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만주 망명 부녀가사 연구

        방미선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article intends to elucidate writers' awareness and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s, such as six of them, "Wonbyeolgara" written by Pyeonghae Hwang's daughter-in-law, "Wimosa" written by HoSung Lee, "Josonbyeolseora"and "Ganunsa" written by WooLak Kim, "Nunmulppurin Ibyeolga" written by WooMo Kim and "Sinsetaryeong" written by HeeSun Yeun as the subject of main study, which were written by the women exiled to Manchuria during the colonial era (1910-1945) or at asylum. Chosun Dynasty was annexed by Japan in 1910. Since the militarism of Japan to colonial Chosun became strengthening gradually, the patriotic movements appeared a gradient decline. While Japan convicted national patriots as mods, executed them, put them into prison, at the same time, it also eradicated anti power to the Japan and suppressed the national movement. As the Empire of Japan plundered national sovereignty and economics, and also reinforced crackdown on ethnic forces, independence activists exiled to Manchuria or littoral and had to grope new direction of the movement and base area in order to recover of national sovereignty and avoid Japan's oppression. Because initial exile takes the form of group immigration mainly so the aforementioned women also had the opportunity in exile. The women writers from Hyeoksigyurim of the study subjects in this paper such as "Wonbyeolgara ", "Wimosa", "Josonbyeolseora", "Nunmulppurin Ibyeolga", "Ganunsa", "Sinsetaryeong", were left in exile to Manchuria with their husband (or son) who were independence activists. They recorded their honest thoughts and wrote down the hidden story behind the exile experience in Gasa which was most familiar to them. They deplored the appearance of people starving and dying under the rule of Japan, the bloody monitoring and crackdown and their own destiny they were forced to leave home as stateless people and depicted plaintive thoughts of the heart to the unpledged farewell. But they did not stay in the emotional despair and lamentation, instead, they accepted and spread modern liberal thought such as gender equality ideology and patriotism enlightened ideas and showed the critical position against old customs which restricted women's freedom and rights. In addition, they also showed the process which made them independent identities as activists and their fighting sprits against Japan as well as men’s. Although the women writers of Gasa were all from Hyeoksigyurim family, their motivation of exile could be split into two parts: One is obedient exile based on the Confucian ideology such as “Yeopiljongbu" and “Samjongjiui” and the other is self-awareness exile based on women's self-awareness along with initiative to the independent movement. Saying the reasons and motivations of exile women writers all described historical period ranging from Chosun’s old and long history to the current moment of the country’s destiny using their own logic, it could not only explain the motivation why they exiled to Manchuria, but more importantly it also showed effort of them to evaluate the world using their own eyes. It could also show one side of the effort of women in the early 20thcentury to resist against Japanese aggression and absorb modern thinking. The viewpoints of writers thinking at Manchuria were represented two types inside the works. One was considered as paradise, land of hope and auspicious land build by DanGun, the other was considered as hell, land of tribulation and trial and the place where one cannot come back once goes. It was the result from the difference between reality and fantasy depending on the ages of women writers or on whether they experienced Manchuria. However, it could say that there was a common that the temporary basis that independence activists reclaimed abroad (Manchuria) is the land of hope, but the road is long and perilous while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impossible within the country because of the rampant empire of the Japan. With which attitude do women, who experienced exile in Manchuria in the colonial era, respond to the modern time? We tried discussion from the reassurance and criticism of Confucian norm, acceptance of progressive ideas and transformation of writer’s consciousness through exile in order to understand the aspects. Finally, comparing with lyrics "Buntongga" written by male artist in exile, by focusing on the difference of motivation of exile and intention of writing and on the difference of sentiment expression and its representation,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writers' awareness were demonstrated clearly. This article discusses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writers' awareness by studying women’s lyrics with the topic of exile in Manchuria in the colonial era. In addition, it also illuminates the scenery behind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exile, inner change of women and their lives by comparing with the work of male artist in exile. 본 논문은 식민지시대(1910~1945)에 만주로 망명을 떠난 여인들이 망명과정에서 혹은 망명지에서 지은 가사 작품, 즉 평해 황씨가의 며느리가 지은「원별가라」, 이호성이 지은「위모사」, 김우락이 지은「조손별서라」와「간운」, 김우모가 지은「눈물뿌린 이별가」, 윤희순이 지은「신령」 등 여섯 편을 대상으로 작가의식 및 작품의 문학적 특성을 해명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1910년 한일병합으로 조선은 완전히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되었다. 식민지 조선에 대한 일제의 무단통치가 강화되면서 조선의 항일의병운동과 애국계몽운동은 점차 쇠퇴해졌다. 일본은 민족지사들을 폭도로 규정하거나 처형, 투옥하는 한편 반일민족세력을 근절하고 민족운동을 탄압하였다. 일본의 국권침탈과 경제수탈이 가중되고 반일민족세력에 대한 탄압이 강화되는 상황에서 국내의 독립운동가들은 국권회복을 도모하고 일제의 탄압을 피하기 위하여 만주나 연해주 등지로 망명하여 새로운 활동방향과 근거지를 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초기 망명은 주로 집단이주의 형식을 취하였기 때문에 그 문중의 여성들도 함께 망명길에 오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던 것이다. 본고에서 연구대상으로 삼고자하는 「원별가라」, 「위모사」, 「조손별서라」, 「눈물뿌린 이별가」, 「간운」, 「신령」의 여성작가들은 바로 독립운동가인 남편(혹은 아들)을 따라 만주로 망명을 떠난 혁신유림 문중의 여인들이었다. 그들은 자신에게 있어서 가장 익숙한 글쓰기 방식인 가사체로 자신의 진솔한 생각을 기록하면서 망명체험의 이면에 숨겨진 이야기를 써 내려갔다. 일제의 통치 하에 굶주리고 죽어가는 백성들의 모습, 일본군의 살벌한 감시와 단속, 그리고 망국민이 되어 고국을 떠나야만 하는 자기신세를 통탄하면서 기약없는 이별에 대한 구슬픈 심회를 술회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정서는 절망과 탄식에만 침체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급변하는 시대적 조류에 발맞춰 남녀평등사상, 애국계몽사상 등 근대의 진보적 사상을 수용하고 전파하면서 여성의 자유와 권리를 속박하는 낡은 풍습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독립운동가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을 보이면서 남성들 못지않은 반일투지를 표현하기도 하였다. 만주 망명 부녀가사를 지은 여성작가들은 모두 혁신유림 가문의 여성들이였으나 그들의 망명 동기는 “여필종부”, “삼종지의”라는 유교적 이념에 입각한 順從型 망명과 망명의 당위성을 인식하고 여성의 자아역량에 대한 각성과 함께 독립운동에 적극 참여하고자하는 自覺型의 망명으로 나누어진다는 것을 보아낼 수 있었다. 만주로 망명을 떠나는 연유와 동기를 해석하는 자리에서 여성작가들은 모두 조선의 유구한 역사를 아우르는 데로부터 국망의 현실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시기를 자신의 논리에 따라 술회하였는데 이는 만주로 망명을 가야만 하는 당위성을 해명하고 동기부여를 하는 의미도 있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여성들이 주체적인 시각으로 자신이 처한 세계를 바라보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또한 근대와 전통이 맞닿은 시점인 20세기 초반에 여성들이 일제침략에 대항하고 근대적 사고를 흡수하려는 노력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만주를 바라보는 작가들의 시각은 작품 속에서 두 가지로 유형으로 체현되었다. 하나는 낙토, 희망의 땅, 단군이 개국했던 瑞地로 간주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저승, 시련과 고난의 땅, 가면 다시 돌아오지 못하는 곳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이는 여성작가의 연령대에 따라 또는 만주체험의 유무에 따라 현실과 환상의 차이로 나누어진 결과라는 것을 보아낼 수 있다. 그러나 일제가 창궐하는 국내에서는 도무지 독립운동을 할 수 없지만 독립운동가들이 국외(만주)에서 개척한 임시근거지는 광복을 이루기 위한 희망의 땅이지만 그 투쟁의 길은 멀고도 험난하다는데서 접점을 찾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식민지시대에 만주망명을 체험하였던 여성들은 어떤 자세로 근대에 대응해가고 있었을가? 그 양상이 어떠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교적 규범의 답습과 비판, 진보적 사상의 수용, 망명을 통한 작가의식의 변화 등으로 나누어 고찰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남성작가의 만주 망명 가사 「분통가」와의 비교를 통하여 망명의 동기와 글쓰기 목적에 있어서의 차이점과 정서표출의 양상과 그 표현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집중적으로 고찰하면서 만주 망명 부녀가사의 문학적 특성과 작가의 의식구조를 보다 선명하게 논증하였다. 본 논문은 식민지시대 만주 망명을 주제로 한 부녀가사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그 문학적 특성과 작가의 의식구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뿐만 아니라 만주 망명을 주제로 한 남성작품과의 비교 속에서 만주 망명이라는 역사체험 그 이면의 풍경과 여성들의 내면의 변화 및 그들의 삶의 현장을 조명할 수 있었다.

