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각예술의 시공간 확장 요소를 통한 감각회귀시스템(SRS) 구체화에 관한 연구

        방미영 부경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e process of the transition of culture from the oral era to the writing era to the image era, the constant human desire to reproduce Reality has developed perceptible medium that can be sensed mainly by limited senses such as Visual and Hearing. However, today's Visual Arts which have been transferred to Virtual Reality technology feel like Reality but cannot feel a sense of Reality due to the medium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Visual Arts extended into space-time, digital media are reproduced in Virtual Images consisting only of ‘0 and 1’ with no substance and perceived as Fake Sensory. But, human nature wantes to return to the Real Sensory rather than Fake Sensory perceived through the media. This Sensory Regression desire is caused by a deficiency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Real Sensory and Fake Sensory, meaning to restore a pure sense of Reality. As well as, it is also the principle of sensory desire to return to a sense of Reality. From this point of view, digital media extended into space-time became impossible to feel a Real Sensory. Because of it exist only Fictional Images without material features. So as a second best solution, we sought Virtual Reality(VR) media which alternated our Real Senso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build elements and systems of the Sensory Regression System(SRS) to analyze Visual Media reproduced during the medium transferred process of 2D Visual Arts. To build the SRS, first of all, I defined VR sensitivity as the concept of Sensory Regression, which choose as an alternative because it cannot return to the Real Sensory. This study focused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onduct basic literature research on Art, Existential Philosophy, Media and Cognitive Psychology based on Humanities and gained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and elements of Sensory, Images and Media. Chapter 3 established concepts by extracting elements of SRS and presented the basis for the principle of Sensory Regression in terms of Cognitive Psychology and Philosophical aspects. Furthermore, I presented an analytical framework by systemizing SRS based on the principle of Sensory Regression. Finally, in Chapter 4 Theory Verification and Case Study, I validated content validity by collecting Expert opinions on the three elements of SRS:Media(M), Image(I) and Real Sensory(RS) through investigation of Delphi Technique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Based on the modifications and supplements presented in the 2 round, eight details, which are 3D Graphic Image, Motion, Interaction, Realistic Fake-Image, Real&Fake-Image, Visual, Hearing, Tactile, are extracted to present an analytical frame. And the case, which is an empirical analysis method, were analyzed to verify the validity of SRS and draw conclusions. The scope of collection of case analysis data was limited to the medium in which Visual Arts produced in planar space were expanded to space-time and a total of nine selected cases were analyzed by experts. The limitations of this work are first, the study of the responses of users who are active, positive and transcendent perceptions that sense of Visual Media extended to Virtual Space have not been discussed. Second, Visual Arts extended into space-time had quantitative limitations when collecting works for case studies, as state-of-the-art technologies were applied. However, based on this work, we can expect active research and production of Visual Arts that expanding from 2D space to space-time. Overall, this work integrated both Media and Sensory concepts into the process and