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공지능 윤리를 통합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배진아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컴퓨터 비전, 자연어 처리, 음성 처리, 자율주행 자동차, 지능형 로봇 등의 인공지능 기술은 더욱 지능화·고도화·융합화되고 있으며, 사회, 경제, 문화, 교육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다. 급속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이전에는 해결하기 어려웠던 복잡한 문제를 지능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기대를 주기도 하지만 새로운 기술로 인한 사회적 부작용 등의 역기능을 미리 살피고 대비하기 위한 노력도 국내·외에서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으로 인한 역기능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할 것이며, 가장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해결 방안으로 교육적 접근이 주목받고 있다. 기존의 정보윤리 교육은 개념·지식 중심 교육의 한계로 윤리적 지식이 실천으로 꼭 이어지지는 않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으로 인한 역기능을 미리 대비하고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인공지능 교육과 인공지능 윤리교육이 함께 이루어지는 인공지능 통합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인공지능 통합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첫째, 인공지능을 이용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윤리적 문제를 고려하고, 올바른 판단과 윤리적 행동을 경험하는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인공지능 윤리 실천 능력을 함양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컴퓨팅 사고력 구성 요소와 인공지능 윤리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인공지능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컴퓨팅 사고력 함양과 함께 인공지능 윤리 실천력을 강화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메타버스를 통한 온라인 학습과 오프라인 프로젝트 학습을 혼합한 블렌디드 러닝으로 시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하는 교육 환경 제공과 함께 높은 자유도와 능동적인 학습 참여 유도로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윤리교육과 인공지능 교육을 통합함으로써 인공지능 기술 교육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인공지능에 대한 긍정적인 동기유발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인공지능 통합 교육 모델은 ADDIE 모형을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분석(A) 단계에서는 학습 환경 및 학습자 분석, 문헌 고찰 및 사례를 분석하였다. 설계(D) 단계에서는 교육목적 · 교육내용 · 교육전략을 수립, 교육매체 선정 및 개발, 평가도구를 선정하였다. 개발(D) 단계에서는 설계 단계에서 제시된 교육의 목적, 내용, 전략, 매체,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메타버스 기반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과 프로젝트 기반 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행(I) 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프로그램을 보완하고, 평가(E)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결과 분석을 통해 전체 교육 프로그램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통합 교육 프로그램은 6단계의 인공지능 문제해결 과정에서 인공지능 교육과 인공지능 윤리교육이 함께 이루어지는 인공지능 윤리교육 모델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인공지능 윤리교육 모델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문제해결 프로세스의 단계마다 인공지능 윤리 요소와 컴퓨팅 사고력 요소를 확인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사전·사후 자기평가, 관찰 평가 등의 과정중심 평가를 통해 인공지능 윤리역량과 컴퓨팅 사고력을 평가하였다. 인공지능 통합 교육 프로그램은 사전·사후 학습을 위한 메타버스에 기반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과 컴퓨팅 사고력과 인공지능 윤리 실천력 향상을 위한 오프라인 프로젝트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메타버스 기반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인공지능의 개념 및 원리와 인공지능 윤리의 필요성에 대해 학습하고 인공지능을 이용한 문제해결 사례를 살필 수 있도록 하였다. 오프라인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 프로그램에서는 메타버스 기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사전에 학습한 인공지능 및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문제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직접 해결할 수 있는 문제해결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는 인공지능 윤리 역량을 문제해결 과정에서 직접 적용 및 실천함으로써 인공지능 윤리의 실천력을 키우고 궁극적으로 컴퓨팅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인공지능 통합 교육 프로그램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지식 전달 중심의 인공지능 윤리 교육을 인공지능 교육과 통합하여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실천적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둘째, 인공지능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우리 주변의 사회적 문제를 살피고, 윤리적 요소를 함께 고려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인공지능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해소하고 인공지능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갖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인공지능 윤리를 충분히 고려한 문제해결 방안은 인공지능 윤리를 고려하지 않은 해결 방안보다 사회적 비용 측면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인공지능 등의 컴퓨팅을 이용하여 우리 모두를 위해 문제를 효과적으로 효율적으로 해결하는데 필요한 컴퓨팅 사고력 측면과도 부합한다고도 볼 수 있다. 넷째, 메타버스 기반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과 오프라인 프로젝트 프로그램을 혼합한 블렌디드 러닝은 COVID-19로 인한 교육 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인공지능 통합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들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문제해결의 과정에서 인공지능 윤리적 요소를 직접 고민하고 적용 해 봄으로써 윤리적 실천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결과적으로는 윤리 문제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우리 모두를 위한 문제해결 방안을 탐색해나가는 과정에서 컴퓨팅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such as computer visi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voice processing, autonomous vehicles, and intelligent robots are becoming more intelligent, advanced, and converged, and are spreading to society, economy, culture, and education. The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gives the expectation that complicated problems that were difficult to solve before can be intelligently solved, but efforts to examine and prepare for adverse effects such as social side effects caused by new technologies are also being emphasized at home and abroad. In order to minimize the adverse effects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 active and preemptive response will be required, and as the most fundamental and effective solution, an educational approach is attracting attention. Existing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has limitations of concept and knowledge-centered education, and has a problem that ethical knowledge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practice. Accordingly, in this thesis, as a way to prepare for and minimize adverse effects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n advance, an artificial intelligenc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education are combined will be proposed. The goal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integrated education program is, first, to consider ethical issues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o cultivate learners' ability to practice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through education to experience correct judgment and ethical behavior. Second, in the process of solving real-life proble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y considering the compon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e elemen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it should be possible to strengthen the ability to practice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long with the cultiva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ird, through blended learning that combines online learning and offline project learning through the metavers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minimizes time and space constraints, and to maximize the effect of education by inducing a high degree of freedom and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Finally, by integ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edu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t is to reduce resistance to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education and to help induce positive motiv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grated education model proposed in this thesis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ADDIE model. In the Analyze (A) stage,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er analysis,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were analyzed. In the Design (D) stage,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strategies were established, educational media were selected and developed, and evaluation tools were selected. In the Develop (D) stage, the purpose, content, strategy, media, and