      • 과학 영재 관찰·추천 선발 방식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및 개선 방안 연구

        방미선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교육청의 2013학년도 영재 교육 대상자 선발에 활용되는 교사 관찰·추천제에 대한 담임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교사 관찰·추천제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 관찰·추천제와 과학 영재 교육 대상자 판별에 대해 담임교사가 가지고 있는 인식은 어떤 것인가? 둘째, 교사 관찰·추천제 시행에 따른 교사의 요구는 무엇인가? 셋째, 교사 관찰·추천제 정착을 위한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3~6학년 담임교사이며 발송된 794부의 설문지 중 693부가 회수되었다. 그 중 1·2학년 담임교사가 응답한 15부를 제외한 678부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 12.0K for window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χ2독립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연구자가 선행 연구와 이론에 근거하여 타당도 검증을 통해 제작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화된 교사 관찰·추천제에 대해 교사들은 학교의 영재 업무 담당자에게서 전달 설명을 듣고 알고는 있으나, 실제 장면에서는 과학 영재 교육 대상자를 관찰·추천하기에는 제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아동에 대한 관찰을 통해 과학 영재 아동을 판별하는 것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교사들은 교사 관찰·추천제가 제대로 실행되려면 아동의 관찰 기간을 6개월 이상 관찰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교사 관찰·추천제가 제대로 정착되려면 사교육기관에서 다루지 않는 다양한 선발제도를 마련하는 게 중요할 것으로 요구되었다. 그러므로 교사와 학부모의 우려를 잠재울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요구된다. 셋째, 교사 관찰·추천제가 그 기본 취지에 맞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영재 교육 대상자 선발 안내의 일정을 3월로 조정하고, 아동을 관찰하고 추천하는 업무와 아동의 영재성을 판별하고 선발하는 업무를 분리 운영해야 한다. 또한 영재성을 판별하는 관찰·추천업무를 담당할 영재 교사 전문 연수를 실시하여 학교당 최소 1인을 배치하여야 하며, 영재 판별 관련 교사 연수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운영하여야 한다. 이 모든 과정에는 부산광역시 교육청 수준의 영재 pool의 마련이 기본이 된 영재 교사의 관찰·추천 과정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노인 위암 환자의 회복탄력성 영향요인