content of perceiving Fictional Images that are mediated with digital media when Images in 2D spaces extend to time and space and established theoretical framework. The fundamental perception of Visual Arts expressed by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closest to Reality only expressed the impossibility of restoring the intrinsic sense due to our inherent limitations to the media. Thus, the desire to return to Reality will induce continuous development of visual media even after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구술시대에서 문자 시대를 거쳐 이미지의 시대로 문화가 전이되는 과정에서 현실을 재현하고자 하는 끊임없는 인간의 욕망은 주로 시각이나 청각 등의 제한된 감각으로 지각할 수 있는 매체를 발전시켜 왔다. 하지만 가상현실 기술로 매체 간에 전이가 일어난 오늘날의 시각예술은 현실처럼 느끼지만, 매체의 매개적 특성으로 인해 실지(實地) 감각을 느낄 수가 없다. 즉, 시공간으로 확장된 시각예술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인간은 현실과 같은 감각으로 지각하고자 하지만, 디지털 매체는 질료가 없는 ‘0과 1’로만 이루어진 가상의 이미지로 재현되고 인위적인 가성 감각(FS, Fake Sensory)으로 지각된다. 그러나 인간의 본성은 매체를 통해 지각하는 가성 감각성보다는 자연적이고 순수한 진성감각(RS, Real Sensory)으로 지각하고자 한다. 이러한 감각적 회귀 욕망은 진성감각과 가성 감각의 차이로 인한 결핍이 원인이며, 현실의 순수 감각을 회복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이것은 현실 감각으로 환원하고자 하는 감각적 욕망의 원리이기도 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시공간으로 확장된 시각예술은 물질적 형상이 없는 허구적 이미지만이 존재하므로 진성감각을 느끼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차선책으로 현실 감각을 대체(Alternative)하는 가상현실 매체를 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D의 시각예술이 시공간으로 확장된 가상현실 매체를 분석하기 위해 감각 회귀 시스템(SRS, Sensory Regression System)의 요소와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진짜 현실 감각으로 돌아가지 못해 대신 선택한 가상/증강(VR/AR)현실 매체를 지각하는 감각성을 감각 회귀의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감각과 매체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오늘날 시각예술은 인간과 미디어에 대한 감각적 경험을 디자인하는 것으로 매체 간의 변화, 매체를 통해 재현된 가상의 이미지 그리고 그것을 지각하고 감각하는 것에 대해 매체-이미지-감각을 모두 통합적으로 살펴볼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론을 중심으로 먼저, 인문학, 실존철학, 예술학, 인지심리학 그리고 미디어 학을 기반으로 기초적인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고 매체, 이미지 그리고 감각의 개념을 파악하였다. 3장에서는 퍼스의 3원 기호론을 바탕으로 감각 회귀 시스템(SRS)의 3가지 핵심 요소를 추출하여 개념을 정립하고 인지적·철학적 측면으로 감각 회귀 원리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감각 회귀 원리를 바탕으로 SRS를 체계화하여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의 이론 검증 및 Case Study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론의 하나인 델파이 기법 조사를 통해 SRS의 3가지 요소인 매체(M), 이미지(I), 감각(RS)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2라운드에서 제시된 수정·보완 사항을 바탕으로 8가지 세부 요소-3 그래픽 이미지(3D Graphic Image), 움직임(Motion), 상호작용성(Interaction), 진성적 가성 이미지(RF, Realistic Fake), 진·가성 혼재 이미지(R&F, Real & Fake), 시각(Visual), 청각(Hearing), 촉각(Tactile)-를 추출하여 분석 프레임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증분석 방법인 사례를 분석하여 SRS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사례 분석 자료의 수집 범위는 평면 공간에서 제작된 시각예술이 시공간으로 확장된 매체로 한정하였고, 사전 수집과정에서 페인팅, 그림책, 포스터, 잡지, 지면 광고 등으로 1차 분류할 수 있었다. 전문가들에 의해 선별된 사례 중에 SRS의 요소가 가장 높은 분석 대상인 VR 아트, AR 그림책, AR 포스터 각 3편, 총 9편을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2D 시각예술의 감각 회귀방식은 크게 VR과 AR 방식으로 회귀하는데, VR 아트는 기존의 2D 공간에서 3D 공간의 구현을 통해 입체감을 부여하였고, 카메라 워크를 통한 관람자의 관람 시점 이동은 기존의 클래식 페인팅에서보다 더 확실하게 내러티브를 전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리적인 시각 매체와 가상의 증강 매체가 공존하는 또 다른 감각 회귀방식인 AR 그림책과 포스터는 접촉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 VR 아트와 큰 차이점은 실시간(RT)으로 책 페이지를 넘기며 상호작용하는 점이고 이는 디지털 미디어에서 경험하는 감각적 결핍을 채울 수 있는 정서적 측면을 담당하였다. AR 그림책과 포스터는 VR 아트와는 달리 정지(St)되어 있던 이미지가 증강되어 3D 그래픽 이미지(3D Graphic Image)를 구현하였고, 사운드 이펙트(SE)와 배경음악(BGM) 혹은 대사(D&N)와 같은 청각적 요소를 중첩해서 제공함으로써 실시간(RT) 상호작용성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또한, 증강된 3D 객체는 체험자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움직임이 재현되었다. 따라서 인쇄 매체의 감각 회귀방식은 AR 방식으로 회귀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 번째, 가상공간으로 확장된 시각 매체를 감각하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이며 초월적 인지의 주체자인 사용자의 반응에 관한 연구는 논외로 하였다. 두 번째, 시공간으로 확장된 시각예술은 최신 기술이 적용되었기 때문에 사례 연구를 위한 작품을 수집할 때 양적인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토대로 2D 공간에서 시공간으로 확장된 시각예술의 활발한 연구와 제작을 기대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평면 공간 속의 이미지가 시공간으로 확장될 때 디지털 미디어와 매개하여 재현된 허구적 이미지(Faked Image)를 우리의 신체를 통해 지각하는 과정과 내용에 대해 매체적, 감각적 개념으로 모두 통합해서 살펴보고 이론적 체계를 수립하였다. 현실에 가장 근접한 가상현실 기술로 표현되는 시각예술의 근원적 지각성은 매체로의 태생적 한계로 인하여 본유적 감각 회복의 불가능성만 표출하였다. 그러므로 현실 상태로의 감각 회귀 욕망은 가상현실 기술 이후에도 시각 매체의 지속적인 개발을 유도하게 될 것이다.

