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6세기 《은대(銀臺)계회도》와 《만력임오합사(合司)계회도》 연구

        박효정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논문은 새롭게 발굴된 <은대계회도>와 <만력임오합사계회도>를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이다. 계회도가 가장 유행하였던 16세기에 제작된 이 작품들은 회화사적으로 완성도가 높을 뿐 아니라, 두 작품 모두 임진왜란 이전의 창덕궁을 묘사하여, 조선전기 궁궐의 모습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승정원 관료들의 모임을 그린 <은대계회도>는 좌목에 두 계원이 전직관료로 표기된 점과, 명종실록에 이 두 사람이 동시에 다른 곳으로 관직을 제수받았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전별연(餞別宴)’의 목적으로 모임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은대계회도>의 제작 시기는 세 가지의 단서를 바탕으로 ‘1560년’으로 도출해 보았다. 첫 번째는 두 명의 계원이 관직을 제수받은 날짜 1560년 8월 19일과 두 번째는 명종이 창덕궁에 머물렀던 1560년 7월 27일에서 1561년 9월 26일, 마지막으로 1560년 9월 19일에 제작된 <서총대친림사연도(瑞蔥臺親臨賜宴圖)>와 <은대계회도>의 좌목에 기록된 ‘윤근수’의 관직이 일치됨을 통해 제작 시기를 추론해 보았다. <은대계회도>는 누각의 전경을 중심으로 그렸으므로 화면을 차지하는 배경산수의 비중이 다소 작다. 그러나 산수표현에서 ‘응봉’과 ‘보현봉’을 그려 넣어 실경적인 요소를 반영하였다. 특히 보현봉을 좌측에 부각하여 편파구도화 한 점, 근경을 강조하고 중 · 원경을 대담하게 안개 속에 생략한 점, 그리고 여백을 두어 넓은 공간을 암시한 점 등에서 ‘마하파’ 적 요소가 두드러진다. <은대계회도>에 묘사된 누각의 표현은 1830년 이전에 제작된 <동궐도(東闕圖)>와 비교하여, 창덕궁의 임진왜란 전 · 후 건축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동궐도>에는 인정문이 단층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계회도에는 중층으로 표현된 것, 두 번째는 인정문의 좌우 행각(行閣)의 모서리 위의 ‘십자각(十字各)’ 역시 <은대계회도>에만 그려 있다. 마지막으로 계회도에 표현된 ‘어도(御道)의 박석’과 인정문 축대의 ‘막돌쌓기’ 기법 또한 임진왜란이전의 창덕궁에서만 볼 수 있는 건축요소이다. <만력임오합사계회도>는 ‘萬曆(만력, 1573∼1620)’연간 ‘壬午(임오, 1582)’년에 ‘합사(合司)’ 즉, 사헌부와 사간원의 합동 계회를 기념하여 제작되었다. 이 작품의 배경산수는 한양의 주산인 ‘백악산’으로, 백악산이 갖는 뚜렷한 이미지를 ‘상징적 표지물’로 계회도에 반영하였다. 특히 백악산 본모습을 거의 그대로 재현하여 실경에 대한 표현 의지를 엿볼 수 있다. 백악산 전체에 담묵으로 묘사된 단선점준과 함께 희미하게나마 나타나는 묵면의 ‘흑백대조’는 16세기 산수화의 영향과 무관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또한, 화면 전체에 진한 연무는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양송당 김지(金禔, 1524∼1593)의 <연운산수도>를 연상시킨다. <만력임오합사계회도>의 계회배경은 이 시기의 논쟁적 사안이었던 ‘정릉의 전례문제(典禮問題)’ 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요한 단서로 그림에 묘사된 조선시대와 계회장면에서 확인된다. 조선시대는 궐내에서 열린 공간이며, 마당에 양사가 함께 정좌한 모습은 임금을 향한 일종의 강력한 의사 표시를 위한 ‘양사합복(兩司伏閤)’ 을 연상시킨다. ‘정릉의 전례문제’ 는 태조의 계비였던 신덕왕후(神德王后)의 시호와 존호를 복귀하고 정릉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한 논쟁으로, 이 시기의 선조실록에 양사의 합계상소가 6개월여 동안 26회, 즉, 선조연간 전체 32%를 차지한다. 이러한 논쟁적인 사안으로 하여금 양사의 결집을 더욱 필요로 하였고, 계회도의 형식을 빌려 기록물로 남겼던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newly unearthed <Eundae Kyehoedo(銀臺契會圖)> and <Manryukimohhapsa Kyehoedo(萬曆壬午合司契會圖)>. These works produced in the 16th century when kyehoedo was most popular have high completeness in the history of painting and both of the two works described Changdeokgung(昌德宮) before it was burned due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o they are important data through which the appearance of the palace in the early Joseon can be assumed. In <Eundae Kyehoedo> that drew Seujeongwon(承政院) staff meeting, judging from the records that two persons were marked as ex-employees on the attendance roster and the two were assigned to a different place at the same time in the annals of King Myeongjong, the meeting was held for the purpose of ‘a farewell party.’ The production period of <Eundae Kyehoedo> was drawn as ‘1560’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clues: first, the date of appointment of the two employees, August 19, 1560; second, the period between July 27, 1560 and September 26, 1561 when King Myeongjong stayed in Changdeokgung; and lastly, the coincident position of ‘Yun, Geun-Soo’ recorded in the attendance roster of <Seochongdaechinlimsayeondo(瑞蔥臺親臨賜宴圖)> and <Eundae Kyehoedo> produced on September 19, 1560. <Eundae Kyehoedo> was drawn centering around the view of the palace, so the proportion of ‘landscape painting’ is somewhat less. Yet, in terms of the expression of mountains, life-size ‘Eungbong(鷹峰)’ and ‘Bohyeonbong(普賢峰)’ were partially drawn. In particular, ‘Maxiapai(馬夏派)’ elements are noticeable in that it drew Bohyeonbong biased to the left, that it emphasized the view from the front and omitted distant scenery in the mist, and that it suggested a spacious room. In <Eundae Kyehoedo>, from the expression of the palaces depicted, architectural differences in Changdeokgung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could be identified compared to <Donggwoldo(東闕圖)> produced prior to 1830. First, in <Donggwoldo>, Injeongmun(仁政門) was expressed in one story while in kyehoedo, it was expressed in two stories; Second, ‘Shipjagak(十字閣)’ at the corners of the left and right Hanggak(行閣) of Injeongmun also was drawn only in <Eundae Kyehoedo>. Lastly, ‘flagstones(薄石)’ of the roadways for king’ and ‘rubble masonry(雜石積工)’ technique of Injeongmun embankment expressed in kyehoedo also are the architectural elements that can only be seen in Changdeokgung prior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Manryukimohhapsa Kyehoedo> was produced to commemorate the joint meeting of ‘Hapsa(合司),’ that is, Sahunbu(司憲府) and Saganwon(司諫院) in ‘Imo’(임오: 1582) on ‘Manryuk(만력: 1573∼1620).’ The landscape of this work is ‘Baekaksan(白岳山)’ the central mountain in Hanyang, and the sharp images of Baekaksan were reflected as ‘a landmark’ in kyehoedo. Especially, it reproduced Baekaksan almost intactly, through which the artist’s will of expression for the real thing can be suggested. The contrast between black and white appearing though vaguely along with Danseonjeomjun(短線點皴) described in Dammuk(淡墨) in the entire Baekaksan suggests an impact of the 16th century landscape painting. In addition, on the dark haze of the entire painting reminds us of <Smoking landscape painting(煙雲山水圖)> by Yangsongdang Kim, ji(養松堂 金禔; 1524 ∼ 1593) representing the mid-Joseon period. It is assumed that the meeting in <Manryukimohhapsa Kyehoedo> was held because of ‘Rite(典禮問題) of Jeongneung(貞陵)’ a controversial issue during period. It is an important clue which are found in the meeting place and the meeting scene depicted in the painting. The meeting place is a very open space inside the imperial court, and the image of Yangsa(兩司; Sahunbu and Saganwon)sitting together in the yard reminds us of ‘Yangsahapbok(兩司伏閤)’ for a kind of robust expression of opinions toward the king. ‘The precedent issue regarding Jeongneung’ is a controversy that some insisted on the restoration of a posthumous epithet(諡號) and eulogistic posthumous title(尊號) of Queen Sindeok, a royal concubine of King Taejo and restore Jeongneung, and appeal together(合啓上疏) of Yangsa in the annals of King Seonjo during this period were raised 26 times for about 6 months, which takes up 32% of appeal together of Yangsa(合啓上疏) during the entire reign of King Seonjo. These controversial issues further necessitated the meeting of Yangsa and it is judged that they were documented in the form kehoedo.

