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과의 심리적 교육환경이 자기효능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3-6학년을 중심으로

        방희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for elementary schoolers by identifying actual conditions of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self-efficacy and interest in the art subject and, through this, analyzing effects and correlations of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on self-efficacy and interest in the art subject. For this,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is study to survey 500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in April 2005. All data from this surveying were computerized and encoded, and SAS Program was used. They were analyzed by statistic techniques such as percentage, mean, the standard deviation, χ²-tes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et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erceptions by third to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on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were generally positive. Above all, they were found to consider the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given by parents was the best. Meanwhile, teachers were less highly estimated than other factors of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which suggested the necessity to improve the art teachers' attitudes or teaching methods. The respondents' interest was found to be very high, which indicated most students liked and enjoyed the art subject. It was revealed that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art education at private institutes estimated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art subject more positively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ularly, these two groups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s on teachers. In terms of self-efficacy and interest, they display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students educated by private art institutes gained higher scores than those on the other sid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ctivities at private art institutes usually helped students think of the art subject more positively and raised their interest and self-efficacy in the subject. 2. When it came to difference in perceptions on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by gender, girls considered the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art subject more positively than boys.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art education at private institutes estimated the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more highly than those who did no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 3. Regarding difference in self-efficacy of the art subject by gender, girls showed higher self-efficacy than boys by gaining much higher scores.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had attended private art education institutes had higher self-efficacy than those who had not. In regard to grade, the third grader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self-efficacy by gaining the highest scores. Overall, it was revealed that the higher grade was, the lower self-efficacy in the art subject was. 4. Boys were widely distributed in the art subject than girls, showing lower interest. On the contrary, girls were found to have more interest in the art subject than boys in consideration of their distribution concentrated on high interest. The students who had attended private art education institutes had much more interest than those who had not. In terms of grade, the third grader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interest in the art subject by being intensively distributed on the item "Very Interesting." The sixth graders' interest was relatively lower than other graders. Besides, in general, the number of "Less Interesting" and "Very Boring and Don't like it" increased for high graders such as fifth and sixth, which indicated the number of students who were losing their interest in the art subject rose as their grades were higher.