        방미선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노인 인구의 증가는 모든 암의 발생과 사망에 영향을 주고 있다. 노인의 위암은 높은 발생률과 더불어 진단 기술의 발전으로 병변이 조기 발견되어 완치율과 장기 생존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암이다. 노화로 인해 동반되는 기저질환과 위암 예후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노인 위암 환자는 장년 위암 환자에 비해 비전형적인 증상에도 불구하고 5년 생존율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노인 위암 환자가 질병을 극복하고 회복에 이르도록 돕는 것은 중요하며 노인 위암 환자의 내적 기능인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위암 환자의 회복탄력성과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영적안녕 및 우울의 정도와 노인 위암 환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K대학교 B병원 외과 병동에 입원중이거나 외래를 방문하여 추후 치료를 받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위암 환자 100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8월 10일부터 동년 9월 2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B광역시 소재 K대학교 B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과 K 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추인을 받았다. 또한, 대상자가 수술 또는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를 위해 외래를 방문하거나 입원하였을 때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총 68문항이며 회복탄력성은 Connor와 Davidson(2003)에 의하여 개발된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를 백현숙(2010)이 번안한 한국형 CD-RISC로 측정되었고, 자기효능감은 오복자(1996)가 개발한 도구를 김영숙(2015)이 수정한 위암 환자의 구체적 효능감 도구에서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가족지지는 태영숙(1985)이 암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사회적지지 도구중 가족지지 문항만을 선택하여 사용하였고, 영적안녕은 Paloutzian과 Ellison(1982)이 개발한 Spiritual Well-Being Scale을 최상순(1990)이 번안한 도구에서 실존적 안녕 문항만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우울은 Wong-Baker(1988)가 개발한 안면척도(Faces Rating Scales)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IBM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평균평점,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회복탄력성 정도는 평균이 99.17±16.29, 평균평점이 3.97±0.65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정도는 평균이 34.81±4.54, 평균평점이 4.35±0.5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가족지지 정도는 평균이 35.82±5.68, 평균평점이 4.48±0.71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영적안녕 정도는 평균이 32.92±5.76, 평균평점이 3.29±0.58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우울 정도는 평균이 1.60±2.18로 낮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 정도의 차이는 직업유무(t=2.298, p=.024), 월 평균 수입(F=6.046, p=.001), 결혼상태(t=2.038, p=.044), 증상경험 중 소화불량(t=-3.057, p=.003), 어지러움/무기력증(t=-2.299, p=.024), 연하곤란(t=-2.075, p=.041), 변비(t=-2.315, p=.023), 증상경험 유무(t=-2.668, p=.009)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정도의 관계는 r=.51(p<.001), 가족지지 정도와 회복탄력성 정도의 관계는 r=.47(p<.001), 영적안녕 정도와 회복탄력성 정도의 관계는 r=.59(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대상자의 우울 정도와 회복탄력성 정도의 관계는 r=-.34(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영적안녕(β=.35)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자기효능감(β=.21), 월 평균 수입(β=.20), 가족지지(β=.18), 증상경험 유무(β=.15)의 순으로 나타났고, 전체 설명력은 47.4% 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노인 위암 환자의 회복탄력성 정도는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영적안녕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 정도가 높았다. 노인 위암 환자의 회복탄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영적안녕이었고, 그 다음으로 자기효능감, 월 평균 수입, 가족지지, 증상경험 유무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 위암 환자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 변수를 고려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주요용어: 노인 위암 환자,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우울, 영적안녕

