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수교육지원센터 담당교사의 운영 실태 인식 및 욕구 분석 연구

        배정은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recognition and needs of the teachers at special education center.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72 teachers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a questionnaire was used as the tool for study.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consisted of operation status survey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examination of desire of the teachers. For the statistical process of the questionnaire, SPSS 14.0 for Windows was used for concrete analysis on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variables of backgrounds such as the distinction of sex, experiences in teaching, service areas and possessed qualifications about the cognition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regard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ose support centers as well as their educational desire.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ults &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s: First, for the cognition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regard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ose support centers, teachers in big cities show more positive cognition than teachers in medium-sized cities about operation status of those support centers. Second, for the desire of teachers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regard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ose support centers, it shows the highest level of desire about security of independent space, extended opportunity of training for teachers, and security of essential teaching materials and aids. As the place for establishment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woman teachers preferred a separated independent space easily accessible to local community as the most proper place for establishment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Regarding experience in teaching, teachers of 1-5 years, 6-10 years, and more than 11 years of experience in teaching preferred a separated independent space easily accessible to local community as the most proper place for establishment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Regarding possessed qualifications, teachers who possessed the qualification of special education also preferred a separated independent space easily accessible to local community as the most proper place for establishment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while many teachers who possessed the qualification of general education considered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establish those support centers flexibly in a separated independent space to meet the actual conditions of local community. Therefore, regarding the place to establish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t showed higher desire for security of independent space and active arrangement of facilities and equipments as they were women, the ones who possessed qualification of special education and less experience in teaching. Regarding factors of settlement which should do first for proper diagnosis and evaluation of those recipients of special education, i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distinction of sex, experiences in teaching, service areas and possessed qualifications but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prior settlement of presentation and utilization of standardized examination tool for diagnosis and evaluation as well as extended opportunity of training for cultivation of experts in interpretation of examination and result from diagnosis and evaluation. Regarding the most essential one out of teaching aids and devices, materials deployed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by their service areas, teachers in metropolitan cities considered it as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by areas of disabilities and teachers in medium-sized cities considered it as devices for diagnosis and education of disabled infants and children, while teachers in towns and villages considered it as teaching materials and aids by areas of disabilities. This can be regarded as the results reflected teaching conditions by exposed environments of those recipients of special education. Regarding bottlenecks in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t was considered as insufficient full-time human resources and lack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by shorter experienced teachers of less than 10 years in teaching, while as lack of cooperative system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and difficulty in operation of curriculum due to number of students or moving distance by longer experienced teachers of more than 11 years in teaching. Regarding essential organizations for connection and cooperation in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t was mostly indicated as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medical and health organizations by shorter experienced teachers of less than 10 years in teaching, while as special schools unestablishe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by longer experienced teachers of more than 11 years in teaching.