evaluation tools of education presented in the design stage were developed, and a metaverse-based online education program and a project-based offline education program were developed. In the Implement (I) stage, the program was supplemen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and in the Evaluate (E) stage, the entire educational program was ver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ogram's effectiveness and result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thesis is based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education model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education are combined in the six-step artificial intelligence problem solving proces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education model is configured to identify and practice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nd computational thinking at each stage of the problem-solving proces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addition, AI ethics competen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were evaluated through process-oriented evaluations such as pre- and post-self-assessment and observational evalua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consists of an onlin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metaverse for pre- and post-learning and an offline project program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and AI ethical practice. In the metaverse-based online education program, it was possible to learn about the concept and princi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necess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nd to examine problem solving ca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offline project program, through the metaverse-based onlin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knowled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learned in advance, it was developed to provide problem-solving experiences that can directly solve problems that can be encountered in real lif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this program,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s can directly apply and practice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competency in the process of problem-solving, thereby developing the practical 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nd ultimately cultivating computational thinking. The significance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proposed in this thesis is as follows. First, by integrating the existing knowledge delivery-oriented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education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improve practical capabiliti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was proposed. Second,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the process of examining social problems around us and considering ethical factors together, it helps learners to relieve vague fear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an give a positive perce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lem solving method fully considering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is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in terms of social cost than the solution method not considering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This can also be seen as consistent with the aspect of computational thinking required t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solve problems for all of us using computing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Fourth, blended learning, which mixes metaverse-based online education programs and offline project programs, can be meaningful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ctively coping with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proposed in this thesis, learners can strengthen their ethical practice by directly thinking about and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al factors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in the process of exploring ways to solve problems for all of us that can minimize social costs due to ethical issues,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can be developed.

      •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이 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의 사회성, 대인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배진아 경성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을 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사회성, 대인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B시 S구 청소년 수련관의 방과후아카데미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교 2학년 학생 중 학생이 프로그램에 참여의사를 밝히고 학부모 동의를 얻은 학생 28명이 최종 대상으로 선정된 후 실험집단에 14명, 통제집단에 14명을 배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주 2일, 1일에 1회기씩, 회기 당 80분, 총 10회기의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기간 동안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회성, 대인관계 및 학교생활적응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WIN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의 척도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각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였으며, 두 집단 간의 사후검사 점수로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또 통계 분석의 양적 연구를 보완하기 위하여 참가자의 프로그램 회기별 보고서를 바탕으로 집단원을 관찰하여 효과를 분석한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절차를 통해 나타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사회성이 향상되었다. 둘째,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대인관계가 향상되었다. 셋째,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학교생활적응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상과 같이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본 프로그램은 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의 사회성, 대인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Food Art Therapy program on socia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chool life adaptation by conducting the Food Art Therapy program on the adolescents who participate in the after-school program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included 14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4 in the control group. 28 students who are in the after-school program at the Sasang-gu Youth Training Center in Busan and who were consented by their parents reveal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 total of 10 Food Art Therapy programs were carried out for the experimental group. As follows, twice a week, once a day and 80 minutes per session. During the same period, no action was taken against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a pre-post-examination of social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chool life adaptation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on each scale using the SPS/WIN 24.0 statistics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 multivariate covariance analysis (MANCOVA) was performed on the post-test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the pre-test scores of each group as a covariate. In addition to supplement the quantitative study of statistical analysis, a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group members based on the assessment of each program's session of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Food Art Therapy program improved social skill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s apposed to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Food Art Therapy program improved interpersonal relation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s apposed to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Food Art Therapy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to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light of these findings, we can see that this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chool life adaptations of after-school students.

