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반계 고등학교 진로교육 연구

        박희경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진로 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참여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여 진로 교육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교사의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교 진로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일반계 고등학교의 진로 교육은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가?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주, 전라남도, 전라북도 소재 공립과 사립 고등학교 교사 225명과 학생 375명을 선정하여 진로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에 대하여 배경 특성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진로 교육에 대한 개선점을 모색하기 위하여 학교현장에서 진로 교육의 지도와 대상이 되는 일선교사와 학생들의 의견을 질문지를 통해 조사·분석하였다. 조사 도구는 진로 교육의 운영에 관련된 두 개 영역으로 교사 17문항과 학생 22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회수된 자료 중 교사용 207부과 학생용 362부를 대상으로 한 진로 교육의 운영과 개선방안에 관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진로 교육에 참여하는 교사의 비율과 연수 참여 정도는 지식과 시간 및 연수 참여 부족으로 인해 미비하였다. 진로 과목 교과의 운영은 80%정도 학교에서 실시되지 않음으로 인해 진로결정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진로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학생들이 월 2회를, 교사들은 학기별 1회를 더욱 선호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요와 큰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교사들의 진로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결여되어 있음을 나타냈다. 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지 못하는 원인으로는 성적미비와 정보부족, 미래사회 불확실성으로 인한 낮은 자신감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생들이 가장 하고 싶은 상담은 바로 진학상담이었다. 그러나 진로정보는 인터넷 진로사이트를 통해 가장 많이 접하고 있었으며 학교를 통한 정보 수집은 10%정도였다. 진로 교육을 실시하는 진로상담부의 역할에 있어서도 재정적 지원의 부족으로 적성검사로 대체되는 진로검사만이 있었고 진로상담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교육은 전 교사의 참여가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담임교사 위주의 진로 상담으로 성적상담 위주였다. 두 번째 진로교육은 다음과 같이 개선이 필요하다. 진로 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진로 교육 프로그램 계발과 진로과목 설치 및 교사 연수를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진로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적극적 자세와 적절한 시간을 교육 과정에 배정해 문제점에 대한 보완책이 제시되어 지속적인 추진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 업무조직을 가능하면 교육과정 중심으로 운영하여야 한다. 이는 교사들이 동일 교과 또는 같은 계열의 교사들로 구성됨으로써 교과는 물론 진로교육 연계 방법 등에 대한 원활한 연구와 협의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진로상담부나 담임교사에게만 진로 상담을 맡길 것이 아니라 교과담당 교사 및 재량활동, 계발활동, 봉사활동, 행사활동, 학급활동 시간에도 학생들의 학업, 적성, 취미와 관련하여서도 진로 프로그램이 계발·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진로교육 내용으로는 직업에 대한 정보와 자기 이해를 중시 여겨야 한다. 자신의 장점이 어떤 직업을 가질 때 가장 잘 발휘될 수 있으며, 그러한 직업을 갖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능력과 조건은 무엇인가를 살펴봄으로써 성공적인 진로 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교의 경우 과거에 비해 복잡해진 입시요강 등의 문제로 인해 학생들이 학습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학부모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진로결정과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학교는 다양한 기회의 학부모 교육을 통해 자녀와 함께 진로탐색이 실시되어야 하는 이유와 방법에 관해 홍보해야 한다. 또한, 학교가 이러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사, 학생, 학부모가 함께하는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계발되어야 할 것이다.

