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GF에 유도된 T-47D 세포들에서 PTK6 SH2 부위와 Ras-GAP의 결합 분석

        배광민 연세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PTK6는 SH3, SH2, 그리고 tyrosine kinase의 catalytic 부위로 구성된 non-receptor protein tyrosine kinase이다. PTK6는 정상적인 mammary epithelial cell lines에서는 발현되지 않지만, T-47D 세포를 포함하는 약 60%의 유방암 세포주에서는 발현된다. Mammary epithelial cell에 PTK6를 인위적으로 발현시켰을때 epidermal growth factor (EGF)에 의한 mitogenic 효과가 보다 민감하게 되어 세포분열이 증가하였고, anchorage-independent한 세포증식을 보였다. 따라서 EGF에 유도된 유방암에 관련한 신호전달 과정에서 PTK6가 어떤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GF에 의해 활성화되어 PTK6 SH2 부위와 결합하는 단백질을 찾기 위해서, EGF에 유도된 T-47D 세포에 대해 GST-fused PTK6 SH2 부위를 사용한 pull-down assay를 수행하였다. GST와는 결합하지 않으나 GST-fused PTK6 SH2 부위와 결합하는 많은 수의 tyrosine-phosphorylation된 단백질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 120-kDa 단백질이 그 크기나 EGF에 의해 tyrosine 잔기가 phosphorylation 된다는 사실로 미루어 보아 Ras-GAP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항 Ras-GAP 항체를 사용한 western blot 실험으로 GST-fused PTK6 SH2 부위로 pull-down한 시료에 존재하는 120-kDa 단백질이 Ras-GAP임을 알 수 있었고, 항 Ras-GAP 항체를 사용한 immunoprecipitation으로 Ras-GAP과 PTK6가 결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TK6 SH2 부위에 결합하는 phospho-peptide를 사용한 PTK6 SH2 부위와 Ras-GAP의 결합저해 실험으로 Ras-GAP의 tyrosine-phosphorylation sequence가 PTK6 SH2 부위에 결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Ras-GAP의 phosphorylation된 tyrosine 잔기가 PTK6의 SH2 부위와 결합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PTK6 (also known as Brk) is a non-receptor protein tyrosine kinase with SH3, SH2, and PTK catalytic domains. PTK6 was not expressed in normal mammary epithelial cell lines, but expressed in many breast carcinoma cell lines including T-47D. Expression of PTK6 in mammary epithelial cells potentiates both their anchorage independent proliferation and their mitogenic response to epidermal growth factor (EGF), implying a role for PTK6 in growth regulation. In order to identify proteins interacting with the SH2 domain of PTK6 in response to EGF, we have performed a pull-down assay with the GST-fused PTK6 SH2 domain to the lysate of the EGF-stimulated T-47D cells. A number of tyrosine-phosphorylated proteins were precipitated with the GST-PTK6 SH2, but not with GST. Among these, a 120-kDa protein is thought to be Ras-GAP because of the size and the EGF-induced tyrosine phophorylation. The 120-kDa protein was confirmed to be Ras-GAP by western blot analysis of the pull-down sample with anti-Ras-GAP antibody. Immunoprecipitation with anti-Ras-GAP antibody showed that Ras-GAP co-precipitated with PTK6. Although the PTK6 and Ras-GAP interaction is mediated by both the SH3 and SH2 domains, but a tyrosine phosphorylated peptide binding to PTK6 SH2 domain inhibits interaction of PTK6 SH2 domain and Ras-GAP. It is suggested that tyrosine-phosphorylated sequences of Ras-GAP bind to the PTK6 SH2 domain with both high affinity and specificity. From these results, we propose that Ras-GAP interacts with PTK6 through its SH2 domain.