      • 가족 간 생체 간이식 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

        방미선 고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간이식은 간 세포암 및 간경변증, 전격성 간부전 등에 의해 정상적인 간 기능을 유지하기 어려운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유일한 치료법이다. 최근에는 간이식의 생존율이 높아짐에 따라 그에 따른 적응증 또한 확대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간이식 대기자들의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생체 간이식이 더욱 활성화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생체 장기기증은 주로 혈연관계 내에서 이루어지는 특성 때문에 수혜자와 기증자가 한 가족 내에서 발생하며, 그들을 동시에 간호해야 하는 가족의 신체적, 심리사회적 환경에도 영향을 주어 다른 질병 군에 비해 돌봄에 대한 책임이 가중된다. 가족 간 생체 간이식 환자들을 동시에 돌보는 가족은 기증 준비 과정부터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 이중적인 돌봄 부담을 경험하게 되며 간이식 후에도 그들의 돌봄 부담감은 가중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가족 간 생체 간이식 환자 가족의 이중적인 돌봄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가족 간 생체 간이식 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 본질을 드러내고 더 나아가 그들을 위한 간호 중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질적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B광역시 소재 K대학교 병원에서 가족 간 생체 간이식을 받은 수혜자와 기증자를 돌보는 만 19세 이상 65세 미만의 가족돌봄제공자 8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0년 11월부터 2021년 4월까지 6개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면담은 주로 참여자들의 집근처나 원하는 편안한 장소로 방문하여 시행하였으며, 참여자별 면담 횟수는 최소 2회에서 최대 4회까지로 다양하였고 1회 면담은 1시간에서 1시간 20분가량 소요되었다. 자료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자료수집과 분석의 순환적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본 연구결과 도출된 가족 간 생체 간이식 환자 가족의 돌봄 제공 경험의 일반적 구조는 5개의 구성요소와 21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5개의 구성요소는 ‘가족을 지키기 위한 양날의 선택’, ‘간이식 간병의 혹독한 일상’, ‘양 어깨로 짊어진 이중 돌봄이라는 멍에’, ‘돌봄의 자리를 붙드는 지원군’, ‘삼겹줄로 지탱하는 회복의 꿈’으로 확인되었다. 참여자들은 가족 간 생체 간이식 환자들을 돌보느라 안심과 걱정을 반복하면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삶에 최선을 다하고자 노력하였고, 그들의 마음은 더욱 더 강하게 단련되어 가족의 건강 회복을 위한 꿈을 이루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가족 간 생체 간이식 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제공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그들을 돕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Lactobacillus rhamnosus ATCC 53103의 산 스트레스 반응

        방미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Yogurt is one of low pH cultured product which affect the survival of lactic acid bacteria (LAB). The aim of this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survival and acid stress response in Lactobacillus rhamnosus GG at low pH environment. The survival of LAB in commercial yogurt was measured during long-term storage. The enumeration of viable cells of LAB were determined at a 15-day interval over 52-weeks at 5℃. L. acidophilus, L. casei and Bifidobacterium spp. showed low viability. However, L. rhamnosus GG exhibited excellent survival throughout the refrigerated storage. At the end of the 52-weeks, L. rhamnosus GG survived 7.0 log10 CFU/mL. F0F1 ATPase activity in L. rhamnosus GG at pH 4.5 was also evaluated. The ATPase activities of membrane was higher when exposed at pH 4.5 for 24 h. The survival of L. rhamnosus GG was attributable to induction in F0F1 ATPase activity. In addition,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acid stress-inducible genes at low pH was investigated by qRT-PCR. The clpC and clpE gene were up-regulated after 1 h of incubation at pH 4.5. The atpA and dnaK gene were also up-regulated after 24 h of incubation at pH 4.5. These genes coul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survival of L. rhamnosus GG in the acidic condition. Thus, the modulation of the enzyme or gene to assist the viability of LAB in low pH environment is thought to be important.

      • 중등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문화교육 현황 및 수업지도안 : 개정 7차 교육과정에 의거해서