      • 교회학교 통합교육에 대한 목회자의 인식

        박희경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pastors about inclusive education and their perception of the management and roles of inclusive education by selected variables involving age, career and church size in an effort to pave the way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and management of inclusive education at church schoo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2 pastors at churches located in South Jeolla Province, on whom a survey was conduced to data gath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way the pastors investigated looked at inclusive education at church schoo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variables including age, career and church size. The pastors who were in their under the age of 50, whose length of career was less than 10 years and whose churches had less than 100 members took a better view of inclusive education at church school. Second, as for perception of the management of inclusive education at church school including what preparations churches should make, they considered it necessary for churches to prepare a place of worship with all sorts of convenient facilities and to hire special education experts and separate pastors in charge of inclusive education. Concerning what church school should do in preparation for inclusive education, servers(assistant teachers) who could render service to disabled students should be employed, and teachers should receive education about the disabled. As to investment of budget in convenient facilities, each church school should be equipped with basic convenient facilities, and it should be furnished with additional convenient facilities if possible. In relation to the reason why churches were devoid of convenient facilities or mission programs geared toward the disabled, they cited nondisabled Christians' poor understanding of the disabled and a shortage of budget as the reasons, and they had a significantly different opinion on that according to the variables. As to the top priority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inclusive education, they put emphasis on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modified teaching materials geared toward disabled students and preparation of required facilities. They held a different opinion on that according to the variables. Third, in regard to perception of the roles of pastors in association with inclusive education at church school, pastors should have a strong conviction of that education, and their prayer(spirituality) was also requested. To ensur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the opinions of special education experts and pasto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e pastors had a significantly different opinion according to church size, one of the variables. As to the additional roles of pastors, they believed that pastors should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inclusive education, deliver a visionary sermon and gather extensive opinions from people concerned. In the future,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finding out the awareness of pastors who work in different circumstances, and into the development of service and educational programs suited to each church's characteristics. To actualize inclusive education at church school, both of internal support(training and education) and external support(preparation of budget and facilities) should be provided for pastors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it and direct their energy into that with interest. Every church should keep in mind that concern and support for inclusive education are mandatory for disabled students to lead a religious life as members of a faith community. 본 연구는 목회자의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운영과 역할에 대한 인식을 변인별 특성인 연령, 경력, 교회규모에 따라 그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회학교 통합교육 실시,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에 위치한 교회의 목회자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그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학교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목회자의 변인별 특성(연령, 경력, 교회규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령 50대 미만, 경력 10년 미만, 교회규모 100명 미만의 목회자 집단이 교회학교 통합교육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회학교 통합교육의 운영에 대한 인식에서 교회에서 준비해야 할 사항은 편의시설이 구비된 예배장소 제공과 특수교육 전문가 및 통합교육 담당 목회자로 나타났으며, 교회학교 내에서는 장애학생을 도울 수 있는 봉사자(보조교사)배치와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장애관련 교육을 준비사항으로 나타냈다. 