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의 창조적 투입요소가 경제적 산출에 미치는 영향

        박희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새로운 도시성장의 모티브로 창의성이 주목됨에 따라 창조도시를 표방하는 도시들이 증가하고 있다. 서울시는 2008년을 창의문화도시의 해로 선언하였고 대구, 인천, 성남, 전주, 광주, 강릉, 김천 등 수많은 지방자치단체들도 창조도시를 표방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정책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창조도시의 전제조건과 그 효과에 대한 구별이 미흡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창조도시로의 전환을 위해서 어떤 요소들이 투입 되어야 하며, 창조도시라고 통용되는 도시들은 어떠한 산출이 있었기에 창조도시라고 말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분기준이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게다가 그러한 외국의 창조도시를 살펴보면 창조도시로의 표방이 결국 경제적 효과 창출이 목적인 것을 찾아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창조적 투입요소와 산출요소의 구분을 통해 도시의 창조적 투입요소가 경제적 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조도시의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를 구별하고,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를 사회·문화적 요소, 행정적 요소, 경제적 요소로 나누었다. 대부분의 학자들이 사회·문화적 요소와 행정적 요소는 투입요소로 분류하고 경제적 요소는 산출요소로 분류하고 있지만, 지표상 사회·문화적 요소와 행정적 요소는 투입요소와 산출요소의 구별이 힘들어 투입요소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경제적 요소는 투입적인 지표와 산출적인 지표로 구분이 가능하여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로 각각 분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요소들의 지표를 선정한 후 최근 2003년, 2005년, 2008년 우리나라 79개 도시의 지표 분포현황을 분석하여 도시의 창조적 투입요소가 경제적 산출에 미치는 시차적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도시의 창조적 투입요소와 경제적 산출의 우리나라 도시 분포현황과 미치는 영향은 사회·문화적 요소, 행정적 요소, 경제적 요소마다 다른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다. 첫째, 사회·문화적 요소는 지방 중·소도시에 많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기반시설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회귀분석결과에서도 문화기반시설은 적정한 시간을 두고 투입했을 경우 경제적 산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양성을 측정하는 외국인 비율은 수도권 도시에 높은 분포현황을 보였으며, 회귀분석결과 모든 시점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으로 다른 변수들보다 경제적 산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나 외국인 비율이 도시의 경제적 산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행정적 요소는 대도시와 수도권에 속하는 도시들이 높은 분포현황을 보였으며, 재정자주도는 그 해에 투입이 이루어져야 경제적 산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인당 교육 및 문화예산액은 장기적인 시각에서 투입을 해야 경제적 산출에 여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경제적 요소는 창조산업의 경우 지방 중·소도시가 높은 분포현황을 보였으며 창조적 인재는 대도시와 수도권에 속하는 도시들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제적 투입요소와 경제적 산출의 회귀분석 결과 창조산업은 모든 시점에서 유의하지 않아 경제적 산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창조적 인재는 유의하게 나타나 창조적 인재와 경제적 산출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특성에 따라 장·단기적인 시각에 따라 구분 또는 혼용하여 정책을 모색해야 한다. 분석결과 투입요소의 특성과 시점에 따라 경제적 산출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화기반시설이 도시의 경제적 산출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했으며, 행정적 요소는 단기적인 시간과 장기적인 시간이 특성에 따라 다르게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양성은 도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정책수립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인구의 다양성은 도시의 창조적 산출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변수들 보다 상대적으로 그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인구가 유입되어 기존의 인구와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도시의 특성을 파악한 후에 정책 설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도시의 창조적 투입요소의 분포현황을 살펴보면 각 요소마다 다르게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각 도시마다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시의 창조적 투입요소의 특징과 도시별 특성을 고려하여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도시의 창조적 투입요소가 경제적 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를 분류하고, 그에 따른 관계규명을 통해 창조도시의 전제조건과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데이터 수집의 한계와 투입요소, 산출 요소의 분류 기준이 주관적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 이러한 점이 보완 된다면 도시의 창조적 투입요소가 경제적 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Creativity is important as a motif of urban growth. Seoul declared as a Creative City in 2008, and many cities are aim to be a Creative City such as Daegu, Incheon, Seongnam, Jeonju, Gwangju, Gangneung, Gimcheon etc. But there have troubles making a policy for a Creative City: it is difficult separate between precondition and outcome of a Creative City, and it is not clear what is a input and output of a Creative City. In addition, the most of cities called a Creative City are well off economical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urban creative input affect on urban economic output. First, this study separates between input and output of a Creative City, and divids each of input and output by sociocultural, administrative, and economical constituent. All of the sociocultural and administrative constituents are classified as urban creative input based on precedent studies because 솜t is hard to be divided index by input and output. But economic constituents are classified by each characteristic because it is easier than sociocultural and administrative constituents to divided index by input and output. This study analyzes the distribution of urban creative input and output of Korea in 2003, 2005, 2008, and also the effect of urban creative on economic output with a time lag. This study shows that sociocultural, administrative, and economical constituents differently affect on economic output. First, Sociocultural constituent is at a high rate in small cities and cultural facilities are increasing over time. It means that cultural facilities are important over time. Also, cultural facilities impact on economic output with a time lag. Foreign residents to measure diversity are at a high rate in Metropolitan areas, and impact on economic output in 2003, 2005, and 2008. The foreign population of a city i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urban