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and self-efficacy of the art subject was high, which suggested that the better the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is, the higher self-efficacy of the art subjec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and interest was also high, showing that the better the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is, the higher students' interest in the art subject is. Among these three correlations, the highest was the one between self-efficacy and interest. This means that the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y of the art subject have high interest in that subject, while those with low self-efficacy have low interest. Among the factors of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of the art subject,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and self-efficacy showed a positive aspect although it was lower than that between overall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and self-efficacy. Parents, friends and other factors of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also indicated many correlations of self-efficacy and interest in the art subject. Especially, the correlation with friends was the highest,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peer group in childhood. Those who experienced private art institutes showed higher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self-efficacy and interest than those who did not.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correlations of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self-efficacy and interest, the following can be suggested as solutions of improving the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of the art subject and directions of art education. 1. As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influence self-efficacy and interest in the art subject, it is necessary to make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not only the visible physical education environment but also the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Moreover, the art subject has few theoretical studies on this. Thus, systematic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art subject. 2. It was found that among the factors of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friends had a high effect on self-efficacy and interest in the art subject. Therefore, when elementary students are in art class, it is necessary to guide them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share the class. Furthermore, teachers need to help students respect friends' works and have attitudes to value the works just like those of themselves through teaching them right appreciation and estimation techniques. 3. It was revealed that among the factors of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school teachers appeared to be relatively lower than other factors, which suggested that art teachers at school are required to have attitudes to lead their classes with individual interest and affection for their students. They also should develop various and interesting programs and teaching methods in order for students to have the class with pleasure. In addition, teachers need to make efforts to help students find more interest in art class by providing a freer learning atmosphere. As well as this, parents' attitudes toward art education appeared to have an effect on self-efficacy and interest of elementary schoolers in the art subject. Thus, studies related to this are necessary. An efficient and right art education by parents also needs to be conducted. 4. The higher the grades were, the higher the distribution of the students who disliked the art subject appeared to get. Accordingly, studying the reason profoundly and developing programs for higher graders should be implemented more actively. 5. As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reason for interest in the art subject, internal motivation factors, besides psychological education environment, appeared to be a major factor with high percentage. Therefore,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bout the comparison of these factors' influences on self-efficacy and interest in the art subje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3-6학년을 대상으로 미술과의 심리적 교육환경과 자기효능감 및 흥미도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심리적 교육환경이 미술과 자기효능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초등학생의 심리적 교육환경의 개선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초등학생 500여명을 대상으로 2005년 4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나온 모든 자료를 전산 부호화하여 SAS Program을 이용하였고,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χ²-tes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등의 통계기법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의 심리적 교육환경에 대한 생각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며 그 중에서 학부모에 대한 심리적 교육환경이 가장 좋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반면, 교사에 대한 평가는 다소 다른 심리적 교육환경보다 낮게 평가하여 미술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태도나 지도 방법에 대한 개선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에 대한 흥미도는 매우 높게 나와 대부분의 아이들이 미술과목을 좋아하고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학원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미술과의 심리적 교육환경을 더 좋게 평가하였다. 자기효능감과 흥미도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미술학원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점수가 높았다. 