      • 마비쪽 손바닥 접촉강화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팔 기능, 자세정렬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박효정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마비쪽 손바닥 접촉강화 프로그램이 팔 기능, 자세 정렬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본 연구대상은 단일 의료기관의 뇌졸중 환자 중 연구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30명을 연구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진행하였다. 중재 기간은 총 8주로 연구군은 마비쪽 손바닥접촉 강화 운동치료를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일반적인 마비쪽 팔 운동치료를 적용하였다. 집단 간 중재 전·후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팔 기능, 자세정렬, 보행에 대한 측정을 중재 전·후로 실시하였다. 측정값의 집단 내 변화는 대응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집단 간 비교는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팔 기능에 대한 결과는 팔 운동, 장악력, 손가락조작력 분석결과에 대한 변화량을 사용하였다. 중재 전·후 집단 간 팔 운동과 손가락조작력 변화량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장악력 변화량은 차이가 없었다(p>.05).둘째, 자세정렬에 대한 결과는 몸통정렬과 발바닥압력분석결과에 대한 변화량을 사용하였다. 중재 전·후 집단 간 몸통길이, 몸통기울기, 등뼈각, 뒤굽음각, 앞굽음각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몸통균형, 골반비틀림각, 골반회전각 변화량은 차이가 없었다(p>.05). 발바닥압력분석에 대한 결과는 면적, 압력, 전·후·좌·우 체중분포에 대한 변화량을 사용하였다. 마비쪽과 비마비쪽 압력변화량은 중재 전·후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전·후·좌·우 체중분포도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셋째, 보행에 대한 결과는 한발짝길이와 너비, 걸음길이, 걸음속도 보폭대칭지수에 대한 변화량을 사용하였다. 중재 전·후 집단 간 비마비쪽 한발짝길이(p<.05), 한발짝너비와 보폭대칭지수(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걸음길이, 걸음속도는 차이가 없었다(p>.05).위 결과를 바탕으로 마비쪽 손바닥 접촉강화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팔 기능과 손가락조작 능력, 몸통정렬과 균형능력을 향상시켰고, 한발짝길이와 대칭성 및 너비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마비쪽 손바닥 접촉강화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팔 기능 향상과 자세정렬 및 보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hancement paretic palmar contact program on the upper limb function, postural alignment and gait in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 individuals satisfying the subject selection criteria among the stroke patients at a single health care center. The subjects were randomized between the control and study groups. During the 8-week intervention period, the study group received an enhancement program of palmar contact on the paretic side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a conventional upper limb exercise training on the paretic side. To analyze the intervention effects in the two groups, the measurements for upper limb function, postural alignment and gait were take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within-group variations of measured values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for between-group compariso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upper limb function was determined based on the variations of arm motion, grasp and pinch and hand activity.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variations of arm motion and hand activity for the between-group comparis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p<.05),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sp and pinch was detected(p>.05). Second, the postural alignment was determined based on the variations of trunk alignment and plantar pressure. In analyzing the trunk alignment for the between-group comparis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variations of trunk length, trunk inclination, thoracic angle, kyphotic angle and lordotic angle(p<.05),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variations of trunk balance, pelvic torsion angle and pelvic rotation angle(p>.05). The analysis of plantar pressure focused on the variations of area, pressure and anterior/posterior/medial/lateral weight distribution. The pressure variation on the paretic and non-paretic sides had a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p<.001) and the variations of AP/ML weight distribution likewise showed a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p<.001). Third, the gait was determined based on the variations of step length, step width, stride, velocity and symmetry index. The between-group comparis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ep length on the non-paretic side(p<.05) and in step width and symmetry index on the paretic and non-paretic sides(p<.001),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tride and velicity(p>.05). The results collectively suggested that the enhancement program of paretic palm contact had effectively improved the arm motion, hand activity, trunk alignment and balance ability as well as the step length and width and symmetry index in stroke patients. Thus, the enhancement program of paretic palmar contact proposed in this study is predicted to contribute in improving the upper limb function, postural alignment and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 발전소 종사자의 인식에 기초한 스마트 안전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박효정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정부는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중대재해 감축을 위해 산업안전 법규를 강화하고 다양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 으로 기업들도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제4차 산업기술 을 접목한 다양한 스마트 안전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발전공기업에서도 정책적 영향과 ESG 경영의 중요성 때문에 발전소 현장으로 우수한 스마 트 안전기술 적용에 대한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일부 발전소 현장에서 적용된 기술이 현장 적용성과 적합성의 부족으로 종사자들이 기술 적용 이전 대비 작업환경이 안전하게 개선되었 다는 인식의 전환을 하지 못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되고 있었다. 