economic output. Second, the rate of administrative constituent is high in Metropolitan area and it is affects on economic output, when a municipal finance condition is safe in only 2008. The education and cultural budgets per a person in 2003 affected on economic output in 2008 with a time lag. It signified that the education and cultural budgets for person need a time lag to affect on economic output. Third, creative industries of small cities in economic constituents are high rate and there is a weak correlation between the creative industries and economic output because creative industries in 2003, 2005 and 2008 didn't affect on economic output in 2008. But the distribution of creative people is high in Metropolitan area, and creative people affects on economic output. This study has clear implications for future urban policies. First, it is needed to approach policies in different time. Sociocultural constituent needs a time to effect on economic output, but administrative constituent needs a different time each characteristic. Second, The diversity of population positively affects on economic output, and is the most positive variable among all of the variables in this study. Therefore, a policy to increase variety of population needs. Third, policy makers devise plans for promoting creative cities, they should consider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each city. In result of this study, the distribution of urban creative input and economic output is different in each city. This study has some weak points that it divides input and output with a subjective point of view, and data is not vary. Next study is expected to solve. It will be clear how urban creative input affects on economic output.

      • 한방병원 간호사의 한방간호지식, 한방간호업무수행과 역할갈등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희선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the number of oriental medicine clinics and, thereby, oriental medicine nurses has increased as a result of aging society and growing prevalence of chronic and degenerative diseases. However, many clinics have problem with retaining nurses and lack of professional workfo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rrelation of knowledge in oriental nursing, work performance, and role conflict of oriental medicine nurses with retention intention and, based on the result,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tention of the nurse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 nurses who work at oriental medicine clinic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as collected between January 15, 2016 and March 18, 2016, and, of 160 copies, a total of 152 valid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ased on SPSS WIN 21.0.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1) The average retention intention of the subjects was 5.23±1.60(8-point scale), which was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The oriental nursing knowledge was 2.99±.64 (5-point scale) and work performance 3.31±.50 (5-point scale). The role conflict was 3.70±.55 (5-point scale). 2) Regarding the difference in retention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oriental medicine, retention inten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lder subjects (F=5.78, p=.001), and subjects with higher positions (F=4.09, p=.019), longer work experience (F=5.98, p=.003), and longer experience in oriental medicine (F=5.93, p=.003). Regarding oriental medicine education, the group who received education or attended seminars for 81 hours or more while working for a clinic showed higher retention intention than the group who did not (F=6.31, p<.001), and the group who obtained knowledge in oriental medicine from the doctors, self-teaching, or professional education, than the group who did not (F=4.93, p<.001). 3) In the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the retention of subjects with oriental nursing knowledge, work performance, and role conflict, retention inten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iental nursing knowledge (r=.43, p<.001),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role conflict (r=-.16, p=.023). 4) The factor that showed the strongest effect on retention intention of oriental medicine nurses was oriental nursing knowledge (β=0.36), followed by age (β=0.25) and role conflict (β=-0.16) in the order, and these factors explained 23% of retention intention (F=9.81, p <.001). The findings suggest, in order to increase retention intention of oriental medicine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ffer education programs for oriental nursing. Also, in order to reduce role conflict caused by ambiguous role division, it is important to specify the role of oriental medicine nurses and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 related to oriental medicine. However, judgment is required when generalizing findings of this study as it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nurses working at oriental medicine clinics in Seoul and Gyeonggido with specialists designat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lso,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diversify regions and sampling methods and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retention intention of oriental medicine nurses through a replication study. However, despite such limit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factors that influence retention intention of oriental medicine nurses and verified their effects. Also, as oriental nursing knowledg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relevant education and programs will need to be developed.