      • 불가사리와 옻나무 비료의 시용이 감자와 토마토 생장에 미치는 영향

        배정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s of starfish and lacquer tree by-product fertilizer on the growth of potato and tomato plants. Starfish contains a lot of calcium as an inorganic component, and a lacquer tree by-product contains a lot of calcium as macro nutrient elements and micro nutrient elements. For starfish and lacquer tree by-product fertilizer treated plants, the potato growth was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plant. The result showed that potato growth, plant weight, total tuber number and starch content were high in 10% and 20% starfish treated plant. The “Atlantic” is the most popular potato variety processed as potato chips in the world, and the current marketable size is 80~200g. The most effective amount for the treatment out of various possible ranges was the 10% starfish. The starfish and lacquer tree by-product fertilizer were also applied on tomato plant. The taking root rate after tomato planting was investigated. The 5% lacquer tree by-product fertilizer only, the mixed 5% starfish with 5% lacquer tree by-product fertilizer, and the mixed 10% starfish with 10% lacquer tree by-product fertilizer showed the 100% the taking root rate. The plant growth of lacquer tree by-product fertilizer treatment showed thick stem and short height. The plant applied with the starfish treatment grew very slowly. Tomato plant in the mixed of 5% starfish with 5% lacquer tree by-product fertilizer treatment showed 100% flowering rate. The more the fertilizer treatments, the worse the growth in tomato. The number of fruit cluster in starfish treatment decreased on very large scale in all the treatments. The tomato plant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 were highest in the mixed 5% starfish with 5% lacquer tree by-product fertilizer. The number of tomato, fresh weight, and marketable yield were also highest in the mixed of 5% starfish and 5% lacquer tree by-product fertilizer. The fruit quality depends on the soluble solids, acidity, and fruit firmness. Therefore, the tomato quality was the best with the treatment of the mixed 5% starfish and 5% lacquer tree by-product fertilizer. The more the firmness in tomato, the better the storability. 불가사리와 옻나무 비료의 시용이 감자와 토마토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불가사리는 무기성분 중 칼슘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옻나무 부산물에서도 칼슘이 함량이 다량원소와 미량원소 중에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불가사리와 옻나무 비료 시용을 달리하여 식물체당 형성되는 감자수, 무게, 총수량, 전분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대조구보다 불가사리 10%, 20% 처리구에서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왔다. 실험에 사용한 대서 품종은 칩 가공용으로 사용되는 품종으로 시장에서 판매되는 80~200g을 Marketable yield로 했을 때 가장 효과적인 처리구는 불가사리 10%였다. 불가사리 20% 처리구는 불가사리 10% 처리구에 비하여 무게와 수량에서 조금 많았지만, 200g이상 되는 감자가 많이 생산되기 때문에 Marketable yield은 불가사리 10% 처리구에 비하여 2% 떨어지는 결과는 얻었다. 토마토에서 불가사리와 옻나무 비료의 시용을 했을 때, 토마토 정식을 한 후 활착률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옻나무 10% 처리구, 불가사리와 옻나무 5% 혼합 처리구, 불가사리10%와 옻나무 10% 혼합 처리구에서 활착이 100%되었다. 정식 후, 식물 생육상태는 옻나무 처리구는 굵고 작게 생장을 하였고, 불가사리는 생장이 더디게 되었으며, 불가사리와 옻나무 혼합 처리구는 비교적 잘 자랐다. 토마토의 개활율을 불가사리와 옻나무 혼합 처리구에서 100% 개화를 하였으나, 불가사리 처리구, 옻나무 처리구에서는 비료 함량이 증가할수록 개화는 잘 되지 않았다. 이는 수량에도 영향을 끼쳐 한 화방당 토마토의 개수도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다. 토마토 식물체의 생장이 잘 될수록 광합성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마토의 수량, 무게, 총수량, Marketable yield이 가장 높게 나온 처리구는 불가사리 5%와 옻나무 5% 혼합 비료 시용한 처리구이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산도는 토마토의 과실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불가사리 5%와 옻나무 5% 혼합 비료 시용한 처리구에서 가장 좋았으며, 경도도 뛰어났다. 경도는 저장성과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기애와 자존감이 Facebook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배정은 계명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 of narcissism and self-esteem on Facebook behaviors. Participants were 58 undergraduated students in Daegu. All participants completed scales such as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NPI) and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RSES). All participants provided access to their Facebook accounts by friending a fictitious person. Finally, the participants' Facebook behaviors were coded and studied in relation to the narcissism and self-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results showed that Facebook users uploaded self-reference post more than non-referent posts. The highest frequency in text post was opinion. The highest frequency in photo/video post was selfie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narcissism and self-esteem on self-promotional behaviors, but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of narcissism. Third, the high level of narcissism, when there level of self-esteem was low, associated with frequent use of first-person singular on Facebook.