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BTI집단활동이 여고생의 성격유형별 자아수용도, 타인수용도 및 자존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방혜경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MBTI 집단활동이 여고생의 자아수용도, 타인수용도 및 자존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 여고생의 성격유형에 따라 그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자신이 추측한 성격유형과 MBTI 검사 성격유형이 일치 또는 불일치함에 따라 자아수용도, 타인수용도 및 자존감은 차이가 있는지, 또 선호경향에 따라 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부산시내 인문여고 2학년 학생들로 성격검사를 희망하는 학생 91명에게 MBTI 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집단 51명, 통제집단 4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한국 MBTI 연구소에서 주관하는 MBTI 웍크숍 교육내용과 MBTI 참고도서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재구성한 MBTI 집단활동을 1회 120분씩 6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MBTI 검사 결과만 통보하였다. 통계처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수용도, 타인수용도 및 자존감 사전-사후검사에서 얻어진 점수를 가지고 각 가설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집단간 평균 득점 및 평균차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하였다. 자료처리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SPSS/PC^(+)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로는 한국심리검사연구소(1991)의 MBTI 검사 GS형, 손인환(1987)의 자아수용도, 타인수용도 검사지, 문성주(1991)의 자존감 검사지이며 사전, 사후검사 모두 동일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MBTI 집단활동은 여고생의 자아수용도, 타인수용도, 자존감 증진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MBTI 집단활동은 자기이해가 부족한 여고생에게 자가자신과 타인의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MBTI 집단활동은 여고생의 선호경향에 관계없이 모든 유형의 자아수용도, 타인수용도, 자존감 증진에 효과적이다. 셋째, MBTI 실제 성격유형과 자기추측유형이 일치하는 집단이 불일치하는 집단보다 자아수용도와 자존감이 높고, 타인수용도는 차이가 없다. 구체적으로 선호경향에 따른 자아수용도는 직관형(N), 감정형(F), 인식형(P)에서 일치하는 집단이 불일치하는 집단보다 높고, 자존감은 외향형(E), 직관형(N), 감정형(F), 인식형(P)에서 일치하는 집단이 불일치하는 집단보다 높았다. 그러므로 MBTI 집단활동은 자신의 유형을 발견하고 이해하게 함으로 자신의 선호경향에 혼돈을 가지는 청소년에게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자아수용도와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관련된 자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남과 내가 다른 차이점을 체험학습을 통해 인정하고 수용하게 됨으로 타인을 아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모든 것을 수용할 수 있는 타인수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을 끊임없이 자각하고 자신의 발전을 추구하는 청소년들에게 MBTI는 널리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if MBTI group activities have influences on the degree of self-other acceptance and the growth of self -esteem, if the effects differ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if the self-other acceptance degree and self-esteem differs according as the personality type guessed by a subject is in or out of accord with his or her real personality and according to his or her preference tendenci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91 two-year-girl students of general high school in Pusan-city. By the results of MBTI test,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51, the control group 40.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the MBTI group activities which were restructured by the researcher on the basis of the manual of MBTI workshop instructed by Korea Psychological Testing Institute and the reference book of MBTI. And the activities were made up of 6 sessions, 120 minutes a session. The control group was not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MBTI activities but the members of control group were allowed only to know their personality types. The researcher used the following testing instruments to check out the effects of MBTI group activities: MBTI GS type produced by Korea Psychological Testing Institute(l991), Self-acceptance and other-acceptance degree test by Son, Ik-Hwan(1987), and Self-esteem test by Moon, Sung-Ju(1991).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processed by SPSS/PC+.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MBTI group activities have influences on the increase of Self-acceptance degree, other-acceptance degree, and Self-esteem of Girls' high school students. 2. MBTI group activities affects the increase of Self-acceptance degree, other-acceptance degree and Self-esteem of all the personality types. But The preference tendency of girls' high school students didn't affect it. 3. The group of real personality type which is in accord with the guessed types in MBTI is higher in Self-acceptance degree and Self-esteem than the group out of accord with the guessed type. But other-acceptance degree didn't show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nalyzing this in the concrete, in the Self-acceptance degree by preference tendency, the group of real personality type which in accord with the guessed type is higher in N, F, P than the group out of accord with the guessed type. And in the Self-esteem, the former is higher in E, N, F than the latter. But the other-acceptance degree didn't show the differences among all the preference tendencies. In conclusion. MBTI group activitie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Self-acceptance degree and the Self-esteem of youths. They have the young find and understand their personality types. And they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other-acceptance degree of youth because the young admit and accept the differences of the self and the other-through the experimental learning. Therefore, MBTI group activities help the young be aware of the self and pursuit the development of the self.