        방미선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3rd grad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3 ‘English Ⅱ’ textbooks and 1 ‘Advanced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 and to suggest some classroom lesson plans for culture education based on this analysis. Chapter one presents the necessities, objectives and the limits of this study. Chapter two shows the definition of culture and the interrelations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Also, culture education of the 7th revised curriculum and meaning and function of English textbooks are presented in this chapter. Chapter three introduces two criteria to analyze the cultural content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Chapter four suggests the results of the textbook analysis. Chapter five shows some lesson plans for culture education. Chapter six presents conclusion drawn from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contents are analyzed according to communicative competence (verbal, non-verbal) and ways of living. As to communicative competence, there's no results on non-verbal aspects and we need to learn that competence explicitly during the class. To understand deep culture of the target culture, we should know the meaning of 'between lines' through gestures, eye contact, facial expressions. Second, as to ways of living related to cultural contents, art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of the contents and then history, social system, future dream and cultural heritage/ tradition. The important thing is to balance the materials to deal various fields. Third, cultural contents a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background, i.e., inner circle, outer circle, expanding circle, Korea, multi-culture and universal culture. The results is not the same according to the textbooks because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 is based on Korean culture mostly. Except this, the others are nearly focused on the inner circle and universal culture. Based on this analysis, may we suggest some valuable improvement. First, in the time of planning the textbook, the writer need to set the proper object and contents based on the 7th revised curriculum. Multi-cultural environment, intercultural speaker, international language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can be the key words of writing textbooks. Second, teachers need to train themselves to make students higher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Quality of education cannot exceed the quality of the teacher' is a good message to teachers. Though it's not easy because we didn't have enough teaching methods and enough experience toward various culture, teachers can make it through continuous training program and endeavors into teaching. To conclude, to occur the effective learning of the language, teacher, English textbook and various teaching techniques are important. If these three balances with the harmony of students, the effects of the learning could be doubled. And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and various activities can draw students' interest and ultimately lead to deeper learning into the target culture. 외국어로서의 영어(EFL)를 학습하는 우리나라에서 의사소통을 위한 국제어로서 영어의 위상은 상당히 높다. 많은 사람들이 영어학습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언어 자체를 배우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한다. 그러나, 언어학습의 결과(외적인 부분)에 대한 관심만큼이나 학습을 위한 내용(내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관심이 많이 일지 않고 있다.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단지 의사소통을 위한 발음, 문법, 어휘 학습에 그치지 않고 그 나라 사람들의 생활양식을 학습하는 문화권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이것이 또한 개정 7차 교육과정에서 ‘문화’의 요소를 더욱 강조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 우리나라 고등학교 영어교과서를 분석하여 문화요소가 개정 7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적절히 분배되어 있으며 이를 활용한 문화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문화수업에 이용가능한 학습지도안 예시를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이 되는 교과서로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영어교과서인 영어Ⅱ 교과서 3종과 심화 영어회화 교과서 1종을 선택하였다. 이를 위해 크게 두 가지 기준을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문화소재별 분석과 문화배경별 분석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교과서 안의 문화고정란은 내용중심으로 별도 분석을 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소재 분석 중 의사소통 방식 결과는 심화영어회화 책의 군말(filler)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언어적 의사소통과 관련한 것이었다.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관련한 것은 전혀 드러나지 않아 빈도조사의 의의를 무색하게 만들 정도로 문화학습에 있어서의 비언어적 요소에 대한 관심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그 나라 문화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를 위해서는 비언어적 요소들에 담긴 뜻을 이해해야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가 있다 (Seelye, 1981). 이러한 요소들을 교과서 내에 수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문화소재별 분석 결과 중 생활양식과 관련한 문화소재로는 예술소재의 비중이 컸으며, 그 다음으로는 역사, 사회제도, 장래희망 및 문화유산/전통 순이다. 읽기 지문보다는 말하기/듣기와 관련한 심화영어회화 교과서에서의 소재의 다양성이 돋보였다. 소재가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다양하게 분포하려는 노력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문화배경별 분석 결과 교과서의 차이가 극명하게 보인다. 우선, 심화영어회화 교과서는 배경이 거의 한국으로 편중되어 있었으며, 나머지 교과서는 보편문화와 내부원의 비중이 컸다. 이는 영어가 영미권의 언어이므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있기는 하나, 타문화에 대한 이해 및 관심을 목표로 내건 개정 7차 교육과정의 취지와는 부합하지 않는 면이다. 다문화적 관점으로 다양한 문화배경을 다루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문화학습을 위한 개선점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첫째, 교과서 집필시 처음부터 정확한 목표 및 방향설정이 있어야 할 것이다. 교과서는 집필자의 의도에 의해 문화소재의 방향 및 문화배경이 선택되므로 다문화적 관점이나 국제어로서의 영어를 고려하여 책임있는 집필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문화고정란을 수업시간의 부수적인 부분으로 넘기고 지나가지 않도록 수업시간에 활용가능한 형태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많은 교사들이 문화학습에 대한 교수방법 및 시간의 부재를 걱정하는 데서 알 수 있듯 문화학습의 중요성만큼 이에 대한 구체적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문화고정란은 분명 예전보다 개선이 많이 되었으나 문화학습을 위한 확실한 자료로서의 역할을 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셋째, 교사의 부단한 자기계발도 필요하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다.’라는 말이 있다. 비록, 문화학습에 대해 우리 스스로도 접해본 부분이 별로 없어 막막한 부분도 있겠지만 부단한 자기연찬과 계발을 통해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싶다. 또한, 노력하는 교사들을 위한 효과적인 연수과정도 필요할 것이다. 개정 7차 교육과정이 시행된지 오랜 시간이 지났으며 이제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개발되는 시점이다. 이에 그동안 교과서에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고려해 개정 교과서에서는 교사들이 문화지도를 하기에 용이하고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문화내용을 접할 수 있는 교과서를 만듦으로써 언어학습의 부수적 요소로서가 아닌 생활의 일부로서 자연스럽게 문화를 학습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통합예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여고생의 학교적응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 패션쇼를 중심으로