또한 장애학생 편의시설을 위한 예산투자인식에서는 기본시설을 갖추어야하고 투자해서 가능한 시설은 갖추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교회에서 장애학생 편의시설이나 장애인 선교프로그램 부족 원인에 대해서는 장애인에 대한 일반성도들의 인식부족과 교회예산 부족으로 나타냈으며 변인별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교회학교 통합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필수사항에서는 교회학교 교사의 장애학생 지도 교육과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자료 수정 및 시설 구비로 나타냈으며 변인별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교회학교 통합교육에 대한 목회자의 역할인식에서 목회자의 역할은 통합교육에 대한 확신과 기도(영성)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 실행을 위해서는 특수교육 전문가와 담임목회자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나타났으며 변인 중 교회규모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통합교육에서 목회자의 역할은 통합교육 이해증진과 비전제시를 위한 설교 및 교육과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앞으로 교회학교 통합교육 실시를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에서 활동하는 목회자의 인식 연구와 함께 각 교회의 특성에 맞는 지원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교회학교 통합교육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목회자의 긍정적 인식 수준을 넘어 적극적인 관심과 태도를 가지도록 내적 지원(연수, 교육)과 함께 실행을 위한 외적지원(예산, 시설확충)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교회는 이 관심과 지원이 장애학생이 신앙 공동체의 한 구성원으로 함께 하기 위한 절차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 Comparing the Effect of Extensive and Repeated Listening on Korean EFL learners' L2 Listening Comprehension

        박희경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1) to investigate which of two different listening types, repeated or extensive listening activities,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2 listening comprehension; and 2) to examine if either type of listening activity affects students’ L2 listening strategy use and 3) students’ attitudes in terms of preference and interest toward each L2 listening activity. A total of 120 high school stu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63 students in the repeated group and 57 students in the extensive group,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a period of nine weeks, both groups were provided with different types of listening activities for five minutes four days a week in addition to participating in their regular English classes. The extensive listening groups listened to a wide range of varied material each class for gist understanding while the repeated groups listened to the same material for two weeks repeatedly for detailed understanding. After nine weeks, a post test was conduct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a pretest by an analysis of variance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The repeated groups outperformed the extensive groups on an L2 listening comprehension test. It may show that high school students at an intermediate level learning in an EFL setting need comprehensible input rather than mere exposure.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and several interviews, the extensive groups reported to be more interested in L2 listening than the repeated groups after the study period perhaps as a result of having encountered new stories and dialogues every class. On the other hand, the repeated group reported being more confident in their listening ability than the extensive group. 본 연구에서는 인천의 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같은 내용을 반복 청취하는 방법 (Repeated Listening)과 다양한 내용의 영어 지문을 폭넓게 청취하는 방법 (Extensive Listening) 중 어느 지도법이 영어 듣기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일 것인지를 비교 실험하였다. 또한 이 두가지 방법이 각각 학생들의 듣기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학생들의 듣기 활동 방법의 선호도 및 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였다. 전체 인원 120명 중 임의로 두 그룹을 나누어 반복 청취 그룹 63명, 다양한 청취 그룹 57명이 9주 동안 본 실험의 대상이 되었다. 주4회 영어 수업시간 중 매 시간 5분 동안 다양한 청취 그룹 학생들은 여러가지 주제와 내용을 담은 2~3분 분량의 영어 지문을 두 번씩 폭넓게 청취한 반면, 반복 청취 그룹 학생들은 동일한 내용을 8회의 수업에 걸쳐 16번 반복 청취 하였다. 9주의 실험을 마친 후, 학생의 수준과 실험 목적에 알맞게 수정 보완된 제 2 외국어 듣기 능력 시험을 실시하여 그 성적 결과를 초기 시험과 비교, 반복 측정 (Repeated Measure) 통계법으로 분석하였다. 참가 학생들의 두 시험 점수를 분석한 결과, 반복 청취가 다양한 청취보다 영어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더 높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급 수준의 영어 학습자인 어린 아이들과는 달리, 고등학교 이상의 중급 학습자들은 반복 학습을 통하여 적은 내용이더라도 이해가 가능할 때까지 여러 번 듣는 것이 듣기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듣기 전략에 대한 특별한 훈련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의적 전략의 사용 측면에 있어서 두 그룹 모두 실험 후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즉, 교과서 이외의 영어 듣기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제 2 외국어 듣기에 대한 거부감과 긴장감을 줄이고 보다 편안한 마음으로 영어 듣기에 친근해질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영어 듣기 활동 방법에 관한 선호도 및 태도에 있어서는 두 그룹 학생들 모두 본인이 9주동안 접해왔던 활동에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그러나 본 활동을 통해 관심과 흥미가 얼마나 더 증가했는지 묻는 질문에는 다양한 청취 그룹의 학생들이 여러가지 새로운 주제와 내용을 통해 재미있었다는 응답을 더 많이 한 반면, 실제 듣기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는지 묻는 질문에는 시험 점수가 높았던 반복 청취 그룹의 학생들이 보다 더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 중년과 노년 한국인의 대사증후군과 백내장과의 관련성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2010) 자료를 바탕으로