      • 의복구성 실습용 작업대의 효율적 작업 한계면과 높이에 관한 연구

        방혜경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각 대학의 실험, 실습실의 작업대들은 사용 학생들의 신체 치수에 적합하게 제작되어진 것이 아니며 특별히 규격화되어 정해진 규정도 없는 상태로 일반적인 강의용 책상의 높이와 같은 작업대가 그대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학과의 특성 상 실습이 많은 의류학과의 경우 의복구성실에서 사용되는 작업대는 사용 학생들의 신체 치수와 상당히 부적합하여 사용상 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복구성실 입식 작업대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 일의 집중도를 높여주고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인체 측정학적으로 적합한 작업대 제작에 도움이 되고자 의류 전공학생들의 키와 키에 대한 신체의 비율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적절한 작업 공간 한계면과 작업대 높이의 범위를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작업 한계면과 작업대 높이를 산정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키, 어깨 높이, 팔꿈치 높이, 손목 높이, 손끝 높이를 직접 측정하여 키에 대한 신체의 비율을 계산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가장 많은 수를 포함하는 최단 구간인 5th%ile과 95th%ile의 자료를 사용하여 각각의 원의 방정식을 구하고 두 원의 방정식을 연립 계산하여 작업 한계면에 대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팔꿈치 높이를 기준으로 작업면 높이를 산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작업 한계면은 97.92cm 높이 아래에서는 95th%ile의 원의 방정식에 의하여 최대 도달 한계면이 한정되고, 97.92cm 보다 위의 높이에서는 5th%ile의 원의 방정식에 의하여 최대 도달 한계면이 한정된다. 또한 실습실 내의 모든 작업도구는 68.36cm 아래에 위치해서는 안 된다. 68.36cm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는 비정상적인 자세로 도구를 취급하게 된다. 2. 작업대의 높이는 연구 대상자의 5th%ile의 경우 102.11cm, 95th%은 116.55cm가 적정한 높이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작업대는 102~117cm 사이를 가변적으로 움직이는 작업대의 높이가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에서 작업대 높이 산정 시, 사용자의 신발 높이를 2.5cm 로 정하여 포함시켜 산정하였다. 3. 현재 각 대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작업대 높이는 73~81cm 범위로 사용 학생들의 신체 치수에 비하여 지나치게 낮아 신체 여러 부위의 통증과 피로의 누적으로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작업 동기를 저하시키고 작업의 실수를 유발시킨다 하겠다. 국민 표준체위 값으로 산정한 작업면 높이는 99.5~111.7cm 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작업대의 높이가 국민 표준체위의 작업대 높이보다도 현저히 낮음으로 더욱 문제가 된다고 생각된다. 4. 작업대 위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될 도구들은 58.42cm 이내에 위치하여야 한다. 작업대 상의 수평 한계면은 5th%ile의 원의 방정식의 범위 내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5. 각 대학의 작업대는 일반적으로 2명이 한 작업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작업 공간에서 적절한 최소 이격 거리가 120cm이므로 2명이 사용하는 작업대의 크기는 최소 240cm는 요구 된다. 그런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작업대의 가로 길이가 가장 긴 경우에도 228cm이므로 사용자 간의 심리적 불편함과 육체적 피로를 유발 시킬 수 있으므로 개선이 요구된다. The object of human factors engineering is to find the way that can enhance worker's peculiar potential. Work desk that is designed by the concept of human factors engineering is to enhance work intensity and is to lessen fatigue and the rate of accident. The basic of work place design is to use anthropometric design in human factors engineering. In general, there are three principles such as extreme design, adjustable design, and average design in order to apply anthopometric data into design. For the effective use of anthopometric data,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percentiles. Percentiles correspond to the value of a variable below that a specific percentage of the groups fall. Percentile is especially important in using anthopometric data for designing objects, workstations, and facilities. Also, when we design work place using anthopometric data, work-space envelope has to be considered. A work-space envelope is the three-dimensional space within which an individual works. In addition, two terms are considered, which are related to the concept of work-space envelope. The first one is out-of-reach requirements, that is, the distances required to prevent a person from reaching something over a barrier. The second one is clearance requirements, that is, the minimum space needed to move through a tight space or perform work in confined area. A work-space envelope has to be designed by considering object's characteristics and user's aspects but it is not easy because body sizes of workers are various according to the work places and job types. Especially, most universities are using work desks for experiments and exercises, which are not appropriate for the user's body size. In general, students, which study in department of textile and design have many classes for experiments and exercises. The problem is that most students feel inconvenient because of unfitted work desk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ffective work-space envelope and the range of height on work surface using proportion of stature and body-ratio on sta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manufacturing work desks, which is anthropometrically fit. Also, the methodology that i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a nice guideline for the effective design of work place regardless of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work place if we can obtain the measured values of basic body sizes on workers.

