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공비탈면 녹화를 위한 야생화와 목본식물의 종자파종에 관한 연구

        배선우 단국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자연환경의 급속한 악화를 막으며 환경친화적인 건설기술로써 적용 가능한 인공비탈면의 녹화방법을 실현하기 위하여 자생 초, 목본 식물들을 대상으로 배합기준 및 식물선정의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그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목림 위주의 수림을 조성하기 위해 무조건 값비싼 교목종자의 파종량을 증가시키는 것만으로는 그 효과를 볼 수 없으며, 녹화식물(야생화, 관목, 교목)간 적당한 생육경쟁을 통해 식생구조를 정착시키는 것이 중요하였다. 2. 인공비탈면의 녹화 시 지나친 목본식물의 우점은 하층부 식생의 붕괴를 가져와 종다양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며 식물의 생육특성, 발아율, 녹화식물간의 상관관계를 참고한 종자배합을 통해 식물군락의 종다양성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야생화, 관목, 교목을 이용한 인공비탈면의 녹화 시 빠른 피복효과를 위해서는 야생화의 배합비를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하였다. 4. 녹화식물로 야생화 종자와 소나무 종자만을 이용하였어도 충분한 녹화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소나무를 녹화용 식물로 이용하여도 생육이 가능하였다. 5. 종자파종에 의한 인공비탈면의 생태복원녹화를 위한 자생 초, 목본식물의 파종량은 발아기대본수를 ㎡당 2,000본을 파종하는 것이 비탈면의 안정적인 녹화와 조기녹화를 위해 바람직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design criteria to select revegetation plants and to decide proper seed mixture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disturbed manmade slopes as a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truc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seed mixture experiment, it was not effective onl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ratio of the tree seeds, relatively high price, for making woody vegetation. It would be more successful to make vegetation structure by natural competition among wild flowers, shrubs and trees. 2. The excessive dominance of trees in revegetation works may destroy the lower layer of vegetation and it will be undesirable on the species diversity.It is more important to recover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plant community by seed mixture with the considering the germinati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lation effect among revegetation plants. 3. To recover the manmade slopes quickly, increasing the ratio of the wild flower was recommended. 4. Only using pine trees and wild flowers as revegetation species can get the sufficient effect for the recovering. So, pine trees can be used as revegetation species. 5. The most proper number of the expected seedlings per square meter was 2,000 per square meter to make stable rehabilitation and early coverage of the manmade slopes.

      • 공동주택 재생사업에서 친환경적 외부공간 조성을 위한 계획지표 연구

        배선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With increasing demands for the improvement of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of large-scale apartment hoses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quantitative supply of residence in the 1980s, there is a need to present efficient alternatives. In a related move, regeneration measures such as reconstruction and remodeling projects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reconstruction projects are faced with many difficulties in the implementation due to the real state downturn, and remodeling projects have failed to consider regeneration measures of the external environmen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establish environment-friendly measures to meet the requirements of local residents and minimize economic burden at the same time as considerations for the external environment in the apartment house regeneration projects. This study is aim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resident satisfaction by reflecting the needs from residents in the apartment house regeneration projec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reation of environment-friendly environment by establishing reasonable and effective planning indicators for the outer space of apartment houses. Towards this end, status assessment of deteriorated apartment houses and apartment complex for reconstruction was carried