      • 전라북도 시군 중추가로 특성에 따른 가로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배진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Recently as we are entering the cultural competitive age where the urban image by design becomes the city competitiveness, the street is required to be a representative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the city as well as traffic function. And also symbolic street development project has been settled as a general method to express urban design through improvement of street environment but its place and purpose has focused on activating commercial area and function. Each local town and county government office area has concentrated administration, business, and commercial function making the pivotal role. Therefore it has to support lots of traffic for cars and pedestrians and also express its representative naturally with representative streets but shows limits in making cozy street environment through improved symbol and function as it is composed with the same streets and common prototype street furniture of plan. So this study had the purpose to seek desirable plans for improved symbols and cozy pedestrian environment as the urban representative streets by deducing the role and characteristic of pivotal streets,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of those streets in Jeonbuk 14 cities and counties, and classifying them on the base of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s the research method,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pivotal streets were defined and the range of street analysis was set. And then the current status of Jeonbuk 14 cities and counties' pivotal streets was analyzed through dividing their characteristics by location, spatial composition, and street furniture. At first for the location aspect, the relation between the urban center and pivotal streets place was identified by focusing on urban structure, land usage, and arrangement of major public facilities. For the spatial composition, street types were divided by the sca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walkways, driveways, bike roads, and composing frames. For the street furniture aspect, the facilities were classified as 6 kinds according to 'Jeonbuk public design master plan' and then the problems of arrangement, establishment, and administration that can be found in the aspect of function, landscape, and traffic safety were investigated. As the result of research, 14 cities and counties' pivotal streets were shown as the following type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city hall and the usage of surrounding land. First, there was a type where most major functions including public administration business were clustered. Second, there was a type where the government building was moved to an outer area escaping from the urban center. Third, there was a type where the streets were adjacent to the urban representative tour place with frequent visits of tourists. Fourth, there was a type where the streets were connected with traffic base facilities. Fifth, there was a type where the streets were adjacent to the nature like rivers. The type of pivotal streets classified by the spatial composition aspect was divided into city and county area revealing common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by the area. The pivotal streets of city with wide breadth had clear division between driveway and walkway and got effective applicability for wide space. However those of counties with narrow breadth had the cluster of various center function including administration, business, commerce, and culture as well as the frequency of contradiction of cars and pedestrians showing the needs of facility's integration and systematic operation for the effective usage of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street furniture were shown with the connection of spatial composition aspect. Among the traffic facilities, the bollard had the most different density showing problems of concentration within the main streets. There was shown another problem that installing the environmental sanitary facilities was difficult in the middle size or narrow streets. Among the supply facilities, the ratio of utility pole was highest but the difference of density by the area and scale was not high. Among the public communication material, the ratio of road sign was highest but the difference by the area and scale was not high. Even though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reet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on the base of adjacent land use and the city, density and location of street furniture, it did not conduct objective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relocation of government office building on the surrounding land and objective evaluation on esthetic sense of street users so there needs further research on those issues. 최근 디자인을 통한 도시 이미지 확립이 도시 경쟁력 확보와 직결되는 문화 경쟁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가로는 교통기능 외에 도시의 특성을 반영해야하는 대표성을 요구받고 있다. 또한 상징거리조성사업이 가로환경개선을 통하여 도시 디자인을 표현하는 보편적인 방법으로 자리 잡았으나 장소와 사업의 목적이 상업지역과 상업기능 활성화에 치우쳐 있다. 