      • 自己敎示訓練이 重度精神遲滯兒童의 注意集中行動에 미치는 影響

        방혜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적 학습전략의 일환인 자기교시훈련이 중도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교시훈련이 대상아동의 과제기피행동, 조바심행동, 자리이탈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교시훈련이 대상아동의 어떤 표적행동에 효과적인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주 소재의 C 재활원에 위탁 보호된 3명의 정신지체아동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실험설계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사용하기에 용이한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훈련과제의 구성절차는 Meichenbaum 과 Goodman(1971)이 만든 기본 모형 5단계와 류문화(1996)의 자기교시훈련 3단계 중 용암적 자기교시 방법을 중심으로 중도정신지체아동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였고 훈련과제의 내용은 여광응(1987)이 표준화한 프로스틱 시지각 발달프로그램(The Frostig Developmental Program in Visual Perception, 1972)중 일부를 활용하였다. 실험 실시절차의 조건은 기초선 3회기, 실험처치 18회기와 실험종료 2주 후에 훈련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유지검사를 3회 실시하였고 아동이 자기교시를 이용하여 과제를 수행할 때 나타난 주의집중행동의 정반응률을 관찰·평가하기 위해 모든 회기를 디지털 캠코더로 녹화하였다. 자료처리는 대상아동마다 중재시작 전의 행동이 기록된 10분간의 녹화자료를 분석하여 매 15초마다 등간기록법(15" interval recoding)의 하나인 부분간격 기록법(partial-interval recoding)으로 관찰기록 하였고 평가방법은 대상아동마다 주의집중에 대한 행동관찰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시각적 분석을 했으며 행동빈도에 대한 단계별 평균분석으로 프로그램적용효과에 따른 행동변화를 비교하였다. 이 때 자기교시 훈련 효과 정도의 비교 기준은 20%수준으로 정했다. 본 연구를 실시한 결과 첫째, 자기교시훈련이 중도정신지체아동의 과제기피행동, 조바심행동, 자리이탈 행동을 감소시켰고 대상아동의 성격특성, 정서적 특성과 과제의 곤란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자기교시훈련은 주의집중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자기교시 훈련이 중도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행동에 변화를 가져왔지만 가장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표적행동은 자리이탈 행동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능력과 언어능력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기교시 훈련은 Evangelisti, Whitman, Maxwell(1987)이나 최혁(1990), 정정진(1992)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표현언어 능력보다 인지능력이 높을수록 자기교시 훈련이 수월하고 효과의 정도도 큼을 알 수 있었다. 정신지체아동을 대상으로 한 인지행동수정 연구를 찾아보는 게 쉽지 않다. 인지행동수정기법이 인지능력이 낮은 정신지체아동에게는 효과가 적다는 보고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중도(severe)정신지체아동을 대상으로 인지 훈련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자기교시훈련이 중도정신지체아동에게 새로운 학습전략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스스로 문제를 질문하고, 고민하며 해결하는데 있어서 인지능력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인지능력과 표현 언어능력이 열약한 중도정신지체아동이라 하더라도 이 훈련이 주의집중능력의 향상과 유지효과도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도정신지체아동에게 과제해결에 유용한 전략을 스스로 고안해내지 못하므로 학습전략으로서 아동의 수준과 과제의 곤란도를 고려하여 자기교시훈련을 재구조화 하고 반복하여 적용한다면 아동의 주의집중행동 개선과 학습지도에도 효율적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which self-instructional training makes on the attending behavior of children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The major research problem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Is there any influence which self-instructional training makes on the Off-task behavior, Fidgeting behavior, Out of seat behavior of subjects? (2) what is most effective target behavior which self-instructional training makes an influence on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children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o analyze the influence which the target behaviors makes on the self-instructional training. The sequence of experiment was base line period, experimental treatment, and maintaining. The self-instructional training consisted of 24sessions which took 40minutes per each one. Meichenbaum, Goodman(1971) and Rhew Moon-Hwa(1996)models were modified and used as the training program for this study. The main contents of the training program were consist of problem recognition, alternative solution generation, problem solving through dialogue, teacher modeling. Teacher observation and ratings were done every 15 second by interval recoding on the children's target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self-instructional training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attending behavior of children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Though the effect was different from the character and emotion of the subjects, and the difficulty of the task, but the Off-task behavior, Fidgeting behavior, Out of seat behavior which they had were reduced. Secondly, The self-instructional training changed all the behaviors and the most effective target one was Out of seat behavior. In addition, the self-instructional training was more effective as the subjects' mental ability was better than the verbal ability, though it was a little different from subjects' cognitive and the verbal ability.