이는 기 술의 수요자이자 수혜자인 발전소 종사자 입장에서의 니즈 등을 간과한 결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발전소 현장에 실효성 있는 스마트 안전기술 의 도입방안을 도출하고자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 분야에 적용된 스 마트 안전기술 관련 선행연구 및 적용사례 조사, 발전소 위험작업 및 안 전사고 특성 분석, 발전소 종사자 관점에서의 기술 도입 분야에 대한 선 호도를 조사하였다. 첫 번째, 스마트 기술의 적용사례 조사에서 대형 건설현장에서는 주로 위험한 작업과 건설장비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할 목적으로 각종 감지 센서, 추락 보호복(에어백 장착) 등에 적용하고 있었다. 제조업, 발전소에서는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위험구역 또는 관리 사각지역과 설비에 대해 원격점검·관리를 할 수 있도록 드론, 디지털 트윈, 레일로봇, Edge 컴퓨팅과 인공지능(AI) 및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활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현단계는 재해예방 효과의 검증, 유지·관리 및 보급·확산 용이성을 갖춘 스마트 안전기술의 공급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었다. 두 번째, 발전소 안전사고의 특징은 넘어짐 유형이 가장 많았고, 산업재 해에 취약한 발전소 근로자 유형은 연령대는 50대(39%), 근무경력은 6개 월 미만자(53%)의 비율이 높았다. 고용노동부 통계 결과인 재해자의 고령 화, 근속기간이 짧은 근로자의 재해율이 높은 결과와 유사하였다. 소속 분 류에는 발전소 현장에 직접 투입되어 정비 업무를 수행하는 협력사 직원 의 취약성이 확인되었으나, 매년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 발전소 종사자가 인식하는 개선이 시급한 위험작업 및 적용 기술 선호도, 기술 적용 시 개선사항 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총 22개의 설문 항목에 대해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184명 답변, 61.33% 응답 률)를 시행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발전사 및 협력사 직원은 공통적으로 노출 빈도가 높은 4개의 위험작업(고소작업, 중량물 취급, 밀폐공간, 화기 사용)에 대해 개선의 시급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근로자의 신체를 보호 할 수 있는 분야에 적용 하는 것을 가장 높게 선호(발전사는 35%, 협력 사는 40%)하였다. 다만, 협력사는 개인 신상 및 위치의 노출이 있을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선호도가 매우 낮은 5.4%로 기술의 도입목 적에 대한 충분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해 보였다. 안전사고 발생의 주요 원인에 대해 발전사 근로자 75%, 협력사 근로자 61.9%가 휴먼에러 요소 (부주의, 안전수칙 미준수, 본인 과실)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발전소에 스마트 안전기술 및 장비(기기)의 도입 시에는 산 업재해에 취약한 고령자와 6개월 미만 근속자를 고려하고, 협력사 근로자 와의 공감대 형성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고 근로자의 노출 빈도 가 높은 4개 유형의 위험작업에 대해 작업 방법 또는 공법을 개선하는 방 향으로 스마트 기술을 적용해야 한다. 또한 근로자가 휴먼에러 요소를 인 지하여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도입이 시급함을 도출할 수 있었 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안전기술의 근간인 제4차 산업기술은 초연결, 초지 능, 초융합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기술의 개발, 사용, 벤치마킹, 확산단계 를 거치면서 더욱더 똑똑한 스마트 안전기술로 발전시키고, 이를 기반으 로 국내 선순환적인 안전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정책적인 지원이 뒷받 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마트 안전기술(장비)에 대한 국가적인 차원으로 통합관리 가능한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우수한 기술을 개발·공급하는 기 업 및 대학(연구소)에 대한 육성·지원정책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 다. Recently, the government has strengthened industrial safety regulations and prepared various support measures to prevent serious disaster accidents at industrial sites. Accordingly, many companies are also trying to apply various smart safety technologies that are combined with the Fourth Industrial Technology to their industrial sites. Power Generation Public Enterprises are also having a lot of interests in the application of smart safety technology to power plant sites in order to meet the government's policy regarding the prevention of serious disaster accidents as a public institution. However, in some power plant sites, there were cases where the applied smart safety technology lacked its suitability or effectiveness at the field. For this reason, plant workers, who were consumers and beneficiaries of technology, could not have their awareness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had improved safely after the technology had been applied to the field. It seemed to be the result of overlooking the needs of power plant workers, who were consumers and beneficiaries of technolog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ot started to derive a method to apply effective smart safety technology to the power plant site based on power plant workers’ awareness. The scop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Prior research and application cases related to smart safety technology applied to the industrial field were investigated, works