지자체별 각 시군청사의 인접지역은 행정, 업무, 상업기능이 밀집되어 중추기능이 형성되어 있는 곳이다. 이 곳은 차량과 보행자의 수많은 통행을 지원함을 물론 대표가로로서 그 도시의 대표성이 자연스레 표현되어야 하나 일률적인 가로 구성과 보편화된 프로토타입의 가로시설물 계획으로 상징성 및 기능성 제고를 통한 쾌적한 가로환경을 조성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중추가로의 역할과 특징을 도출함과 동시에 전라북도 14개 시군에 형성되어 있는 중추가로의 현황을 살펴보고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중추 가로의 특징 및 문제점을 바탕으로 유형화시켜 도시 대표가로로서의 상징성 제고 및 쾌적한 보행환경을 형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안을 모색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진행 방법은 중추가로의 기능과 특징을 정의하고 가로 분석 범위를 설정한 후 전라북도 14개 시군 중추가로 현황을 입지, 공간구성, 가로시설물 특성으로 나누어 조사․분석하였다. 먼저 입지측면에서는 도시구조, 토지이용, 주요공공시설의 배치 등에 중점을 두어 도심과 중추가로 위치와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공간구성 측면에서는 가로유형을 규모에 따라 구분한 후 보도‧차도‧자전거도로‧식재대의 공간구성 특성을 고찰하였다. 가로시설물측면에서는 가로시설물을 ‘전라북도 공공디자인 기본계획’에 따라 6가지로 분류 한 뒤 기능적‧ 경관적‧ 교통안전적 측면에서 발견 할 수 있는 배치 및 설치, 관리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조사 결과 14개 시군의 중추가로는 시청의 위치와 주변 토지이용에 따라 첫째, 공공행정 업무기능을 비롯한 도시 대부분의 주요 기능이 밀집된 유형, 둘째, 청사가 도심에서 벗어나 외곽으로 이전된 유형, 셋째, 도시의 대표 관광지와 인접하여 관광객의 방문이 빈번한 유형, 넷째, 교통거점 시설과 연결된 유형, 다섯째, 하천 등 자연과 인접한 유형으로 나타났다. 공간구성 측면에 따른 중추가로의 유형은 시지역과 군지역으로 나뉘어지며 지역별 공통적인 특징과 문제점을 나타냈다. 폭원이 넓은 시지역 중추가로는 차량과 보행공간의 구분이 명확하며 넓은 공간의 효율적 활용가능성이 제고되어 있다. 폭원이 좁은 군지역 중추가로는 가로변에 행정․업무․상업․문화 등 다양한 중심기능의 집적과 차량과 보행자의 상충이 빈번히 이루어져 효율적인 공간이용을 위한 시설물의 통합 및 제도적 운영방안이 나타나거나 필요성으로 대두되었다. 가로시설물은 공간구성 측면과 서로 연관되어 특성이 나타난다. 교통시설물은 볼라드가 시군 가장 큰 밀도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대로 이상의 규모에 집중되어 난립하는 문제를 나타내었다. 환경위생시설물은 폭원이 좁은 중로 이하의 경우 충분한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나타났다. 공급시설은 전신주의 비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 규모별 밀도 차이는 크게 않고, 공공매체는 도로표지판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지역별, 규모별 차이는 크지 않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인 가로환경특성은 인접토지이용 및 도시특성, 가로시설물의 밀도와 설치위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나 청사 이전이 주변 토지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 이루어 지지 않았으며 가로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느끼는 심미성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아 추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로버트 글래스퍼의 작 · 편곡 기법 연구 : 비기능적 화성을 중심으로

        배진아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재즈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흡수하고 세분화하면서 또 다른 음악 장르에 영향을 끼친다. 현대의 재즈 뮤지션들도 이 연장선에 있고 과거에 활동한 많은 재즈 뮤지션들의 영향을 받아 이를 세분화하며 성장해 간다. 장르의 결합과 분해를 음악에 잘 활용하고 있는 뮤지션 중 로버트 글래스퍼(Robert Glasper)는 힙합, R&B를 재즈에 결합해 기존과 다른 분위기의 연주를 보여준다. 글래스퍼는 본인의 음악에 반복되는 요소가 많아 반복되는 요소 중 코드 진행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반복되는 코드 진행은 그 안에서 비기능적 화성이 중심이 되고, 중심이 되는 조성은 존재하지 않게 작․편곡을 하여 II-V-I 진행이 사용되는 재즈와 차이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비기능적 화성을 만드는 작․편곡 기법은 동형 구조, 반음계적 접근 코드, 빈번한 전조이다. 글래스퍼의 비기능적 화성을 중심으로 연구한 작․편곡 기법의 결과는 반복되는 코드 진행을 사용할 때, 같은 유형의 코드를 사용하여 조성을 모호하게 만들고, 반음계로 접근하는 코드를 선택할 때 조성에서 기능이 없는 코드로 선택하여 의도적으로 조성을 알 수 없게 한다. 곡을 고조시킬 때 전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빈번하게 전조를 사용하여 다음 코드 를 예측할 수 없게 진행되었다. 본 논문은 글래스퍼의 비능적 화성의 특징 네 가지를 사용하여 조성을 모호하게 만들어 전혀 다른 장르에 적용하였고, 조성을 알 수 없게 되어 화성이 단순해질 때는 리듬을 다양하게 사용하여 곡의 긴장과 이완을 충분히 나타내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제어 : 로버트글래스퍼, 비기능적화성, 동형구조, 전조, 접근코드 Jazz absorbs and subdivides various genres of music while influencing another music genre. Modern jazz musicians are on this extension and they grow as subdividing it under the effect of many jazz musicians who acted in the past. Robert Glasper, one of the musicians who a re applying the combination and disassembly of genres to the music well, shows the performance of the different atmosphere from the past by the combination of Hip-Hop and R&B into the jazz. Glasper focused on the chord progress among the repeated elements because there were many repeated elements in his music. The repeated chord progress features the non-functional harmony and he composes and arranges not to let the pivotal tonality exist to make a difference from the jazz using II-V-I progression. The composing·arranging technique to make the non-functional harmony includes the constant structure, chromatic approach chord, and frequent modulation. The result of the composing·arranging technique focusing on the Glasper’s non-functional harmony makes the tonality obscure by using the same type of chord when using the repeated chord progression, and chooses the chord not functioning in the tonality when choosing the chromatic approach chord to intentionally make it impossible to know the tonality. He does not use the modulation when heightening the music but use the modulation frequently to make the next chord unpredictable. This thesis made the tonality obscurely by means of 4 characteristic s of the non-functional chord by Glasper to apply to the entirely different genre, and when the chord became simple as the tonality became unidentified, it used the rhythm diversely to draw the result that represented the tension and relaxation fully. keyword : Robert Glasper, Non-Functional Harmony, Constant structure, Modulation, Approach Chord

      • ADHD 하위 유형간 심리운동집단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 ADHD 특성과 자아존중감 및 사회기술향상에 미치는 효과