      • 향교·서원 문화콘텐츠의 브랜드개성이 관광체험과 체험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방미영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cultural value of Hyanggyo and Seowon was re-recognized when Seowon in Korea was lis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on July 6, 2019. Hyanggyo and Seowon are Korean cultural heritages that are based on the spirit and living culture of Koreans by inheriting the tradition of Confucian culture. There are nine Confucian academies listed as UNESCO World Heritage sites, including Dodong Seowon, Sosuseowon, Dosan Seowon, Byeongsan Seowon, Oksan Seowon, Namgye Seowon, Pilam Seowon, Museong Seowon, and Donam Seowon. As Hyanggyo and Seowon were registered as UNESCO World Heritage sites, it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people who wanted to experience Korean culture and Korean Wave fans. Therefore, Hyanggyo and Seowon need to understand and discuss how to resource the traditions and historical values of Confucian culture as cultural tourism.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erception that understanding and discussion on brand personality of cultural contents are needed for the resourceization of culture and tourism of Hyanggyo and Seow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on cultural contents experience based on brand personality and to present a plan to develop contents suitable for the trend of the times. Based on this, to help Hyanggyo and Seowon become a venue for cultural content experience in the space of cultural assets, this study comes up with a plan for joint utilization in conjunction with facilitie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pose measures to expand the operation in connection with local human resources so that the cultural contents of Hyanggyo and Seowon can be possessed and enjoyed, to establish a network and to spread the experience contents to make it sustainable. This research was done in parallel with the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study in the re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 This study established the theory in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references. The case analysis of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was conducted in a qualitative manner based on the questionnaire on two Hyanggyo and one Seowon by experts who had a lot of experience in this field as research participants. This study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o identify the flow of the relationships when causal relationships exist among the constructions concept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personality factors and tourism experience fact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experience factors and post-experience evaluation factors. In addition to evaluating the brand personality of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an evaluation of cultural contents are to be conducted after experience. Suggestions obtained based on analysis cases and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ultural contents of Hyanggyo and Seowon are limited to educational experiences as of traditional culture, innovation should be built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at can be reborn as cliche