      • 初等學校 敎科書의 韓日關係 內容 分析 : 5次, 6次, 7次 敎育課程을 中心으로

        방혜경 西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역사교육은 각각의 나라가 자국의 역사의식 고취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수백 년을 교류한 이웃나라들과 보다 깊은 이해, 보다 나은 협력을 위해서 세계사적인 연계 속에서 가르쳐야 하며 이웃들과의 평화적인 공존, 미래에 있어서의 공동의 번영을 위해 깊은 상호 이해를 위한 역사교육을 권장해야 한다. 특히 초등학교에서 배운 지식은 오랫동안 기초지식으로서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때의 역사교육은 매우 중요하며 다른 나라와의 관계사는 국제이해교육과 관련하여 현시대에 들어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필자는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나라이면서도 '임진왜란'과 '일제강점기'로 인해 21세기인 지금까지도 아주 먼 나라로 인식되고 있는 일본과의 관계를 주목하게 되었고 이를 본고의 출발선으로 잡았다. 또 초등학생들이 상대국의 역사와 현실을 이해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요소가 '교과서'와 '교사'라는 점을 중시하여 초등학교 교과서 상의 한·일 관계 내용과 초등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한·일 관계의 이해도를 분석하였다. 먼저 초등학교 교과서상의 한·일 관계 내용이 5차, 6차, 7차 교육과정의 변화 속에서 어떠한 변화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지를 서술분량과 내용 면에서 분석하였다. 일차적으로 5차, 6차, 7차 교과서의 서술분량을 비교해 보았더니 5차에서 6차로 갈 때에는 한·일 관계사의 서술분량이 증가하였다가, 7차로 가면서 서술분량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5차, 6차, 7차 교육과정 모두에서 한·일 관계사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다른 어떤 나라에 비해 높으며 이는 교육과정은 바뀌었어도 한·일 관계에 대한 중요도는 변하지 않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 5차와 6차에서는 ‘일본으로의 우수한 문화 전수’와 ‘일제강점기 때의 독립을 위한 저항’ 내용을 지나치게 강조한 반면 7차에서는 전체적 시각에서 우리 민족 문화 자체를 고찰함에 더 비중을 두어 서술분량의 변화가 생겨난 것이다. 다음으로 한·일 관계 내용을 ‘삼국 문화의 일본 전달’, ‘임진왜란’, ‘조선통신사’, ‘근대화 과정에서의 일본’, ‘일제의 주권 침탈’로 구분하여 각 교육과정별로 이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비교해 보았는데 올해부터 시행되고 있는 7차 교과서에서는 5차, 6차와 다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다음은 7차 교과서의 특징들이다. 첫째, ‘삼국 문화의 일본 전달’ 부분에 있어 과거 교과서 기술과 달리 일방적 문화 전수자로서의 우리나라에 대한 기술을 자제하고 있다. 둘째, ‘임진왜란’ 당시의 국제적 정세와 국내 상황을 간단하게나마 살펴봄으로써 객관적 시각을 견지하게 해 주고 있다. 셋째, ‘조선통신사’의 의미를 한·일 간의 상호존중과 교류로 보고 있다. 5차와 6차에서는 ‘조선통신사’부분을 미개한 일본에 우수한 문화를 전달해 주는 의미를 강조하는 반면 7차에서는 ‘조선통신사’를 오늘날의 외교관의 의미로 바라보는 학습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넷째, ‘근대화 과정의 일본에 대한 이해’를 ‘제국주의’라는 세계적 조류 속에서 해석하고 있다. 다섯째, ‘일제강점기의 의미’를 현대의 시각으로 보고 있다. 5차, 6차, 7차 모두 일본의 침략정책과 우리 조상들의 독립운동을 강조하고는 있으나, 7차 교과서는 일제 강점기의 한·일 관계 서술보다 해방이후 현대의 역사에 중점을 더 두고 있다. 그럼, 교과서와 함께 가장 중요한 교사들의 한·일 관계에 대한 이해는 어떠한가· 다음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한·일 관계 이해도 분석 결과이다. 첫째, 초등교사들의 일본에 대한 이해는 단편적이다. 초등교사들은 일본에 대한 경험은 대부분이 간접경험이고 정보를 얻는 방법도 ‘뉴스’에 한정되어 있는 편이다. 둘째, 초등교사들의 한·일 관계에 대한 인식경향은 긍정과 부정이 상존하고 있다. 초등교사들이 일본에 대해 가르칠 때 주로 강조하는 점이 ‘역사적 침략’ 내용인 점은 부정적인 측면을 보여주고, 역사상 한·일 문화 교류에 관해서 ‘상호 문화 교류’라는 생각이 59%인 점, 또 한·일 관계의 저해 요인으로 ‘한·일 국민간의 의식차이’를 들고 있는 점등은 긍정적인 측면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초등교사들은 교과서에 제시된 한·일 관계 내용에 대하여 객관적 사고를 하고 있다. 삼국시대 때 우리조상들이 일본에 건너간 이유를 양국 간의 문화교류로 보는 점과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원인을 일본의 침략성이 아닌 우리의 국제정세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찾는 점은 그 좋은 예이다. 넷째, 초등교사들은 미래의 한·일 관계에 대해 매우 긍정적 사고를 가지고 있다. 21세기 한·일 관계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82.5%인 점은 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며 더불어 대외관계를 가르칠 때 ‘상호 문화적 협력관계’를 중시해야 한다는 점과 앞으로의 한·일 관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할 점으로 ‘양국 국민간의 이해 증진’을 60%이상의 교사가 답한 점은 초등교사들이 미래의 한·일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근거이다. 이상과 같이 초등학교 6학년 사회과 역사영역에 기술되어진 한·일 관계 내용은 교육과정이 바뀌면서 과거의 ‘우리나라의 문화 우월성’과 ‘일본의 침략성 강조’라는 측면에서 벗어나 상호이해교육의 측면으로 다가서고 있으며 교사들도 미래의 한·일 관계를 중요하게 바라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러한 우리나라 교육의 변화가 현실화 될 수 있도록 몇 가지의 제언을 하면서 본고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서 집필자들은 학생들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교과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서술함에 있어 객관적이고도 있는 사실을 그대로 서술하는 자세로 집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사료를 해석할 때에는 당시의 국내적 관계뿐이 아니라 국제 관계까지 살펴보는 거시적 안목이 필요하다. 셋째, 교과서를 통해 학생들을 직접 지도하는 교사들이 정확한 역사적 지식을 쌓아 실제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이 한·일 관계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가 제공되어져야 한다. 넷째는 위의 제언을 구체화시키는 실천적 방법으로서 한·일 교사와 아동간의 상호 교류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지금도 일부에서 한·일 교사들에 의한 공동 역사 연구나 교류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이 실제 교육현장의 저변으로 확대되지 못하여 현장의 교사로서 한·일 이해교육에 대한 느낌은 다소 거리감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에 양국에서 한·일 이해교육이 확실하게 자리잡기 위해서는 좀 더 적극적이고 다양한 교류의 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In today's history education, students should learn to look at history from not only our country's perspective but worldwide viewpoint, in order to deeply understand and collaborate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at have had relations to us for centuries. A mutual understanding should be given the top priority to ensure peaceful coexistence and reciprocal prosperity between different nations. In particular,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is very important since what students learn in elementary school has a lifelong influence on them. And history about relations with other nations is especially gaining in importance in modern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our relationship with Japan, which is geographically near yet actually viewed as a nation far away from us, due to the 1592 Japanese invasion and colonial ruling. As textbook and teacher give the greatest impact on elementary schooler's outlook on other nations, elementary textbooks and the way elementary school