        방미선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여고생 1학년을 대상으로 통합예술치료를 실시하여 학교적응력과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미치는 효과와 학교생활그림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진행은 2009년 4월 27일부터 7월30일에 걸쳐 통합예술치료의 프로그램 연구, 대상자 선정, 사전검사.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 실시 및 적용, 사후검사, 자료처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00시에 위치한 00여자고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와 상담교사로부터 추천받은 19명의 학생들에게 이규미(2004)의 ‘학생부적응지표’를 사용하여 평균값 이상의 점수에 해당되는 학생 10명을 선정하여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3번 이상 결석하여 중도 탈락한 2명을 제외한 8명만이 본 연구결과에 참여하였다. 연구의 도구로는 배숙진(1998)의 ‘학교생활적응 검사지’와 배진화(2003)가 재구성한 ‘스트레스 대처방안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Knoff와 Prout(1988)이 개발한 학교생활그림(KSD)검사는 Burns와 Kaufman(1970, 1972)의 채점기준표를 기준으로 수정·보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비모수통계 Wilcoxon의 짝을 이룬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사용하여 사전·사후검사간의 점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예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여고생의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질적 분석에 의하면 학교적응에서의 학교생활그림(KSD)과 행동양상에서의 긍정적인 변화가 보여 졌다. 둘째, 통합예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여고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통합예술치료가 학교부적응을 보이는 여고생에게 실시함으로써 부적응성향을 감소시키기에는 제한점이 있었지만, 스트레스 대처방식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요어: 통합예술치료, 학교부적응, 학교적응, 스트레스 대처방안, 패션쇼 This research performs the integration art therapy for school maladjustment student at a girls high school 1 grade and tries to examine the change of the effect that it reaches to the school adaptiveness and stress preparation plan and painting of school days. The progress of research in April 2009 from 27 July to 30 days over the integration of art therapy research program, objects selected, pre-testing, Integration art therapy program enforcement and application, post-testing, data processing was done in order. Subject of research By using the Lee Gyu-mi student school maladjustment index among the recommended by the teacher in charge and 19 students of recommended by counselling teacher in which, located in 00 girl's highscool, 00 city, Chollabuk-do, was selected 10 students more than the mean value and performed the integration art treatment program. But absent more than three times, knocked out two people, except the middle down to 8 participated in this study. Bae suk-jin(1998) student's school life adaptiveness test sheet and stress preparation plan sheet which Bae Jin-hwa student(2003) reconstruct was used with the tool of a research, And the school days painting examination (KSD) which develop that Knoff and Prout(1988) adjusted and complemented based on the grading criteria table of Burns and Kaufman(1970, 1972). The data collected in the non-parametric statistics Paired Wilcoxon signed rank test (Wilcoxon signed-rank Test) using the dictionary, post-test differences between the scores were analyzed. If the result of being clarified of this in this research is summarized, it is as follows. First, For the integration art therapy, the meaningful difference did not show up in the School adaptation of the inability of adaptation to school student at a girls high school. However,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tests in school, school adjustment figure (KSD) and the positive changes in behavior pattern was shown. Second, the integration of art therapy school schoolgirl sick of the stress response that showed a positive effect. However For reducing the maladjustment inclination by starting to the student at a girls high school who the integration art therapy shows the inability of adaptation to school, there was the limiting point, there was exposed to be the effect that this kind of the research result is positive about the stress method of react. And continuous study of integration art therapy has to go on hereafter. Key words: integration art therapy, school maladjustment, school adaptation, stress preparation plan, fashions show.