      • 주름을 이용한 텍스타일 제품화 연구

        박희선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apid development of industry and acceler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modern era are requiring a better quality of life and enforcing innovative and new designs suiting the needs of expressing various individuality in textile design sector. To cope with the changes in other industrial sectors, textile design industry has been developing various new techniques for textile manufacturing, and these new trend has been enriching people's life in many ways. The textile design of the twenty first century is confronted with difficult challenges originated from fierce competition and confusion caused by coexisting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and this lead to wide attention of distinct textile design technique by introducing three-dimensional appearances. Among the newly spotlighted techniques, the importance of pleat technique is emerging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distinct functional and artistic nature.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highly profitable productization and manufacturability of handcrafted pleat technique using diverse raw materials and processing techniques, which have already become a research topic in modern textile design industry. In this study, the origination of pleat technique is investiga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pression of modern pleat techniques, and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pleat techniques are studied and categorized into visual and design characteristics. The design works of well-known modern pleat designers a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photographs in order to envision the productization of highly profitable textile design. In addition, the two major techniques of thermal pleat techniques that are being adopted today, namely polyester thermal pleat and silk thermal pleat techniques, are separately investigated. The investigation of silk pleat technique in this study is particularly focused on Arashi shibori which is a handicraft technique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feasibility of manufacturability is investigated by productization of three apparels, two scarps, four bags and three shawls using the conventional polyster fabrics processed in order of knife pleats, laser cutting, garment cutting and sew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andcrafted pleat techniques, a scarp using twisted polyester shibori technique and a scarp using tank pleat technique are prepared. To realize more profitable textile design by creating natural-looking pleat, four groups of twelve scarps of textiles are designed using knife pleat technique in the manner of Arashi shibori process. The total number of twenty six textile products in eight different groups are designed using thermal pleat technique.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Firstly, the productization of distinct and well-received textile designs which may lead to creation of highly profitable products can be realized by introducing a new modification of pleat techniques since the modification of textile design using pleat technique can provide aesthetic functionality. Secondly, the pleat process using handcrafted Arashi shibori technique can be used to create highly-profitable and high quality textile designs because of its more natural pleat character and more beautiful change of color that cannot be found in machine-produced pleat designs.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current work is that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design products with high quality is highly likely if extensive investigation is focused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leat and Arashi shibori techniques. 현대로 들어오면서 급속한 산업 사회의 발달과 빠른 정보화 시대의 발전은 인간에게 더 높은 삶의 질을 요구하고 있으며 디자인 분야에서도 보다 독창적이고 새로운 디자인이 개개인의 개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도구가 되어가고 있다. 