exposed to accident risk at power plants and accident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preferences in technology appl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lant workers were studied. First, as cases of using smart technology, large construction sites mainly applied various detection sensors, tags, and fall protection devices (inserted airbags) to protect workers from dangerous work and equipment. In manufacturing factories and power plants, drones, digital twins, rail robots, edge compu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ies were being used to remotely monitor and manage harmful areas, blind spots, and dangerous facilities that are difficult for workers to access. However, at this stage, it has not reached the level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prevention for smart safety technologies applied to the field, or evaluating whether they are easy to distribute and utilize. Second, among the types of plant safety accidents, falls occurred the most. The kind of power plant workers vulnerable to industrial accidents was the highest in their 50s(39% of the total victim) and those with less than 6 months of work experience(53% of the total victim). It was similar to the report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at the elderly and short term period workers were vulnerable to disaste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partner company’s employees who were directly deployed to the power plant site and performed maintenance work were vulnerable to disasters, but they were gradually decreasing every year. Third, based on the awareness of plant workers, dangerous tasks that are urgently needed to be improved, preferences for smart safety technology, and considerations when applying technology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300 employees(of power generation companies and partner companies) working at the power plant were surveyed, and the response rate was 61.33%(184 Respondent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ur major dangerous works of the power plant were analyzed as high-altitude work, heavy object handling, enclosed space work, and firework which were frequently performed at the plant site and vulnerable to safety accidents. The highest preference was to apply smart technology to areas that could protect the body of workers(35% for power generation company and 40% for partner company). However, 5.4% of partners have a very low preference for monitoring systems that may have exposure to personal identity and location, and it seemed necessary to form sufficient consensus on the purpose of applying the technology. However, respondents equally answered that the causes of safety accidents at the power plant were carelessness, non-compliance with safety rules, and self-negligence, which were human error factors. In conclusion, when applying smart safety technology and equipment (devices) to power plants, the elderly who are vulnerable to industrial accidents and those who have worked for less than six months should be considered. It is also necessary to form a consensus with employees of partner companies on the purpose of applying smart safety technology. And dangerous work with a high frequency of exposure by workers must be improved by developing work methods or construction methods. A system that allows workers to recognize and control human errors should be applied. Finally, in order to develop smart safety technology,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policy support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smart safety technology.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to establish an inventory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for smart safety technology (equipment) and to prepare policies for fostering and supporting companies and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that develop and supply excellent technologies.

      • <소리>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적 능력 형성 과정

        박효정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소리>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가 창의적 능력을 어떻게 형성하여 가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이며 K군 소재 D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서 만 5세 1학급 유아 17명(남 10명, 여 7명)을 대상으로 2014년 7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수행하였다. 프로젝트 활동으로 참여관찰, 포트폴리오, 심층면접, 교사 협의록, 교사일지, 유아 일화기록 등을 통하여 유아의 창의적 능력 형성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리> 프로젝트 활동 과정은 다양한 듣기 경험과 상징화주기를 거치면서 민감하게 듣고 정교하게 말하는 능력을 갖게 하였다. 둘째, <소리> 프로젝트 활동 중 문제해결과정을 거치면서 확산적 사고와 개방적인 문제해결태도를 갖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소리> 프로젝트 활동은 유아의 창의적 능력 형성에 도움을 주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다.