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narcissism and self-esteem on the number of swear words.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 of narcissism and self-esteem on the total number of letters, but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of narcissism. Sixth, there was no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 of narcissism and self-esteem on the number of Facebook friends, but the main effect was significant in each of narcissism and self-esteem.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mechanism may influence the Facebook behaviors. These findings allows people with high or low self-esteem and narcissistic tendencies will be able to be used as material to help understand the processes that perpetuate the vicious circle of problems and be aware of themselve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애와 자존감의 상호작용이 Facebook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 소재중인 대학생 58명이었고 주요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애적 성격 검사지, 로젠버그 자존감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자기애 수준을 고·저집단으로, 자존감을 고·중·저집단으로 나누었다. 또한 Facebook에서 나타나는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참가자의 Facebook 계정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얻을 뒤, 연구 참여일을 기준으로 과거에 올렸던 게시물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전 연구를 바탕으로 Facebook 게시물을 유형별로 분류한 후 행동빈도를 채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Facebook 사용자들의 전반적인 행동 양상을 살펴본 결과, 자기관련 게시물이 비자기관련 게시물보다 많았고, 자기관련 게시물에서는 멀티미디어 유형이 가장 많았다. 글 게시물에서는 의견을 언급한 빈도가 가장 높았고, 사진/동영상 게시물에서는 본인의 사진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애와 자존감 수준에 따른 자기홍보행동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기애의 주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애 저집단과 달리, 자기애 고집단에서는 자존감이 저집단일 때, 1인칭 단수 대명사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애와 자존감 수준에 따른 비속어 수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섯째, 자기애와 자존감 수준에 따른 총 글자 수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기애의 주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기애와 자존감 수준에 따른 총 글자 수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기애와 자존감 각각의 주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Facebook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제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자기애적인 성향과 불안정하게 너무 높거나 낮은 자존감을 가진 사람들이 자신의 문제를 영속시키는 악순환적 과정을 이해하고 자각하도록 돕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Numerical Studies on Viscoelastic Characterization of Polymeric Fluids: Relaxation Spectrum and LAOS of Viscoelastic Models : 고분자 유체의 점탄성 분석을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응력완화분포 및 대변형 진동 전단유동에서의 점탄성 모델

        배정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고분자 유체의 유변학적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어왔다. 특히, 측정장비의 발달은 유변물성의 보다 정교한 측정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측정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는 변수를 파악하거나, 물리적인 의미를 갖는 해석을 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분석 알고리즘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 및 비선형 점탄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분자 유체의 유변물성을 분석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수치해석적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다양한 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선형 점탄성 데이터는 측정의 편리함 뿐만 아니라 복합유체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이러한 선형 점탄성 함수들은 완화시간분포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이 때 복합유체의 완화시간분포를 파악하게 되면, 이로부터 추가적인 측정 없이도 다양한 점탄성 함수를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완화시간분포의 결정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완화시간분포를 결정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다양한 알고리즘이 개발되어왔다. 하지만 이러한 알고리즘들은 복잡한 계산과정을 동반하거나, 적용 가능한 점탄성 데이터가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점탄성 데이터로부터 연속완화시간분포의 계산이 가능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중 로그 스케일에서의 다항식 근사를 이용한 이 알고리즘은 동적탄성률 뿐만 아니라 크립 컴플라이언스나 입자의 브라운 운동으로 측정된 평균자승변위 데이터로부터 연속 완화시간 분포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이에 비하여 점탄성 모델의 계산에 주로 사용되는 이산형 완화시간분포의 결정은 유일성의 문제를 갖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형 완화시간분포와 이산형 완화시간분포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가정을 제한식으로 사용하여 이산형 완화시간분포를 결정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알고리즘을 다양한 점탄성 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그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고분자의 유변물성과 분자량 분포 사이의 혼합 관계식을 이용하여 단분산성 고분자 혼합물의 완화거동분석을 예측하였다. 