        배진아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 of the psychomotoric therapy program on ADHD symptoms, self-esteem, social skill and maladjustment behavior between subtypes of ADHD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For the present study , 18 children were selected from the third and the fourth graders in primary school. The participants were chosen primarily by the teacher's recommendation and permitted to participate in the Psychomotoric therapy program for ADHD children by their parents. The Conners Teacher Rating Scale, ARS and K-WISC-Ⅲ were administered to the 24 children and 18 subjects were selected by the criteria for participation in this study. The criteria were 17 point or higher for Conner's rating scale and IQ 80 or higher for K-WISC-Ⅲ. The criteria for dividing two subtypes of ADHD were 10 point or more for inattention and 7 point or less for hyperactivity on ARS scores for inattentive subtype and 10 point or more for inattention, and 9 point or less for hyperactivity ARS scores for the combined subtype,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sychomotoric therapy program, K-ARS(Korean-ADHD Rating Scale), SSRS(Social Skill Rating System), SEI(Self Esteem Inventory)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children's behaviors were also observed by the two observers using the behavior observation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8 vesion. One-way ANOVAs for comparisons of ARS, SSRS, and SEI among two subtype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and t-tests for post comparisons were conducted . The major results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motoric play therapy program was more effective to decrease a inattentive action for the combined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but it wasn't for the inattentive group. It was effective to decrease hyperactivity for only combined group. In other words, the psychomotoric play therapy program led the combined group to positive changes. Second, self esteem score of the experimetal groups increased but wasn't statistically meaningful. Third, the SSRS score(administered by the children) of the combined group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rose, but a gain score analysis wasn't statistically meaningful between the combined group with the inattentive group. This meant that the psychomotoric play therapy program is effect on sociality for the comfined group but not for the inattentive group.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SSRS score(administrated by the children) between the combined groups and the inattentive group, but the scor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had a meaningful difference. This ment that the psychomotoric play therapy program led the experimental groups to positive changes. Fourth, the psychomotoric play therapy program led to positive effects on the behavior obeservation socre. As the result that observed social skills, self esteem, and inattentive actions, the experimetal groups improved pre- and post tests result, social skills, and self esteem. But, the inattentive actions of the experimental groups decreased, but the only combined group had a meaninful result. This meant that he psychomotoric play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for ADHD children on social skill, self esteem, and inattentive activity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opics for the future stud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ADHD 성향 아동을 대상으로 심리운동프로그램이 ADHD 하위유형별로 아동의 ADHD 특성, 자아존중감, 사회적 기술, 부적응 행동을 중심으로 차이를 보이는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3-4학년 ADHD 성향을 가진 아동으로, 교사가 추천하고 부모가 심리운동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아동 중 교사용 Conners 평정 척도, ARS, K-WISC-Ⅲ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할 아동 18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선정된 아동은 Conners 17점 이상, ARS 점수(부주의형 집단- 부주의 문항 10점 이상, 과잉행동이 7점 미만, 혼합형집단-부주의 문항 10점 이상, 과잉행동 9점 이상), K-WISC-Ⅲ가 80점 이상이다. 심리운동프로그램이 ADHD 하위유형별 두 실험집단(부주의형집단, 혼합형집단)과 통제집단 아동들의 ADHD 특성, 자아존중감,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또한 심리운동프로그램이 두 실험집단간의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전 후에 ARS, 아동용 자아존중감검검사, 아동-교사용 SSRS를 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조작적 정의에 의한 행동관찰평가를 실시하여 사회적 기술 행동, 자아존중감 행동, 부적응 행동으로 나누어 사전 -사후 효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18.0을 이용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세 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에 대한 일원분산분석과 사후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두 실험집단간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에 대해 검사시기×집단의 이원변량분석(검사시기는 반복측정)과 사후검증을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ADHD 아동들에게 심리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ADHD 문제행동인 부주의에서는 혼합형집단 아동의 부주의가 통제집단 아동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부주의집단 아동과는 차이가 없었다. 과잉행동/충동성에서는 혼합형집단 아동이 부주의집단 아동과 통제집단 아동보다 더 감소하였다. 이는 심리운동프로그램이 부주의와 과잉행동/충동성 감소에 있어 혼합형 ADHD 아동에게 더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었음을 나타낸다. 두 번째, ADHD 아동들에게 심리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살펴보면 점수상에서의 향상은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보이지 않았다. 