cultural contents for future generations and maintain brand personality continuously through creativity. To this end, the ways to digitize educational experience contents such as web-based electronic publishing, games, entertainment elements and video contents of VR/AR should be seek. Second, the cultural contents of Hyanggyo and Seowon need to develop traditionally enjoyable play experience tools to enhance innovation along with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radition and folk games. In addition, Confucian scholars, management staff and local communities should establish a network for consensus together for institutional measures to transform Hyanggyo and Seowon into a space that allows them to enjoy laugh and chat in a solemn space of education and decency. Third, the buildings of Hyanggyo and Seowon already have an aesthetic perspective, but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failure of the surroundings of Hyanggyo and Seowon to maintain aesthetics, a linkage plan should be devised to improve the surrounding landscape along with the perimeter roads where one can enjoy taking a walk. Fourth, it should be regularized to wear traditional clothes during the experience period so that cultural contents of Hyanggyo and Seowon can experience deviant experiences through the effects of immersion, and institutionalized ‘Hyanggyo Stay’ so that creative thinking can be found new through the old things or traditional manner can be continued. Fifth, Hyanggyo and Seowon are not equipped with air-conditioning facilities, making it difficult to proceed with summer events. Experience contents that have not been implemented in a pleasant environment will become a negative perception of brand individuality beyond the intention of the experience to be delivered. Measures should be devised to jointly utilize local community facilities to supplement facilities so that buildings of Hyanggyo and Seowon can overcome weak structures in summer and winter. Sixth, personnel for PR marketing in the New Media Age should be deployed. To this purpose, measures and continuous networks should be established to link with human resources such as local youth and university students. Seventh, in order to highlight originality through in connection with local culture, a network method that can lead to a pilgrimage course of Hyanggyo and Seowon across the country should be explored. Future research projects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nalyzing cases of Hyanggyo and Seowon's cultural contents, various studies are needed through regional case analysis of Hyanggyo and Seowon across the country so that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operated as support projects can be established and considered as their own projects. Second, since the cultural contents of Hyanggyo and Seowon are recognized as the most highly by experienced people and Hyanggyo and Seowon in modern society are recognized as the center of spiritual cul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fulfill the role of character education for youths who have not participated experiencing in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Third, research that includes those who experienced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as well as those who not-experienced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is needed to induce the inflow of potential customers into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and to confirm empathy for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contents between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people. 한국의 서원은 2019년 7월 6일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 서 향교·서원의 문화적 가치가 재인식되었다. 