비선형 점탄성 거동은 선형 점탄성 거동에서 나타나지 않는 고분자 의 미시구조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대변형 진동 전단 유동은 미세관 유동이나 연신 유동에 비하여 보다 편리한 비선형 점탄성 거동의 측정방법으로써 이를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비선형 점탄성 모델을 이용한 분석은 대변형 전단 유동 데이터로부터 다양한 유동에서의 비선형 점탄성 거동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에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모델을 이용하여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비선형 점탄성 파라미터의 결정이 필요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파라미터의 결정법은 상당히 많은 양의 수치적 계산과 측정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점탄성 모델의 비선형 점탄성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복잡한 유도과정을 필요로 하는 해석해의 계산을 대신하여 미분형 모델의 비선형 점탄성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편리한 방법을 제공한다. 더불어 적분형 모델인 K-BKZ 모델의 비선형 점탄성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해석해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 매우 간단한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큰 변형률을 갖는 전단 유동에서의 데이터도 잘 예측하는 파라미터가 얻어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t has been spotlighted to find more powerful and effective method for analyzing viscoelastic behavior of polymeric fluids. Progress of measuring devices and computing power facilitates to obtain accurate data with high resolution in viscoelastic measurements. However, there still exist inevitable experimental errors and limitations of equipment. Hence, it is indispensable to study the numerical method extracting desired information from measured viscoelastic data. It is well known that linear viscoelasticity describes the relaxation behavior of polymer chains. Determination of the relaxation spectrum is an effective way to investigate the relaxation of polymer chains in melt or solution state. Furthermore, well-determined relaxation spectrum enables prediction of various linear viscoelastic functions based on the concrete foundation of linear viscoelasticity. Extracting relaxation spectrum is a representative ill?posed problem.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develop the method for inferring relaxation time spectrum. However, these methods have demerits such as a difficulty of assigning an adequate parameter for the nonlinear regularization, precedent steps estimating knots or limitations on applicable kernel functions. Therefore, it is still the cynosure to develop effective method inferring relaxation spectrum. In this study, new algorithms for continuous and discrete relaxation spectra are developed by use of power series approximation in double-logarithmic scale. Although there have been doubts for the uniqueness of discrete relaxation spectrum, discrete spectrum is necessary for multi-mode model calculations. Even though the nonlinear regression is the most common method for discrete relaxation spectrum, nonlinear regression is open to a risk of being confronted by unrealistic results such as negative spectra. The other algorithms involve arbitrariness of operators. Consequently, a systematic method for discrete relaxation spectrum is still required for many researchers. In this study, an algorithm for discrete relaxation spectrum is developed based on a plausible approximation. The algorithm is applied to diverse linear viscoelastic data including model spectrum and experimental data. Although linear viscoelasticity is informative and simple to measur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D) of polymer chains veils the precise information on microstructure of molecules such as temporary networks formed by intramolecular interactions or the effects of branches on polymer chains. It has been believed that large amplitude oscillatory shear (LAOS) is a useful tool to investigate the nonlinear viscoelastic behavior of materials because of its simplicity. A number of researchers focused on nonlinear viscoelastic models to predict and analyze the nonlinear viscoelasticity. If there is a well?established viscoelastic model and well-estimated parameters, viscoelastic behavior can be predicted without additional measurements. Previous researchers have determined nonlinear parameters by dynamic regressions that correspond to reputations of solving constitutive equations and comparison between the numerical solutions and experimental data. Because dynamic regressions demand numerous calculations as well as experimental data, analytical solutions have been emerged as a breakthrough for determination of nonlinear parameters. Several researches tried to derive analytical solutions based on the power series expansion. However, the power series expansion has an inherent problem caused by radius of convergence. In this study, semianalytical solutions (SAS) are derived for the Giesekus and the Phan-Thien and Tanner model by use of scaling relations of LAOS. It is found that the SAS describe the nonlinear behavior of constitutive equations even for highly large amplitude oscillatory shear. The SAS play a role of analytical solutions for determining the nonlinear parameter. The scaling relations are also applied to numerical solutions of the separable K-BKZ model. It is found that nonlinear parameters of various damping functions can be easily determined by use of scaling relations for LAOS.