성별에 따른 심리적 교육환경의 인식 차이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미술과 심리적 교육환경을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였고, 학년별로는 유의한 차이점을 나타내지 않았다. 2. 성별에 따른 미술과의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월등히 높은 점수를 받아 자기효능감이 더욱 높다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연구 대상자 중에서 미술학원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학년별로는 3학년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자기 효능감이 가장 높은 학년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미술과 자기효능감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 남학생이 미술과목에 대해 여학생보다 모든 문항에 상대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이며 상대적으로 흥미도가 떨어졌으며, 반대로 여학생의 경우 흥미도가 높은 부분의 집중 분포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미술과에 흥미를 더욱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학원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흥미를 더욱 느끼고 있으며, 학년별로는 중간학년인 3, 4 학년보다 고학년에서 미술과목이 ‘별로 재미없다’, ‘매우 재미없고 싫다’의 수가 증가하여, 학년이 올라갈수록 미술과에 흥미를 잃는 학생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미술과의 심리적 교육환경과 자기효능감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미술과의 심리적 교육환경이 좋을수록 미술과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과 심리적 교육환경과 흥미도 역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심리적 교육환경이 좋을수록 미술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가 증대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자기효능감과 흥미도의 상관관계는 이 세 요소들 중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이것은 미술과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들은 미술과의 흥미가 높고,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생들은 미술과의 흥미도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교사와 자기효능감의 관계는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부모와 친구 그리고 그 외의 심리적 교육환경도 미술과 자기효능감과 흥미도에 많은 연관성을 보이고 있었다. 그 중에서 친구와의 상관점수가 가장 높아 아동기의 또래집단의 중요성을 나타내었다. 미술학원의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심리적 교육환경과 자기효능감 그리고 흥미도의 상관관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미술과 심리적 교육환경의 개선방안과 미술교육의 방향점으로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시할 수 있다. 1. 심리적 교육환경이 미술과의 자기효능감과 흥미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서 눈에 보이는 물리적 교육 환경 뿐 아니라, 심리적 교육환경을 개선시키는 노력을 끊임없이 하여야겠다. 또한 이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미술과에서 부족한 실정이므로 미술과의 심리적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체계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2. 심리적 교육환경의 요인 중에서 친구요인이 미술과 자기효능감과 흥미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초등학생들이 미술수업을 할 때 서로 협동하고 함께하는 미술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도가 필요하다. 3. 심리적 교육환경의 요인 중에서 학교 교사가 다른 요인들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므로 학교 미술교사가 학생들에게 보다 개별적으로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수업을 하는 자세가 요구되며, 보다 자유로운 수업 분위기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미술시간을 더욱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4. 학년이 올라갈수록 미술과를 싫어하는 학생의 분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그 이유에 대한 심층적 연구와 고학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5. 미술과의 흥미도 이유에 대한 분석 결과, 심리적 교육환경 이외에 내적 동기 요인들이 높은 퍼센트를 차지하며 중요 요인으로 나타났으므로, 이 요인이 미술과 자기 효능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비교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 소집단 협동학습이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영어 듣기·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방희정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is the purpose of identify the effects of small-group cooperative activities on college students' motivation and their proficiency in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It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that English is an international language with the er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People are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English and are becoming more and more interested in English education. It would be timely then for us to question how every student shares the same starting point in learning English and ends up with very discrete proficiency levels. While there are controversial findings from research to identify some factors for this phenomena, one resonable explanation can be found from a long history of teach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which is related to passive students’ roles and lack of motivation to initiate their own learning process(Gardner, 1985, 1988; Masgoret & Gardner, 2003). This thesis is in the same line of thought with this possible negative consequence of teacher-centered education. Therefore, it becomes crucial to think of pedagogical ways to activate students' participation and to come up with creative ways to situate students as agents of their own learning. This study also observed how small group cooperative activities opened up potential rooms to design diverse tasks to acquire target language forms more effectively, while negotiating and cooperating with