out, and questionnaire survey of professionals and residents was performed. The key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status assessment o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apartment houses showed that deteriorated apartment houses pose problems of ground space occupied by parking lots, circulation system that does not take the safety of pedestrians into account, lack of linkage with surrounding greenery and insufficient residents' community facilities, but they have advantages of providing the sufficient shade of trees in green space. The reconstructed apartment complex made it possible to operate programs for activating resident communities by build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and creating a variety of community spaces such as greenery and public square on the ground space. A look at the survey of professionals and local residents revealed that improvement of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 of greenery and ecological environment and measures to activate community are needed as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elements, and the introduction of public square and community space,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is most important among others. Community spaces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the current aging society. In this regard,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munity space needs to be actively introduced to the external space in addition to the internal space within the building in the apartment house regeneration projects, and it is also required to introduce a variety of community activation programs such as hobby clubs,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sports and cultural activities and commissioned management of pe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ecological greenery with a multi-layer structure by utilizing big and old trees of deteriorated apartment houses for environment-friendly regeneration, and to apply regeneration measures such as the connection of greenery axes and installation of rainwater retention systems. The planning indicators for the creation of environment-friendly external environment were appli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steps according to the expected effects of apartment complex regeneration from both phys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square construction, improvement of playground and athletic facilities, underground parking lots and facilities in the complex for the adjustment of circulation system, ecological and water environment) and social and environment aspects (community space, programs). Among methods for application of planning indicators (square, playground and athletic facilities improvement, greenery axis connection and management) for step 1, management of greenery facilities was designed to take the advantage of the existing greenery by maintaining the existing big and old trees and greenwood trees with excellent tree type. Step 2 was made to enhance eco-friendliness by adding planning indicators of community space, ecological greenery and water space (ecological pond and mountain stream) to planning indicators required to be applied for Step 1. In step 3, the introduction of underground parking lots and activity spaces for the old as well as community programs, including readjustment of auxiliary facilities for residents to planning indictors for step 1 and 2 was proposed, and application methods were presented.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emphasizes the need for the regeneration of the external space from the aspect of the landscape in addition to implementation methods for reconstruction and renovation of the existing structures and proposes the planning indicators. However, there is a need to conduct continuous research on the efficient regeneration measures by helping to activate private investment through multilateral review of relevant laws and institutions, devising plans to expand government support and analyzing economic feasibility. 