향교·서원은 유교문화의 전 통을 계승하여 한국인의 정신문화와 생활문화에 근간을 이루는 한국문화 의 유산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서원은 도동서원, 소수서 원, 도산서원, 병산서원, 옥산서원, 남계서원, 필암서원, 무성서원, 돈암서 원 등 아홉 곳이다. 향교·서원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계기로, 한국문화를 경험하고 싶어 하는 국민들과 한류 팬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 다. 따라서 향교·서원은 유교문화권의 전통과 역사적 가치를 어떻게 문화 관광으로 자원화 하는가에 대한 이해와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향교·서원의 문화관광 자원화를 위해 문화콘텐츠의 브랜드개 성에 대한 이해와 논의가 필요하다는 인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향교·서원 문화콘텐츠가 브랜드개성을 토대로 문화콘텐 츠 체험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여 시대의 트렌드에 맞는 콘텐츠 개발 방안 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바탕으로 향교·서원이 문화재로서의 공간에 서 문화콘텐츠 체험의 장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역사회의 시 설과 연계한 공동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향교·서원 문화콘 텐츠가 향유될 수 있도록 지역의 인적자원과 연계한 운영 확대와 이를 지 속가능하게 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축과 체험콘텐츠 보급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회과학의 연구방법론에 따라 연구방법에 있어 문헌적 연 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를 국내·외 관련 서적과 논문에 서 이론을 정립하였다. 향교·서원 문화콘텐츠의 사례분석은 향교 2곳과 서원 1곳을 설정하여 이 분야에 경험이 많은 전문가를 연구 참여자로 선 정하여 질문지 토대로 질적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구성 개념들 간의 인과관계가 존재할 때 그 관계들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구조방정 식(Structural Equation Model : SEM)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브랜드개성 요인들과 관광체험 요인들과의 관계와 관광체험 요인들과 체험 후 평가 요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향교·서원의 문화콘텐츠 브랜드개성 향상 및 체험 후 평가 그리고 분석 사례와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교·서원의 문화콘텐츠가 전통문화를 답습하는 교육적 체험으로 국한되어 있고, 미래 세대들에게 진부한 문화콘텐츠로 인식되어 있어 창 의성을 통해 브랜드개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시대의 트렌드에 따른 혁신성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웹 기반의 전자출판, 게임, VR/AR의 엔터테인먼트적 요소와 영상 콘텐츠 등 교육적 체험콘텐츠의 디지털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향교·서원의 문화콘텐츠는 전통과 민속놀이에 대한 시대적 해석 과 함께 혁신성을 높이기 위한 전통놀이 체험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향교·서원이 교육과 배례의 엄숙한 공간에서 웃고 떠들 수 있는 오 락적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으로 전환하는 제도적 방안을 위해 유림 단체와 운영진 그리고 지역사회가 함께 공감대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해 야 한다. 셋째, 향교·서원의 건축물은 이미 미학적 관점을 갖추고 있지만 향교· 서원의 주변 환경이 심미성을 유지하게 하지 못한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주변을 산책할 수 있는 둘레 길과 주변 조경을 함께 개선하기 위한 연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향교·서원의 문화콘텐츠가 몰입의 효과를 통해 일탈적 체험이 가 능하도록 체험기간 동안 전통의복을 입는 것을 정례화 하고, 옛것을 통해 새로움을 발견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가 이어질 수 있도록 <향교스테이> 를 제도화 하여야 한다. 다섯째, 향교·서원이 냉방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아 여름철 행사 진행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쾌적한 환경에서 이루어지지 않은 체험콘텐츠는 전 달하고자 하는 체험의 의도를 벗어나 브랜드개성에 부정적 인식으로 자리 매김하게 된다. 향교·서원의 건축물이 여름과 겨울철에 취약한 구조를 극 복할 수 있도록 시설을 보완하기 위한 지역사회의 시설을 공동으로 활용 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여섯째, 뉴미디어시대 홍보마케팅을 위한 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 이 를 위해서는 지역의 청소년 및 대학생들의 인적자원과의 연계를 위한 방 안과 지속적인 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한다. 일곱째, 향교·서원 문화콘텐츠의 체험이 대동소이하게 운영되지 않고 지역문화와의 연계를 통해 독창성을 부각하기 위해 전국의 향교·서원의 순례코스가 하나로 이어질 수 있는 네트워크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향후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향교·서원 문화콘텐츠 사례 분석은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지 원 사업으로 운영되는 향교·서원 문화콘텐츠가 자체사업으로 운영되는 구 조를 구축하고 이를 고찰할 수 있도록 전국 향교·서원의 권역별 사례분석 을 통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향교·서원 문화콘텐츠는 교육적 체험이 체험객들에게 가장 높이 인지되어 있고, 향교·서원이 한국의 정신문화 중심지로 인식되고 있어 현 대사회에서 가장 취약하고 필요한 인성교육에 대한 해답을 득할 수 있는 영역이다. 따라서 향교·서원 문화콘텐츠에 참가하지 않은 청소년을 대상 으로 한 인성교육의 역할 수행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향교·서원은 문화콘텐츠에 대한 잠재고객의 유입을 유도하고, 체 험객과 비체험객 간의 향교·서원 문화콘텐츠에 대한 공감을 확인할 수 있 도록 실증분석 대상을 향교·서원 문화콘텐츠의 체험자뿐만 아니라 비체험 자가 포함된 연구가 필요하다.