others. This thesis led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small-group cooperation on students' motivation to learn. To elaborate m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ways students' motivation is influenced by small group cooperative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learning listening and reading for 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hereafter, TOEIC). Within this experiment, motivation is restructured, in a sense of incorporating diverse factors for motivation, based upon D?rnyei(1994)'s sub-categories of linguistic, leaner's and environmental factors. Previous studies only explored the correlations between students' proficiency levels and small-group collaboration or the correlations between motivation and small-group collabora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small-group cooperation can possibly be related to students' performance on listening and reading tests. This study also extends the body of previous research, in that small-group cooper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were also broken down into three sub-categories: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perception on class activities, and reciprocal collaboration. This sub-categorization would provide a sophisticated lens to understand the interconnectedness among these variables.To introduce the participants in the present thesis, students' TOEIC score mostly ranges from 100 to 200 in both TOEIC listening and reading test scores. Considering the highest scores of listening and reading in TOEIC as 495 points for each skill, these students are at the lower level. With the rationale for the present research desig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answered: 1) Do small-group cooperative activities influence students' motivation to learn? 2) Do small-group activities influence students' performance in listening 3) Are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sub-categories of small-group cooperative activities and students' performance in listening? 4) Do small-group activities influence students' performance in reading? 5) Are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sub-categories of small-group cooperative activities and students' performance in reading? In terms of the data collection, the researcher modified the instrument, originally developed by Clement, D?rnyei, and Noels (1994) to better serve the target participants of this study. To measure students’ performance on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researcher selected one TOEIC simulation test from Publisher. Kim Eun-joo (2004) and Kim Seoung-yeon’s (2002) instrument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act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the intervention were modified and implemented for the data being collected. The data was analyzed with T-test, ANCOVA, and regression. The statistical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subcategories of small-group cooperative activiti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nections with the sub-categories of students' motivation enhancement as well as their performance on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est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ree factors: students' satisfaction with class activity, their positive take on small-group cooperation, and their performance on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ests. With these results, we can argue that small-group cooperative activities can improve students' listening and reading performances as well as their motivation. We can also claim that when students are satisfied with small-group cooperation and help each other in productive manners, it is more likely for them to perform better in their English tests. The findings lead to several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searchers, educators, and students. First, it is not new to think that cooperative activities would benefit our students' learning. However, many parts of theoretical framework of cooperation were designed and conceptualized by social scientists, and has a possibility to revise the existing framework to better fit in English educational contex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ly revised framework for cooperation, specifically addressing the needs and goals for language learning. Moreover, developing teaching methods that motivate language learners will be imperative. We still observe that fact that many of our university settings are dominated by teacher-oriented and centered teaching practi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how important it is to develop new teaching strategies to construct more learner-oriented engagement and learning. This will become a foundation