그 와 발 맞추어서 텍스타일 분야에서도 다양한 방법의 텍스타일 가공기법들이 발달되어 왔으며 이런 여러 가지의 가공기법을 이용한 텍스타일들이 개인의 삶을 더욱 풍성하게 해 주고 있다. 21세기의 텍스타일 디자인은 극심한 경쟁과 동서 문화권의 혼재 속에 스타일의 차별화가 난제로 등장하면서, 텍스타일의 입체적인 외관 변형이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에서 새로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중 주름 기법은 특유의 기능적, 조형적 특성을 동시에 갖춘 구조적 특성 때문에 그 중요성이 부각되어왔다. 본 연구는 현대 텍스타일 분야에서 전문적인 연구 분야로 자리 잡은 텍스타일의 주름 표현을 다양한 소재와 기법을 이용한 주름으로 표현하여 수공예적인 고부가가치의 텍스타일 제품화 개발 가능성과 아이템 개발 가능성을 연구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현대의 주름 표현에 대한 고찰로 주름의 기원을 문헌을 통하여 연구 하였고, 주름의 일반적인 특성을 시각적, 디자인적 특성으로 나누어 연구 하였다. 고부가가치의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품화하기 위하여 현대의 주름 표현을 하는 디자이너들에 대하여 국내외 문헌 자료 및 사진자료를 통해 고찰하였다. 또한 현대 텍스타일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는 주름 가공에 대해 폴리에스테르 주름 가공과 실크 주름 가공으로 나누어서 연구하였다. 특히 실크의 주름 가공으로는 수공예적 염색과 주름 기법인 아라시 시보리(Arashi Shibori)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기존의 폴리에스테르 소재에 나이프 주름(knife Pleats), 레이져 컷팅, 재단, 봉재의 순서로 작품을 3그룹으로 나누어 의상 3점과 스카프 2점, 가방 4점과 숄 3점을 제품화하여 텍스타일 제품화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했다. 수공예적인 주름을 연구하고자 폴리에스테르에 시보리 기법으로 꽈배기 주름을 이용한 스카프 1점과 탱크 주름을 이용한 스카프 1점을 제작하였다. 시보리 기법을 이용하여 좀 더 자연스러운 주름으로 고부가가치의 텍스타일디자인의 제품을 만들고자 아라시 시보리 기법으로 나이프 주름을 이용하여 4그룹으로 나누어 스카프 12점을 만들었다. 주름 가공법을 이용한 텍스타일 제품은 총 8그룹으로 나누어 26점의 제품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타일의 변형 중 주름 표현을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은 주름이 기능성과 심미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서 주름의 새로운 변형을 이용하여 아이템을 개발한다면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내는 감각적인 텍스타일 디자인 제품으로 개발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수공예적인 아라시 시보리를 이용한 주름 가공은 자연스러운 나이프 주름의 질감과 아름다운 색상의 변화로 기계로 가공된 주름과는 달리 고부가가치의 텍스타일 디자인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론을 기반으로 주름과 아라시 시보리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뒤따른다면 고부가가치가 있는 새로운 디자인 제품 개발의 가능성과 아이템 개발 가능성이 충분하다.

      • 2010년대 이후 놀이한복 대여점 연구

        박희선 韓國學中央硏究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경복궁과 북촌한옥마을 등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는 한복대여점과 대여한복에 관한 연구이다. 2010년 이후 한복대여점과 대여한복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관한 연구도 증가하였으나 한복의 외적인 측면이나 이용자의 기호에 집중하였을 뿐 한복의 대여와 체험의 실제 내용에 주목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필자는 최근의 한복대여점에서 이루어지는 한복대여의 과정과 유형, 그리고 대여한복을 입고 즐기는 소비자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를 위해 필자는 약 5개월 간 서울 경복궁 근처의 한복대여점에서 근무하면서 참여관찰을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만난 내·외국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현지조사 과정에서 필자는 서울의 경복궁과 한옥마을 근처에서 내·외국인 소비자들이 문화적으로 소비하는 한복을 ‘놀이한복’이라고 정의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놀이한복’은 결혼, 돌, 환갑 등을 위해 대여하는 일반 대여한복과 달리 옷의 형태와 바느질 수준, 대여의 방식, 그리고 대여하는 사람들의 태도 등에서 ‘놀이’라는 요소가 관통한다. ‘놀이한복’은 입기 편하고 눈에 확 띄는 디자인이면서 대여비가 저렴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소비자들은 반나절 가량 ‘놀이한복’을 대여하여 동료들과 마치 놀이를 하듯이 즐긴다. 폐백복과 돌복의 대여는 1980년대 등장하였지만 소비자들로부터 큰 인기를 누리지 못하였다. 당시만 해도 소비자들은 한복을 구매의 대상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본격적인 한복대여점은 1990년대 등장하였다. 혼례복, 폐백복, 설빔용 한복, 돌복과 같이 한두 차례만 입는 한복을 굳이 구매할 필요가 없다고 여기는 소비자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한복대여를 통해서 그 경제적 장점을 알게 된 소비자들은 2000년대에 들어와서 대여한복의 종류와 품질, 그리고 가격대를 다양하게 만드는 데 기여를 하였다. 2010년부터 인터넷 한복대여가 등장하면서 대여 방식도 다양해졌다. 이 과정에서 한복대여만 하는 업체도 생겨났고 그 연장선상에 필자가 연구한 ‘놀이한복’의 대여점도 있다. 놀이한복대여점은 통상적으로 신분증을 맡긴 후 한복을 고르고 대여 후 반납하는 순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간 구성 역시 접수와 결제의 공간, 한복과 장신구의 선택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대여점에 마련된 놀이한복의 종류는 전통한복과 테마한복, 캐릭터한복이 있다. 이외에 머리장신구와 신발, 각띠 등 기타장신구를 마련해둔다. 소비자들은 한류문화체험, 놀이문화체험, 한국문화체험 등 각자의 목적을 가지고 놀이한복대여점을 찾는다. 특히 그들은 저렴한 가격, 대여점 위치, 특정캐릭터와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놀이한복대여점을 선택한다. 2010년대 중반부터 놀이한복이 유행하게 된 사회문화적 배경에는 이른바 ‘한류 드라마’의 유행이란 현상이 있다. 특히 2000년대 말부터 한류 드라마 중의 사극에 등장했던 퓨전식 한복은 내·외국인에게 한복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가지도록 만들었다. 또한 한국정부의 한복 착용한 고궁 관람객의 무료입장 정책은 2010년대 중반부터 내국인 중 청년층의 놀이한복 착용으로 이어졌다. 아울러 SNS를 통한 각종 영상자료를 공유하면서 놀이한복은 급속하게 유행하였다. 