세 번째, ADHD 아동들에게 심리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아동이 보고한 SSRS 검사 점수에서 혼합형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혼합형 집단과 부주의 집단 간에 효과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심리운동프로그램이 혼합형 ADHD아동의 사회성을 증가시켜주는 효과가 있지만 부주의형 ADHD아동에게 미치는 효과와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DHD 아동들에게 심리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교사가 보고한 SSRS 검사 점수에서 혼합형집단과 부주의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과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심리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두 ADHD하위 유형 아동들 모두의 사회성을 증가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ADHD 아동들에게 심리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행동관찰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사회기술, 자아존중감, 부적응행동을 관찰한 결과, 부주의집단과 혼합형집단 모두에서 사전 사후 결과 사회기술과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응행동에서도 두 실험집단 모두 점수 변화에서는 감소하였으나 혼합형 ADHD아동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심리운동프로그램이 ADHD 하위 유형 아동들 모두에서 사회기술, 자아존중감, 부적응행동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자연어처리 기반 교통 연구 통합검색에 관한 연구

        배진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Numerous data and data piled up over time, but there was no system to integrate or refine them, making it difficult for users to search for effective information. Accordingly, various search interfac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 implementation requirements for integrated information search are increasing. This research was implemented to build an integrated search system using data from the Korea Transport Research Institute and to obtain search results using user dictionaries. Because the development environment is the Java framework used by each module, you can run search collection containers individually on the Admin page, and you can change the date range by setting the index period on the Admin page. In addition, by collecting external information that collects web crawler (index work) and relevant institution bulletin information retrieved by Korean keyword, webpage is provided so that users can view external information at a glance, thus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search quality.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provide search results tailored to the user's needs by grasping the interest of users having a common purpose in an organization having a specialized purpose. Because they share internal data, they need to collect and accept information from each relevant sector, and researchers must form a culture to share and perform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generated by the completed reports and research. In this experimental system, the Mariner 4 solution related to the search was applied to link the traffic research site data to the external site information. In addition to administrative data, research knowledge, cloud data, and bulletin board information of external related organizations are dragged and displayed. Therefore, there is a great advantage that integrated management of information enables integrated search of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 Cu(In,Ga)Se2 박막태양전지에 처리한 KF-PDT의 두께와 기판특성에 따른 효과

        배진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Cu(In,Ga)Se2 태양전지는 높은 안정성과 변환효율에 비해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수많은 연구결과를 만들어냈다. 아울러, 기판과 형태에 대한 제약이 매우 낮은 편이어서 다양한 기능과 용도로 제작될 수 있다. 태양전지 시장이 점점 커짐에 따라 연구 분야도 다양한 방향으로 성장을 이루고 있다. CIGS 태양전지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는 여러 종류의 기판이 사용되었다. 그 중 유독 SLG에서 높은 효율이 얻어졌다. 많은 연구 끝에 이 원인이 SLG 안에 포함된 Na의 영향임이 판명되었다. Sodium은 캐리어 농도 증대, 개방전압 증대, CIGS/CdS 계면 결함 완화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보인다. Na의 효과는 대부분 K 등 다른 알칼리 원소에도 발견된다. 하지만 태양전지 제작 공정에서 기판에서 Na가 불균일하게 확산되거나, 유리 제조 공정에서의 Na 분포 불균일은 소자 성능을 불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불균일성을 방지하기 위해 알칼리원소를 직접 공급하는 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칼리 원소가 포함된 기판(Soda Lime Glass, 이하 SLG), 극소량 포함된 기판(Low Alkali Glass, 이하 LAG) 두 종류의 기판에 증착된 CIGS 흡수층에 불화 칼륨을 다른 조건을 고정하고 다양한 두께로 공급하였다. Several types of substrates were used in the early stages of CIGS solar cell development. Among them, high efficiency was obtained in devices on soda lime glass. After much research the cause proved to be the influence of sodium (Na) included in the soca lime glass. Sodium has positive effects such as increasing carrier concentration, increasing open-circuit voltage, and alleviating CIGS / CdS interface defects. The effect of Na is mostly found in other alkali elements such as K, Cs, Rb. However if Na diffuses unevenly on the substrate during solar cell manufacturing process, or non uniform distribution of Na in the glass manufacturing process, porformance of device may also be non-uniform. In this study, CIGS absorption layer deposited on two kinds of substrates was used. Potassium fluoride (KF) was supplied in various thicknesses without changing the other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deposition time. As a result, the effect on both substrates was clearly different.