to challenge test-oriented educational practices and to envision more learner-centered education. To sum up,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discussed the strong need to develop an appropriate teaching model that meets the need of students, and alters the role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a sense of situating students at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instead of making teachers' agendas an educational priority. A small-group cooperation can provide a possibility to pursue leaner-centered education and to challenge traditional educational practices of imposing teachers' knowledge to students. To elaborate, learning needs to be initiated by students themselves and teachers' roles should be redefined as an assistant and advice accordingly. This will encourage students to be more independent, active, and responsible about their own learning. The results found a module of Jigsaw III to be useful to achieve the re-conceptualiz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roles. 이 논문은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활동이 학습자들의 학습동기와 영어 듣기능력과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소집단 협동학습이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2) 소집단 협동학습이 영어 듣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3) 소집단 협동학습이 영어 읽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4) 소집단 협동학습 하부요인(수업 만족도, 소집단 인식, 상호 조화)과 영어 듣기능력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 문제 5) 소집단 협동학습 하부요인(수업 만족도, 소집단 인식, 상호 조화)과 영어 읽기능력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의 연구 문제를 가지고 연구를 하였다. 학습동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Clement, D?rnyei 와 Noels (1994)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영어 듣기능력과 읽기능력 측정을 위하여 토익 듣기와 읽기 시험을 사전 1회 사후 2회를 실시하여 측정하였으며 소집단 협동학습 만족도 측정을 위하여 김은주(2004)와 김성연(2002)의 도구를 재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위의 도구를 통해 수집 된 자료를 독립표본 t검정과, 공분산 분석, 회귀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나타냈다. 먼저 소집단 협동학습은 학습동기(통합적 동기, 미디어 문화동기, 도구적 동기, 성취동기, 미국인에 대한 태도, 불안감, 자신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으며, 듣기능력과 읽기능력에도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다. 마지막으로 소집단 협동학습(수업 만족도, 소집단 인식, 상호조화)에 대해서는 수업 만족도 1(“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영어 듣기/읽기 수업이 잘 진행되었다고 생각합니까?”), 수업 만족도 2(“영어 듣기/읽기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영어 듣기/읽기 수업을 추천하고 싶습니까?), 수업 만족도 3(“듣기/읽기 수업을 통한 소집단 협동수업이 만족스러운가?”), 수업 만족도 4(“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영어 듣기/읽기 수업을 하면서 서로 무르는 부분에 대해 물어 볼 수 있어서 좋았다.”)에 대해서는 3주차 성적인 듣기 능력 2는 통계적으로 의미를 가져오지 않았으며, 11주차 성적인 듣기능력 3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읽기능력 2에서는 수업 만족도 2(수업 추천)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읽기능력 3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소집단 인식 1(리더의 중요성)과 소집단 인식 2(4인 이질집단 구성)에 대해서는 듣기능력 2, 듣기능력 3, 읽기능력 2, 읽기능력 3에서 리더의 중요성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상호조화에서는 상호조화 1(“소집단 구성원들이 듣기 활동을 할 때 구성원들의 활동이 잘 조화 되었다고 생각합니까?”), 상호조화 2(“조 구성원들 간의 원만한 관계가 형성이 되었다.”)의 문항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다시 말해서 위의 연구를 통해 소집단 협동학습은 학습자들의 학습동기와 영어 듣기능력과 읽기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업 만족도가 높고, 4인 이질 집단 구성형태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며 소집단 구성원들의 활동이 잘 조화를 이루고 원만한 관계가 형성이 될수록 듣기능력과 읽기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기존의 틀에 박힌 입시 위주의 수업 형태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교육 환경의 기반을 다질 때이며, 오늘날 새로운 교수 환경에 맞는 학습 환경을 만들어 가야 하겠다. 더 이상 교육의 주체가 교수자가 아닌 학습자에게로 교수자는 학습을 돕는 조언자와 촉매자로서의 자리를 매기고 학습자는 자율적이고 적극적이고 책임감 있는 학습의 주체가가 되어야한다. 본 연구자는 이와 같은 정보화시대에 걸맞은 교수 모형으로 소집단 형태의 모형의 JigsawⅢ형태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비단 위의 모형뿐만이 아니고 우리나라와 같이 영어를 제2언어로서가 아닌 외국어로서 배우는 교육여건상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교수법의 연구와 교수법의 개발이 많이 필요하다고 보며, 따라서 우리나라의 교수 환경에 맞는 수업 모형을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들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서양의 중세이전의 음악교육

        방희정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교육이 언제부터 시작하였고, 어떤 사상적 배경으로 이루어 졌는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대대로 고대 그리이스시대부터 흔적을 찾아볼 수가 있다. 음악교육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그리이스시대의 음악교육을 살펴본다면, 음악교육은 전인적인 인간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게 여겼으며, 강인한 신체와 건전한 정신의 조화라는 목적 아래 이루어졌다. 또, 그 뒤를 이은 로마는 그리이스의 교육체제를 따랐다. 하지만, 로마는 인간교육의 교과로서 가장 중요시되었던 그리이스 음악교육의 의의는 없어지고 음악을 단지 웅변술의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 생각했다. 로마 후기에 공인된 기독교는 중세시대에 커다란 영향을 끼쳐 그리이스 문화와 함께 오늘날의 서양문화의 기초를 이루었다. 중세시대의 음악은 종교적인 측면에 봉사함으로써 신앙심을 높이고 일반대중에게 기독교 신앙을 갖게 하기 위해 쓰였다. 이런 意味에서 볼 때 오늘날의 음악교육의 원리나 방법은 중세 기독교의 종교적 敎化와 아주 강한 관련이 있는 것이라 하겠다. 