        박희경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1차년도(2010) 자료를 분석하여, 중년과 노년한국인에서의 대사증후군과 백내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 본 자료에서 45~74세를 대상으로 다른 안질환이 없으며, 대사증후군 검사와 백내장 검사를 함께 받은 2,52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령 군별로 45~54세, 55~64세, 65~74세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사증후군과 백내장의 유무 비교는 χ2 - test로 분석하였고, 각 변수 보정 후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위험비(odds ratio)와 95% 신뢰구간(95% confidence interval, 95% CI)을 구하였고,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 표본을 활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정 수준은 p <0.05로 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 2,521명 중 남성은 1,106명(43.9%) 여성은 1,415명(56.1%)이였으며, 연구 대상자중 백내장 환자는 1,127명(44.7%)이었다. 대사증후군이면서 백내장 진단을 받은 경우, 여자에서, 나이가 많아질수록, 체질량지수(BMI)가 25이상일 때, 햇빛 노출시간이 하루 5시간 이상일 때 백내장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성, 연령, 거주지역, 가구수입, 교육수준, 흡연 및 음주행태, 햇빛 노출시간 등을 보정한 후 대사증후군의 검사 항목 중 이상치 개수 증가에 따른 백내장 위험비를 연령 군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55~64세 군에서 대사증후군의 검사 항목 중이상치 개수가 1~2개 있는 경우 백내장 위험비는 1.75(95% CI, 1.07 ~2.87)배, 3~5개 있는 경우 백내장 위험비는 1.98(95% CI, 1.15~3.42)배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대사증후군의 검사 항목 5가지를 개수 별로 조합한 경우 성, 연령, 거주지역, 가구수입, 교육수준, 흡연 및 음주행태, 햇빛 노출시간을 보정한 후, 연령 군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45~54세 군에서는 중성지방이 높고, 허리둘레가 기준 이상인 경우 백내장 위험비는 5.40(95% CI, 1.07~27.31)배, 높은 혈압과 높은 혈당, 낮은 HDL의 세 가지를 갖고 있는 경우 백내장 위험비는 8.30(95% CI, 1.42~48.53)배로 유의하게 높았다. 55~64세 군에서는 혈당이 높고, 낮은 HDL을 가진 경우 백내장 위험비는 5.23(95% CI, 1.70~16.07)배, 높은 혈당과 높은 중성지방, 기준 이상의 허리둘레 세 가지를 갖고 있는 경우 백내장 위험비는 23.54(95% CI, 2.91~190.75)배, 높은 혈압과 높은 중성지방, 허리둘레가 기준 이상인 경우 백내장 위험비는 8.18(95% CI, 2.49~26.93)배로 유의하게 높았다. 65~74세 군에서는 높은 혈압과 낮은 HDL을 가진 경우 백내장 위험비는 4.88(95% CI, 1.18~20.19)배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 대사증후군의 검사 항목의 이상치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55~64세 군에서 백내장 위험비가 1.75~1.98배 증가하고, 대사증후군의 검사 항목 조합에 따라 백내장 위험비는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연령 군별로 각기 다른 대사증후군 검사 항목별 조합에 따라 유의하게 높아, 중년과 노년 한국인에서의 대사증후군과 백내장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교사회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복지의식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박희경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중학생의 사회복지에 대한 의식을 고찰하여 국가의 사회복지 정책 방향에 중요한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하며, 다양해진 학교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경험이 이들의 사회복지 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의 사회복지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여 미래의 바람직한 사회복지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년 4월 26일부터 4월 30일까지 인천소재 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남․여학생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은 평균 6.88회의 학교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서비스 이용 만족도는 평균 3.25로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학교사회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계속 이용하고자 하는 의지와 타인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의지도 함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쟁점에 대한 인식수준은 평균 2.67로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사회복지서비스 경험이 있는 학생들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교육에 관한 인식 수준은 평균 3.08로 비교적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고, 현재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자원봉사활동교육제도와 사회복지교육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학교사회복지서비스 실태와 학교사회복지서비스 평가는 사회복지의식과 관련성이 있고 학교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많을수록, 학교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의식도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중학생의 사회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사회복지 서비스 이용과 관련한 학교사회복지 실천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사회복지서비스의 만족도는 향후 서비스 이용의지와 타인에게 추천의지도 또한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때 만족도가 높은 학교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횟수를 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사회복지서비스 이용 만족도가 매우 높았던 경제적 지원 서비스를 확대시켜 학생의 가정경제 수준에서 발생하는 차이를 보전해 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많은 집단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볼 때 서비스의 대상을 학업성적이 낮거나, 문제행동을 가진 저소득층 가정의 학생들에서 학업성적이 상위권 학생들과 일반학생들까지 확대하여야 한다. 넷째, 학교사회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이 있는 집단에서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난 것을 볼 때, 현재의 교과과정의 불충분한 복지교육에 대한 보완으로 학교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교사회복지서비스 이용 경험 집단에서 사회복지 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현재 교과과정에 포함된 자원봉사활동제도와 사회복지교육을 활성화하여 사회복지에 대한 올바른 의식을 심어주어야 할 것이다.