      • 3세 유아의 실내 · 외 놀이에서 나타나는 ‘왜’ 질문에 관한 분석

        배진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and meaning in questions based on the type of 'why' question made by children at the age of 3 in indoor-outdoor play environment, and to find educational meaning by knowing differences of contents in question according to frequency of questions and gender, and to provide parents and teacher at education field with help to guide desirable direction by interacting appropriately. Beginning with pilot research, researchers collected 'why' questions in indoor-outdoor play environment and analyzed it through observing children 24 times, in 2~3 days per week, from August, to October, 2011. The findings of thi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type and contents of 'why' question made by children at the age of 3 in indoor-outdoor play environment? Result in analysis of children's 'why' questions referring to type of piaget's questions showed that children's 'why' questions are the types of 'questions of cause', 'questions of psychological motivation' and 'questions of validity', and they asked questions in subcategory of 'object', 'plant', 'animal', ' human body', ‘소위’, 'objection', 'creation' and 'rul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ir questions, they showed the highest interest in 'questions of psychological motivation' of 71%, 'questions of cause' of 21.9%, and 'questions of validity' of 7.1% came the next.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ir questions per subcategory, children were interested in 'object' and 'animal' in subcategory of 'questions of cause', and 'plant', 'human body' came next. In subcategory of 'questions of psychological motivation', '소위' are frequently asked at the rate of 94.6%, and frequency of question about 'objection' and creation' are not frequently asked, but it showed sometimes. The type of 'questions of validity' question is asked very low but, the questions about 'rule' are asked in subcategory. However, the questions about ‘논리적 추리’ are not showed. In addition this 'why' question of children occurred more indoor than outdoor environment.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gender according to 'why' questions made by children at the age of 3 in indoor-outdoor play environment? According to frequency of questions based on gender, girls had a few more questions than the boys. Both boys and girls were highly interested in questions of 'questions of cause', 'questions of psychological motivation', 'questions of validity' came the next. Also, girls had more questions indoor and outdoor. Contents in question based on gender in each category, differences between gender were not distinct, but among the subcategories of 'questions of cause' boys asked questions about attributes of object, and girls asked questions about appearance and phenomenon. In subcategory of 'animal' while boys asked questions about 'animal' in genera, girls asked question about 'animal' features in detail. In subcategory of 'plant', both boys and girls asked questions about cause of phenomenon, and only girls asked questions about friends' appearance in subcategory of 'body'. In subcategory of 'questions of psychological motivation', questions about ‘소위’ is about behavior and situation of teacher and peer, and both boys and girls had similar question. Only boys asked questions about subcategory of 'objection'. In subcategory of 'creation', questions that seem to be made up appear to girls and boys. The boys asked questions about 'social rule' in subcategory of 'questions of validity' indoor, and girls asked it outdoor. Girls had more questions about subcategory of 'school rule' than boys indoor. The questions is about the reason why peers break rules and why they need to follow the rules in day-care center. Third, What is the context and meaning of questions according to subcategory of 'why' question made by children at the age of 3 indoor-outdoor play environment? There is a lot of meaning in children's questions. Children expressed their surroundings, cause reason and refutation through 'why' question. Through this, researcher can figure out interests of children. This 'why' questions of children often are asked repeatedly. 