      • Development of New Anti-Windup Techniques for Cascade Control System : 캐스케이드 제어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안티 와인드업 기술의 개발

        배정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M.S. thesis, the anti-windup techniques for the cascade control system are newly developed. And, the best one among the anti-windup techniques developed for the cascade control system is applied to the automation software, PROMONICON. Cascade control system has an additional internal feedback control loop for rejecting disturbances more effectively than the conventional control system. So, the cascade control system has two control loops, and the secondary control loop has an effect on the primary control loop. The anti-windup techniques for the cascade control system are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two features of the cascade control system. The conventional anti-windup in the cascade control system uses the back calculation as the first and second anti-windups, but it cannot remove the integral windup perfectly. First, the modified anti-windup techniques in the cascade control system use the third anti-windup based on the conventional anti-windup techniques of the conditional integration and back calculation. The other, a new predictive anti-windup technique for the cascade control system is for the secondary controller output not to be saturated in the whole time. The conditional integration and back calculation as the third anti-windup on the conventional anti-windup remove overshoot according to the integral windup effectively which is not removed in the conventional anti-windup. But, they cannot be applied to industrial control systems because of their disadvantages. The modified conditional integration shows that a little overshoot is remained, or settling time increases in some cases. And, the modified back calculation demands the static gain of the secondary process for good control performance and doesn't reach or passes the set value when the static gain of the secondary process is not within the allowable range of the static gain. The predictive anti-windup technique for the cascade control system is a new anti-windup technique that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primary controller output are adjusted for the secondary controller output to be within the limits of the secondary controller output in real time before the primary controller output is calculated. It shows better control performance than the modified conditional integration and back calculation in the most cases and conditions. Also, it doesn't demand an additional factor for good control performance. The new predictive anti-windup technique for the cascade control system is applied to the automation software, PROMONICON. PID controllers in PROMONICON-Automation have noise suppressing technique for overcome that the derivative part of the PID controller is very sensitive to measurement noise when the sampling time is small. So, the predictive anti-windup technique by considering noise suppressing is applied to PROMONICON, and it shows good control performance. 본 석사학위논문에서는 캐스케이드 제어 시스템을 위한 안티 와인드업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또한, 개발된 안티 와인드업 기술 중 가장 적합한 기술을 자동화 소프트웨어인 PROMONICON에 적용하였습니다. 캐스케이드 제어 시스템은 외란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내부에 되먹임 제어 루프를 추가한 제어 시스템입니다. 캐스케이드 제어 시스템은 일반적인 제어 시스템과는 다르게 두 개의 제어 루프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의 2차 제어 루프가 외부의 1차 제어 루프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캐스케이드 제어 시스템에 적용하는 기존의 안티 와인드업은 1차 제어기와 2차 제어기에 각각 Back Calculation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이는 적분 와인드업으로 인한 오버슛을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합니다. 기존의 안티 와인드업 기술인 Conditional Integration과 Back Calculation을 이용한 수정된 안티 와인드업 기술은 기존의 캐스케이드 제어 시스템을 위한 안티 와인드업에 2차 제어기의 출력이 한계치에 도달했을 때 1차 제어기의 적분 부분을 조정하는 3번째 안티 와인드업을 추가하였습니다. 