      • 캐나다 예술교육정책 연구

        방미영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예술교과 과정 개발뿐만 아니라 예술교육정책 입안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캐나다의 예술교과 교육과정 문서를 토대로 예술교육정책이 방향과 기본 목표, 그리고 운영 체제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캐나다의 예술교육의 기본 목표는 예술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의 문해 능력, 수리적 능력, 커뮤니케이션 기술, 생활기술 등을 함양하는데 있다. 즉, 예술교육을 통해 전인적인 인격을 기르는 것이 캐나다 학교 예술교육의 중요한 목표다. 따라서 바람직한 문화예술을 창출하고 예술을 삶의 질을 높이는 도구로서 활용되고 있는 주요 선진국들 가운데 대표적인 국가인 캐나다를 중심으로 예술교육정책이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캐나다의 예술교육정책 연구는 21세기 선진국 도약에 중요한 문화 인프라의 토대가 될 우리의 예술교육정책의 수립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캐나다의 예술교육정책의 방향과 기본 목표, 그리고 운영체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캐나다 주정부의 교육과정 관련 문서들을 조사하였다. 2단계로 Goetz와 LeCompte(1984)가 질적 연구를 위해 제시한 10가지 준거적 선택 가운데 ‘이상적 사례 선택(ideal case selection)'을 채택하여 캐나다 3개주(온타리오, 브리티시 컬럼비아, 사스카츄완)의 교육과정 문서들을 연구 대상 자료로 선정하여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온타리오주의 예술교육은 창조적인 활동력과 예술작품 감상력, 비판적 분석 기술과 다양한 의사 전달 능력을 개발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수준별 학업 성취의 기준을 제시하여 수준에 맞는 학습을 연마할 수 있게 한다. 온타리오주의 예술교육의 또 하나의 중요한 특징은 예술교과와 다른 교과 즉, 수학과 음악, 기학과 회화의 구도 사이의 연계성을 터득하게 한다는 데 있다. 즉, 음악이나 시각예술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처럼 예술은 역사, 지리, 언어, 문화, 인간 상호작용 등과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학습을 통해 터득하게 한다. 이 학습을 위해 교사들은 예술적 경험, 문화적 자원, 기술적 제공 등을 입체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2) 브리티시 컬럼비아의 예술교육은 통합교육프로그램의 학사일정 프로그램에 있다. 유치원생과 7학년생용 무용, 연극, 음악, 시각예술을 위해 지역적으로 제한적 커리큘럼을 만들어내는 통합교육프로그램의 발전은 다음과 같은 학습 원칙에 의해 인도되어 왔다. 첫째, 학습은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를 요구한다. 둘째, 사람들은 다양한 방법과 다른 속도로 학습한다. 셋째, 학습은 개인적이고 집단적인 과정이다. 통합교육프로그램은 교사들이 무용, 연극, 음악, 시각예술 과목을 유치원에서 7학년까지 학생들에게 가르치는데 필요한 기본적 정보의 일부를 제공해준다. 통합교육프로그램은 왜 브리티시 컬럼비아주의 학교에서 가르쳐져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과 지역적으로 제한된 학사일정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하급정부가 추천하는 학습 자료들은 엄격한 기준에 따라 교육부(장관)(the Ministry of Education, Skills and Training)와 브리티시 컬럼비아 교육자들이 공동으로 검토하고 평가한 것이다. 이를 토대로 브리티시 컬럼비아의 예술교육은 학생과 지역 사회의 요청에 부합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3) 서스카츄완주의 예술교육은 학제 간 연계로 수평적인 학습 효과를 꾀하는데 특징이 있다. 학생들은 창조성의 요소, 문화 역사 구성의 요소, 비판 반응 구성의 요소 등 3가지 기본 축으로 된 학제 간 연계 프로그램 즉, 음악 → 연극 → 시각예술 → 음악 → 무용 → 무용과 음악 → 연극과 시각예술 등으로 이동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교사는 학생 스스로 상상적 글쓰기를 유도하는 통합적이고 총체적인 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서스카츄완주의 예술교육은 예술교육의 연계성을 통해 다양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좋은 기초 교육이 되어 다문화의 캐나다를 조화롭게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감성지능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방미영 가톨릭관동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how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nursing students affect the resilience by targeting 175 students who are attending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G University in G City from April 17 to 21, 2017. Resilience was measured by using 27 items, re-modified by Bae Hye-ryun(2012) from the Korean Resilience Tool (KRQ-53), which was re-created by Kim Joo-hwan(2011) to suit the Korean situation and the tool was developed by Reivich and Shatte (2003).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used 24 items, which Park Joo-young(1995) reconstituted from “The way of Stress Coping Checklist”, and that was developed by Folkman and Lazarus(1985). The emotional intelligence was measured by using 16 items, which were revised by Jeong, Hyun-woo (2007) from WLEIS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that was developed by Wong and Law (2002).