teachers look at Korea-Japan relation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much and in which way the 5th, 6th and 7th national elementary curricula described Korea-Japan relationship, it's found that the 6th curriculum included more about that relationship than the 5th one, but 7th curriculum gave less explanation than the 6th. But Japan was given more weight in all the curricula than any other countries, and this fact suggests that the importance of Korea-Japan relations remained the same, in spite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curricula. The 5th and 6th curricula put excessive emphasis on the transmission of our superb culture to Japan and our resistance against Japanese occupation, whereas the 7th makes more efforts to see our cultural heritage from a comprehensive standpoint. This was why the 7th one handles Korea-Japan relations less than the former ones. When the way each of the curricula deals with the transmission of Three Kingdoms' culture to Japan, the 1592 Japanese invasion, Jeseon messengers, Japan's modernization and its occupation of our country was compared, the ongoing 7th textbooks are different from the 5th and 6th ones as follows: First, unlike the former textbooks, the 7th ones restrain themselves from depicting our country as one that handed over our excellent culture to Japan who was in a inferior situation. Second, they provides an explanation about the contemporary international and domestic situations when the 1592 Japanese invasion took place, though not so fully, to help students see it from an objective viewpoint. Third, Joseon messengers are looked upon as a sign of mutual respect and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The 5th and 6th textbooks stressed them as one who delivered our superior culture to Japan that was uncivilized, but the 7th ones see them like today's diplomats. Fourth, Japan's modernization is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mporary global trend called Imperialism. Fifth, the Japanese occupation of our country is viewed from a modernistic standpoint. All the 5th, 6th and 7th curricula emphasize Japan's invasion and our precedents' independence movement, but the 7th textbooks give more weight to modern history after the 8?15 Liberation than to the Japanese occupa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most important for history education along with textbooks, see Korea-Japan relations as below: Firs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estigated just have a fragmen- tary understanding of Japan. They have had little firsthand experience to contact Japan, and mass media news is mostly the sole source of information. Second, they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outlook on Korea-Japan relations. They are negative about Japan because they stress Japan's past invasion, and they are positive about it because 59 percent believe both countries have exchanged their cultures and a different way of thinking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eople is regarded as a factor that interrupts the relations. Third, they take an objective view about the explanation about Korea- Japan relations in textbooks. They think that our ancestors went to Japan for cultural exchange in the Three Kingdom Era, and that Joseon Dynasty's poor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situations was the cause of Japanese occupation. Fourth, they think of future Korea-Japan relations very positively. 82.5 percent consider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important in the 21st century, and more than 60 percent argue that reciprocal cultural collaboration be mainly dealt with in class when international relations are educated, and that better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nations is most crucial for future Korea-Japan relations. This is evidence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future Korea- Japan relations. As stated above, the current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grade 6 leans toward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Korea and Japan, instead of stressing our country's cultural superiority and Japan's invasio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give weight to future Korea-Japan relations.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how to offer better history education: First, people who prepare textbooks should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extbook, as students are under the greatest influence of textbook, and they have to take an objective attitude. Second,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interpreted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e contemporary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should be both considered. Third, teachers should have a precise historical knowledge and provide various types of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have a correct under- standing of Korea-Japan relations. Fourth, exchange between teachers and between children in both nations should be promoted. Some Korean and Japanese teachers make joint efforts for historical research or cultural exchange, but it's just a partial phenomenon and most teachers don't have any chance to understand the other nation better. To make Korean and Japanese people understand each other, more active and diverse ways to facilitate mutual exchange should be prepared.