이러한 국내의 유행은 한국을 찾은 외국인들에게까지 영향을 끼쳐서 더욱 확산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서울의 경복궁과 한옥마을에서 유행하는 한복을 ‘놀이한복’이라고 규정하고 대여점의 입장에서 본 운영방식과 다양한 소비자들의 태도를 참여관찰과 인터뷰를 통해서 현지조사를 했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놀이한복 대여점 한 곳에서만 참여관찰을 한 점은 이 논문의 한계이기도 하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hanbok rental shops that have become common in areas such as Gyeongbokgung and Bukchon Hanok Village. Since 2010 there has been a surge in demand for rental hanbok and hanbok rental shops, and consequently there has also been an increase in research related to this topic. However, this prior research primarily addresses the external aspects of hanbok and consumers’ tastes, and largely neglects hanbok rental and the rental experience.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hanbok rental process and types of rentals found in hanbok rental shops, as well as on the consumers who rent and enjoy hanbok. For this purpose, the author spent approximately five months working at a hanbok rental store nearby Gyeongbukgung in Seoul, and interviewed Korean and foreign customers. In the process of this fieldwork, the author discovered a need for a definition of the rental hanbok enjoyed by customers in Seoul’s Gyeongbokgung area and hanok villages. ‘Recreational hanbok’ are different from the rental hanbok which are used for formal occasions such as weddings. For recreational hanbok, the recreational factor permeates every aspect, from the shape and sewing quality of the clothes, to the rental process, to the attitudes of the customers renting them. Recreational hanbok are easy to wear, have eye-catching designs, and have a low rental fee. Customers can rent a recreational hanbok and spend a fun half-day wearing hanbok with their friends. Rental hanbok for weddings and children’s first birthdays first appeared in the 1980s, but did not enjoy much popularity among consumers, because at the time hanbok were considered an item that should be bought. Hanbok rental shops did not begin to appear in large numbers until the 1990s, when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believed that there was no need to buy a hanbok that would only be used on one or two occasions. Consumers’ growing awareness of the economic benefits of rental hanbok contributed to the diversification of rental hanbok types, quality, and price ranges in the first decade of the 2000s. In 2010, online hanbok rental site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further diversifying rental methods. During this process, businesses solely focused on hanbok rental were formed; the recreational hanbok rental shops covered in this study are an extension of that enterprise. The typical renting process at a shop for recreation hanbok is as follows: leave your ID at the desk, then choose a hanbok, then receive ID your back upon returning the hanbok. Because of this, the rental shops are generally divided into a reception and payment area and an area for choosing hanbok and accessories. The shops typically offer traditional hanbok, themed hanbok, and character hanbok. There are also various accessories such as hair jewelry, shoes, and sashes. Customers usually seek out the rental shops looking for a Hallyu cultural experience, recreational cultural experience, or Korean cultural experience. They tend to pick shops based on prices, location, and particular character and designs.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behind the sudden trendiness of recreational hanbok in the mid-2010s was the extreme popularity of ‘Hallyu dramas’. In particular, the fusion hanboks that appeared in historical dramas since the late 00s garnered widespread interest from Koreans and foreigners alike. Furthermore, government policy in the mid-2010s granting free entry to Seoul’s palaces to anyone in hanbok led to an increase in young adults wearing recreational hanbok. This, coupled with the spread of videos and photos through SNS, resulted in a sharp spike in the popularity of recreational hanbok. The trend caught on with foreigners visiting Korea, and therefore spread even further. This study establishes the definition of ‘recreational hanbok’, examines the operational methods of hanbok rental shops, and reveals the diverse attitudes of customers through interviews and direct observances. However, it is limited by the fact that fieldwork was only conducted at one recreational hanbok rental shop.