      • 해양조사선 참바다호의 조종성능에 관한 연구

        배광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경상대학교 해양조사선 참바다호(36tons)의 조종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DGPS를 이용한 선회권 측정실험과 정지 및 발동타력에 대한 실선실험을 실시하여 참바다호의 조종성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타각을 10˚로 하고 미속전진, 중속전진 및 고속전진일 때 최대종거는 각각 523.6m, 528.8m, 530.6m이었고, 최대횡거는 각각 799.9m, 792.1m, 807.7m로 나타났으며, 타각이 20˚일 때 최대종거는 각각 230.7m, 234.7m, 237.2m이었고, 최대횡거는 각각 294.5m, 325.8m, 333.5m로 나타났으며, 타각이 30˚일 때 최대종거는 각각 131.3m, 177.2m, 219.7m이었고, 최대횡거는 181.3m, 232.8m, 316.9m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타각과 선속에서 우선회시보다 좌선회시에 최대의 크기로 나타났다. 선회권의 크기는 타각이 클수록 작게 나타났고 선속이 증가할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우선회할 때 선회성능이 좋음을 알 수 있었다. 2. 타각이 10°, 20°, 30°일 때 최대종거는 각각 392.0m, 245.0m, 153.0m이었고, 최대횡거는 각각 528.0m, 339.0m, 218.0m로서 타각(x)이 커짐에 따라 최대종거(y)와 최대횡거(y1)는 지수함수적으로 작아졌고 다음과 같은 회귀식으로 나타났다. y = 628.12e-0.0471x y1 = 822.12e-0.0443x 3. 발동타력을 시험한 결과 선속 7.0kts, 12.0kts, 17.0kts가 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각각 127초, 145초, 181초, 진출거리는 각각 379.8m, 844.6m, 1,259.8m로 나타났다. 정지타력은 선속 2.0kts이하로 감속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각각 245초, 269초, 300초, 진출거리는 각각 114.4m, 181.2m, 197.0m로 나타나 선속의 증가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으며, 침로변화는 선수가 우현으로 3° 변화하였다. 4. 참바다호는 Skeg의 부착으로 인해 타각이 작을수록 선회권의 크기가 크고 선회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 선회권의 크기와 조종성능을 고려한 조선이 요구된다.