하지만 3번째 안티 와인드업에 Conditional Integration을 적용하였을 때, 약간의 Overshoot이 남아있거나 정착 시간이 길어지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또한 Back Calculation을 적용하였을 때는, 보정 계수를 위한 2차 공정의 Static Gain을 정확한 값으로 넣어주면 Conditional Integration보다 좋은 제어 성능을 보였지만 2차 공정의 Static Gain을 허용 범위 밖의 값으로 넣어주면 목표치에 도달하지 않거나 목표치를 지나쳐버렸습니다. 3번째 안티 와인드업에 Conditional Integration과 Back Calculation을 적용한 안티 와인드업 기술은 기존의 캐스케이드 제어 시스템을 위한 안티 와인드업보다 좋은 제어 성능을 보였지만 이러한 약점들 때문에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습니다. 새로운 안티 와인드업 기술인 Predictive Anti-Windup Technique for Cascade Control System은 2차 제어기의 출력이 한계 값을 벗어나지 않도록 1차 제어기의 한계 값을 계산하여 제어하는 기술입니다. 이 경우, 2차 제어기의 출력이 한계치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1차 제어기의 출력이 한계치에 도달했을 때 1차 제어기의 적분 파트를 조정하는 1번째 안티 와인드업만 필요로 합니다. Predictive Anti-Windup Technique for Cascade Control System을 적용하였을 때, 수정된 Conditional Integration과 수정된 Back Calculation보다 좋은 제어 성능을 보였고 이러한 제어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값을 요구하지 않았습니다. 개발된 Predictive Anti-Windup for Cascade Control System을 자동화 소프트웨어인 PROMONICON에 적용하였습니다. PROMONICON의 PID Controllers에는 샘플링 시간이 짧을 때 PID 제어기의 미분 부분이 측정 잡음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Noise Suppressing 기술이 적용되어 있으므로 Predictive Anti-Windup을 위해 1차 제어기의 한계 값을 계산할 때 Noise Suppressing를 감안하여 계산하도록 하여 PROMONICON에 적용하였습니다. Predictive Anti-Windup for Cascade Control System이 적용된 PROMONICON으로 가상의 공정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 좋은 제어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내부 정렬 알고리즘 학습을 위한 웹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

        배정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을 이용한 웹의 활용가치가 각 산업분야에 인식되면서 웹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도 기존의 컴퓨터 보조 수업(CAI) 프로그램들이 인터넷을 통한 웹기반 교육(Web Based Instruction) 프로그램으로 개발되고 있는데, 이는 인터넷상의 정보획득이 보편화되었으며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더욱 다양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교 전산학과 저학년 학생들에게 필수적인 자료구조 과목에서 자료처리에 사용되는 내부 정렬(Internal Sort) 알고리즘을 주제로 한 웹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구현된 프로그램은 내부 정렬 알고리즘들의 특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내부 정렬 알고리즘에 대한 이론 학습과 정렬과정을 직접 시뮬레이션 해 볼 수 있는 실습 과정으로 구성되었는데 특히 웹의 멀티미디어적 특성을 살림으로써 학습자가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고 정렬 알고리즘을 직접 실행해 볼 수 있다. World Wide Web상에서의 교육을 가능하게 해 주는 본 웹기반 교육 프로그램은 내부 정렬 알고리즘 이론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고 웹을 이용한 원격 교육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s applications of the world wide web by means of the internet to many areas usually make jobs done easier, several systems based on the web are also developed for each application field. For education, the early method of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s has been improving into web based instructions through the web, which means we can get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e web at any moment and at any place where a computer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In this thesis, we developed a web based instruction system that simulates the principal behavior of each step of some internal sorting algorithms, which are fundamental problem-solving approaches to understand basic data structures for students in the first or second year of the course at th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The system displays the movement of each element graphically and dictates to a user what is going on for each step when the sorting algorithm is running, and has interactive buttons to start, stop, and continue the sorting procedure. The web based instruction system makes students easier under-stood the theory of the internal sorting algorithms through the world wide web. Therefore, we have proposed a new application of the web to education using multimedia techniques.

      • 태권도 공연의 관객개발 방안 연구