      • 성인애착과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박희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 dimensions(attachment avoidance and attachment anxiety),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employed in romantic relationships(avoidance, competition, compromise, accommodation, and collaborat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on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ult attachment dimension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523 college students(300 males, 223 female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their adult attachment(Multi-item Measure of Adult Romantic Attachment),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revised Rahim Organizational Conflict Inventory-Ⅱ), and rejection sensitivity(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This study adopted a two-dimensional conceptualization for both adult attachment(avoidance and anxiety)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concern for self, concern for others). To be eligible, participants had to be in a serious romantic relationship at some time, either past or present.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sing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by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ttachment avoidance predicted the use of avoidance, compromise, and collaboration strategies during conflict with romantic partners. Attachment anxiety predicted all of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rejection sensitivity predicted the use of avoidance and accommodation strategies. Secondl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onstructed the research model based up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and the hypothesized model was supported. The goodness of fit indices indicated good fits of the model to the data. The paths from attachment avoidance to rejection sensitivity, from attachment anxiety to rejection sensitivity were significant. The paths from attachment avoidance to compromise, from attachment anxiety to all of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except avoidance were significant. And the paths from rejection sensitivity to avoidance and to accommodation were significant. Thirdly, the path from attachment avoidance to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path from rejection sensitivity to avoidance strategy were significant. In order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avoidance strategy, Sobel test was performed.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the use of avoidance strategy was significant. Fourthly, the path from attachment anxiety to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path from rejection sensitivity to avoidance strategy were significant.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the use of avoidance strategy was significant. Lastly, the path from attachment anxiety to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path from rejection sensitivity to accommodation were significant.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the use of accommodating strategy was significant. 사람들이 맺는 대부분의 친밀한 관계에서 갈등이 일어나듯 서로 다른 환경에서 성장해온 연인들은 갈등을 종종 경험하게 된다. 이때 긍정적인 갈등해결전략을 사용한다면 서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 상대방을 더욱 가깝게 느끼고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나, 갈등 상황 자체를 상대방으로부터의 거부를 수반할 수 있는 위협으로 느껴 갈등을 회피하려하거나 자신의 입장을 제대로 표현하지 않고 상대방의 의사에만 따르려하다 보면 관계가 더 깊은 수준으로 발전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갈등 해결 방식의 차이에 애착이 설명력을 가진다는 결과가 일관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대인관계 상황에서 거부당할 것이라는 불안한 기대를 가지고 거부를 예민하게 지각, 과민하게 반응하는 거부민감성이 불안정애착과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거부민감성이 갈등해결전략의 선택에 있어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는 간접적인 경험적 증거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애착회피와 애착불안이 각각 갈등해결전략과 가지는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거부민감성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애착회피, 애착불안, 거부민감성, 갈등해결전략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해보았으며, 성인애착과 갈등해결전략 간의 관계를 거부민감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회피, 애착불안, 거부민감성 및 갈등해결전략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모형을 선정하기 위해 우선 유의한 변인들을 선정하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애착회피와 애착불안은 거부민감성에 설명력을 가졌으며 애착회피는 회피, 타협, 통합전략에, 애착불안은 모든 갈등해결전략에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부민감성은 회피전략과 양보전략의 사용에만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애착회피와 애착불안이 서로 상관을 가지며 각각 거부민감성에 직접경로, 애착회피는 회피, 타협, 통합전략에 직접경로, 애착불안은 모든 갈등해결전략에 직접경로를 가지며, 거부민감성이 회피, 양보전략에 직접경로를 가지는 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한 결과 연구모형이 지지되었다. 