      • 직업기초능력 인식수준 및 교육요구 분석 : G공업고등학교 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 시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배광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특성화고등학교의 재학생, 졸업생, 교사, 나아가 채용기관인 기업체 근로자 들을 중심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을 파악하고, 기업분야 중 기계계열, 전기․전자․반도체계열, 건축․토목․건설계열 영역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우선순위를 결정, G공업고등학교 직업기초능력 교육 과정 편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내용으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대한 일반적 개념, 국가직무능력표준 교육과정의 개념과 연구기관으로 선정된 G공업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편현황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직업기초능력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기존 연구 자별 직업기초능력의 분류형식을 10개 영역별로 구분하여 개념을 정리하 였다. 이를 토대로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적용을 위한 직업기초 능력 교육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10개 영역(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자원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 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의 34개 하위영역(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 력, 경청능력, 언어구사력 ,기초외국어능력, 기초연산능력, 기초통계능력, 도표분석능력, 도표작성능력,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자아인식능력, 자기개 발능력, 경력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 예산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인적자원관리능력, 팀웍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 스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 적용능력, 국제감각, 조직체제이해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 근로윤리, 공동체윤리)별로 설문문항을 개발하였으며, 현재수준과 중요도를 근거로 집단별 인식수준을, 기업근로자의 기대수준을 중심으로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와 교육과정을 기업규모․분야별로 제시하였다. 연구는 직업기초능력과 중등직업교육과정, G공업고등학교 국가직무능력 표준 교육과정 개편과 동향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집단(재학생, 졸업생, 기업담당자)간 직업기초능력의 인식수준을 비교하였다. 또한 기업근 로자를 중심으로 특성화고 출신 졸업생이 갖추고 있는 직업기초능력의 현재수준과 향후 졸업생들에게 요구되는 기대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여 G공 업고등학교 기계계열, 전기․전자․반도체계열, 건축․토목․건설계열학과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순서대로 진행되었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거쳐 수행한 주요 연구결과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집단의 인식수준, 교육요구분석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기초능력의 집단별 현재수준에 대한 인식수준 검증, 직업기초 능력의 집단 간 현재수준에 대한 인식수준 검증, 현 직장에서 향후 필요 하다고 인식하는 졸업생의 수준과, 취업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사의 인식수준, 입사를 희망하는 졸업생에게 요구하는 대․중견기업근로자의 인식수준을 비교하였다. 둘째, 기업규모와 분야를 중심으로 G공업고등학교의 기계계열학과, 전기․전자․반도체계열학과, 건축․토목․건설계열학과에 적용 가능한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기초자 료를 제시하였다. 기계계열학과의 경우 언어구사력, 문제처리능력, 자기개 발능력, 경력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 협상능력, 기술이해능력이 최우선적 으로 반영되어야 하며, 전기․전자․반도체계열학과는 시간관리능력, 건축․토목․건설계열학과는 문제처리능력, 자기개발능력, 경력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 갈등관리능력의 교육과정이 기업규모와 상관없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내용으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에 대한 관련 변인들을 검증된 통계기법과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교육요구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현재수준, 중요도, 기대수준을 반영한 인식조사, 기업근로자들의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을 분석하여 실제 기업 현장이 요구하는 교육내용과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현실성 있는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이해를 돕는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연구가 좀 더 정확하고 한층 심화되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G 공업고등학교에서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을 편성할 경우 앞서 논의된 학과별 우선순위 결과를 1차적으로 고려하고, 학교와 연계된 장기현장실습 파견기관의 분야와 규모를 고려하여 기업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을 갖출 수 있는 인재양성이 되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편성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대한 후속연구와 연계되어, 특성화고등학교 출신 졸업생이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상에 부합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cognitive level of basic job ability for students, graduates, and teachers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as well as for workers in a company, and to suggest an optimal educational curriculum by deciding the priority of the basic job ability in education in the field of mechanic, electric․electronic․ semiconductor, and architecture․civil engineering․construction. To achieve those goals, the general approach of NCS, the concept of NCS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revision in G Engineering High School, which was selected as an object of this research were described. Also, the preceding studies on NCS were analyzed, and the categories of basic job skills were reclassified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is, survey questionnaires were derived from the 34 subcategories (Understanding documents, Writing documents, Active listening, Expressing oneself, Basic foreign language skills, Basic calculation, Basic statistics, Analyzing diagrams, Writing diagrams, Thinking, Problem solving,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Career development, Managing time, Managing budget, Managing material resources, Managing human resources, Teamwork, Leadership, Conflict management, Negotiation, Customer service, Utilizing computers, Processing information, Understanding technology, Selecting technology, Applying technology, Global perspective, Understanding management, Understanding tasks, Work ethics, and Community ethics) within the 10 categories (Communication skills, Mathematical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Self-development skills, Resource management skills, Interpersonal skills, Information skills, Technological skills, Skills for understanding groups, and Professional ethics). The cognitive level of intergroup was analyzed based on the current level and importance, and then the priority and new curriculum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company sizes and categories.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basic job ability, job curriculum at high school, and NCS curriculum of G high school. And it compared the cognitive level of basic job ability among current students, graduate students, and person in charge at companies. Then the as-is and to-be levels of basic job ability are analyzed, and according to it, the priority of the education in mechanic, electric․electronic․semiconductor, architecture․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is evaluated. Finally, two main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irstly, the cognitive level of basic job skills was analyzed. The current cognitive level of intragroup and intergroup were verified, and the level required for the graduates, the level which teachers expected to be required in the job market, and the level which company workers asked to of the high school graduates were compared. Secondly, the educational priority which shall be applied to the mechanic, electric․electronic․ semiconductor, and architecture․civil engineering․construction at G Engineering High school was analyzed, and according to this, a new curriculum was suggested. For mechanic, it put its educational priority on Expressing oneself, Problem solving, Self-development, Career development, Managing time, Negotiation, and Understanding technology. For electric․electronic․semiconductor, its focus was on Managing time, and for architecture․civil engineering․construction, they emphasized Problem solving, Self-development, Career development, Managing time, and Conflict management.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with the use of various statistic skills, the Borich method,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lso, this research shall be valued in synthetic understandings for curriculum revising. The following researches are expected to be investigated in a deep and elaborate level, and to be connected to the researches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effect.

      • L유통사 팀장의 변혁적리더십과 부하직원 일몰입의 관계

        배광민 고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의 변혁적리더십과 조직구성원 일몰입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위의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L유통사의 직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을 배포하여 유효설문 총 250부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다음의 분석 절차를 거쳤다. 먼저,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측정도구의 타당도, 신뢰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 Cronbach α계수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측정한 주요변인들의 기초통계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혁적리더십과 일몰입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변혁적리더십과 일몰입 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선형 회귀분석과 비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L유통사 팀장의 변혁적리더십과 부하직원 일몰입의 선형적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L유통사 팀장의 변혁적리더십과 부하직원 일몰입의 비선형적 관계는 역U자형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L유통사 팀장의 변혁적리더십 발휘는 부하직원의 일몰입을 어느 정도까지 증가시키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변혁적리더십 발휘는 오히려 부하직원의 일몰입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거 본 연구는 리더의 변혁적리더십과 부하직원 일몰입의 관계에 있어 몇 가지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In-plane shear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elements with high-strength materials