중세의 基督敎가 宗敎的 敎化는 물론이고 학예의 보존과 보급이란 面에서 이룩한 역할은 아주 컸으며 이 後, 서양인들의 思想 또는 생활양식에서 기독교적 영향을 뿌리깊게 박게한 點으로서 기교의 교육적 영향은 절대적으로 컸다고 할 수 있다. Though we can not infer when the music education started and what the ideological background was, we can trace back to Ancient Greek Times. The Greek Times can be regarded as the beginning of music education. At that time, the music education was regarded very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the development for the whole man under the purpose of harmonizing a strong body and a sound mind. Rome, which succeeded the trend from the Greece, followed Greek educational system. However, in Rome, music was considered only as a means to improve elocution while the music education wa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subject for human education in Greece. Christianity which was officically adopted at the end of Rome had great influence on the Medieval Times and this, together with Greek culture, provided a foundation of western culture today. Music during the general public by servicing in a religious aspect. In this sense, principles or methods of music education nowadays may have a strong relationship with religious evangelization of Christianity in Medieval times. The Christianity contributed greatly to preserve and spread liberal arts as well as religious evangelization. Educational influence of Christianity was absolutely great in that the Christian influence had a firm root on Western ideology or life style thereafter.

      • 국제사회의 대북인권정책과 북한의 대응에 관한 연구 : 유엔과 미국의 대북인권정책을 중심으로

        방희정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북한의 인권문제는 지난 10여년 동안 유엔(UN)과 국제사회의 관심 사안으로 부각되었고, 유엔인권위원회는 북한의 심각한 인권침해 상황을 우려하면서 제59차 회의에서 유엔기구로서는 처음으로 북한인권 개선을 촉구하는 ‘대북인권 결의안’을 채택(2004.04.06)하여 대북인권 압력을 강화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이 대북결의안은 유럽연합(EU)를 중심으로 미국과 일본 등의 공동제안으로 채택되었는데, 특히 미국 ‘북한위원회’와 영국의 ‘세계기독교인연대’ 그리고 한국의 ‘북한인권시민연합’ 등 국제비정부기구(NGO)들의 적극적인 활동이 대북 결의안 통과에 커다란 기여를 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를 통해 미국이나 일본은 ‘북한 인권법’을 제정하여 탈북자 및 북한인권 문제에 구체적인 조치들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 논문은 북한 인권문제와 관련, 미국과 유엔 등 국제사회의 관심과 대북압력이 어떻게 그리고 어떠한 방법으로 행사되고 있으며, 그 예상 효과는 무엇인가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의 정책적 고려사항을 제시하려고 하는 것이다. 북한의 인권문제는 남북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이슈로 제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북미관계개선에 있어서도 중요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북한은 현재의 경제적․정치적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미국과의 적극적인 관계개선을 위한 노력을 보이고 있으나, 미국의 경우는 다르다. 미국은 북한의 인권문제를 핵문제, 인도적 지원문제 등과 연계하여 근본적인 관계개선은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북한은 지속적인 경제난과 식량난으로 인해 체제의 위기로 까지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북한당국의 대응은 북한주민들과 정치범에 대한 인권을 침해하는 감시와 강압적인 탄압으로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즉, 경제위기와 체제위기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북한주민에 대한 인권침해는 더욱 증가하여, 식량에 관한 권리의 침해, 북한내의 정치적 탄압, 탈북 난민들에 대한 인권탄압, 미송환 국군포로에 대한 인권침해, 납북자 문제, 해외파견근로자와 북한진출 기업의 노동문제, 성매매와 낙태의 강요, 북한인권 활동가들에 대한 인권침해와 같은 양태를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북한은 국제사회가 합의한 보편적 인권규범을 인정하지 않고, 국제사회의 북한 인권문제 제기에 대해 “우리나라에는 우리식 인권기준이 있다”면서 “계급적 원쑤들”에 대한 인권의 유린은 당연한 것이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체제위협’이라고 반발하면서도 이미 가입한 인권협약관련 국가이행보고서들을 제출하여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정부는 유엔 대북인권결의안 표결에 불참하거나 기권함으로써 국내외의 비난을 받고 있으며, 우리사회 내부에서 북한인권의 실태를 인정하지 않는 회의적인 시각도 없지 않다. 그러나 북한은 시민적, 정치적 권리에 관한 규약을 포함한 주요인권 조약의 가입국이며 국제인권법상의 인권보호 의무를 준수해야 하는 데 있어서는 예외가 될 수 없다. 북한 인권문제는 남북대결의 차원보다는 국제인권레짐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제인권운동 분야에서 권위를 널리 인정받고 있는 국제엠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와 아시아워치(Asia Watch) 등 주요한 국제비정부기구(NGO)들은 이미 1980년대 후반부터 북한 내 정치범 문제와 정치적 자유권의 제한, 러시아 벌목공문제 등을 제기하여 왔다. 특히 전 세계 언론을 통해 생생하게 전달되고 있는 북한 어린이들의 굶주린 모습과 경제적 참상은 북한의 경제적 사회적 인권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탈냉전 이후 국제인권레짐에서는 인권에 대한 새로운 개념, 즉 “인권관련 각국의 주권은 절대적이지 않으며, 인권을 심각히 침해할 경우 외부의 개입은 정당화 될 수 있다”는 견해이다. 특히 미국은 심각한 인권침해 혹은 인신매매를 근절하지 않는 국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제재조치가 가능토록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북한 인권문제는 남북한 간 문제가 아니라 국제적인 문제로 규정된다. 1997년 8월 21일 제네바에서 개최된 유엔 인권소위원회 제49차 회의에서는 북한의 열악한 인권상황에 대한 공개와 개선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표결하였다. 이 결의안은 북한이 ‘세계인권선언’ 제13조와 ‘시민적 정치적 권리를 위한 국제규약’ 제12조에 각각 규정된 ‘거주이전의 자유’를 제한하고 있음을 우려하고 북한당국이 제출의무를 무시하고 있는 정부인권보고서를 조속히 제출하는 등 유엔이 추구하고 있는 국제인권규범에 따를 것을 촉구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 인권문제는 기본적 생존권의 문제로서 국제사회의 대북인권 개선 요구와 우리의 대북정책을 결합시키는 데 있다. 우리가 취할 대북인권 기본정책은 정당성과 도덕성 국제규범을 견지하는 것, 재외탈북자들의 신변보장과 주변국들이 일시적 피난처를 제공토록 외교력을 집중하는 것,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를 우선 해결 하는 것, 인도적 관심과 국제사회에서의 인권외교를 강화하는 것 등이다. 