본 연구는 3세 유아의 실내 · 외 놀이 환경에서 나타나는 '왜' 질문 유형에 따른 질문의 내용과 의미는 어떠한지 알아보고, 실내 · 외 놀이 환경에서의 '왜' 질문 유형의 발생 빈도와 성별에 따른 질문 내용의 차이를 알아 이를 토대로 유아의 '왜' 질문에 담긴 내용의 교육적 의미를 찾고, 부모와 유아교육현장의 교사가 실내 · 외 환경에서 보다 적절한 상호작용을 함으로서 유아에게 바람직한 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2011년 7월 29일 예비 연구를 시작으로 2011년 8월 23일부터 2011년 10월 19일 까지 주 2~3회씩 총 11주간 24회에 걸쳐 참여 관찰을 통해 유아들의 하루일과 중 실내 · 외 놀이 상황에서 유아들의 '왜' 질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자료 수집 및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실내 · 외 놀이상황에서 나타나는 3세 유아의 '왜' 질문 유형과 질문 내용은 어떠한가? 유아들은 '왜' 질문을 Piaget(1930)의 '왜' 질문 유형을 참고하여 분석한 결과, 유아들의 '왜' 질문은 '인과적 설명의 왜', '심리적 동기의 왜', ' 타당화의 왜'의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각 유형의 ‘물체’, ‘식물’, ‘동물’, ‘인체’, ‘소위’, ‘반대’, ‘창조’, ‘규칙’의 하위 범주에서 질문을 하였다. 질문의 빈도를 살펴보았을 때, '심리적 동기의 왜'가 71%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과적 설명의 왜'가 21.9%, '타당화의 왜'가 7.1%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각 하위범주 별 발생 빈도를 살펴보았을 때, '인과적 설명의 왜'의 하위범주에서는 ‘물체’, ‘동물’에 많은 관심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식물’, ‘인체’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심리적 동기의 왜'의 하위범주에서는 ‘소위’에 94.6%의 빈도를 보였으며, ‘반대’, ‘창조’에 대한 질문 빈도는 낮았지만 이에 대한 질문도 소수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타당화의 왜'의 질문유형은 매우 낮게 나타났지만, 하위범주를 살펴보면, ‘규칙’에 대한 질문을 함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논리적 추리’에 대한 질문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유아의 '왜' 질문은 실외보다 실내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실내 · 외 놀이상황에서 나타나는 3세 유아의 '왜'질문 유형에 따른 성별 차이는 어떠한가? 성별에 따른 '왜' 질문의 발생빈도를 살펴보면, 여아가 더 높았다, 남아와 여아 모두 '심리적 동기의 왜'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과적 설명의 왜', '타당화의 왜' 순이었다. 또한 실내에서는 여아의 질문 발생 빈도가 높았으나, 실외에서는 남아가 높았다. 각 하위 범주별 성별에 따른 질문 내용을 살펴보면, 성별차이는 뚜렷하지는 않았으나, '인과적 설명의 왜'의 하위범주 중 ‘물체’에 대해 남아는 물체의 속성에 대한 질문을 하였으며, 여아는 물체의 생김새나 현상에 대한 질문하였다. ‘동물’의 하위범주에서는 남아가 동물에 대해 전체적인 질문을 하였다면 여아는 동물의 특징적인 부분을 세세하게 질문하였다. ‘식물’의 하위범주에서는 남아와 여아 모두 겉으로 보이는 현상에 대한 원인을 묻는 질문을 하였으며, ‘인체’의 하위범주에서는 여아에게서만 나타났으며, 질문의 내용은 친구의 외모에 관한 것이었다. '심리적 동기의 왜'의 하위범주 중 ‘소위’에 대한 질문으로는 교사와 또래의 행동과 상황에 대한 것으로 남아와 여아 모두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반대’의 하위범주는 남아에게서만 나타났다.‘창조’의 범주에 속하는 질문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게서 나타났으며, 그 내용은 꾸민 이야기들이었다. '타당화의 왜'의 하위범주 중 ‘사회적 규칙’은 남아는 실내에서 여아는 실외에서 나타났고, ‘학교 규칙’의 하위범주는 여아가 실외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질문 내용으로는 또래가 규칙을 지키지 않는 이유, 어린이집에서의 규칙을 지켜야만 하는 이유에 대해 묻는 것이었다. 셋 째, 실내 · 외 놀이상황에서 나타나는 3세 유아의 '왜' 질문 유형의 하위 범주에 따른 질문 내용의 맥락과 의미는 어떠한가? 유아들의 '왜' 질문 속에는 많은 의미가 내포되어 있었다. 유아들은 주변 상황과 인간 행동에 대한 원인과 이유, 반박 등 스스로 드는 의문을 '왜'라는 질문을 통해 하고 있었다. 또한이를 통해 유아들이 교사와 또래 그리고 주변의 사물과 자연 현상을 대상으로 어떠한 것들에 의미를 가지고 관심을 보이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아의 '왜' 질문은 같은 상황에서도 반복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여러 가지 자신의 질문하는 의도가 함축되어 표현되었으며, 빈번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오류발견학습을 이용한 삼각함수 영역의 오류 교정 지도

        배진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고등학교 수학의 삼각함수 영역에 대한 오류발견학습에서 학생들이 오개념 및 오류를 수정하는 과정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삼각함수 영역에서 오류발견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오개념 및 오류를 어떻게 수정해나가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각함수 영역의 문헌조사를 통해 오개념 및 오류를 수집하였다. 이해실태검사를 실시하여 선행연구에서 드러나지 않은 부분이나 자세하게 나타나지 않은 오류를 구체화하여 오류발견학습지를 구성하였다.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오류발견 학습지를 학생들에게 제시하여 오류를 어떻게 수정해 나가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이해실태검사지, 오류발견학습지를 수집하고 면담 및 학습과정을 비디오 녹화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다음과 같이 오개념 및 오류를 수정하였다. 첫 번째, 학생들은 많은 부분에서 잘못된 풀이를 보는 것만으로도 쉽게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고 수정하였다. 두 번째, 오류발견학습에서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과 풀이를 비교하여 잘못된 부분을 수정하였다. 세 번째, 반례나 구체적인 값을 통해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고 더 고려해야 할 부분은 없는지 살펴 빠뜨린 부분을 언급하였다. 네 번째, 잘못된 개념을 통해 잘못된 풀이가 나올 수 밖에 없음을 깨닫고 정확한 개념을 알아야 할 필요성을 인지하여 수정하였다. 다섯 번째, 잘못된 풀이의 이유를 추측하고 그 원인을 바로잡아 수정하였다. 여섯 번째, 단순한 공식의 암기가 아닌 정의나 관련 지식 등의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여 틀린 이유를 설명하고 수정하였다. 일곱 번째, 한 부분의 오류를 수정한 후 다른 부분에서도 동일한 오류를 범하지 않았는지 확인하였다. 여덟 번째, 일관되게 나타난 오류에 대해 처음부터 바로 수정하지 못하여도 다른 학생이 수정하는 모습을 통해 학습하여 자신의 오류를 수정하였다. 아홉 번째, 오개념이나 오류의 원인에 공통요소가 있는 경우 한 부분의 오류수정이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쳤다. 열 번째, 동일한 오류를 가진 풀이라도 풀이의 접근방법에 따라 쉽게 찾는 경우도 있으며 잘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열한 번째, 학생들 스스로가 해결하기 힘든 부분에 대하여 교사의 간단한 예가 오류수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