1980년대 주거의 양적 공급을 목적으로 건설된 대규모 공동주택의 열악한 주거환경에 대한 개선 요구가 증대되고 있어 효율적인 대안 제시가 필요하다. 재건축사업, 리모델링 사업과 같은 재생방안이 도입 되었으나 재건축사업은 부동산 침체로 시행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리모델링 사업은 외부 환경의 재생 방안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 재생사업 시 외부환경에 대한 고려로써 지역 주민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친환경적인 방안 마련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 재생사업에서 주민 요구를 반영하여 주민 만족도 제고에 기여하고,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계획지표를 마련함으로써 친환경적인 단지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노후된 공동주택과 재건축 단지의 현황평가를 실시하고 전문가 및 거주민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동주택 외부환경에 대한 현황평가 결과 노후된 공동주택단지의 경우 지상공간의 주차장 점유,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동선체계, 주변 녹지와의 연계 미흡, 주민 커뮤니티 시설 부족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는 반면에 녹지공간에서 노거수의 풍부한 녹음이 제공되는 장점이 있었다. 재건축 단지는 지하 주차장을 조성하여 지상 공간에 녹지, 광장 및 다양한 커뮤니티 공간이 조성되어 거주민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운영이 가능하였다. 전문가 설문과 지역 주민의 설문 결과 친환경적 계획요소로 물리적 환경개선, 녹지 및 생태환경 개선,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 등이 필요하고 그 중 지역 주민의 생활과 직접적 관련이 높은 광장이나 커뮤니티 공간 등의 도입이 중요하다고 조사되었다. 커뮤니티 공간은 노령화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 있어 중요하고, 공동주택 재생 사업 시 커뮤니티 공간을 건축물에만 조성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공간에도 적극 도입해야 할 것이며, 취미 동호회, 사회봉사 활동, 운동 및 문화 활동 프로그램, 애완동물 위탁 관리 등 다양한 커뮤니티 활성화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친환경적인 재생을 위해 노후 공동주택의 노거수를 활용하여 다층 구조의 생태녹지를 조성하고 녹지축 연결 및 우수저류 시스템을 설치하는 등의 재생방안 적용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외부공간 조성을 위한 계획지표는 물리․환경적 측면(광장 조성, 운동장․체육시설 등의 개선, 주차장 지하화, 동선체계 조정 등의 단지지설물, 생태환경 및 수 환경)과 사회․환경적 측면(커뮤니티 공간,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단지재생의 기대효과에 따라 3단계로 등급을 구분하여 적용하도록 하였다. 1단계 계획지표(광장, 운동장․체육시설 개선, 녹지축 연결 및 관리)의 적용 방안 중 녹지시설 관리의 경우 기존 노거수 및 우수 수형의 녹음수를 존치하거나 이식하도록 하여 기존 녹지의 장점을 살리도록 하였다. 2단계는 1단계 필수적용 계획지표에 커뮤니티 공간, 생태녹지, 수 공간(생태연못 및 계류)의 계획지표를 추가하여 친환경성을 제고하도록 하였다. 마지막 3단계는 1, 2단계 계획지표에 주차장 지하화, 노인 활동 공간 도입 및 주민 부대시설 재정비 등 커뮤니티 프로그램 도입을 제안하고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건축물 중심의 재건축 및 리모델링 시행 방안 외 조경적 측면에서 외부공간 재생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에 대한 계획지표를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하지만 법‧제도에 있어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 민간 투자를 활성화하고 정부지원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 경제성 분석 등을 통한 효율적인 재생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 유성 볼밀링으로 제조된 TiB2 입자강화 Fe 기지 복합재료 분말의 방전플라즈마소결

        배선우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재 마이크론 크기 이하의 세라믹스 입자가 분산된 강화 재료는 초경(WC-Co) 대체 재료로서 주목받고 있다. 초경재료는 높은 경도와 융점, 고 내마모성을 가지는 재료이지만, 가격이 비싸고 가공성이 비효율적인 이유로 Fe계 세라믹스 분산강화재료를 개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Fe-TiB2 복합재료는 내마모성, 열적 안정성 등 우수한 특성의 TiB2 세라믹스 입자를 강화재로 사용하는 금속기지 복합재료이며, 초경재료와 비견되는 높은 경도와 융점을 가지지만 가격이 저렴하며 가공성이 용이하다. 일반적으로 금속기지 세라믹스 강화입자 복합재료 제조방법은 분말야금법이 많이 사용되는데,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열적 안정성을 위해서는 금속 기지상의 연결과 세라믹스 입자의 미세 균일 분포가 중요하다. 분말야금 중 고에너지 볼 밀링 공정은 미세하고 균일 분산된 복합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성 볼밀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두 가지 Fe-TiB2 복합재료 분말을 준비하였다. 첫 번째 복합분말은 기존의 일반적인 분말야금에서 사용하는 단순 혼합 밀링법으로 Fe 분말과 TiB2 분말을 혼합한 FT 분말(ex-situ기법), 두 번째 복합분말은 FeB 분말과 TiH2 분말을 혼합 및 분쇄시킨 후 TiB2 합성온도에서 열처리한 FBT 분말(in-situ기법)이다. 분말 분석 결과, FT 분말의 평균입도는 1.1μm, FBT는 1.4μm로 두 가지 분말 모두 미세한 분말이 제조되었으나, 서로 다른 미세조직을 나타내었다. 두 복합분말 모두 등축상의 형상을 보였으나, FT 보다 FBT 분말의 입도 미세화, 입자 균일성, TiB2 분산성이 우수하였다. 소결 조건을 찾기 위해 제조된 복합분말들을 방전플라즈마 소결하여 수축률 곡선과 치밀화 곡선을 구하였으며, FT분말은 1150℃, FBT분말은 1080℃에서 수축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치밀화 거동을 살펴보기 위해 각 온도별 구간을 정하여 소결체의 파단면을 조사하였다. 상대밀도는 FT 분말 소결체의 경우 1150℃에서 99.6%, FBT 분말 소결체의 경우 1080℃에서 99.8%이었다. 소결체 미세조직에서 FT 분말 소결체는 수 μm 이상의 조대한 TiB2 입자들이 Fe 기지 내에 불균일 분산되어 있으며, 반면에 FBT 분말 소결체는 아주 미세한 TiB2 입자들이 Fe 기지 내에 균일 분산되었다. 상온에서의 비커스경도는 각각 1821 Hv10, 1998 Hv10으로 FBT 분말 소결체가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상담수련생을 위한 알아차림 훈련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효과