        배정은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관객의 입장에서 바라 본 태권도 공연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관객개발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태권도’는 대한민국의 전통무예로서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 상품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이 분명하다. 태권도 시범을 통해서 해외 수많은 사람들이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현재 태권도 시범은 단순히 태권도를 보여주고 국위선양에만 힘쓰는 것이 아닌 공연예술로서 발전하여 대한민국의 문화적 가치를 높이고자 한다. 하지만 대중적으로 알려지기 보다는 태권도 관련 직에 있는 사람들, 전공자, 수련자들 위주로 태권도 공연이 알려져 있으며 공연예술로서 인정받기에는 미흡한 점들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태권도 공연에 대한 대중들의 의견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Alan R. Andreasen이 제시한 공연예술 수용과정 단계(무관심, 관심, 시도, 긍정적 평가, 수용, 확신)를 태권도 공연에 적용시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00명의 설문 응답자를 대상으로 ‘태권도 공연예술 수용과정 단계’에 적용시킨 결과 태권도 공연에 대하여 무관심 14%, 관심 15%, 시도 16%, 긍정적 평가 18.5%, 수용 12.5%, 확신 24%로 나타났다. 이들의 설문 결과를 통해 태권도 공연예술 수용과정 단계별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는 바이다. 첫째, 무관심 단계에서 관심 단계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태권도 공연에 대한 홍보와 비(非) 수련생들도 함께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스토리 소재가 필요하다. 태권도에 대한 이해가 어려우며 딱딱하고 낯설 것 같다는 인식이 강한 무관심 단계의 사람들에겐 이러한 인식들을 바꿔줄 수 있는 태권도 공연 홍보와 스토리 연출이 필요하다. 둘째, 관심 단계에서 시도 단계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태권도 공연에 대한 활발한 홍보가 필요하다. 관심 단계의 응답자들은 관심이 있는데 태권도 공연에 대한 특별한 정보가 없어서 관람을 하지 못했다고 하였다. 셋째, 시도 단계에서 긍정적 평가 단계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스토리 소재와 태권도 공연이 가능한 공연장, 다른 요소들과의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다. 태권도 공연의 문제점들로 인해 향후 재 관람 의사가 없다고 말한 시도 단계의 응답자들은 이러한 부분이 잘 보완되고 해결된다면 시도 단계의 응답자 모두가 향후 재 관람 의사가 있다고 하였다. 넷째, 긍정적 평가 단계의 모든 응답자들은 태권도 공연에 관심이 있었고 향후 태권도 공연 관람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긍정적 반응으로 이들은 수용 단계로 바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하지만 이들이 말한 태권도 공연의 문제점으로는 시도 단계 사람들과 비슷한 견해를 보였는데 새로운 스토리 소재 부족, 태권도 공연이 가능한 공연장 제한, 다른 요소와의 적절한 조화 필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긍정적 단계의 관객들이 향후 더 높은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다섯째, 수용 단계에서 확신 단계로 가기 위한 방안으로는 새로운 스토리 소재와 배우들의 연기력 필요이다. 수용단계의 응답자들은 태권도 공연의 문제점으로 새로운 스토리 소재 부족과 배우들의 연기력이 미흡하다고 응답 하였다. 이로 인해 향후 태권도 공연의 재 관람 의사가 없다고 말하였지만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태권도 공연을 기획한다면 수용단계의 96%가 관람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다. 여섯째, 마지막 확신 단계의 관객들은 태권도를 수련해 본 사람들이 대부분이었고 전공자들이 반 이상을 차지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은 태권도에 대한 관심이 아주 높았고, 태권도 공연을 좋아했다. 하지만 이들이 말한 태권도 공연의 문제점으로 새로운 스토리 소재 부족, 다른 요소와의 적절한 조화 필요, 배우들의 연기력 미흡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따라서 확신단계의 관객들을 유지시키고 열성적인 공연 참여자로 발전시키기 위해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태권도 공연을 기획하여야 한다. 각 단계별 분석을 통해 공통적인 내용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제시하는 태권도 공연의 관객개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공연의 홍보 활성화, 둘째, 태권도 공연의 새로운 스토리 소재이다. 권선징악, 선과 악, 대립 등의 틀에 박힌 스토리 연출에서 벗어나 새롭고 다양한 스토리 연출을 해야 한다. 즉,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태권도 공연의 관객개발 방안을 통해 태권도인들 뿐만 아니라 비(非) 태권도 인들도 함께 공감할 수 있는 태권도 공연을 기획한다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태권도 공연예술 수용과정’의 각 단계별 발전이 가능할 뿐더러 태권도 공연의 높은 문화 상품적 가치에 비례하는 대중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plans of audience’s development for Taekwondo performance and investigates a problem that is not popularized compared to its high culture value. In order to do that, this study considered audiences’s stances on Taekwondo and made ‘The Taekwondo Performing Arts Adoption Process’, applying ‘The Performing Arts Adoption Process’ by Alan R. Andreasen. It is six stages about Taekwondo performance(Disinterest, Interest, Trial, Attempt, Positive evaluation, Adoption,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each stage, It is drew audiences’ common answers. Ultimately, planning of audience’s development for Taekwondo performance is followed. First, promote publicity of Taekwondo performance. Second, the necessity for new subject matters of story. As a result of this study, by complementing problems of Taekwondo performance and making the quality of performance higher, It is possible for the audiences to improve for each stage of The Taekwondo Performing Arts Adoption Process. Also, It is possible to have popularity, being directly proportional to its high culture value.