      • 소집단 부모교육에 참여한 베트남 이민자가정 아버지들의 영유아기 자녀양육 어려움 및 변화과정

        방혜경 성신여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Difficulties of Korean Fathers Raising Young Children in 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y and their Changes from Small Group Parent Education Bang, Hye-Kyung Dep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ungshin Women's University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iculty of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 family fathers who takes care of the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the role of parent mentors in the course of small-group parent mentoring programs supporting fathers and the transition aspects of fathers. First, what are the difficulties of the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 family fathers experiencing from the rearing the infants and young children? Second, what are the roles of the parent educators shown from the small-group parent mentoring programs? Third, how is the transition aspect of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 family fathers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small-group parent mentoring programs? This study used culture description research methodology in understanding the difficulties of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 family fathers’ home, and the change process of the fathers who joined small-group parent mentoring programs. From April 30 to September 16, 2012 the researcher applied small-group parent mentoring programs to 7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 family fathers living in Gyeong-gi province who have the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small-group parent mentoring programs were given at a psychology counsel center located at a church in P city. The mentoring programs included the discussion and demonstration process to help them understand their culture and child-rearing methods. During the research period there were total 20 times of parent mentor programs for which one session took 90 to 120 minutes.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were given four times. Fifteen times first interviews, person to person, were given from April 30 to May 5, 2012 to 10 fathers hoping to take part in small-group parent mentoring programs. Second personal interviews were given from May 6 to August 19, 2012. Total 56 personal interviews were given to 7 among 10 who participated in parent mentoring programs. Third interviews were three group interviews for mothers given from August 26 to September 2, 2012. Fourth group interviews were given twice from September 9 to 16 of 2012 to research participant parents. Moreover, 4 research participant families joined the family camp for the multiculture family from August 1 to 4, 2012. The researcher also joined the camp and applie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collected data during research period including 20 parent mentor program data, 76 in-depth interviews, observed data, on the spot note, quick write-ups, journals and the like were categorized and then analyzed. Major results shown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naire: First,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 family fathers rearing the infants and young children were facing the following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child-rearing fathers replacing wives lacking mothers’ role took mostly the place of mother-oriented jobs. So they were experiencing inertia or lack of confidence from the negative identity. Fathers were confronting difficulties as their wives’ continuous financial support for maiden home family and their inability towards responding primary needs of their children. Withi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family there were inefficient communication, cultural differenc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ld-rearing knowledge. The financial difficulty caused from child-rearing was one major factor giving difficulty to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family. Fathers working at unstable jobs felt heavy burden from ever increasing education expenditure. Second, under the course of constituting the contents of small-group parent mentoring programs and applying parent mentoring, parent educators made parent mentoring contents which included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family fathers’ understanding Vietnamese culture and the subjects for child-rearing. As parent educators provided the place for fathers expressing their isolated and repressed sentiment and let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 family members feel comfortable fathers could participate the parent mentoring programs with comfort. During classes parent mentors took the role of information givers to fathers for the understanding Vietnamese culture and the knowledge about rearing the infants and young children. Parent educators did the role of the communicator by way of sharing emotional consensus through exchanging feelings with fathers. By parent educators’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practice and discuss what fathers learned fathers were encouraged to improve child-rearing attitude. By parent mentors’ providing fathers with the opportunity of reflective thinking and supported repeatedly the inefficient parts, parent mentors