      • 만 5세 유아의 기질, 성격과 또래 괴롭힘 참여 행동과의 관계

        방미선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relevance of infants’ tendency and personality to peer bullying behavior targeting infants with trend of becoming younger age of peer bullying phenomenon, and how much tendency and personality affect peer bullying behavior.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infants under five years of age enrolled in 10 infants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after getting a written consent from parents of infants. Infa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total 234 including 108 females and 126 males. As for peer bullying behavior, this study used a tool that Seo Mi-jeong(2008) and Baek Ji-hyeon(2010) restructured based on the Participant Role Question(PRQ) produced by Salmivalli et al.(1996) after recasting words and sentence structures to apply to infants aged 5, and measured through 1:1 interview with teachers in charge. Infants’ tendency and personality were rated by parents who are the main fosterers, and this study measured infants’ tendency by using a tool that Kim Ji-yoon(2007) adapted Buss and Plomin(1984)’s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 and constituted a questionnaire a scale corresponding to personality from TCI(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which is a psychological test of infants’ tendency and personality that evaluates overall personality of individuals. To investigate major factors of study subjects, this study calculated descriptive statistics data and conducted t-test for looking into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fants. This study investigated relevance between tendency, personality and peer bullying behavior by conduct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looked into the influence of tendency and personality on peer bullying behavior by carrying out phase selection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course of the foregoing,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by dividing subjects into females and males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gender. Summary of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levance amongst peer bullying behaviors, this study found a relevance amongst attacker behavior, victim behavior, bystander behavior and follower behavior withou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fants, whereas no relevance was found between defender behavior and other participatory activities. Second, amongst sub-factors of tendency, sociality showed the greatest relevance with and influence on peer bullying behavior. However, sub-factors of tendency showed no relevance with and influence on female infants’ attacker behavior and defender behavior, whereas male infants’ defender behavior showed a relevance with activity as well as sociality, and shyness showed an influence on peer bullying behavior. Third, three sub-dimensions of personality all showed a relevance and especially, autonomy and the sense of solidarity showed an influence. This indicates that the higher the autonomy and sense of solidarity and the lower the self-transcendence, it is expected to be of help to prevention and arbitration of peer bullying phenomenon. Although sub-dimensions of personality showed no relevance with and influence on female infants’ defender behavior, male infants has a tendency that the aspect of personality is emphasized in general as compared to female infants. In conclusion, infants‘ peer bullying assumes a similar aspect regardless of age and time of development, and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defender behavior for arbitration and prevention of peer bullying. In addition, tendency and personality show similar relevance with and influence on peer bullying behavior generally among female and male infants, but there existed a little difference. Especially, female infants are expected to have a possibility of variables that exert greater influence on peer bullying behavior other than tendency and personality, and the aspect of male infants‘ tendency and personality tend to be emphasized more than female infants. 본 연구는 또래 괴롭힘 현상의 저연령화에 따라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기질, 성격과 또래 괴롭힘의 참여 행동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기질 및 성격이 또래 괴롭힘 참여 행동에 얼마나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10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에 해당하며, 유아의 학부모에게 동의서를 받은 후,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여아 108명, 남아 126명, 총 234명이다. 또래 괴롭힘 참여 행동은 Salmivalli 등(1996)이 제작한 (Participant Role Question: PRQ)를 바탕으로 서미정(2008)과 백지현(2010)이 재구성한 도구를 본 연구의 대상인 만 5세 유아에게 적용하기 위해 단어 및 문장구조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유아의 담임교사와 1:1 면접을 통해 측정하였다. 유아의 기질, 성격은 주 양육자인 학부모가 평정하였으며, 유아의 기질은 Buss와 Plomin(1984)의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를 김지윤(2007)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유아의 성격은 개인의 고유한 인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심리검사인 TCI(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유아용 기질 및 성격검사 중 성격에 해당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연구대상들의 주요변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자료를 산출하였고, 여아와 남아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기질, 성격과 또래 괴롭힘 참여 행동의 관련성은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알아보았고, 또래 괴롭힘 참여 행동에 대한 기질, 성격의 영향력은 중다회귀분석의 단계선택을 실시하여 알아보았다. 이때, 성별에 대한 차이를 고려하여 여아와 남아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 괴롭힘 참여 행동 간의 관련성에 대해 여아와 남아 차이 없이 가해자 행동, 피해자 행동, 방관자 행동, 가해동조자 행동 간의 관련성이 나타났으나, 방어자 행동은 다른 참여 행동과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기질의 하위요인 중 사회성이 또래 괴롭힘 참여 행동에 가장 관련성 및 영향력을 나타냈다. 그러나 여아의 가해자 행동, 방어자 행동에 대해 기질의 하위요인이 관련성 및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고, 남아의 방어자 행동은 사회성 뿐만 활동성이 관련성을 나타냈고, 수줍음이 영향력을 나타냈다. 셋째, 성격의 하위차원은 세 가지 하위차원 모두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자율성과 연대감이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는 자율성과 연대감이 높을수록, 자기초월이 낮을수록 또래 괴롭힘 현상을 예방 및 중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여아는 방어자 행동에 대해 성격의 하위차원은 관련성 및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남아는 여아에 비해 성격적 측면이 전반적으로 강조된 경향이 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또래 괴롭힘은 연령, 발달시기와 상관없이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래 괴롭힘의 중재와 예방을 위해 방어자 행동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질, 성격은 또래 괴롭힘 참여 행동에 대해 대체적으로 여아와 남아의 유사한 관련성 및 영향력을 띄고 있었으나, 약간의 차이는 있었다. 특히 여아의 경우 기질, 성격 이외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남아는 기질, 성격의 측면이 여아에 비해 강조되어 나타난 경향이 있다.