      •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환자교육 실태

        배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혈액투석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혈액투석 환자에게 제공하는 교육수행정도를 파악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혈액투석환자 교육프로그램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경기도,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는 19개 병원 혈액투석실 간호사 160명이며, 자료 수집기간은 2004년 5월 15일부터 5월 30일까지 총 16일간 이었다. 연구도구는 국내외 문헌고찰과 미국의 National Kidney Foundation, 서울 A 병원에서 제공하는 교육내용을 통하여 작성하였으며, 일반적 특성과 혈액투석관련 내용 총 8개 영역 3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모두 여성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31.13세로 22세에서 43세의 분포를 보였으며 기혼이 64.4%를 차지했다. 최종학력은 전문대졸이 68.8%, 대졸이상이 31.2%였다. 총 병원 근무경력은 평균 8.15년, 혈액투석실 근무경력은 평균 5.43년 이었으며, 개인병원이 57.5%, 종합병원 42.5%였다. 2. 간호사의 총 교육수행정도는 5점 만점에 평점평균 4.00±0.75이었고, 혈관관리영역 4.37±0.72, 식이영역 4.32±0.72, 수분제한영역 4.30±0.82, 만성신부전영역 4.10±0.99, 투약영역 4.08±0.87 , 혈액투석영역 4.00±0.83, 신장의 해부생리영역 3.84±1.09, 재활영역 2.94±1.04순이었다. 3. 혈액투석환자 교육관련 특성에서 환자교육용 책자를 구비하고 있음 92.5%, 환자교육을 총괄하는 교육간호사가 있음 65%로 나타났다. 환자교육방법으로는 교육책자 없이 구두로 만 하는 경우 50.6%, 교육책자나 메모지를 이용함 49.4%로 나타났으며, 정기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있음 12.5%, 가족을 참여시키는 교육은 40.6%로 나타났다. 투석 전 사전교육은 46%가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필요 시 환자교육 타과 의뢰 여부에 관해서는 60%가 의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석 초기 체계적인 환자교육은 62.5%가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교육 수행 저해요인으로는 시간부족 81.9%, 지식부족 6.2%, 교육의 중요성 인식부족 3.8%의 순이었다. 4. 간호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업무관련 특성, 교육관련 특성에 따른 교육수행정도 차이에서는 병원유형별(t=14.22, P=.000), 최종학력(t=-4.30, P=.000), 혈액투석실 근무경력(F=2.86, P=.38), 교육간호사 유무(t=4.21, P=.000), 교육방법(t=-5.58, P=.00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정기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있음 12.5%, 가족을 참여시키는 교육을 함 40.6%, 재활영역 환자교육 수행정도가 5점 만점에 평점평균 2.94±1.04로 나타나 혈액투석 환자교육을 혈액투석을 시작하기 전 만성신부전 단계부터 가족을 참여시킨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고, 재활영역의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학제 간 팀 접근 교육활동을 제언한다. This is a descriptive study attempting to identify the level of education nurses provide to hemodialysis patients. The subjects of research were 160 nurses in hemodialysis rooms in 19 hospitals in Seoul, Kyonggido, and Busan. The data was collected over 16 days from May 15 to 30, 2004. Research tools were created through examin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publications, the US National Kidney Foundation, and the training contents provided by Hospital A in Seoul, with 39 questions in a total of 8 categories concerning general features and hemodi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Scheffe test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tudy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general features of the subjects, they were all female, with an average age of 31.13 ranging from 22 to 43 in age, of which 64.4% were married. As for religion, 36.9% were Christian, 13.1% Catholic, and 39.4% without religion. Education level was 68.8% for 3-year college graduates and 31.2% for university graduates. 2. The total training completion score for nurses was a grade point average of 4.00±0.75 out of 5, and the average was in the order of 4.37±0.72 for vascular access management, 4.32±0.72 for dietetic treatment, 4.30±0.82 for fluid restriction, 4.10±0.99 for chronic renal failure, 4.08±0.87 for medication, 4.00±0.83 for hemodialysis, 3.84±1.09 for anatomical physiology of kidneys, and 2.94±1.04 for rehabilitation. 3. In terms of hemodialysis patient education feature, 92.5% had patient training manual available and 65% had training nurses supervising patient education. As for the method of patient training, 50.6% provided training verbally without a training manual, 49.4% used training manuals or memos, and 12.5% had regular training programs. Also, 40.6% provided family participation training. It was found that 46% provided training predialysis education, and if necessary, 60% requested other department training for patients. The systematic patient training at initial dialysis was provided by 62.5%. Interferences for patient training were found in the order of lack of time for 81.9%, followed by lack of knowledge, and lack of recognizing the value of training. 4.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evel of training based on the nurse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eature, job-related feature, and education-related feature depending on the type of hospital (t=14.22, P=.000), level of education (t=-4.30, P=.000), career experience in hemodialysis (F=2.86, P=.38), availability of training nurses (t=4.21, P=.000), and method of training (t=-5.58, P=.00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