        배광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presents the results of twelve reinforced concrete elements subjected to shear and biaxial stresses. These elements were constructed by one-third scale of real nuclear power plant wall elements. And the load conditions were determined by considering earthquake and accidental inner pressure when the nuclear power plant is overheated. Elements were loaded until failure using University of Toronto’s Shell Element Tester.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steel yield strength and reinforcement ratio of APR 1400 that is current model of nuclear power plant in Korea were used for reference element. And the high strength concrete, high yield strength steel and decreased reinforcement ratio were used for other elements to compare with the shear behavior of reference elements.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design codes have incorporated compression field theory for the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subjected to shear. Especially the Modified Compression Field Theory has become the basis of the shear provisions in CSA Standards, AASHTO LRFD, fib Model code and Eurocode 2. It is expected that ASME, ACI 318 and ACI 349 design codes that commonly used in the design of nuclear power plant structures will implement Modified Compression Field Theory based provisions in the near future. The ultimate load was accurately predicted with a mean test to predicted ratio of 1.03 and a coefficient of variation of 6.4 %. The shear strains at peak shear stress were also accurately predicted with a mean test to predicted ratio of 1.04 and a coefficient of variation of 13.5 %. The Modified Compression Field Theory also well predicted the cracked shear stiffness of elements. These results show the applicability of the Modified Compression Field Theory to shear design of nuclear power plant wall. And the new tension stiffening equation for large reinforced concrete elements is proposed based on the test results.

      • Synthesis and properties of co-assembled functional macrocyclic diacetylenes

        배광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15

        Supramolecular tubular structures formed by self-assembly of small organic molecules were importantly utilized in the boundaries of chemical and materials sciences. Because of the structural foundation through noncovalent bonds, conventional tubular architectures frequently lack stability upon exposure to external perturbations. In this dissertation research, covalently bonded chromogenic organic nanotubes were prepared using topochemical polymerization of self-assembled macrocyclic diacetylenes (MCDAs). Additional functionalities were adopted to MCDAs using two types of co-assembly approaches, host¬–guest interaction and metal-ligand coordination. The macrocyclic structure offers direction-control self-assembly to generate columnar supramolecular architectures with the guest molecule-accessible interior cavity. Owing to the π–π stacking characteristic and photopolymerizable feature of diacetylene template, macrocyclic diacetylenes (MCDAs) have emerged as an intriguing molecular design for constructing arrays of covalently connected nanochannels. The energy transfer mechanism by engineering host-guest cocrystals of self-assembling π-electron rich motifs has been widely accepted for devising organic electronics. A highly fluorescent and polymerizable cocrystal of macrocyclic diacetylene-terthiophene (MCDA-3T) was constructed. Single-crystal X-ray diffraction analysis reveals a well-ordered columnar assembly of MCDA with stacking geometry close-to-ideal packing parameters preferred for the topochemical polymerization. Inspection of the extended crystal packing pattern and elemental analysis confirms the inclusion of 3T guest in outer space positioned along the parallel-packed MCDA columns, resulting in an array of nanochannels. UV-induced polymerization of MCDA-3T cocrystal transforms into covalently cross-linked PDAs and displays Förster resonance energy transfer behavior between fluorescent 3T and conjugated PDA polymer. The metal-mediated self-assembly process offers well-directed and controlled construction of supramolecular architectures, and the assembled metal-ligand complex displays diverse functionalitie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complex template. Through a deliberate introduction of a metal-binding nucleobase, cytosine, to the macrocyclic diacetylene (MCDA), a macrocyclic ligand CytMCDA was synthesized. On account of the metal affinity of cytosine and the π–π interaction of diacetylene template, a Hg-coordinated unidirectional columnar self-assembly of CytMCDA was generated forming into organic nanotubes. The monomeric CytMCDA-Hg is covalently cross-linked into blue-phase macrocyclic polydiacetylene nanotubes (CytMCPDA-Hg) via UV-induced topochemical polymerization. CytMCPDA-Hg displayed a naked-eye detectable sensing response with a brilliant blue–to–red chromatic transition toward heat and solvents. Moreover, owing to the high affinity of mercury complex toward sulfur, CytMCPDA-Hg displayed high sensitivity against thiols. The observations and information achieved in this research would provide the understanding and possibility of practical applications of stimuli-responsive macrocyclic polydiacetylene nanotub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