      • 자동차 외판 특징선의 시각적 차이역 연구

        방미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실험을 통해 자동차 외판 특징선의 시각적 차이역(Just Noticeable Difference: JND)을 구한다. 자동차 외판 특징선은 주변보다 곡률 반경이 현저히 작아 선처럼 보이는 곡면이다. 자동차 외판은 스탬핑 공정으로 제작되며, 스프링백 현상으로 정밀한 제조가 쉽지 않다. 그동안 특징선의 제조 허용 공차가 없어 제조 품질 검사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징선의 제조 허용 공차는 조립이 아니라 사용자의 시각적 품질과 관계가 있다. 그래서 곡률 반경의 시각적인 차이역을 구하면 특징선의 제조 허용 공차로 사용할 수 있다. 특징선의 시각적 차이역을 구하기 위해 항상자극법 실험을 수행했다. 항상자극법은 자극의 쌍을 무작위로 제시해서 차이를 인지하는 정도를 파악한다. 자극의 쌍으로 사용할 특징선 시편은 두 가지 방법(3D 프린팅, 절삭 가공)으로 제작했다. 기준 자극의 각도는 165도이며, 곡률 반경은 세 가지(R8, R10, R12)다. 남녀 34명이 실험에 참여해서 모든 자극의 쌍을 1인당 3번씩 판별했다. 실험 결과 3D 프린팅으로 제작한 시편은 필름을 감싸도 자동차 외판과 같은 질감을 얻기 어려웠으나, 절삭 가공한 시편은 필름을 감싸면 자동차 외판과 유사한 질감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차이역 실험으로 기준자극 R8의 최소허용치수는 R7.21, 최대허용치수는 R9.17이며, 기준자극 R10의 최소허용치수는 R8.60, 최대허용치수는 R11.60이고, 기준자극 R12의 최소허용치수는 R9.91, 최대허용치수 R13.34의 결과를 얻었다. 기준자극 3개의 역치는 각각 0.98, 1.50, 1.72이며 기준자극이 커질수록 역치가 증가한다. 이 연구를 통해 특징선의 시편 제작은 3D 프린팅이 아니라 절삭가공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또, 항상자극법으로 특징선의 차이역을 구할 수 있으며, 특징선의 차이역은 곡률 반경이 커질수록 커짐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measured the visual difference threshold (just noticeable difference, JND) of the feature line on the exterior panels of automotive vehicles. The feature line is a curved surface that looks like a line because the radius of curvature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of the surrounding areas. The automotive outer panel is manufactured by the stamping process, and it is not easy to precisely manufacture it due to the spring-back. Without the manufacturing tolerance of the feature line, manufacturing quality cannot be inspected. The manufacturing tolerance is not related to assembly, but to the user’s visual quality. Therefore, if the visual difference threshold of the radius of curvature is measured, it can be used as the manufacturing tolerance of the feature line. The visual JND of the feature line was measured with the constant stimulus method. In the constant stimulus method, pairs of stimuli are presented at random to measure the degree of perception of a difference. The feature line specimen to be used in the experiment as a pair of stimuli was made by two methods: 3D printing and milling machining. The angle of the reference stimulus is 165 degrees, and the radius of curvature is 3 types (R8, R10, R12). Thirty-four men and women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all pairs of the stimuli were discriminated three times per pers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difficult to make a texture similar to that of an automotive outer panel even when the film was wrapped on the 3D-printed specimen, but a similar texture could be obtained with the milling machined specimen. By the JND experiment, the minimum allowable radius of the reference stimulus R8 was R7.21, the maximum allowable radius was R9.17. The minimum allowable radius of the reference stimulus R10 is R8.60, the maximum allowable radius is R11.60. And the minimum allowable radius of the reference stimulus R12 is R9.91, the maximum allowable radius is R13.34. The difference thresholds for the three reference stimuli were 0.98, 1.50, and 1.72, respectively, and the threshold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reference stimuli.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illing machining rather than 3D printing is suitable for making the specimen of the feature lines. In addition, the JND of the feature line can be measured by the constant stimulus method, and the JND of the feature line increases as the radius of curvature increases.

      • Assessment of acid-stress responses of Lactobacillus rhamnosus GG

        방미선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7 국내박사

        RANK : 247615

        This study assessed the acid stress responses of nine lactic acid bacteria (LAB) including Lactobacillus rhamnosus GG in commercially available yoghurts (low pH environment) during the long-term storage. The survival of LAB in commercial yogurt was measured during long-term storage. The enumeration of viable cells of LAB was determined at a 15-day interval over 52-weeks at 5 °C. L. acidophilus, L. casei and Bifidobacterium spp. showed low viability. However, L. rhamnosus GG exhibited excellent survival throughout whole storage period. At the end of the 52-weeks, L. rhamnosus GG survived 7.0 log10 CFU/mL. F0F1 ATPase activity in L. rhamnosus GG at pH 4.5 was also evaluated. The ATPase activities of membrane were retained higher at pH 4.5 for 24 h. The survival of L. rhamnosus GG was attributable to induction in F0F1 ATPase activity. In addition,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acid stress-inducible genes at low pH was investigated by qRT-PCR. The clpC and clpE gene were up-regulated after 1 h of incubation at pH 4.5. The atpA and dnaK gene were also up-regulated after 24 h of incubation at pH 4.5. Enhancement of these genes involves in the survival of L. rhamnosus GG in the acidic condi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viability of L. rhamnosus GG was improved by modulating the stress-related factors (clpC, clpE, atpA and danK genes) as well as activating the activity of ATPase under low pH conditions. Transcriptional responses were to compare the acid stress of L. rhamnosus GG between control cells (grown at pH 7.0) and acid stressed-cells (pH 4.5) for 1 h or 24 h. One-hundred thirty one genes including spaF gene (produced pilus specific adhesion protein) were up-regulated, but one-hundred two genes related to metabolism factors such as PTS related genes and metabolic factors including ABC transporters were down-regulated during acid stress. The resulting data of transcriptiomic analysis suggested that the resitance to acid stress of L. rhamnosus GG was linked to cell protection by modulating by metabolism and carbohydrate transport. In addition, a potent role of adhesion capacity in acid stress tolerance was assessed with the acid stressed L. rhamnosus GG using the real-time quantitative PCR. An enhanced expression of multi-subunit pili, mucus binding protein, pilus protein was remarked under acidic condition. Moreover, high attachment of mucin protein and intestinal of mice was confirmed by in vitro and in vivo assay. The adhesion rate of acid-stressed condition was higher than that of normal condition because the several binding proteins more expressed under acidic stress. The high adherence of mucin protein and intestinal in vivo indicated that L. rhamnosus GG in adapted acid condition might higher attachment in human intestinal mucosa. The results could assis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cid stress response system in L. rhamnosus GG and promote its industrial appli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L. rhamnosus GG increased the adhesion ability when it was stressed in acid environ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per intake of fermented milk and probiotics in an acidic environment may be beneficial for intestinal health of host. Furthermore, it will also help development of probiotics products that are effective for intestinal health. And it will have a good effect on the produ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starter for the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