      • (The) Effect of Orientational Metaphor-Based Instruction On the Acquisition of Phrasal Verbs

        박희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Cognitive linguistic research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semantic analysis of phrasal verbs (Crutchely, 2007; Levorato & Cacciari, 1999; Morgan, 1997). It emphasizes that the particles of phrasal verbs have metaphors that have much to do with spatial orientations such as up-down, in-out, front-back, and on-off (Lakoff & Johnson, 1980, 2003). The understanding of these spatial orientations will help learners make cognitive image schema when they learn phrasal verbs (Morgan, 1997), and this ultimately help learners infer the meanings of phrasal verbs and facilitate the acquisition of them (Kovecses & Szaba, 1996). Similarly, Stefanowitch and Gries (2005)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etaphor awareness, pointing out that the particles of phrasal verbs provide rich imagery and schematic content. Some researchers including Yasuda (2010), Ganji (2011), and Jung and Kim (2011) have paid attention to teaching phrasal verbs through orientational metaphor-based instruction. It focuses on how the extended meanings of adverbial particles come from their prototypical meanings through orientational metaphors, which are a cognitive strategy that structures and conceptualizes the extended meaning of a word by using spatial orientations underlying it. These studies lend support to the claim that learners are able to process idioms through metaphoric mapping or thinking, which is a cognitive process to transfer a word from a prototypical meaning to an extended meaning (Kovecses & Szabo, 1996). They also give support to the suggestion that enhancing the awareness of metaphoric thinking using the metaphor strategy will ultimately help learners to learn idioms faster and retain them longer (Boers, 2000). The present study is in line with the studies mentioned above and is a follow-up study of Yasuda (2010), which examined the effect of metaphor awareness on the acquisition of phrasal verbs in a Japanese EFL context. This study, however, is different from the study in several respects. First, whereas Yasuda's study focused on phrasal verbs that were familiar to the learner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phrasal verbs unlikely to be familiar to the students. This change was intended to evaluate not only learners' ability to generalize given phrasal verbs through metaphoric thinking but also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he traditional memorization instruction and the orientational metaphor-based instruction. Second, unlike her study which administered just an immediate posttest designed to assess learners' short-term memory, this study conducted both immediate and delayed posttests so as to measure both the short-term and long-term effects of orientational metaphor-based instruction. Third, while Yasuda's study was implemented in a Japanese EFL context with college student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in a Korean EFL setting with high school students. Forth, whereas the entire procedure of this study lasted 50 minutes, her study took 10 minutes for both groups including explanation by the teacher and memorization by the students.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students who learned phrasal verbs through the orientational metaphor-based instruction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the learning and retention of taught and untaught phrasal verbs than those who learned them through the traditional memorization instruction. This highlights that students need to be explicitly taught about how spatial orientations underlying the adverbial particles of phrasal verbs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ir extended meanings. It also highlights that the metaphoric thinking using orientational metaphors to infer not only the appropriate meanings of known or familiar phrasal verbs but also those of unknown or unfamiliar phrasal verbs. This will ultimately help learners to retain phrasal verbs in their mental lexicon faster and longer.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development of metaphoric thinking using orientational metaphors will help learners to internalize phrasal verbs faster and retain them longer in the long run and help them infer not only familiar phrasal verbs but also unfamiliar ones. They also suggest that teachers should focus on enhancing the awareness of spatial orientations underlying the adverbial particles of phrasal verbs and encouraging learners to analogize their extended meanings through metaphoric thinking using orientational metaphors when teaching them.