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22.0 program,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Scheffé's test were used for posthoc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ilie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as 3.39 ± .55 out of 5 points, and the wishful thinking resilience marked the highest on record with controling was 3.45 ± .58 points, sociability was 3.45 ± .63 points, and positiveness was 3.27 ± .55 points. 2)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of nursing students was 2.56±.41 out of 4 points, and the wishful thinking coping marked the highest on record with 2.76±.48 points, followed by seeking social support coping 2.61±.50 points, problem-focused coping 2.56±.57 points, and emotional-focused coping 2.41±.54 points. 3)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nursing students was 4.70 ± .76 points out of 7 points, other’s emotion appraisal marked the highest on the record with 4.99 ± .91 points, followed by self-emotion appraisal 4.92 ± .92 points, use of emotion 4.54 ±. 1.11 points and regulation of emotion marks 4.37 ± 1.01 points. 4) Resilienc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ades (F=8.372, p<.001), satisfaction on nursing major (F=19.145, p<.001), and personality (F=3.305, p=.039). 5) Stress coping strategies show huge difference in many aspects such as family economic status (F=4.940, p=.008), monthly allowance (F=3.654, p=.007), reasons to choose nursing as major (F=2.932, p=.015), and personality (F=3.843,p=.023). 6) Emotional intelligenc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des (F=4.893, p=.009), reasons to choose nursing as major (F=2.535, p=.031), major satisfaction (F=11.159, p<.001), and personality (F=4.215, p=.016). 7)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are positively correlated(r=.179, p=.018).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a positive correlation has been found in problem-focused coping (r=.300, p<.001) and seeking social support coping (r=.264, p<.001). 8) Positive correlation has been found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f nursing students and resilience (r=.560, p<.001). Resilience found to be in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motional appraisal (r=.450, p<.001) with emotional intelligence, other’s emotion appraisal(r=.371, p<.001), regulation of emotion(r=.436, p<.001), and use of emotion (r=.456, p<.001). 9) Grades, major satisfaction, and personality of nursing students accounted for 16.9% of their resilience concerning the basis of this research, and particularly, grades and major satisfaction seem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is. 10) In terms of resilience, grades, major satisfaction, personality,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ccounted for 35.2% for the basis of 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played a crucial role in resilience. 11) Emotional-focused coping(β=-.194, p=.015) with stress coping strategies, self-emotion appraisal(β=.305, p=.001)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gulations of emotion (β=.267, p=.003) are found to have a prominent effect for controlling on resilience. Emotional-focused coping(β=-.246, p=.003) with stress-coping strategies affected the sociability of resilience and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did not affect the sociability of resilience. In addition, the sub-factor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did not affect the positiveness, and self-emotional appraisal(β=.191, p=.038)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use of emotion (β=.432, p<.001) took a leading role in positiveness of resilience. Resilience is important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because it is the power to cope appropriately and flexibly in various stress situations such as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nd appropriate emotional-focused coping, and to improve the nursing education environment in order to enhance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