자세히 살펴보면, 애착회피에서 거부민감성, 애착불안에서 거부민감성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애착회피에서 타협전략으로 가는 경로, 애착불안에서 지배, 타협, 양보, 통합전략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부민감성에서 회피전략과 양보전략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애착회피와 회피전략의 사용간의 관계는 거부민감성에 의해 매개됨이 밝혀졌다. 애착회피에서 회피전략으로 가는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므로 거부민감성이 이들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애착회피 수준이 높은 경우에 연인과의 갈등상황에서의 회피전략의 사용은 거부민감성을 매개로하여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애착불안과 회피전략의 사용간의 관계는 거부민감성에 의해 매개됨이 밝혀졌다. 애착불안에서 회피전략으로 가는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므로 거부민감성이 이들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애착불안 수준이 높은 경우에 연인과의 갈등상황에서의 회피전략의 사용은 거부민감성을 매개로하여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애착불안과 양보전략의 사용간의 관계는 거부민감성에 의해 매개됨이 밝혀졌다. 애착불안에서 양보전략으로 가는 직접경로도 유의하였으므로, 거부민감성이 이들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애착불안이 높은 경우에 연인과의 갈등상황에서의 양보전략의 사용은 거부민감성을 매개로하여 활성화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 중학생 대상 눈 건강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박희경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ye health education program on the level of eye health related knowledge and eye health protective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 This experimental study us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non-synchronized desig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recruited from first graders of a middle school in H-gun, Jeollanam-do, and 6 classe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3 classes (76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other 3 classes (77 students). The eye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provided by the researcher to the experimental group 4-hour classes in 4 weeks. Outcome variables were the levels of eye health related knowledge and eye health protective behaviors measured by study questionnaires. Pre-test was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 June, and done for the control group in August.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Eye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4 weeks while control group received one-hour eye health education with existing health education curriculum by the researcher. Post-test was conducted three weeks after the lecture in the control group, and done immediately after the fourth eye health education program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s: The level of eye health related knowledg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s (t=9.45, p<.001). The eye health protective behavi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found to have higher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2.18, p=.031). Conclusion: The eye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level of eye health related knowledge and eye health protective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health teachers could consider and utilize this program as a part of the standard eye health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Further study is needed to add objective measures of eye health related knowledge and eye health protective behaviors to assess long-term effectiveness of this education program.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눈 건강증진을 위한 눈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눈 건강 관련 지식 및 실천행위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J도 H군에 소재한 J중학교에 다니는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무작위로 3개 학급씩 실험군(76명), 대조군(77명)에 할당하였다. 사전조사는 대조군의 경우 2019년 6월에, 실험군의 경우 2019년 8월에 각 각 실시하였다. 대조군에게는 기존 보건교육과정에 포함된 눈 건강교육을 1회 실시하였고 실험군에게는 주당 1회 총 4차시 눈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사후조사는 대조군의 경우 보건교과 과정의 눈 건강교육 수업을 실시하고 난 뒤 3주 후에, 실험군의 경우 눈 건강교육 프로그램 4차시 적용이 끝난 바로 직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눈 건강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눈 건강 관련 지식과 눈 건강실천행위 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눈 건강교육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눈 관련 지식 및 눈 건강실천행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어 학교 보건교육시 눈 건강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실제 행위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객관적인 수행 도구를 개발하고, 관찰법 등의 평가방법을 활용하여 눈 건강증진행위 개선에 대한 장기적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