        배선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 수련생을 위한 알아차림 훈련이 상담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상담 수련생에게 알아차림 훈련과 상담기술교육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내담자는 경기도 소재 D 대학교 1~3학년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31명과, 상담자는 같은 대학교 석·박사 31명을 알아차림 실험집단 20명, 상담기술 비교집단 24명, 통제집단 18명으로 무선 배치하였으며, 총 5회기 단기 상담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알아차림 훈련을 받은 상담자의 프로그램 효과성이 상담 성과에 변화를 주는지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인 상담자의 알아차림 훈련은 불교의 위빠사나 수행인 좌선과 행선, 생활 선과 묵언으로 진행하였으며, 비교집단인 상담기술은 상담 면접 관련 기술을 위주로 D 대학 강의실에서 8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내담자는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 척도, 상담자의 다차원적 공감반응 척도와 회기 평가(SEQ)의 깊이와 순조로움을 사용하였다. 상담자는 알아차림 방해요소와 회기 평가(SEQ)의 깊이와 순조로움을 사용하였다. 또한 매 회기별 변화 내용의 질적으로 탐구를 위해, 내담자와 상담자의 자기평가지 변화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본 연구자가 선정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그리고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비모수통계기법인 Kruskal-Wallis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알아차림 훈련이 내담자와 상담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Kruskal-Wallis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Bonferroni Correct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 알아차림 훈련이 상담자의 알아차림 방해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평균 순위가 통제집단, 비교집단 실험집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알아차림 훈련은 상담자의 알아차림 방해요소 감소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상담자 알아차림 훈련이 다차원적 공감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평균 순위가 통제집단, 비교집단 실험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 결과 다차원적 공감의 점수가 사전에 비해 낮아져 상담자의 다차원적 공감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이 결과는 상담자 알아차림 훈련이 다차원적 공감반응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시사해준다. 셋째, 상담자 알아차림 훈련이 내담자의 상담 회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평균 순위가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상담자의 알아차림 훈련은 상담 회기 중 내담자의 회기의 깊이에 효과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내담자의 상담 회기 순조로움은 평균 순위가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상담자의 알아차림 훈련은 내담자의 회기 순조로움에 효과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담자 알아차림 훈련이 상담자의 상담회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상담회기 깊이에서 평균 순위가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알아차림 훈련이 상담자의 상담 회기 깊이에 효과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담자 알아차림 훈련이 상담자의 상담 회기 순조로움에 대한 영향을 살펴본 결과 평균이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알아차림 훈련은 상담자의 상담 회기 순조로움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상담자의 알아차림 훈련이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평균 순위가 알아차림 훈련 집단, 상담기술 집단, 통제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알아차림 훈련과 상담기술은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상담 수련생을 대상으로 알아차림 훈련과 상담기술을 실시하여 알아차림 방해요소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한 프로그램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상담 수련생을 대상으로 알아차림 훈련과 상담기술을 실시하여 다차원적 공감반응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알아차림 훈련이 상담자의 다차원적 공감반응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임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상담 수련생을 대상으로 알아차림 훈련과 상담기술을 실시하여 회기의 깊이와 순조로움의 차이를 내담자와 상담자에게 비교하였다. 알아차림 훈련이 내담자와 상담자에게 회기의 깊이와 순조로움을 높이는 프로그램임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넷째, 상담 수련생을 대상으로 알아차림 훈련과 상담기술을 실시하여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상담자의 알아차림 훈련은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에 변화를 주는 프로그램임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