experience in the line of business, R&D capability and performance. Firm risk taking moderates positiv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R&D capability, marketing capability and performance. This paper found that Technology-based Start-ups performance is determined by a complex process. It appears to be influenced by a variety of entrepreneur and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perspectives. All of these results can giv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n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in Korea. 기술창업기업은 국가 및 지역 경제차원에서 경제성장률 저하, 일자리 부족, 성장 동력 부재 등의 문제해결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술창업기업의 생존 및 지속적인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당 수 기술창업기업은 창업초기 자원 및 역량부족으로 인해 생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 연구들은 기술창업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업가 특성, 전략, 환경, 역량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술창업기업 특성 및 성과 영향요 인을 분석한다. 우리나라 기술창업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가 교육 및 경험특 성, 기업가적 지향성, 혁신역량, 지역혁신체제 거점기관 지원이 기술창업기 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전국 2313개의 테크 노파크 및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회수된 200개 데이터의 설문지 중 178개의 데이터를 실증분석에 활용했다. 분석결과, 기업가의 창업교육경험, 조직의 마케팅역량, 혁신성, 진취성, 지역혁신체제 거점기관 지원은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적 지향성의 조절효과는 혁신성은 기업가의 창업경험, 조직의 혁신역량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진취성은 기업가의 창업교육경험 및 관련 산업경험, 조직의 R&D역 량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험감수는 조직의 R&D역량 및 마케팅역량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기업의 개인, 조직, 환경 측면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기업의 전략성향 및 운영방식을 나타내는 기업가적 지향성의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기술창업기업 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학술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침투형 저류지에 의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에 관한 연구

        배창환 한국교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물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으며,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보다 더 깨끗한 물 수요에 대한 국민들의 욕구는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물은 인간의 생존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할 뿐만 아니라 여가활동과 여러 가지 제품의 생산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공공수역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중 비점오염원은 강우시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서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농지에 살포된 비료 및 농약, 토양침식물, 축사유출물, 자연동식물의 잔여물, 대기 오염물질의 강하물 등을 말한다. 비점오염원은 일반적으로 강우시 유출되기 때문에 일간 계절간 배출량 변화가 크고 예측과 정량화가 어려우며, 기상조건, 지질, 지형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최근 까지만 해도 수질오염물질의 관리는 주로 하수 및 공장폐수 등 점오염원에 대한 사후 처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수질 오염부하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비점오염원에 대한 대책 없이 점오염원에 대한 처리위주의 수질 정책만으로는 더 이상 수질 개선은 어려운 현실이 되었다. 따라서 비점오염원 중 가장 큰 임야와 농지 중 토양을 대상으로 하여 토양 이용도별 토양내 비점오염원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및 자연형 저감시설인 침투저류조의 효율산정 및 현 시설에 맞는 적정 설계 인자와 유지관리의 방향을 모색하여 향후 추가적인 토지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에 대해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 시 활용될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부터 추진되어 온 한강수계, 금강수계, 영산강·섬진강 수계, 낙동강수계 비점오염저감시설 중 한강수계의 시설에 하나인 침투저류지(용인시 모현면 초부리) 시설의 효율 평가 및 유지관리 방안 수립을 위한 모니터링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니터링은 2011년 6월부터 11월까지 총 8차례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용인시 모현면 초부리의 저감효율은 TSS의 경우 94.3%로 나타났으며, BOD의 경우 93.6%, TN의 경우 89.5% 그리고 TP의 경우 93.6&로 나타났다. 또한 용인 초부리의 저감효율은 TSS의 경우 87.8%로 나타났으며, BOD의 경우 80.6%, TN의 경우 79.7 그리고 TP의 경우 81.5%로 나타났다.

      • 진동자극을 이용한 저항운동이 앞십자인대 재건술 후 무릎관절 근력과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배창환 대구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resistive exercises with vibration stimuli could affect the strength of knee muscles , balance, and ambulation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reconstructive surgery. Thirty four subjects with ACL reconstruction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11 patients were required to do resistive exercises with vibration stimuli group, 11 were required to do resistive exercises , and 12 patients represented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of resistive exercises with vibration stimuli program was performed for 50 minutes during each session, 3 times a week for 6 weeks. The strength of knee muscles, balance, and ambulation were measured in pretest and post test.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show the variation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all three groups. One way ANOVA was used to separate the total variation between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trength of knee muscles after resistive exercises with vibration stimuli in all three groups after six-weeks treatment, and the resistive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i group showed a better result in all aras than the other two groups. Comparison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resistive exercise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muscle strength except quadriceps. The static balance abil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three groups. The sway distance with opened eyes was significantly more decreased in resistive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i group and resistive exercise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In dynamic balance ability, all items of the LOS area wa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sistive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i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he variation of knee angle during ambulation, there was an increased in knee flexion in resistive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i group and resistive exercise group at the initial contact and a decreased in knee flexion at toe off , but an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In regards to the variation of timed ambulation, there were a significant decreased the variation of the step time, single support, and double support on the affected side. The variation of ambulation in spac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ep length, stride length, and H-H length at affected side . The results between groups, the resistive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i group showed a positive effect. In conclusion, applying the resistive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i as a therapeutic exercise program resulted in a positive effect to the ambulation and functional activity not only in rapidly recovering the strength the weaken muscles and lost of balance ability, but also expecting an earlier return to daily life by advancing the date of the process for the functional activity, and goal of therapy in ACL reconstru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arly application of resistive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i was effective for patients with ACL reconstruction. 본 연구는 앞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진동자극을 이용한 저항운동이 무릎관절 근력과 균형 및 보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앞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진동자극을 이용한 저항운동군 11명, 저항운동군 11명, 대조군 12명을 무작위로 나누어 연구에 참여하였다. 진동자극을 이용한 저항운동 프로그램은 6주간 주 3회 50분을 실시하였고, 무릎관절 근력과 균형 및 보행능력은 사전과 사후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세 그룹의 운동 전과 후의 측정변인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룹 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 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무릎관절 근력은 6주간의 치료 후 세 그룹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진동자극을 이용한 저항운동군은 모든 항목에서 두 그룹 보다 더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저항운동군은 정상 넙다리네갈래근 근력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적균형능력의 변화는 세 그룹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진동자극을 이용한 저항운동군과 저항운동군은 눈을 감은 상태에서의 동요거리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동적균형능력의 변화는 진동자극을 이용한 저항운동군이 대조군 보다 모든 항목에서 안정성 한계의 면적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보행 중 무릎관절 각도의 변화에서는 진동자극을 이용한 저항운동군과 저항운동군에서 초기 접촉(initial contact)시 무릎관절 각도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무릎관절 굽힘 각의 유의한 증가와 발가락 떼기(toe-off)시 무릎관절 굽힘 각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대조군은 초기 접촉(initial contact)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시간적 보행 변수에서는 환측 걸음시간(step time), 단일지지기(single support), 이중지지기(double support)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공간적 보행변수는 환측 걸음길이(step length), 온걸음길이(stride length), 양발사이 간격 길이(H-H length)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며 그룹 간 결과에서는 진동자극을 이용한 저항운동군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의 근력과 균형능력의 향상을 위한 운동 치료 프로그램에 진동자극을 이용한 저항운동이 병행된다면 약화된 근력과 소실된 균형능력을 보다 빠르게 회복시킴으로써 기능적 활동인 보행능력에 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앞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의 치료목표인 기능적 회복을 위한 과정을 앞당겨 조기 일상생활의 복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초기 진동자극을 이용한 저항운동이 ACL 재건에서 효과적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