아울러 북한 인권문제와 관련한 전망을 해보면, 첫째 국제레짐에서 북한 인권 개선 요구와 압력을 계속 강화하고, 둘째 미국과 세계인권단체들이 북한의 정권진화(regime evolution)를 계속 추진하며, 셋째 북한은 나름대로 국제인권규범을 지킨다고 하면서 정권유지 범위 내에서 선별적으로 수용해 나갈 것과, 넷째 국내 진보정당 내지 좌파적 사회력들은 대북 접촉을 강화하면서 북한 인권문제를 ‘내재적 접근’을 통해 해결해 나가려고 할 것이다.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비판이 증가되는 현상은 장기적으로 우리 정부에도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다. 인류공통의 도덕적 문제, 특히 북한당국의 지속적인 국제인권규약 위반과 그러한 위반에 대한 남한의 침묵은 남북통합 후 북한의 부채를 대신 짊어지게 될 남한의 도덕적 권위와 능력에 대한 불신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북한의 인권문제는 우리나라 외교정책의 이해득실에 따라 ‘거론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는’ 합리적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물론 북한의 인권문제는 남북한의 이념적-군사적 대치 현실, 남북협상 및 4자 회담, 남한 내 인권문제,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지원 문제 등과 서로 밀접하게 연관된 민감한 정치적 현안이다. 이 문제는 우리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결코 해결될 수 없다. 무엇보다 국제사회의 관심과 지속적인 압력과 동시에 우리 사회 시민단체들의 관심과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북한 인권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우리사회 각 부문의 노력은 ‘인권정책’이라는 범주로 정리될 필요가 있다. 아직까지 우리 정부는 인권정책에 대한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구도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북한 인권문제가 지니고 있는 특성을 규명하고 현재 국제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현안들을 짚어본 뒤 이에 대한 정책적 수단들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북한 인권문제는 북한체제의 폐쇄성에 기인하며, 미국, 중국, 러시아, 한국 등 주변국의 정치적 입장과 복잡하게 연계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북한 인권문제 해결은 매우 어려운 정책적 과제이다. 북한 인권문제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민감성을 고려할 때 정부 차원의 접근방법 보다 국제기구나 NGO의 관심과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정보의 제한 등 여러 가지 난점에도 불구하고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개입은 더욱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 정부와 시민사회 모두 냉전 이후의 새로운 지구적 의제인 인권문제와 관련하여 북한의 변화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정치학이나 사회학 이론으로도 설명, 분석 예측이 불가능한 일이지만 북한의 김정일 체제는 외부에서 진단하는 것보다 내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분명한 것처럼 보인다. 북한 김정일 정권의 향후 진로는 불투명하다. 외부적인 요인이라기보다는 북한 내부의 체제적인 원인이다. 국내외 전문가들에 의하면 북한의 급변사태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면 인권문제와 같은 대규모 인도주의적 사태가 발생하여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직면하는 경우도 북한 체제의 붕괴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우리는 지금까지 북한의 인권문제에 대해 소극적으로 대응하였다. 탈북자에 의해 정치범수용소의 참혹한 실태가 알려지거나, 외국의 조사기관에 의해 북한의 인권문제가 제기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북한을 자극하지 말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온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태도가 궁극적으로 남북관계 개선에 도움이 될지는 의문이다. 북한의 인권문제 개선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것이고, 한반도 통일과정에서도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자유와 인권이 없는 통일은 불완전 할 수밖에 없으며, 우리가 순조로운 남북통일 과정을 원한다면 북한 인권실태의 개선은 반드시 필요한 조건중의 하나인 것이다. 북한 내부적으로 붕괴할 가능성이 높은 인권문제를 중심으로 그 원인과 규모를 살펴보고, 북한에서의 위기가 한국의 안보환경에 위기가 된다는 차원에서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제언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For the last decade, the United Nation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t large have focused increasing attention upon the human rights record of the North Korean regime. Several human rights focused NGOs have successfully lobbied the UN, European Union, United States, and other advanced countries to adopt resolutions calling North Korea to account for its human rights violations. South Korea, however, has absented itself or abstained from many of the UN votes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resolutions, remaining silent out of concern for the effects of such pressure upon the North-South dialogue, North Korean regime stability, and consequent impact upon South Korean national security. This study reviews the efforts of the US, UN,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pressure North Korea to comply with universal human rights protocols; analyzes the effects of those efforts; and suggests some policy outlines fo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oving forward. South Korea’s recent passive and noncommittal approach to this issue has been counterproductive: while based upon the premise that criticism of the North Korean regime’s human rights record could exacerbate tensions on the peninsula and complicate efforts to improve relations and move toward peaceful reunification, it ignores the stark reality that any unification that ignores issues of freedom and human rights is doomed to failure. Improvement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conditions is an absolute precondition to any successful unification process. Therefore, South Korea must take a more proactive stance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approaching them not from the standpoint of North-South confrontation but from a broader-based humanitarian point of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