supported fathers to have confidence in paternal role. Third, before participating small-group parent mentoring, fathers didn’t have confidence and struggled in the process of child-rearing in paternal role from the negation and anger of their own life. By joining small-group parent mentoring programs they participated actively in child-rearing and had confidence in paternal role in due process. Fathers who have changed during parent mentoring programs let mothers know the child-rearing methods and helped wives actively with the Korean language acquisition. Change like this led to less struggle between husbands and wives concerning the child-rearing. By participating small-group parent mentoring program,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 family fathers became to know how to cut child-rearing expenses and how to use the information about the support service suitable for their family.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베트남 이민자가정 아버지들의 어려움이 무엇이며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소집단 부모교육 과정에서 부모교육자 역할과 아버지들의 변화양상이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 이민자가정의 아버지가 영유아기 자녀양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둘째, 베트남 이민자가정의 아버지 대상 소집단 부모교육에서 부모교육자의 역할은 무엇인가? 셋째, 소집단 부모교육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베트남 이민자가정 아버지들의 변화양상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베트남 이민자가정 아버지들이 가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소집단 부모교육에 참여한 아버지들의 변화 양상을 이해하고자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2012년 4월 30일부터 2012년 9월 16일까지 경기도에 거주하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베트남 이민자가정의 아버지 7명을 대상으로 소집단 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소집단 부모교육은 P시에 소재한 교회의 심리 상담실에서 진행하였으며, 아버지들의 베트남 문화 이해와 자녀양육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토의하고 시연하는 과정이 부모교육에 포함되었다. 연구 기간 중에 총 20회의 부모교육을 진행하였으며, 부모교육은 1회기 당 90~12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자료 수집을 위한 면담은 4차로 나뉘어 실시하였다. 1차 면담은 2012년 4월 30일부터 2012년 5월 5일까지 소집단 부모교육에 참여하기 원하는 아버지 10명 을 대상으로 개별면담 형식으로 총 15회 실시하였다. 2차 면담은 2012년 5월 6일부터 2012년 8월 19일 사이에 이루어졌다. 부모교육에 참여하는 아버지 10명 중 7명을 대상으로 총 56회의 개별면담이 이루어졌다. 3차 면담은 2012년 8월 26일부터 2012년 9월 2일 사이에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총 3회의 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4차 면담은 2012년 9월 9일부터 2012년 9월 16일까지 연구 참여자 부부를 대상으로 총 2회의 집단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연구 참여자 네 가정이 2012년 8월 1일부터 8월 4일까지 다문화가정을 위한 가족캠프에 참여하였는데, 이 과정을 본 연구자가 함께 하면서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에 수집된 자료는 20회기의 부모교육 자료와 76회의 심층면담 자료, 참여관찰 자료, 현장노트, 약기노트, 저널 등의 자료로 범주화하고 의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베트남 이민자가정의 아버지들이 겪는 어려움은 다음과 같다. 자녀양육 과정에서 어머니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아내를 대신하여 아버지들은 어머니가 주로 하고 있는 역할까지 맡아서 하는 경우가 많았고, 부정적인 자아상으로 인해 부모 역할에 자신이 없거나 무력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아버지들은 아내가 지속적으로 친정에 경제적인 지원을 해야 하고, 어린 자녀들의 기본적인 요구에도 제대로 반응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베트남 이민자가정에는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고 문화 차이와 양육 지식의 차이가 존재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자녀양육과 관련된 경제적인 어려움은 베트남 이민자가정을 힘들게 하는 또 하나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들은 안정적이지 않은 직장 생활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앞으로 계속 증가하게 될 자녀의 교육비용에 대한 부담감을 상당히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집단 부모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부모교육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부모교육자는 베트남 이민자가정 아버지들이 베트남 문화에 대해서 이해하고 자녀양육을 위한 주제가 포함되도록 부모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부모교육자는 아버지들에게 소외되고 억압된 감정을 표출할 수 있는 공간과 베트남 이민자가정의 가족들이 편안하게 있을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함으로써 아버지들이 보다 편안한 마음으로 부모교육에 참여할 수 있었다. 부모교육자는 아버지들에게 부모교육 수업시간에 베트남 문화에 대한 이해와 영유아기 자녀양육에 관련된 지식과 정보의 제공자 역할을 하였다. 부모교육자는 또한 아버지들과의 감정교류를 통해 정서적인 공감을 함으로써 소통자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지식으로만 아는 것에 그치지 않도록 아버지들이 배운 내용을 가정에서 실행해보고 토론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아버지들의 양육태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또한 부모교육자는 아버지들에게 반성적 사고의 기회를 제공하고, 부족한 부분은 반복하여 지원함으로써 아버지 역할에 자신감을 갖도록 정서적인 지원을 하였다. 셋째, 소집단 부모교육에 참여하기 전에 아버지들은 자신의 삶에 대한 부정과 분노로 인하여 자녀양육 과정에서 갈등을 겪었으며 아버지 역할에 대한 자신감이 없었다. 그러나, 소집단 부모교육에 참여하면서 양육에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아버지 역할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또한 부모교육에 참여하면서 변화된 아버지들이 어머니들에게 자녀양육 방법에 대해서 알려주었고, 아내의 한국어 습득을 위해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는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자녀양육과 관련된 남편과 아내 간의 갈등이 완화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또한 소집단 부모교육에 참여하면서 베트남 이민자가정의 아버지들은 자녀양육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과 자신의 가정에 맞는 지원 서비스에 대한 정보 활용 방법을 알게 되었다.

      • CYP2C19 유전형별 duloxetine과 tolperisone의 약물상호작용