      • 대학기록관의 온라인 전시방안 : SNS 기반의 이용자 참여형 전시를 중심으로

        박희선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문을 위한 공간이었던 대학의 정체성은 최근 취업을 위한 발판으로 정체성이 변화하고 있다. 대학기록관은 대학의 역사와 변화과정을 입증할 수 있는 저장소이다. 본 연구는 대학기록관의 저장소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시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해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기록관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국내 대학기록관의 사례조사와 면담을 통해 전시에 대한 한계점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기록관에서 원활한 전시를 진행하기엔 인력 부족과 예산의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대학기록관 전시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고자 SNS를 활용한 이용자 참여형 전시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학기록관에서 SNS를 활용할 경우 대학생들의 높은 이용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시를 구축하기 위한 예산의 부담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이용자 참여형 전시를 진행할 경우 이용자가 전시를 구성하고 기획한다. 그렇기 때문에 인력이 부족한 대학기록관의 입장에서 전시 업무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는 이용자 참여형 SNS 전시 프로세스의 구축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실제 SNS 전시를 진행하였을 경우 결과를 확인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앞으로 대학기록관의 SNS 전시와 관련한 연구가 진행되어서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identity of the college, which was a space for scholarship, is changing its identity as a stepping stone for employment. The college archives are the repositories that can prove the history of the university and the process of change. This study suggested how to organize exhibitions as a way to properly function as a repository for university arch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role of college archiv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hortage of manpower and a limit of budget for the smooth exhibition in the university archive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user - participation - type exhibition method using SN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solve the difficulties of exhibiting university archives. If SNS is used in college archives, high utilization rate of college students can be expected. It can also be free from the burden of budget for building exhibitions. When users participate in the exhibition, the user organizes and organizes the exhibition.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the burden on the exhibition work could be reduc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university archives lacking manpower.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struction of the user participatory SNS exhibition process, so there is a limit in not confirming the result when actual SNS exhibition is conducted.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by studying SNS exhibition of university archives in the future.

      • 정신분열병 환자의 병식 수준과 획득 관련 연구

        박희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신분열병 환자는 그 특성상 다른 질환의 환자들과는 달리 질병으로 인한 증상및 이로 인한 치료의 필요성에 대해 대부분 인식하지 못한다. 정신분열병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지속적인 약물 복용이므로 환자 스스로 자신의 질병에 대해 잘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병식은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임상적 병식, 인지적 병식으로 나뉘어 설명되어지곤 한다. 여기서 임상적 병식이란, 병의 존재와 원인을 인식하고 있느냐에 초점을 두면서 정신분열병의 예후와 치료 및 환자 관리를 목적으로 발달된 병식이라 한다면, 인지적 병식은 환자가 자신의 잘못된 해석이나 믿음을 재평가할 수 있는가를 강조한다는 면에서 임상적 병식과 다르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임상적, 인지적 병식 수준을 알아보고, 병식 획득과 관계가 있는 임상적 특성(어디서, 누구를 통해 병식이 생겼는지)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병식 증진을 위한 간호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9년 9월부터 10월까지 경기도 및 서울, 부산 지역 소재의 정신전문병원 및 종합병원 정신과 병동에 입원 중인 환자와 낮병원, 정신보건센터 및 사회복귀시설 기관을 이용 중인 회원 중에서 DSM-Ⅳ-TR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받은 자 총 21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dows 14.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보건시설(낮병원,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에서 치료중인 정신분열병 환자가 입원병동에서 치료 중인 환자보다 임상적 병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SAI(Schedule for Assessing the Three Components of Insight): F=8.786, p=.000, SUMD(Scale to assessment Unawareness of Mental Disorder): F=7.673, p=.000], 인지적 병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BCIS(Beck Cognitive Insight Scale): F=.223, p=.881]. 2. 치료자가 측정한 병식과 임상적 병식(SAI: r=.447, p=.000, SUMD: r=345, p=.000)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이는 환자의 자가 보고 임상적 병식(SAI)과 치료자 면접 형식의 임상적 병식(SUMD), 치료자 측정에 의한 병식 모두가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인지적 병식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r=057, p=.399). 3. 스스로 병식을 획득한 환자의 병식 수준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높았고(F=4.056, p=.045), 과거 입원 경험으로 부터 병식을 획득한 환자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병식 수준이 높았다(F=5.957, p=.016). 그리고 환우를 통해 병식을 획득한 환자도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병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6.804, p=.010). 이상의 결과 모두 임상적 병식 수준(SAI. SUMD)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스스로(SAI): F=6.038, p=.015, 입원경험(SUMD): F=5.998, p=.016, 환우(SAI): F=3.996, p=.047]. 4. 타인으로부터 병식을 획득한 환자 중 병식 획득 시기가 임상적 병식(SAI)을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035, β=-.150, p=.043). 5. 전반적 기능 평가(GAF: Global Assesment of Functioning)가 임상적 병식(SAI:t=3.421, β=.227, p=.000, SUMD: t=3.991, β=.262, p=.000)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내는 반면, 인지적 병식은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치료자가 평가한 병식과 GAF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r=.376, p=.000). 6. 정신분열병 환자의 발병시기가 늦을수록 인지적 병식이 유의하게 낮았고(r=-.097, p=.006), 학력이 높을수록 치료자가 측정한 병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r=.114, p=.033).