      • 조직과 공중의 관계 측정에 관한 연구

        박효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조직과 공중 간의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기능으로서의 PR의 개념은 PR의 학문적 연구와 수행에 있어 유용하고도 효율적인 관점으로 확립되었다. 최근 들어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직과 공중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개념 및 관계 측정도구는 아직 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인 커뮤니케이션, 조직 커뮤니케이션, 관계 마케팅, PR 등 여러 분야에서 관계와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하여 이를 바탕으로 조직과 공중의 관계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관계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설문항목들을 기초로 하여 타당도과 신뢰도를 갖춘 조직과 공중 간의 관계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표준산업분류에 따라 20개 공기업 및 사기업, 공공기관을 선정하여 871명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통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탐색적 인자분석과 확증적 인자분석을 실시하여 조직과 공중의 관계 측정모델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조직과 공중의 관계 요소로 상호 통제성, 거래적 만족성, 개인적 만족성, 도덕적 신뢰성, 능력적 신뢰성의 5가지 요소가 나타났으며, 22개의 관계 측정항목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 5가지 관계 요소 중 거래적 만족성과 도덕적 신뢰성이 조직과 공중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 측정도구의 개발은 PR 분야에서 관계연구의 발전과 효과적인 PR전략의 수립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 주식가격 변동모형에 관한 연구

        박효정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Among various parts of mathematics, probability is related to our daily life very closely. The probability theory is used for many areas like electronics, physics and other fields of mathematics, however,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probability especially for mathematical finance. When stock prices follow a "random work", i.e. when it moves randomly, we can say the future stock prices do not be influenced by the past movements of it. This phenomenon, which goes a fundamental assumption in the financial mathematics, conflicts with the "technical analysis", in which the movements of stock prices are expected through observing the moving charts of the prices. The hypothesis of random movement of stock prices is related to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in economics.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financial market through the study about how correct those fundamental assumptions are compatible with real data using statistics. This thesis contains the various analysis of data as below. Analysis of, histogram of daily return and the normal distribution( ChapterⅢ.1), correlation between daily return and the Cauchy distribution( ChapterⅣ.3), correlation between daily return and the power law( ChapterⅤ.2). All data for the analysis are consists of 3087 stock prices of Composite Stock Price Index,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d Hyundai Motor company, from January 3 1998 to November 22 2007(business day only). The data for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conditional probability and daily return are 600 stock prices data of those two companies from October 26 2004 to March 21 2007(business day only). Data analysis is handled by Microsoft Excel for some statistical processing. This thesis contains a review of basic definitions of the probability and studying on a conception of the normal distribution, the central limit theorem, Cauchy’s distribution, the stable law and the distribution of daily return. Also, another study to observe whether the daily return follows the power law. The study will focus on whether the graph will show a straight line of when the logarithm scale was taken for the x and y axis.

      • 공공부문에서 IT 성과평가 방안으로서의 IT-BSC 방법론의 적용에 관한 연구

        박효정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공공부문의 정보화 사업에 대한 투자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성과평가와 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IT 성과에 대한 인식의 부재와 성과창출에 대한 목표의식의 결여로 인하여 성과평가가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IT 성과평가 방안으로서 BSC 기반의 성과평가 방법인 IT-BSC가 논의되고 있다. BSC는 내부와 외부의 관점을 균형 있게 평가하며, 단기적인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중·장기적 성과까지도 고려하여 만들어진 포괄적 방법론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장점을 활용한 IT-BSC는 정성적 측면의 성과가 중요한 공공부문에서 더욱 적합한 평가 모형이 될 수 있다. 또한 일회적이고 단편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공부문 IT 성과 평가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IT-BSC 모형을 성과평가 방법론으로 적용하는 데 있어 몇 가지 한계점이 지적되었다. 첫째, IT-BSC에 관한 연구는 학계와 산업계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지만, 일관된 IT-BSC모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4대 관점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고 있어 실제 사용하는 데 혼란을 초래하였다. 둘째, IT-BSC 개념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비즈니스 기여도 관점과 사용자 지향성 관점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운영우수성 관점과 미래지향성 관점은 비중 있게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에 적합한 IT-BSC 모형을 개념적 수준에서 제안하였다. 기존 연구의 차이점과 한계점을 분석하여 4대 관점을 재정의 하였으며, 한계점에 대한 대안으로 IT 성과를 유도하고 관리하는 프로세스와 IT 성과실현을 위한 관리체계를 관점 안에 포함하였다. 특히, 본 연구 모형은 운영 우수성 관점에 IT 투자에 대한 성과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성숙도 모형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IT-BSC 연구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운영우수성 관점과 미래지향성 관점의 개선방향이 제시됨으로써 BSC의 원래 장점인 4대 관점의 균형된 시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운영우수성 관점을 사용자의 입장에서 IT 성과를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지향성 관점의 목표를 향상시키는 부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마지막으로 성숙도 모형을 통해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평가함으로써, IT 성과평가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높이고, 보다 합리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