        방혜경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olperisone은 중추에 작용하는 근이완제로서 낮은 진정작용을 가지며 근연축을 수반하는 요통, 관절질환, 외상, 신경계 질환에 의한 근육연축 등의 다양한 질환에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 안전성 문제로 경구제만이 제한적 용도로 허가되어 있다. In vitro 연구에 의하면, 알려진 tolperisone의 몇 가지 대사체 중 주 대사체인 M1 (hydroxymethyl tolperisone)은 CYP2D6 (major), CYP2C19 (CYP2D6 효소 활성의 60% 정도)과 CYP1A2 (minor)에 의해 대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된 연구에서 건강한 한국인 지원자들에게 경구 tolperisone의 단일용량 투여 후, tolperisone의 혈중농도에서 개인 간에 매우 큰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이후 연구에서는 CYP2D6의 유전적 다형성이 tolperisone의 PK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 러나 같은 CYP2D6 유전형군 그룹 내에서도 tolperisone의 PK에는 개인차가 여전히 존재하였다. Dulextine는 주요 우울장애, 범불안장애,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섬유근육통의 치료에 쓰이는 약물로서 다른 CYP enzyme들의 inhibition 없이 단지 CYP2D6의 inhibitor로만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CYP2D6의 moderate inhibitor인 duloxetine을 전투여하여 CYP2D6 효소의 활성이 중등도로 억제되었을 때, tolperisone의 PK상의 개인차를 가져올 만한 다른 인자로서 CYP2C19 polymorphism이 해당되는지를 보고자하며, 더불어tolperisone과 duloxetine의 약물상호작용 정도를 보고자 하였다. PCR-RFLP method를 통한 genotyping 후에, 피험자는 CYP2C19 유전형별로 세 그룹으로 나뉘어 (최종 분석에 포함된 피험자 : EM (n=9), IM (n=8), PM (n=7)),open-label로 two phase parallel group study로 수행되었으며, control phase에서는 경구 tolperisone HCl 150 mg의 단일 투여를 기점으로, blood sample이 총 14회에 걸쳐 12시간동안 수집되었다. 며칠간의 wash-out period 이후, duloxetine phase (CYP2D6 inhibition phase)에서, 피험자들은 duloxetine 30 mg의 전투여 (1일 2회 3일간과 tolperisone 경구투여 1시간 전)를 받았으며, 이후의 과정은 control phase와 동일하였다. 각 phase에서 수집된 blood sample들은 원심분리하여 혈장으로 분리한 후, 이를 tolperisone에 대한 기존의 LC-MS/MS analysis method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moderate CYP2D6 inhibitor인 duloxetine을 투여 후와 전을 비교 시 유의한 tolperisone의 약동학적 변화가 관찰되었고, 이를 CYP2C19의 EM, IM, PM의 각각의 그룹에서 살펴보아도 tolperisone의 PK는 control phase와 비교시 유의한변화가 나타났다.Control phase에서 tolperisone의 약동학적 지표들 사이에서 보였던 CYP2C19 유전형 군 간의 유의한 차이와는 다르게, duloxetine phase의 PK에서는 세 군 간에 유의성은 없었으나, CYP2C19 EM군 또는 IM군과 비교 시 CYP2C19 PM군의 몇몇 약동학적 지표에서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지으면, duloxetine은 CYP2C19의 세 가지 유전형 군에서 tolperisone의 PK를 유의하게 변화시킨다. CYP2C19의 PM인 경우, 또는 CYP2C19 inhibitor와의 병용 투여 시 tolperisone의 농도가 현저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흡연은 CYP1A2 효소의 유도로 tolperisone의 혈중농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 효소와 관계된 더 많은 PK, PD 연구와 용량 조절 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주제어 : tolperisone, duloxetine, CYP2C19, CYP2D6, 약동학 Tolperisone is a centrally acting muscle relexant with low sedating adverse effect. Among known several metabolites, M1((hydroxymethyl tolperisone, main metabolite) is produced by CYP2D6 (major) CYP2C19 and CYP1A2 (minor) (in vitro). In previous study, after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tolperisone, considerable variation between individuals in plasma concentration of tolperisone was observed. And further study has recently shown that the CYP2D6 genetic polymorphisms prominently contribute to this interindividual variation on the PK of tolperisone in healthy Korean subjects, but according to the data, large inter-individual variability were also existed in the subjects belonging to the same genotype groups of CYP2D6 gen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whether CYP2C19 polymorphisms is another contributing factor for inter-individual variability on the PK of tolperisone as well as the effect of CYP2D6 polymorphism previously reported, and to investigate drug-drug interaction potentials with duloxetine, a CYP2D6 moderate inhibitor. After genotyping (using PCR-RFLP method), subject were separated into three groups (final participants : EM(n=9), IM(n=8), PM(n=7)) based on their CYP2C19 genotypes. This study was open-label, two phase parallel group study. In the control phase, after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tolperisone HCl 150 mg,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total 14 times (including time 0 : before drug administration) for 12 hours. After several days of wash-out period, in duloxetine phase (CYP2D6 inhibition phase), subjects received pre-administration of duloxetine 30mg (twice a day for 3 days and 1 hour before tolperisone administration), prior to undergoing the same study procedures as in control phase. In each phase, blood samples were centrifuged and the plasma samples were used for LC-MS/MS analysis by the method previously described. When compared to control phase, duloxetine increased the values of Cmax, AUC0-12hr and AUC0-∞ of tolperisone substantially by 170.8%, 158.3% and 156.9%, respectively (P<0.0001). Meanwhile, CL/F and Vz/F of tolperison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55.7% (P<0.0001) and 54.4% (P<0.0001), respectively. PK of tolperisone in CYP2C19 EM, IM and PM group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uloxetine (Cmax increase by 292%, 179.6% and 156.8%, respectively) and in comparison with EM or IM group, some PK parameters in PM subjects of CYP2C19 gene was relatively high (e.g. Cmax (ng/mL)) in duloxetine phase : 125.3 ± 62.2 (EM), 137.0 ± 69.8 (IM), 297.7 ± 238.2 (PM); 237.6% of EM, 217.3% of IM, lowest value of EM subject : 33, highest value of PM subject : 682; 2066.7% of lowest). Individual concentrations of tolperisone in several smokers showed very small values than non-smokers. CYP2D6 moderate inhibitor duloxetine influence the PK of tolperisone considerably in different CYP2C19 genotype groups. It could be assumed that, CYP2C19 PM or when coadministered with CYP2C19 inhibitor, they would hav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tolperisone than EM or IM or than individuals with single medication. Smoking might substantially decrease the concentration of tolperisone by induction of CYP1A2 enzyme. Further studies on these enzymes including PK, PD and dose optimization of tolperisone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