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병식 수준 향상 및 획득을 위하여 급성기보다는 재활치료 단계에서, 입원 치료 시에는 증상이 완화된 퇴원 시점에서 좀 더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병식 수준 향상을 위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현행의 병식 증진을 위한 교육처럼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집단프로그램보다는 환자 개인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는 1:1 접근, 통합적 접근을 하는 차별화된 교육 개발이 필요하겠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상 병식을 획득하는데 있어서 타 환우와의 상호작용이 다른 경험보다 유의하게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근거로 환우들 간의 상호작용을 격려하여 관계 형성을 돕는 것도 병식 수준 향상 및 획득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적 중재라고 사료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병식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 중재 개발에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될 것이다. Unlikely with others, schizophrenics mostly do not recognize the symptoms from the disease and a need of treatment. Since a continuously-taking-medicine is the most important method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knowing and understanding the disease are very significant to the patients. The insight of schizophrenics is sometimes explained in a multi-dimensional concept as clinical insight and cognitive insight. The clinical insight focuses on the existence and the reasons of the disease, and it is developed in order to help with a prognosis, a treatment and the management of patients. The cognitive insight is different than clinical insight in a way that it stresses on whether it could revaluate the mistaken analysis and faith of the patients. Thus, the study was set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to develop the effective improvements of insight by understanding the levels of the clinical insight and the cognitive insight of patients,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about where and by whom the insight received) related to the obtainments of insigh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clinical and cognitive insights and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acquisition of the insights among patients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by DSM-IV-TR. The sample consisted of 218 patients who were attending community health services (day hospitals, health care facilities, and community mental rehabilitation centers) and admitted to inpatients clinics in psychiatric hospitals and primary care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2009 to October, 2009.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14.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 one-way ANOVA with Scheffe post hoc test, and MANOVA procedures.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Patients attending community health services showed higher scores on clinical insight than those admitted to inpatient clinics, as measured on SAI(Schedule for Assessing the Three Components of Insight: F=8.786, p<.001) and SUMD (Scale to Assess Unawareness of Mental Disorder): F=7.673, p<.00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insight between the two groups. 2. There were positive associations of scores of from insight assessed by clinicians with patients' clinical insight(SAI: r= .447, p<.001, SUMD: r=.345, p<.001).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f-reported insight of the patients(SAI), the clinicians interview format insight(SUMD), and the insight that clinicians measured are all related with each other.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assessment and clinician assessment of cognitive insight(r=.057, p=.399). 3. For both SAI and SUMD, patients obtained greater insight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than from other sources(F=4.056, p=.045). Higher scores were found in patients who obtained clinical insight from past hospitalization(F=5.957, p=.016). Higher levels of clinical insight were also found in patients who obtained the insight through other patients than those who did not(F= 6.804, p=.010). 4. Time to obtain insight after diagnosis significantly predicted acquisition of clinical insight as measured on SAI(t=-2.035, β=-.150, p=.043) among the patients who acquired the insight from other sources. 5. Scores of GAF(Global Assessment of Functioning) significantly predicted acquisition of clinical insight on both SAI(t=3.421, β=.227, p<.001) and SUMD (t=3.991, β=.262, p<.001), while did not on the cognitive insight measure.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ight assessed by clinicians and GAF (r=.376, p<.001). 6. Cognitive insight levels were significant lower among patients with late onset schizophrenia(r=-.097, p=.006). Patients with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had higher insight levels measured by clinicians(r=.114, p=.033).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to extend the knowledge base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insight into schizophrenia.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critical need for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that promote continued acquisition of insight in the rehabilitation periods after discharge from psychiatric hospitals. Efforts should be geared towar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are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atients. Facilitating patients' interaction with other patients may also help them gain insight into schizophrenia.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will be an important basic data that develops an effective nursing mediation to improve the insight in schizophren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